KR101647564B1 - 차량 전부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 전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7564B1
KR101647564B1 KR1020140174750A KR20140174750A KR101647564B1 KR 101647564 B1 KR101647564 B1 KR 101647564B1 KR 1020140174750 A KR1020140174750 A KR 1020140174750A KR 20140174750 A KR20140174750 A KR 20140174750A KR 101647564 B1 KR101647564 B1 KR 101647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uspension tower
front side
side member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4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2340A (ko
Inventor
고 하야시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50072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2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7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7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8Details of structures as upper supports for springs or dam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의 전부 (10) 에는, 프론트 사이드 멤버 (12) 와 업퍼 멤버 (14) 와 서스펜션 타워 (16)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서스펜션 타워 (16) 에는, 업퍼 멤버 (14) 에 접합되는 제 1 접합부 (A1) 와, 프론트 사이드 멤버 (12) 에 접합되는 제 2 접합부 (B1) 와, 제 2 접합부 (B1) 보다 차량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프론트 사이드 멤버 (12) 에 접합되는 제 3 접합부 (C1) 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접합부 (B1) 는, 업퍼 멤버 (14) 와 제 1 접합부 (A1) 의 접합 강도보다 낮은 접합 강도로 프론트 사이드 멤버 (12) 에 접합되어 있다. 또한, 제 3 접합부 (C1) 는, 프론트 사이드 멤버 (12) 와 제 2 접합부 (B1) 의 접합 강도보다 낮은 접합 강도로 프론트 사이드 멤버 (12) 에 접합되어 있다.

Description

차량 전부 구조{VEHICLE FRONT STRUCTURE}
2013년 12월 19일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13-262939호의 개시내용은 상세한 설명, 도면 및 요약서를 포함하여 그 전체가 여기서 참조로써 원용된다.
본 발명은, 차량 전부 (前部)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85414 에는, 차량 전부에 있어서의 크래쉬 스트로크를 확보함으로써 전면 (前面) 충돌에 의한 충돌 에너지의 흡수 성능을 확보한 차량 전부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이 문헌에 기재된 기술에 의하면, 전면 충돌에 의한 충돌 하중이 프론트 타이어에 전달되었을 때에 타이 로드를 절곡하여 전륜을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전륜이 사이드 실에 당접하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전륜이 사이드 실에 당접하지 않게 되거나, 혹은, 전륜이 사이드 실에 당접할 때까지의 거리를 길게 함으로써 크래쉬 스트로크를 확보하고 있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85414 에 기재된 차량 전부 구조에서는, 타이 로드 굴곡 부재를 차체측에 형성하여, 타이 로드가 타이 로드 굴곡 부재에 당접하는 것에 의해 당해 타이 로드를 굴곡시키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85414 에 기재된 차량 전부 구조는, 차량의 전부에 있어서의 크래쉬 스트로크를 확보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는 유용한 기술이지만, 전륜에 입력된 충돌 하중을 로커에 지지시킨다는 관점에서는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전륜에 입력된 충돌 하중을 로커에 지지시킬 수 있는 차량 전부 구조를 얻는다.
본 발명에 관련된 일 양태의 차량 전부 구조는, 차량 전부에 있어서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론트 사이드 멤버와, 상기 프론트 사이드 멤버의 차폭 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업퍼 멤버와, 상기 프론트 사이드 멤버와 상기 업퍼 멤버 사이에 형성된 서스펜션 타워를 구비하고 있고, 서스펜션 타워는, 차량의 플로어의 측부에 배치되고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로커의 차량 전방측에 배치된 전륜을 지지하는 아암이 장착되는 피장착부를 갖고, 서스펜션 타워는, 상기 업퍼 멤버에 접합되는 제 1 접합부를 갖고, 서스펜션 타워는, 상기 업퍼 멤버와 상기 제 1 접합부의 접합 강도보다 낮은 접합 강도로 상기 프론트 사이드 멤버에 접합되는 제 2 접합부를 갖고, 서스펜션 타워는, 상기 제 2 접합부보다 차량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프론트 사이드 멤버와 상기 제 2 접합부의 접합 강도보다 낮은 접합 강도로 상기 프론트 사이드 멤버에 접합되는 제 3 접합부를 갖는다.
