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7449B1 - 현악기용 음색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현악기용 음색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7449B1
KR101647449B1 KR1020150068642A KR20150068642A KR101647449B1 KR 101647449 B1 KR101647449 B1 KR 101647449B1 KR 1020150068642 A KR1020150068642 A KR 1020150068642A KR 20150068642 A KR20150068642 A KR 20150068642A KR 101647449 B1 KR101647449 B1 KR 101647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ing
main body
sounding
stringed instrument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8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9505A (ko
Inventor
이규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고퍼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고퍼우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고퍼우드
Publication of KR20150079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9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7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7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00General design of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 G10D1/04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 G10D1/05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with fret boards or fingerboards
    • G10D1/08Guita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00General design of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 G10D1/02Bowed or rubbed string instruments, e.g. violins or hurdy-gurdi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02Resonating means, horns or diaphrag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3/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 G10H3/1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 G10H3/14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 G10H3/18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using a string, e.g. electric guita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이올린이나 통기타와 같은 현악기의 음색을 연주자 또는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음이 소리가 뻗어나가게 하거나 풍성하게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장착형 악세서리 방식의 현악기용 음색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현악기의 내측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어 현악기의 음색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로서, 접촉 이동부재; 및 상기 접촉 이동부재를 신축가능하게 이동시키는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는 현악기용 음색 조절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현악기용 음색 조절 장치{TONE ADJUSTING DEVICE FOR CHORDOPHONES}
본 발명은 현악기용 음색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이올린이나 통기타와 같은 현악기의 음색을 연주자 또는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음이 소리가 뻗어나가게 하거나 풍성하게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장착형 악세서리 방식의 현악기용 음색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이올린, 첼로나 통기타는 현악기의 일종으로 줄을 마찰시키거나 튕기면서 음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다른 악기에 비해 다양한 장르의 음악에 적용할 수 있다.
일예로, 기타는 크게 통기타, 어쿠스틱기타, 베이스기타, 클래식기타, 전기기타 등 그 종류 또한 다양하다.
도 1은 일반적인 통기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통기타는 크게 현(줄)에 의한 울림에 의하여 공명음이 발생되는 바디(10)와, 이 바디(10)의 일측에 고정되어 현을 이용하여 음계 및 화음 따른 코드를 잡을 수 있도록 현이 배치되는 네크(Neck)(20)와, 현에 대한 음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네크의 단부에 접합되는 헤드(30)로 구성된다.
또한, 통기타의 음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바디(10)는 그 특성상 가문비나무, 향나무 및 삼나무 등과 같이 곧은 결의 연질 목재에 의해 제작된다. 이러한 바디는 땅콩 형태의 측판(11)과, 이 측판의 상, 하부에 각각 부착되는 상판(12) 및 하판(13)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기타는 많은 생산 공정을 거치면서 제작되며, 최근에는 기계를 이용한 가공이 점차 증가되면서 생산공정의 많은 부분에 있어 기계화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기타는 연주시 줄의 장력과 소리울림의 공기흐름으로 통의 변형이 일어나며, 또한 계절이나 주위 환경의 영향(예를 들면, 습도)으로 인하여 상판과 하판의 변형이 발생하고, 이러한 변형으로 인해 원래의 소리가 바뀌는 현상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타의 증폭장치는 실용신안공고번호 제20-1982-2022호와 같이 통기타의 몸체에 일반적으로 형성된 공명홀 외에 별도의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에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스피커를 내장하여 기타에서 발생되는 음을 증폭하도록 하였다. 또한, 미국특허등록번호 제07074992호와 같이 기타의 몸체 내부에 울림판을 접착하여 기타의 음을 증폭시키도록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기타의 내부에 스피커와 같은 전기적인 장치를 설치하여 사용하게 되면 기타에서 발생되는 음을 증폭시킬 수는 있으나, 기타에 스피커와 같은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비용 등이 증가하게 되고 상기 스피커를 기타에 장착하기 위한 별도의 홈을 기타에 형성해야 했기 때문에, 상기 홈에 의해 기타 내부에서 울리는 음에 영향을 주며, 기타의 원래 음에 전기적인 신호가 인입되면서 기타의 원래 음이 왜곡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기타의 몸체 내부에 울림판을 접착하여 기타의 음을 증폭시키게 되면 기타에서 발생되는 음의 울림에 의해 울림판이 기타에서 이탈될 수도 있으며, 기타에 울림판을 접착시킬 때 사용되는 접착성분이 기타에서 발생되는 음에 영향을 줄 수 있어, 기타에서 발생되는 음을 제대로 발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덧붙여, 기타의 음을 증폭하는 울림판의 단면이 일자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기타의 내부에서 반사되는 음을 일정하게 반사하지 못하거나 제대로 반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이러한 증폭장치와 같이 음색의 변형을 주고자 하는 장치들은 기타의 제작 과정에서 일체로 형성되어 통상의 기타에 적용하는 음색 조절 장치는 전혀 제안되어 있지 않다.
