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3364B1 - 얼터네이터 부품 해체 장치 및 해체 방법 - Google Patents

얼터네이터 부품 해체 장치 및 해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3364B1
KR101643364B1 KR1020150158436A KR20150158436A KR101643364B1 KR 101643364 B1 KR101643364 B1 KR 101643364B1 KR 1020150158436 A KR1020150158436 A KR 1020150158436A KR 20150158436 A KR20150158436 A KR 20150158436A KR 101643364 B1 KR101643364 B1 KR 101643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anel
stator coil
alternator
housing cover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8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창현
Original Assignee
상화시스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화시스템주식회사 filed Critical 상화시스템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8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33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3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3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06Disassembling, repairing or modifying dynamo-electric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면 리어 브라켓 또는 후면 리어 브라켓에 해당하는 하우징 덮개와, 하우징 덮개의 내측에 결합되는 스테이터 코일을 포함하는 얼터네이터 파츠의 해체를 위한 얼터네이터 부품 해체 장치로서, 스테이터 코일의 내측으로 진입되어 스테이터 코일과 결속되며, 결속된 스테이터 코일을 하우징 덮개의 개구된 일방으로 분리하여 제거시키는 분리 모듈을 포함하는 얼터네이터 부품 해체 장치 및 해체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차량에 탑재되는 얼터네이터를 재활용하기 위한 얼터네이터 해체 작업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하여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얼터네이터 부품 해체 장치 및 해체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disassembling alternator}
본 발명은, 얼터네이터 부품 해체 장치 및 해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탑재되는 얼터네이터를 재활용하기 위한 얼터네이터 해체 작업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하여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얼터네이터 부품 해체 장치 및 해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폐자동차 해체부품의 효율적 재활용과 관련하여 재정된 자원순환법에서는 폐차되는 자동차 부품 등의 재사용 및 재활용 등에 의해 2009년부터 85% 이상의 재활용비율을 달성하도록 하고 있다. 특히, 부품의 재사용은 자원절약과 환경보전 및 CO2 삭감 등에 유용한 수단이 되고 있는 바, 이의 이용 활성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재생업체들은 차량의 발전기인 얼터네이터(Alternator)를 재활용해오고 있다. 즉, 얼터네이터로부터 내부에 코일을 분리하기 위하여 각 결합부품들을 개별적으로 분해함에 있어서 얼터네이터의 하우징 표면을 설정 온도로 가열하여 그 부피를 팽창시키고, 그 후에 내부에서 코일을 수동적으로 분리시키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얼터네이터의 재활용을 위한 분해 과정상에 작업성이 현저하게 떨어지고 인건비가 상승되어, 전반적인 분해비용의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9078호
본 발명은, 차량의 탑재되는 얼터네이터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해체하여, 해체된 부품들을 다른 용도로 용이하게 재활용할 수 있는 얼터네이터 부품 해체 장치 해체 방법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면 리어 브라켓 또는 후면 리어 브라켓에 해당하는 하우징 덮개와, 하우징 덮개의 내측에 결합되는 스테이터 코일을 포함하는 얼터네이터 파츠를 해체하기 위한 얼터네이터 부품 해체 장지로서, 얼터네이터 파츠의 내측으로 진입되어 스테이터 코일과 결속되며, 결속된 스테이터 코일을 하우징 덮개의 개구된 일방으로 분리하여 제거시키는 분리 모듈을 포함하는 얼터네이터 부품 해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스테이터 코일은, 중공의 통형상체로서 둘레방향을 따라 수직 관통공이 복수 