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0082A - 기능성 통기타 - Google Patents

기능성 통기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0082A
KR20150070082A KR1020150080753A KR20150080753A KR20150070082A KR 20150070082 A KR20150070082 A KR 20150070082A KR 1020150080753 A KR1020150080753 A KR 1020150080753A KR 20150080753 A KR20150080753 A KR 20150080753A KR 20150070082 A KR20150070082 A KR 201500700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ead
sound
upper plat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0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고퍼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고퍼우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고퍼우드
Publication of KR20150070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00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00General design of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 G10D1/04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 G10D1/05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with fret boards or fingerboards
    • G10D1/08Guita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3/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 G10H3/1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 G10H3/14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 G10H3/18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using a string, e.g. electric guitar

Abstract

본 발명은 울림통의 변형을 방지하여 음의 변화를 방지함과 동시에 소리 전달이 더욱 증대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음역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고, 연주에 편안한 형태를 갖도록 하며, 특정 헤드부의 구성을 통해 줄의 장력에 의한 넥 부분의 휨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능성 통기타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판과 하판 그리고 상판과 하판을 잇는 측판을 구성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일측에 고정되는 네크(Neck); 상기 네크의 단부에 구비되는 헤드; 및 상기 바디의 상판과 하판 사이를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상판과 하판 간을 지지하도록 상기 바디의 상판과 하판 사이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사운드포스트 부재를 포함하는 기능성 통기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기능성 통기타{FUNCTIONAL FOLK GUITAR}
본 발명은 통기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울림통의 변형을 방지하여 음의 변화를 방지함과 동시에 소리 전달이 더욱 증대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음역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고, 연주에 편안한 형태를 갖도록 하며, 특정 헤드부의 구성을 통해 줄의 장력에 의한 넥 부분의 휨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능성 통기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타는 현악기의 일종으로 줄을 튕기면서 음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다른 악기에 비해 다양한 장르의 음악에 적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기타는 첼로나, 바이올린, 등과 같은 다른 현악기에 비하여 그 접근성이 용이하여 다른 현악기들에 비하여 비교적 널리 보급되어 있다.
이러한 기타는 크게 통기타, 어쿠스틱기타, 베이스기타, 클래식기타, 전기기타 등 그 종류 또한 다양하다.
도 1은 일반적인 통기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통기타는 크게 현(줄)에 의한 울림에 의하여 공명음이 발생되는 바디(10)와, 이 바디(10)의 일측에 고정되어 현을 이용하여 음계 및 화음 따른 코드를 잡을 수 있도록 현이 배치되는 네크(Neck)(20)와, 현에 대한 음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네크의 단부에 접합되는 헤드(30)로 구성된다.
또한, 통기타의 음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바디(10)는 그 특성상 가문비나무, 향나무 및 삼나무 등과 같이 곧은 결의 연질 목재에 의해 제작된다. 이러한 바디는 땅콩 형태의 측판(11)과, 이 측판의 상, 하부에 각각 부착되는 상판(12) 및 하판(13)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기타는 많은 생산 공정을 거치면서 제작되며, 최근에는 기계를 이용한 가공이 점차 증가되면서 생산공정의 많은 부분에 있어 기계화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기타는 연주시 줄의 장력과 소리울림의 공기흐름으로 통의 변형이 일어나며, 또한 계절이나 주위 환경의 영향(예를 들면, 습도)으로 인하여 상판과 하판의 변형이 발생하고, 이러한 변형으로 인해 원래의 소리가 바뀌는 현상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기타는 측판과 상판을 잇는 모서리 부분이 각지게 형성되기 때문에, 기타를 감싸 안을 때 불편하고 자연스러운 자세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특히 모서리부에 접촉하게 되는 신체 부위(대체로 팔뚝 안쪽)가 각진 모서리로 인해 눌림이나 고통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공보 제20-2011-0005392호(2011.06.01)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울림통의 변형을 방지하여 음의 변화를 방지함과 동시에 소리의 음역 폭을 조절할 수 있고, 연주에 편안한 형태를 갖도록 하며, 줄의 장력에 의한 넥 부분의 휨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능성 