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6287B1 - 스티어링 컬럼 조립체용 지지브래킷 - Google Patents

스티어링 컬럼 조립체용 지지브래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6287B1
KR101646287B1 KR1020117005316A KR20117005316A KR101646287B1 KR 101646287 B1 KR101646287 B1 KR 101646287B1 KR 1020117005316 A KR1020117005316 A KR 1020117005316A KR 20117005316 A KR20117005316 A KR 20117005316A KR 101646287 B1 KR101646287 B1 KR 101646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capsule
bracket portion
steering column
support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5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8439A (ko
Inventor
패트릭 앤소니 듀피
Original Assignee
티알더블유 오토모티브 유.에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알더블유 오토모티브 유.에스. 엘엘씨 filed Critical 티알더블유 오토모티브 유.에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20058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84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6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6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9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arrangements, e.g. by being yieldable or collapsible
    • B62D1/195Yieldable supports for the steering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9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arrangements, e.g. by being yieldable or collaps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9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arrangements, e.g. by being yieldable or collapsible
    • B62D1/192Yieldable or collapsible colum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스티어링 컬럼 조립체의 슈라우드를 고정하기 위한 지지브래킷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지지브래킷조립체는 슈라우드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제1브래킷부분(20), 적어도 하나의 고정구에 의하여 차량에 고정되는 제2브래킷부분(30)과, 가용성 연결수단에 의하여 제1브래킷에 고정된 주동체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캡슐(70)로 구성된다. 캡슐(70)의 주동체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구에 의하여 제2브래킷부분(20)에 고정되며 주동체가 제1브래킷부분의 대응하는 통공에 정렬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공을 포함하고, 두 정렬된 통공이 캡슐을 제1브래킷부분에 고정하는 가용성 연결부분을 형성하는 취약성 물질로 채워진다. 제2브래킷부분(30)에 캡슐의 통공에 동축상으로 정렬되고 캡슐과 제2브래킷부분(30) 사이의 취약성 연결부를 형성하는 부가적인 취약성 물질이 채워지는 부가적인 통공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스티어링 컬럼 조립체용 지지브래킷 {SUPPORT BRACKET FOR A STEERING COLUMN ASSEMBLY}