형성된 코아와, 코아의 관통공을 통해 권선되는 코일을 포함하며, 분리 모듈은, 얼터네이터 파츠를 거치하기 위한 하우징 거치부와, 상측 단부에 코아와 결속하기 위한 걸쇄형 돌기가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의 홈이 형성되고, 내주면 적어도 일부에는 상방에서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복수의 걸림편으로 이루어지되, 걸림편들은 홈으로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링형 부재가 체결됨으로써 상호간에 결속되는 걸림부 및 걸림부의 내측에 위치된 채, 외력에 의하여 상방과 하방으로 유동하여 걸림편들이 외측으로 유동되도록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며, 걸쇄형 돌기는 가압부의 동작에 기반하여 코아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코아를 향하여 유동하는 제1동작상태가 되며, 걸림부는 제1동작상태에서 하방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기반하여, 하우징 덮개로부터 스테이터 코일을 분리하여 제거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제1베이스패널과, 제1베이스패널로부터 수직방향 왕복유동을 위하여, 하면에 제1베이스패널의 통공으로 삽입되는 샤프트가 체결되며 상면으로 걸림부의 하부와 결합되는 제2베이스패널 및 수직방향으로 유동되는 피스톤을 포함하되, 피스톤은 제1베이스패널과 제2베이스패널을 관통하여 가압부에 연동 결합되는 외력공급수단을 포함하되, 샤프트에는, 제1베이스패널의 하면과 제2베이스패널의 상면 상호간에 대한 탄성을 발생시키기 위한 탄성부재가 외삽될 수 있다.
또한, 외력공급수단이 피스톤을 통해 가압부를 하방으로 유동시키는 경우, 가압부는 제2베이스패널을 하방으로 가압함으로써 제1동작상태인 걸림부가 하우징 덮개로부터 스테이터 코일을 분리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스테이터 코일은, 중공의 통형상체로서 둘레방향을 따라 수직 관통공이 복수 형성된 코아와, 코아의 관통공을 통해 권선되는 코일을 포함하며, 하우징 덮개는, 스테이터 코일의 코아와 대향하는 영역상에 일정면적 함입되어진 함입부가 형성되어, 완충부재가 구비되고, 분리 모듈은, 얼터네이터 파츠를 거치하기 위한 하우징 거치부를 포함하되, 하우징 거치부는, 상측 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된 후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하우징 덮개의 완충부재에 인접하거나 마주 접하도록 하우징 덮개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면 리어 브라켓 또는 후면 리어 브라켓에 해당하는 하우징 덮개와, 하우징 덮개의 내측에 결합되는 스테이터 코일을 포함하는 얼터네이터 파츠를 준비하는 제1단계; 및 스테이터 코일을 하우징 덮개의 개구된 일방으로 분리하여 제거시키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얼터네이터 부품 해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스테이터 코일은, 중공의 통형상체로서 둘레방향을 따라 수직 관통공이 복수 형성된 코아와, 코아의 관통공을 통해 권선되는 코일을 포함하며, 제2단계는, 얼터네이터 파츠를 거치하기 위한 하우징 거치부를 준비하는 하우징 거치부 준비단계와, 상측 단부에 코아와 결속하기 위한 걸쇄형 돌기가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되고, 내주면 적어도 일부에는 상방에서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복수의 걸림편으로 이루어지되, 걸림편들의 홈에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링형 부재가 체결됨으로써 상호간에 결속되는 걸림부를 준비하는 걸림부 준비단계와, 걸림부의 내측에 위치된 채, 외력에 의하여 상방과 하방으로 유동하여 걸림편들을 외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를 준비하는 가압부 준비단계와, 걸쇄형 돌기가 가압부의 동작에 기반하여 코아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코아를 향하여 유동되어 제1동작상태가 되는 걸쇄형돌기유동 단계 및 걸림부가 제1동작상태에서 하방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기반하여, 하우징 덮개로부터 스테이터 코일을 분리하여 제거시키는 스테이터 코일 분리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단계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제1베이스패널을 준비하는 제1베이스패널 준비단계와, 제1베이스패널로부터 수직방향 왕복유동을 위하여, 하면에 제1베이스패널의 통공으로 삽입되는 샤프트가 체결되며 상면으로 걸림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2베이스패널 준비단계 및 수직방향으로 유동되는 피스톤을 포함하되, 피스톤은 제1베이스패널과 제2베이스패널을 관통하여 가압부에 연동 결합되는 외력공급수단을 준비하는 외력공급수단 준비단계를 더 포함하며, 제2베이스패널 준비단계에서, 샤프트에는, 제1베이스패널의 하면과 제2베이스패널의 상면 상호간에 대한 탄성을 발생시키기 위한 탄성부재가 외삽될 수 있다.
