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5320B1 - 휴대용 커피 로스터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커피 로스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5320B1
KR101645320B1 KR1020150171570A KR20150171570A KR101645320B1 KR 101645320 B1 KR101645320 B1 KR 101645320B1 KR 1020150171570 A KR1020150171570 A KR 1020150171570A KR 20150171570 A KR20150171570 A KR 20150171570A KR 101645320 B1 KR101645320 B1 KR 101645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support plate
plate
fastened
fix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1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9266A (ko
Inventor
김범연
Original Assignee
(주)와이원
김범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와이원, 김범연 filed Critical (주)와이원
Publication of KR20160089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9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5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5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23N12/10Rotary roasters
    • B01F15/00207
    • B01F15/00538
    • B01F15/00772
    • B01F9/0034
    • B01F9/02
    • B01F9/06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커피 로스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열 유리 관을 갖는 드럼을 통해 내부에서 진행되는 로스팅 과정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전면덮개와 이격되게 설치된 이격판을 통해 드럼의 내부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면서 드럼 내의 체프와 연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로스팅이 안정적으로 이루어는 것이다.
이는 교반날개가 체결된 고정축을 내열 유리관의 내부에 다수 개를 설치하고 그 양측단을 원형 판인 전면덮개로 고정하며, 한쪽 전면덮개에는 나팔관 형태의 투배출구를 체결하고, 다른 쪽 전면덮개에는 공기 유입공을 형성하고 그 전방에 이격판이 형성된 드럼과, 드럼의 다른 쪽 전면덮개에 체결되며 내부에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베어링이 체결된 회전축을 형성하고 회전축의 외면에 외부로 돌출된 걸림턱 사이에 체결홈이 형성된 손잡이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의 드럼이 회전되게 체결되며 상면에 상향 돌출된 돌출부와 그 중앙에 결합홈과 돌출부의 전면에 고정핀이 형성된 한쪽 지지판과, 한쪽 지지판과 대칭이면서 결합홈의 중앙에 하측으로 고정홈이 형성된 다른 쪽 지지판이 일체로 형성된 받침대와, 지지판의 전면과 후면을 밀폐하고 상측에 지지봉이 볼트 결합된 보호판으로 이루어진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의 지지판에 체결되며 내부 하측에 필터가 장착된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고 내부 상측에 걸름망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외부로 돌출된 고정핀을 형성하고, 고정핀의 상측에 외부로 돌출된 2개의 결합턱 사이에 체결홈이 형성된 체프통과; 상기 체프통의 상면에 체결되며 내부 하측에 팬이 형성되고 팬에 전원 공급하는 잭이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된 연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커피 로스터기{Portable coffee roasting machine}
본 발명은 휴대용 커피 로스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열 유리 관을 갖는 드럼을 통해 내부에서 진행되는 로스팅 과정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전면덮개와 이격되게 설치된 이격판을 통해 드럼의 내부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면서 드럼 내의 체프와 연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로스팅이 안정적으로 이루어는 것이다.
또한, 거치대에 설치된 체프통 및 연통을 통해 로스팅 과정에서 발생하는 체프와 이물질 및 연기를 신속하게 배출시며 로스팅을 신속하면서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거치대의 받침판이 수평 상태를 유지하므로 가스레인지의 받침에 안정적으로 거치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는 커피나무에서 수확한 생두(Green Bean)를 가열하여 원두(Coffee Bean)로 변환하는 로스팅(roasting)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런 로스팅 과정은, 생두를 가열되는 드럼에 넣은 후 일정시간 동안 볶아 주는 과정으로서, 생두의 종류에 따라 가열하는 온도 및 시간을 변화시켜줘야 생두가 가지고 있는 향과 맛을 최대한 보존하면서 원두로 변환시키게 된다.
