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5027B1 - 무대 커튼용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무대 커튼용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5027B1
KR101645027B1 KR1020150105632A KR20150105632A KR101645027B1 KR 101645027 B1 KR101645027 B1 KR 101645027B1 KR 1020150105632 A KR1020150105632 A KR 1020150105632A KR 20150105632 A KR20150105632 A KR 20150105632A KR 101645027 B1 KR101645027 B1 KR 101645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oller
moving body
winding drum
gu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5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관영
정인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성
Priority to KR1020150105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50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5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5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A63J1/0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A63J1/0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 A63J1/028Means for moving hanging scener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A63J1/0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 A63J2001/02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wound up when not in use

Landscapes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대의 천장프레임 하부에 구비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커튼부재가 지지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에 연결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가 권취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권취드럼; 상기 와이어의 진행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롤러; 상기 권취드럼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권취드럼에 상기 와이어의 단부가 고정되도록 연결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대 커튼용 개폐장치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CURTAIN IN STAGE}
본 발명은 무대 커튼용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대의 상부에 좌우방향으로 길게 순환되는 와이어에 의해 무대 커튼을 이동시키고, 와이어가 감기고 풀리는 권취드럼과 와이어가 슬립되는 것을 방지하며, 커튼의 위치를 정확하게 감지하여 제어할 수 있는 무대 커튼용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연 무대의 앞쪽에는 공연 시작 전 무대를 가리기 위한 커튼이 설치되어 있으며, 커튼은 무대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구획되어 있으며, 좌우 방향으로 열리면서 무대가 나타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무대 커튼이 비교적 그 폭이 매우 넓어 무대가 완전히 열리지 않고, 무대 양측에 어느 정도 남게 되고, 무대의 양측에 남은 부분에 의하여 무대가 좁아 보이며, 관람자의 시야를 가리게 되어 커튼 뒤에 있는 연기자 보이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무대 커튼이 걷힐 때 무대 양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무대가 넓게 보일 수 있도록 하는 무대 커튼 장치가 개발되었으며, 이러한 무대 커튼 장치는, 무대의 앞쪽에 배치되며, 무대를 가리는 제1 커튼 및 제2 커튼을 가이드 하는 제1 가이드 레일과, 제1 가이드 레일의 일측에서 무대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커튼이 무대 방향으로 접히도록 가이드 하는 제2 가이드 레일과, 제1 가이드 레일의 타측에서 무대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커튼이 무대 방향으로 접히도록 가이드 하는 제3 가이드 레일과, 제1 커튼 및 제2 커튼을 펼치거나 접히게 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78046호(2010년 08월 25일 공고, 발명의 명칭 : 무대 커튼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무대 커튼 장치는, 커튼을 이동시키는 와이어와 드럼 사이에 별도의 고정부가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드럼의 회전에 의해 와이어가 이동될 때에 와이어와 드럼 사이에 발생되는 슬립에 의해 구동장치에서 제공되는 동력이 커튼의 이동으로 전달되지 않아 커튼의 개폐작동을 정확히 제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무대의 상부에 좌우방향으로 길게 순환되는 와이어에 의해 무대 커튼을 이동시키고, 와이어가 감기고 풀리는 권취드럼과 와이어가 슬립되는 것을 방지하며, 커튼의 위치를 정확하게 감지하여 제어할 수 있는 무대 커튼용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무대의 천장프레임 하부에 구비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커튼부재가 지지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에 연결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가 권취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권취드럼; 