통기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선택 및 취향에 따라 음색(음역)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 통기타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상판과 하판 그리고 상판과 하판을 잇는 측판을 구성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일측에 고정되는 네크(Neck); 상기 네크의 단부에 구비되는 헤드; 및 상기 바디의 상판과 하판 사이를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상판과 하판 간을 지지하도록 상기 바디의 상판과 하판 사이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사운드포스트 부재를 포함하는 기능성 통기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측판과 상판이 연결되는 모서리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포스트 부재는 상판과 하판 간의 상대적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거리조절 가능한 사운드포스트로 구성되며, 상기 사운드포스트 부재는 상기 상판과 하판 중 하나에 일단이 고정되고 내면에 미세 나사산이 형성된 너트 폴; 상기 너트 폴과 나사결합 가능하고, 일단은 상기 상판과 하판 중 다른 하나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길이조절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 볼트의 머리부는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노출되는 길이조절 볼트의 머리부를 커버하게 결합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 볼트의 헤드 또는 상기 길이조절 볼트가 위치되는 상판 또는 하판의 길이조절볼트의 헤드의 주변에는 간격 조절을 위한 회전 정도를 가늠하거나 결정할 수 있는 눈금계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포스트 부재는 일단이 상판과 하판에 각각 접촉하는 2분할된 분할 접촉구; 및 상기 분할 접촉구의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분할 접촉구를 신축시키는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할 접촉구는 원추, 원추대, 원기둥 형태 중 하나로 형성되고,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분할 접촉구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결합구멍과, 상기 결합구멍에 형성되는 암나사부와,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결합하는 이동스크류, 및 상기 이동스크류의 중앙부에 고정 형성된 조절 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할 접촉구는 첨단이 라운드진 원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첨단이 접촉하는 상판과 하판에는 라운드진 요홈이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분할 접촉구는 첨단이 라운드진 원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상판과 하판 내면에는 라운드진 단면 형태를 갖는 보강 접촉대가 형성되며, 상기 보강 접촉대에는 라운드진 요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절노브는 기어치로 형성되고, 상기 조절노브를 회전구동시키는 구동축을 갖는 정역회전가능한 모터와, 상기 모터의 정역 회전과 오프(off)를 조작하는 조작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헤드에는 헤드의 무게를 증가시키기 위한 중량감 부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중량감 부가부재는 상기 헤드에 대응하는 형태의 금속류의 판형 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판형 부재에는 로고나 엠블럼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통기타에 의하면, 울림통의 변형을 방지하여 음의 변화를 방지하고 소리 전달의 증대를 도모할 수 있고, 사용자(즉, 연주자)의 선택에 따라 울림통의 음색(음역)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연주자의 취향에 맞는 음색을 제공하고, 소비 선택의 폭을 확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연주자가 연주에 편안한 형태를 갖도록 하는 형태를 구비하도록 하고, 헤드부에 엠블럼 등을 구비하여 중량감을 증가시킴으로써 줄의 장력에 의한 넥 부분의 휨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통기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통기타의 울림통 부분의 일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통기타를 구성하는 제1 실시 예의 간격 조절 사운드포스트 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와 일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통기타를 구성하는 제2 실시 예의 간격 조절 사운드포스트 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의 간격 조절 사운드포스트 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의 간격 조절 사운드포스트 부재를 구성하는 접촉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통기타를 구성하는 넥 부분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실시예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한편,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통기타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통기타의 울림통 부분의 일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통기타를 구성하는 제1 실시 예의 간격 조절 사운드포스트 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와 일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통기타는, 현(줄)에 의한 울림에 의하여 공명음을 발생시키며, 상판(110)과 하판(120) 그리고 상판(110)과 하판(120)을 연결하는 측판(130)을 구성되는 바디(100); 상기 바디(100)의 일측에 고정되어 현을 이용하여 음계 및 화음 따른 코드를 잡을 수 있도록 현이 배치되는 네크(Neck)(200)(도 7 참조); 현에 대한 음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네크의 단부에 접합되는 헤드(300)(도 7 참조); 및 상기 바디(100)의 상판(110)과 하판(120) 사이를 지지하도록 상기 바디(100)의 상판(110)과 하판(120) 사이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사운드포스트 