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1865B1 - 휴대용 기타 주법 연습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기타 주법 연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1865B1
KR102451865B1 KR1020180017644A KR20180017644A KR102451865B1 KR 102451865 B1 KR102451865 B1 KR 102451865B1 KR 1020180017644 A KR1020180017644 A KR 1020180017644A KR 20180017644 A KR20180017644 A KR 20180017644A KR 102451865 B1 KR102451865 B1 KR 1024518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handheld frame
tension
saddle
w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7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7794A (ko
Inventor
박성호
김무정
Original Assignee
박성호
김무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호, 김무정 filed Critical 박성호
Priority to KR1020180017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1865B1/ko
Publication of KR20190097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7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1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18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00General design of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 G10D1/04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 G10D1/05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with fret boards or fingerboards
    • G10D1/08Guita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5/00Teaching music
    • G09B15/06Devices for exercising or strengthening fingers or arms; Devices for holding fingers or arms in a proper position for play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06Necks; Fingerboards, e.g. fret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기타 주법 연습기에 관한 것으로, 한손 파지가 가능한 길이 및 폭을 가지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핸드헬드 프레임; 상기 핸드헬드 프레임의 양측에 상기 핸드헬드 프레임의 폭방향을 따라 제각기 마련되는 새들(Saddle); 상기 새들에 지지되어 상기 핸드헬드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상태로 설치되는 복수의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의 텐션을 조절하여 상기 와이어를 긴장시키는 텐션유닛;을 포함하며, 한손 파지가 가능하므로 휴대가 간편하여 언제 어디서든 기타 주법을 연습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기타 주법 연습기 {PORTABLE TRAINING DEVICE FOR GUITAR PLAYING}
본 발명은 기타 주법 연습기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휴대가능한 크기로 형성된 휴대형 기타 주법 연주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타는 왼손으로 지판의 코드를 잡고, 오른손으로 기타줄을 연주한다. 이러한 기타는 다양한 주법 등으로 인해 오랜시간 연습을 반복해야 연주가 가능하다. 따라서, 최근 코드를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지판부분에 해당 코드의 엘이디가 점등되어 오른손으로 주법을 연주할 수 있는 기타가 악기업체에 의해 개발된 바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장치는 기타로 제조되므로 휴대가 불가능하다.
이를 개선하고자, 대한민국 특허청에 실용신안 등록된 등록 제384051호(휴대용 기타연습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가 가능한 기타연습기를 고안하여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휴대용 기타연습기는 정면이 평면인 바디와 상기 바디의 정면에 구성되는 3 ~ 7개의 프렛과 상기 프렛과 수직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된 4 ~ 6개의 현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항시 휴대할 수 있으면서 언제 어느 곳에서도 간편하게 왼손의 기타코드 및 음계 연습과 더불어 오른손의 주법연습을 가능하게 하며, 동시에 손가락을 단련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도시된 바와 같이 기타의 튜너와 같은 부품이 구비되지 않았으므로 기타 현의 긴장상태를 원하는데로 조정할 수 없고, 지판형태로 형성되어 중간 중간에 프렛이 구비됨에 따라 왼손 주법 연습은 가능하지만 사실상 오른손 주법을 할 수 없으며, 후면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슬립이 발생될 우려가 있음로 한손파지가 어렵다.
KR 20-384051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한손 파지가 가능하게 형성되어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고, 오직 오른손 주법 연습에 최적화된 구조를 가지며, 현의 긴장상태를 조절할 수 있는 휴대용 기타 주법 연습기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한손 파지가 가능한 길이 및 폭을 가지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핸드헬드 프레임; 상기 핸드헬드 프레임의 양측에 상기 핸드헬드 프레임의 폭방향을 따라 제각기 마련되는 새들(Saddle); 상기 새들에 지지되어 상기 핸드헬드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상태로 설치되는 복수의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의 텐션을 조절하여 상기 와이어를 긴장시키는 텐션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핸드헬드 프레임은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이 형성된 판상의 블럭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핸드헬드 프레임은, 상기 새들이 마련된 양측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상기 관통공과 마주하는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새들은, 상기 핸드헬드 프레임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핸드헬드 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와이어는, 상기 새들들 중 어느 하나의 새들에 일측이 고정되고, 다른 상기 새들에 타측이 감긴상태로 타단부가 상기 텐션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텐션유닛의 작동에 의해 당겨짐에 따라 텐션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와이어는, 상기 다른 새들의 상부면 및 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측면을 수평관통하여 상기 텐션유닛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텐션유닛은, 상기 새들과 평행한 상태로 상기 핸드헬드 프레임에 이격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에 의해 상기 와이어가 외주면에 와인딩됨에 따라 상기 와이어의 텐션을 조절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웜휠 및 웜으로 이루어진 웜기어; 및 상기 웜에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상기 웜을 회전시키는 노브;를 포함한다.