상기 와이어의 진행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롤러; 상기 권취드럼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권취드럼에 상기 와이어의 단부가 고정되도록 연결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천장프레임 하부에 배치되는 파이프부재로부터 연장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파이프부재의 일측 및 타측에 한 쌍의 상기 가이드레일이 2열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이동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이송롤러; 상기 제1이송롤러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상기 커튼부재가 설치되도록 제1고정홀부가 형성되는 제1이동본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이송롤러; 상기 제2이송롤러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상기 커튼부재의 단부를 지지하도록 제2고정홀부가 형성되는 제2이동본체; 및 상기 제2이동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가 고정되는 고정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가이드롤러는, 상기 권취드럼으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와이어의 진행방향을 변환시키도록 상기 파이프부재에 설치되는 가이드패널에 설치되는 제1롤러; 상기 제1롤러에 의해 진행방향이 변환되는 상기 와이어의 진행방향을 변환시켜 한 쌍의 상기 가이드레일 중에 어느 하나의 상기 가이드레일 입구 측으로 상기 와이어의 진행방향을 안내하도록 상기 가이드패널에 설치되는 제2롤러; 상기 가이드레일의 출구 측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의 진행방향을 한 쌍의 상기 가이드레일 중에 다른 하나의 상기 가이드레일 측으로 안내하는 제3롤러; 상기 제2롤러와 동일한 회전축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와이어의 진행방향을 변환시키는 제4롤러; 및 상기 제1롤러와 동일한 회전축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의 진행방향을 변환시켜 상기 권취드럼 측으로 안내하는 제5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고정부는, 상기 권취드럼의 권취홈부에 대향되는 고정홈부를 구비하는 고정패널; 및 상기 고정패널을 관통하여 상기 권취드럼에 결합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대 커튼용 개폐장치는, 권취드럼에 와이어의 단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가 구비되므로 권취드럼과 와이어 사이에서 슬립이 발생되지 않아 권취드럼의 회전운동이 와이어의 왕복운동으로 모두 전달되어 구동부의 구동정도를 감지하여 커튼부재의 위치를 정확히 판단하면서 커튼부재의 개폐를 정확히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 커튼용 개폐장치가 설치된 무대의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 커튼용 개폐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 커튼용 개폐장치의 고정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 커튼용 개폐장치의 개방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 커튼용 개폐장치의 폐쇄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대 커튼용 개폐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 커튼용 개폐장치가 설치된 무대의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 커튼용 개폐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 커튼용 개폐장치의 고정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 커튼용 개폐장치의 개방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 커튼용 개폐장치의 폐쇄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 커튼용 개폐장치는, 무대의 천장프레임(10) 하부에 구비되는 가이드레일(14)과, 가이드레일(14)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커튼부재(100)가 지지되는 이동부(30)와, 이동부(30)에 연결되는 와이어(90)와, 와이어(90)가 권치되도록 배튼(1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권취드럼(50)과, 와이어(90)의 진행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롤러(80)와, 권취드럼(50)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70)와, 권취드럼(50)에 와이어(90)의 단부가 고정되도록 연결하는 고정부(110)를 포함한다.
배튼(130)의 일측에는 승강드럼(12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승강드럼(120)의 회전축에는 승강구동부(110)가 설치되며, 승강드럼(120)에서 연장되는 다수 개의 승강와이어(122)는 변환롤러(124)에 감기면서 진행방향의 하측으로 변환되어 천장프레임(10) 하부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배튼(130)을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승강구동부(110)에 의해 승강드럼(120)이 회전되면서 승강와이어(122)가 승강드럼(120)에 권취되면 무대의 상측으로 당겨지는 승강와이어(122)에 의해 배튼(130)이 상승되면서 가이드레일(14) 및 이동부(30)에 의해 지지되는 커튼부재(100)가 상승하게 된다.
배튼(130)에 설치되는 구동부(70)의 회전축에는 권취드럼(50)이 설치되고, 권취드럼(50)의 일단 및 타단에 고정부(110)에 의해 와이어(90)의 일단과 타단이 고정되도록 결합된다.
권취드럼(50)의 둘레면에는 나선형의 권취홈부(52)가 연속되게 형성되고, 고정부(110)에 의해 권취드럼(50)에 양단부가 결합된 와이어(90)는 권취홈부(52)를 따라 권취드럼(50)에 감긴 후에 가이드롤러(80)에 의해 진행방향이 변환되면서 이동부(30)에 결합된다.
