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4639B1 -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4639B1
KR101644639B1 KR1020090094033A KR20090094033A KR101644639B1 KR 101644639 B1 KR101644639 B1 KR 101644639B1 KR 1020090094033 A KR1020090094033 A KR 1020090094033A KR 20090094033 A KR20090094033 A KR 20090094033A KR 101644639 B1 KR101644639 B1 KR 101644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transfer
unit
shaft
transfer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4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6392A (ko
Inventor
권명식
문상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4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4639B1/ko
Priority to US12/868,855 priority patent/US8503897B2/en
Publication of KR20110036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6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4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46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42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 G03G15/0147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a singl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 G03G15/0152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a singl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onto which the monocolour toner images are superposed before common transfer from the recording member
    • G03G15/0168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a singl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onto which the monocolour toner images are superposed before common transfer from the recording member single rotation of recording member to produce multicoloured cop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05Details of unit
    • G03G15/0131Details of unit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 G03G15/161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relating to the driving mechanism for the intermediate support, e.g. gears, couplings, belt tension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03Plural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s
    • G03G2215/0106At least one recording member having plural associated developing uni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화상 품질에 영향을 주는 전사구조의 닙을 균일하게 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화상형성장치는, 상담지체와; 상기 상담지체 상의 가시화상이 전사되는 중간전사벨트, 상기 중간전사벨트를 구동하는 구동롤러 및 상기 구동롤러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제1축지지부를 포함하는 중간전사유닛과; 상기 중간전사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구동롤러를 가압하는 가압위치 및 상기 가압위치에서 이격된 이격위치 간을 이동 가능한 전사롤러 및 상기 전사롤러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제2축지지부를 구비하여 상기 중간전사벨트 상의 가시화상을 인쇄매체로 전사하는 매체전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전사롤러의 상기 가압위치는 상기 제1축지지부 및 상기 제2축지지부의 접촉에 의해서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사, 가압, nip

Description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서 관한 것으로, 특히 화상 품질에 영향을 주는 전사구조의 닙을 균일하게 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사진방식의 화상형성장치는 노광-대전-현상-전사-정착-클리닝의 일련의 프로세스를 통해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이다.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담지체(미도시), 상기 상담지체의 표면을 노광시키는 노광유닛(미도시), 상기 노광된 상담지체(미도시)를 현상제로 현상하는 현상유닛(미도시), 상기 현상과정에 의해 상기 상담지체 표면에 형성된, 상기 현상제로 구성된 가시화상을 인쇄매체로 전사시키는 전사유닛(미도시), 상기 전사유닛(미도시)에 의해 전사된 상기 가시화상을 열과 압력으로 상기 인쇄매체에 정착시키는 정착유닛(미도시)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칼라화상을 형성함에 있어서, 하나의 상담지체를 이용하는 멀티패스(multi pass)방식과 복수의 상담지체를 인쇄매체의 이송경로를 따라 일렬로 배치하여 인쇄매체의 1회 통과만으로 칼라화상이 형성되는 싱글패스(single pass)방식으로 구분된다.
종래 멀티패스 방식의 화상형성장치의 경우, 상기 하나의 상담지체에 대향하는 중간전사벨트(미도시)를 갖는다.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 중 각 색상별로 상기 하나의 상담지체를 노광 및 현상한 후 상기 하나의 상담지체 표면에 형성된 상기 가시화상을 상기 중간전사벨트에 전사한다. 이러한 과정을 각 색상별로 수행함으로써, 즉 총 4번 반복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상기 중간전사벨트(미도시)에는 상기 4가지 색상이 중첩된 최종 칼라화상이 형성된다.
상기 중간전사벨트(미도시) 상의 상기 최종칼라화상은 최종전사롤러(미도시)에 의해 상기 중간전사벨트와 상기 최종전사롤러 사이를 통과하는 인쇄매체로 최종 전사된다.
여기서, 상기 최종전사롤러는, 상기 중간전사벨트 상에 상기 최종칼라화상이 형성되기 전까지는 상기 중간전사벨트로부터 이격된 이격위치와, 상기 최종칼라화상이 형성된 후에는 상기 인쇄매체로의 최종전사를 위해 상기 중간전사벨트에 접촉된 접촉위치간을 왕복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종래의 경우 상기 최종전사롤러의 회전축에서 멀리 떨어진 상기 최종전사롤러를 지지하는 아암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내부에 마련된 내측 프레임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최종전사롤러의 상기 접촉위치가 규제된다. 상기 아암의 형상은 절곡된 형태이고 그 재질이 탄성이 있는 플라스틱 재질이다.