본 발명은 충돌시에 접혀져 붕괴될 수 있는 차량용의 신축형 스티어링 컬럼 조립체에 사용되는 지지브래킷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 조립체는 레이크(rake)라고 알려진 스티어링 휠 높이 그리고 대부분의 경우 리치(reach)라고 알려진 스티어링 휠 거리를 조절할 필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는 내부에 스티어링 휠에 부착된 스티어링 컬럼 축이 회전가능하게 배치된 컬럼 슈라우드(column shroud)가 각각 컬럼 슈라우드 위치의 조절을 방지하거나 허용할 수 있도록 고정 및 해제될 수 있는 클램프기구에 의하여 차량에 고정되어야 하는 것을 요구한다.
통상적인 구성에 있어서는 리치조절을 허용할 수 있도록 일측이 타측의 내부로 활동하는 내부부재와 외부부재, 전형적으로 두개의 기다란 금속튜브로 구성되는 신축형 컬럼 슈라우드를 이용한다. 고정레일이 이들 튜브중의 하나에 용접되고 해제가능한 클램프기구에 의하여 지지브래킷에 고정된다. 그리고 이러한 지지브래킷은 다시 차량샤시에서 거의 움직이지 않는 부동부분에 고정된다. 클램프기구가 고정될 때 고정레일과 지지브래킷은 상대측에 대하여 서로 고정된다. 해제되었을 때 이들은 상대측으로부터 이동할 수 있어 요구된 리치조절을 허용한다. 레이크조절은 U-자 형 브래킷으로 알려진 하측부분이 역 U-자 형으로 성형되고 그 측부암에 수직으로 슬로트가 연장되어 이를 통하여 클램프기구가 관통하는 지지브래킷을 제공함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클램프기구는 이들 슬로트내에서 수직으로 이동되어 이와 함께 컬럼이 레이크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충돌이 일어나는 경우 스티어링 컬럼 조립체는 제어가능하게 접혀져 붕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이나 그 에어백에 부딪치는 힘을 감소시켜준다. 하나의 잘 알려진 구성에 있어서 이와 같이 제어되는 붕괴는 캡슐로 불리는 하나 이상의 성형된 블록을 이용하여 U-자 형 브래킷을 차량에 취약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충돌시에 U-자 형 브래킷에 가하여지는 힘은 이러한 브래킷이 캡슐로부터 분리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높아 U-자 형 브래킷이 차량에 대하여 이동될 수 있도록 허용한다. U-자 형 브래킷과 차체 사이에 착설되는 일부 에너지흡수장치의 형태는 지지브래킷의 운동을 제어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가변형 스트랩이 U-자 형 브래킷에 고정되어 고정받침대를 따라 활동함으로서 스트랩의 점진적이 왜곡이 일어나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충돌시에 이러한 형태의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전형적인 종래기술의 지지브래킷 구성을 보이고 있다. 이는 두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브래킷으로 구성되며, 제1브래킷부분은 클램프기구에 고정된 U-자 형 브래킷의 형태이고 제2브래킷부분은 차량에 고정된 상부취부브래킷의 형태(이 부분은 차체의 고정부일 수도 있다)에 이며 이들 두 부분은 캡슐로 연결된다. 도 5는 전형적인 종래기술의 캡슐구성을 보인 것이다. 캡슐은 두개의 넓은 판의 형태로 성형되거나 가공되고 중간에 소형중간부가 개재된 메인동체부분으로 구성된다. 제1브래킷부분으로부터 절삭된 측면구성은 캡슐의 중앙부에 형성된 대응하는 웅형(雄形)의 측면구성에 긴밀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전형적으로 설계된다. 제1브래킷부분의 연장편에 캡슐을 조립한 후에, 플라스틱과 같은 취약성 물질이 동축상으로 놓인 제1브래킷부분과 캡슐의 통공을 통하여 통상적으로 주입된다. 이러한 동축상의 통공은 다수가 형성될 수 있다. 주입된 플라스틱 물질이 경화되었을 때, 이러한 플라스틱은 상기 사전에 결정된 레벨의 힘이 가하여질 때 전단될 수 있는 가용성 장부촉(fusible dowel) 처럼 작용한다. 전형적으로, 제1브래킷부분의 연장편의 플라스틱 두께는 캡슐의 상하측 플레이트 부분 사이의 간극 보다 약간 작아 주입된 플라스틱의 부분이 상기 간극내로 확산되어 캡슐과 제1브래킷부분 사이의 연결강도를 개선한다.
가용성 캡슐은 제1브래킷부분이 제2브래킷부분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구의 고정점을 구성한다. 이는 통상적으로 제2브래킷부분의 부가적인 대형 통공과 고정볼트가 삽입되는 캡슐의 동축상 통공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충돌시에 제1브래킷부분이 캡슐로부터 분리된다. 조립되었을 때 브래킷의 제1부분과 제2부분은 캡슐 또는 캡슐들의 상측 플레이트의 두께 만큼 간격을 두고 있다. 본원 출원인은 이러한 샌드위치구성이 일부의 경우에 있어서 지지브래킷의 바람직하지 않은 두께가 공간을 제한하도록 하는 것으로 이해하였다.