종래에는 대형 커피전문점 등에서 다량의 생두를 대형 로스팅 장치를 통하여 볶아낸 후 사용자에게 판매하고 있는데, 품질이 일정하지 않고 생두의 종류에 따라 변화시켜줘야 하는 가열온도 및 시간을 섬세하게 조절하지 못하여 생두가 가지고 있는 향과 맛을 보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커피를 가정에서 직접 로스팅 한 후 마시고자하는 소비자들의 요구에 따라 소형의 로스팅 장치들이 보급되고 있는데, 이러한 소형, 가정용 로스팅 장치로서 제안된 종래기술로는, 공개특허 제10-2011-129553호(2011.12.02., 공개)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가정이나 야외에서 가스버너 등을 이용하여 소량의 커피를 볶을 수 있는 휴대용 커피로스터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히 커피 로스터의 드럼이 지면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을 형성하도록 하여 로스팅되는 원두가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가스버너 등을 가열수단으로 이용하기 때문에 로스팅에 필요한 온도(최소 160~230℃)로 가열되기까지 많은 시간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으며, 나아가 로스팅된 원두의 향과 맛도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실용신안공개 제2014-0005352호인 '커피 로스팅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커피 로스팅 장치는 첨부된 도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하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수용공간(S)이 형성된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개구된 상부를 개폐하도록 힌지(H)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커버(11)와, 전방 및 후방의 하부 말단에 좌우 길이 방향으로 각각 형성된 지지판(14)을 포함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수용공간(S)에 배치되며 내부에 수용된 생두를 교반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교반날개가 구비되고, 외주면이 메쉬망 형태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관체로서, 일측단부에 구비되며 생두를 내측으로 투입하거나 로스팅된 원두를 배출하기 위한 출입구(22)와, 타측단부에 구비된 회전축결합구(23)를 포함한 회전드럼(20)과; 상기 회전축결합구(23)에 결합하여 회전드럼(20)을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일단은 상기 회전축결합구(23)에 결합되고 타단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파지구(32)가 결합된 회전축(31)을 포함한 회전손잡이(30)와; 상기 회전드럼(20)의 하부에 배치되며 숯(C)이 저장된 숯통(40)과; 상기 숯통(4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드럼(20)을 향해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원적외선방출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종래의 고안은 로스팅되는 커피의 상태를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없으며, 드럼 내부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지 않아 로스팅 고정에서 발생하는 연기나 타는 냄새로 인해 로스팅 후 커피의 맛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로스팅 과정에서 발생하는 커피 껍질이나 이 물질 등을 외부로 흡입하여 신속하게 배출하는 장치가 없어 로스팅이 완료된 후에 커피와 이 물질을 분리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드럼에 형성된 손잡이가 받침대에 견고하게 고정되지 않아 로스팅 작업 중에 드럼의 회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여러 가지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개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이격판을 통해 드럼의 내부로 신선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킴과 동시에 드럼 내에서 로스팅 중 발생하는 체프와 연기를 외부 공기와 함께 외부로 배출시켜 로스팅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 휴대용 커피 로스터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손잡이에 형성된 체결홈이 지지판의 고정핀에 밀착된 상태에서 결합홈에 체결되므로 드럼이 수평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므로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커피 로스터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드럼의 내부로 온도계를 설치하여 외부에서 로스팅 온도를 확인할 수 있고, 체프통과 연통을 통해 드럼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체프와 이물질 및 연기를 신속하게 제거하므로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로스팅이 이루어지는 휴대용 커피 로스터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교반날개가 체결된 고정축을 내열 유리관의 내부에 다수 개를 설치하고 그 양측단을 원형 판인 전면덮개로 고정하며, 한쪽 전면덮개에는 나팔관 형태의 투배출구를 체결하고, 다른 쪽 전면덮개에는 공기 유입공을 형성하고 그 전방에 이격판이 형성된 드럼과, 드럼의 다른 쪽 전면덮개에 체결되며 내부에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베어링이 체결된 회전축을 형성하고 회전축의 외면에 외부로 돌출된 걸림턱 사이에 체결홈이 형성된 손잡이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의 드럼이 회전되게 체결되며 상면에 상향 돌출된 돌출부와 그 중앙에 결합홈과 돌출부의 전면에 고정핀이 형성된 한쪽 지지판과, 한쪽 지지판과 대칭이면서 결합홈의 중앙에 하측으로 고정홈이 형성된 다른 쪽 지지판이 일체로 형성된 받침대와, 지지판의 전면과 후면을 밀폐하고 상측에 지지봉이 볼트 결합된 보호판으로 이루어진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의 지지판에 체결되며 내부 하측에 필터가 장착된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고 내부 상측에 걸름망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외부로 돌출된 고정핀을 형성하고, 고정핀의 상측에 외부로 돌출된 2개의 결합턱 사이에 체결홈이 형성된 체프통과; 상기 체프통의 상면에 체결되며 내부 하측에 팬이 형성되고 팬에 전원 공급하는 잭이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된 연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의 효과가 있다.