그런데, 상기 아암과 상기 내측 프레임의 접촉에 의해서 상기 최종전사롤러의 상기 접촉위치가 규제되기 때문에, 상기 최종전사롤러와 상기 중간전사벨트를 구동하는 구동롤러(미도시) 사이에 형성되는 전사닙이 길이방향으로 균일하지 못하 여 화상품질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상기 아암과 상기 내측 프레임은 상기 최종전사롤러의 회전축에서 상당히 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전사닙이 균일하지 못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균일한 전사닙을 갖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쇄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신뢰성이 높은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전자사진 방식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담지체와; 상기 상담지체 상의 가시화상이 전사되는 중간전사벨트, 상기 중간전사벨트를 구동하는 구동롤러 및 상기 구동롤러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제1축지지부를 포함하는 중간전사유닛과; 상기 중간전사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구동롤러를 가압하는 가압위치 및 상기 가압위치에서 이격된 이격위치 간을 이동 가능한 전사롤러 및 상기 전사롤러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제2축지지부를 구비하여 상기 중간전사벨트 상의 가시화상을 인쇄매체로 전사하는 매체전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전사롤러의 상기 가압위치는 상기 제1축지지부 및 상기 제2축지지부의 접촉에 의해서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축지지부 및 상기 제2축지지부 중 어느 하나는 베어링을 포 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축지지부 및 상기 제2축지지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베어링을 향해 돌출된 돌기를 갖는 위치규제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축지지부 및 상기 제2축지지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며 상기 위치규제링 내부에 삽입되는 베어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축지지부는 상기 가압위치 및 상기 이격위치 간을 회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전사유닛은, 상기 전사롤러를 상기 이격위치 및 상기 가압위치로 이동시키는 구동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전사롤러를 상기 이격위치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부재와; 상기 전사롤러를 상기 가압위치로 이동시키는 작동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유닛은, 상기 전사롤러의 회전축에 나란한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며 상기 제2축지지부를 구동하는 구동레버와; 상기 구동레버의 일단부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캠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구동레버의 일단부와 상기 제2축지지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상담지체와, 상기 상담지체 상의 가시화상이 전사되는 중간전사벨트, 상기 중간전사벨트를 구동하는 구동롤러 및 상기 구동롤러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제1축지지부를 포함하는 중간전사유닛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설치되어 상기 중간전사벨트 상의 가시화상을 인쇄매체로 전사하는 전사유닛에 있어서, 상기 중간전사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구동롤러를 가압하는 가압위치 및 상기 가압위치에서 이격된 이격위치 간을 이동 가능한 전사롤러와; 상기 전사롤러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제2축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사롤러의 상기 가압위치는 상기 제1축지지부 및 상기 제2축지지부의 접촉에 의해서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유닛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축지지부 및 상기 제2축지지부 중 어느 하나는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축지지부 및 상기 제2축지지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베어링을 향해 돌출된 돌기를 갖는 위치규제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축지지부 및 상기 제2축지지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며 상기 위치규제링 내부에 삽입되는 베어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에 설치되는 중간전사벨트유닛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 내의 상담지체 상의 가시화상이 전사되는 중간전사벨트와; 상기 중간전사벨트를 구동하는 구동롤러와; 상기 구동롤러의 회전축에 설치되며 국부적으로 돌출된 돌기를 갖는 위치규제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전사벨트유닛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롤러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제1베어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위치규제링은 상기 제1베어링의 외주면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중간전사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구동 롤러를 가압하는 가압위치 및 상기 가압위치에서 이격된 이격위치 간을 이동 가능한 전사롤러 및 상기 전사롤러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축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중간전사벨트 상의 가시화상을 인쇄매체로 전사하는 매체전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전사롤러의 상기 가압위치는 상기 위치규제링 및 상기 축지지부의 접촉에 의해서 규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축지지부는 상기 전사롤러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제2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지지부는 상기 가압위치 및 상기 이격위치 간을 회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화상형성장치, 전사유닛 및 중간전사유닛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중간전사벨트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구동롤러와 전사롤러 간에 형성되는 전사닙을 길이방향으로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둘째, 인쇄매체의 폭방향으로 인쇄매체로 전사되는 현상제의 전사량이 균일하게 유지함으로써 인쇄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전사닙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넷째, 높은 신뢰성으로 전사닙의 균일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장치, 전사유닛 및 중간전사유닛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담지체(110); 상기 상담지체(110)의 표면이 소정 표면전위를 갖도록 상기 상담지체(110)를 대전시키는 대전롤러(120); 상기 대전된 상기 상담지체(110)를 노광시키는 노광유닛(130); 상기 노광유닛(130)에 의해 노광된 상기 상담지체(110)의 표면을 내부에 저장된 현상제로 현상시키는 복수의 현상카트리지(140); 상기 현상에 의해 상기 상담지체(110)의 표면에 형성된 가시화상이 전사되는 중간전사유닛(200); 상기 중간전사유닛(200)의 중간전사벨트(210)상의 상기 가시화상을 인쇄매체로 전사하는 매체전사유닛(300); 상기 인쇄매체로 전사된 상기 가시화상을 열과 압력으로 상기 인쇄매체에 정착시키는 정착유닛(400)을 포함한다.
