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6701B1 - 에틸아미노 벤조산 유도체의 치료 용도 - Google Patents

에틸아미노 벤조산 유도체의 치료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6701B1
KR101646701B1 KR1020090132403A KR20090132403A KR101646701B1 KR 101646701 B1 KR101646701 B1 KR 101646701B1 KR 1020090132403 A KR1020090132403 A KR 1020090132403A KR 20090132403 A KR20090132403 A KR 20090132403A KR 101646701 B1 KR101646701 B1 KR 101646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
compound
present
ethylamino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2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5842A (ko
Inventor
곽병주
이진환
강금석
윤복선
안춘산
변수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엔티파마
주식회사 아라온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422704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64670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엔티파마, 주식회사 아라온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엔티파마
Priority to KR1020090132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6701B1/ko
Priority to PCT/KR2010/009498 priority patent/WO2011081445A2/ko
Publication of KR20110075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5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6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6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3Amines
    • A61K31/135Amines having aromatic rings, e.g. ketamine, nortriptyline
    • A61K31/136Amines having aromatic rings, e.g. ketamine, nortriptyline having the amino group directly attached to the aromatic ring, e.g. benzeneam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16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benactizyne, clofib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121/00Preparations for use in therap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틸아미노 벤조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신규 의약 용도에 관한 것이다.
에틸아미노 벤조산 유도체, 2-아세톡시-5-[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벤조산, 2-하이드록시-5-[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벤조산, 통증

Description

에틸아미노 벤조산 유도체의 치료 용도{Therapeutic use of ethylamino-benzoic acid derivative}
본 발명은 특정 화학식을 갖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신규 의학 용도에 관한 것이다.
통증이란 실제의 또는 잠재적인 조직 손상과 관련된 또는 이러한 손상에 의한 불쾌한 느낌 및 감정의 경험을 말한다. 통증은 원인과 기간에 의해 분류되고 있다. 원인에 의한 분류로는 침해성 통증과 신경병증성 통증이 있는데, 침해성 통증은 조직손상으로 발생하는 통증이고, 신경병증성 통증은 신경계의 이상이나 심리적인 문제로 발생하는 통증으로 정의된다. 기간에 의한 분류에는 수술 후 통증과 같은 급성통증과 요통과 같은 만성통증이 있는데, 만성통증은 6개월 이상 지속되는 통증으로서 정의되며, 6개월 미만인 경우에는 급성통증으로 정의된다. 급성통증의 대표적인 예로는 치통, 생리통 및 급성 복통을 비롯한 내장통, 수술 후 통증, 및 골절에 의한 통증이 있고, 만성통증의 대표적인 예로는 골관절염 통증, 류마티스 관절염 통증, 요통 및 암성 통증이 있다.
통증에 관한 현재의 치료 요법은 크게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일반적으로 환자가 느끼는 통증의 크기가 중증 이상이거나 심한 통증인 경우 사용되는 마약성 진통제이고, 또 다른 하나는 환자가 느끼는 통증의 크기가 경증이거나 약한 중증인 경우 사용되는 비마약성 진통제이다. 마약성 진통제는 내인성 엔돌핀 시스템을 자극하여 큰 진통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대표적인 예가 모르핀이다. 이러한 마약성 진통제는 진통효과가 크다는 장점이 있지만, 구토, 변비 및 호흡 능력에 대한 부작용과 특히 중독성으로 인해 사용이 제한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반해 비마약성 진통제는 중독성이 거의 없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며, 여기에는 아세트아미노펜, 아스피린 등의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 NSAID) 가 포함된다. 이들은 동통, 두통, 신경통, 근육통, 월경통, 염좌통, 치통, 관절통 등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비마약성 약물들은 항염증, 진통 및 해열작용을 공통된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현재 급성통증 및 만성통증 관리를 위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소염진통제의 근본적인 작용기전은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 억제이며 프로스타글란딘은 아라키돈산으로부터 사이클로옥시게네이즈(COX)라는 효소를 통해 생성된다. 우리 몸에는 COX-1과 COX-2 두 가지 아형이 존재하는데 COX-1은 혈관, 위, 신장 등에서 발견되며, COX-2는 염증부위에서 유도된다. 대부분의 NSAID들은 COX-1와 COX-2 모두에 비선택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심각한 위장장애를 초래하는데 이는 NSAID가 위에서 위벽을 보호하고 유지하는 기능을 가진 COX-1을 같이 억제 하기 때문이다. 이에, COX-2 선택적 억제제들이 개발되어 각광을 받아 사용되어 왔으나, COX-2 억제로 인해 혈관 확장 기능까지도 강력히 억제됨으로 인해 심혈관 질환을 유발하는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