첫째는 전면덮개와 이격되게 설치된 이격판을 통해 드럼의 내부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면서 드럼 내의 체프와 연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로스팅이 안정적으로 이루어는 효과가 있다.
둘째는 사용자가 로스팅 과정을 내열 유리 관을 갖는 드럼을 통해 직접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로스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는 손잡이의 체결홈이 지지판의 고정핀에 밀착된 상태에서 결합홈에 체결되므로 드럼이 수평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므로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는 거치대에 설치된 체프통 및 연통을 통해 로스팅 과정에서 발생하는 체프와 이물질 및 연기를 신속하게 배출시며 로스팅을 신속하면서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는 거치대의 받침판이 수평 상태를 유지하므로 가스레인지 받침에 안정적으로 거치되어 안전하게 로스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2는 종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본체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드럼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투배출구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7~8은 본 발명의 손잡이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거치대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체프통과 연동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12~13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의 도 3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 이하는 본 발명의 각 구성들을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12~13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의 도면 중 부호 200은 본 발명의 휴대용 커피 로스터기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휴대용 커피 로스터기(200)은 내열 유리관(211)의 양측 단에 고정 설치되는 양측 전면덮개(220)를 갖는 드럼(230)과 한쪽 전면덮개(220)에 체결되어 드럼(230)을 회전시키는 손잡이(240)로 이루어진 본체(210)와, 상기 본체(210)가 거치되며 결합홈(254)을 갖는 지지판(252)이 일체로 형성된 받침판(251)과, 지지판(252)의 전면과 후면을 밀폐하고 상면에 지지봉(258)이 볼트로 체결된 보호판(257)을 갖는 거치대(250)와, 상기 거치대(250)의 한쪽에 설치되며 내부의 하측에 필터(262)가 형성된 공기 흡입구(261)와 내부 상측에 걸름망(263)이 형성하고, 외주면에 고정핀(264)과 체결홈(266)이 형성된 체프통(260)과, 상기 체프통(260)의 상면에 설치되는 연통(270)으로 구성한다.
상기 본체(210)는 첨부된 도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열 유리관(211)의 양측 단에 원형 판인 전면덮개(220)가 설치된 드럼(230)과, 드럼(230)의 한쪽 전면덮개(220)에 고정 설치되어 드럼(230)을 회전시키는 손잡이(240)로 구성한다.
상기 드럼(230)은 첨부된 도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열 유리관(211)의 양측에 스테인레스 재질이면서 원형 판인 전면덮개(220)를 고정 설치한다.
상기 내열 유리관(211)의 내부에는 교반날개(231)가 체결된 사각봉이면서 양측 단에 원형 나사축이 형성된 고정축(232)을 3개 삽입하고, 고정축(232)의 양측 나사축에 전면덮개(220)의 삽입한 후 너트(233)를 체결하여 내열 유리관(211)의 한쪽 단에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상기 교반날개(231)는 하단에 브이홈 또는 돌기가 형성된 얇은 철판으로 고정축(232)의 후면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설치한 후 다수 개의 볼트를 체결하고 너트로 조여 고정한다.
