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2130B1 - 레이저를 이용한 증착 및 결정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증착 및 결정화 방법 - Google Patents

레이저를 이용한 증착 및 결정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증착 및 결정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2130B1
KR101642130B1 KR1020140159163A KR20140159163A KR101642130B1 KR 101642130 B1 KR101642130 B1 KR 101642130B1 KR 1020140159163 A KR1020140159163 A KR 1020140159163A KR 20140159163 A KR20140159163 A KR 20140159163A KR 101642130 B1 KR101642130 B1 KR 101642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drum
reflector
reflecting
flexible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9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7924A (ko
Inventor
김재구
조성학
황경현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59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2130B1/ko
Publication of KR20160057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79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2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21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6Bombardment with radiation
    • H01L21/263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 H01L21/268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laser radi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697Forming 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18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31/1884Manufacture of transparent electrodes, e.g. TCO, ITO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30/00Organic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K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30/81Electrodes
    • H10K30/82Transparent electrodes, e.g. indium tin oxide [ITO] 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ecrystallisation Techniqu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레이저를 이용한 증착 및 결정화 장치는 외주면에 플렉스블 기판이 감겨지며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드럼과, 상기 드럼의 외주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드럼에서 반사된 레이저를 다시 상기 드럼으로 입사시키는 제1 반사판과, 상기 제1 반사판과 상기 드럼 사이로 레이저를 입사시키는 제1 레이저 조사부와, 상기 드럼의 외주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드럼에서 반사된 레이저를 다시 상기 드럼으로 입사시키는 제2 반사판과, 상기 제2 반사판과 상기 드럼 사이로 레이저를 입사시키는 제2 레이저 조사부, 및 상기 제1 반사판과 상기 제2 반사판 사이에 배치되며 증착물질을 상기 플렉스블 기판에 증착시키는 증착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레이저를 이용한 증착 및 결정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증착 및 결정화 방법{SPUTTERING CRYSTALLIZING APPRATUS USING LASER AND SPUTTERING CRYSTALLIZING METHOD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증착 및 결정화 장치 및 증착 및 결정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증착 및 결정화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판상에 ITO 등의 투명전극을 성막하면 투명전극은 비정질인 상태로 기판 위에 형성된다. 이는 투명전극의 증착 온도는 100도씨 정도인 반면, 투명전극의 결정화 온도는 약 300도씨 이상이기 때문이다.
기판에 투명전극을 증착하기 위해서는 기판의 온도가 상승하여야 효율이 향상된다. 종래에는 열풍, 플래시 램프, 오븐 등을 이용하여 기판을 가열하였으나, 이러한 가열 방법은 기판을 전체적으로 가열하므로 기판이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증착된 투명전극을 결정화 하면 저항이 감소하는 등 기능이 향상되어 보다 유리하다. 이를 위해서 종래에는 투명전극이 형성된 기판을 오븐에 넣어서 결정화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폴리머로 이루어진 기판의 내열성에 한계가 있어서 투명전극을 결정화 온도까지 가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엑시머 레이저 빔을 기판에 수직 입사하여 박막을 결정화하는 기술도 알려져 있는데, 쉽게 기판으로의 열전달이 이루어져 기판의 열적 손상을 가져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5-0057923호
