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8621A - 관재용 축관 포밍 금형 - Google Patents

관재용 축관 포밍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8621A
KR20140068621A KR1020120136322A KR20120136322A KR20140068621A KR 20140068621 A KR20140068621 A KR 20140068621A KR 1020120136322 A KR1020120136322 A KR 1020120136322A KR 20120136322 A KR20120136322 A KR 20120136322A KR 20140068621 A KR20140068621 A KR 201400686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lar
tube
forming
block
lower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6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문용
정윤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to KR1020120136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68621A/ko
Publication of KR20140068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86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1/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alter the diameter of tube ends
    • B21D41/04Reducing; Clo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0Die sets; Pillar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Abstract

관재용 축관 포밍 금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재용 축관 포밍 금형은 프레스 설비의 하부 베이스 상의 중앙에 구성되며, 성형할 원형 관재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안착되도록 상면에 원형의 안착홈이 형성되는 안착 블록; 원형블록으로 형성되어 상기 성형할 원형 관재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원형 관재와 함께 상기 안착 블록 상에 위치되며, 상단부에는 상기 원형 관재를 축관 성형할 치수대로 성형 지지면이 형성되는 인너 코어; 및 원형의 링블록으로 형성되어 상기 프레스 설비의 상부 슬라이더 상에 설치되며, 내주면에는 상기 성형 지지면에 대응하는 축관 성형면이 형성되는 축관 스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관재용 축관 포밍 금형 {FORMING METALLIC PATTERN FOR PIPE}
본 발명은 관재용 축관 포밍 금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형 관재의 일단부를 축관 성형하기 위한 관재용 축관 포밍 금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형 관재는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특히, 차량에서는 차량이 범퍼 스태이 등에 적용되는 예를 들 수 있다.
도 1은 이러한 원형 관재를 이용하여 제작된 범퍼 스태이(20)의 일 예로, 이러한 범퍼 스태이(20)는 상기 2개의 원형 관재(21,22)가 축관 및 확관 성형을 통하여 억지끼움으로 끼워져 억지끼움부(30)를 형성하여 구성된다.
상기 억지끼움부(30)에는 4개소에서 리벳이음(R)되어 결합되고, 일측 관재(22)는 외주면 4개소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비드(B)를 형성하여 충돌성능을 높여 주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원형 관재(21) 상의 일단부를 축관 성형하기 위해서는 햄머링, 단조, 프레스 등 다양한 방식을 적용할 수 있겠으나, 중공인 원형 관재(21)의 최초 형상을 손상하지 않고 일단부에만 직경이 좁은 일정형상으로 축관 성형하는 것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프레스 설비의 상부 슬라이더와 하부 베이스 사이에 구성되어 원형 관재의 초기 형상은 유지하면서 일단부를 일정한 형상으로 축관 성형하기 위한 관재용 축관 포밍 금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서는 프레스 설비의 하부 베이스 상의 중앙에 구성되며, 성형할 원형 관재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안착되도록 상면에 원형의 안착홈이 형성되는 안착 블록; 원형블록으로 형성되어 상기 성형할 원형 관재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원형 관재와 함께 상기 안착 블록 상에 위치되며, 상단부에는 상기 원형 관재를 축관 성형할 치수대로 성형 지지면이 형성되는 인너 코어; 및 원형의 링블록으로 형성되어 상기 프레스 설비의 상부 슬라이더 상에 설치되며, 내주면에는 상기 성형 지지면에 대응하는 축관 성형면이 형성되는 축관 스틸를 포함하는 관재용 축관 포밍 금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베이스와 상기 상부 슬라이더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하부 