상기 교반날개(231)는 회전하면서 드럼(230)의 내부에 들어있는 원두가 잘 섞이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교반날개(231)의 상측 중앙에 W 형태의 스프링(234)을 체결하여 교반날개(231)가 회전될 때 스프링(234)의 텐션에 의해 드럼(230) 내측에 교반날개(231)을 밀착시켜 원두를 원활하게 회전시켜 로스팅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드럼(230)은 내열유리관(211)이 아닌 외주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의 타공이 형성된 스테인레스관이나 동관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드럼(230)의 전면덮개(220) 중 한쪽 전면덮개(220')에는 나팔관 형태의 호퍼인 투배출구(225)가 삽입되는 원형의 삽입공(221)을 형성하고, 다른 쪽 전면덮개(220'')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공(222)을 형성하고 그 후방에 일정 간격을 두고 금속 재질의 조절판(223)을 설치한다.
상기 조절판(223)은 금속 재질이면서 삼각 형태이며 드럼(230)의 다른 쪽 전면덮개(220'')의 표면에서 일정 거리 떨어지게 설치한다.
상기 조절판(223)과 전면덮개(220)의 이격 공간을 통해 드럼(230)의 내부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며, 이때, 유입공(222)의 전방에 첨부된 도면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필터(224)를 체결하므로 드럼(230)의 내부에서 로스팅 중에 발생하는 체프나 이물질 등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드럼(230)의 한쪽 전면덮개(220')에 설치되는 투배출구(225)는 원형의 고정판(226)의 전면에 일정 길이를 갖는 나팔관 형태의 호퍼(255)를 형성한다.
상기 투배출구(225)는 드럼(230)의 내부로 로스팅 중에서 원두를 투입할 수 있고, 동시에 드럼(230)의 내부에서 로스팅된 원두를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투배출구(225)는 첨부된 도면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판(226)의 하측에 내측으로 돌출된 ㄷ자 형태로 절곡된 텐션 스프링(227)을 볼트(228)와 너트(229)로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텐션 스프링(227)의 하측으로 고정판(226)에 형성된 이동통로(226a)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설치한다.
상기 텐션 스프링(227)의 하측은 상,하 이동하면서 투배출구(225)가 전면덮개(220')에 원터치 식으로 결합 및 분리되도록 한다.
상기 손잡이(240)는 첨부된 도면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케이스(241)의 내부에 베어링(242)이 장착된 회전축(243)을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하고 그 후방에 구동모터(M)를 연결 설치하며, 케이스(241)의 후방에 마감캡(244)을 나사 결합한다.
상기 구동모터(M)은 외부 전원인 12볼트 DC를 통해 작동되며, 첨부된 도면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별도의 충전식 배터리(B)를 사용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어링(242)의 외면에 외부로 돌출된 2개의 결합턱(245) 사이에 체결홈(246)이 형성된 베어링 케이스(247)를 결합하고, 마감캡(244)의 내측에 구동모터(M)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연결잭(248)을 형성한다.
상기 케이스(241)의 외면에는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우레탄 재질의 손잡이 커버(249)를 형성한다.
상기 거치대(250)는 첨부된 도면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 측면에 수직 상태로 형성된 지지판(252)이 일체로 형성된 받침판(251)과, 지지판(252)의 전면과 후면에 밀폐시키는 보호판(257)으로 구성한다.
상기 받침판(251)은 사각 형태이면서 수평 상태인 금속판의 내측을 2개로 절개한 후 양측으로 절곡하여 수직 상태의 측면 지지판(252)을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 지지판(252)은 상면에 상향 돌출된 2개의 돌출부(253)를 형성하고 그 중앙에 반원형의 결합홈(254)을 형성한다.
상기 지지판(252) 중 한쪽 지지판(252')의 돌출부(253) 전면에는 외부로 돌출된 고정핀(255)을 고정 설치하고, 다른 쪽 지지판(252'')에는 반원형의 결합홈(254) 중앙에 하측으로 길게 형성된 고정홈(256)을 형성한다.
