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7323B1 - 허브베어링 조립체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허브베어링 조립체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7323B1
KR101407323B1 KR1020130000053A KR20130000053A KR101407323B1 KR 101407323 B1 KR101407323 B1 KR 101407323B1 KR 1020130000053 A KR1020130000053 A KR 1020130000053A KR 20130000053 A KR20130000053 A KR 20130000053A KR 101407323 B1 KR101407323 B1 KR 101407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b
inner ring
initial member
manufacturing
fo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0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만수
Original Assignee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00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73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7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7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9/00Forging presses
    • B21J9/02Special design or construction
    • B21J9/025Special design or construction with rolling or wobbling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5/00Axle units; Parts thereof ; Arrangements for lubrication of axles
    • B60B35/12Torque-transmitting axles
    • B60B35/18Arrangement of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25/00Uniting components to form integral members, e.g. turbine wheels and shafts, caulks with inserts, with or without shaping of the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suspensions, brakes or wheel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2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 F16C19/34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 F16C19/38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two or more rows of rollers
    • F16C19/383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two or more rows of rollers with tapered rollers, i.e. rollers having essentially the shape of a truncated cone
    • F16C19/385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two or more rows of rollers with tapered rollers, i.e. rollers having essentially the shape of a truncated cone with two rows, i.e. double-row tapered roller bearings
    • F16C19/386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two or more rows of rollers with tapered rollers, i.e. rollers having essentially the shape of a truncated cone with two rows, i.e. double-row tapered roller bearings in O-arrang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01Parts of vehicles in general
    • F16C2326/02Wheel hubs or cas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허브베어링 조립체의 허브로 성형될 허브용 초기부재가 내측단부 외주면에 오목부를 갖도록 상기 허브용 초기부재를 제조하는 초기부재 제조단계; 내주면, 내측면 및 상기 내주면과 내측면을 연결하는 연결면을 갖는 내측링을 제조하는 내측링 제조단계; 상기 내측링의 연결면이 상기 오목부와 마주하는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내측링을 상기 허브용 초기부재에 끼우는 내측링 설치단계; 및 상기 허브용 초기부재의 내측단부를 단조 성형하여 상기 허브로 만드는 단조단계;를 포함하는 허브베어링 조립체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허브베어링 조립체 제조방법{METHOD FOR MAKING HUB-BEARING ASSEMBLY}
본 발명은 허브베어링 조립체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허브베어링 조립체를 구성하는 부품인 허브를 단조로 성형할 수 있게 하는 허브베어링 조립체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삭제
자동차에서 바퀴는 허브베어링 조립체의 외측에 체결된다. 과거 자동차 회사는 부품들을 직접 조립하여 허브베어링 조립체를 만들었으나, 생산성 향상이나 유지보수의 용이성을 위해 최근에는 협력업체로부터 허브베어링 조립체를 공급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허브베어링 조립체(A)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브(10)와, 하우징(20)과, 베어링(30)을 포함한다. 허브(10)는 하우징(20)의 중공을 통과하면서 연장하는 스핀들(12)과, 상기 스핀들(12)의 외측단에 마련된 플랜지(14)를 포함한다. 상기 베어링(30)은 외측링(32)과 내측링(34)과 볼(36)을 포함하는데, 상기 외측링(32)과 내측링(34)은 허브(10)의 외면과 접촉하고, 볼(36)은 외측링(32)의 외면 및 하우징(20)의 내면과, 그리고 내측링(34)의 외면 및 하우징(20)의 내면과 각각 접촉한다. 상기 스핀들(12)은 벌어진 내측단(12a)을 구비하는데, 이는 내측링(34)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허브베어링 조립체(A)의 제조는, 우선 허브용 초기부재의 외부에 상기 베어링(20) 및 하우징(20)이 위치되고, 이후 상기 허브용 초기부재가 회전단조로 성형됨으로써 완료된다. 상기 허브용 초기부재는 허브(10)와 동일하게 플랜지 및 스핀들을 구비한다. 그러나 허브용 초기부재에서는 허브(10)에서와 달리 스핀들(52)의 내측단(52a)이 아무런 굴곡 없이 평평하게 외측에서 내측으로 연장하는 외면(S)을 구비한다(도 2).
