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1865B1 -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통한 전염성 위장염 바이러스의 정량 검출방법 - Google Patents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통한 전염성 위장염 바이러스의 정량 검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1865B1
KR101641865B1 KR1020130155383A KR20130155383A KR101641865B1 KR 101641865 B1 KR101641865 B1 KR 101641865B1 KR 1020130155383 A KR1020130155383 A KR 1020130155383A KR 20130155383 A KR20130155383 A KR 20130155383A KR 101641865 B1 KR101641865 B1 KR 1016418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gev
real
probe
primer
time pc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5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9220A (ko
Inventor
김인섭
이재일
김다정
Original Assignee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55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1865B1/ko
Publication of KR20150069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9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1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18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11DNA or RNA fragments; Modified forms thereof; Non-coding nucleic acids having a biological activity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10Processes for the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of DNA or RNA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을 통해 TGEV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원료물질, 제조공정, 완제품에서 TGEV를 정량적으로 검출하고, 제조공정에서 TGEV 제거 검증을 위한 시험법으로 활용이 가능한 TGEV 검출 TaqMan 프로브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 시험법을 확립하였다. 또한 TGEV에 특이적인 프라이머와 프로브를 선별하여 TGEV 정량검출 시험법을 최적화하였다. 세포배양법에 의한 감염역가와 비교한 결과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 시험법은 특이성과 재현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Description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통한 전염성 위장염 바이러스의 정량 검출방법{Real-time PCR assays for quantitative detection of transmissible gastroenteritis virus}
본 발명은 전염성 위장염 바이러스(transmissible gastroenteritis virus, TGEV)의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real-time PCR)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TGEV 유전자와 상보적으로 결합가능한 프라이머와 프로브를 포함하는 프라이머 세트, 상기 프라이머와 프로브를 포함하는 키트 및 TGEV 검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생물의약품과 조직공학의약품, 세포치료제 제조 시 사용되는 원료물질의 기원과 특성에 따라 오염 바이러스의 검색 대상이 매우 다양하나, 유래 원료물질을 함유한 제제에 있어서 오염이 가능한 바이러스 중의 하나는 전염성 위장염 바이러스(transmissible gastroenteritis virus, TGEV)이다. 전염성 위장염 바이러스는 미국, 유럽과 아시아를 포함한 세계의 많은 곳에서 돼지에게 전염성 병을 일으키며, 모든 연령의 돼지에게 급성 장내 바이러스성 질병을 유발시킨다. 이 바이러스는 Coronaviridae 과에 속하며, 단일나선 RNA 유전체(single positive-stranded RNA genome)로 구성되어 있고, 외피를 보유한 바이러스(enveloped virus)이다. 따라서 전염성 위장염 바이러스는 생물의약품과 조직공학제제, 세포치료제의 원료로 사용되는 유래 혈액, 세포, 조직 및 기관 등에 오염될 수 있는 대표적인 바이러스이기 때문에, 인체에 직접적인 감염 여부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잠재적인 위해요소 중의 하나이다.
주로 질병의 진단을 위하여 전염성 위장염 바이러스 검출시험법이 개발되어 왔다. 전염성 위장염 바이러스 검출 시험법으로는 항체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형광항체법(fluorescent antibody test, FAT)과 항원항체반응을 이용하여 검출하는 ELISA(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가 있다. 상기 시험법은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민감도와 특이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어, 생물의약품 생산 공정에서 전염성 위장염 바이러스 검출 시험법으로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최근 생물의약품과 조직공학제제 및 세포치료제에서 내인성 또는 외래성 위해 바이러스의 검출을 위한 시험법으로 민감도와 특이도가 우수한 중합효소 연쇄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을 활용한 유전자 증폭기술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또한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이용하여 바이러스의 정량검출과 바이러스 제거 검증 실험을 위한 시험법의 확립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0138395 (1996.02.18.).