활성산소는 조직손상은 물론 신경병증 질환에서도 과도하게 생성되어 통증을 유발하는 인자로서 알려져 있다. 실제로, 신경병증통증 동물모델에서 통증자극에 대한 민감도의 증가 (hyperalgesia) 및 물리적 자극에 의한 통증유발 (allodynia)의 과정에 활성산소가 관여한다고 발표되고 있다. 따라서, 프로스타글랜딘과 활성산소의 생성을 동시에 억제하는 약물은 염증성 통증과 비염증성 통증 (예, 신경병증통증)을 줄이는 안전한 진통제로 개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부작용이 적고 안전성이 높은 화합물을 이용하는 통증의 치료 또는 예방 방법, 및 이러한 화합물의 통증 치료 또는 예방 의약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효 성분으로 하기 화학식 1 과 2로 표시되는 에틸아미노 벤조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09081011598-pat00001
Figure 112009081011598-pat00002
즉,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과 2로 표시되는 에틸아미노 벤조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통증 치료 또는 예방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2-아세톡시-5-[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벤조산 (이하 "화합물 1"로 칭함)과 화학식 2로 표시되는 2-하이드록시-5-[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벤조산 (이하 "화합물 2"로 칭함)를 포함하는 에틸아미노 벤조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인간을 포함하는 동물의 통증 치료 또는 예방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여러 가지 화합물을 제조하여 프로스타글랜 생성을 억제하고, 활성산소를 제거하고, 위장관 손상이 없는 약리작용을 평가하던 중 상기 화학식 1과 2로 표시되는 에틸아미노 벤조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안전할 뿐만 아니라 통증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에 매우 유용하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독성이 없거나 적은 산 또는 염기로 제조된 염들을 말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이 상대적으로 산성일 경우 염기(base) 부가 염들은 충분한 양의 원하는 염기와 적당한 비활성(inert) 용매로 그러한 화합물의 중성 형태를 접촉하여 얻을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기 부가 염은 나트륨, 칼륨, 칼슘, 암모늄, 마그네슘 또는 유기 아미노로 이루어진 염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이 상대적으로 염기성일 경우 산(acid) 부가 염들은 충분한 양의 원하는 산과 적당한 비활성 용매로 그러한 화합물들의 중성 형태를 접촉하여 얻을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산 부가 염은 프로피온산, 이소부틸산, 옥살산, 사과산, 말론산, 안식향산, 호박산, 수버 릭(suberic), 푸마르산, 만데릭산, 프탈릭산, 벤젠설폰산, p-토릴설폰산, 구연산, 주석산, 메탄설폰산, 염산, 브롬산, 질산, 탄산, 일수소탄산(monohydrogencarbonic), 인산, 일수소인산, 이수소인산, 황산, 일수소황산, 요오드화수소, 아인산(phosphorous acid) 등으로 형성된 염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알지네이트(arginate) 같은 아미노산의 염 및 글루쿠로닉(glucuronic) 또는 갈락투노릭(galactunoric) 산들과 같은 유기산의 유사체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수화물 형태를 포함하여 용매화된 형태뿐만 아니라 비-용매화된(unsolvated)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결정형 또는 무정형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모든 물리적 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화학식 1과 2로 표시되는 에틸아미노 벤조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 또는 첨가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에틸아미노 벤조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단독으로 혹은 어떤 편리한 운반체, 부형제 등과 함께 혼합하여 투여될 수 있고, 그러한 투여 제형은 단회투여 또는 반복투여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고형 제제 또는 액상 제제일 수 있다. 고형 제제는 산제, 과립제, 정제, 캅셀제, 좌제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형 제제에는 부형제, 착향제, 결합제, 방부제, 붕해제, 활택제, 충진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액상 제제로는 물, 프로필렌 글리콜 용액 같은 용액제, 현탁액제, 유제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당한 착색제, 착향제, 안정화제, 점성화제 등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제는 본 발명의 에틸아미노 벤조산 유도체와 유당, 전분, 미결정셀룰로오스 등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당한 부형제를 단순 혼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과립제는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함 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당한 