허브용 초기부재의 회전단조는 테이블(42) 및 성형공구(44)에 의해 이루어진다. 회전단조가 이루어지는 동안, 테이블(42)은 외측에서 허브용 초기부재를 지지하면서 회전하고, 성형공구(44)는 허브용 초기부재 스핀들(52)의 내측단(52a)을 테이블(42) 쪽으로 가압하면서 회전한다. 이러한 과정이 이루어지는 동안 허브용 초기부재의 내측단(52a)은 벌어지면서 허브(10)의 내측단(12a)과 같이 성형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4-0079903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068082호 일본공개특허 제2010-116144호
그러나 자동차용 허브베어링 조립체의 제조 시 종래와 같이 허브용 초기부재가 회전단조로 성형되는 경우에는, 상기 허브용 초기부재가 단조로 성형되는 경우에 비해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회전단조에서는 전용장비(테이블 및 성형공구)가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제조단가가 높아지는 문제도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허브용 초기부재를 단조로 성형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와 같은 형태의 허브용 초기부재를 단조로 성형하게 되면 회전단조로 성형하는 경우에 비해 매우 큰 하중이 베어링의 내측링에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허브용 초기부재의 형태가 종래와 같은 이상 단조는 허브용 초기부재의 성형에 사용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허브용 초기부재를 단조로 성형하더라도 종래에 비해 훨씬 작은 성형하중이 베어링의 내측링에 가해지게 되는 허브베어링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삭제
본 발명은, 허브베어링 조립체의 허브로 성형될 허브용 초기부재가 내측단부 외주면에 오목부를 갖도록 상기 허브용 초기부재를 제조하는 초기부재 제조단계; 내주면, 내측면 및 상기 내주면과 내측면을 연결하는 연결면을 갖는 내측링을 제조하는 내측링 제조단계; 상기 내측링의 연결면이 상기 오목부와 마주하는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내측링을 상기 허브용 초기부재에 끼우는 내측링 설치단계; 및 상기 허브용 초기부재의 내측단부를 단조 성형하여 상기 허브로 만드는 단조단계;를 포함하는 허브베어링 조립체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초기부재 제조단계에서는, 상기 오목부가, 내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허브용 초기부재의 중심축에 가까워지게 경사진 제1경사면; 및 상기 제1경사면으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내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지게 경사진 제2경사면;을 갖도록 마련된다.
상기 내측링 제조단계에서는, 상기 내측링의 연결면이, 상기 내측방향으로 가면서 벌어지게 마련된 곡면; 및 상기 곡면으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내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지게 경사진 제3경사면;을 갖도록 마련된다.
상기 내측링 설치단계에서는, 내측링 연결면의 곡면이 상기 오목부의 제1경사면보다 더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내측링이 상기 허브용 초기부재에 끼워진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개선된 허브용 초기부재의 형태 및/또는 베어링의 내측링 형태로 인해 허브용 초기부재를 단조로 성형하더라도 베어링의 내측링에 가해지는 최대 성형하중이 작다. 따라서 회전단조에 비해 생산성, 제조단가 측면에서 유리한 단조로도 허브베어링 조립체의 제조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허브베어링 조립체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허브용 초기부재를 도시한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허브베어링 조립체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대하여 수행한 유한요소해석 결과이다.
도 5는 종래의 허브용 초기부재를 단조성형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종래 기술에 대하여 수행한 유한요소해석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허브베어링 조립체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허브베어링 조립체 제조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부재 제조단계(S110)와, 내측링 제조단계(S120)와, 내측링 설치단계(S130)와, 단조단계(S140)를 포함한다.
상기 초기부재 제조단계(S110)에서는 허브용 초기부재가 제조된다. 허브용 초기부재는 단조단계(S140)를 거친 이후 자동차용 허브베어링 조립체의 허브로 되는 부재로서, 스핀들(100)과 이 스핀들(100)의 외측단부에 마련된 플랜지(미도시)를 구비하도록 제조된다.
또한 허브용 초기부재의 스핀들(100)은 내측단부(110)를 구비하도록 제조되는데, 이때 상기 내측단부(110)의 외주면에 오목부(112)가 마련되게 된다. 상기 오목부(112)는 제1경사면(112a) 및 제2경사면(112b)을 갖도록 마련된다. 상기 제1경사면(112a)은 내측방향으로 갈수록 허브용 초기부재의 중심축(10)에 가까워지게 마련된다. 제2경사면(112b)은 제1경사면(112a)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연장하고, 내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중심축(10)으로부터 멀어지게 마련된다.
초기부재 제조단계(S110)가 완료되면 내측링 제조단계(S120)가 수행된다. 내측링 제조단계(S120)는 내측링(200)이 제조된다. 상기 내측링(200)은 허브베어링 조립체의 베어링을 구성하는 부품들 중 하나이다. 참고로, 상기 베어링은 내측링(200) 이외에도 내측링(200)의 외측방향에 위치하는 외측링(미도시)과, 상기 내측링(220) 및 외측링(미도시)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볼(미도시)을 더 포함한다.