본 발명에서는 유래 물질을 원료로 하는 생물의약품, 조직공학제제 및 세포치료제 등에서 전염성 위장염 바이러스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원료물질, 제조공정 및 완제품에서 전염성 위장염 바이러스를 정량적으로 검출하고, 제조공정에서 전염성 위장염 바이러스 제거 검증을 위한 시험법으로 활용이 가능한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 시험법을 확립하였다. 또한 상기 확립한 시험법을 활용하여, 인위적으로 전염성 위장염 바이러스를 감염시킨 CHO(Chinese hamster ovary) 세포주에서 전염성 위장염 바이러스를 정량적으로 검출하여 바이러스 안전성 검증 시험법으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은 전염성 위장염 바이러스(TGEV)의 ORF 7 유전자 검출을 위한
정방향 프라이머로서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염기서열, 역방향 프라이머로서 서열번호 2로 표시되는 염기서열, 및 프로브로서 서열번호 5로 표시되는 염기서열; 또는
정방향 프라이머로서 서열번호 3으로 표시되는 염기서열, 역방향 프라이머로서 서열번호 4로 표시되는 염기서열, 및 프로브로서 서열번호 5로 표시되는 염기서열;
을 사용하는 전염성 위장염 바이러스를 검출하기 위한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real-time PCR) 프라이머 세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용어 "프라이머(primer)"란 짧은 자유 3' 말단 수산화기(free 3' hydroxyl group)를 가지는 핵산 서열로 상보적인 주형(template)와 염기쌍을 형성할 수 있고 주형 가닥 복사를 위한 시작 지점으로 기능을 하는 짧은 핵산 서열을 의미한다. 프라이머는 적절한 완충용액 및 온도에서 중합반응을 위한 시약 및 상이한 4가지 뉴클레오사이드 트리포스페이트의 존재 하에서 DNA 합성을 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서열번호 1과 2 및 서열번호 3과 4의 염기서열을 가지는 프라이머로 PCR을 수행한 경우 각각의 전염성 위장염 바이러스 유전형을 높은 특이도 및 민감도로 검출할 수 있다. 상기에서 '민감도(sensitivity)'는 병이 있는 사람을 병이 있다고 판단하는 비율을 의미하며, '특이도(specificity)'는 정상인 사람을 정상이라고 판단하는 비율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프로브는 5' 말단 및 3' 말단에 형광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5' 말단의 형광물질은 6-카르복시플루오레세인 (6-carboxyfluorescein), 헥사클로로-6-카르복시플루오레세인 (hexachloro-6-carboxyfluorescein), 테트라클로로-6-카르복시플루오레세인 (tetrachloro-6-carboxyfluorescein), FAM (5-carboxy fluorescein), HEX (2',4',5',7'-tetrachloro-6-carboxy-4,7-dichlorofluorescein) 및 Cy5 (cyanine-5)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상기 3' 말단의 형광물질은 6-카르복시테트라메틸-로다민 (6-carboxytetramethyl-rhodamine), TAMRA (5-Carboxytetramethylrhodamine), BHQ 1, 2 및 3 (black hole quencher 1, 2, 3)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프로브(probe)"란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말하는 것으로, 자연적으로 발생하거나 합성적으로, 재조합적으로, 또는 PCR 증폭에 의해 생산되는 것으로 목적하는 다른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에 대해 최소 부분에 결합할 수 있다. 프로브는 단일 가닥 또는 이중 가닥일 수 있다. 프로브는 특정 서열의 검출, 정의 및 분리에 유용하다. 바람직한 양태로서, 본 발명에 사용된 프로브는 형광성, 방사성 및 발광성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고, 다른 검출 시스템에서 검출할 수 있도록 "리포트 분자"로 표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별한 검출 시스템 또는 라벨에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프로브는 서열번호 5로 제시되는 프로브이다.