한국공개특허 제10-1998-0702753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판을 신속하고 균일하게 어닐링할 수 있는 기판 결정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증착 및 결정화 장치는 외주면에 플렉스블 기판이 감겨지며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드럼과, 상기 드럼의 외주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드럼에서 반사된 레이저를 다시 상기 드럼으로 입사시키는 제1 반사판과, 상기 제1 반사판과 상기 드럼 사이로 레이저를 입사시키는 제1 레이저 조사부와, 상기 드럼의 외주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드럼에서 반사된 레이저를 다시 상기 드럼으로 입사시키는 제2 반사판과, 상기 제2 반사판과 상기 드럼 사이로 레이저를 입사시키는 제2 레이저 조사부, 및 상기 제1 반사판과 상기 제2 반사판 사이에 배치되며 증착물질을 상기 플렉스블 기판에 증착시키는 증착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반사판 및 상기 제2 반사판은 호형으로 만곡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반사판 및 상기 제2 반사판은 상기 드럼과 동일하거나 더 큰 곡률 반경을 갖도록 만곡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반사판은 상기 플렉스블 기판에서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되 상기 반사판과 상기 플렉스블 기판의 사이의 간격은 상기 레이저가 상기 제1 반사판에 2회 이상 반사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이저는 상기 기판에 대하여 기 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입사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레이저 조사부는 레이저를 S편광시키는 편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레이저 조사부와 상기 제1 반사판 사이에는 레이저의 입사각을 조절하는 제1 반사조절부재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레이저 조사부와 상기 제2 반사판 사이에는 레이저의 입사각을 조절하는 제2 반사조절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반사판 또는 상기 제2 반사판에서 레이저가 입사되는 단부의 반대측 단부에는 상기 플렉스블 기판을 향하여 돌출된 후단 반사돌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반사판 또는 상기 제2 반사판에서 레이저가 입사되는 단부에는 상기 플렉스블 기판을 향하여 돌출된 전단 반사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단 반사돌기의 높이는 상기 전단 반사돌기의 높이보다 더 높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플렉스블 기판을 상기 드럼에 밀착시키는 이송 롤러들이 상기 드럼과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레이저를 이용한 증착 및 결정화 방법은 드럼의 외주면으로 플렉스블 기판을 감아서 드럼의 회전과 함께 플렉스블 기판을 이동시키는 플렉스블 기판 이송 단계와, 상기 드럼의 외주면과 마주하도록 설치된 제1 반사판과 상기 드럼 사이로 레이저를 입사시켜서 상기 플렉스블 기판을 가열하는 예비 가열 단계와, 상기 플렉스블 기판의 표면에 증착 물질을 증착시키는 증착 단계, 및 상기 드럼의 외주면과 마주하도록 설치된 제2 반사판과 상기 드럼 사이로 레이저를 입사시켜서 상기 증착된 물질을 결정화시키는 결정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예비 가열 단계는 레이저를 S편광시키는 편광 단계와 상기 제1 반사판에 레이저를 복수회 반사시키는 제1 반사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예비 가열 단계는 상기 제1 반사판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에 형성된 후단 반사돌기를 이용하여 레이저를 반사시키는 후단 반사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예비 가열 단계는 상기 제1 반사판의 길이방향 타측 단부에 형성된 전단 반사돌기를 이용하여 레이저를 반사키는 전단 반사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정화 단계는 상기 제2 반사판에 레이저를 복수회 반사시키는 제2 반사 단계, 상기 제1 반사판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에 형성된 후단 반사돌기를 이용하여 레이저를 반사시키는 후단 반사 단계, 및 상기 제1 반사판의 길이방향 타측 단부에 형성된 전단 반사돌기를 이용하여 레이저를 반사키는 전단 반사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 결정화 장치는 재입사부재를 구비하여 기판으로 입사된 레이저를 수차례 반사하여 기판으로 재입사시키므로 기판의 표면만을 빠른 속도로 가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판의 열손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판을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다.
또한, S편광된 레이저를 이용함으로써 반사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한번 입사된 레이저가 복수 회 기판과 만나므로 레이저 강도를 조절하여 증착된 박막을 균일하게 결정화할 수 있으며, 공정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증착 및 결정화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입사각과 편광 방향에 따른 반사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증착 및 결정화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증착 및 결정화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증착 및 결정화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증착 및 결정화 장치는 플렉스블 기판(20)을 이송하는 복수개의 이송 롤러(12, 13, 14, 15)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드럼(11), 드럼(11)의 외주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된 제1 반사판(37), 제1 반사판(37)에서 이격 배치되며 드럼(11)의 외주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된 제2 반사판(47), 제1 반사판(37)과 드럼(11) 사이로 레이저(34)를 입사시키는 제1 레이저 조사부(31), 제2 반사판(47)과 드럼(11) 사이로 레이저(45)를 입사시키는 제2 레이저 조사부(41), 및 제1 반사판(37)과 제2 반사판(47) 사이에 배치된 증착부재(51)를 포함한다.
이송 롤러들(12, 13, 14, 15)은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며 플렉스블 기판(20)과 맞닿아 회전하면서 기판을 이동시킨다. 플렉스블(flexible) 기판(20)은 이송 롤러(12, 13)의 안내를 받아 드럼으로 이송되며, 드럼(11)의 외주면에 감겨져 드럼(11)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한다. 또한 플렉스블 기판(20)은 이송 롤러(14, 15)의 안내를 받아 드럼(11)에서 이탈된다. 이송 롤러들(13, 15)은 드럼과 인접하게 설치되어 플렉스블 기판(20)을 드럼(11)에 밀착시키며 드럼(11)과 함께 회전한다.