(문헌1)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20-1982-0002022호(1982.09.22) (문헌2) 미국특허등록번호 제07074992호(2006.07.11) (문헌3)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0000358호(2012.01.12)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울림통의 변형을 방지하여 음의 변화를 방지함과 동시에 바이올린이나 통기타와 같은 현악기의 음색을 연주자 또는 사용자가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음이 소리가 뻗어나가게 하거나 풍성하게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장착형 악세서리 방식의 현악기용 음색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선택 및 취향에 따라 음색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현악기용 음색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현악기의 내측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어 현악기의 음색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로서, 접촉 이동부재; 및 상기 접촉 이동부재를 신축가능하게 이동시키는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는 현악기용 음색 조절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촉 이동부재는 대칭되게 분할된 2개의 분할 접촉구로 이루어지고, 원추 형상, 원추대 형상, 원기둥 형상의 단면 형태를 갖고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촉 이동부재는 대창되게 분할된 2개의 분할 접촉구로 이루어지고, 첨단이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원추 형상의 단면 형태를 갖고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스크류 이동 방식으로 구성되어 상기 2개의 분할 접촉구가 스크류 이동에 따라 상호 간에 신장 및 축소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분할 접촉구의 대향하는 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결합구멍; 상기 결합구멍에 형성되는 너트부; 상기 너트부에 나사결합하는 이동스크류; 및 상기 이동스크류에 고정 형성된 조절 노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현악기용 음색 조절 장치는 상기 분할 접촉구의 상호 간 이동을 자동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자동조절 구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자동조절수단은 상기 조절노브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유닛; 및 상기 회전유닛을 조작하는 조작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동유닛은 상기 조절노브를 회전시키는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를 회전시키는 정역구동가능한 구동 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 및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을 조작하는 조작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울림본체부, 상기 울림본체부에 일부가 삽입되어 배치되는 울림전달부; 및 상기 울림본체부에 삽입되어 상기 울림전달부의 위치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위치조정부;를 포함하는 현악기용 음색 조절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울림본체부의 일단은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상기 위치조정부에 의해 상기 울림전달부의 위치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울림본체부의 타단은 고정되어 형성되거나 상기 위치조정부에 의해 상기 울림전달부의 위치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울림본체부의 타단은 상기 위치조정부를 지지하면서 상기 현악기의 상하판에 균형적으로 소리를 전달하는 울림지지부와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정부는 탄성을 이용하여 상기 울림전달부의 위치를 가로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울림 본체부 또는 상기 울림전달부는 우레탄으로 형성되거나 아세탈로 형성되어 현을 통해 울리는 소리가 상기 현악기의 상,하판에 균형적으로 분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울림전달부 또는 상기 울림지지대는 원뿔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원뿔형상의 끝이 라운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울림본체부는 상기 울림전달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울림전달부는 상기 울림본체부로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현악기용 음색 조절 장치는 상기 현악기의 상판에 배치되는 소리의 울림이 나가는 사운드 홀의 인근에 위치하여 하이프랫과 로우프랫 간의 음색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현악기의 내측에 장착되는 현악기용 음색 조절 장치에 있어서, 울림본체부; 울림본체부에 삽입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현악기의 상판 및 하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판을 접촉 지지하는 울림전달부; 및 울림본체부의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울림전달부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위치조정부;를 포함하는 현악기용 음색 조절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울림본체부와 결합되어 현악기의 상판 및 하판 중 어느 하나의 판을 접촉 지지하는 울림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울림본체부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울림본체부의 일측 내부공간에 울림전달부가 삽입되며, 울림전달부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울림전달부가 현악기의 일측 판과 접촉 지지되며, 울림본체부의 타측은 울림지지부와 결합되며, 울림지지부는 현악기의 타측 판과 접촉 지지된다.
위치조정부는 탄성부재로서 울림전달부와 울림지지부의 일측과 접촉 지지되며, 울림본체부의 내부공간 일측은 울림전달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가 형성되며, 울림전달부의 일측은 울림본체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이 형성되며, 이탈방지부의 직경은 내부공간의 직경보다 작으며, 이탈방지턱의 직경은 내부공간의 직경보다 작으며, 이탈방지부의 직경보다 크다.
울림본체부는 제1 울림본체부와 제2 울림본체부로 형성되며, 울림전달부는 제1 울림전달부와 제2 울림전달부로 형성되며, 제1 울림본체부의 내부공간에 제1 울림전달부가 삽입되며, 제1 울림전달부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제1 울림전달부가 현악기의 일측 판과 접촉 지지되며, 제2 울림본체부의 내부공간에 제2 울림전달부가 삽입되며, 제2 울림전달부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제2 울림전달부가 현악기의 타측 판과 접촉 지지된다.
위치조정부는 탄성부재로서 제1 울림전달부와 제2 울림전달부 사이에 개재되며, 제1 울림본체부의 내부공간 일측은 제1 울림전달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이탈방지부가 형성되며, 제2 울림본체부의 내부공간 일측은 제2 울림전달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이탈방지부가 형성되며, 제1 울림전달부의 일측은 제1 울림본체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이탈방지턱이 형성되고, 제2 울림전달부의 일측은 제2 울림본체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이탈방지턱이 형성되며, 제1,2 이탈방지부의 직경은 내부공간의 직경보다 작으며, 제1,2 이탈방지턱의 직경은 내부공간의 직경보다 작으며, 제1,2 이탈방지부의 직경보다 크다.
울림본체부는 제1,2,3,4 울림본체부로 형성되며, 울림전달부는 제1 울림전달부와 제2 울림전달부로 형성되며, 제1 울림전달부는 제1 울림본체부의 내부공간에 삽입되고 제2 울림본체부에 의해 이탈방지되며, 제1 울림전달부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제1 울림전달부가 현악기의 일측 판과 접촉 지지되며, 제2 울림전달부는 제3 울림본체부의 내부공간에 삽입되고 제4 울림본체부에 의해 이탈방지되며, 제2 울림전달부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제2 울림전달부가 현악기의 타측 판과 접촉 지지되며, 위치조정부는 탄성부재로서 제1 울림전달부와 제2 울림전달부 사이에 개재된다.
제1 울림본체부와 제2 울림본체부 및 제3 울림본체부와 제4 울림본체부는 서로 대응되는 나사산 및 나사골이 형성되어 서로 나사 결합되며, 제1 울림본체부와 제3 울림본체부의 대응되는 일측은 나사산 및 나사골이 형성되어 서로 나사 결합된다.
울림본체부는 제1,2,3 울림본체부로 형성되며, 울림전달부는 중앙에 구비된 제2 울림본체부의 내부공간에 삽입되고 제3 울림본체부에 의해 이탈방지되며, 울림전달부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울림전달부가 현악기의 일측 판과 접촉 지지되며, 제1 울림본체부는 현악기의 타측 판과 접촉 지지되며, 위치조정부는 탄성부재로서 울림전달부와 제1 울림본체부의 일측과 접촉 지지된다.
제1 울림본체부와 제2 울림본체부의 대응되는 일측은 나사산 및 나사골이 형성되어 서로 나사 결합되며, 제2 울림본체부와 제3 울림본체부의 대응되는 일측은 나사산 및 나사골이 형성되어 서로 나사 결합된다.