상기 웜기어의 상기 웜은, 상기 핸드헬드 프레임에 설치된 상기 와이어의 배열방향과 직교하도록 상기 핸드헬드 프레임의 측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핸드헬드 프레임이 한손 파지가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휴대가 용이하므로 언제든지 주법을 연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관이 용이하여 이동성이 우수하고, 텐션유닛을 통해 기타의 현에 해당하는 와이어의 긴장상태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실제 기타와 같은 느낌을 제공할 수 있다.
또, 핸드헬드 프레임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경량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관통공에 의한 마찰면적의 감소로 인하여 텐션유닛의 회전축을 핸드헬드 프레임에 용이하게 관통상태로 고정할 수 있고, 핸드헬드 프레임이 판상의 블럭으로 구성되므로 슬립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으며, 회전축이 핸드헬드 프레임의 외측이 아니라 내측, 즉 전술한 관통공의 내측에 구비되므로 전체적인 크기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핸드헬드 프레임의 양측에 경사면이 형성되므로 새들을 관통한 와이어를 회전축으로 용이하게 안내할 수 있고, 새들이 핸드헬드 프레임의 상부 양측에 돌출상태로 설치되므로 오른손 주법 연주시 손가락이 안걸리도록 새들들 사이에 공간을 제공한다.
또, 와이어의 일측이 이격된 한쌍의 새들들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고, 와이어의 타측이 나머지 다른 새들에 감기므로 와이어를 새들의 상부에 실질적으로 배열할 수 있으며, 와이어가 텐션유닛에 의해 당겨지므로 와이어를 새들의 상부에서 긴장시킬 수 있다.
또한, 텐션유닛이 회전축과 웜기어 및 노브로 구성되어 기타의 튜너와 같은 느낌을 제공하므로 사용자에게 친근감을 제공할 수 있고, 튜너와 같이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으며, 웜기어의 웜이 와이어의 배열방향과 수직상태를 형성하여 핸드헬드 프레임의 측면에 밀착된 상태를 이루므로 좀더 컴펙트한 크기로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휴대용 기타 연습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기타 주법 연습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연습기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연습기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연습기의 우측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연습기의 저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기타 주법 연습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첨부된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휴대용 기타 연습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기타 주법 연습기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연습기의 평면도이다. 그리고, 첨부된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연습기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연습기의 우측면도이며,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연습기의 저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기타 주법 연습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헬드 프레임(10), 적어도 2개의 새들(20), 복수의 와이어(30) 및 텐션유닛(40)을 포함한다.
핸드헬드 프레임(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의 부재이다. 핸드헬드 프레임(10)은 한손 파지가 가능한 길이 및 폭을 가지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블럭으로 구성된다. 핸드헬드 프레임(10)은 한손 파지를 위해 대략 11cm 내지 18cm의 길이 및 6cm 내지 8cm의 폭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핸드헬드 프레임(10)은 전술한 길이보다 작게(미만) 구성될 경우 연습이 어렵고, 크게(초과) 구성될 경우 너무 비대해지는 문제가 있다.
핸드헬드 프레임(10)은 슬립방지를 위해 테두리 형상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사각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미감이나 구조적 특이성을 위해 원형이나 타원 또는 사다리꼴과 같은 다각형의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핸드헬드 프레임(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H)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공(H)은 핸드헬드 프레임(10)의 전체적인 무게를 경량화 시키고, 후술되는 회전축(45)의 관통시 핸드헬드 프레임(10)의 전체적인 면적을 감소시켜서 핸드헬드 프레임(10)에 회전축(45)을 용이하게 관통시킨다. 즉, 관통공(H)은 회전축(45)의 관통시 마찰면적을 감소시킨다.