또한, 스테이터 코일 분리단계에서, 외력공급수단이 피스톤을 통해 가압부를 하방으로 유동시키는 경우, 가압부는 제2베이스패널을 하방으로 가압함으로써 제1동작상태인 걸림부가 하우징 덮개로부터 스테이터 코일을 분리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얼터네이터 부품 해체 장치 및 해체 방법은 차량의 탑재되는 얼터네이터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해체하여, 작업성을 높이고 인건비를 절감하는 효율적인 얼터네이터의 분해 작업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터네이터 부품 해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도 1에 따른 얼터네이터 부품 해체 장치의 가공 대상물인 얼터네이터 파츠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1에 따른 얼터네이터 부품 해체 장치를 이용하여 얼터네이터 파츠를 해체하는 동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따른 얼터네이터 부품 해체 장치의 구성들 중 걸림부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따른 얼터네이터 부품 해체 장치를 이용하여 얼터네이츠 파츠로부터 스테이터 코일이 해체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터네이터 부품 해체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도 9에 따른 얼터네이터 부품 해체 동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터네이터(alternator) 부품 해체 장치(1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도 1에 따른 얼터네이터 부품 해체 장치(100)의 가공 대상물인 얼터네이터 파츠(1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1에 따른 얼터네이터 부품 해체 장치(100)를 이용하여 얼터네이터 파츠(10)를 해체하는 동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따른 얼터네이터 부품 해체 장치(100)를 이용하여 얼터네이츠 파츠(10)로부터 스테이터 코일(12)가 해체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전면 리어 브라켓 또는 후면 리어 브라켓에 해당하는 하우징 덮개(11)와, 하우징 덮개(11)의 내측에 결합되는 스테이터 코일(12)를 구비하는 얼터네이터 파츠(10)를 해체하기 위한 얼터네이터 부품 해체 장치(100)로서, 분리 모듈(110)을 포함한다. 분리 모듈(110)은 하우징 거치부(111), 걸림부(112), 가압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분리 모듈(110)은 얼터네이터 파츠(10)의 내측으로 진입되어 스테이터 코일(12)과 결속된 후, 결속된 스테이터 코일(12)를 하우징 덮개(11)의 개구된 일방으로 분리하여 제거시킬 수 있다. 이때, 스테이터 코일(12)은 중공의 통형상체로서 둘레방향을 따라 수직 관통공이 복수 형성된 코아(12a)와, 코아(12a)의 관통공을 통해 권선되는 코일(12b)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분리 모듈(110)은 하우징 거치부(111)는 얼터네이터 파츠(10)를 거치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하우징 거치부(111)는 하우징 덮개(11)과 형합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림부(112)는 상측 단부에 코아(12a)와 결속하기 위한 걸쇄형 돌기(1121b)가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의 홈이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고, 내주면 적어도 일부에는 상방에서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복수의 걸림편(112a)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걸림편(112a)들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으로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링형부재(1121a)(예: 고무링 등)가 체결됨으로써 상호간에 결속될 수 있다. 즉, 링형부재(1121a)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걸림편(112a)들이 외측으로 전진 유동한 뒤 다시 내측으로 후진 유동할 수 있다.