따라서 구동부(70)의 정회전에 의해 권취드럼(50)이 정회전되면 와이어(90)의 일단이 권취드럼(50)에 감김과 동시에 와이어(90)의 타단이 권취드럼(50)으로부터 풀리게 되어 다수 개의 가이드롤러(80)에 의해 폐곡선 모양으로 배치되는 와이어(90)가 정방향으로 순환되면서 와이어(90)에 연결된 이동부(30)를 이송시키게 된다.
구동부(70)의 역회전에 따라 권취드럼(50)이 역회전되면 와이어(90)의 일단이 권취드럼(50)으로부터 풀림과 동시에 와이어(90)의 타단이 권취드럼(50)에 감기면서 다수 개의 가이드롤러(80)에 의핸 폐곡선 모양으로 배치되는 와이어(90)가 역방향으로 순환되면서 와이어(90)에 연결된 이동부(30)를 원위치로 이송시키게 된다.
가이드레일(14)은 배튼(130)에 설치되는 파이프부재(12)로부터 연장되어 이루어지고, 파이프부재(12)의 일측 및 타측에 한 쌍의 가이드레일(14)이 2열로 배치된다.
권취드럼(5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와이어(90)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14) 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레일(14)을 따라 무대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연장되고, 가이드롤러(80)에 의해 진행방향이 변환되어 한 쌍의 가이드레일(14) 중에 다른 하나의 가이드레일(14)을 따라 다시 무대의 타측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어 권취드럼(50)의 타측에 감기게 된다.
따라서 권취드럼(50)이 정방향으로 회전되면 권취드럼(50)의 일측으로부터 풀리는 와이어(90)는 가이드레일(14)을 따라 무대의 타측으로 이동되고, 무대의 타측으로부터 무대의 일측으로 이동되는 와이어(90)는 권취드럼(50)의 타측에 감기게 된다.
와이어(90)의 일단 및 타단은 각각 고정부(110)에 의해 권취드럼(50)의 일측과 타측에 고정되므로 권취드럼(50)이 회전될 때에 권취드럼(50)의 일측 또는 타측에 와이어(90)가 감김과 동시에 권취드럼(50)의 타측 또는 일측으로부터 와이어(90)가 풀리면서 이동되고, 가이드롤러(80)에 의해 와이어(90)의 장력이 유지되도록 폐곡선 모양의 와이어(90)가 당겨지므로 와이어(90)와 드럼 사이에서 슬립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구동부(70)로부터 제공되는 회전운동이 모두 와이어(90)의 직선운동으로 변환되어 전달되므로 구동부(70)의 구동정도를 측정하여 와이어(90)의 이송거리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어 커튼부재(100)의 위치를 정밀하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동부(30)는, 가이드레일(14)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이송롤러(34)와, 제1이송롤러(34)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커튼부재(100)가 설치되도록 제1고정홀부(32a)가 형성되는 제1이동본체(32)와, 가이드레일(14)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이송롤러(38)와, 제2이송롤러(38)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커튼부재(100)의 단부를 지지하도록 제2고정홀부(36a)가 형성되는 제2이동본체(36)와, 제2이동본체(36)에 설치되고 와이어(90)가 고정되는 고정블록(37)을 포함한다.
가이드레일(14)은 파이프부재(12)의 저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한 쌍의 격벽이 간격을 유지하도록 연장되고, 각각의 격벽의 하단에는 수평방향으로 굴곡되어 연장되는 지지부가 구비되므로 가이드레일(14)의 단면 형상은 'ㅗ' 모양을 이루게 된다.
제1이송롤러(34)는 가이드레일(14)의 격벽을 중심으로 한 쌍의 제1이송롤러(34)가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한 쌍의 제1이송롤러(34)는 하나의 제1이동본체(32)에 의해 연결되어 가이드레일(14)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1이동본체(32)에 의해 한 쌍의 제1이송롤러(34)가 가이드레일(14)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제1이동본체(32)의 하단에는 커튼부재(100)를 연결하는 제1고정홀부(32a)가 형성되며, 제1이동본체(32)는 와이어(90)가 통과되고 고정되어 와이어(90)의 이동에 따라 제1이동본체(32)가 가이드레일(14)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제2이동본체(36)는 제1이동본체(32)와 비교하여 와이어(90)의 진행방향으로 더 길게 형성되며, 제2이동본체(36)의 폭은 제1이동본체(32)의 폭과 비교하여 약 3배 내지 4내의 폭을 이루게 된다.