울림본체부는, 중앙영역의 지름이 양끝단의 지름보다 큰 볼록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울림본체부 또는 울림전달부는, 우레탄으로 형성되거나 아세탈로 형성되어 현을 통해 울리는 소리가 현악기의 상판 및 하판에 균형적으로 분배되도록 한다.
울림전달부는 원뿔 형상 또는 원기둥 형상으로서, 울림전달부의 첨단은 뾰족한 형상, 라운드 형상, 기 설정된 각을 가진 형상이다.
현악기용 음색 조절 장치는, 현악기의 사운드 홀의 인근에 위치하여 하이프랫과 로우프랫 간의 음색 균형을 유지한다.
울림전달부의 길이방향 이동에 따라 현악기의 상판과 하판의 사이 공간이 확장 또는 축소됨으로써 음색이 조절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통기타에 의하면, 울림통의 변형을 방지하여 음의 변화를 방지하고, 사용자(즉, 연주자)의 선택에 따라 울림통의 음색(음역)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연주자의 취향에 맞는 음색을 제공하고, 소비 선택의 폭을 확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통기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현악기용 음색 조절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현악기용 음색 조절 장치를 구성하는 접촉구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현악기용 음색 조절 장치를 구성하는 자동조절수단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현악기용 음색 조절 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현악기용 음색 조절 장치의 분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현악기용 음색 조절 장치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현악기용 음색 조절 장치의 분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현악기용 음색 조절 장치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현악기용 음색 조절 장치의 분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현악기용 음색 조절 장치의 사시도.
도 12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현악기용 음색 조절 장치의 분해도.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현악기용 음색 조절 장치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현악기용 음색 조절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현악기용 음색 조절 장치를 구성하는 접촉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현악기용 음색 조절 장치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이동부재(100); 및 상기 접촉 이동부재(100)를 신축이동시키는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접촉 이동부재(100)는 2분할된 분할 접촉구로 이루어지고, 단면이 원추 형상, 원추대 형상,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접촉 이동부재(100)는 원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첨단(101)(즉, 현악기의 상판 및 하판에 접촉되는 일단)이 라운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2분할된 분할 접촉구인 접촉 이동부재(100)가 상대적으로 신축가능하게 조절할 수 있는 방식이라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접촉 이동부재(100)가 스크류 이동 방식으로 이동되어 상대적으로 신장 및 축소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분할 접촉구(100)의 서로 대향하는 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결합구멍(110); 상기 결합구멍(110)에 형성되는 너트부(120); 상기 너트부(120)에 나사결합하는 이동스크류(130); 및 상기 이동스크류(130)에 고정 형성된 조절 노브(14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높이 조절 수단은 접촉 이동부재(100)를 현악기의 내측에 설치한 상태에서, 조절노브(140)를 회전시킴으로써 너트부(120)와 나사결합하는 이동스크류(130)의 회전을 통해 접촉 이동부재(100)는 신축하게 이동하게 되고, 이러한 접촉 이동부재(100)의 이동에 따라 현악기의 상판 및/또는 하판은 그 사이의 공간이 확장 또는 축소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높이조절수단을 자동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자동조절 구동수단을 더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간략히 설명하자면, 상기 높이 조절 수단은 조절노브(140)를 통하여 수동으로 조절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지만, 조절노브(140)를 기어치로 형성하고, 상기 기어치를 회전구동시키는 구동축을 갖는 정역회전가능한 모터 그리고 상기 모터의 정역 회전과 오프(off)를 조작하는 조작 스위치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자동 방식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현악기용 음색 조절 장치를 구성하는 자동조절수단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상기 자동조절수단은 상기한 조절노브(140)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유닛과, 상기 회전유닛을 조작하고, 현악기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조작 유닛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 구동유닛은 상기 조절노브(140)와 치합하는 구동기어(151); 상기 구동기어(151)와 결합하는 회전축(152)을 갖는 정역구동가능하고, 현악기의 내면에 장착되는 구동 모터(153); 상기 구동모터(153)에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부(미도시); 및 상기 구동모터(153)와 연결되고 현악기의 외부에 구비되는 조작스위치(154)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조절노브(140)는 기어치로 형성된다.
상기 구동 모터(153)는 하우징에 수용되고, 현악기의 내측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부(미도시)는 구동모터를 수용하는 하우징(박스) 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작 스위치(154)는 연주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현악기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으나, 조절 이후 현악기의 내부 공간에 구비시키거나, 사운드홀 측에 집게형 고정부재 등을 통해 탈착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동조절수단을 통해 음색 조절 장치를 구성하는 접촉 이동부재(100)는 자동으로 신축될 수 있어 용이한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현악기용 음색 조절 장치는 통상적으로 현악기가 나무로 이루어지므로, 현악기를 지지함으로써 바디의 변형, 특히 상판과 하판 간의 변형을 방지하고, 신축 조절을 통해 사운드홀을 통해 나오는 소리가 달라지도록 조절하게 된다. 즉, 이동 접촉부재의 조절을 통해 이동 접촉부재가 확장되는 방향으로 조절하는 경우, 소리가 좀더 뻗어나고 단단한 소리가 나서 핑거스타일에 적합하며, 축소시키는 방향으로 조절하는 경우에는 좀더 풍성한 소리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현악기용 음색 조절 장치는, 울림통의 변형을 방지하여 음의 변화를 방지함과 동시에 연주자의 선택에 따라 음색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액세서리와 같은 부가 장치로서 제공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현악기용 음색 조절 장치(200)는 울림본체부(210), 울림전달부(230) 및 위치조정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울림본체부(210)는 소정의 내부공간(212)가 형성된다. 이러한 내부공간(212)는 위치조정부(250)가 삽입되어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울림본체부(210)의 일단이 오픈되고, 울림전달부(230)의 위치가 일단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울림본체부(210)의 일단에는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울림전달부(230)가 임의적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탈방지부(2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탈방지부(211)의 지름은 내부공간(212)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울림본체부(210)의 타단은 개방되고, 위치조정부(250)를 지지할 수 있는 울림지지부(220)와 체결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울림본체부(210)의 타단은 울림지지부(220)와 체결되도록 돌출되면서 나사결합하는 스크류형상으로 형성되고, 울림지지부(220)는 울림본체부(210)의 타단과 체결되도록 오목하면서 나사결합하는 스크류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울림지지부(220)가 돌출되고, 울림본체부(210)의 타단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울림본체부(210)의 타단과 울림지지부(220)는 위치조정부(25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체결되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상관이 없을 것이다.