제1관점에 따라서, 본 발명은 차량에 스티어링 컬럼 조립체의 슈라우드를 고정하기 위한 지지브래킷조립체를 제공하는 바, 지지브래킷조립체가 슈라우드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제1브래킷부분, 적어도 하나의 고정구에 의하여 차량에 고정되는 제2브래킷부분과, 가용성 연결수단에 의하여 제1브래킷에 고정된 주동체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캡슐로 구성되고, 캡슐의 주동체가 적어도 하나의 고정구에 의하여 제2브래킷부분에 고정되며 주동체가 제1브래킷부분의 대응하는 통공에 정렬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공을 포함하고, 두 정렬된 통공이 캡슐을 제1브래킷부분에 고정하는 가용성 연결부분을 형성하는 취약성 물질로 채워지는 것에 있어서, 제2브래킷부분에 캡슐의 통공에 동축상으로 정렬되고 캡슐과 제2브래킷부분 사이의 취약성 연결부를 형성하는 부가적인 취약성 물질이 채워지는 부가적인 통공이 제공됨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기술의 경우와는 다르게, 취약성 물질의 주입과정은 제1브래킷에 이미 조립된 제2브래킷부분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비교적 취약하고 용이하게 전단되거나 부러지며 파손되는 연결부를 의미한다고 언급한 취약성 연결부를 이용하여 제1브래킷부분과 제2브래킷부분 모두에 캡슐을 용착함으로서, 제1브래킷부분을 제2브래킷부분에 직접 근접하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브래킷부분과 캡슐 그리고 제1브래킷부부 사이의 취약성 연결부는 이들의 인접한 평면부분 사이의 작은 간극으로 확산되고 동축상의 통공에도 채워지는 취약성 물질을 포함한다. 이러한 특별한 결합으로 연결부의 전체 강도가 개선된다. 종래기술에 비교하였을 때 이는 캡슐이 조립중에 제1브래킷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캡슐을 개재할 필요에 의하여 이루어지지 않고 취약성 물질에 의하여 제자리에 고정되므로 캡슐의 주동체의 상측부분이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전형적인 캡슐의 하나의 외측 플레이트 부분의 두께(즉, 약 2 mm ~ 4 mm)에 의하여 차량에 대한 컬럼의 취부수단의 전체 두께를 감소시켜 준다. 때때로 이러한 감소는 제한된 공간에 의한 부품들의 잠재적인 충돌이 일어날 수 있는 경우에 유용하다. 예를 들어, 클램프 레버의 상측부와 근접한 캡슐를 수직으로 통과하는 컬럼고정볼트의 헤드 또는 너트 사이의 간섭을 피하는 것이 어려울 때가 있다.
캡슐의 주동체, 제1브래킷부분 및 제2브래킷부분의 통공은 동축상으로 정렬되어 단일의 취약성 연결부가 모든 통공을 통하여 통과할 수 있다.
취약성 연결부는 플라스틱 장부촉으로 구성될 수 있다. 지지브래킷의 두 부분은 금속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요구된 형상으로 프레스되거나 스탬핑될 수 있으며 그밖에 다른 방식으로 성형될 수 있다.
정렬된 통공내에 위치하는 취약성 물질은 그 자리에서 성형된다. 다른 방식으로 이는 통공내에 가압되어 성형되는 플라스틱 장부촉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플라스틱 물질은 제1브래킷부분과 제2브래킷부분이 접촉하여 있는 동안에 이들에 대하여 성형될 수 있다.
다수의 플라스틱 장부촉이 삽입될 수 있도록 캡슐의 주동체나 제1 및 제2브래킷부분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캡슐의 주동체는 제1브래킷부분의 변부에 형성된 대응하는 자형(雌形)의 절결부내에 배치된 웅형부분과 자형 절결부를 통하여 캡슐이 당기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편을 형성하는 베이스부분으로 구성된다. 웅형부분은 그 단부부분이 제1브래킷부분의 상부면과 일치하게 되어 있다.
이와는 달리 웅형부분의 상측부는 제2브래킷부분의 역요입형 요구에 삽입되는 상부컬러를 형성하도록 제1브래킷부분의 상부면의 상측으로 약간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과정은 플라스틱 장부촉 또는 용융 플라스틱을 통공으로 주입하기 전에 캡슐과 제1 및 제2브래킷부분을 제자리에 고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컬러는 제2브래킷부분의 요구에 삽입되기 전에 크기가 맞추어져 제1브래킷부분에 주립하고 삽입할 때 제2브래킷부분에 고정구를 삽입하는 대응하는 통공에 근접결합시킬 수 있다.
제2브래킷부분은 차체의 일부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구는 캡슐의 주동체의 통공을 통하여 통과하는 볼트 또는 리벳트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통공은 주동체의 웅형부분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취약성 캡슐이 제공될 수 있다. 두개의 캡슐이 제공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브래킷의 한 실시형태를 포함하는 스티어링 컬럼 조립체의 어느 한 방향의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스티어링 컬럼 조립체의 지지브래킷과 클램프기구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서 제1브래킷부분을 제2브래킷부분에 연결하는데 사용된 캡슐의 주동체를 보인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캡슐의 사용위치를 보인 다른 방향의 사시도.