차량 전부 구조에 의하면, 전면 충돌에 의한 하중이 전륜에 입력되면, 당해 하중은 아암을 통하여 서스펜션 타워에 전달된다. 또한, 서스펜션 타워에 전달된 하중이 소정치를 초과하면, 먼저 서스펜션 타워의 제 3 접합부가 프론트 사이드 멤버로부터 박리되거나 또는 변형된다. 그러면, 전륜이 차량 평면에서 보았을 때 일방측으로 회동하는, 즉, 전륜의 전단 (前端) 이 차폭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도록 회동한다. 이어서, 서스펜션 타워의 제 2 접합부가 프론트 사이드 멤버로부터 박리되거나 또는 변형된다. 그러면, 전륜이 차량 평면에서 보았을 때 타방측으로 회동하는, 즉, 전륜의 후단 (後端) 이 차폭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도록 회동한다. 이에 의해, 서스펜션 타워의 제 3 접합부가 프론트 사이드 멤버로부터 박리되거나 또는 변형되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전륜의 회동 각도의 변화를, 서스펜션 타워의 제 2 접합부가 프론트 사이드 멤버로부터 박리되거나 또는 변형되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전륜의 회동 각도의 변화에 의해 캔슬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충돌 하중이 입력되는 것에 의해 차량 후방측으로 이동하는 전륜을 로커의 전단에 당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다른 일 양태의 차량 전부 구조는, 차량 전부에 있어서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론트 사이드 멤버와, 상기 프론트 사이드 멤버의 차폭 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업퍼 멤버와, 상기 프론트 사이드 멤버와 상기 업퍼 멤버 사이에 형성된 서스펜션 타워를 구비하고, 서스펜션 타워는, 차량의 플로어의 측부에 배치되고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로커의 차량 전방측에 배치된 전륜을 지지하는 아암이 장착되는 피장착부를 갖고, 서스펜션 타워는, 상기 업퍼 멤버에 접합되는 제 1 접합부를 갖고, 서스펜션 타워는, 상기 프론트 사이드 멤버에 접합되는 제 2 접합부를 갖고, 서스펜션 타워는, 상기 제 2 접합부보다 차량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프론트 사이드 멤버에 접합되는 제 3 접합부를 갖고, 상기 서스펜션 타워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접합부측의 강성이, 상기 서스펜션 타워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접합부측의 강성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고, 상기 서스펜션 타워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접합부측의 강성이, 상기 서스펜션 타워에 있어서의 상기 제 3 접합부측의 강성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다.
차량 전부 구조에 의하면, 전면 충돌에 의한 하중이 전륜에 입력되면, 당해 하중은 아암을 통하여 서스펜션 타워에 전달된다. 또한, 서스펜션 타워에 전달된 하중이 소정치를 초과하면, 먼저 서스펜션 타워의 제 3 접합부측의 부위가 변형된다. 그러면, 전륜이 차량 평면에서 보았을 때 일방측으로 회동하는, 즉, 전륜의 전단이 차폭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도록 회동한다. 이어서, 서스펜션 타워의 제 2 접합부측의 부위가 변형된다. 그러면, 전륜이 차량 평면에서 보았을 때 타방측으로 회동하는, 즉, 전륜의 후단이 차폭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도록 회동한다. 이에 의해, 서스펜션 타워의 제 3 접합부측의 부위가 변형되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전륜의 회동 각도의 변화를, 서스펜션 타워의 제 2 접합부측의 부위가 변형되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전륜의 회동 각도의 변화에 의해 캔슬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충돌 하중이 입력되는 것에 의해 차량 후방측으로 이동하는 전륜을 로커의 전단에 당접시킬 수 있다.
차량 전부 구조는, 상기 제 1 접합부, 상기 제 2 접합부 및 상기 제 3 접합부의 접합 강도가, 용접 타점의 수에 의해 조정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차량 전부 구조는, 상기 제 1 접합부, 상기 제 2 접합부 및 상기 제 3 접합부의 접합 강도가, 레이저 용접이 실시되는 범위에 의해 조정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차량 전부 구조에 의하면, 제 1 접합부, 제 2 접합부 및 제 3 접합부의 접합 강도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차량 전부 구조는, 전륜에 입력된 충돌 하중을 로커에 지지시킬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모범적인 실시형태들의 특징, 이점, 그리고 기술적 및 산업적 중요성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며, 첨부도면에서 유사한 요소에 유사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도 1 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의 전부의 차폭 방향 일방측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 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의 전부의 차폭 방향 일방측을 엔진 룸 내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3 은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의 전부의 차폭 방향 일방측을 나타내는 도 1 에 대응하는 평면도이다.