상기 상담지체(110)는 그 표면에 유기감광물질이 형성된 감광체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현상카트리지(140)는 그 내부에 각각 소정 색상, 가령,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및 블랙(K) 색상의 현상제를 저장하며, 상기 현상제를 상기 상담지체(110)에 도포하기 위한 현상롤러(141)를 수용한다.
상기 중간전사유닛(200)은 중간전사벨트(210)와; 상기 중간전사벨트(210)를 구동하는 복수의 구동롤러(220); 상기 중간전사벨트(21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상담지체(110)에 대향하는 중간전사롤러(230)를 포함한다.
상기 매체전사유닛(300)은,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상형성장치(1) 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레임(301); 상기 중간전사벨트(210)를 사이에 두고 상기 복수의 구동롤러(220) 중 어느 하나에 대향하는 전사롤러(310)를 포함한다.
상기 전사롤러(310)는 상기 구동롤러(220)를 가압하는 가압위치 및 상기 가압위치로부터 이격된 이격위치간을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301)에 지지된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화상형성장치(1)에서 칼라화상이 형성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소망하는 화상의 옐로우 색상에 대응하는 노광패턴에 따라 상기 상담지체(110)를 노광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상담지체(110)의 표면에는 옐로우 색상에 해당하는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현상카트리지(140) 중 옐로우 현상카트리지(140Y)의 상기 현상롤러(141)가 상기 상담지체(110)로 접근하여 정전기력에 의해 상기 옐로우 현상카트리지(140Y) 내의 옐로우 현상제가 상기 정전잠상을 현상시킨다. 이에 의해, 상기 상담지체(110)의 표면에는 옐로우 현상제로 구성된 가시화상이 형성된다. 이때, 나머지 다른 현상카트리지(140M, 140C, 140K)의 각 현상롤러(141)는 상기 상담지체(110)에 대해 이격됨으로써 다른 색상의 현상제는 상기 상담지체(110)로 이동하지 않는다.
상기 상담지체(110) 상의 상기 옐로우 가시화상은 상기 중간전사롤러(230)에 의해 상기 중간전사벨트(210)로 전사된다.
여기서, 상기 매체전사유닛(300)의 상기 전사롤러(도 5의 310)는 상기 중간전사벨트(210) 상에 최종적인 칼라화상이 형성되기 전까지 상기 이격위치에 배치되된다. 이에 따라, 미완성 상태의 칼라 가시화상이 형성된 상기 중간전사벨트(210)는 그대로 상기 전사롤러(도 5의 310)를 통과한다.
한편, 상기 노광유닛(130)은 소망하는 화상의 마젠타 색상에 대응하여 상기 상담지체(110) 표면을 노광시킨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현상카트리지(140) 중 마젠타 카트리지(140M)가 상기 상담지체(110) 표면을 현상시켜, 상기 상담지체(110)의 표면에는 상기 마젠타 현상제로 구성된 가시화상이 형성된다.
상기 마젠타 가시화상은, 그 표면에 상기 옐로우 가시화상이 형성된 상기 중간전사벨트(210)로 중첩적으로 전사된다.
나머지, 시안 가시화상 및 블랙 가시화상도 상술한 방법과 마찬가지의 방식대로 상기 중간전사벨트(210)로 중첩적으로 전사된다.