본 발명은 상기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전염성 위장염 바이러스 검출용 키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 키트의 구성으로는 제한되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서열을 갖는 프라이머와 프로브 및 내부 대조군으로서의 프라이머와 프로브를 포함하는 키트로 제조될 수 있으며, 전염성 위장염 바이러스의 검출 및 정량을 위하여 완충용액, 염화칼륨, 염화마그네슘 또는 dNT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라이머 세트를 사용하여, 분리된 생물학적 시료의 전염성 위장염 바이러스 유전자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염성 위장염 바이러스를 검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용어 "생물학적 시료"란 전염성 위장염 바이러스로 감염되거나, 감염을 의심받는 개체 또는 전염성 위장염 바이러스 백신으로 백신화된 개체의 조직, 세포, 전혈, 혈청, 혈장, 타액, 객담, 뇌척수액 또는 뇨와 같은 시료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전염성 위장염 바이러스 의심 개체의 혈액으로부터 수득되는 시료임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법을 이용하면 전염성 위장염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검출 및 정량을 기존 방법과 비교하여 동등 이상의 민감도와 특이도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TGEV 검출을 위한 SYBR Green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의 민감도이다.
도 2는 DNA BLAST 검색을 이용하여 TGEV 서열(AJ271965.2)와 TGEV PCR 산물의 서열을 비교한 것이다.
도 3은 TGEV 검출을 위해 TaqMan 프로브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시 최적 어닐링 온도로부터 증폭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TGEV 검출을 위해 TaqMan 프로브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시 최적 프라이머와 프로브 농도로부터 증폭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TGEV 검출을 위해 TaqMan 프로브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시 최적 염화마그네슘 농도로부터 증폭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잠재적인 cross-reactive 바이러스들에 대한 TaqMan 프로브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의 민감도를 나타낸 것이다.
적색: TGEV, 다른 색: BHV, BVDV, BPIV-3, HAV, MVM, PEDV, PPV, PRoV, PRV, REO-3.
도 7은 TGEV의 정량적인 검출을 위한 TaqMan 프로브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의 재생성과 선형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인위적으로 감염된 CHO-K1 세포주에서 TGEV의 정량적인 검출을 나타낸 것으로 (A)는 TGEV에 감염되지 않은 CHO-K1 세포주 (B)는 TGEV에 감염된 CHO-K1 세포주의 형태를 나타내며 (C)는 TGEV의 정량적인 검출을 위한 TaqMan 프로브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의 증폭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전염성 위장염 바이러스(TGEV)의 배양
TGEV(ATCC VR-1740)의 배양과 정량을 위해 ST세포(ATCC CRL-1746)를 사용하였다. ST세포를 10% FBS(Fetal Bovine Serum, Hyclone, USA)를 첨가한 DMEM(Dulbecco's Minimum Eagle's Medium, Hyclone, USA) 배지에 1x Antibiotic Antimycotic Sol.(Hyclone, USA)을 첨가하여 배양하였다. T-150 플라스크에 배양된 단층 세포에 TGEV를 감염시킨 후 주기적으로 세포병변효과(cytopathic effect, CPE)를 관찰하였다. 세포병변효과가 명백하게 관찰될 때 배양액과 세포 찌꺼기(debris)를 수거한 다음, 동결과 해빙 과정을 3회 반복하여 파쇄한 후 2,000 rpm에서 3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얻은 후 0.45 μm 필터로 여과한 다음 소분하여 -70 ℃ 이하에 보관하였다.
(실시예 2) 전염성 위장염 바이러스(TGEV)의 정량
TGEV의 정량을 위해 감염성 있는 바이러스의 타이터(titer)를 50% TCID50(tissue culture infectious dose)로 나타내었다. TGEV를 2% FBS를 첨가한 DMEM 배지로 7배수로 희석하여 24-well plate에 배양된 세포에 0.25 mL 씩 접종하였다. 음성대조군으로 세포배양배지를 0.25 mL 씩 접종하였다. 그 후 35 ℃, 5%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면서 주기적으로 현미경으로 CPE를 관찰하며 배양 14일 후에 타이터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3) 게놈(genomic) RNA 추출
TGEV 게놈 RNA는 NucleoSpin® RNA Virus(MACHEREY-NAGEL, Germany)를 이용하여 바이러스 RNA 동정 사용자 지침서(Viral RNA Isolation User Manual)에 따라 수행하였다. TGEV 150 μL와 600 μL RAV1을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70 ℃에서 5분간 처리한 후, 99% 에탄올 600 μL를 첨가하여 컬럼으로 옮겨 8,000 x g에서 1 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컬럼에 RAW 버퍼 500 μL를 넣고 8,000 x g에서 1 분간 원심분리하고 다시 RAM3 버퍼 600 μL를 넣고 8,000 x g에서 1 분간 원심분리하였다. 마지막으로 RAM3 버퍼 200 μL를 넣고 11,000 x g에서 5 분간 원심분리한 뒤 컬럼에 RNase-free H2O 50 μL를 넣고 1 분간 방치하였다. 11,000 x g에서 1 분간 원심분리하여 컬럼에서 RNA를 분리하였고 -20 ℃에 보관하였다.