핸드헬드 프레임(10)은 관통공(H)이 단수로 구성될 수 있지만, 관통공(H) 사이에 강성을 보강하는 부재가 구비되어 강성약화가 방지되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H)이 복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핸드헬드 프레임(10)은 관통공(H)이 복수로 구성될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H)들 사이에 강도보강을 위한 브릿지(12)가 구비된다. 따라서, 핸드헬드 프레임(10)은 브릿지(12)를 중심으로 브릿지(12)의 양측에 관통공(H)이 제각기 구비되며, 이에 따라 외력이 작용할 경우 테두리 및 브릿지(12)를 통해 외력이 분산됨에 따라 강도가 보강된다.
핸드헬드 프레임(1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새들(20)이 마련된 양측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전술한 관통공(H)과 마주한 상태로 관통공(H)과 연통되는 경사면(10a)이 형성된다. 즉, 핸드헬드 프레임(10)은 관통공(H)에 의해 형성되는 내주면에 경사면(10a)이 형성된다. 경사면(10a)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와이어(30)가 경사설치될 경우 와이어(30)가 핸드헬드 프레임(10)의 내측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한다.
경사면(10a)은 핸드헬드 프레임(10)에 후술되는 와이어(30)가 조립될 경우 방향성이 없어서 제작이 용이하도록,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헬드 프레임(10)의 상부 양측에 제각기 형성되어 서로 대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경사면(10a)은 복수로 구성된다. 이러한 경사면(10a)은 전술한 방향성이 없도록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헬드 프레임(10)의 하부 양측, 즉 저면 양측에도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새들(20)은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으로 구성되어 핸드헬드 프레임(10)의 양측에 단턱형태로 제각기 마련된다. 이러한 새들(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헬드 프레임(10)의 폭방향을 따라 마련된다. 새들(20)은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일직선의 막대형 부재로 구성되어 핸드헬드 프레임(10)의 상부 양측에 일체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새들(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헬드 프레임(10)의 상부로 돌출된다. 즉, 새들(20)은 핸드헬드 프레임(1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새들(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와이어(30)를 지지하여 핸드헬드 프레임(10)의 외측으로 배열한다.
와이어(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헬드 프레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상태로 설치된다. 와이어(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새들(20)들 중 어느 하나의 새들(20)에 일측이 고정(예: 묶여서 고정)되고, 나머지 다른 새들(20)에 타측이 감긴상태로 타측의 단부가 후술되는 텐션유닛(40)의 회전축(45)에 연결된다. 와이어(30)는 통상의 기타줄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와이어(30)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나머지 다른 새들(20)의 상부면 및 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텐션유닛(40)의 회전축(45)에 연결됨에 따라 대략 'ㄱ'과 같은 형태로 절곡되고, 나머지 다른 새들(20)의 측면을 수평관통하여 텐션유닛(40)의 회전축(45)에 연결됨에 따라 사실상 'ㄷ'과 같은 형태를 형성하므로 새들(20)에 감긴상태를 이룬다. 이때, 와이어(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들(20)에 형성된 측면공(20a)을 통해 새들(20)의 측면을 수평으로 관통한다.
와이어(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들(20)의 측면을 수평관통한 후 경사를 형성하여 텐션유닛(40)의 회전축(45)에 고정된다. 이때, 와이어(30)는 전술한 핸드헬드 프레임(10)의 경사면(10a)을 따라 안내되어 경사면(10a)을 경유한 후 회전축(45)에 고정된다. 따라서, 와이어(30)는 경사면(10a)에 의해 핸드헬드 프레임(10)의 내측면과 접촉되지 않는다. 와이어(30)는 경사면(10a)과의 마찰이 방지되도록 경사면(10a)의 표면에서 약간 들뜬 상태로 회전축(45)에 고정된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와이어(30)가 'ㄷ'과 같은 형태로 절곡된 후 회전축(45)에 연결되는 이유는 회전축(45)이 새들(20)들 사이, 즉 새들(20)들의 내측에 설치되기 때문이다. 만약, 회전축(45)이 새들(20)들의 외측에 구비될 경우 와이어(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절곡되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 회전축(45)이 새들(20)들의 외측에 구비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연습기의 부피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명자는 연습기의 부피를 최소화하고자 새들(20)들 사이에 회전축(45)을 설치하였고, 이에 따라 와이어(30)를 전술한 바와 같이 절곡시켜야 한다.
한편, 전술한 텐션유닛(40)은 와이어(30)의 텐션을 조절하여 와이어(30)를 팽팽하게 긴장시킨다. 텐션유닛(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회전축(45), 복수의 웜기어(42, 43) 및 복수의 노브(44)로 구성된다.