부형제; 및 폴리비닐피롤리돈,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당한 결합제를 혼합한 후,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용매를 이용한 습식과립법 또는 압축력을 이용한 건식과립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정제는 상기 과립제를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 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당한 활택제화 혼합한 후, 타정기를 이용하여 타정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치료해야할 질환 및 개체의 상태에 따라 경구제, 주사제(예를 들어, 근육주사, 복강주사, 정맥주사, 주입(infusion), 피하주사, 임플란트), 흡입제, 비강투여제, 질제, 직장투여제, 설하제, 트랜스더말제, 토피칼제 등으로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투여경로에 따라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비독성인,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운반체, 첨가제, 비히클을 포함하는 적당한 투여 유닛 제형으로 제제화 될 수 있다. 일정 시간 동안 약물을 지속적으로 방출할 수 있는 데포(depot) 제형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화학식 1과 2로 표시되는 에틸아미노 벤조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을 치료가 필요한 개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증의 치료 또는 예방 방법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에틸아미노 벤조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통증 치료 또는 예방의 의약 용도를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에틸아미노 벤조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침해수용성 통증 (중간 내지 중증의 급성 침해수용성 통증을 포함); 암 통증 (종양 관련 통증, 예를 들면 골통증, 두통, 안면 통증, 내장 통증, 항암 치료와 관련된 통증, 예를 들면 화학치료 후 통증 증후군, 만성 외과수술 후 통증 증후군, 방사선치료 후 증후군, 및 암과 관련된 급성 통증 증후군, 예를 들면 화학치료 독성, 면역치료, 호르몬치료 및 방사선치료와 같은 치료적 상호작용으로 인한 것을 포함); 요통 (추간판 탈출 또는 파열, 또는 요추후방관절, 천장관절, 척추 주위근 또는 후종인대의 이상으로 인한 요통을 포함); 염증성 통증 (관절통, 류마티스성 질환, 류마티스성 관절염 및 증상을 유발시키는 골관절염을 포함); 근골격계 장애 통증 (근육통, 척추염 통증, 혈청-음성(비-류마티스성) 관절증 통증, 비-관절 류마티즘 통증, 디스트로핀 결손형 근이양증 통증, 글리코겐 분해 통증, 다발성 근육염 통증 및 화농성 근육염 통증을 포함); 내장 통증, 예를 들면 심장 및 혈관 통증 (협심증, 심근경색증, 승모판협착증, 심막염, 레이노 현상, 경화부종 및 골격근 허혈로 인한 통증을 포함); 위장장애로 인한 통증 (소화기 내장 통증, 비-소화기 내장 통증, 기능성 장 장애(FBD), 염증성 장 질환(IBD), 위식도 역류, 소화불량, 과민성 장 증후군(IBS), 기능성 복통 증후군(FAPS), 크론병, 회장염 및 궤양 성 대장염, 월경통, 골반통, 방광염 및 췌장염과 관련된 통증을 포함); 긴장/염좌로 인한 통증; 수술 후 통증(임의의 유형의 외과수술 후의 통증); 외상 후 통증; 화상 후 통증; 급성 통증; 두통(군집성 두통을 포함); 신경병증성 통증 (당뇨병성 신경병증, 포진 후 신경통, 암 신경병증, HIV 신경병증, 삼차신경통, 환지통, 수근관 증후근, 만성 알콜중독, 갑상선기능저하증, 요독증 또는 비타민 결핍으로 인한 신경병증성 통증, 중추성 뇌졸중후 통증, 및 다발경화증, 척수손상, 퍼킨스병 및 간질로 인한 통증을 포함하는, 신경계의 병변 또는 기능부전으로 인한 통증으로서 정의됨); 및 악안면 통증 (치통 및 측두하악근막 통증을 포함) 중에서 선택된 통증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침해수용성 통증, 암 통증, 요통, 염증성 통증, 근골격계 장애 통증, 내장 통증, 긴장 또는 염좌로 인한 통증, 수술 후 통증, 외상 후 통증, 화상 후 통증, 급성 통증, 두통, 신경병증성 통증 및 악안면 통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통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통증의 치료를 위한 사용에 있어 본 발명의 에틸아미노 벤조산 유도체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매일 약 0.01 mg/kg 내지 약 100 g/kg이 투여될 수 있으며, 약 0.1 mg/kg 내지 약 10 g/kg의 1일 투여 용량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연령, 성별, 체중 등), 치료하고 있는 상태의 심각성, 사용된 화합물 등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편리성을 위하여 1일 총 투여량이 나누어지고 하루 동안 여러 번 나누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에틸아미노 벤조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증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에틸아미노 벤조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을 치료가 필요한 개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증의 예방 및/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1> 화합물 2의 제조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2-하이드록시-5-[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벤조산(화합물 2)는 아래와 같은 반응식 1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반응식 1>
Figure 112009081011598-pat00003
반응조건: (a) 4-(트리플루오로메틸)하이드로신나믹산, PCl5, 자이렌, 환류, 12시간; (b) 아세틸클로라이드, DMF/K2CO3, 실온, 2시간; (c) NaBH4 , 아세틱산/1,4-디옥산, 약 95, 50분; (d) HCl/H2O, 아세틱산.