부재(400)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100)는 기본적으로 땅콩 형태의 측판(130)과, 이 측판의 상면에 부착되는 상판(110) 및 측판의 하면에 부착되는 하판(12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바디(100)에 있어서, 상기 측판(130)과 상판(110)이 연결되는 모서리부(1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연주자(특히, 초보자)는 신체 부위와 접촉하는 바디의 모서리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됨으로써 용이하게 감싸 안을 수 있고, 또한 연주 시에도 편안한 자세에서 연주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바디(100)는 예를 들면 가문비나무, 향나무 및 삼나무 등과 같이 곧은 결의 연질 목재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네트 및 헤드(300)는 통상적인 재질과 형상을 채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운드포스트 부재(400)는 바디(100)의 상판(110)과 하판(120) 사이 공간에 위치되어 상판(110)과 하판(120) 사이의 공간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사운드포스트 부재(400)는 상판(110)과 하판(120) 사이를 지지함과 동시에 이들 상판(110)과 하판(120) 간의 상대적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운드포스트 부재(400)는 상판(110)과 하판(120) 중 하나에 일단이 고정되고 내면에 미세 나사산이 형성된 장방형 너트 폴(longitudial nut pole)(410)과, 상기 너트 폴(410)과 나사결합되고, 일단은 상판(110)과 하판(120) 중 다른 하나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길이조절 볼트(4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간격조절 사운드포스트 부재(400)의 길이조절은, 길이조절 볼트(420)를 특수한 전용 조절 기구를 통해 회전시킴으로써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사운드포스트 부재(400)의 길이조절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조절 볼트(420)의 머리가 상판이나 하판 중 어느 하나의 외면으로 노출되게 구비되고, 외부로 노출된 길이조절 볼트(420)의 머리를 미세하게 회전시킴으로써 상판과 하판 간의 간격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길이조절 볼트(420)의 머리는 육각 머리 구성으로 구성되고, 이 경우 육각 렌치를 이용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길이조절 볼트(420)가 설치되는 상판(110)과 하판(120) 중에는 길이조절 볼트(420)가 외측으로 노출되기 위한 노출 구멍이 형성되고, 이 경우 통기타의 미관을 고려하여 상기 길이조절 볼트(420)의 머리를 덮어 커버할 수 있는 커버부재(430)(도 3 참조)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길이조절 볼트(420)의 헤드 또는 길이조절 볼트(420)가 위치되는 상판과 하판 중 해당 구멍 주변에는 간격 조절을 위한 회전 정도를 가늠하거나 결정할 수 있도록 미세한 눈금계(4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길이조절 볼트(420)의 헤드가 노출되는 대상 판은 하판인 것이 미관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사운드포스트 부재(400)는 사용자의 선택 또는 연주자 자신만이 갖고 있는 소리의 특성과 음색을 유지조절 할 수 있으며, 바디(100)에 변형에 의해 음색이 변화가 발생하더라도 사운드포스트 부재(400)를 통해 간격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의 사운드포스트 부재(400)에 대하여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통기타를 구성하는 제2 실시 예의 간격 조절 사운드포스트 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의 간격 조절 사운드포스트 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의 간격 조절 사운드포스트 부재를 구성하는 접촉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 예에 따른 사운드포스트 부재(400)는 일단이 상판(110)과 하판(120)에 각각 접촉하는 2분할된 분할 접촉구(460); 및 상기 분할 접촉구(460)의 타단에 구비되는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분할 접촉구(460)는 각각 원추, 원추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원추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그 일단은 라운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할 접촉구(460)가 라운드진 형태의 첨단을 갖는 원추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이 라운드진 첨단이 접촉하는 상판(110)과 하판(120) 각각에는 보강 접촉대(140)가 형성된다.
상기 보강 접촉대(140)는 라운드지게 돌출되며, 상판과 하판을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종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보강띠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보강 접촉대(140)에는 상기 라운드진 첨단이 안정적으로 위치되고, 또한 사용자의 위치 선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라운드진 요홈(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보강 접촉대(140)가 생략되는 경우에는 상기 라운드진 첨단이 접촉하는 상판(110)과 하판(120)의 내면 각각에 라운드진 요홈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분할 접촉구(460)가 상대적으로 신축가능하게 조절할 수 있는 방식이라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한 것으로, 예를 들어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분할 접촉구(460)가 스크류 이동 방식으로 이동되어 상대적으로 신장 및 축소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분할 접촉구(460)의 각 타단부에 형성되는 결합구멍(461)과, 상기 결합구멍(461)에 형성되는 암나사부(462)와, 상기 암나사부(462)에 나사결합하는 이동스크류(471)와, 상기 이동스크류(471)의 중앙부에 고정 형성된 조절 노브(472)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제2 실시 예의 사운드포스트 부재(400)는 조절노브(472)를 회전시킴으로써 암나사부(462)와 나사결합하는 이동스크류(471)의 회전을 통해 분할 접촉구(460)는 신축하게 된다.