도 5는 종래기술의 캡슐을 설치하기 전과 설치한 후의 상태를 보인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캡슐이 설치된 것을 보인 단면도.
도 1에서 보인 바와 같이 스티어링 컬럼 조립체는 내부부재(1)와 이러한 내부부재(1)의 일부가 삽입되는 외부부재(2)로 구성되는 신축형 스티어링 컬럼 슈라우드로 구성된다. 내부 및 외부부재는 금속튜브이고 이들 내부부재와 외부부재 사이에 활동에 의한 상대운동이 허용될 수 있도록 외부부재의 외경이 내부부재의 외경 보다 약간 크다. 도 1의 예에서, 내부부재(1)는 기어박스 하우징(3)에 삽입되는 반면에 외부부재(2)는 단부(4a)의 위치에서 신축형 스티어링 축(4)에 부착되는 스티어링 휠(도시하지 않았음)측으로 연장된다. 기어박스 하우징(3)에는 보조토크를 제공하도록 전기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전동 스티어링 시스템의 경우 기어박스가 수용된다.
스티어링 휠(도시하지 않았음)은 스티어링 컬럼 슈라우드(내부부재 1과 외부부재 2)내에서 자유롭게 회전되는 신축형 스티어링 축(4)에 의하여 지지된다. 플라스틱과 같은 저마찰재의 부싱(도시하지 않았음)이 내부부재와 외부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스티어링 휠의 리치를 조절할 때 또는 사고의 경우 스티어링 컬럼이 신장되거나 붕괴되도록 이들 두 부재가 상대측에 대하여 이동될 때 발생되는 힘을 조절한다.
전동 스티어링 컬럼 조립체의 경우 기어박스 하우징(3)에 기어박스를 포함하는 스티어링 컬럼 슈라우드(내부부재 1과 외부부재 2)의 조립체는 스티어링 휠로부터 회전축선(5)의 단부에서 차체의 일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회전축선(5) 보다 스티어링 휠에 보다 근접한 위치에서 이는 전형적으로 둘 이상의 고정구에 의하여 차체에 고정된 지지브래킷조립체(100)에 클램프기구에 의하여 고정된다. 지지브래킷조립체는 대쉬보드의 하측 영역에 체결되고 클램프기구는 회전축선(5)과 스티어링 휠 사이의 어느 한 지점에서 지지브래킷조립체에 슈라우드(내부부재 1과 외부부재 2)를 고정한다. 클램프기구는 회전축선(5)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에 의하여 스티어링 컬럼의 레이크를 조절할 수 있도록 고정되거나 해제될 수 있다. 도 1에서 보인 컬럼의 경우에 있어서, 스티어링 휠의 리치위치는 슈라우드의 외부부재(2)에 부착된 클램핑 레일에 종방향 슬로트(25a)를 형성함으로서 이를 통하여 조절될 수 있다. 고정되었을 때 스티어링 컬럼은 사고의 경우 이외에 이동될 수 없다.
지지브래킷조립체와 클램핑기구가 첨부도면의 도 2에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지지브래킷은 두 부분, 즉, 금속시이트를 역 U-자 형으로 프레스가공된 제1브래킷부분(20)과 적어도 두개의 볼트(50)에 의하여 차체에 고정되는 제2브래킷부분(30)으로 구성된다.
제1브래킷부분(20)은 스티어링 컬럼 슈라우드(내부부재 1과 외부부재 2)의 상부에 거의 수평으로 놓인 U-자 형의 베이스(21)로 구성된다. 이러한 베이스로부터 수평방향 외측으로 두개의 연장편(23)이 연장되어 있다. U-자 형 브래킷의 두 암(22, 24)이 거의 수직으로 하향 연장되고 고정레일(25)의 측부에 용접되거나 기타 다른 방식으로 슈라우드 외부부재(2)에 부착된다. 고정레일은 기다란 슬로트(2a)의 양측에서 외부부재(2)에 부착된 두개의 간격을 둔 수직벽으로 구성된다.