플렉스블 기판(20)은 굽어지거나 접힐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데, 필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플렉스블 기판(20)은 일 방향으로 길게 이어진 띠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플렉스블 기판(20)은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스티렌(PS) 등의 폴리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반사판(37)은 드럼(11)의 외주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드럼(11)에서 반사된 레이저(34)를 다시 드럼(11)으로 입사시킨다. 제1 반사판(37)은 호형으로 만곡 형성되는데, 드럼(11)과 동일하거나 더 큰 곡률 반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1 반사판(37)은 드럼(11)과 제1 반사판(37) 사이의 간격만큼 더 큰 곡률 반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반사판(37)은 플렉스블 기판(20)에서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며, 제1 반사판(37)과 플렉스블 기판(20)의 사이의 간격은 레이저(34)가 제1 반사판(37)에 2회 이상 반사되도록 설정된다.
제1 레이저 조사부(31)는 레이저(34)를 발생시켜서 플렉스블 기판(20)으로 입사시키며, 제1 레이저 조사부(31)는 레이저(34)를 발생시키는 레이저 발진기와 반사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레이저 조사부(31)는 라인 빔 형태의 레이저를 생성하거나, 레이저 스캐너를 이용하여 레이저를 생성하여 입사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레이저 조사부(31)는 편광판을 포함할 수 있는데 편광판은 레이저(34)를 S편광시킨다. 여기서 S편광이라 함은 플렉스블 기판(20)에 입사하는 빛의 전기 벡터의 진동방향이 입사면에 수직인 직선편광을 의미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S편광된 레이저(34)는 P편광된 레이저에 비하여 동일한 입사각에서 더 높은 반사율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레이저(34)를 S편광 시키면 플렉스블 기판(20) 및 제1 반사판(37)에서 레이저(34)를 용이하게 반사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사된 후의 레이저(34)가 높은 에너지를 유지할 수 있다.
제1 레이저 조사부(31)에서 출사된 레이저(34)는 제1 반사조절부재(32)에 의하여 반사되어 기 설정된 입사각으로 플렉스블 기판(20)으로 입사된다. 제1 반사조절부재(32)는 플렉스블 기판(20)으로 입사되는 레이저(34)의 입사각을 조절한다. 여기서 입사각이라 함은 레이저(34)와 플렉스블 기판(20)의 접선에 수직인 법선벡터가 이루는 각을 의미한다. 레이저의 입사각은 반사율과 플렉스블 기판(20)에 재입사 횟수를 고려하여 설정된다.
편광된 레이저(34)는 플렉스블 기판(20)에서 1차적으로 반사되어 제1 반사판(37)으로 향하며, 제1 반사판(37)은 레이저(34)를 다시 반사하여 플렉스블 기판(20)으로 입사시킨다. 플렉스블 기판(20)과 제1 반사판(37)은 레이저(34)를 반복적으로 반사시켜서 플렉스블 기판(20)을 복수회 가열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반사판(37)이 설치되면 레이저(34)를 복수회 반사시켜서 플렉스블 기판(20)을 가열하므로 플렉스블 기판(20)의 표면만을 가열하여 플렉스블 기판(20)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송 과정에서 신속하게 플렉스블 기판(20)을 가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렉스블 기판(20)이 가열된 후, 증착으로 박막을 형성하면 보다 증착 효율이 보다 향상된다.
제1 반사판(37)과 제2 반사판(47) 사이에는 증착물질을 플렉스블 기판(20)에 증착시키는 증착부재(51)가 설치된다. 증착부재(51)는 플라즈마를 발생시켜서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반응물질을 플렉스블 기판(20)에 증착시킨다. 증착부재(51)에 의하여 유연 기판 상에는 박막이 형성되며 박막은 금속 산화물, CIGS 등의 기능성 박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금속 산화물은 ITO, AZO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증착부재(51)는 제1 반사판(37)과 제2 반사판(47) 사이에 위치하는 필름에 박막을 형성한다.
제2 반사판(47)은 제1 반사판에서 드럼의 외주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제2 반사판(47)은 드럼(11)의 외주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드럼(11)에서 반사된 레이저(45)를 다시 드럼(11)으로 입사시킨다. 제2 반사판(47)은 호형으로 만곡 형성되는데, 드럼(11)과 동일하거나 더 큰 곡률 반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2 반사판(47)은 드럼(11)과 제2 반사판(47) 사이의 간격만큼 더 큰 곡률 반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반사판(47)은 플렉스블 기판(20)에서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며, 제2 반사판(47)과 플렉스블 기판(20)의 사이의 간격은 레이저(45)가 제2 반사판(47)에 2회 이상 반사되도록 설정된다.