제2 실시 예에서 상기 조절노브(472)를 통하여 수동으로 조절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지만, 조절노브(472)를 기어치로 형성하고, 상기 기어치를 회전구동시키는 구동축을 갖는 정역회전가능한 모터 그리고 상기 모터의 정역 회전과 오프(off)를 조작하는 조작 스위치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자동 방식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운드포스트 부재(400)를 구비함으로써 나무로 이루어지는 바디(100)의 변형, 특히 상판(110)과 하판(120) 간의 변형을 방지하고, 신축 조절을 통해 사운드홀을 통해 나오는 소리가 달라지도록 조절하게 된다. 즉, 사운드포스트 부재(400)를 통해 확장되는 방향(사운드포스트가 늘어나는 방향)으로 조절하는 경우, 소리가 좀더 뻗어나고 단단한 소리가 나서 핑거스타일에 적합하며, 사운드포스트 부재(400)를 축소시키는 방향(사운드포스트가 줄어드는 방향)으로 조절하는 경우에는 좀더 풍성한 소리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운드포스트 부재의 구비를 통해 변형 방지 및 소리 전달의 증대와 동시에, 울림통(바디)의 울림을 더욱 확보할 수 있도록 헤드 반대 측의 바디의 아치형부의 곡률을 1만 R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울림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판의 플랫의 높이과 바디 측의 새들의 돌출 높이를 제품의 사양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통기타를 구성하는 넥 부분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헤드(300)에는 그 헤드 부분에 무게감을 주는 중량감 부가부재(5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중량감 부가부재(500)는 금속류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헤드에 대응하는 형태의 판형 부재로 형성된다. 상기 중량감 부가부재(500)에는 로고나 엠블럼이 부착되어 미적인 효과뿐만 아니라 악기 제작사의 광고 효과도 부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중량감 부가부재(500)에 의해 기타의 헤드(300)에 무게감이 부여됨으로써 줄(현)의 장력에 의해 넥이 휘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통기타는, 울림통의 변형을 방지하여 음의 변화를 방지함과 동시에 연주자의 선택에 따라 음색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고, 연주에 편안한 형태를 갖도록 하며, 줄의 장력에 의한 넥 부분의 휨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통기타에 대하여 설명하고 도면에 도시하였지만, 통기타를 포함하는 현악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한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 또는 본 발명의 각 구성에 대한 결합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100: 바디
110: 상판
120: 하판
130: 측판
140: 보강대
200: 네트
300: 헤드
400: 포스트사운드 부재
410: 장방형 너트 폴
420: 볼트
430: 커버부재
440: 눈금계
460: 분할 접촉구
461: 결합구멍
462: 암나사부
471: 이동스크류
472: 조절 노브
500: 중량감 부가부재

Claims (12)

  1. 상판과 하판 그리고 상판과 하판을 잇는 측판으로 구성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일측에 고정되는 네크(Neck),
    상기 네크의 단부에 구비되는 헤드, 및
    상기 바디의 상판과 하판 사이를 지지하도록 상기 바디의 상판과 하판 사이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사운드포스트 부재를 포함하는 기능성 통기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측판과 상판이 연결되는 모서리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통기타.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포스트 부재는 상기 상판과 하판 간의 상대적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거리조절 가능한 사운드포스트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사운드포스트 부재는
    상기 상판과 하판 중 하나에 일단이 고정되고 내면에 미세 나사산이 형성된 너트 폴 및
    상기 너트 폴과 나사결합 가능하고, 일단은 상기 상판과 하판 중 다른 하나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길이조절 볼트를 포함하는 기능성 통기타.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 볼트의 머리부는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노출되는 길이조절 볼트의 머리부를 커버하게 결합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기능성 통기타.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 볼트의 헤드 또는 상기 길이조절 볼트가 위치되는 상판 또는 하판의 길이조절볼트의 헤드의 주변에는 간격 조절을 위한 회전 정도를 가늠하거나 결정할 수 있는 눈금계가 형성되는 기능성 통기타.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포스트 부재는
    일단이 상판과 하판에 각각 접촉하는 2분할된 분할 접촉구; 및