클램프기구는 이러한 클램프기구가 고정될 때 U-자 형의 제1브래킷부분(20)의 두 암(22, 24) 사이에서 작용하여 이들을 끌어당김으로서 이들이 고정레일(25)의 벽에 압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제1브래킷부분의 암(22, 24)에 형성된 수직슬로트와 레일(25)의 벽에 형성된 수평슬로트를 관통하는 볼트 또는 축(26)을 포함한다. 관상부재인 스티어링 컬럼 슈라우드의 내부부재(1)와 외부부재(2)의 장축선의 방향으로 연장된 이들 슬로트의 목적은 스티어링 컬럼이 리치조절을 위하여 신축될 수 있도록 하고 클램프기구가 해제되었을 때 레이크조절을 위하여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고정너트(27)가 축의 일측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축(26)의 타측 단부는 조절너트(29)와 U-자 형 제1브래킷부분의 대응하는 암의 외측면 사이에 제공된 캠기구(28)로 고정된다. 캠은 회전되지 않게 되어 있고 일련의 톱니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28a)와 상대측에 대하여 활동할 수 있게 된 캠면을 갖는 가동부(28b)로 구성된다. 가동부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레버(31)에 의하여 작동되거나 전기모터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다.
클램프기구를 고정하기 위하여 레버(31)의 회전으로캠 가동부를 회전시킴으로서 캠의 길이가 증가하고 이러한 캠이 암(24)으로부터 너트(29)를 밀어내어 축(26)은 다른 암(22)이 암(24)을 향하여 당기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제1브래킷부분의 암이 함께 고정레일(25)의 벽을 밀어 외부부재(2)의 슬로트(2a)를 폐쇄한다. 따라서 관상부재의 형태인 외부부재(2)의 내경이 감소하여 이 외부부재가 내부부재(1)를 협지하도록 한다.
클램프기구의 해제를 위한 캠의 회전은 캠의 길이를 감소시켜축의 텐션을 줄임으로서 고정브래킷에 대한 암의 협지상태를 풀어주는 효과를 갖는다.
고정되었을 때 제1브래킷부분과 레일이 상대측에 대하여 활동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하여, 간격을 둔 두 열의 톱니(41, 42)가 형성된 톱니판(40)이 일측의 기다란 슬로트를 따라 일측 고정레일(25)에 용접되고, 클램프기구의 캠 고정부(28a)에 보상적인 톱니셋트가 형성되어 있다. 톱니가 형성되어 있는 레일은 고정레일(25)의 슬로트와 정렬된 슬로트를 포함한다. 고정되었을 때 클램프기구의 톱니가 톱니판(40)의 대향된 톱니의 일부와 결합된다. 해제되었을 때 클램프기구는 분리되게 이동되어 톱니가 완전히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슈라우드는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에 부딪치는 충돌시에 붕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제2브래킷부분은 통상적으로 차량구조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고 차량에 컬럼을 조립할 때 제2브래킷부분의 통공과 U-자 형 브래킷의 각 연장편에 고정되는 캡슐(70)에 형성된 동축상의 통공을 통하여 관통하는 적어도 두개의 볼트(50)에 의하여 차량구조물에 고정된다.
상기 캡슐(70)은 제1브래킷부분의 일부인 연장편에 취약하게 고정되어 있으며, 각 볼트(50)가 각 캡슐의 개방부(71)를 통하여 관통한다. 각 캡슐(70)은 도 3에서 보인 바와 같이 주동체와 용융플라스틱으로부터 성형된 장부촉 형태인 3개의 취약성 연결부(73)로 구성된다. 이러한 취약성 연결부는 첨부도면의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제1브래킷부분으로부터 제2브래킷부분 까지의 주요연결은 캡슐(70)을 통하여 이루어져 있으므로 제1브래킷부분은 충돌시에 사전에 결정된 힘이 스티어링 컬럼의 축선에 평행하게 가하여져 이 힘이 충분히 플라스틱 장부촉의 형태인 취약성 연결부(73)을 단절할 때 제1브래킷부분으로부터 단절되어 분리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장부촉 형태인 취약성 연결부(73)의 단절이후에, 제1브래킷부분은 이러한 제1브래킷부분에 고정되고 제2브래킷부분의 슬로트(92)(도 1 참조)내에서 활동하는 특수볼트 및/또는 와셔(90)에 의하여 제2브래킷부분에 대해 계속 안내된다. 가변형 스트랩(91)(도 1 참조)이 제1브래킷부분에 고정되고 제2브래킷부분에 형성된 받침대(93)(도 1 참조)상에서 활동될 수 있으며, 이러한 스트랩은 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하여 점진적으로 왜곡될 수 있다.