울림지지부(220)는 원뿔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울림지지부(220)가 원뿔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울림지지부(220)의 끝부분인 첨단은 최대한 울림을 확보하여 현악기의 상판과 하판에 균형적으로 소리를 전달하기 위해 뾰족한 형태, 라운드 형태 또는 동그랗게 원만한 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울림지지부(220)의 첨단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소리 특성에 따라 끝부분의 모양은 달라질 수 있다.
울림전달부(230)는 현악기의 상판 또는 하판에 접촉되면서 원뿔 형상, 원뿔대 형상,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울림전달부(230)가 원뿔 형상 또는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울림전달부(230)의 일단은 첨단으로 형성된다. 울림전달부(230)의 첨단은 최대한 울림을 확보하여 현악기의 상판과 하판에 균형적으로 소리를 전달하기 위해 뾰족한 형태, 뭉뚝한 라운드 형태 또는 동그랗게 원만한 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때 울림전달부(230)의 첨단은 소리 특성에 따라 끝부분의 모양은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울림전달부(230)의 첨단과 울림지지부(220)의 첨단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현악기의 상판과 하판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울림전달부(230)의 타단은 울림본체부(210)의 내부공간(212)에 배치되면서 울림본체부(210)로부터 임의적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탈방지턱(23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탈방지턱(231)의 지름은 울림전달부(230)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탈방지턱(231)의 지름은 울림본체부(210)의 내부공간(212)의 지름보다 작고, 이탈방지부(211)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울림전달부(230)의 지름은 이탈방지부(211)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울림전달부(230)가 울림본체부(210)의 일단에서 길이방향으로 용이하게 동작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울림본체부(210) 또는 울림전달부(230)는 각종 목재 및 플라스틱, 뼈재질, 터스크, 철 등의 다양한 자재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울림본체부(210) 또는 울림전달부(230)는 우레탄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우레탄에는 소리를 용이하게 전달시킬 수 있는 입자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현을 통하여 울리는 소리를 현악기의 상판과 하판에 고르게 분배해줄 수 있다.
게다가, 우레탄은 탄성에 대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우레탄의 탄성과 후술할 위치조정부(250)과 더불어 현악기의 상하판을 더욱 견고하게 밀어줄 수 있다.
또한, 울림본체부(210) 또는 울림전달부(230)는 아세탈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아세탈은 높은 결정성을 가진 고분자이기 때문에 기계적 강도가 크고 내마모성이 우수하다. 이에 따라, 단단하고 압력을 가해도 모양이 변하지 않아 현악기의 상하판을 더욱 견고하게 밀어줄 수 있다.
이와 같이, 울림본체부(210) 또는 울림전달부(230)가 우레탄 또는 아세탈을 포함하여 형성됨으로써, 소리의 밸런스, 현악기의 상하판 수축방지, 소리의 톤 변화 등을 더욱 개선시킬 수 있다.
*위치조정부(250)는 울림본체부(210)의 내부공간(212)에 삽입되어 울림전달부(230)의 위치가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위치조정부(250)는 탄성이 있는 물질을 포함하며, 탄성을 이용하여 울림전달부(230)의 위치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위치조정부(250)는 스프링 또는 용수철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위치조정부(250)는 탄성이 있는 물질을 포함하면서 울림전달부(230)의 위치를 울림본체부(210)에서 이동시키도록 동작하면 어떠한 형상 또는 소재라도 상관이 없다.
이와 같이, 위치조정부(250)가 탄성을 이용하여 현악기의 상판과 하판 사이를 밀어주면서 지탱함으로써, 기후에 의한 현악기의 상하판이 뒤틀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뿐만 아니라 현악기의 상하판의 소리 울림을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현악기용 음색 조절 장치(200)는 하이프랫의 뒷부분, 즉, 소리의 울림이 나가는 사운드홀 주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사운드홀은 도시되지 않았지만 현악기용 상판의 바디 중앙에 뻥 뚫려있는 구멍이다. 이와 같이 위치함으로써, 하이프랫과 로우프랫 간의 음색 균형을 용이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현악기용 음색 조절 장치(300)는 울림본체부(310), 울림전달부(330) 및 위치조정부(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현악기용 음색 조절 장치(3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는 제3 실시 예에 따른 현악기용 음색 조절 장치(2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울림본체부(310)는 소정의 내부공간(312a,312b)이 형성된다. 이러한 내부공간(312a,312b)은 위치조정부(350)가 삽입되어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울림본체부(310)의 양단이 개방되고, 제1 울림전달부(330a)의 위치가 일단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 울림전달부(330b)의 위치가가 타단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울림본체부(310)의 일단에는 길이방향으로 동작하는 제1 울림전달부(330a)가 임의적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제1 이탈방지부(311a)가 형성되고, 울림본체부(310)의 타단에는 길이방향으로 동작하는 제2 울림전달부(330b)가 임의적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제2 이탈방지부(311b)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이탈방지부(311a)의 지름과 제2 이탈방지부(311b)의 지름은 내부공간(312a,312b)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1 이탈방지부(311a)의 지름과 제2 이탈방지부(311b)의 지름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된다.