(실시예 4) 역전사(reverse transcription)
TOPscriptTM cDNA Synthesis Kit(Enzynomics, Korea)를 이용하여 제조사의 프로토콜에 따라 TGEV 게놈 RNA를 cDNA로 합성하였다. 추출한 TGEV RNA 10 μL와 specific reverse primer (10 pmol) 2 μL을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70 ℃에서 5 분간 처리한 후, 10 x TOPscriptTM RT 버퍼 2 μL, TOPscriptTM Reverse Transcriptase (200 units/μL) 1 μL, dNTP 혼합물 (2 mM) 2 μL, RNase 저해제 (40 units/μL) 0.5 μL 및 증류수 2.5 μL를 첨가하여 최종 부피를 20 μL로 하였다. cDNA 합성은 55 ℃에서 1 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95 ℃에서 5 분간 반응시켰다. 합성한 cDNA는 사용 전까지 -20 ℃에 보관하였다.
(실시예 5) 프라이머(primer)의 디자인 및 선별
TGEV 유전자를 증폭하기 위해 사용한 올리고핵산 프라이머 염기서열은 미국 NCBI 데이터베이스에 보고된 TGEV 주(strain) 중 TGEV 게놈의 ORF 7(GenBank Accession Number: AJ271965.2)을 목적 유전자로 선택하고 표 1에서와 같이 나머지 주와 비교하여 동일하게 포함된 서열 부위 중 불일치(mismatch)가 거의 없는 부분에서 Primer Express 3.0 소프트웨어(Applied Biosystems)를 이용하여 표 2와 같이 두 쌍의 프라이머를 디자인하였다.
[표 1]
Figure 112013114284851-pat00001
aNCBI,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Mismatches are shown in boxes.
[표 2]
Figure 112013114284851-pat00002
*AJ271965.2 (NCBI :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앞서 제작한 두 쌍의 프라이머 중 최적의 프라이머를 선별하기 위해 StepOnePlus Real-Time PCR System(Applied Biosystems, USA)을 이용하여 SYBR Green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real-time PCR)을 수행하였다. TGEV cDNA를 10 배씩 순차적으로 희석하여 1.10 x 104 TCID50/mL부터 1.10 x 100 TCID50/mL까지 준비하였다. PCR 반응을 위해 TOPrealTM qPCR 2x PreMIX(SYBR Green, Enzynomics, Korea) 10 μL, 10 pmol 정방향 프라이머 1 μL, 10 pmol 역방향 프라이머 1 μL, TGEV cDNA 2 μL 혼합액에 멸균한 3차 증류수 6 μL를 첨가하여 최종부피를 20 μL로 하였다. 핵산증폭은 pre-incubation은 95 ℃에서 15 분, denaturation은 95 ℃에서 10초, annealing은 60 ℃에서 30초(two-step으로 진행) 40 사이클을 수행하였다.
최적의 프라이머 쌍을 선별한 결과 모두 민감도가 1.10 x 100 TCID50/mL임을 확인하였다(도 1). 프라이머 세트 중 TGEV 주에서 불일치(mismatch)가 최소인 프라이머 정방향 1, 역방향 1 세트를 선정하여 검출시험법 개발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6) TGEV 프로브(probe) 디자인
TaqMan probe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브의 5' 말단에는 FAM (5-carboxy fluorescein)을, 3' 말단에는 Black Hole Quencher 1 (BHQ1)이 오도록 표 3 및 표 4와 같이 디자인하였다.