제2이동본체(36)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는 각각 제2이송롤러(38)가 상하로 한 쌍씩 설치되므로 상부에 설치되는 2개의 제2이송롤러(38)는 가이드레일(14)의 상면을 따라 회전되면서 제2이동본체(36)를 이동시키게 되고, 하부에 설치되는 2개의 제2이송롤러(36)는 고정블록(37)에 형성되는 관통홀부(37a)의 입구 및 출구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와이어(90)가 제2이송롤러(38)와 고정블록(37) 사이에서 굴곡되어 와이어(90)가 슬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고정블록(37)의 중앙부에는 제2이동본체(36)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통홀부(37a)가 형성되고, 관통홀부(37a)를 통해 제2이동본체(36)를 통과하는 와이어(90)는 관통홀부(37a)의 중앙부 측으로 체결되는 체결부재(37b)에 의해 와이어(90)가 관통홀부(37a) 내벽에 밀착되도록 가압되므로 와이어(90)가 제2이동본체(36)에 슬립되지 않고 고정되어 커튼부재(100)를 와이어(90)와 함께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가이드롤러(80)는, 권취드럼(50)으로부터 연장되는 와이어(90)의 진행방향을 변환시키도록 파이프부재(12)에 설치되는 가이드패널에 설치되는 제1롤러(82)와, 제1롤러(82)에 의해 진행방향이 변환되는 와이어(90)의 진행방향을 변환시켜 한 쌍의 가이드레일(14) 중에 어느 하나의 가이드레일(14) 입구 측으로 와이어(90)의 진행방향을 안내하도록 가이드패널에 설치되는 제2롤러(86)와, 가이드레일(14)의 출구 측에 설치되고 와이어(90)의 진행방향을 한 쌍의 가이드레일(14) 중에 다른 하나의 가이드레일(14) 측으로 안내하는 제3롤러(88)와, 제2롤러(86)와 동일한 회전축에 설치되고 가이드레일(14)로부터 배출되는 와이어(90)의 진행방향을 변환시키는 제4롤러(87)와, 제1롤러(82)와 동일한 회전축에 설치되고 와이어(90)의 진행방향을 변환시켜 권취드럼(50) 측으로 안내하는 제5롤러(84)를 포함한다.
파이프부재(12)의 일단에는 한 쌍의 가이드패널이 간격을 유지하며 하측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고, 한 쌍의 가이드패널 사이의 간격에는 제1롤러(82)와 제5롤러(84)가 동일한 회전축에 설치되며, 제2롤러(86)와 제4롤러(87)가 동일한 회전축에 설치된다.
제1롤러(82)와 제5롤러(84)는 가이드레일(14)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하측에 배치되고, 제2롤러(86)와 제4롤러(87)는 가이드레일(14)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높이를 이루도록 각각 가이드패널에 설치된다.
따라서 권취드럼(50)으로부터 연장되는 와이어(90)의 일단은, 하측으로 연장되어 제1롤러(82)에 감기면서 진행방향이 상측으로 변환되고, 제2롤러(86)에 감기면서 진행방향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가이드레일(14)을 따라 연장된다.
가이드레일(14)을 따라 무대의 타측으로 연장되는 와이어(90)는 제3롤러(88)에 감기면서 진행방향이 무대의 일측으로 변환되고, 가이드레일(14)을 따라 무대 일측으로 연장되는 와이어(90)는 제4롤러(87)에 감기면서 하측 방향으로 진행방향이 변환되고, 제5롤러(84)에 감기면서 진행방향이 상측으로 변환되어 권취드럼(50)의 타측에 감기게 된다.