상기 한쪽 지지판(252')의 결합홈(254)에 손잡이(240)의 체결홈(246)이 체결되고, 이때, 외부로 돌출된 고정핀(255)이 전방 결합턱(245)의 내측 면에 밀착되어 손잡이(240)의 체결이 안정되면서 손잡이(240)에 연결된 드럼(230)의 수평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다른 쪽의 지지판(252'')의 고정홈(256)에는 후술하는 체프통(260)의 고정핀(264)이 체결된다.
상기 양측 지지판(252')(252'')의 전면과 후면에 금속 재질이면서 라운드 형태인 보호판(257)을 체결한다.
상기 보호판(257)은 지지판(252)의 전면과 후면 전체 면을 밀폐하며, 상면에 양측 지지판(252)에 원형 금속인 지지봉(258)을 체결하고 볼트(259)를 체결하여 고정한다.
상기 지지봉(258)은 지지판(252)은 견고하게 지지하여 지지판(252)이 내측으로 휘어지거나 뒤틀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거치대(250)의 받침판(251)은 가스 렌지의 발판에 수평 상태로 놓이게 되어 안전성이 뛰어나며, 화력은 보호판(257)의 내측에서 올라오게 되고, 보호판(257)이 외부로 화력이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안전하게 로스팅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체프통(260)은 첨부된 도면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알루미늄 재질의 원형 통이며 내부 하측에 필터(262)가 장착된 공기 흡입구(261)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 상측에는 체프 및 이 물질을 걸러주는 걸름망(263)을 설치한다.
그리고 체프통(260)의 외주면 외부로 돌출된 고정핀(264)을 형성하고, 고정핀(264)의 상측에 외부로 돌출된 2개의 결합턱(265) 사이에 체결홈(266)을 형성한다.
상기 결합 돌기의 체결홈(266)은 다른 쪽 지지판(252'')의 결합홈(254)에 체결되어 고정되고 동시에 고정핀(264)은 고정홈(256)에 삽입되므로 체프통(260)이 지지판(252)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하측 면을 통해 외부공기가 유입된다.
상기 연통(270)은 알루미늄 재질의 원형 통이며 내부 하측에 팬(271)을 형성하여 내부의 체프와 연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팬(271)에 전원을 공급하는 잭(272)은 연통(270)의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하며, 전원은 12볼트 DC를 사용하게 된다.
상기 연통(270)은 하측을 체프통(260)의 상면에 설치되며 그 길이는 작업 환경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구성을 첨부된 도면 도 9를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드럼(230) 내의 로스팅 온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온도계(280)를 설치하게 된다.
상기 온도계(280)를 측정된 온도를 표시하는 표시판(281)과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282)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설치는, 온도센서(282)를 체프통(260)과 투배출구(225)의 내부를 관통하여 드럼(230)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한다.
이때, 온도계(280)의 표시판(281)은 체프통(260)의 외면에 고정되어 있어 드럼(230)과 함께 회전하지 않고, 드럼(230) 내의 온도를 측정하여 표시판(281)을 통해 표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연동(270)의 상면에 후렉시블한 배기관(275)을 설치하여 체프나 연기를 주방에 설치된 가스레인지 덕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 도 10 및 도 12와 도 13을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드럼(230)의 내열 유리관(211) 내부에 생두 300g~500g을 투배출구(225)를 통해 집어넣는다. 이때, 상기 투배출구(225)를 전면덮개(220)에서 분리한 후에 생두를 투입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거치대(250)의 받침판(251)을 휴대용 가스레인지나 가정 내에 설치된 가스레인지의 받침에 올려놓고 본체(210)를 체결한다.
이때, 손잡이(240)의 체결홈(246)의 한쪽 면이 한쪽 지지판(252')의 고정핀(255)과 밀착되면서 결합홈(254)에 체결되어 드럼(230)이 수평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다른 쪽 지지판(252'')의 결합홈(254)에 체프통(260)의 체결홈(266)을 체결함과 동시에 고정핀(264)을 고정홈(256)에 삽입하여 체프통(260)이 지지판(252'')에 견고하게 고정한다.