<실시예 1-2> 화합물 1의 제조
화합물 1은 하기 반응식과 유사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09081011598-pat00004
화합물 a: 화합물 2(50.0 g, 154 mmol)의 200 mL H2O:1,4-디옥산(1:1) 혼합 용액에 Na2CO3(32.6 g, 307 mmol)와 디-터트-부틸 디카보네이트(40.3 g, 185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8시간 교반 후에, 디-터트-부틸 디카보네이트(16.8 g, 76.9 mmol)가 추가로 첨가되었다. 실온에서 8시간 동안 추가로 교반한 후에, 반응 혼합물은 2N HCl로 중화(pH ∼6)되었다. 생성 혼합물은 에틸 아세테이트(200 mL, 2회)로 추출되었다. 유기 상을 혼합하고, 염수(100 mL)로 세척하였으며, MgSO4로 건조한 후 여과하였다. 결과적으로 노란색 포말상의 농축물인 화합물a를 얻었으며, 추가 정제 없이 조 화합물 a가 후속 반응에 사용되었다.
1H NMR (400 MHz, CDCl3) 10.52 (1H, br S), 7.53 (d, 2H, J = 8 Hz), 7.53 (br, 1H), 7.28 (d, 2H,J = 8 Hz), 7.26 (br, 1H), 6.94 (d, 1H, J = 8.8 Hz), 3.85 (t, 2H, J = 7.2 Hz), 2.94 (t, 2H, J = 7.2 Hz), 1.43 (br s, 9H).
화합물 b: 화합물 a의 디클로로메탄(200 mL) 용액에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80.3 mL, 461 mmol)과 아세틸 클로라이드(21.9 mL, 307 mmol)가 0℃에서 첨가되었다. 반응 혼합물은 실온으로 가온되었고 5시간 동안 교반되었다. 1N HCl(100 mL) 수용액이 반응 혼합물에 첨가되었다. 반응물은 층으로 분리되었고, 수 층은 디클로로메탄(100 mL)으로 추출되었다. 유기 상들을 혼합하고, 염수(100 mL)로 세척하였으며. MgSO4로 건조하였고, 여과 후 농축하였다. 조 생성물을 디에틸 에테르에서 재결정하여 흰색 고체상의 화합물b(51.5 g, 71.7 %)를 생성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7.82 (br s, 1H), 7.54 (d, 2H, J = 8 Hz), 7.38-7.24 (m, 1H), 7.28 (d, 1H, J = 8 Hz), 7.08 (d, 1H, J = 7.6 Hz), 3.91 (t, 2H, J = 7.2 Hz), 2.98 (t, 2H, J = 7.2 Hz), 2.34 (s, 3H), 1.42 (br s, 9H).