제1롤러(82) 및 제5롤러(84)는 가이드레일(14) 측으로 연장되는 와이어(90)를 하측으로 당기면서 진행방향을 변환시키므로 와이어(90)에 인장력을 제공하면서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구동부(70) 및 권취드럼(50)의 회전운동이 와이어(90)의 직선운동으로 빠르게 변환되어 전달되도록 한다.
고정부(110)는, 권취드럼(50)의 권취홈부(52)에 대향되는 고정홈부(112a)를 구비하는 고정패널(112)과, 고정패널(112)을 관통하여 권취드럼(50)에 결합되는 체결부재(114)를 포함한다.
고정패널(112)은 상측으로 볼록한 한 쌍의 고정홈부(112a)가 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고, 한 쌍의 고정홈부(112a) 사이에는 체결부재(114)가 통과되는 관통홀부가 형성되므로 권취드럼(50)의 권취홈부(52)에 대향되도록 고정홈부(112a)를 배치시킨 후에 체결부재(114)를 관통홀부 및 권취드럼(50)에 체결하여 와이어(90)의 단부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와이어(90)의 단부는 한 쌍의 고정홈부(112a) 중 어느 하나의 고정홈부(112a)에 안착시키고, 와이어(90)의 단부를 굴곡시켜 나머지 고정홈부(112a)에 삽입하여 고정패널(112)을 권취드럼(50)에 결합시키면 와이어(90)의 단부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장시간 구동되는 권취드럼(50)으로부터 와이어(90)가 분리되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커튼부재(100)의 개폐를 안전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권취드럼(50)의 회전축에 제1스프로킷(54)이 설치되고, 제1스크로킷과 벨트 또는 체인으로 연결되는 제2스프로킷(56)에 리미트스위치(58)가 설치되므로 제어부로부터 송신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커튼부재(100)를 개방위치 또는 폐쇄위치로 이동시킨 후에 리미트스위치(58)가 구동되어 권취드럼(50)이 관성에 의해 필요 이상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구동부(70)에는 엔코더(72)가 설치되므로 구동부(70)의 회전량을 감지할 수 있게 되고, 본 실시예는 와이어(90)와 권취드럼(50) 사이의 슬립이 방지되므로 구동부(70)의 회전량을 엔코더(72)에 의해 측정하여 커튼부재(100)의 위치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 커튼용 개폐장치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구동부(70)에 전원이 인가되어 정회전 작동이 개시되면 권취드럼(50)이 정회전되면서 권취드럼(50)의 타측에 와이어(90)의 타단이 감기면서 와이어(90)를 타측으로 당기게 된다.
따라서 권취드럼(50)의 일측으로부터 와이어(90)의 일단이 풀리게 되고, 권취드럼(50)으로부터 풀리는 와이어(90)는 제1롤러(82), 제2롤러(86)를 지나 가이드레일(14)을 따라 무대의 타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3롤러(88)에 의해 진행방향이 변환되는 와이어(90)는 파이프부재(12)의 후방에 배치되는 가이드레일(14)을 따라 무대의 일측으로 이동되고, 제4롤러(87) 및 제5롤러(84)를 지나 권취드럼(50)의 타측에 감기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와이어(90)의 이동이 진행될 때에 무대의 타측으로 이동되는 와이어(90)에 연결되는 이동부(30)는 무대의 중앙부 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무대의 일측으로 이동되는 와이어(90)에 연결되는 이동부(30)도 무대의 중앙부 측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무대의 양측 단부에 배치되는 커튼부재(100)는 무대의 중앙부 측으로 이동되면서 커튼부재(100)의 폐쇄작동을 행하게 된다.
반대로 구동부(70)가 역회전되는 경우에는 권취드럼(50)의 타단으로부터 풀리는 와이어(90)가 제5롤러(84) 및 제4롤러(87)를 통해 가이드레일(14)을 따라 무대의 타측으로 이동되고, 제3롤러(88)에 의해 진행방향이 무대의 일측으로 변환되어 가이드레일(14)을 따라 이동된 후에 제2롤러(86) 및 제1롤러(82)를 지나 권취드럼(50)의 일측에 감기게 된다.