베이스에 대한 상부 슬라이더의 승하강 작동을 안내하는 안내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수단은 상기 상부 슬라이더의 각 모서리부에 포스트 홀더를 통하여 하향하여 설치되는 가이드 포스트; 및 상기 가이드 포스트에 대응하여 상기 하부 베이스 상의 각 모서리부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포스트를 안내하는 포스트 하우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너 코어는 상기 안착 블록의 체결을 위한 볼트의 헤드부가 위치되도록 하면 중앙에 간섭 방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프레스 설비의 상부 슬라이더와 하부 베이스 사이에 안착 블록과 축관 스틸을 통하여 원형 관재 상의 일단부를 축관으로 성형하되, 원형 관재의 내부에는 형상을 지지하는 인너 코어를 삽입한 상태로 성형하여 원형 관재의 초기 형상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일단부를 일정한 축관의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다.
도 1은 원형 관재에 비드가 성형된 범퍼 스태이 유닛의 일 예에 의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재용 축관 포밍 금형의 측 단면도이다.
도 3은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재용 축관 포밍 금형의 단계별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재용 축관 포밍 금형의 측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재용 축관 포밍 금형(1)은 프레스 설비의 하부 베이스(3) 상의 중앙에 구성되는 안착 블록(11), 상기 프레스 설비의 상부 슬라이더(5) 상에 설치되는 축관 스틸(13), 및 성형할 원형관재(10)의 내부에 삽입되는 인너 코어(15)로 구성된다.
상기 안착 블록(11)은 상기 하부 베이스(3) 상의 중앙에 설치되며, 성형할 원형 관재(10)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안착되도록 상면에 원형의 안착홈(G)이 형성된다.
상기 축관 스틸(13)은 원형의 링블록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슬라이더(5) 상의 중앙에 설치되며, 내주면에는 원형 관재(10)를 축관 성형할 치수대로 상기 축관 성형면(F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인너 코어(15)는 원형블록으로 형성되며, 상기 성형할 원형 관재(10)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원형 관재(10)와 함께 상기 안착 블록(11) 상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인너 코어(15)는 상단부에 외주면을 따라 상기 축관 성형면(F1)에 대응하여 상기 원형 관재(10)를 축관 성형할 치수대로 성형 지지면(F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인너 코어(15)는 상기 안착 블록(11)의 체결을 위한 볼트(B)의 헤드부가 간섭을 방지하면서 위치되도록 하면 중앙에 간섭 방지홈(17)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하부 베이스(3)와 상기 상부 슬라이더(5) 사이에는 상기 하부 베이스(3)에 대한 상부 슬라이더(5)의 승하강 작동을 안내하는 안내수단(7)을 구성한다.
상기 안내수단(7)은 상기 상부 슬라이더(5)의 각 모서리부에 포스트 홀더(7a)를 통하여 하향하여 설치되는 가이드 포스트(7b)와, 상기 가이드 포스트(7b)에 대응하여 상기 하부 베이스(3) 상의 각 모서리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포스트(7b)를 안내하는 포스트 하우징(7c)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관재용 축관 포밍 금형(1)의 작동은, 먼저, 도 3에서와 같이, 인너 코어(15)를 원형 관재(10)의 내부에 삽입한 상태로, 상기 원형 관재(10)의 하단부가 안착 블록(11)의 안착홈(G) 내에 삽입되어 안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인너 코어(15)는 하면에 형성된 간섭 방지홈(17)을 통하여 안착 블록(11)의 체결을 위한 볼트(B)의 헤드부에 끼워지도록 하여 안착 블록(11)의 상면에 위치된다.
이러한 상태로, 도 4에서와 같이, 상부 슬라이더(5)가 하강 구동하면, 축관 스틸(13)이 하강하면서 축관 성형면(F1)을 통하여 원형 관재(10)의 외주면 상단부를 인너 코어(15)의 성형 지지면(F2)에 대하여 가압하여 직경이 작은 축관으로 성형한다.
이와 같이, 원형 관재(10)의 외주면 상단부가 축관 성형된 후에는, 도 5에서와 같이, 상부 슬라이더(5)가 상승 구동하여 축관 스틸(13)이 원형 관재(10)로부터 제거되도록 하며, 이러한 상태로, 일단부가 축관 성형된 원형 관재(10)를 인너 코어(15)와 함께 안착 블록(11)으로부터 취출한다.
이로써, 상기 인너 코어(15)를 원형 관재(10)로부터 축관 성형된 반대방향으로 제거하여 초기 형상의 변형이 없는 일단부가 축관으로 성형된 원형 관재(10)를 생산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 축관 포밍 금형 3: 하부 베이스
5: 상부 슬라이더 7: 안내수단
7a: 포스트 홀더 7b: 가이드 포스트
7c: 포스트 하우징 10: 원형 관재
11: 안착 블록 13: 축관 스틸
15; 인터 코어 17: 간섭 방지홈
G: 안착홈