화합물 1: 화합물 b(51.5 g, 110 mmol)의 디클로로메탄(200 mL) 용액이 0℃에서 4 N HCl의 1,4-디옥산 용액(200 mL)으로 처리되었다. 반응 혼합물은 실온으로 가온되었다. 5시간 교반 후, 현탁액은 농축되었다. 잔류물은 디에틸 에테르(500 mL)에서 저작(triturate)되었다. 디클로로메탄(500 mL)과 디에틸 에테르(500 mL)를 이용하여 여과 및 세척하여 흰색 고체상의 ND-07(46.0 g, 82.5 mmol, 92.3 %)을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7.66 (d, 2H, J = 7.6 Hz), 7.52 (d, 2H, J = 7.6 Hz), 7.15 (s, 1H), 6.91 (d, 1H, J = 8.6 Hz), 6.85 (d, 1H, J = 8.6 Hz), 3.32(t, 2H, J = 7 Hz), 2.95 (t, 2H, J = 7 Hz), 2.18 (s, 3H) ) LCMS calc. for C18H16F3NO4 (M+H+): 368, found 368.
<실시예 2> 초산 통증 모델을 이용한 효과 평가
가. 실험내용
(1) 실험동물
18~20 g의 ICR 마우스를 각 집단에 8 마리씩 사용하였다. 동물은 한 우리에 4 마리씩 집단으로 사육하였고 먹이와 물은 자유로이 섭취하게 하였다. 통증 검사 당일 최소한 2 시간 전에 실험실로 데려와 검사 환경에 적응할 수 있게 하였다.
(2) 약물주입
화합물 1은 1% 루트롤(lutrol)™을 사용하여 균질화시켜 10, 25, 50 및 100 mg/kg의 용량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3) 실험절차
화합물 1을 경구투여 하고 나서 30분 후에 26-gauge needle이 달린 주사기를 사용하여 생쥐 복강 내에 1% 아세트산을 10 ml/kg의 용량으로 투여하였다. 1% 아세트산을 투여한 뒤 5분간 방치하여 내장통을 유발하였다. 내장통이 유발된 후 15 분간 생쥐의 통증 행동을 기록하였다. 통증 행동의 검사항목은 몸의 비틀림과 핥음으로 하였다. 통증 행동 검사 후 몸의 비틀림과 핥음의 횟수를 각각 수치화하여 결과로 나타내었다.
나. 실험결과
생쥐의 복강 내에 아세트산을 투여한 후 나타난 몸의 비틀림과 핥음의 횟수를 도 1 및 2에 나타내었다. 도 1과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화합물 1을 투여한 군이 부형제만 투여한 군에 비하여 통증이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통증 완화효과는 약물 농도 의존적으로 나타났으며, 화합물 1 50와 100 mg/kg 용량의 군에서는 유의적으로 통증을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p<0.05).
<실시예 3> 포르말린 통증 모델을 이용한 효과 평가
가. 실험내용
(1) 실험동물
25~30 g의 ICR 마우스를 각 집단에 6 마리씩 사용하였다. 동물은 한 우리에 6 마리씩 집단으로 사육하였고 먹이와 물은 자유로이 섭취하게 하였다. 통증 검사 당일 최소한 2 시간 전에 실험실로 데려와 검사 환경에 적응할 수 있게 하였다.
(2) 약물주입
화합물 1은 1% 루트롤(lutrol)™을 사용하여 균질화시켜 10, 25, 50 및 100 mg/kg의 용량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3) 실험절차
화합물 1을 경구투여 하고 나서 30분 후에 30-gauge needle이 달린 주사기를 사용하여 생쥐 뒷발바닥 피하에 2.5% 포르말린을 50 마이크로리터를 주사하였다. 통증 행동 검사 시간은 주입 직후 0~5분을 1차 반응기(phase I)로, 20~25분을 2차 반응기(phase II)로 나누어 관찰하였다. 1차 반응기는 포르말린이 직접 수용기에 작용하여 급성 통증을 야기하고, 2차 반응기는 지속성 통증으로서 염증성 통증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통증 행동의 검사항목은 포르말린이 주입된 발바닥을 핥는 행동으로 하였다. 통증 행동 검사 후 발바닥을 핥는 총시간을 수치화하여 결과로 나타내었다.