(제 1 실시형태) 도 1 및 도 2 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 전부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차량 전후 방향 전방측을 화살표 FR 로 나타내고, 차폭 방향 외측을 화살표 OUT 로 나타내고, 차량 상하 방향 상측을 화살표 UP 로 나타낸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단순히 전후, 상하의 방향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차량 전후 방향의 전후, 차량 상하 방향의 상하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차량 전부 구조가 적용된 차량의 전부 (10) 에는, 차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1 쌍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 (12) 와, 프론트 사이드 멤버의 차폭 방향 외측에 배치된 업퍼 멤버 (14) 와, 프론트 사이드 멤버 (12) 와 업퍼 멤버 (14) 사이에 형성된 서스펜션 타워 (16)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차량의 전부 (10) 에는, 좌우 1 쌍의 전륜 (18) 이 형성되어 있고, 이 전륜 (18) 은, 차체의 플로어의 양측부에 배치되고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로커 (20) 의 차량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프론트 사이드 멤버 (12)) 프론트 사이드 멤버 (12) 는, 좌우의 전륜 (18) 사이에 배치되고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차량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단면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프론트 사이드 멤버 (12) 에 있어서의 엔진 룸 (E) 내에 배치되어 있는 부위는, 차량 상하 방향을 판 두께 방향으로 하여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정상 벽부 (22) 와, 정상 벽부 (22) 의 차폭 방향의 양단으로부터 차량 하방측을 향하여 각각 신장하는 측벽부 (24, 26) 와, 측벽부 (24) 의 하단과 측벽부 (26) 의 하단을 차폭 방향으로 연결하는 저벽부 (28) 를 구비하고 있다.
(업퍼 멤버 (14)) 업퍼 멤버 (14) 는,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차량 정면에서 보았을 때의 단면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업퍼 멤버 (14) 는, 차량 측면에서 보았을 때 프론트 사이드 멤버 (12) 의 상방측에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후단부가 프론트 필러 (15) 에 접합된 제 1 연장부 (30) 와, 제 1 연장부 (30) 의 전단으로부터 차량 하방측으로 경사져서 연장됨과 함께 전단부가 거싯 (34) 을 통하여 프론트 사이드 멤버 (12) 의 전단부에 접합된 제 2 연장부 (32) 를 가져 구성되어 있다. 제 1 연장부 (30) 는, 차량 상하 방향을 판 두께 방향으로 하여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정상 벽부 (36) 와, 정상 벽부 (36) 의 차폭 방향의 양단으로부터 차량 하방측을 향하여 각각 신장하는 측벽부 (38, 40) 와, 측벽부 (38) 의 하단과 측벽부 (40) 의 하단을 차폭 방향으로 연결하는 저벽부 (42) 를 가져 구성되어 있다.
(서스펜션 타워 (16)) 서스펜션 타워 (16) 는, 강판재에 프레스 가공 등이 실시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이 서스펜션 타워 (16) 는, 엔진 룸 (E) 측을 향하여 볼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서스펜션 타워 (16) 는, 도시되지 않은 코일 오버의 일부를 구성하는 쇼크 업소버의 상단부가 고정되는 코일 오버 지지부 (44) 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서스펜션 타워 (16) 에 있어서의 코일 오버 지지부 (44) 의 전방측 및 후방측에는, 각각 아암으로서의 업퍼 아암 (46) 이 장착되는 피장착부로서의 전측 피장착부 (48) 및 후측 피장착부 (50) 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전륜 (18) 이 도시되지 않은 허브, 너클 아암, 로어 아암 및 업퍼 아암 (46) 등을 통하여 차체에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서스펜션 타워 (16) 는, 업퍼 멤버 (14) 의 제 1 연장부 (30) 의 정상 벽부 (36) 에 접합되는 제 1 플랜지부 (52) 와, 프론트 사이드 멤버 (12) 