Claims (4)

  1. 프레스 설비의 하부 베이스 상의 중앙에 구성되며, 성형할 원형 관재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안착되도록 상면에 원형의 안착홈이 형성되는 안착 블록;
    원형블록으로 형성되어 상기 성형할 원형 관재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원형 관재와 함께 상기 안착 블록 상에 위치되며, 상단부에는 상기 원형 관재를 축관 성형할 치수대로 성형 지지면이 형성되는 인너 코어; 및
    원형의 링블록으로 형성되어 상기 프레스 설비의 상부 슬라이더 상에 설치되며, 내주면에는 상기 성형 지지면에 대응하는 축관 성형면이 형성되는 축관 스틸;
    를 포함하는 관재용 축관 포밍 금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베이스와 상기 상부 슬라이더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하부 베이스에 대한 상부 슬라이더의 승하강 작동을 안내하는 안내수단을 더 포함하는 관재용 축관 포밍 금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은
    상기 상부 슬라이더의 각 모서리부에 포스트 홀더를 통하여 하향하여 설치되는 가이드 포스트; 및
    상기 가이드 포스트에 대응하여 상기 하부 베이스 상의 각 모서리부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포스트를 안내하는 포스트 하우징;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재용 축관 포밍 금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 코어는
    상기 안착 블록의 체결을 위한 볼트의 헤드부가 위치되도록 하면 중앙에 간섭 방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재용 축관 포밍 금형.
KR1020120136322A 2012-11-28 2012-11-28 관재용 축관 포밍 금형 KR201400686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6322A KR20140068621A (ko) 2012-11-28 2012-11-28 관재용 축관 포밍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6322A KR20140068621A (ko) 2012-11-28 2012-11-28 관재용 축관 포밍 금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8621A true KR20140068621A (ko) 2014-06-09

Family

ID=51124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6322A KR20140068621A (ko) 2012-11-28 2012-11-28 관재용 축관 포밍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6862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0698B1 (ko) * 2020-02-24 2020-09-01 임병훈 파이프소재 냉간 성형 장치 및 방법
CN117415230A (zh) * 2023-11-22 2024-01-19 杭州鑫泽源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硬镜外管端部球头的加工模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0698B1 (ko) * 2020-02-24 2020-09-01 임병훈 파이프소재 냉간 성형 장치 및 방법
CN117415230A (zh) * 2023-11-22 2024-01-19 杭州鑫泽源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硬镜外管端部球头的加工模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043232A1 (ja) ボス付き円盤状部材の製造方法およびボス付き円盤状部材の製造装置
KR101111953B1 (ko) 증육된 벽 부위를 가진 보스의 성형방법 및 그를 위한 금형장치
US20110005292A1 (en) Method of forming curled portion
US9914164B1 (en) Machine press
KR20140068621A (ko) 관재용 축관 포밍 금형
CN104540612B (zh) 车辆用车轮轮辋的制造方法
JP4775017B2 (ja) 突出部を備えた筒状部材の製造方法
KR101450779B1 (ko) 자동차용 풀리 단조 제조 장치
CN101569980A (zh) 卷边式汽车轮毂轴承单元制造方法
CN202607137U (zh) 应用于汽车内饰件制造工艺的新型焊接工装
KR20140068620A (ko) 관재용 확관 포밍 금형
CN215845296U (zh) 扩口模具
JP2007130655A (ja) フランジ付きリングの変形防止機能を有するポンチ
KR20140068619A (ko) 관재용 비드 포밍 금형
CN212144103U (zh) 一种软管弯头的成型装置
KR101407323B1 (ko) 허브베어링 조립체 제조방법
KR20150091850A (ko) 중장비 차량 및 농기계용 타이어 림 성형방법
TWM574520U (zh) 金屬管架套環的沖壓模具
KR20170117288A (ko) 드로잉 가공장치
US10710137B2 (en) Method of making a hose connection for a hose
CN202411723U (zh) 一种应用于汽车内饰件制造工艺的新型焊接工装
CN102489930B (zh) 一种应用于汽车内饰件制造工艺的焊接工装
JP2012152829A (ja) Oリング挿入治具
CN114102070B (zh) 轮辐的卡槽的加工方法和轮辐
CN111468581A (zh) 一种软管弯头的成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