나. 실험결과
생쥐에게 포르말린을 주입한 결과 특징적인 1차 반응기와 2차 반응기의 통증 반응이 관찰되었으며, 그 결과를 도 3 및 4에 나타내었다. 1차 반응기는 포르말린 주입 직후부터 5분까지의 반응을 합한 평균을, 2차 반응기는 포르말린 주입 후 20~25분 사이에 나타나는 반응의 합을 평균하여 나타내었다. 도 3 및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1차 반응기(급성 통증)와 2차 반응기(염증성 통증) 모두에서 화합 물1 투여 군이 부형제군에 비하여 통증완화 효과가 현저하게 나타났으며, 유의적으로 통증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p<0.05). 이러한 결과는 화합물 1은 급성 통증뿐만 아니라 염증성 통증을 완화하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실시예 4> 열 통증 모델을 이용한 효과 평가
가. 실험내용
(1) 실험동물
20~25 g의 ICR 마우스를 각 집단에 5 마리씩 사용하였다. 동물은 한 우리에 5 마리씩 집단으로 사육하였고 먹이와 물은 자유로이 섭취하게 하였다. 통증 검사 당일 최소한 2 시간 전에 실험실로 데려와 검사 환경에 적응할 수 있게 하였다.
(2) 약물주입
화합물 1은 1% 루트롤(lutrol)™을 사용하여 균질화시켜 25과 100 mg/kg의 용량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3) 실험절차
화합물 1을 경구투여 하고 나서 30 분 후에 55±1℃의 욕조에 생쥐의 꼬리 3 cm 정도를 담갔다. 통증 행동의 검사항목은 꼬리를 회수하는 시간으로 하였고 시간 측정은 스톱워치를 사용하였다. 통증 행동 검사 후 꼬리를 회수하는 시간을 수치화하여 결과로 나타내었다.
나. 실험결과
열 통증에 대한 화합물1의 통증완화 효능을 알아보기 위해 생쥐의 꼬리를 뜨 거운 물에 담근 후 꼬리를 회수하는 시간을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화합물1을 투여한 군이 부형제만 투여한 군에 비하여 열 통증을 감소시키는 것이 확인되었고, 통증 완화효과는 약물의 농도 의존적으로 나타났다. 비교 약물들과 비교하였을 시 화합물 1 25 mg/kg 이상에서는 대등한 통증 완화 효능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4 당뇨병성 신경병증 통증 모델에서 화합물 1의 약효 평가
가. 실험내용
(1) 실험용 쥐에서 당뇨유도
실험동물 (오리엔트바이오)로는 체중 250 g 전후의 성숙한 수컷 Sprague-Dawley 흰쥐 42마리를 사용하였다. 사육실에서 12시간 간격으로 밤과 낮 주기를 조절하였으며, 우리에 3마리씩 넣어 사육하였다. 물과 먹이를 자유롭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였고 구입 후 7일 동안 실험실 환경에서 적응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체중 1 kg 당 60 mg의 스트렙토조토신을 복강 내에 주사하여 당뇨를 유발하였으며, 투여 3일 후 꼬리정맥에서 정맥혈을 취하여 공복상태의 혈당이 250 mg/dL 이상인 경우 당뇨병이 유발된 것으로 판정하였다. 정상 대조군에는 같은 부피의 citrate buffer를 주사하였다. 실험 동물은 각각 당뇨를 유발시키지 않은 정상 대조군 12마리와 당뇨를 유발시킨 당뇨 대조군 15마리, 그리고 당뇨를 유발시킨 후 화합물 1을 투여한 군 15마리로 나누었다.
(2) 약물투여
화합물 1은 체중 kg 당 12.5 mg을 10% lutrol (부형제)를 사용하여 균질화시켜 당뇨병이 유발되었음을 확인한 후 8주 동안 매일 하루에 두 번씩 경구투여 하였다. 정상 대조군과 당뇨 대조군에는 같은 부피의 10% lutrol (부형제)를 투여 하였다. 기계적 이질통에 대한 행동학적 검사는 약물 투여 후 각각 4주, 6주, 8주째에 실시하였다.
(3) 기계적 이질통 측정
기계적 이질통은 von Frey hai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바닥이 철망으로 되어있고, 상하가 개방된 투명한 아크릴 상자에 실험쥐를 넣은 후 20분 이상 두어서 쥐가 환경에 적응하도록 하였다. 쥐가 안정된 후 6 g의 압력을 가할 수 있는 von Frey hair를 사용하여 쥐의 발바닥에 압력을 가하고 3초 동안 유지하였다. 총 10번의 자극을 가하여 쥐가 발을 들거나 피하는 회피 반응을 나타내는 횟수를 기록하였다. 각 개체에 대하여 15분의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2회 실시하여 평균값을 결과로 사용하였다.