제2 레이저 조사부(41)는 레이저(45)를 발생시켜서 플렉스블 기판(20)으로 입사시키며, 제2 레이저 조사부(41)는 레이저(45)를 발생시키는 레이저 발진기와 반사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레이저 조사부(41)는 라인 빔 형태의 레이저를 생성하거나, 레이저 스캐너를 이용하여 레이저를 생성하여 입사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레이저 조사부(41)는 편광판을 포함할 수 있는데 편광판은 레이저(45)를 S편광시킨다.
제2 레이저 조사부(41)에서 출사된 레이저(45)는 제2 반사조절부재(42)에 의하여 반사되어 기 설정된 입사각으로 플렉스블 기판(20)으로 입사된다. 제2 반사조절부재(42)는 플렉스블 기판(20)으로 입사되는 레이저(34)의 입사각을 조절한다.
레이저(45)는 플렉스블 기판(20)에서 1차적으로 반사되어 제2 반사판(47)으로 향하며, 제2 반사판(47)은 레이저(45)를 다시 반사하여 플렉스블 기판(20)으로 입사시킨다. 플렉스블 기판(20)과 제2 반사판(47)은 레이저(45)를 반복적으로 반사시켜서 플렉스블 기판(20)을 복수회 가열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재2 반사판(47)이 설치되면 한번 출사된 레이저(45)가 복수회 플렉스블 기판(20)과 맞닿아 박막을 결정화할 수 있다. 특히 레이저(45)를 조사하고 복수회 재입사시키면 박판만을 급속하게 가열할 수 있으므로 플렉스블 기판(20)에 대한 열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증착 및 결정화 방법은 드럼(11)의 외주면으로 플렉스블 기판(20)을 감아서 드럼(11)의 회전과 함께 플렉스블 기판(20)을 이동시키는 플렉스블 기판 이송 단계와, 드럼(11)의 외주면과 마주하도록 설치된 제1 반사판(37)과 드럼(11) 사이로 레이저(34)를 입사시켜서 플렉스블 기판(20)을 가열하는 예비 가열 단계와, 플렉스블 기판(20)의 표면에 증착 물질을 증착시키는 증착 단계, 및 드럼(11)의 외주면과 마주하도록 설치된 제2 반사판(47)과 드럼 사이로 레이저(45)를 입사시켜서 증착된 물질을 결정화시키는 결정화 단계를 포함한다.
기판 이송 단계는 복수 개의 이송 롤러(12, 13, 14, 15)를 이용하여 띠 형상으로 길게 이어진 플렉스블 기판(20)을 이송하며, 플렉스블 기판(20)은 회전하는 드럼에 감겨진다.
예비 가열 단계는 레이저(34)를 S편광시키는 편광 단계와 제1 반사판(37)에 레이저(34)를 복수회 반사시키는 제1 반사 단계를 포함한다. 편광 단계는 편광판을 이용하여 레이저(34)를 S편광시켜, 제1 반사 단계는 제1 반사판(37)과 플렉스블 기판(20)의 표면에서 레이저(34)를 반사시켜서 제1 반사판(37)과 플렉스블 기판(20) 사이의 틈새로 레이저를 이동시킨다.
결정화 단계는 제2 반사판(47)에 레이저(45)를 복수회 반사시키는 제2 반사 단계를 포함하며, 제2 반사 단계는 제2 반사판(47)과 플렉스블 기판(20)의 표면에서 레이저를 반사시켜서 제2 반사판(47)과 플렉스블 기판(20) 사이의 틈새로 레이저를 이동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증착 및 결정화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증착 및 결정화 장치는 제1 반사판(61) 및 제2 반사판(62)의 구조를 제외하고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증착 및 결정화 장치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동일한 구조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제1 반사판(61)은 드럼(11)의 외주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드럼(11)에서 반사된 레이저(34)를 다시 드럼(11)으로 입사시킨다. 제1 반사판(61)은 호형으로 만곡 형성되는데, 드럼(11)과 동일하거나 더 큰 곡률 반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1 반사판(61)은 호형으로 만곡 형성된 커버부(61a)와 커버부(61a)의 후단에서 돌출된 후단 반사돌기(61b)를 포함한다. 커버부(61a)는 드럼(11)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후단 반사돌기(61b)는 레이저(34)가 입사되는 단부의 반대측 단부에서 플렉스블 기판(20)을 향하여 돌출된다. 후단 반사돌기(61b)는 플렉스블 기판(20)과 미세하게 간격을 두고 이격되거나 플렉스블 기판(20)과 스치듯이 닿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후단 반사돌기(61b)가 형성되면 플렉스블 기판(20)과 드럼(11) 사이로 입사된 레이저(34)가 후단 반사돌기(61b)에 반사되며, 반사된 레이저(36)는 방향을 전환하여 제1 반사판(61)의 전단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레이저(34, 36)와 플렉스블 기판(20)이 맞닿는 횟수가 더욱 증가하므로 가열 효율이 향상된다.