상기 체프통(260)의 상면에는 연동(270)을 체결하고 연동(270)의 팬(271)과 연결된 잭(272)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장치를 연결한다.
이와 같은 거치대(250)에 본체(210)와 연통(270)이 설치된 체프통(260)을 체결한 후에 가스레인지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때, 가스레인지의 화력이 내열유리관(211)에 투입된 생두에 일정 시간 전달되면, 손잡이(240)의 잭(248)에 연결된 전원장치의 스위치를 켜 드럼(230)을 회전시키면서 로스팅을 한다.
이때, 드럼(230)의 내부에 설치된 3개의 교반날개(231)가 생두를 잘 섞게 되므로 생두에 화력이 골고루 전달되면서 로스팅이 이루어지고 로스팅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손잡이(240)는 지지판(252')에 고정된 상태에서 드럼(230)만 회전하면서 로스팅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드럼(230)의 전면덮개(220'')에 형성된 이격판(223)의 이격 공간을 통해 드럼(23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면서 로스팅 과정에서 발생하는 연기와 체프를 투배출구(225)를 통해 체프통(260) 쪽으로 배출시킨다.
이때, 상기 체프통(260)에 설치된 연통(270)의 팬(271)을 가동하면, 체프통(260)의 하측에 형성된 공기 흡입구(261)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필터(262)를 통과하면서 투배출구(225)를 통해 배출되는 체프와 연기를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상측으로 이동하는 체프와 연기는 체프통(260)의 내부 상측에 형성된 걸름망(263)을 통과하면서 체프와 이물질 등은 체프통(260) 내에 남게 되고 연기는 연통(27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로스팅을 진행하다가 일정 시간이 지나 로스팅 완료 시간이 다가오면 화력을 줄여 로스팅을 마무리한다.
그리고 열기를 식힌 후에 거치대(250)에서 본체(210)를 분리한 후에 전면덮개(220)에서 투배출구(225)를 분리한 후에 로스팅된 원두를 별도의 용기에 수집한다. 또한, 거치대(250)에서 체프통(260)을 분리한 후에 체프통(260) 내에 있는 체프와 이물질을 버리면 된다.
200:휴대용 커피 로스터기
210:본체 211:내열 유리관
220:전면덮개 221:삽입공
222:유입공 223:조절판
224:필터 225:투배출구
226:고정판 230:드럼
231:교반날개 232:고정축
233:너트 234:스프링
240:손잡이 241:케이스
242:베어링 243:회전축
244:마감캡 245:결합턱
246:체결홈 247:베어링 케이스
248:전원 연결잭 249:커버
251:받침판 252:지지판
254:결합홈 255:호퍼
257:보호판 258:지지봉
260:체프통 261:흡입구
262:필터 263:걸름망
264:고정핀 266:체결홈
270:연통 271:팬
272:잭

Claims (8)

  1. 교반날개가 체결된 고정축을 내열 유리관의 내부에 다수 개를 설치하고 그 양측 단을 원형 판인 전면덮개로 고정하며, 한쪽 전면덮개에는 나팔관 형태의 투배출구를 체결하고, 다른 쪽 전면덮개에는 공기 유입공을 형성하고 그 전방에 이격판이 형성된 드럼과, 드럼의 다른 쪽 전면덮개에 체결되며 내부에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베어링이 체결된 회전축을 형성하고 회전축의 외면에 외부로 돌출된 걸림턱 사이에 체결홈이 형성된 손잡이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의 드럼이 회전되게 체결되며 상면에 상향 돌출된 돌출부와 그 중앙에 결합홈과 돌출부의 전면에 고정핀이 형성된 한쪽 지지판과, 한쪽 지지판과 대칭이면서 결합홈의 중앙에 하측으로 고정홈이 형성된 다른 쪽 지지판이 일체로 형성된 받침대와, 지지판의 전면과 후면을 밀폐하고 상측에 지지봉이 볼트 결합된 보호판으로 이루어진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의 지지판에 체결되며 내부 하측에 필터가 장착된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고 내부 상측에 걸름망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외부로 돌출된 고정핀을 형성하고, 고정핀의 상측에 외부로 돌출된 2개의 결합턱 사이에 체결홈이 형성된 체프통과;
    상기 체프통의 상면에 체결되며 내부 하측에 팬이 형성되고 팬에 전원 공급하는 잭이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된 연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커피 로스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외주에 타공이 형성된 스테인레스(stainless)관이나 동관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커피 로스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공의 전방에 필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커피 로스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배출구는 원터치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한 스프링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커피 로스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배출구의 내부를 관통하여 드럼 내부에 설치되는 온도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커피 로스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날개는 W 형태의 스프링이 장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커피 로스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의 상면에 후렉시블한 배기 호스를 설치하여 체프나 연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커피 로스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는 배터리 전원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커피 로스터기.