내측링 제조단계(S120)를 통해 제조된 내측링(200)은 내주면(222)과, 내측면(224)과, 이 둘(222, 224)을 연결하는 연결면(210)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면(210)은 곡면(212a) 및 제3경사면(212b)을 구비한다. 연결면(210)의 곡면(212a)은 내측방향으로 가면서 벌어지는 형태로 마련된다. 그리고 연결면(210)의 제3경사면(212b)은 상기 곡면(212a)과 내측면(224)을 연결하고, 내측방향으로 갈수록 중심축(10)으로부터 멀어지게 경사져 있다.
이와 같은 내측링 제조단계(S120)가 완료되면 내측링 설치단계(S130)가 수행되는데, 이 단계에서는 상기 내측링(200)이 허브용 초기부재의 스핀들(100)에 끼워지게 된다. 내측링(200)이 상기 스핀들(100)에 끼워지면, 스핀들(110)의 외주면은 내측링(200)의 내주면(222)과 맞닿게 된다. 또한 내측링(200) 연결면(210)의 곡면(212a)은 스핀들(100)의 오목부(112)에 마련된 제1경사면(112a)보다 더 내측에 위치하게 되고, 이로써 내측링(200) 연결면(210)은 스핀들(100)의 오목부(112)와 마주하는 영역 내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앞서 설명되지는 않았으나, 내측링 설치단계(S130)가 수행되기 이전에는 상기 베어링을 구성하는 부품들(외측링, 볼)이 미리 장착되고, 상기 베어링의 외주면에도 하우징이 미리 장착된다.
상기 단조단계(S140)는 내측링 설치단계(S130) 이후에 수행되는 단계로서, 이 단계에서는 허브용 초기부재의 내측단부(110)가 단조 성형된다. 상기 단조 성형은 상기 스핀들(100)의 내측단부(110)와 맞닿게 단조용 다이(도 5 참조)를 설치한 후, 이 단조용 다이를 중심축(10) 방향으로 여러 차례 타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과정이 완료되면 허브용 초기부재는 허브베어링 조립체의 허브로 된다.
본 출원인은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해 허브베어링 조립체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내측링(200)에 가해지는 성형하중을 알아보기 위해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여 도 4와 같은 결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본 출원인은 종래 형태의 허브용 초기부재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조 성형 때 종래 형태의 내측링에 가해지는 성형하중을 알아보기 위해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여 도 6과 같은 결과를 확인하였다.
양측 유한요소해석에서 허브용 초기부재의 내측단부 외주면 형태 및 내측링 연결면 형태를 제외한 조건은 모두 동일하게 설정되었다. 그리고 도 4 및 도 6의 해석결과에서 가로축은 단위를 mm로 하는 스트로크(단조용 다이의 전진 거리)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단위를 kN으로 하는 성형하중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해석결과들에서 사각형은 내측링(34, 200)에 가해지는 성형하중을 표시한 것이고, 삼각형은 단조용 다이에 가해지는 성형하중을 표시한 것이다.
우선 도 4를 살펴보면 스트로크가 약 26 mm 되는 곳에서 하중이 급격하게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 시점에서는 성형하중이 단조용 다이에 가해져도 단조용 다이의 진행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단조 성형이 종료된다. 그리고 이 시점에서는 스핀들(100)의 내측단부(110)와 내측링(200)의 내측면(224) 간 접촉 상태가유지되어 내측링(200)에 가해지는 성형하중이 가장 크게 되는데, 도 4를 살펴보면 이때 내측링(200)에 가해지는 성형하중이 약 380 kN임을 알 수 있다.