조립되었을 때 본 발명 캡슐의 특별한 구성이 도 6에 도시되어 있으며, 조립전의 주동체만은 첨부도면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주동체는 하측부(72)와 상측부(74)로 구성된다. 상측부(74)는 연장편의 변부에 형성된 보상적인 자형 절결부내에 삽입되는 주동체를 포함한다. 하측부(72)는 웅형부분이 자형 절결부를 통하여 상측으로 당기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편을 구성한다. 개방부(71)가 주동체에 형성되고 이에 도 2에서 보인 바와 같이 너트(60, 61)가 결합되는 볼트(50)가 삽입된다. 주동체의 상측에는 확장편(76)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확장편의 용도는 제2브래킷부분의 연장편의 상부면에 형성된 역요입형 요구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하측부(72)에 의하여 형성되는 방지편과 함께 캡슐의 주동체를 제자리에 고정한다. 또한 하측부(72)에는 연장편의 대응하는 통공(78)과 지지브래킷의 제1브래킷부분의 대응하는 통공(77)에 정렬되는 수개의 통공(75)이 구비되어 있다. 이들 일련의 통공(75, 78, 77)은 용융상태에서 이들 통공에 주입되는 플라스틱에 의하여 구성되는 플라스틱 장부촉 형태인 취약성 연결부(73)로 채워진다. 응고되었을 때 이는 연장편과 제1브래킷부분에 대한 캡슐의 취약한 연결부를 구성한다.
제1브래킷부분의 연장편의 상부면은 제2브래킷부분에 직접 접촉하거나 주입된 소량의 플라스틱 물질에 의하여 간격을 둘 수 있을 것이다.
20: 제1브래킷부분, 30: 제2브래킷부분, 70: 캡슐

Claims (9)

  1. 차량에 스티어링 컬럼 조립체의 슈라우드를 고정하기 위한 지지브래킷조립체로서, 지지브래킷조립체가 슈라우드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제1브래킷부분, 적어도 하나의 고정구에 의하여 차량에 고정되는 제2브래킷부분과, 가용성 연결수단에 의하여 제1브래킷에 고정된 주동체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캡슐로 구성되고, 캡슐의 주동체가 적어도 하나의 고정구에 의하여 제2브래킷부분에 고정되며 주동체가 제1브래킷부분의 대응하는 통공에 정렬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공을 포함하고, 두 정렬된 통공이 캡슐을 제1브래킷부분에 고정하는 가용성 연결부분을 형성하는 취약성 물질로 채워지는 것에 있어서, 제2브래킷부분에 캡슐의 통공에 동축상으로 정렬되고 캡슐과 제2브래킷부분 사이의 취약성 연결부를 형성하는 부가적인 취약성 물질이 채워지는 부가적인 통공이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컬럼 조립체용 지지브래킷.
  2. 제1항에 있어서, 캡슐의 주동체, 제1브래킷부분 및 제2브래킷부분의 각 부분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통공이 동축상으로 정렬되어 이들 각 통공을 통하여 단일의 취약성 연결부가 통과할 수 있게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컬럼 조립체용 지지브래킷.
  3. 제2항에 있어서, 취약성 연결부가 플라스틱 장부촉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컬럼 조립체용 지지브래킷.
  4. 제2항에 있어서, 정렬된 통공내에 배치된 취약성 물질이 제자리에서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컬럼 조립체용 지지브래킷.
  5. 제1항에 있어서, 캡슐의 주동체가 제1브래킷부분의 변부에 형성된 대응하는 자형의 절결부내에 배치된 웅형부분과 자형 절결부를 통하여 캡슐이 당기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편을 형성하는 베이스부분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컬럼 조립체용 지지브래킷.