나. 실험결과
당뇨병성 신경병증 모델에서 화합물 1은 항이질통 효과를 나타내었다. von Frey 테스트 결과 정상 대조군에 비하여 당뇨 대조군에서 4주째에 38.8±5.5 %, 6주째에 42.3±6.3 %, 8주째에 35.8±4.6 %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기계적 이질통이 나타남을 관찰할 수 있었다. 화합물 1을 투여한 당뇨군에서는 이러한 기계적 이질통이 감소하였으며, 화합물 1투여 후 4주, 6주, 8주의 경우 각각 21.3±2.6 %, 23.9±3.7 %, 21.1±2.9 %로 모든 시기에서 당뇨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기계적 이질통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6).
실시 예 5 당뇨병성 신경병증 통증 모델에서 화합물 1의 약효 평가
가. 실험내용
(1) 실험용 쥐에서 당뇨유도
실험동물 (오리엔트바이오)로는 체중 20 g 전후의 성숙한 수컷 ICR 생쥐 30마리를 사용하였다. 사육실에서 12시간 간격으로 밤과 낮 주기를 조절하였으며, 물과 먹이를 자유롭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구입 후 7일 동안 실험실 환경에서 적응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체중 1 kg 당 200 mg의 스트렙토조토신을 복강 내에 주사하여 당뇨를 유발하였으며, 투여 3일 후 꼬리정맥에서 정맥혈을 취하여 공복상태의 혈당이 250 mg/dL 이상인 경우 당뇨병이 유발된 것으로 판정하였다. 정상 대조군에는 같은 부피의 citrate buffer를 주사하였다. 실험 동물은 각각 당뇨를 유발시키지 않은 정상 대조군 10마리와 당뇨를 유발시킨 당뇨 대조군 10마리, 그리고 당뇨를 유발시킨 후 화합물 2을 투여한 군 10마리로 나누었다.
나. 실험결과
화합물2는 당뇨병성 신경병증 모델에서 나타나는 열자극에 대한 통각과민에 대해서 통각과민 효과를 나타내었다 (도. 7). Tail-flick 테스트 결과 정상 대조 군에 비하여 당뇨 대조군에서 3주째에 16.9%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열자극에 대한 통각과민이 나타남을 관찰할 수 있었다. 화합물2를 투여한 당뇨군에서는 이러한 통각과민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 및 2는 초산 통증 모델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인 화합물 1의 진통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 및 4는 포르말린 통증 모델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인 화합물 1의 진통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열 통증 모델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인 화합물 1의 진통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당뇨병성 신경병증 통증 모델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인 화합물 1의 항이질통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당뇨병성 신경병증 통증모델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인 화합물 2의 통각과민에 대한 감소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Claims (2)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2-아세톡시-5-[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벤조산과 화학식 2로 표시되는 2-하이드록시-5-[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벤조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염증성 통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6049324418-pat00005
    <화학식 2>
    Figure 112016049324418-pat00006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증은 침해수용성 통증, 암 통증, 요통, 근골격계 장애 통증, 내장 통증, 긴장으로 인한 통증, 수술 후 통증, 외상 후 통증, 화상 후 통증, 급성 통증, 두통, 신경병증성 통증 및 악안면 통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통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KR1020090132403A 2009-12-29 2009-12-29 에틸아미노 벤조산 유도체의 치료 용도 KR101646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2403A KR101646701B1 (ko) 2009-12-29 2009-12-29 에틸아미노 벤조산 유도체의 치료 용도
PCT/KR2010/009498 WO2011081445A2 (ko) 2009-12-29 2010-12-29 에틸아미노 벤조산 유도체의 치료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2403A KR101646701B1 (ko) 2009-12-29 2009-12-29 에틸아미노 벤조산 유도체의 치료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5842A KR20110075842A (ko) 2011-07-06
KR101646701B1 true KR101646701B1 (ko) 2016-08-08

Family

