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6155B1 - 현악기 - Google Patents

현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6155B1
KR102006155B1 KR1020170156197A KR20170156197A KR102006155B1 KR 102006155 B1 KR102006155 B1 KR 102006155B1 KR 1020170156197 A KR1020170156197 A KR 1020170156197A KR 20170156197 A KR20170156197 A KR 20170156197A KR 102006155 B1 KR102006155 B1 KR 102006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ng
tension
voltage
pad
piezoelectric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6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8853A (ko
Inventor
박세용
김태희
서해민
Original Assignee
김태희
박세용
서해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희, 박세용, 서해민 filed Critical 김태희
Priority to KR1020170156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6155B1/ko
Publication of KR20190058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88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6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6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14Tuning devices, e.g. pegs, pins, friction discs or worm gea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00General design of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 G10D1/04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 G10D1/05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with fret boards or fingerboards
    • G10D1/08Guita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12Anchoring devices for strings, e.g. tail pieces or hitchpi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악기에 관한 것으로, 바디, 상기 바디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넥(Neck), 상기 넥의 끝단에 제공된 헤드, 상기 바디에 제공된 장력 조절부 및 상기 장력 조절부 및 상기 헤드에 연결된 줄을 포함하되, 상기 장력 조절부는 상기 줄의 장력을 일정 단위 간격으로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현악기{STRINGED INSTRUMENT}
본 발명은 현악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악기에서 음의 높낮이를 조절할 때는 카포라는 도구를 이용한다. 카포는 현악기의 모든 줄(현)을 눌러주어 줄(현)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카포를 이용해 모든 줄을 눌러주어 줄의 길이를 조절해서, 곡 전체 음의 높낮이를 조절하거나, 어려운 코드의 곡을 쉬운 코드로 바꾸어 연주할 수 있다.
그리고, 카포는 악기의 모든 줄에 가해지는 힘이 얼마나 균등한지와 충분한 힘으로 모든 줄을 잘 눌러주는지가 중요한 요소이다. 현을 눌러주는 힘이 너무 약하면 기타소리에서 버징과 같은 잡음이 나며, 반대로 너무 강한 힘으로 눌러주면 기타줄의 튜닝이 틀어지는 경우가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60643호 (2013.06.10.)
본 발명의 실시예는 현의 장력을 조절하여 변조를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악기는 바디; 상기 바디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넥(Neck); 상기 넥의 끝단에 제공된 헤드; 상기 바디에 제공된 장력 조절부; 및 상기 장력 조절부 및 상기 헤드에 연결된 줄;을 포함하되, 상기 장력 조절부는 상기 줄의 장력을 일정 단위 간격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장력 조절부는: 상기 바디에 고정되고, 상기 줄의 일단에 연결된 압전소자; 상기 압전소자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 및 상기 전압의 크기를 조절하는 전압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정 단위는, 상기 줄의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음을 반음 변동시키는 상기 줄의 장력의 변동량일 수 있다.
상기 줄 및 상기 장력 조절부는 서로 대응되도록 복수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현의 장력을 조절하여 변조를 쉽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악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표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악기를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표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악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표현한 예시적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악기를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표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2를 참조하면, 바디(100), 넥(200), 헤드(300), 장력 조절부(400) 및 줄(500)을 포함할 수 있다. 장력 조절부(400)는 줄(500)의 장력을 일정 단위 간격으로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일정 단위는 줄(500)의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음을 반음 변동시키는 상기 줄의 장력의 변동량이다.
넥(200)은 바디(100)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헤드(300)는 넥(200)의 끝단에 제공된다. 그리고, 장력 조절부(400)는 바디(100)에 제공되며, 줄(500)은 장력 조절부(400) 및 헤드(300)에 연결된다.