  6. 제5항에 있어서, 웅형부분이 그 단부가 제1브래킷부분의 상부면과 일치하게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컬럼 조립체용 지지브래킷.
  7. 제5항에 있어서, 조립중에, 웅형부분의 상측부는 조립중에 제2브래킷부분의 역요입형 요구에 삽입되는 상부컬러를 형성하도록 제1브래킷부분의 상부면의 상측으로 약간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컬럼 조립체용 지지브래킷.
  8. 제1항에 있어서, 제2브래킷부분이 차체의 일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컬럼 조립체용 지지브래킷.
  9. 삭제
KR1020117005316A 2008-09-06 2009-09-04 스티어링 컬럼 조립체용 지지브래킷 KR1016462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816352.9 2008-09-06
GBGB0816352.9A GB0816352D0 (en) 2008-09-06 2008-09-06 Support bracket for a steering column assembly
PCT/IB2009/053872 WO2010026552A2 (en) 2008-09-06 2009-09-04 Support bracket for a steering column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8439A KR20120058439A (ko) 2012-06-07
KR101646287B1 true KR101646287B1 (ko) 2016-08-05

Family

ID=39888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5316A KR101646287B1 (ko) 2008-09-06 2009-09-04 스티어링 컬럼 조립체용 지지브래킷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678436B2 (ko)
EP (1) EP2326546B1 (ko)
KR (1) KR101646287B1 (ko)
CN (1) CN102202957B (ko)
GB (1) GB0816352D0 (ko)
WO (1) WO201002655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28868B2 (ja) * 2010-03-19 2014-06-25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ステアリング装置
JP2013001242A (ja) * 2011-06-16 2013-01-07 Jtekt Corp ステアリング装置
JP5626164B2 (ja) * 2011-07-26 2014-11-19 日本精工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コラム用支持装置
EP2778016B1 (en) * 2011-11-07 2018-04-18 NSK Ltd. Steering apparatus
CN103946100B (zh) * 2011-11-18 2016-05-04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转向管柱装置
US10640228B2 (en) * 2013-02-22 2020-05-05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Auxiliary power unit mounting bracket
JP6115769B2 (ja) * 2013-05-24 2017-04-19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ステアリング装置
JP6187809B2 (ja) * 2013-06-28 2017-08-30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ステアリング装置
JP5737369B2 (ja) * 2013-11-22 2015-06-17 日本精工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コラム用支持装置
DE112015001027T5 (de) * 2014-02-27 2016-12-22 Kyb Corporation Lenkvorrichtung
JP6263415B2 (ja) * 2014-02-27 2018-01-17 Kyb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装置
JP6349891B2 (ja) * 2014-04-09 2018-07-04 日本精工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装置
GB201705272D0 (en) * 2016-07-07 2017-05-17 Trw Steering Systems Poland Sp Z O O A steering column assembly
DE112018004682T5 (de) * 2017-10-23 2020-06-25 Trw Steering Systems Poland Sp. Z.O.O. Lenksäulenanordnung
JP7079147B2 (ja) * 2018-05-23 2022-06-01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ステアリングコラム
GB2587332B (en) * 2019-09-16 2023-09-13 Trw Ltd A steering column assembly
FR3101054B1 (fr) * 2019-09-19 2022-02-18 Robert Bosch Automotive Steering Vendome Butée pour reprise d'effort latéral
JP7254679B2 (ja) * 2019-11-14 2023-04-10 株式会社クボタ シャフトのシール構造及び当該シール構造を備えた作業機
US11840141B2 (en) * 2021-05-03 2023-12-12 Nissan North America, Inc. Vehicle drive train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7326A (en) 1972-07-28 1975-09-23 Gen Motors Corp Occupant knee restraint
JP2556510B2 (ja) * 1987-04-30 1996-11-20 富士機工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取付構造
US5390955A (en) * 1993-12-23 1995-02-21 Chrysler Corporation Steering column release capsules
JPH0872728A (ja) 1994-08-31 1996-03-19 Toyota Motor Corp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支持構造およびその製造方法と製造装置