가압부(113)는 걸림부(112)의 내측에 위치된 채, 외력에 의하여 상방과 하방으로 유동하여 걸림편(112a)들이 외측으로 유동되도록 가압할 수 있다. 여기서, 가압부(113)는 전술한 걸림편(112a)과 형합적으로 대응하여 마주 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걸쇄형 돌기(1121b)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113)의 동작에 기반하여 코아(12a)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코아(12a)를 향하여 유동하는 제1동작상태가 될 수 있다.
걸림부(11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동작상태에서 하방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기반하여, 하우징 덮개(11)로부터 스테이터 코일(12)를 분리하여 제거시킬 수 있다.
제1베이스패널(114)은 얼터네이터 파츠(10)와 분리 모듈(110)을 상부에 거치할 수 있을 정도의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소정 위치에 복수의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얼터네이터 파츠(10)의 해체 작업을 위한 테이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베이스패널(115)은 제1베이스패널(114)로부터 수직방향 왕복유동을 위하여, 하면에 제1베이스패널(114)의 통공으로 삽입되는 샤프트(114a)가 체결되며 상면으로 걸림부(112)의 하부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샤프트(114a)에는, 제1베이스패널(114)의 하면과 제2베이스패널(115)의 상면 상호간에 대한 탄성을 발생시키기 위한 탄성부재(114b)가 외삽될 수 있다.
피스톤(116a)은 외력공급수단(미도시)에 의하여 수직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는데, 피스톤(116a)은 제1베이스패널(114)과 제2베이스패널(115)을 관통하여 가압부(113)에 연동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외력공급수단으로는 유압실린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외력공급수단이 피스톤(116a)을 통해 가압부(113)를 하방으로 유동시키는 경우, 가압부(113)는 제2베이스패널(115)을 하방으로 가압함으로써 제1동작상태인 걸림부(112)가 하우징 덮개(11)로부터 스테이터 코일(12)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하우징 덮개(11)는 스테이터 코일(12)의 코아(12a)와 대향하는 영역상에 일정면적 함입 되는 함입부가 형성되어, 완충부재(S)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완충부재(S)로는 실리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하우징 거치부(111)는, 상측 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된 후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하우징 덮개(11)의 완충부재(S)에 인접하거나 마주 접하도록 하우징 덮개(11)와 결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터네이터 부품 해체 방법(S100)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도 1에 따른 얼터네이터 부품 해체 동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얼터네이터 부품 해체 장치(100)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터네이터 부품 해체 방법(S100)은, 제1단계(S110단계 참조)로 전면 리어 브라켓 또는 후면 리어 브라켓에 해당하는 하우징 덮개와, 하우징 덮개의 내측에 결합되는 스테이터 코일(12)를 포함하는 얼터네이터 파츠(10)를 준비한다.
여기서, 스테이터 코일(12)은, 중공의 통형상체로서 둘레방향을 따라 수직 관통공이 복수 형성된 코아(12a)와, 코아(12a)의 관통공을 통해 권선되는 코일(1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단계(S120단계)로 스테이터 코일(12)를 하우징 덮개(11)의 개구된 일방으로 분리하여 제거시킨다. 여기서, 제2단계(S120단계)는 보다 상세하게는, 먼저 제1베이스패널(114)준비단계(S121단계)에서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제1베이스패널(114)을 준비한다.
제2베이스패널(115)준비단계(S122단계)에서 제1베이스패널(114)로부터 수직방향 왕복유동을 위하여, 하면에 제1베이스패널(114)의 통공으로 삽입되는 샤프트(114a)가 체결되며 상면으로 걸림부(112)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2베이스패널(115)을 준비한다.
외력공급수단 준비단계(S123단계)에서는 수직방향으로 유동되는 피스톤(116a)을 포함하되, 피스톤(116a)은 제1베이스패널(114)과 제2베이스패널(115)을 관통하여 가압부(113)에 연동 결합되는 외력공급수단을 준비한다.
하우징 거치부(111)준비 단꼐(S124단계)는, 얼터네이터 파츠(10)를 거치하기 위한 하우징 거치부(111)를 준비한다.