    상기 분할 접촉구의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분할 접촉구를 신축시키는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기능성 통기타.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분할 접촉구는 원추, 원추대, 원기둥 형태 중 하나로 형성되고,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분할 접촉구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결합구멍과, 상기 결합구멍에 형성되는 암나사부와,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결합하는 이동스크류, 및 상기 이동스크류의 중앙부에 고정 형성된 조절 노브를 포함하는 기능성 통기타.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분할 접촉구는 첨단이 라운드진 원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첨단이 접촉하는 상판과 하판에는 라운드진 요홈이 형성되는 기능성 통기타.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분할 접촉구는 첨단이 라운드진 원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상판과 하판 내면에는 라운드진 단면 형태를 갖는 보강 접촉대가 형성되며,
    상기 보강 접촉대에는 라운드진 요홈이 형성되는 기능성 통기타.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조절노브는 기어치로 형성되고,
    상기 조절노브를 회전구동시키는 구동축을 갖는 정역회전가능한 모터와, 상기 모터의 정역 회전과 오프(off)를 조작하는 조작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기능성 통기타.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헤드에는 헤드의 무게를 증가시키기 위한 중량감 부가부재를 더 포함하는 기능성 통기타.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중량감 부가부재는 상기 헤드에 대응하는 형태의 금속류의 판형 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판형 부재에는 로고나 엠블럼이 구비되는 기능성 통기타.
KR1020150080753A 2013-09-23 2015-06-08 기능성 통기타 KR201500700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2380 2013-09-23
KR20130112380 2013-09-23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01154A Division KR20150033499A (ko) 2013-09-23 2014-01-06 기능성 통기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1759A Division KR101704669B1 (ko) 2016-02-24 2016-02-24 중량감 부가부재가 구비된 기능성 통기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0082A true KR20150070082A (ko) 2015-06-24

Family

ID=5303082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01154A KR20150033499A (ko) 2013-09-23 2014-01-06 기능성 통기타
KR1020150080753A KR20150070082A (ko) 2013-09-23 2015-06-08 기능성 통기타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01154A KR20150033499A (ko) 2013-09-23 2014-01-06 기능성 통기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5003349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66732A1 (pt) * 2021-06-24 2022-12-29 Obladen Filho Armando Dispositivo para potencialização de eficiência sonora aplicado em violão acústico ou instrumento simil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3499A (ko) 2015-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07614B2 (ja) 音色調節部材
US4616550A (en) String support and neck device for stringed instrument
DE60130167T2 (de) Elektrisches Saiteninstrument mit lösbarem Rahmen
JP2006227570A (ja) 弦楽器用ナット及び弦楽器
US20160240174A1 (en) Tuning mechanism
JP5296616B2 (ja) 打楽器の音調整装置
US7893330B1 (en) Stringed instrument construction
KR20150070082A (ko) 기능성 통기타
US11074893B1 (en) Tuning assembly for stringed instrument
US9966055B2 (en) Digitally pitch-shifted pedal steel guitar
KR101704669B1 (ko) 중량감 부가부재가 구비된 기능성 통기타
US8404956B2 (en) Fingerboard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
EP2600338B1 (en) Adjuster for string instruments
US9472170B2 (en) Guitar
CN203552669U (zh) 带盘龙琴首和特制第五弦的五弦琵琶
KR101474203B1 (ko) 현악기용 음색조정장치
KR20140030234A (ko) 기타에 대한 개선
CN201051374Y (zh) 提琴类改良共鸣箱
CN103632654A (zh) 一种用于木吉他的微调音机构
JP3580208B2 (ja) 弦楽器
US8642858B2 (en) String instrument having a baseball bat body
KR102451865B1 (ko) 휴대용 기타 주법 연습기
US20110072952A1 (en) Tremolo device of an electric guitar and method of producing tremolo and electronic sound effects using the same
CN220709941U (zh) 一种一体式成型的无头吉他
US20120144972A1 (en) Stringed instru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230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420

Effective date: 20170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