JP3097481B2 (ja) * 1995-01-12 2000-10-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ブラケットおよびステアリングブラケット製造方法
US5704254A (en) * 1995-02-13 1998-01-06 Chrysler Corporation Steering column isolator pads
DE19624218A1 (de) * 1996-06-18 1998-01-02 Opel Adam Ag Lenkanlage
KR980008958A (ko) * 1996-07-18 1998-04-30 김욱한 자동차용 스티어링컬럼의 조립방법
US5899116A (en) * 1997-12-08 1999-05-04 General Motors Corporation Connection for energy-absorbing steering column
KR100323500B1 (ko) 1998-03-17 2002-05-13 이계안 싱글코일의 온도보상장치 및 방법
US6419269B1 (en) * 1999-09-20 2002-07-16 Delphi Technologies Locking system for adjustable position steering column
JP3742278B2 (ja) 2000-05-31 2006-02-01 光洋精工株式会社 衝撃吸収式ステアリング装置
US6450532B1 (en) * 2000-11-28 2002-09-17 Delphi Technologies, Inc. Energy absorber for motor vehicle steering column
US6659504B2 (en) * 2001-05-18 2003-12-09 Delphi Technologies, Inc.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KR100795079B1 (ko) * 2001-07-19 2008-01-17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마운팅브라켓
JP2003341526A (ja) * 2002-05-24 2003-12-03 Iseki & Co Ltd ステアリングハンドル取付構造
US7178833B2 (en) 2004-03-15 2007-02-20 Delphi Technologies, Inc. Steering column assembly with vertical capsules
KR100599481B1 (ko) * 2004-09-06 2006-07-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조향컬럼의 충격흡수장치
US7228755B2 (en) * 2005-03-31 2007-06-12 Delphi Technologies, Inc. Release capsule for steering column
JP4205687B2 (ja) * 2005-03-31 2009-01-07 株式会社山田製作所 ステアリング装置
GB0517781D0 (en) 2005-09-01 2005-10-12 Trw Lucasvarity Electric Steer Steering column assembly
JP4800082B2 (ja) 2006-03-31 2011-10-26 富士機工株式会社 車両用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KR100844646B1 (ko) * 2006-12-10 2008-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티어링 칼럼의 캡슐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278426A1 (en) 2011-11-17
US8678436B2 (en) 2014-03-25
WO2010026552A3 (en) 2010-07-15
KR20120058439A (ko) 2012-06-07
CN102202957A (zh) 2011-09-28
GB0816352D0 (en) 2008-10-15
EP2326546A2 (en) 2011-06-01
EP2326546A4 (en) 2013-05-22
EP2326546B1 (en) 2014-04-30
WO2010026552A2 (en) 2010-03-11
CN102202957B (zh) 2013-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6287B1 (ko) 스티어링 컬럼 조립체용 지지브래킷
US8627742B2 (en) Steering column assembly with shearable jacket connector
US7661711B2 (en) Steering column assembly with active energy absorption device
KR100848497B1 (ko) 와이어 블록 어셈블리를 구비한 자동차의 충격 흡수식조향컬럼
US9365235B2 (en) Steering column assembly
JPH07232649A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装置
GB2454345A (en) Adjustable Steering Column with Lock to Limit Adjustment
CN105209317A (zh) 用于转向管柱的能量吸收装置
JP2001171529A (ja) 自動車用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火工装填式の調整可能なエネルギー吸収装置
CN110248859A (zh) 用于机动车辆的转向柱
US7178833B2 (en) Steering column assembly with vertical capsules
EP2738064A1 (en) Impact absorbing steering device
JP2010052639A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US3476345A (en) Mounting arrangement for collapsible steering columns
JP3396158B2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エネルギー吸収構造
JP3389767B2 (ja) 衝撃吸収式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US11485401B2 (en) Steering column for a motor vehicle
US20050082811A1 (en) Shock absorption type steering column device
JP2011131682A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支持装置
JP5327181B2 (ja) 自動車用ステアリング装置
CN109641611B (zh) 转向柱组件
CN111232048A (zh) 转向柱组件
WO2012026259A1 (ja) 衝撃吸収式ステアリング装置
KR100546511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틸트 칼럼 어셈브리
JP2011148354A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