회전축(45)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들(20)과 평행한 상태로 핸드헬드 프레임(10)에 이격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축(45)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헬드 프레임(10)의 측방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회전축(45)은 전술한 바와 같이 와이어(30)의 타측 단부가 고정됨에 따라 회전시 외주면에 와이어(30)가 와인딩된다. 따라서, 회전축(45)은 정회전시 와이어(30)를 당겨서 와이어(30)를 팽팽하게 긴장시킨다. 이와 달리, 회전축(45)은 역회전될 경우 와이어(30)의 긴장상태를 이완시켜서 와이어(30)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다.
웜기어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45)에 결합되어 회전축(45)을 회전시키는 웜휠(42), 그리고 이러한 웜휠(42)에 교합되는 웜(43)으로 구성된다. 웜휠(42)은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45)의 단부에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회전축(45)과 함께 회전한다. 웜(43)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헬드 프레임(10)의 측면에 볼팅이나 본딩으로 장착된 장착판(41)의 링형 고정고리에 피벗 가능하게 고정됨에 따라 핸드헬드 프레임(1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웜(43)은 전술한 장착판(41)에 의해 핸드헬드 프레임(10)에 설치된 와이어(30)의 배열방향과 직교하도록 핸드헬드 프레임(10)의 측면에 수직으로 설치된다. 노브(4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웜(43)에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사용자의 회전조작에 의해 웜(43)을 회전시킨다. 따라서, 노브(44)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웜(43)을 회전시켜 웜휠(42)도 회전시키며, 이러한 웜휠(42)을 통해 회전축(45)을 회전시켜서 와이어(30)의 텐션을 조절한다.
여기서, 전술한 웜(43)을 장착판(41)의 고정고리에 피벗 가능하게 고정하는 방법은 통상의 웜기어에 사용되는 기술이고, 기타의 튜너와 유사한 기술이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전술한 웜(4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연습기의 크기를 좀더 컴팩트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핸드헬드 프레임(10)에 수평이 아니라 수직으로 설치된 것이 특징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기타 주법 연습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전술한 텐션유닛(40)의 노브(44)를 조작하여 와이어(30)어의 긴장상태를 조정한다. 이때, 텐션유닛(40)의 회전축(45)은 회전되면서 와이어(30)를 와인딩하거나 풀어서 와이어(30)의 텐션을 조절한다. 와이어(30)는 일측이 새들(20)들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고, 타측의 단부가 회전축(45)에 고정됨에 따라 회전축(45)에 와인딩된다. 와이어(30)는 전술한 경사면(10a)에 의해 핸드헬드 프레임(10)과 간섭됨 없이 회전축(45)에 와인딩된다. 사용자는 텐션유닛(40)을 통해 와이어(30)가 소망하는 상태로 긴장됨에 따라, 한 손으로 핸드헬드 프레임(10)을 파지한 후 다른 손으로 와이어(30)를 튕기면서 기타의 주법을 연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휴대용 기타 주법 연습기는, 핸드헬드 프레임이 한손 파지가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휴대가 용이하므로 언제든지 기타의 주법을 연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관이 용이하여 이동성이 우수하고, 텐션유닛을 통해 기타의 현에 해당하는 와이어의 긴장상태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실제 기타와 같은 느낌을 제공할 수 있다.
또, 핸드헬드 프레임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경량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관통공에 의한 마찰면적의 감소로 인하여 텐션유닛의 회전축을 핸드헬드 프레임에 용이하게 관통상태로 고정할 수 있고, 핸드헬드 프레임이 판상의 블럭으로 구성되므로 슬립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핸드헬드 프레임의 양측에 경사면이 형성되므로 새들을 관통한 와이어를 회전축으로 용이하게 안내할 수 있고, 새들이 핸드헬드 프레임의 상부 양측에 돌출상태로 설치되므로 오른손 주법 연주시 손가락이 안걸리도록 새들들 사이에 공간을 제공한다.
또, 와이어의 일측이 이격된 한쌍의 새들들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고, 와이어의 타측이 나머지 다른 새들에 감기므로 와이어를 새들의 상부에 실질적으로 배열할 수 있으며, 와이어가 텐션유닛에 의해 당겨지므로 와이어를 새들의 상부에서 긴장시킬 수 있다.