또한, 울림본체부(310)는 제1 울림전달부(330a)의 일부가 동작하는 제1 울림본체부(310a)와 제2 울림전달부(330b)의 일부가 동작하는 제2 울림본체부(310b)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울림본체부(310a)의 타단은 제2 울림본체부(310b)의 일단과 체결되도록 돌출되면서 나사결합하는 스크류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 울림본체부(310b)의 일단은 제1 울림본체부(310a)의 타단과 체결되도록 오목하면서 나사결합하는 스크류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울림본체부(310b)의 일단이 돌출되고, 제1 울림본체부(310a)의 타단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제1 울림본체부(310a)의 타단과 제2 울림본체부(310b)의 일단이 위치조정부(350)를 삽입하여 울림전달부(33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상관이 없을 것이다.
울림전달부(330)는 제1 울림전달부(330a)와 제2 울림전달부(33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울림전달부(330a)와 제2 울림전달부(330b)는 제3 실시 예에서 설명한 울림전달부(3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제1 울림전달부(330a)의 타단은 제1 울림본체부(310a)의 내부공간(312a,312b)에 배치되면서 제1 울림본체부(310a)로부터 임의적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제1 이탈방지턱(331a)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울림전달부(330b)의 일단은 제2 울림본체부(310b)의 내부공간(312a,312b)에 배치되면서 제2 울림본체부(310b)로부터 임의적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제2 이탈방지턱(331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이탈방지턱(331a)의 지름은 제1 울림전달부(330a)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1 이탈방지턱(331a)의 지름은 제1 울림본체부(310a)의 내부공간(312a,312b)의 지름보다 작고, 제1 이탈방지부(311a)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제1 울림전달부(330a)의 지름은 제1 이탈방지부(311a)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제1 울림전달부(330a)가 제1 울림본체부(310a)의 일단에서 길이방향으로 용이하게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이탈방지턱(331b)의 지름은 제1 이탈방지턱(331a)의 지름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제1 이탈방지턱(331a)을 통해 충분히 유추할 수 있어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위치조정부(350)가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위치조정부(350)가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 위치조정부(미도시)와 제2 위치조정부(미도시)로 나누어져, 제1 울림본체부(310a)의 내부공간(312a)에 제1 위치조정부(미도시)가 삽입되고, 제2 울림본체부(310b)의 내부공간(312b)에 제2 위치조정부(미도시)가 삽입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현악기용 음색 조절 장치(300)는 좌우가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현악기의 상하판의 소리 울림을 균형적으로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이프랫과 로우프랫 간의 균형을 더욱 용이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현악기용 음색 조절 장치(400)는 울림본체부(410), 울림전달부(430) 및 위치조정부(4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현악기용 음색 조절 장치(4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는 제3,4 실시 예에 따른 현악기용 음색 조절 장치(200,3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울림본체부(410)는 소정의 내부공간(412a,412b)이 형성되면서 외부둘레면이 밖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즉, 울림본체부(410)는 중앙영역의 지름이 양끝단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러한 내부공간(412a,412b)은 위치조정부(450)가 삽입되어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울림본체부(410)는 외부둘레면이 볼록하게 형성됨으로써, 현을 통하여 울리는 소리와 닿는 영역이 넓어져 더 많은 소리를 진동시킬 수 있어 울림통의 음색(음역)을 더욱 풍부하게 할 수 있다.
게다가, 현악기의 상하판에서 가해지는 압력을 볼록하게 형성되는 울림본체부(410)는 외부둘레면으로 분산시킬 수 있기 때문에 현악기의 상하판을 더욱 견고하게 지탱시킬 수 있다.
이러한 울림본체부(410)는 제1 울림전달부(430a)의 일부가 동작하는 제1 울림본체부(410a)와 제2 울림전달부(430b)의 일부가 동작하는 제2 울림본체부(410b)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울림본체부(410a)의 일단이 오픈되면서, 제1 울림본체부(410a)의 일단에는 제1 울림전달부(430a)가 길이방향으로 동작하고, 제1 울림본체부(410a)의 타단은 제2 울림본체부(410b)의 일단과 체결된다. 제2 울림본체부(410b)의 타단이 오픈되면서 제2 울림본체부(410b)의 타단에는 제2 울림전달부(430b)가 길이방향으로 동작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개방되는 제1 울림본체부(410a)의 일단의 지름과 제2 울림본체부(410b)의 타단의 지름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제1 울림본체부(410a)의 타단은 제2 울림본체부(410b)의 일단과 체결되도록 돌출되면서 제2 울림본체부(410b)의 일단과 나사결합하는 스크류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 울림본체부(410b)의 일단은 제1 울림본체부(410a)의 타단과 체결되도록 오목하면서 나사결합하도록 스크류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울림본체부(410b)의 일단이 돌출되고, 제1 울림본체부(410a)의 타단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제1 울림본체부(410a)의 타단과 제2 울림본체부(410b)의 일단이 위치조정부(450)를 삽입하여 울림전달부(43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상관이 없을 것이다.
또한, 제1 울림전달부(430a)와 제2 울림전달부(430b)는 원뿔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제1 울림본체부(410a)의 일단의 지름이 제1 울림전달부(430a)의 타단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된다. 즉, 제1 울림전달부(430a)의 일단은 제1 울림본체부(410a)의 일단을 관통하나 제1 울림전달부(430a)의 타단은 제1 울림본체부(410a)의 일단을 관통하지 못하고 제1 울림본체부(410a)의 내부공간(312a,312b)에 배치된다.
이때 제1 울림본체부(410a)의 일단은 제1 울림전달부(430a)가 용이하게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도록 일부(411a)가 분리될 수 있다. 즉, 제1 울림본체부(410a)의 일단의 일부(411a)를 분리하고, 제1 울림전달부(430a)를 삽입한 후 분리된 제1 울림본체부(410a)의 일단의 일부(411a)가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제1 울림전달부(430a)를 제1 울림본체부(410a)의 일단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울림전달부(430a)를 제1 울림본체부(410a)의 일단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무관할 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되기 때문에 제3,4 실시 예에서 도시된 이탈방지부와 이탈방지턱이 형성되지 않더라도 제1 울림전달부(430a)가 제1 울림본체부(410a)로부터 임의적으로 이탈되지 않는다.