이에 의해, 상기 중간전사벨트(210) 표면에는 소망하는 화상에 대응하는 칼라 가시화상이 형성된다.
상기 중간전사벨트(210) 상에 소망하는 최종적인 칼라 가시화상이 형성된 후, 상기 매체전사유닛(300)의 상기 전사롤러(도 5의 310)는 상기 중간전사벨트(210)를 사이에 두고 상기 구동롤러(220)를 가압하는 가압위치로 이동한다.
그리고, 미도시된 인쇄매체 이송유닛에 의해 인쇄매체가 이송경로(S)를 따라 상기 중간전사벨트(210)와 상기 전사롤러(도 5의 310) 사이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인쇄매체가 통과함에 따라, 상기 중간전사벨트(210) 상의 상기 최종 칼라가시화상은 상기 전사롤러(도 5의 310)의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상기 인쇄매체로 전사된다.
상기 인쇄매체로 전사된 상기 칼라 가시화상은 상기 정착유닛(400)의 열과 압력에 의해 상기 인쇄매체에 정착된다.
이에 의해, 인쇄 완료된 상기 인쇄매체는 기외로 배출된다.
상기 중간전사유닛(200)은,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롤러(220)의 회전축(221)을 지지하는 제1축지지부(2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롤러(220)는 상기 회전축(221) 주위를 둘러싸는 탄성층(2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층(223)은 도전성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매체전사유닛(300)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사롤러(310)의 회전축(311)을 지지하는 상기 제2축지지부(3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사롤러(310)는 상기 회전축(311)을 둘러싸는 탄성층(3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층(315)는 도전성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매체전사유닛(300)의 상기 전사롤러(310)의 상기 가압위치는 상기 제1축지지부(240)과 상기 제2축지지부(320)의 접촉에 의해서 규제된다.
상기 제1축지지부(240)는 상기 구동롤러(220)의 회전축(221)을 지지하는 베어링(2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어링(240)은 상기 제2축지지부(320)와 선택적으로 접촉 가능하도록 노출된다.
상기 제2축지지부(320)는 상기 제1축지지부(240)를 향해 돌출된 돌기(323a)를 갖는 위치규제링(3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축지지부(320)는 상기 전사롤러(310)의 상기 회전축(311)을 지지하는 베어링(3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규제링(323)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어링(324)의 외주 면에 설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베어링(324)이 상기 위치규제링(323)의 내부에 삽입 설치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위치규제링(323)은 상기 베이렁(324)이 아니라 상기 전사롤러(310)의 상기 회전축(311)에 직접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회전축(311)은, 상기 회전축(311)의 상기 위치규제링(323)이 설치되는 부분의 반경이 국부적으로 다른 부위보다 크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위치규제링(323)은 상기 전사롤러(310)가 아니라, 상기 전사롤러(310)에 대향하는 상기 구동롤러(220) 측에 마련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위치규제링(323)은 상기 구동롤러(220)의 회전축(221) 상에 설치될 수도 있고, 상기 회전축(221)을 지지하는 상기 제1축지지부(240)의 베어링에 설치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위치규제링(323)은 상기 구동롤러(220) 및 상기 전사롤러(310) 양측 모두에 각각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축지지부(3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사롤러(310)의 상기 회전축(311)의 양단부를 각각 커버하는 캡프레임(3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프레임(325)는 상기 회전축(311)의 양단부를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제2축지지부(320)는 상기 캡프레임(325)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전사롤러(310)의 상기 회전축(311)을 지지하는 축지지레버(3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경우에 따라서 상기 캡프레임(325)은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축지지레버(321)는 상기 회전축(311)에 대체로 나란한 회동축(321a)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축지지레버(321)는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회동축(321a)은 상기 유닛프레임(301)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축지지레버(321)는 후술할 탄성부재(335)측으로 돌출되어 일단부가 후술할 구동레버(331)에 연결되는 연장부(도 3의 321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335)는 상기 연장부(321b)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전사유닛(300)은 상기 전사롤러(310)를 상기 이격위치 및 상기 가압위치로 이동시키는 구동유닛(330)을 더 포함한다.
상기 구동유닛(330)은 상기 전사롤러(310)를 상기 이격위치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부재(335)와; 상기 전사롤러(310)를 상기 가압위치로 이동시키는 작동유닛(331)을 포함한다.