걸림부 준비단계(S125단계)에서는, 상측 단부에 코아(12a)와 결속하기 위한 걸쇄형 돌기(1121b)가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되고, 내주면 적어도 일부에는 상방에서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복수의 걸림편(112a)으로 이루어지되, 걸림편(112a)들의 홈에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링형부재(1121a)가 체결됨으로써 상호간에 결속되는 걸림부(112)를 준비한다.
가압부(113)준비단계(S126단계)에서는 걸림부(112)의 내측에 위치된 채, 외력에 의하여 상방과 하방으로 유동하여 걸림편(112a)들을 외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113)를 준비한다.
걸쇄형돌기유동 단계(S127단계)에서는 걸쇄형 돌기(1121b)가 가압부(113)의 동작에 기반하여 코아(12a)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코아(12a)를 향하여 유동되어 제1동작상태로 될 수 있다.
스테이터 코일(12)분리단계(S128단계)에서는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112)가 제1동작상태에서 하방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기반하여, 하우징 덮개로부터 스테이터 코일(12)를 분리하여 제거시킬 수 있다.
이러한, 스테이터 코일 분리단계(S128단계)에서, 외력공급수단이 피스톤(116a)을 통해 가압부(113)를 하방으로 유동시키는 경우, 가압부(113)는 제2베이스패널(115)을 하방으로 가압함으로써 제1동작상태인 걸림부(112)가 하우징 덮개(11)로부터 스테이터 코일(12)를 분리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S : 완충부재
10 : 얼터네이터 파츠
11 : 하우징 덮개
12 : 스테이터 코일
12a: 코아
12b : 코일
110 : 분리 모듈
111 : 하우징 거치부
112 : 걸림부
112a : 걸림편
1121a: 링형부재
1121b : 걸쇄형 돌기
113 : 가압부
114 : 제1베이스패널
114a : 샤프트
114b : 탄성부재
115 : 제2베이스패널
116a : 피스톤

Claims (9)

  1. 전면 리어 브라켓 또는 후면 리어 브라켓에 해당하는 하우징 덮개와, 상기 하우징 덮개의 내측에 결합되는 스테이터 코일을 구비하되, 상기 스테이터 코일은 중공의 통형상체로서 둘레방향을 따라 수직 관통공이 복수 형성된 코아와, 상기 코아의 상기 관통공을 통해 권선되는 코일을 포함하는 얼터네이터 파츠의 해체를 위한 얼터네이터 부품 해체 장치로서,
    상기 얼터네이터 파츠의 내측으로 진입되어 상기 스테이터 코일과 결속되며, 결속된 상기 스테이터 코일을 상기 하우징 덮개의 개구된 일방으로 분리하여 제거시키는 분리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분리 모듈은,
    상기 얼터네이터 파츠를 거치하기 위한 하우징 거치부와,
    상측 단부에 상기 코아와 결속하기 위한 걸쇄형 돌기가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의 홈이 형성되고, 내주면 적어도 일부에는 상방에서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복수의 걸림편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걸림편들은 상기 홈으로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링형 부재가 체결됨으로써 상호간에 결속되는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의 내측에 위치된 채, 외력에 의하여 상방과 하방으로 유동하여 상기 걸림편들이 외측으로 유동되도록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걸쇄형 돌기는 상기 가압부의 동작에 기반하여 상기 코아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코아를 향하여 유동하는 제1동작상태가 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제1동작상태에서 하방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기반하여, 하우징 덮개로부터 상기 스테이터 코일을 분리하여 제거시키는 얼터네이터 부품 해체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제1베이스패널과,
    상기 제1베이스패널로부터 수직방향 왕복유동을 위하여, 하면에 상기 제1베이스패널의 상기 통공으로 삽입되는 샤프트가 체결되며 상면으로 상기 걸림부의 하부와 결합되는 제2베이스패널 및