제2 울림전달부(430b)와 제2 울림본체부(410b) 간의 관계는 제1 울림전달부(430a)와 제1 울림본체부(410a) 간의 관계를 통해 충분히 유추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제1 울림본체부(410a) 및 제2 울림본체부(410b)는 각종 목재 및 플라스틱, 뼈재질, 터스크, 철 등의 다양한 자재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울림본체부(410a) 및 제2 울림본체부(410b)는 우레탄 또는 아세탈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현악기용 음색 조절 장치(400)는 좌우가 대칭적으로 형성되면서 중앙영역이 양단보다 볼록하게 형성되어 현악기의 상하판의 소리 울림을 더욱 균형적으로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이프랫과 로우프랫 간의 균형을 더욱 효과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현악기용 음색 조절 장치(500)는 울림본체부(510), 울림전달부(530) 및 위치조정부(5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현악기용 음색 조절 장치(5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는 제3,4,5 실시 예에 따른 현악기용 음색 조절 장치(200,300,4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울림본체부(510)는 소정의 내부공간(513a,513b)이 형성되면서 외부둘레면이 밖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즉, 울림본체부(510)는 중앙영역의 지름이 양끝단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러한 내부공간(513a,513b)은 위치조정부(550)가 삽입되어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울림본체부(510)의 일단이 오픈되고, 울림전달부(530)의 위치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울림뚜껑부(520)가 형성된다.
이러한 울림뚜껑부(520)는 일단이 울림전달부(530)가 길이방향으로 동작하도록 오픈되고, 타단은 울림본체부(510)의 일단과 체결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울림뚜껑부(520)의 일단의 지름은 울림전달부(530)의 타단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된다. 즉, 울림전달부(530)의 일단은 울림뚜껑부(520)의 일단을 관통하나 울림전달부(530)의 타단은 울림뚜껑부(520)의 일단을 관통하지 못하고 울림뚜껑부(520)의 내부공간(513a,513b)에 배치된다.
이때 울림뚜껑부(520)는 울림전달부(530)가 용이하게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도록 일부(521)가 분리될 수 있다. 즉, 울림뚜껑부(520)의 일부(521)를 분리하고, 울림전달부(530)를 삽입한 후 분리된 울림뚜껑부(520)의 일부(521)가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울림전달부(530)를 울림뚜껑부(520)의 일단에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울림전달부(530)를 울림뚜껑부(520)의 일단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무관할 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되기 때문에 제3,4 실시 예에서 도시된 이탈방지부와 이탈방지턱이 형성되지 않더라도 울림전달부(530)가 울림뚜껑부(520)로부터 임의적으로 이탈되지 않는다.
울림뚜껑부(520)의 타단은 울림본체부(510)의 일단과 체결되도록 돌출되면서 나사결합하는 스크류형상으로 형성되고, 울림본체부(510)의 일단은 울림뚜껑부(520)의 타단과 체결되도록 오목하면서 나사결합하도록 스크류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울림본체부(510)의 일단이 돌출되고, 울림뚜껑부(520)의 타단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울림본체부(510)의 타단은 원뿔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울림본체부(510)의 타단이 원뿔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울림본체부(510)의 타단은 첨단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최대한 울림을 확보하여 현악기의 상판과 하판에 균형적으로 소리를 전달하기 위해 뾰족한 형태, 뭉뚝한 형태 또는 동그랗게 원만한 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울림본체부(510)의 첨단은 소리 특성에 따라 끝부분의 모양은 달라질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다양한 실시 예의 현악기용 음색 조절 장치는 현악기의 상판과 하판을 이어주는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저음과 고음 및 하이포지션과 로우포지션간의 소리 밸런스를 잘 맞춰준다.
또한, 본 발명의 현악기용 음색 조절 장치는 길이가 길어지면 지탱하는 긴장감이 길어지면서 다소 단단한 소리가 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주자 또는 사용자의 각자 취향에 맞춰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접촉 이동부재
110: 결합구멍
120: 너트부
130: 이동스크류
140: 조절 노브
151: 구동기어
152: 회전축
153: 구동 모터
154: 조작스위치
210, 310, 410, 510 : 울림본체부
310a : 제1 울림본체부
310b : 제2 울림본체부
211, 311 : 이탈방지부
311a : 제1 이탈방지부
311b : 제2 이탈방지부
213, 313a, 313b, 413a, 413b, 513a, 513b : 내부공간
230, 330, 430, 530 : 울림전달부
330a : 제1 울림전달부
330b : 제2 울림전달부
331a, 331b : 이탈방지턱
250, 350, 450, 550 : 위치조정부
520 : 울림뚜껑부(울림본체부)

Claims (14)

  1. 현악기의 내측에 장착되는 현악기용 음색 조절 장치에 있어서,
    울림본체부;
    상기 울림본체부에 삽입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현악기의 상판 및 하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판을 접촉 지지하는 울림전달부; 및
    상기 울림본체부의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울림전달부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위치조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울림본체부와 결합되어 상기 현악기의 상판 및 하판 중 어느 하나의 판을 접촉 지지하는 울림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울림본체부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기 울림본체부의 일측 내부공간에 상기 울림전달부가 삽입되며, 상기 울림전달부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울림전달부가 상기 현악기의 일측 판과 접촉 지지되며,
    상기 울림본체부의 타측은 상기 울림지지부와 결합되며, 상기 울림지지부는 상기 현악기의 타측 판과 접촉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음색 조절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정부는 탄성부재로서 상기 울림전달부와 상기 울림지지부의 일측과 접촉 지지되며,
    상기 울림본체부의 내부공간 일측은 상기 울림전달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울림전달부의 일측은 상기 울림본체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이 형성되며,
    상기 이탈방지부의 직경은 상기 내부공간의 직경보다 작으며,
    상기 이탈방지턱의 직경은 상기 내부공간의 직경보다 작으며, 상기 이탈방지부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음색 조절 장치.