이하, 기타를 이용해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이는 현악기 중 대표적인 악기인 기타를 이용해서 설명하는 것 일 뿐, 기타 외에도 현악기의 범주에 들어가는 악기라면 어떤 악기라도 가능하다.
기타는 현을 튕겨서 소리를 내는 현악기이다. 울림통과 플랫이 박힌 네크가 있고 보통 6개의 현을 가지고 있다. 기타의 몸통(바디)은 음량을 증폭하기 위한 것이고, 기타의 목(넥) 부분은 음정을 쉽게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현을 고정하기 위한 줄감개가 있고 이를 고정하는 헤드가 있다.
기타의 6개의 현(줄)은 연주를 위해 기타를 쥐었을 때 위쪽이 가장 굵고 아래쪽으로 갈수로 가늘어진다. 그리고, 현이 가늘어질수록 음역이 점점 높아진다. 목 부분에는 손을 쉽게 쥘 수 있게 하는 지판이 형성되어 있다. 단순히 소리를 크게 하는 통기타와 증폭 회로를 사용하여 소리를 크게하는 전기 기타(일렉 기타) 2가지로 나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력 조절부(400)는 압전소자(410), 전원(420) 및 전압 조절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줄(500) 및 상기 장력 조절부(400)는 서로 대응되도록 복수개로 제공될 수 있다.
압전소자(410)는 바디(100)에 고정되고, 줄(500)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압전소자(410)는 압전효과(기계적 압력을 인가하면 전압이 발생하고, 전압을 인가하면 기계적 변형이 생기는 현상)를 지닌 소자를 말한다. 즉, 외력을 가하면 전기 분극이 일어나서 전위차가 생기고, 반대로 전압을 가하면 변형이나 변형력이 생기는 성질을 가진 소자를 말한다.
압전소자(410)의 종류로는 크게 단결정, 다결정, 박막, 고분자, 복합 총 5가지가 있다. 이 중, PZT계, PT계, PZT-Complex Perovskite계를 포함하는 다결정 압전소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전소자(410)는 줄(500)의 일단과 연결되어 압전소자의 변형의 정도에 따라 줄(500)의 장력이 조절될 수 있다.
전원(420)은 압전소자(410)에 전압을 인가한다.
전압 조절부(430)는 전원(420)으로부터 받은 전압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전압 조절부(430)는 내부에 저항을 조절을 할 수 있는 가변저항기를 포함할 수 있다. 가변저항기는 고리 모양을 한 저항체 위를 회전축에 붙인 브러시가 이동함으로써 전체 저항 중의 일정한 저항값만을 얻도록 되어 있다. 전압 조절부(430)는 내부의 저항을 조절하여 전원(420)으로부터 받은 전압의 크기를 조절해서 압전소자(410)에 보낸다.
나아가, 보통의 가변저항기의 구조가 아닌, 레버를 돌리면 레버와 수직으로 연결된 훨이 돌아가면서 가변저항기 내부에 감겨 있는 코일이 감기거나 풀리는 형태의 가변저항기를 사용할 수 있다. 코일을 통과해서 지나가는 전선에 전기가 통할 때 코일에 전기를 흘려보내 자기장을 형성하면 상기 코일은 곧 저항 역할을 하게 된다. 가변저항기는 코일이 감길수록 자기장은 더 강해지고, 저항도 강해지게 될 것이다.
전압 조절부(430)는 전압조절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압조절부재는 전압 조절부(430)가 압전소자(410)에 인가하는 전압이 일정 단위 간격으로 줄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전압조절부재는 기계적으로 전압 조절부(430)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로 레버와 같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전압 조절부(430)는 바디(100)에 연결잭(600)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잭(600)은 전압 조절부(430)가 기설정된 전압만큼 조절하도록하는 패드(700)와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패드(700)는 제 1 패드(710) 및 제 2 패드(720)를 포함한다. 제 1 패드(710)를 누르면 한 키를 높이도록, 제 2 패드(720)를 누르면 한 키를 낮추도록 장력 조절부(400)가 줄(500)의 장력을 조절하게 할 수 있다. 패드(700)는 전압 조절부(400)의 가변저항기 또는 전압조절부재와 연결되어, 전압 조절부(400)가 일정 단위 간격으로 전압을 조절한다.
예를 들면, 패드(700)는 줄의 장력을 일정 단위 간격으로 높이는 전압을 인가하도록 하는 제 1 패드(710) 및 줄의 장력을 일정 단위 간격으로 낮추는 전압을 인가하도록 하는 제 2 패드(720)를 포함하여, 제 1 패드(710) 및 제 2 패드(720)의 동작에 따라 상기 전압 조절부(430)에서 압전소자(410)로 보내는 전압을 조절한다.
더해서, 헤드(300)에 별도의 줄감개를 제공하여, 줄(50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기타의 기본음 설정은 줄감개를 이용하여 할 수 있다.
카포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장력 조절부(400)를 통해 기타를 튜닝하는 경우 전압조절을 통해 일정한 힘으로 균등하게 당겨 줄 수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가 증대될 수 있다.
일단 단위 간격으로 줄의 장력을 조절하고, 이를 응용하여 상기 장력 조절부(400)가 줄(500)의 장력을 서로 다르게 조절해서 기타의 다양한 코드를 구현한다면 사용자의 자유로운 연주가 가능할 것이다.
상기 장력 조절부(400)가 줄(500)의 장력을 일정 단위 간격으로 조절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하면, 기타의 기본음은 기타의 가장 위의 줄부터 "미, 시, 솔, 레, 라, 미"인 C 코드이다. 만약, 기타의 한 키(반음)를 올리고 싶다면, 기타의 음을 기타의 가장 위의 줄부터 "파, 도, 솔#, 레#, 라#, 파"인 C#코드로 만들도록 장력 조절부(400)가 반음을 올릴 수 있도록 줄(500)의 장력을 조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콘덴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콘덴서는 회로에서 병렬로 연결하면 다른 쪽 회로에서 전압차(주파수)가 발생할 경우, 그 쪽에서 모아두었던 전기를 흘려보내 주파수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압전소자(410)와 현악기 줄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줄에 진동을 줘서 연주할 경우 이 진동 때문에 압전소자(410)에 압전효과가 일어나 압전소자의 부피가 변할 수있기 때문에, 콘덴서를 제공하여 이를 보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악기는 장력 조절부(400)를 제공함으로써 쉽게 변조가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바디
200 : 넥
300 : 헤드
400 : 장력 조절부
410 : 압전소자
420 : 전원
430 : 전압 조절부
500 : 줄