ID=44227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2403A KR101646701B1 (ko) 2009-12-29 2009-12-29 에틸아미노 벤조산 유도체의 치료 용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46701B1 (ko)
WO (1) WO201108144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21012707A2 (pt) * 2018-12-28 2021-09-08 Gnt Pharma Co., Ltd. Composições e métodos para tratar distúrbios neurodegenerativos
CN112479912A (zh) * 2020-12-08 2021-03-12 浙江普洛家园药业有限公司 2-羟基-5-[2-(4-(三氟甲基苯基)乙基氨基)]苯甲酸晶型及其制备方法
CN112409201B (zh) * 2020-12-08 2022-10-25 浙江普洛家园药业有限公司 2-羟基-5-[2-(4-(三氟甲基苯基)乙基氨基)]苯甲酸的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962B1 (ko) 2007-11-12 2008-08-20 주식회사 뉴로테크 2-하이드록시-5-페닐알킬아미노벤조산 유도체 및 이의 염의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9751B1 (ko) * 2006-04-13 2012-10-10 주식회사 지엔티파마 세포 손상 및 염증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WO2009045083A2 (en) * 2007-10-05 2009-04-09 S.H. Pharma., Ltd Combination therapy for neuroprotection
KR20090037715A (ko) * 2007-10-12 2009-04-16 주식회사 뉴로테크 생체이용률이 개선된 약학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962B1 (ko) 2007-11-12 2008-08-20 주식회사 뉴로테크 2-하이드록시-5-페닐알킬아미노벤조산 유도체 및 이의 염의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81445A2 (ko) 2011-07-07
KR20110075842A (ko) 2011-07-06
WO2011081445A3 (ko) 2011-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98697B (zh) 与抑制巨噬细胞游走抑制因子有关的化合物、组合物、其制备方法和使用方法
DK164851B (da) N-phenylmethylenalkadienamider med analgetisk virkning samt farmaceutiske praeparater indeholdende samme
JP2008526774A (ja) アミノ炭水化物およびアミノ酸のo−アセチルサリチル誘導体を含む組成物
ES2965675T3 (es) Antagonistas del receptor NK-3 para el tratamiento terapéutico o cosmético del exceso de grasa corporal
JP2014221797A (ja) トラマドール及びセレコキシブを含む疼痛治療用組成物
CN102149412A (zh) 肝脏保护剂对乙酰氨基酚协同前药
JP6446131B2 (ja) α−アミノアミド誘導体化合物及びこれを含む薬学的組成物
ES2649492T3 (es) (S)-pirlindol o sus sales farmacéuticamente aceptables para uso en medicina
KR101646701B1 (ko) 에틸아미노 벤조산 유도체의 치료 용도
US20240122957A1 (en) Use of nicotinamide mononucleotide (nmn) for the prevention and/or treatment of rheumatoid arthritis, and corresponding compositions
CN102821761A (zh) 用于治疗疼痛和炎症的n-取代的苯丙酰胺或苯丙烯酰胺
CN101128117A (zh) 包含氨基糖类和氨基酸的o-乙酰水杨基衍生物的组合物
CN111094259B (zh) 止痛化合物
JP2008143856A (ja) 非ステロイド系抗炎症剤配合医薬
WO2019151409A1 (ja) 鎮痛剤及び鎮静剤
US20210299071A1 (en) Substituted benzamides and their use in therapy
AU2019274870A1 (en) Method of treating pain or interstitial cystitis using indole compound
US20230002368A1 (en) Use of compounds for the prevention and/or treatment of ankylosing spondylitis, and corresponding compositions
US20240016790A1 (en) Methods of using a phenoxypropylamine compound to treat pain
JP7090344B2 (ja) セロトニン3受容体アゴニストによる疼痛の治療
JPH0714871B2 (ja) 筋弛緩剤
EP4161899A1 (en) Co-crystal of ketoprofen, lysine and gabapenti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their medical use
UA119070C2 (uk) ЗАСТОСУВАННЯ 5-МЕТИЛ-3-АРИЛ[1,2,4]ТРИАЗОЛО[4,3-a]ПІРИМІДИН-7-ОЛІВ ЯК СПОЛУК, ЩО МАЮТЬ АНАЛГЕТИЧНУ АКТИВНІСТЬ
BR102012017023A2 (pt) Composto imidazolidínico para o tratamento ou prevenção da dor e inflamação de doenças
UA118552U (uk) 5-МЕТИЛ-3-АРИЛ-[1,2,4]ТРИАЗОЛО[4,3-а]ПІРИМІДИН-7-ОЛИ, ЩО МАЮТЬ АНАЛЬГЕЗУЮЧУ АКТИВНІСТ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