  4. 현악기의 내측에 장착되는 현악기용 음색 조절 장치에 있어서,
    울림본체부;
    상기 울림본체부에 삽입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현악기의 상판 및 하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판을 접촉 지지하는 울림전달부; 및
    상기 울림본체부의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울림전달부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위치조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울림본체부는 제1 울림본체부와 제2 울림본체부로 형성되며,
    상기 울림전달부는 제1 울림전달부와 제2 울림전달부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울림본체부의 내부공간에 상기 제1 울림전달부가 삽입되며, 상기 제1 울림전달부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 울림전달부가 상기 현악기의 일측 판과 접촉 지지되며,
    상기 제2 울림본체부의 내부공간에 상기 제2 울림전달부가 삽입되며, 상기 제2 울림전달부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2 울림전달부가 상기 현악기의 타측 판과 접촉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음색 조절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정부는 탄성부재로서 상기 제1 울림전달부와 상기 제2 울림전달부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1 울림본체부의 내부공간 일측은 상기 제1 울림전달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이탈방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울림본체부의 내부공간 일측은 상기 제2 울림전달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이탈방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울림전달부의 일측은 상기 제1 울림본체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이탈방지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울림전달부의 일측은 상기 제2 울림본체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이탈방지턱이 형성되며,
    상기 제1,2 이탈방지부의 직경은 상기 내부공간의 직경보다 작으며,
    상기 제1,2 이탈방지턱의 직경은 상기 내부공간의 직경보다 작으며, 상기 제1,2 이탈방지부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음색 조절 장치.
  6. 현악기의 내측에 장착되는 현악기용 음색 조절 장치에 있어서,
    울림본체부;
    상기 울림본체부에 삽입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현악기의 상판 및 하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판을 접촉 지지하는 울림전달부; 및
    상기 울림본체부의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울림전달부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위치조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울림본체부는 제1,2,3,4 울림본체부로 형성되며,
    상기 울림전달부는 제1 울림전달부와 제2 울림전달부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울림전달부는 상기 제1 울림본체부의 내부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제2 울림본체부에 의해 이탈방지되며, 상기 제1 울림전달부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 울림전달부가 상기 현악기의 일측 판과 접촉 지지되며,
    상기 제2 울림전달부는 상기 제3 울림본체부의 내부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제4 울림본체부에 의해 이탈방지되며, 상기 제2 울림전달부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2 울림전달부가 상기 현악기의 타측 판과 접촉 지지되며,
    상기 위치조정부는 탄성부재로서 상기 제1 울림전달부와 상기 제2 울림전달부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음색 조절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울림본체부와 상기 제2 울림본체부 및 상기 제3 울림본체부와 상기 제4 울림본체부는 서로 대응되는 나사산 및 나사골이 형성되어 서로 나사 결합되며,
    상기 제1 울림본체부와 상기 제3 울림본체부의 대응되는 일측은 나사산 및 나사골이 형성되어 서로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음색 조절 장치.
  8. 현악기의 내측에 장착되는 현악기용 음색 조절 장치에 있어서,
    울림본체부;
    상기 울림본체부에 삽입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현악기의 상판 및 하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판을 접촉 지지하는 울림전달부; 및
    상기 울림본체부의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울림전달부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위치조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울림본체부는 제1,2,3 울림본체부로 형성되며,
    상기 울림전달부는 중앙에 구비된 상기 제2 울림본체부의 내부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제3 울림본체부에 의해 이탈방지되며, 상기 울림전달부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울림전달부가 상기 현악기의 일측 판과 접촉 지지되며,
    상기 제1 울림본체부는 상기 현악기의 타측 판과 접촉 지지되며,
    상기 위치조정부는 탄성부재로서 상기 울림전달부와 상기 제1 울림본체부의 일측과 접촉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음색 조절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울림본체부와 상기 제2 울림본체부의 대응되는 일측은 나사산 및 나사골이 형성되어 서로 나사 결합되며,
    상기 제2 울림본체부와 상기 제3 울림본체부의 대응되는 일측은 나사산 및 나사골이 형성되어 서로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음색 조절 장치.
  10. 제 7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울림본체부는,
    중앙영역의 지름이 양끝단의 지름보다 큰 볼록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음색 조절 장치.
  11. 제1항, 제4항, 제6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울림본체부 또는 상기 울림전달부는,
    우레탄으로 형성되거나 아세탈로 형성되어 현을 통해 울리는 소리가 상기 현악기의 상판 및 하판에 균형적으로 분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음색 조절 장치.
  12. 제1항, 제4항, 제6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울림전달부는 원뿔 형상 또는 원기둥 형상으로서,
    상기 울림전달부의 첨단은 뾰족한 형상, 라운드 형상, 기 설정된 각을 가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음색 조절 장치.
  13. 제1항, 제4항, 제6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현악기용 음색 조절 장치는,
    상기 현악기의 사운드 홀의 인근에 위치하여 하이프랫과 로우프랫 간의 음색 균형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음색 조절 장치.
  14. 제1항, 제4항, 제6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울림전달부의 길이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현악기의 상판과 하판의 사이 공간이 확장 또는 축소됨으로써 음색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음색 조절 장치.