상기 작동유닛(331)은 상기 유닛프레임(301)에 힌지축(331a)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며 상기 제2축지지부(320)를 구동하는 구동레버(331)와; 상기 구동레버(332)의 일단부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캠(333)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335)는 상기 구동레버(332)의 타단부와 상기 제2축지지부(320), 정확하게는 축지지레버(321) 사이에 배치된다.
도 2 및 도 3은 상기 제2축지지부(320)가 상기 이격위치(A) 및 상기 가압위치(B)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 요부 확대도이다.
상기 작동유닛(331)의 상기 캠(333)이 상기 구동레버(332)의 일단부를 가압 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축지지부(320)는 상기 중간전사벨트(210)로부터 이격된 상기 이격위치(A)에 위치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중간전사벨트(210) 상에 소망하는 최종화상이 형성되기 전까지 상기 제2축지지부(320) 및 상기 제2축지지부(320)가 지지하는 상기 전사롤러(310)는 상기 이격위치(A)에 위치한다.
상기 중간전사벨트(210)에 상기 최종화상이 형성된 후, 상기 캠(333)이 회전 구동된다. 상기 캠(333)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구동레버(332)의 상기 일단부를 가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구동레버(332)는 상기 힌지축(331a)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상기 구동레버(332)의 타단부에 연결된 상기 제2축지지부(320)도 상기 회동축(321a)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축지지부(320)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전사롤러(310)는 점차 상기 중간전사벨트(210)로 접근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전사롤러(310)의 이동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축지지부(240)와 상기 제2축지지부(320)가 서로 접촉함에 따러 규제된다. 즉, 상기 전사롤러(310)는 상기 제2축지지부(320)의 돌기(333a)가 상기 제1축지지부(240)에 접촉할 때까지 이동하게 된다.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축지지레버(도 1의 321) 및 구동유닛(330)을 생략하고 상기 돌기(333a)와 상기 제1축지지부(240)를 이격시킨 상태로 도시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 와 같이, 구동롤러(220)의 탄성층(223)과 전사롤러(110)의 탄성층(315)이 서로 압접됨으로써 발생하는 전사닙(N)의 폭이 그 길이방향을 따라 얼마나 변동되는 지를 테스트한 결과 다음의 표 1과 같은 결과가 얻어진다.
[표 1]
Figure 112009060706068-pat00001
상기 [표 1]에서 단위는 mm이고, "일단" 및 "타단"은 전사롤러(310)의 길이방향으로의 양단에서의 전자닙폭을 의미한다.
8회의 테스트에 따른 전사닙폭 차이의 평균값을 보면, 종래의 경우 0.88mm인 반면, 본 발명의 경우 0.15mm로 기존 대비 83%(=(0.88-0.15)/0.88))정도 전사닙(N)폭의 길이방향에 따른 변동을 개선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사닙(N)의 폭이 길이방향으로 균일하게 유지됨에 따라 전사특성이 향상되고, 이에 의해 화상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축지지부(240) 및 상기 제2축지지부(320)는 상기 전사롤러(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양측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양단부에서 상기 전사롤러(310)의 상기 가압위 치(B)를 규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축지지부(320)의 돌기(323a)와 상기 제1축지지부(240)(베어링(240))이 서로 접촉함으로써 상기 전사롤러(310)의 상기 가압위치(B)가 규제된다.
상기 인쇄매체가 상기 중간전사벨트(210)와 상기 전사롤러(310) 사이를 통과완료 할 때 까지, 상기 캠(333)은 도 3에 도시된 위치를 유지한다.
한편, 상기 캠(333)에 의해 상기 구동레버(332)의 타단부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구동레버(332)의 타단부와 상기 축지지부 사이에 배치된 상기 탄성부재(335)는 압축된다.
이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33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지지레버(321)와 상기 구동레버(332)가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F)을 상기 축지리레버(321) 및 상기 구동레버(332)의 상기 타단부에 인가한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력(F)이 인가된 전사롤러(210)와 상기 구동롤러(220) 사이에는 전사닙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축지지부(240)와 상기 제2축지지부(320)간의 접촉에 의해 상기 전사롤러(210)의 이동량이 비교적 정확하게 규제가 되기 때문에, 상기 전사닙은 대체로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중간전사벨트(210) 상의 상기 최종 가시화상이 상기 전사롤러(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균일한 전사특성을 가지게 되어 인쇄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쇄매체의 후단이 상기 전사닙을 통과한 후, 상기 캠(333)은 다시 도 2의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캠(333)은 미도시된 전기모터에 의해서 구동될 수 잇다.