제2 반사판(62)은 드럼(11)의 외주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드럼(11)에서 반사된 레이저(34)를 다시 드럼(11)으로 입사시킨다. 제2 반사판(62)은 호형으로 만곡 형성되는데, 드럼(11)과 동일하거나 더 큰 곡률 반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2 반사판(62)은 호형으로 만곡 형성된 커버부(62a)와 커버부(62a)의 후단에서 돌출된 후단 반사돌기(62b)를 포함한다. 커버부(62a)는 드럼(11)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후단 반사돌기(62b)는 레이저(45)가 입사되는 단부의 반대측 단부에서 플렉스블 기판(20)을 향하여 돌출된다. 후단 반사돌기(62b)는 플렉스블 기판(20)과 미세하게 간격을 두고 이격되거나 플렉스블 기판(20)과 스치듯이 닿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후단 반사돌기(62b)가 형성되면 플렉스블 기판(20)과 드럼(11) 사이로 입사된 레이저(45)가 후단 반사돌기(62b)에 반사되며, 반사된 레이저(46)는 방향을 전환하여 제2 반사판(62)의 전단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레이저(45, 46)와 플렉스블 기판(20)이 맞닿는 횟수가 더욱 증가하므로 가열 효율이 향상된다.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증착 및 결정화 방법은 드럼(11)의 외주면으로 플렉스블 기판(20)을 감아서 드럼(11)의 회전과 함께 플렉스블 기판(20)을 이동시키는 플렉스블 기판 이송 단계와, 드럼(11)의 외주면과 마주하도록 설치된 제1 반사판(37)과 드럼(11) 사이로 레이저(34)를 입사시켜서 플렉스블 기판(20)을 가열하는 예비 가열 단계와, 플렉스블 기판(20)의 표면에 증착 물질을 증착시키는 증착 단계, 및 드럼(11)의 외주면과 마주하도록 설치된 제2 반사판(47)과 드럼 사이로 레이저(45)를 입사시켜서 증착된 물질을 결정화시키는 결정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증착 및 결정화 방법은 드럼(11)의 외주면으로 플렉스블 기판(20)을 감아서 드럼(11)의 회전과 함께 플렉스블 기판(20)을 이동시키는 플렉스블 기판 이송 단계와, 드럼(11)의 외주면과 마주하도록 설치된 제1 반사판(61)과 드럼(11) 사이로 레이저(34)를 입사시켜서 플렉스블 기판(20)을 가열하는 예비 가열 단계와, 플렉스블 기판(20)의 표면에 증착 물질을 증착시키는 증착 단계, 및 드럼(11)의 외주면과 마주하도록 설치된 제2 반사판(62)과 드럼 사이로 레이저(45)를 입사시켜서 증착된 물질을 결정화시키는 결정화 단계를 포함한다.
예비 가열 단계는 레이저(34)를 S편광시키는 편광 단계와 제1 반사판(61)에 레이저(34)를 복수회 반사시키는 제1 반사 단계와, 제1 반사판(61)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에 형성된 후단 반사돌기(61b)를 이용하여 레이저를 반사시키는 후단 반사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결정화 단계는 제2 반사판(62)에 레이저를 복수회 반사시키는 제2 반사 단계와, 제2 반사판(62)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에 형성된 후단 반사돌기(62b)를 이용하여 레이저를 반사시키는 후단 반사 단계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증착 및 결정화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증착 및 결정화 장치는 제1 반사판(71) 및 제2 반사판(72)의 구조를 제외하고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증착 및 결정화 장치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동일한 구조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제1 반사판(71)은 드럼(11)의 외주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드럼(11)에서 반사된 레이저(34)를 다시 드럼(11)으로 입사시킨다. 제1 반사판(71)은 호형으로 만곡 형성되는데, 드럼(11)과 동일하거나 더 큰 곡률 반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1 반사판(71)은 호형으로 만곡 형성된 커버부(71a)와 커버부(71a)의 후단에서 돌출된 후단 반사돌기(71b), 및 커버부의 전단에서 돌출된 전단 반사돌기(71c)를 포함한다.