KR1020150171570A 2015-01-19 2015-12-03 휴대용 커피 로스터기 KR1016453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08501 2015-01-19
KR1020150008501 2015-01-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9266A KR20160089266A (ko) 2016-07-27
KR101645320B1 true KR101645320B1 (ko) 2016-08-12

Family

ID=56617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1570A KR101645320B1 (ko) 2015-01-19 2015-12-03 휴대용 커피 로스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53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7820B1 (ko) 2022-03-29 2022-08-30 이덕희 커피 로스팅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7667A (ja) 2003-05-30 2004-12-24 Toshikazu Mikami 業務用小型珈琲焙煎機
KR200467579Y1 (ko) 2011-12-19 2013-06-21 김진일 다용도 로스팅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1242B1 (ko) * 2009-07-23 2012-03-23 김인철 숯불구이기
KR20130040079A (ko) * 2011-10-13 2013-04-23 가스텍코리아 주식회사 커피 원두의 로스팅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7667A (ja) 2003-05-30 2004-12-24 Toshikazu Mikami 業務用小型珈琲焙煎機
KR200467579Y1 (ko) 2011-12-19 2013-06-21 김진일 다용도 로스팅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7820B1 (ko) 2022-03-29 2022-08-30 이덕희 커피 로스팅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9266A (ko) 2016-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3072B1 (ko) 커피 로스터
US9038620B2 (en) Convertible mobile fire pit and cooker assembly
KR101121242B1 (ko) 숯불구이기
KR101286834B1 (ko) 열전달이 용이한 회전식 구이기
US8887627B1 (en) Barbecue apparatus
US20230148244A1 (en) Portable thermal convection rotisserie and barbeque apparatus for use in a variety of settings
KR200467579Y1 (ko) 다용도 로스팅기
KR101937050B1 (ko) 꼬치구이기
KR101394563B1 (ko) 휴대용 바비큐 구이 장치
KR101645320B1 (ko) 휴대용 커피 로스터기
KR101400775B1 (ko) 숯불구이장치
CN214804231U (zh) 一种使用生物质颗粒的蒸汽烧烤炉
KR20150003312U (ko) 휴대용 숯불 및 전기 바베큐 구이기
KR101968249B1 (ko) 직립형 숯불구이 장치
KR101802827B1 (ko) 훈연 구이장치
KR101974094B1 (ko) 회전 구이 장치
KR20110124049A (ko) 곡물 볶음기
KR101691979B1 (ko) 고기 구이장치
KR101055065B1 (ko) 간접 가열 방식의 휴대용 바비큐 기기
US7540233B1 (en) Multi-use cooker
KR102300154B1 (ko) 꼬치 전기 구이기
US20130139706A1 (en) Mobile smoker oven
TWM344743U (en) Coffee bean baking machine
KR20160095553A (ko) 휴대용 바베큐 구이기
WO2006032117A1 (en) Arrangement for a gri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