여기서, 상기 화상형성장치(1)는 상술한 인쇄과정 전반을 제어하고, 상기 캠(333)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캠(333)이 도 2의 위치로 복원이동함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335)의 상기 탄성력(F)에 의해 상기 제2축지지부(320)도 도 2에 도시된 상기 이격위치(A)로 복원이동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개략 단면도,
도 2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롤러가 이격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의 개략 요부 확대도,
도 3은 도 1의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롤러가 가압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의 개략 요부 확대도,
도 4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롤러의 가압위치가 규제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5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의 요부 개략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화상형성장치 110: 상담지체
140: 현상카트리지 200: 중간전사유닛
210: 중간전사벨트 220: 구동롤러
230: 중간전사롤러 240: 제1축지지부
300: 매체전사유닛 310: 전사롤러
320: 제2축지지부 321: 축지지레버
323: 위치규제링 323a: 돌기
325: 캡프레임 330: 구동유닛
331: 작동유닛 335: 탄성부재
332: 구동레버 333: 캠

Claims (16)

  1. 전자사진 방식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담지체와;
    상기 상담지체 상의 가시화상이 전사되는 중간전사벨트, 상기 중간전사벨트를 구동하는 구동롤러 및 상기 구동롤러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제1축지지부를 포함하는 중간전사유닛과;
    상기 중간전사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구동롤러를 가압하는 가압위치 및 상기 가압위치에서 이격된 이격위치 간을 이동 가능한 전사롤러 및 상기 전사롤러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제2축지지부를 구비하여 상기 중간전사벨트 상의 가시화상을 인쇄매체로 전사하는 매체전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전사롤러의 상기 가압위치는 상기 제1축지지부 및 상기 제2축지지부의 접촉에 의해서 규제되고,
    상기 제1축지지부 및 상기 제2축지지부 중 어느 하나는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축지지부 및 상기 제2축지지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베어링을 향해 돌출된 돌기를 갖는 위치규제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축지지부 및 상기 제2축지지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며 상기 위치규제링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베어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규제링에 설치된 돌기가 상기 베어링과 접촉하여 상기 구동롤러 및 상기 전사롤러가 서로 압접됨으로써 발생하는 전사닙의 폭이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축지지부는 상기 가압위치 및 상기 이격위치 간을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전사유닛은,
    상기 전사롤러를 상기 이격위치 및 상기 가압위치로 이동시키는 구동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전사롤러를 상기 이격위치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부재와;
    상기 전사롤러를 상기 가압위치로 이동시키는 작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유닛은,
    상기 전사롤러의 회전축에 나란한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며 상기 제2축지지부를 구동하는 구동레버와;
    상기 구동레버의 일단부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구동레버의 타단부와 상기 제2축지지부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상담지체와, 상기 상담지체 상의 가시화상이 전사되는 중간전사벨트, 상기 중간전사벨트를 구동하는 구동롤러 및 상기 구동롤러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제1축지지부를 포함하는 중간전사유닛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설치되어 상기 중간전사벨트 상의 가시화상을 인쇄매체로 전사하는 전사유닛에 있어서,
    상기 중간전사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구동롤러를 가압하는 가압위치 및 상기 가압위치에서 이격된 이격위치 간을 이동 가능한 전사롤러와;
    상기 전사롤러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제2축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사롤러의 상기 가압위치는 상기 제1축지지부 및 상기 제2축지지부의 접촉에 의해서 규제되고,
    상기 제1축지지부 및 상기 제2축지지부 중 어느 하나는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축지지부 및 상기 제2축지지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베어링을 향해 돌출된 돌기를 갖는 위치규제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축지지부 및 상기 제2축지지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며 상기 위치규제링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베어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규제링에 설치된 돌기가 상기 베어링과 접촉하여 상기 구동롤러 및 상기 전사롤러가 서로 압접됨으로써 발생하는 전사닙의 폭이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유닛.