커버부(71a)는 드럼(11)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후단 반사돌기(71b)는 제1 반사판(71)에서 레이저(34)가 입사되는 단부의 반대측 단부에서 플렉스블 기판(20)을 향하여 돌출된다. 후단 반사돌기(71b)는 플렉스블 기판(20)과 미세하게 간격을 두고 이격되거나 플렉스블 기판(20)과 스치듯이 닿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전단 반사돌기(71c)는 제1 반사판(71)에서 레이저(34)가 입사되는 단부에서 플렉스블 기판(20)을 향하여 돌출된다.
후단 반사돌기(71b)의 높이는 전단 반사돌기(71c)의 높이보다 더 높게 형성되는데, 이에 따라 전단 반사돌기(71c)와 플렉스블 기판(20) 사이의 간격은 후단 반사돌기(71b)와 플렉스블 기판(20) 사이의 간격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같이 전단 반사돌기(71c)와 후단 반사돌기(71b)가 형성되면 플렉스블 기판(20)과 드럼(11) 사이로 입사된 레이저(34)가 후단 반사돌기(71b)에 반사되고, 다시 전단으로 이동한 레이저(34)가 전단 반사돌기(71c)에 의하여 반사될 수 있다. 따라서 레이저가 제1 반사판(71)과 플렉스블 기판(20)의 틈새를 따라 이동하면서 보다 효율적으로 플렉스블 기판(20)을 가열할 수 있다.
제2 반사판(72)은 드럼(11)의 외주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드럼(11)에서 반사된 레이저(34)를 다시 드럼(11)으로 입사시킨다. 제2 반사판(72)은 호형으로 만곡 형성되는데, 드럼(11)과 동일하거나 더 큰 곡률 반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2 반사판(72)은 호형으로 만곡 형성된 커버부(72a)와 커버부(72a)의 후단에서 돌출된 후단 반사돌기(72b), 및 커버부의 전단에서 돌출된 전단 반사돌기(72c)를 포함한다.
커버부(72a)는 드럼(11)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후단 반사돌기(72b)는 레이저(45)가 입사되는 단부의 반대측 단부에서 플렉스블 기판(20)을 향하여 돌출된다. 후단 반사돌기(72b)는 플렉스블 기판(20)과 미세하게 간격을 두고 이격되거나 플렉스블 기판(20)과 스치듯이 닿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전단 반사돌기(72c)는 제2 반사판(72)에서 레이저(45)가 입사되는 단부에서 플렉스블 기판(20)을 향하여 돌출된다.
후단 반사돌기(72b)의 높이는 전단 반사돌기(72c)의 높이보다 더 높게 형성되는데, 이에 따라 전단 반사돌기(72c)와 플렉스블 기판(20) 사이의 간격은 후단 반사돌기(72b)와 플렉스블 기판(20) 사이의 간격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같이 전단 반사돌기(72c)와 후단 반사돌기(72b)가 형성되면 플렉스블 기판(20)과 드럼(11) 사이로 입사된 레이저(34)가 후단 반사돌기(72b)에 반사되고, 다시 전단으로 이동한 레이저(34)가 전단 반사돌기(72c)에 의하여 반사될 수 있다. 따라서 레이저가 제1 반사판(71)과 플렉스블 기판(20)의 틈새를 따라 이동하면서 보다 효율적으로 박막을 결정화시킬 수 있다.
본 제3 실시예에 따른 증착 및 결정화 방법은 드럼(11)의 외주면으로 플렉스블 기판(20)을 감아서 드럼(11)의 회전과 함께 플렉스블 기판(20)을 이동시키는 플렉스블 기판 이송 단계와, 드럼(11)의 외주면과 마주하도록 설치된 제1 반사판(71)과 드럼(11) 사이로 레이저(34)를 입사시켜서 플렉스블 기판(20)을 가열하는 예비 가열 단계와, 플렉스블 기판(20)의 표면에 증착 물질을 증착시키는 증착 단계, 및 드럼(11)의 외주면과 마주하도록 설치된 제2 반사판(72)과 드럼 사이로 레이저(45)를 입사시켜서 증착된 물질을 결정화시키는 결정화 단계를 포함한다.