KR1020150068642A 2013-12-30 2015-05-18 현악기용 음색 조절 장치 KR1016474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59444 2013-12-30
KR1020130159444 2013-12-30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8809A Division KR101559153B1 (ko) 2013-12-19 2014-07-15 현악기용 음색 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9505A KR20150079505A (ko) 2015-07-08
KR101647449B1 true KR101647449B1 (ko) 2016-08-10

Family

ID=5379238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8809A KR101559153B1 (ko) 2013-12-19 2014-07-15 현악기용 음색 조절 장치
KR1020150068642A KR101647449B1 (ko) 2013-12-30 2015-05-18 현악기용 음색 조절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8809A KR101559153B1 (ko) 2013-12-19 2014-07-15 현악기용 음색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747873B2 (ko)
JP (1) JP6307614B2 (ko)
KR (2) KR101559153B1 (ko)
CN (1) CN105830146B (ko)
PH (1) PH12016501176A1 (ko)
WO (1) WO201509374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88328A1 (ko) * 2017-11-06 2019-05-09 주식회사 고퍼우드 통기타 및 음색 조절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591688C1 (ru) * 2015-03-02 2016-07-20 Владимир Алексеевич ДЁМИН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влечения звука из струны струнного инструмента
CN209183255U (zh) * 2018-10-22 2019-07-30 大钟好提琴顾问有限公司 调整件及应用其的音柱
CN109887477B (zh) * 2019-01-23 2020-10-30 河南职业技术学院 古筝琴乐器音腔阻音量调节机构
USD963740S1 (en) * 2019-03-27 2022-09-13 Jan Tomsky Guitar
US11094297B2 (en) * 2019-09-03 2021-08-17 Peter Winzer Electrically enabled sound post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O2022039757A1 (en) * 2020-08-18 2022-02-24 Peter Winzer Electrically enabled sound post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051375Y (zh) * 2007-05-15 2008-04-23 高磊 吉它类改良共鸣箱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6038C (de) * 1926-10-23 Gotthold Schmid Stimme fuer Streichinstrumente
DE550734C (de) * 1931-08-28 1932-05-20 Oskar Wieczorek Streichinstrument
US2145237A (en) * 1937-09-07 1939-01-31 Eberhart George Sound post
US2162595A (en) * 1938-08-11 1939-06-13 Virzi Giuseppe Musical string instrument
US3974730A (en) * 1975-08-08 1976-08-17 Adams Jr Andrew Borden Guitar strut assembly
US4464970A (en) * 1982-10-18 1984-08-14 Matthew Mischakoff Guitar bridge system
JPS60118199U (ja) * 1984-01-17 1985-08-09 田山 英則 ギタ−
FR2652813B1 (fr) * 1989-10-09 1993-05-28 Solvay Procede pour reduire le croutage des reacteurs en cours de polymerisation du fluorure de vinylidene dans un milieu aqueux de mise en suspension.
WO1992010829A1 (en) * 1990-12-13 1992-06-25 David Burnet Sugden Stringed musical instrument
JP3307674B2 (ja) * 1991-11-01 2002-07-24 正一 伊藤 バイオリン
CN2111921U (zh) * 1991-09-18 1992-08-05 李战争 自行车前叉减震器
US5208408A (en) * 1991-10-31 1993-05-04 Cave James G Sound post for musical instruments
US5689074A (en) * 1996-03-07 1997-11-18 Penridge; Stanley Musical instrument
KR100348455B1 (ko) * 2000-04-25 2002-08-09 조항범 전기기타 및 그 제조방법
US6646190B2 (en) * 2002-01-01 2003-11-11 Kevin Brown Acoustic stringed instrument with spring supported top
US20050072289A1 (en) * 2003-10-01 2005-04-07 Butler Kelly M. String retainer for musical instruments
US7074992B2 (en) 2004-09-16 2006-07-11 Schmidt Eric T Soundhole insert for a stringed instrument
CN2836158Y (zh) * 2005-10-14 2006-11-08 黄丽娜 声音放大共鸣装置
CN100560266C (zh) * 2007-11-30 2009-11-18 重庆大学 摩擦焊接摩托车减震器储油筒内飞边的控制装置及方法
CN201280191Y (zh) * 2008-08-22 2009-07-29 王胜 具有内缩折叠结构的自行车把柱减震器
KR101245381B1 (ko) * 2009-12-04 2013-03-19 주식회사 제이원뮤직 어쿠스틱 전자 겸용 바이올린족 현악기
DE202010005797U1 (de) * 2010-04-20 2010-07-29 Kröner, Andreas Gitarrenstütze
KR200463616Y1 (ko) 2010-07-06 2012-11-14 이광범 통기타용 증폭장치
US9129582B2 (en) * 2011-12-01 2015-09-08 Karol Siwko Master sound post gauge
JP3185007U (ja) 2013-05-16 2013-07-25 合同会社 モンティクリエイティブ ギターのヘッドストックの装飾構造
CN203297503U (zh) * 2013-05-22 2013-11-20 宁波南方减震器制造有限公司 筒体式弹簧减震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051375Y (zh) * 2007-05-15 2008-04-23 高磊 吉它类改良共鸣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88328A1 (ko) * 2017-11-06 2019-05-09 주식회사 고퍼우드 통기타 및 음색 조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9376A (ko) 2015-07-08
WO2015093741A1 (en) 2015-06-25
US9747873B2 (en) 2017-08-29
US20160314767A1 (en) 2016-10-27
KR20150079505A (ko) 2015-07-08
CN105830146A (zh) 2016-08-03
KR101559153B1 (ko) 2015-10-13
JP2017503194A (ja) 2017-01-26
JP6307614B2 (ja) 2018-04-04
PH12016501176A1 (en) 2016-08-15
CN105830146B (zh) 2020-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7449B1 (ko) 현악기용 음색 조절 장치
JP4064985B2 (ja) 弦楽器用ナット及び弦楽器
US6437226B2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tuning a stringed instrument
US10304435B2 (en) Musical instrument and acoustic transducer device
JP2006163382A (ja) リガチャ
EP3392874B1 (en) Pickup apparatus for musical instrument
JP5296616B2 (ja) 打楽器の音調整装置
US20220189439A1 (en) Illuminating bows for playing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US4271745A (en) Percussion instruments
KR101572762B1 (ko) 관악기용 리가추어
US20080276787A1 (en) Device for Automatically Tuning a String of a Stringed Instrument
US7482519B2 (en) Stringed musical instrument
JP2021503622A (ja) ギター
US9466276B1 (en) Stringed musical instrument having a resonator assembly
KR102006155B1 (ko) 현악기
JP6893620B2 (ja) 振動発音式楽器
US20220310041A1 (en) Musical instrument and systems and methods including same
KR101704669B1 (ko) 중량감 부가부재가 구비된 기능성 통기타
KR20150070082A (ko) 기능성 통기타
US20180301127A1 (en) Device and method for increasing reverb in snare drum
GB2341966A (en) Bagpipe reed
GB2341968A (en) Bagpipe reed
JP2006106225A (ja) スネアドラムのスナッピーのコントロール手段
JP2018151555A (ja) 弦楽器用の駒、及び、弦楽器
JP2006017944A (ja) 弦楽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