  10. 삭제
  11. 삭제
  12. 가시화상을 매체로 이송하는 전사롤러, 상기 전사롤러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제2축지지부를 포함하는 전사유닛과 상담지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설치되어 상기 상담지체에 형성된 상기 가시화상을 상기 전사유닛을 통하여 상기 매체로 이송하기 전에 상기 가시화상을 일시적으로 보존하는 중간전사벨트유닛에 있어서,
    상기 상담지체의 상기 가시화상이 전사되는 중간전사벨트와;
    상기 중간전사벨트를 구동하는 구동롤러와;
    상기 구동롤러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제1축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축지지부는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전사유닛의 상기 전사롤러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제2축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축지지부는 외주면에 국부적으로 돌출된 돌기를 갖는 위치규제링과 상기 위치규제링의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규제링의 상기 돌기와 상기 베어링의 접촉에 의해 상기 구동롤러와 상기 전사롤러는 상기 중간전사벨트를 사이에 두고 서로 압접됨으로서 발생하는 전사닙의 폭이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전사벨트유닛.
  13. 삭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유닛은,
    상기 중간전사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구동롤러를 가압하는 가압위치 및 상기 가압위치에서 이격된 이격위치 간을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전사벨트유닛.
  15. 삭제
  16. 삭제
KR1020090094033A 2009-10-01 2009-10-01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101644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033A KR101644639B1 (ko) 2009-10-01 2009-10-01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US12/868,855 US8503897B2 (en) 2009-10-01 2010-08-26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improved image transf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033A KR101644639B1 (ko) 2009-10-01 2009-10-01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6392A KR20110036392A (ko) 2011-04-07
KR101644639B1 true KR101644639B1 (ko) 2016-08-11

Family

ID=43823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4033A KR101644639B1 (ko) 2009-10-01 2009-10-01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503897B2 (ko)
KR (1) KR1016446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46857B2 (ja) * 2014-06-23 2019-01-0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436345B2 (ja) * 2014-12-11 2018-12-1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離間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9291954B1 (en) * 2015-02-17 2016-03-22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JP2022087872A (ja) * 2020-12-02 2022-06-14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11281127B1 (en) * 2021-02-10 2022-03-22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8142A (ja) * 2001-07-19 2003-01-29 Konica Corp 位置決め機構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4054282A (ja) * 2002-07-22 2004-0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電子写真方式画像形成装置の転写装置
JP2009216799A (ja) 2008-03-07 2009-09-24 Fuji Xerox Co Ltd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33719A (ja) * 1991-07-12 1993-12-17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H06118805A (ja) * 1992-10-06 1994-04-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転写装置
JP3269334B2 (ja) * 1995-06-16 2002-03-25 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6665507B1 (en) * 2002-08-14 2003-12-1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s and devices for spacing components of an electrophotographic printer
JP2004252258A (ja) * 2003-02-21 2004-09-09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7225807A (ja) * 2006-02-22 2007-09-06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および転写部材の離隔状態の検出方法
JP5297678B2 (ja) * 2008-04-11 2013-09-2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8142A (ja) * 2001-07-19 2003-01-29 Konica Corp 位置決め機構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4054282A (ja) * 2002-07-22 2004-0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電子写真方式画像形成装置の転写装置
JP2009216799A (ja) 2008-03-07 2009-09-24 Fuji Xerox Co Ltd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503897B2 (en) 2013-08-06
US20110081165A1 (en) 2011-04-07
KR20110036392A (ko) 2011-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72605B2 (en) Transfer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353041B2 (ja) 加圧機構、転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3019950A (ja) ベルト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529277B2 (ja) 画像形成装置
KR101644639B1 (ko)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2006267890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ベルトユニット
US850966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for bringing transfer material held at inner face
US857143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ransfer roller mechanism
US8019259B2 (en) Development device, process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570233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2006716A (ja) 画像形成装置
JP2000181184A (ja) 画像形成装置
US20130223899A1 (en) Recording-medium transporting body, transfer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8971777B2 (en) Fixing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fixing method
US6035176A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cassette-type cleaner
US980453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6445896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charging device that contacts a portion of an image carrier belt spanning a driving roller and method of use
CN111752120B (zh) 成像设备、方法和存储介质
CN111413854A (zh) 带式传送装置、定影装置和图像形成装置
JP2003255642A (ja) ベルト寄り規制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H1152759A (ja) 中間転写ベルトを用いた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7304762B2 (ja) 転写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EP2746861B1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20210088941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10877404B1 (en) Transfer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