예비 가열 단계는 레이저(34)를 S편광시키는 편광 단계와 제1 반사판(71)에 레이저(34)를 복수회 반사시키는 제1 반사 단계와, 제1 반사판(71)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에 형성된 후단 반사돌기(71b)를 이용하여 레이저를 반사시키는 후단 반사 단계, 및 제1 반사판(71)의 길이방향 타측 단부에 형성된 전단 반사돌기(71c)를 이용하여 레이저를 반사키는 전단 반사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결정화 단계는 제2 반사판(72)에 레이저를 복수회 반사시키는 제2 반사 단계와, 제2 반사판(72)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에 형성된 후단 반사돌기(72b)를 이용하여 레이저를 반사시키는 후단 반사 단계, 및 제2 반사판(72)의 길이방향 타측 단부에 형성된 전단 반사돌기(72c)를 이용하여 레이저를 반사키는 전단 반사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1: 드럼 12, 13, 14, 15: 이송 롤러
20: 플렉스블 기판 31: 제1 레이저 조사부
41: 제2 레이저 조사부 32: 제1 반사조절부재
42: 제2 반사조절부재 34, 36, 45, 46: 레이저
37, 61, 71: 제1 반사판 47, 62, 72: 재2 반사판
51: 증착부재 61a, 62a, 71a, 72a: 커버부
61b, 62b, 71b, 72b: 후단 반사돌기
71c, 72c: 전단 반사돌기

Claims (17)

  1. 외주면에 플렉스블 기판이 감겨지며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드럼;
    상기 드럼의 외주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드럼에서 반사된 레이저를 다시 상기 드럼으로 입사시키는 제1 반사판;
    상기 제1 반사판과 상기 드럼 사이로 레이저를 입사시키는 제1 레이저 조사부;
    상기 드럼의 외주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드럼에서 반사된 레이저를 다시 상기 드럼으로 입사시키는 제2 반사판;
    상기 제2 반사판과 상기 드럼 사이로 레이저를 입사시키는 제2 레이저 조사부; 및
    상기 제1 반사판과 상기 제2 반사판 사이에 배치되며 증착물질을 상기 플렉스블 기판에 증착시키는 증착부재;
    를 포함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증착 및 결정화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판 및 상기 제2 반사판은 호형으로 만곡 형성된 레이저를 이용한 증착 및 결정화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판 및 상기 제2 반사판은 상기 드럼과 동일하거나 더 큰 곡률 반경을 갖도록 만곡 형성된 레이저를 이용한 증착 및 결정화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판은 상기 플렉스블 기판에서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되 상기 반사판과 상기 플렉스블 기판의 사이의 간격은 상기 레이저가 상기 제1 반사판에 2회 이상 반사되도록 설정된 레이저를 이용한 증착 및 결정화 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는 상기 기판에 대하여 기 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입사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증착 및 결정화 장치.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이저 조사부는 레이저를 S편광시키는 편광판을 포함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증착 및 결정화 장치.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이저 조사부와 상기 제1 반사판 사이에는 레이저의 입사각을 조절하는 제1 반사조절부재가 설치된 레이저를 이용한 증착 및 결정화 장치.
  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레이저 조사부와 상기 제2 반사판 사이에는 레이저의 입사각을 조절하는 제2 반사조절부재가 설치된 레이저를 이용한 증착 및 결정화 장치.
  9.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판 또는 상기 제2 반사판에서 레이저가 입사되는 단부의 반대측 단부에는 상기 플렉스블 기판을 향하여 돌출된 후단 반사돌기가 형성된 레이저를 이용한 증착 및 결정화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판 또는 상기 제2 반사판에서 레이저가 입사되는 단부에는 상기 플렉스블 기판을 향하여 돌출된 전단 반사돌기가 형성된 레이저를 이용한 증착 및 결정화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후단 반사돌기의 높이는 상기 전단 반사돌기의 높이보다 더 높게 형성된 레이저를 이용한 증착 및 결정화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스블 기판을 상기 드럼에 밀착시키는 이송 롤러들이 상기 드럼과 인접하게 설치된 레이저를 이용한 증착 및 결정화 장치.
  13. 드럼의 외주면으로 플렉스블 기판을 감아서 드럼의 회전과 함께 플렉스블 기판을 이동시키는 플렉스블 기판 이송 단계;
    상기 드럼의 외주면과 마주하도록 설치된 제1 반사판과 상기 드럼 사이로 레이저를 입사시켜서 상기 플렉스블 기판을 가열하는 예비 가열 단계;
    상기 플렉스블 기판의 표면에 증착 물질을 증착시키는 증착 단계; 및
    상기 드럼의 외주면과 마주하도록 설치된 제2 반사판과 상기 드럼 사이로 레이저를 입사시켜서 상기 증착된 물질을 결정화시키는 결정화 단계;
    를 포함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증착 및 결정화 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가열 단계는 레이저를 S편광시키는 편광 단계와 상기 제1 반사판에 레이저를 복수회 반사시키는 제1 반사 단계를 포함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증착 및 결정화 방법.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가열 단계는 상기 제1 반사판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에 형성된 후단 반사돌기를 이용하여 레이저를 반사시키는 후단 반사 단계를 더 포함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증착 및 결정화 방법.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가열 단계는 상기 제1 반사판의 길이방향 타측 단부에 형성된 전단 반사돌기를 이용하여 레이저를 반사키는 전단 반사 단계를 더 포함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증착 및 결정화 방법.