의 측벽부 (24) 에 접합되는 제 2 플랜지부 (54) 와, 프론트 사이드 멤버 (12) 의 정상 벽부 (22) 에 접합되는 제 3 플랜지부 (56) 와, 프론트 사이드 멤버 (12) 의 측벽부 (24) 에 접합됨과 함께 제 2 플랜지부 (54) 및 제 3 플랜지부 (56) 보다 차량 전방측에 배치된 제 4 플랜지부 (58) 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제 1 플랜지부 (52) 를 제 1 접합부 (A1) , 제 2 플랜지부 (54) 및 제 3 플랜지부 (56) 의 차량 후방측의 부위 (56A) 를 제 2 접합부 (B1) , 제 3 플랜지부 (56) 의 차량 전방측의 부위 (56B) 및 제 4 플랜지부 (58) 를 제 3 접합부 (C1) 라고 하면, 제 2 접합부 (B1) 는, 업퍼 멤버 (14) 와 제 1 접합부 (A1) 의 접합 강도보다 낮은 접합 강도로 프론트 사이드 멤버 (12) 에 접합되어 있다. 또한, 제 3 접합부 (C1) 는, 프론트 사이드 멤버 (12) 와 제 2 접합부 (B1) 의 접합 강도보다 낮은 접합 강도로 프론트 사이드 멤버 (12) 에 접합되어 있다. 또한, 제 1 접합부 (A1) , 제 2 접합부 (B1) 및 제 3 접합부 (C1) 의 업퍼 멤버 (14) 또는 프론트 사이드 멤버 (12) 에 대한 접합 강도는, 레이저 용접의 범위나 스폿 용접의 타점 간격, 리벳의 간격 등에 의해 조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작용 그리고 효과)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작용 그리고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차량 전부 구조에 의하면, 전면 충돌에 의한 하중이 전륜 (18) 에 입력되면, 당해 하중은 업퍼 아암 (46) 을 통하여 서스펜션 타워 (16) 에 전달된다. 또한, 서스펜션 타워 (16) 에 전달된 하중이 소정치를 초과하면, 먼저 서스펜션 타워 (16) 의 제 3 접합부 (C1) 가 프론트 사이드 멤버 (12) 로부터 박리되거나 또는 변형된다. 그러면, 전륜 (18) 이 차량 평면에서 보았을 때 일방측으로 회동하는, 즉, 전륜 (18) 의 전단이 차폭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도록 회동한다. 이어서, 서스펜션 타워 (16) 의 제 2 접합부 (B1) 가 프론트 사이드 멤버 (12) 로부터 박리되거나 또는 변형된다. 그러면, 전륜 (18) 이 차량 평면에서 보았을 때 타방측으로 회동하는, 즉, 전륜 (18) 의 후단이 차폭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도록 회동한다. 이에 의해, 서스펜션 타워 (16) 의 제 3 접합부 (C1) 가 프론트 사이드 멤버 (12) 로부터 박리되거나 또는 변형되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전륜 (18) 의 회동 각도의 변화를, 서스펜션 타워 (16) 의 제 2 접합부 (B1) 가 프론트 사이드 멤버 (12) 로부터 박리되거나 또는 변형되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전륜의 회동 각도의 변화에 의해 캔슬할 수 있다. 이로써, 충돌 하중이 입력되는 것에 의해 차량 후방측으로 이동하는 전륜 (18) 을 로커 (20) 의 전단에 당접시킬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륜 (18) 에 입력된 충돌 하중을 차체의 플로어에 지지시킬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도 3 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 전부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 부재 및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분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차량 전부 구조는, 서스펜션 타워 (16) 에 있어서의 제 1 접합부 (A1) 측의 강성 (2 점 쇄선 A2 로 둘러싸인 부위의 강성) 이, 서스펜션 타워 (16) 에 있어서의 제 2 접합부 (B1) 측의 강성 (2 점 쇄선 B2 로 둘러싸인 부위의 강성) 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음과 함께, 서스펜션 타워 (16) 에 있어서의 제 2 접합부 (B1) 측의 강성이, 서스펜션 타워 (16) 에 있어서의 제 3 접합부 (C1) 측의 강성 (2 점 쇄선 C2 로 둘러싸인 부위의 강성) 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서스펜션 타워 (16) 의 각부의 강성은, 비드나 무게줄임 구멍 (lightening hole) 등이 당해 서스펜션 타워 (16) 에 형성됨으로써 조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차량 전부 구성에 의하면, 서스펜션 타워 (16) 에 전달된 전면 충돌에 의한 하중이 소정치를 초과하면, 먼저 서스펜션 타워 (16) 의 제 3 접합부 (C1) 측의 부위가 변형된다. 