Claims (4)

  1. 바디;
    상기 바디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넥(Neck);
    상기 넥의 끝단에 제공된 헤드;
    상기 바디에 제공된 장력 조절부; 및
    상기 장력 조절부 및 상기 헤드에 연결된 줄;을 포함하되,
    상기 장력 조절부는 상기 줄의 장력을 일정 단위 간격으로 조절하고,
    상기 장력 조절부는,
    상기 바디에 고정되고, 상기 줄의 일단에 연결된 압전소자;
    상기 압전소자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 및
    상기 전압의 크기를 조절하는 전압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일정 단위는, 상기 줄의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음을 반음 변동시키는 상기 줄의 장력의 차이고,
    상기 줄 및 상기 장력 조절부는 서로 대응되도록 복수개로 제공되고,
    상기 전압 조절부와 연결되고, 기설정된 동작에 따라 상기 전압 조절부에서 상기 압전소자로 보내는 전압을 일정 단위 간격으로 조절하는 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패드는 상기 줄의 장력을 일정 단위 간격으로 높이는 전압을 인가하도록 하는 제 1 패드 및 상기 줄의 장력을 일정 단위 간격으로 낮추는 전압을 인가하도록 하는 제 2 패드로 구성되는 현악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70156197A 2017-11-22 2017-11-22 현악기 KR102006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197A KR102006155B1 (ko) 2017-11-22 2017-11-22 현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197A KR102006155B1 (ko) 2017-11-22 2017-11-22 현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8853A KR20190058853A (ko) 2019-05-30
KR102006155B1 true KR102006155B1 (ko) 2019-08-01

Family

ID=66675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6197A KR102006155B1 (ko) 2017-11-22 2017-11-22 현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61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6789A (ko) 2022-04-13 2023-10-20 최인범 네크의 변형이 제어되는 통기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090B1 (ko) * 1998-03-10 2008-03-20 오토매틱 투닝 디벨로프먼트 리미티드 현악기를 조율하는 조율수단, 조율수단을 포함하는 기타및 현악기를 조율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381B1 (ko) * 2009-12-04 2013-03-19 주식회사 제이원뮤직 어쿠스틱 전자 겸용 바이올린족 현악기
KR101328670B1 (ko) 2011-11-30 2013-11-20 신우석 현악기용 조율수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090B1 (ko) * 1998-03-10 2008-03-20 오토매틱 투닝 디벨로프먼트 리미티드 현악기를 조율하는 조율수단, 조율수단을 포함하는 기타및 현악기를 조율하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6789A (ko) 2022-04-13 2023-10-20 최인범 네크의 변형이 제어되는 통기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8853A (ko) 2019-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37226B2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tuning a stringed instrument
KR101245381B1 (ko) 어쿠스틱 전자 겸용 바이올린족 현악기
ES2322351T3 (es) Dispositivo electronico y metodo para la afinacion automatica de un instrumento de musica de cuerdas especialmente una guitarra.
JP5232639B2 (ja) エレキ式とアコースティック式の複合打楽器
JP4802240B2 (ja) 弦楽器の弦張力調整装置および弦楽器の自動調弦装置
US6278047B1 (en) Apparatus for tuning stringed instruments
US10186241B2 (en) Musical instrument sound generating system with linear exciter
KR101647449B1 (ko) 현악기용 음색 조절 장치
EP1868181A1 (en) Electric stringed musical instrument and pickup unit incorporated therein for converting vibrations to signal
US7145064B2 (en) Acoustic amplifier and tone controller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JPS6296997A (ja) 弦楽器
US8455749B1 (en) Detachable electric pickup for musical instrument
US9460698B2 (en) Stringed instrument
CN103650028A (zh) 电子机械乐器
AU2006296213B2 (en) Stringed instrument
US20030226441A1 (en) Tension regulator for stringed instruments
KR102006155B1 (ko) 현악기
US10777171B1 (en) Electric musical instrument having a bridge
US20090249946A1 (en) Electric guitar
US9466276B1 (en) Stringed musical instrument having a resonator assembly
US9905212B1 (en) Bridge with pickup for hybrid arched top guitar or the like
US1180519A (en) Sounding-box for automatic violin-pianos.
KR20180017334A (ko) 전자현악기의 피에조 세라믹 픽업
KR20110109080A (ko) 전자 트란
JPH04368998A (ja) 弦振動ピックアッ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