    수직방향으로 유동되는 피스톤을 포함하되, 상기 피스톤은 상기 제1베이스패널과 상기 제2베이스패널을 관통하여 상기 가압부에 연동 결합되는 외력공급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샤프트에는, 상기 제1베이스패널의 하면과 상기 제2베이스패널의 상면 상호간에 대한 탄성을 발생시키기 위한 탄성부재가 외삽되는 얼터네이터 부품 해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력공급수단이 상기 피스톤을 통해 상기 가압부를 하방으로 유동시키는 경우,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2베이스패널을 하방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제1동작상태인 상기 걸림부가 상기 하우징 덮개로부터 상기 스테이터 코일을 분리하도록 하는 얼터네이터 부품 해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 코일은, 중공의 통형상체로서 둘레방향을 따라 수직 관통공이 복수 형성된 코아와, 상기 코아의 상기 관통공을 통해 권선되는 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덮개는, 상기 스테이터 코일의 상기 코아와 대향하는 영역상에 일정면적 함입 되는 함입부가 형성되어, 완충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분리 모듈은, 상기 얼터네이터 파츠를 거치하기 위한 하우징 거치부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 거치부는,
    상측 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된 후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 덮개의 상기 완충부재에 인접하거나 마주 접하도록 상기 하우징 덮개와 결합되는 얼터네이터 부품 해체 장치.
  6. 전면 리어 브라켓 또는 후면 리어 브라켓에 해당하는 하우징 덮개와, 상기 하우징 덮개의 내측에 결합되는 스테이터 코일을 포함하는 얼터네이터 파츠를 준비하는 제1단계; 및
    상기 스테이터 코일을 상기 하우징 덮개의 개구된 일방으로 분리하여 제거시키는 제2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스테이터 코일은, 중공의 통형상체로서 둘레방향을 따라 수직 관통공이 복수 형성된 코아와, 상기 코아의 상기 관통공을 통해 권선되는 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얼터네이터 파츠를 거치하기 위한 하우징 거치부를 준비하는 하우징 거치부 준비단계와,
    상측 단부에 상기 코아와 결속하기 위한 걸쇄형 돌기가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되고, 내주면 적어도 일부에는 상방에서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복수의 걸림편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걸림편들의 상기 홈에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링형 부재가 체결됨으로써 상호간에 결속되는 걸림부를 준비하는 걸림부 준비단계와,
    상기 걸림부의 내측에 위치된 채, 외력에 의하여 상방과 하방으로 유동하여 상기 걸림편들을 외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를 준비하는 가압부 준비단계와,
    상기 걸쇄형 돌기가 상기 가압부의 동작에 기반하여 상기 코아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코아를 향하여 유동되어 제1동작상태가 되는 걸쇄형 돌기 유동 단계와,
    상기 걸림부가 상기 제1동작상태에서 하방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기반하여, 하우징 덮개로부터 상기 스테이터 코일을 분리하여 제거시키는 스테이터 코일 분리단계를 포함하는 얼터네이터 부품 해체 방법.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제1베이스패널을 준비하는 제1베이스패널 준비단계와,
    상기 제1베이스패널로부터 수직방향 왕복유동을 위하여, 하면에 상기 제1베이스패널의 상기 통공으로 삽입되는 샤프트가 체결되며 상면으로 상기 걸림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2베이스패널 준비단계 및
    수직방향으로 유동되는 피스톤을 포함하되, 상기 피스톤은 상기 제1베이스패널과 상기 제2베이스패널을 관통하여 상기 가압부에 연동 결합되는 외력공급수단을 준비하는 외력공급수단 준비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베이스패널 준비단계에서,
    상기 샤프트에는, 상기 제1베이스패널의 하면과 상기 제2베이스패널의 상면 상호간에 대한 탄성을 발생시키기 위한 탄성부재가 외삽되는 얼터네이터 부품 해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 코일 분리단계에서,
    상기 외력공급수단이 상기 피스톤을 통해 상기 가압부를 하방으로 유동시키는 경우,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2베이스패널을 하방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제1동작상태인 상기 걸림부가 상기 하우징 덮개로부터 상기 스테이터 코일을 분리하도록 하는 얼터네이터 부품 해체 방법.