따라서 무대의 중앙부에 위치되던 커튼부재(100)는 무대의 양측 단부 측으로 이동하면서 커튼부재(100)의 개방작동을 행하게 된다.
이로써, 무대의 상부에 좌우방향으로 길게 순환되는 와이어에 의해 무대 커튼을 이동시키고, 와이어가 감기고 풀리는 권취드럼과 와이어가 슬립되는 것을 방지하며, 커튼의 위치를 정확하게 감지하여 제어할 수 있는 무대 커튼용 개폐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무대 커튼용 개폐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무대 커튼용 개폐장치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개폐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천장프레임 12 : 파이프부재
14 : 가이드레일 30 : 이동부
32 : 제1이동본체 32a : 제1고정홀부
34 : 제1이송롤러 50 : 권취드럼
52 : 권취홈부 54 : 제1스프로킷
56 : 제2스프로킷 58 : 리미트스위치
70 : 구동부 72 : 엔코더
80 : 가이드롤러 82 : 제1롤러
84 : 제5롤러 86 : 제2롤러
87 : 제4롤러 88 : 제3롤러
90 : 와이어 100 : 커튼부재
110 : 고정부 112 : 고정패널
112a : 고정홈부 114 : 체결부재

Claims (5)

  1. 무대의 천장프레임 하부에 구비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커튼부재가 지지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에 연결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가 권취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권취드럼; 상기 와이어의 진행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롤러; 상기 권취드럼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권취드럼에 상기 와이어의 단부가 고정되도록 연결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이송롤러; 상기 제1이송롤러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상기 커튼부재가 설치되도록 제1고정홀부가 형성되는 제1이동본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이송롤러; 및 상기 제2이송롤러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상기 커튼부재의 단부를 지지하도록 제2고정홀부가 형성되는 제2이동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레일은 파이프부재의 저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한 쌍의 격벽이 간격을 유지하도록 연장되고, 각각의 상기 격벽의 하단에는 수평방향으로 굴곡되어 연장되는 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이송롤러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기 격벽을 중심으로 한 쌍의 상기 제1이송롤러가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한 쌍의 상기 제1이송롤러는 하나의 상기 제1이동본체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1이동본체의 하단에는 상기 커튼부재를 연결하는 상기 제1고정홀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이동본체는 상기 와이어가 통과되고 고정되고, 상기 제2이동본체는 상기 제1이동본체와 비교하여 상기 와이어의 진행방향으로 더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2이동본체의 폭은 상기 제1이동본체의 폭과 비교하여 넓게 형성되고, 상기 제2이동본체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는 각각 상기 제2이송롤러가 상하로 한 쌍씩 설치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권취드럼의 권취홈부에 대향되는 고정홈부를 구비하는 고정패널; 및 상기 고정패널을 관통하여 상기 권취드럼에 결합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무대 커튼용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제2이동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가 고정되는 고정블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이동본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상기 제2이송롤러는 상기 고정블록에 형성되는 관통홀부의 입구 및 출구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와이어가 상기 제2이동본체에 슬립되지 않고 고정되어 상기 커튼부재를 상기 와이어와 함께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고정블록의 중앙부에는 상기 제2이동본체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관통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부를 통해 상기 제2이동본체를 통과하는 상기 와이어는 상기 관통홀부의 중앙부 측으로 체결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와이어가 상기 관통홀부 내벽에 밀착되도록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 커튼용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천장프레임 하부에 배치되는 파이프부재로부터 연장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파이프부재의 일측 및 타측에 한 쌍의 상기 가이드레일이 2열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 커튼용 개폐장치.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러는,
    상기 권취드럼으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와이어의 진행방향을 변환시키도록 상기 파이프부재에 설치되는 가이드패널에 설치되는 제1롤러;
    상기 제1롤러에 의해 진행방향이 변환되는 상기 와이어의 진행방향을 변환시켜 한 쌍의 상기 가이드레일 중에 어느 하나의 상기 가이드레일 입구 측으로 상기 와이어의 진행방향을 안내하도록 상기 가이드패널에 설치되는 제2롤러;
    상기 가이드레일의 출구 측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의 진행방향을 한 쌍의 상기 가이드레일 중에 다른 하나의 상기 가이드레일 측으로 안내하는 제3롤러;
    상기 제2롤러와 동일한 회전축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와이어의 진행방향을 변환시키는 제4롤러; 및
    상기 제1롤러와 동일한 회전축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의 진행방향을 변환시켜 상기 권취드럼 측으로 안내하는 제5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 커튼용 개폐장치.