  17.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화 단계는 상기 제2 반사판에 레이저를 복수회 반사시키는 제2 반사 단계, 상기 제2 반사판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에 형성된 후단 반사돌기를 이용하여 레이저를 반사시키는 후단 반사 단계, 및 상기 제2 반사판의 길이방향 타측 단부에 형성된 전단 반사돌기를 이용하여 레이저를 반사키는 전단 반사 단계를 포함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증착 및 결정화 방법.
KR1020140159163A 2014-11-14 2014-11-14 레이저를 이용한 증착 및 결정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증착 및 결정화 방법 KR101642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9163A KR101642130B1 (ko) 2014-11-14 2014-11-14 레이저를 이용한 증착 및 결정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증착 및 결정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9163A KR101642130B1 (ko) 2014-11-14 2014-11-14 레이저를 이용한 증착 및 결정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증착 및 결정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7924A KR20160057924A (ko) 2016-05-24
KR101642130B1 true KR101642130B1 (ko) 2016-07-22

Family

ID=56114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9163A KR101642130B1 (ko) 2014-11-14 2014-11-14 레이저를 이용한 증착 및 결정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증착 및 결정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213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2926A (ja) 2004-06-16 2006-02-02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レーザ処理装置、レーザ照射方法、及び半導体装置の作製方法
KR100784826B1 (ko) 2006-12-29 2007-12-14 한국기계연구원 롤스템프를 이용한 나노임프린팅 리소그래피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600091D0 (en) 1996-01-04 1996-03-06 Philips Electronics Nv Manufacture of electronic devices
KR101100875B1 (ko) 2003-12-11 2012-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결정화용 레이저빔 조사 장치, 이를 이용한 결정화 방법및 이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의 제조 방법
KR100844276B1 (ko) * 2006-11-24 2008-07-07 주식회사 디엠에스 롤 증착 장치
KR101164063B1 (ko) * 2009-10-27 2012-07-12 주식회사 케이씨텍 레이저 세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2926A (ja) 2004-06-16 2006-02-02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レーザ処理装置、レーザ照射方法、及び半導体装置の作製方法
KR100784826B1 (ko) 2006-12-29 2007-12-14 한국기계연구원 롤스템프를 이용한 나노임프린팅 리소그래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7924A (ko) 2016-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29013B2 (ja) ガラスシート基板コーティングをレーザスクライビング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2018537389A (ja) ガラスウェブを分離する方法
JP2011502788A5 (ko)
JP2014109073A (ja) ロール・ツー・ロールスパッタリング方法
TWI541574B (zh) 曝光裝置、罩幕以及光學膜
KR101642130B1 (ko) 레이저를 이용한 증착 및 결정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증착 및 결정화 방법
JP5695197B2 (ja) 露光システム
US20080024855A1 (en) Ultra-Fast Beam Dithering with Surface Acoustic Wave Modulator
CN104362115B (zh) 一种准分子激光退火装置及该装置的使用方法
US10347484B2 (en) Laser crystallizing apparatus
JP5534552B2 (ja) パターン形成装置、パターン形成方法、デバイス製造装置、及びデバイス製造方法
JP2016539806A5 (ko)
US20110117331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ptical film
CN104885012A (zh) 偏振光分束器、基板处理装置、器件制造系统及器件制造方法
KR101528346B1 (ko) 레이저를 이용한 기판 결정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판 결정화 방법
JP6284535B2 (ja) 時間制御された動作用の紫外線照射装置
JP5559714B2 (ja) レーザ定着装置、及びそれを具備した画像形成装置、並びに定着方法
TW201626638A (zh) 聚焦天線
KR20200046056A (ko) 개선된 열처리 장치
JP2007163770A (ja) 配向処理方法及び配向処理装置
JP2001066602A (ja) 配向膜形成方法及び配向膜形成装置
JP2010039478A (ja) ワイヤグリッド偏光板の製造方法
EP3465778B1 (en) Method for performing delamination of a polymer film
KR101729724B1 (ko) 복수 열원을 포함하는 코팅층 열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처리 방법
KR20150111308A (ko) 박막 열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