또한, 텐션유닛이 회전축과 웜기어 및 노브로 구성되어 기타의 튜너와 같은 느낌을 제공하므로 사용자에게 친근감을 제공할 수 있고, 튜너와 같이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으며, 웜기어의 웜이 와이어의 배열방향과 수직상태를 형성하여 핸드헬드 프레임의 측면에 밀착된 상태를 이루므로 좀더 컴펙트한 크기로 제조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질적 특징이 충족될 수 있을 경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한 변형(구조나 구성의 변경이나 부분적 생략 또는 보완)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은 특징의 일부 또는 다수가 상호 간에 조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구조 및 구성은 변형이나 조합에 의해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구조 및 구성의 변형이나 조합이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핸드헬드 프레임 10a: 경사면
12: 브릿지 20: 새들
20a: 측면공 30: 와이어
40: 텐션유닛 41: 장착판
42: 웜휠 43: 웜
44: 노브 45: 회전축
H: 관통공

Claims (4)

  1. 한손 파지가 가능한 길이 및 폭을 가지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핸드헬드 프레임;
    상기 핸드헬드 프레임의 양측에 상기 핸드헬드 프레임의 폭방향을 따라 제각기 마련되는 새들(Saddle);
    상기 새들에 지지되어 상기 핸드헬드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상태로 설치되는 복수의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의 텐션을 조절하여 상기 와이어를 긴장시키는 텐션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핸드헬드 프레임은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이 형성된 판상의 블럭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타 주법 연습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새들들 중 어느 하나의 새들에 일측이 고정되고, 다른 상기 새들에 타측이 감긴상태로 타단부가 상기 텐션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텐션유닛의 작동에 의해 당겨짐에 따라 텐션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타 주법 연습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유닛은,
    상기 새들과 평행한 상태로 상기 핸드헬드 프레임에 이격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에 의해 상기 와이어가 외주면에 와인딩됨에 따라 상기 와이어의 텐션을 조절하는 복수의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웜휠 및 웜으로 이루어진 웜기어; 및
    상기 웜에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상기 웜을 회전시키는 노브;를 포함하는 휴대용 기타 주법 연습기.
KR1020180017644A 2018-02-13 2018-02-13 휴대용 기타 주법 연습기 KR1024518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644A KR102451865B1 (ko) 2018-02-13 2018-02-13 휴대용 기타 주법 연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644A KR102451865B1 (ko) 2018-02-13 2018-02-13 휴대용 기타 주법 연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7794A KR20190097794A (ko) 2019-08-21
KR102451865B1 true KR102451865B1 (ko) 2022-10-07

Family

ID=67808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7644A KR102451865B1 (ko) 2018-02-13 2018-02-13 휴대용 기타 주법 연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18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0803B1 (ko) * 2020-12-21 2022-04-25 허태헌 휴대용 기타 연습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351B1 (ko) * 2007-10-12 2008-07-09 유용선 기타줄 고정기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4051Y1 (ko) 2005-02-07 2005-05-11 남의철 휴대용 기타연습기
US7304224B1 (en) * 2006-10-05 2007-12-04 Bettis Linda P Exercise and training device for acoustic guitar player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351B1 (ko) * 2007-10-12 2008-07-09 유용선 기타줄 고정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7794A (ko) 2019-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300112A1 (en) Finger exerciser
US4065995A (en) Pocket finger exercise board
US9711115B2 (en) Capo with replaceable neck pads
US6127615A (en) Stringed-instrument practice device
KR102451865B1 (ko) 휴대용 기타 주법 연습기
US2033826A (en) Musical instrument
US8168874B2 (en) Drumstick gripping aid
US2781685A (en) Pitch changing attachment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JP3721183B2 (ja) ドラム張力付加装置
JP2012533093A (ja) ギター等の弦楽器のチューニング装置および方法
US8519247B2 (en) Rotatable combination guitar/bass guitar
US3981219A (en) Practice violin and bow
US8642859B1 (en) Stringed instrument bending stress relief
CN206271403U (zh) 一种新型二弦琴
JP4363575B2 (ja) 楽器の運弓練習具
US6955618B1 (en) Adjustable tension stringed racquet
CN206271402U (zh) 一种新型四弦琴
CN209056274U (zh) 一种方便调节角度的小提琴支架
KR102471827B1 (ko) 교육용 가야금
GB2221847A (en) Finger exerciser for guitar players
US9997084B2 (en) Drumstick control trainer
JP2005173515A (ja) 三駒型一弦楽器
KR200328993Y1 (ko) 현악기
KR20150070082A (ko) 기능성 통기타
KR20120079776A (ko) 현악기용 활의 손가락 교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