그러면, 전륜 (18) 이 차량 평면에서 보았을 때 일방측으로 회동한다. 이어서, 서스펜션 타워 (16) 의 제 2 접합부 (B1) 측의 부위가 변형된다. 그러면, 전륜 (18) 이 차량 평면에서 보았을 때 타방측으로 회동한다. 이에 의해, 서스펜션 타워 (16) 의 제 3 접합부 (C1) 측의 부위가 변형되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전륜의 회동 각도의 변화를, 서스펜션 타워 (16) 의 제 2 접합부 (B1) 측의 부위가 변형되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전륜의 회동 각도의 변화에 의해 캔슬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충돌 하중이 입력되는 것에 의해 차량 후방측으로 이동하는 전륜 (18) 을 로커 (20) 의 전단에 당접시킬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륜 (18) 에 입력된 충돌 하중을 차체의 플로어에 지지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상기 이외에도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Claims (4)

  1. 차량 전부 (10) 에 있어서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론트 사이드 멤버 (12),
    상기 프론트 사이드 멤버 (12) 의 차폭 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업퍼 멤버 (14), 및
    상기 프론트 사이드 멤버 (12) 와 상기 업퍼 멤버 (14) 사이에 형성된 서스펜션 타워 (16) 를 포함하고, 서스펜션 타워 (16) 는, 차량의 플로어의 측부에 배치되고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로커의 차량 전방측에 배치된 전륜을 지지하는 아암이 장착되는 피장착부 (48, 50) 를 갖고, 서스펜션 타워 (16) 는, 상기 업퍼 멤버 (14) 에 접합되는 제 1 접합부 (A1) 를 갖고, 서스펜션 타워 (16) 는, 상기 업퍼 멤버 (14) 와 상기 제 1 접합부 (A1) 의 접합 강도보다 낮은 접합 강도로 상기 프론트 사이드 멤버 (12) 에 접합되는 제 2 접합부 (B1) 를 갖고, 서스펜션 타워 (16) 는, 상기 제 2 접합부 (B1) 보다 차량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프론트 사이드 멤버 (12) 와 상기 제 2 접합부 (B1) 의 접합 강도보다 낮은 접합 강도로 상기 프론트 사이드 멤버 (12) 에 접합되는 제 3 접합부 (C1)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전부 구조.
  2. 차량 전부 (10) 에 있어서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론트 사이드 멤버 (12),
    상기 프론트 사이드 멤버 (12) 의 차폭 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업퍼 멤버(14),
    상기 프론트 사이드 멤버 (12) 와 상기 업퍼 멤버 (14) 사이에 형성된 서스펜션 타워 (16) 를 포함하고, 서스펜션 타워 (16) 는, 차량의 플로어의 측부에 배치되고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로커의 차량 전방측에 배치된 전륜을 지지하는 아암이 장착되는 피장착부 (48, 50) 를 갖고, 서스펜션 타워 (16) 는, 상기 업퍼 멤버 (14) 에 접합되는 제 1 접합부 (A1) 를 갖고, 서스펜션 타워 (16) 는, 상기 프론트 사이드 멤버 (12) 에 접합되는 제 2 접합부 (B1) 를 갖고, 서스펜션 타워 (16) 는, 상기 제 2 접합부 (B1) 보다 차량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프론트 사이드 멤버 (12) 에 접합되는 제 3 접합부 (C1) 를 갖고,
    상기 서스펜션 타워 (16) 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접합부 (A1) 측의 강성이, 상기 서스펜션 타워 (16) 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접합부 (B1) 측의 강성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고,
    상기 서스펜션 타워 (16) 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접합부 (B1) 측의 강성이, 상기 서스펜션 타워 (16) 에 있어서의 상기 제 3 접합부 (C1) 측의 강성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전부 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합부 (A1), 상기 제 2 접합부 (B1) 및 상기 제 3 접합부 (C1) 의 접합 강도가, 용접 타점의 수에 의해 조정되어 있는 차량 전부 구조.