KR1020150158436A 2015-11-11 2015-11-11 얼터네이터 부품 해체 장치 및 해체 방법 KR101643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8436A KR101643364B1 (ko) 2015-11-11 2015-11-11 얼터네이터 부품 해체 장치 및 해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8436A KR101643364B1 (ko) 2015-11-11 2015-11-11 얼터네이터 부품 해체 장치 및 해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3364B1 true KR101643364B1 (ko) 2016-08-26

Family

ID=56885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8436A KR101643364B1 (ko) 2015-11-11 2015-11-11 얼터네이터 부품 해체 장치 및 해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336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4874A (ja) * 1998-10-29 2000-05-12 Daikin Ind Ltd モータ巻線の回収方法および回収装置
KR20020090981A (ko) * 2002-10-31 2002-12-05 권호동 스테이터 코일 분리방법 및 분리장치
JP2008167627A (ja) * 2007-01-04 2008-07-17 Jep:Kk 導線の分離方法及び導線の分離装置
KR101089078B1 (ko) 2004-01-13 2011-12-05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함불소 폴리에테르 화합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4874A (ja) * 1998-10-29 2000-05-12 Daikin Ind Ltd モータ巻線の回収方法および回収装置
KR20020090981A (ko) * 2002-10-31 2002-12-05 권호동 스테이터 코일 분리방법 및 분리장치
KR101089078B1 (ko) 2004-01-13 2011-12-05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함불소 폴리에테르 화합물
JP2008167627A (ja) * 2007-01-04 2008-07-17 Jep:Kk 導線の分離方法及び導線の分離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8049048A3 (en) Tool for forming a three dimensional article or container
RU2008116565A (ru) Способ установки двигателя воздушного судна на жесткой конструкции опоры двигателя
KR20130035710A (ko) 릴레이 펀칭 금형 및 릴레이 펀칭 금형을 이용한 펀칭 방법
KR101643364B1 (ko) 얼터네이터 부품 해체 장치 및 해체 방법
EP1703010B1 (en) Device for coupling the tub supporting arms in linen washing machines and the like
CN110088491B (zh) 垫圈和垫圈的制造方法
KR100748675B1 (ko) 프레스용 금형 클램프 장치
CN107304514B (zh) 一种洗衣机上盖及洗衣机
US9718157B2 (en) Expanding die for clinching and riveting operations
JP2014108457A (ja) ブラケット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方法に用いる金型
CN209871493U (zh) 便于拆卸的干法制粒机垂直供料装置
KR101711329B1 (ko) 상측 플레이트가 구비된 스피커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081727A (zh) 压入装置
KR101192123B1 (ko) 가스터빈 연소 라이너 캡 조립체 분해 조립용 지그 장치
JP2016148294A (ja) ラジエータのファンシュラウド構造及びその取り付け、取り外し方法
US2016023625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ttaching a Nut in a Hydro-Forming Tool
JP2004337909A (ja) 打抜き金型のノックアウト装置
JP2009298276A (ja) ラジエータグリル取付構造及びラジエータグリルの取外し方法
CN205497671U (zh) 除废料装置
KR101824403B1 (ko) 자동차용 컵홀더 어셈블리 시스템
US20150060345A1 (en) Filtering apparatus
KR101693829B1 (ko) 스크류 씰링 장치
CN104734435B (zh) 用于制造压缩机定子铁芯的制造装置
WO2014155686A1 (ja) クラッチ及びクラッチの形成用パンチ及びクラッチの製造方法
KR20140068621A (ko) 관재용 축관 포밍 금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