  5. 삭제
KR1020150105632A 2015-07-27 2015-07-27 무대 커튼용 개폐장치 KR101645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5632A KR101645027B1 (ko) 2015-07-27 2015-07-27 무대 커튼용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5632A KR101645027B1 (ko) 2015-07-27 2015-07-27 무대 커튼용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5027B1 true KR101645027B1 (ko) 2016-08-02

Family

ID=56708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5632A KR101645027B1 (ko) 2015-07-27 2015-07-27 무대 커튼용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502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0566A (ja) * 2001-06-28 2003-01-14 Hitachi Zosen Corp 舞台設備の吊幕物装置
JP2005231852A (ja) * 2004-02-20 2005-09-02 Koshihara:Kk ウインチの巻胴
KR100978046B1 (ko) * 2010-01-12 2010-08-25 이광현 무대 커튼 장치
CN202671088U (zh) * 2012-06-20 2013-01-16 钟晓东 防滑型双凹槽导索压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0566A (ja) * 2001-06-28 2003-01-14 Hitachi Zosen Corp 舞台設備の吊幕物装置
JP2005231852A (ja) * 2004-02-20 2005-09-02 Koshihara:Kk ウインチの巻胴
KR100978046B1 (ko) * 2010-01-12 2010-08-25 이광현 무대 커튼 장치
CN202671088U (zh) * 2012-06-20 2013-01-16 钟晓东 防滑型双凹槽导索压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65806A (en) Pleated blind assembly
ITTO20120162U1 (it) Dispositivo di movimentazione lineare di tipo telescopico
CH660839A5 (it) Dispositivo di apertura di ante scorrevoli allineate di mobili.
ITPD20120305A1 (it) Tenda a pergola
KR100978046B1 (ko) 무대 커튼 장치
KR101484102B1 (ko) 박스 테이핑 장치
KR101645027B1 (ko) 무대 커튼용 개폐장치
KR20010052160A (ko) 도어 및 도어 조립 방법
KR101610903B1 (ko) 무대용 승강장치
US10422177B2 (en) Vehicular window regulator and inclination restraining mechanism
RU2437823C2 (ru) Конструкция двери лифта
ITBO20000665A1 (it) Linea per il convogliamento di un pannello di legno o simili
PL1524400T3 (pl) Zespół rolety ze zmiennym, poziomym otworem szczelinowym
ITMI20000645U1 (it) Apparecchiatura per il taglio a misura di materiali nastriformi
US20210021115A1 (en) Line guiding appartus
EP3438405A1 (en) Quick closing fold up device
JP4782534B2 (ja) 自動扉開閉装置
ITMO20080332A1 (it) Macchina avvolgitrice
CN105888522A (zh) 一种电动卷帘装置
KR200331962Y1 (ko) 차단장치
TWM532503U (zh) 天窗之電動遮陽簾
IT202000015088A1 (it) Porta avvolgibile a scorrimento rapido comprendente una zona di ricovero superiore per accogliere un telaio flessibile nella configurazione aperta della porta
KR100829807B1 (ko) 냉간압연라인의 스트립 유도장치
CN211712241U (zh) 手动布料验布装置
KR20040107751A (ko) 차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