  4. 삭제
KR1020140174750A 2013-12-19 2014-12-08 차량 전부 구조 KR1016475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62939A JP5888316B2 (ja) 2013-12-19 2013-12-19 車両前部構造
JPJP-P-2013-262939 2013-12-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2340A KR20150072340A (ko) 2015-06-29
KR101647564B1 true KR101647564B1 (ko) 2016-08-10

Family

ID=53399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4750A KR101647564B1 (ko) 2013-12-19 2014-12-08 차량 전부 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221497B2 (ko)
JP (1) JP5888316B2 (ko)
KR (1) KR1016475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88316B2 (ja) * 2013-12-19 2016-03-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前部構造
JP7028119B2 (ja) * 2018-09-19 2022-03-02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前部車体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7581Y2 (ko) * 1986-01-17 1991-12-27
US4909565A (en) * 1987-04-17 1990-03-20 Mazda Motor Corporation Front body construction
JPH0712220Y2 (ja) * 1987-07-29 1995-03-22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サスペンシヨンタワ−部構造
JPH0518231Y2 (ko) * 1987-08-01 1993-05-14
JPH02246877A (ja) * 1989-03-20 1990-10-02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JPH0810074Y2 (ja) * 1989-06-02 1996-03-27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JP3140506B2 (ja) * 1991-09-30 2001-03-05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JP2750261B2 (ja) * 1993-06-11 1998-05-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前輪懸架装置支持部の車体構造
US5456517A (en) * 1993-12-23 1995-10-10 General Motors Corporation Cast shock tower for a vehicle
KR100527119B1 (ko) * 2003-04-15 2005-1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펜더에이프론의 프론트엔드모듈 결합부 강성증대구조
JP4077433B2 (ja) * 2004-07-07 2008-04-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前部構造
JP4853914B2 (ja) 2006-10-03 2012-01-11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車体前部構造
US7762619B2 (en) * 2008-07-29 2010-07-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quential crash hinges in automotive frame rails
DE102009032602A1 (de) * 2009-07-10 2011-01-1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Federbeinaufnahme, Fahrzeugvorderbau mit dieser Federbeinaufnahme und ein Fahrzeug mit diesem Fahrzeugvorderbau
US8448966B2 (en) * 2011-01-05 2013-05-28 Tesla Motors, Inc. Vehicle front shock tower
JP5585480B2 (ja) * 2011-02-10 2014-09-10 マツダ株式会社 車体前部構造
EP2834806A1 (en) * 2012-04-04 2015-02-11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a digital display
US9481398B2 (en) * 2012-05-29 2016-11-01 Honda Motor Co., Ltd. Damper housing structure body and damper housing structure body fabrication method
JP5725005B2 (ja) * 2012-12-27 2015-05-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体前部構造
US8720983B1 (en) * 2013-03-14 2014-05-13 Honda Motor Co., Ltd. Narrow offset energy management frame structure
JP5888316B2 (ja) * 2013-12-19 2016-03-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前部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2340A (ko) 2015-06-29
JP2015116980A (ja) 2015-06-25
US9221497B2 (en) 2015-12-29
US20150175215A1 (en) 2015-06-25
JP5888316B2 (ja) 2016-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55971B2 (en) Vehicle body structure with impact absorbing part
JP5953887B2 (ja) 車両の車体前部構造
JP5987341B2 (ja) リヤサブフレームの車体取付け構造
CN103328309B (zh) 车体前部结构
US20130341969A1 (en) Vehicle body floor structure
WO2013187112A1 (ja) 車体後部構造
JP2017030541A (ja) 車両下部構造
JP2019038310A (ja) 車体構造
KR101647564B1 (ko) 차량 전부 구조
JP2013256266A (ja) 車体前部構造
CN109383631B (zh) 前部车身增强结构
JP6103085B2 (ja) 車両の車体前部構造
JP2016055755A (ja) 車両前部構造
JP2013256162A (ja) 車両前部構造
JP6065993B2 (ja) 車両の車体前部構造
JP2014162426A (ja) ストラットタワー補強構造
JP2009040299A (ja) 車両前部構造
JP6406379B2 (ja) 車両の車体前部構造
JP6384562B2 (ja) 車両の車体前部構造
JP6137354B2 (ja) 車両の車体前部構造
JP5723562B2 (ja) 自動車の車体前部構造
JP6065994B2 (ja) 車両の車体前部構造
JP2016124320A (ja) 自動車用ロアア−ムの衝撃吸収構造
JP6603578B2 (ja) サスペンションメンバの補強構造
JP6418267B2 (ja) 車両の車体前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