도 6을 살펴보면 스트로크가 약 27 mm 되는 곳에서 하중이 급격하게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고, 이때 종래의 내측링(34)에 가해지는 성형하중이 약 1400 kN임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유한해석결과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하였을 때 내측링(200)에 가해지는 단조 성형하중은 종래에 의하였을 때 내측링(34)에 가해지는 단조 성형하중에 비해 약 73%나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허브용 초기부재의 스핀들 110 : 스핀들의 내측단부
112 : 스핀들 내측단부의 오목부 112a : 제1경사면
112b : 제2경사면 200 : 내측링
210 : 연결면 212a : 곡면
212b : 제3경사면 222 : 내측링의 내주면
224 : 내측링의 내측면 10 : 중심축
S110 : 초기부재 제조단계 S120 : 내측링 제조단계
S130 : 내측링 설치단계 S140 : 단조단계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허브베어링 조립체의 허브로 성형될 허브용 초기부재가 내측단부 외주면에 오목부를 갖도록 상기 허브용 초기부재를 제조하는 초기부재 제조단계;
    내주면, 내측면 및 상기 내주면과 내측면을 연결하는 연결면을 갖는 내측링을 제조하는 내측링 제조단계;
    상기 내측링의 연결면이 상기 오목부와 마주하는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내측링을 상기 허브용 초기부재에 끼우는 내측링 설치단계; 및
    상기 허브용 초기부재의 내측단부를 단조 성형하여 상기 허브로 만드는 단조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초기부재 제조단계에서는, 상기 오목부가, 내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허브용 초기부재의 중심축에 가까워지게 경사진 제1경사면; 및 상기 제1경사면으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내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지게 경사진 제2경사면;을 갖도록 마련되고,
    상기 내측링 제조단계에서는, 상기 내측링의 연결면이, 상기 내측방향으로 가면서 벌어지게 마련된 곡면; 및 상기 곡면으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내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지게 경사진 제3경사면;을 갖도록 마련되는 허브베어링 조립체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링 설치단계에서는, 내측링 연결면의 곡면이 상기 오목부의 제1경사면보다 더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내측링이 상기 허브용 초기부재에 끼워지는 허브베어링 조립체 제조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30000053A 2013-01-02 2013-01-02 허브베어링 조립체 제조방법 KR101407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0053A KR101407323B1 (ko) 2013-01-02 2013-01-02 허브베어링 조립체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0053A KR101407323B1 (ko) 2013-01-02 2013-01-02 허브베어링 조립체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7323B1 true KR101407323B1 (ko) 2014-06-13

Family

ID=51132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0053A KR101407323B1 (ko) 2013-01-02 2013-01-02 허브베어링 조립체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73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6776B1 (ko) 2021-08-02 2022-07-29 (주)대한스프레이시스템 자동차 허브베어링 제조장치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허브베어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1450A (ja) * 1999-12-20 2001-09-07 Nsk Ltd 車輪支持用転がり軸受ユニットとその製造方法
JP2007232116A (ja) * 2006-03-02 2007-09-13 Ntn Corp 車輪用軸受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1450A (ja) * 1999-12-20 2001-09-07 Nsk Ltd 車輪支持用転がり軸受ユニットとその製造方法
JP2007232116A (ja) * 2006-03-02 2007-09-13 Ntn Corp 車輪用軸受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6776B1 (ko) 2021-08-02 2022-07-29 (주)대한스프레이시스템 자동차 허브베어링 제조장치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허브베어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123890A (ja) 転がり軸受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775017B2 (ja) 突出部を備えた筒状部材の製造方法
KR101407323B1 (ko) 허브베어링 조립체 제조방법
CN101569980A (zh) 卷边式汽车轮毂轴承单元制造方法
US8763255B2 (en) Manufacturing method for wheel rolling bearing device, and wheel rolling bearing device
US20160061260A1 (en) Rolling bearing
US20180238390A1 (en) Method for producing a tapered roller assembly, tapered roller assembly and tapered roller bearing
JP6740734B2 (ja) 車輪用軸受装置の製造方法
KR20160103383A (ko) 다중절연 인슐레이터 및 그 제조방법
JP4715172B2 (ja) 軸受装置の組み付け装置およびその組み付け方法
JP2008281099A (ja) センターベアリングサポート
JP2018532960A (ja) 転がり軸受用の変形加工されたリング
JP2005195084A (ja) 軸受装置のかしめ加工方法
CN104924266A (zh) 一种y型皮碗压装工具
CN103774942B (zh) 用于汽车的背门铰链及其装配方法
US10758964B2 (en) Method for producing a riveted connection between a ball joint pin and a component in the form of a metal sheet and associated prefabricated subassembly
WO2013015334A1 (ja) 車輪用軸受装置の組み付け装置およびその組み付け方法
JP3194247U (ja) ガイドパイプ組品のケーシングキャップ
JP5283316B2 (ja) 車輪用軸受装置の製造方法
EP2975278B1 (en) Rolling bear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a rolling bearing
US11796006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hub unit bearing, swag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vehicle
KR20180068412A (ko) 볼조인트의 장착구조 및 그 장착방법
US20230103394A1 (en) Staking assembly, staking assembly manufacturing method, hub unit bearing, hub unit bearing manufacturing method, automobile, and automobile manufacturing method
JPH06226394A (ja) 環状体の増厚成形方法および装置
JP6311414B2 (ja) 外向フランジ部付金属製部材の製造方法、車輪支持用転がり軸受ユニットの製造方法、及び、自動車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