[표 3]
Figure 112013114284851-pat00003

[표 4]
Figure 112013114284851-pat00004
aNCBI,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Mismatches are shown in boxes.
PCR 산물의 서열을 확보한 후 BLAST 정렬을 수행한 결과 목적 유전자 무분에서 디자인한 산물의 크기가 100% 일치하였으며 TGEV 서열과 상동성이 100%인 것을 확인하였다(도 2).
(실시예 7) TaqMan probe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이용한 TGEV DNA 검출시험
TaqMan probe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 시험법의 최적 조건을 확립하기 위해 annealing 온도, MgCl2 농도 및 프라이머, 프로브의 농도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TGEV 검출을 위해 디자인한 프로브의 어닐링(annealing) 온 반응성을 확인하기 위해 TGEV cDNA, TOPreal™ qPCR 2x PreMIX (TaqMan probe, Enzynomics, Korea)를 사용하여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 조건을 확립하였다. TGEV 정량을 위해 StepOnePlus Real-Time PCR sysyem(Applied Biosystems, USA)을 사용하였다. 최적의 어닐링 온도를 결정하기 위해 PCR 반응액은 TOPreal™ qPCR 2x PreMIX 10 μL, 10 pmol 정방향 프라이머 1 μL, 10 pmol 역방향 프라이머 1 μL, 10 pmol 프로브 1 μL, TGEV cDNA 2 μL에 멸균된 3차 증류수 6 μL를 넣어 총 20 μL가 되게 하였다. 핵산증폭은 pre-incubation은 95 ℃에서 2분, denaturation은 95 ℃에서 5초, 어닐링은 30초(어닐링 온도 최적화를 위해 54 ℃, 56 ℃, 58 ℃, 60 ℃에서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 수행)로 하여 45 사이클을 수행하였다. 최적의 프라이머 및 프로브의 농도를 결정하기 위해 프라이머 0.5 μL에 프로브 0.5 μL, 1 μL 혼합액과 프라이머 1 μL에 프로브 0.5 μL, 1 μL 혼합액이 되도록 준비하여 동일한 조건에서 최적화된 어닐링 온도 60 ℃로 하여 수행하였다. 최적 MgCl2 농도를 결정하기 위해 최적화된 어닐링 온도 60 ℃에서 MgCl2를 1 mM에서 3 mM까지 변화시켜 첨가해준 TGEV cDNA 농도에 따른 cycle threshold 값을 비교하였다. 타이터(titer)가 1.10 x 104 TCID50/mL인 TGEV를 10배씩 순차적으로 1.10 x 101 TCID50/mL까지 희석한 후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수행하였다.
상기 결과 60 ℃에서 crossing point가 가장 낮게 나타나 최적 온도임을 확인하였다(표 5, 도 3).
[표 5]
Figure 112013114284851-pat00005
Values indicate Cycle threshold(Ct) value
*N/A, Not Applicable; real-time PCR signals were not detected
상기 최적 온도에서 프라이머 및 프로브의 농도를 변화시켜 PCR 조건을 최적화 시킨 결과 프라이머 0.5 μL와 프로브 0.5 μL 혼합액이 최적의 프라이머 및 프로브 농도임을 확인하였다(표 6, 도 4).
[표 6]
Figure 112013114284851-pat00006
Values indicate Cycle threshold(Ct) value
*N/A, Not Applicable; real-time PCR signals were not detected
상기 최적 온도와 프라이머 및 프로브 농도에서 염화마그네슘 농도를 변화시켜 PCR 조건을 최적화한 결과, 염화마그네슘을 추가하지 않은 농도에서 cycle threshold가 가장 낮게 나타나 최적임을 확인하였다(표 7, 도 5).
[표 7]
Figure 112013114284851-pat00007
Values indicate Cycle threshold(Ct) value
*N/A, Not Applicable; real-time PCR signals were not detected
(실시예 8)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의 신뢰성 검증
확립된 TGEV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 검출시험법의 신뢰성(reliability)을 보증하기 위해 확립된 실험법의 특이성(specificity), 검출한계(detection limit), 재현성(reproducibility), 완건성(robustness)을 검증하였다. 특이성 검증을 위해 Bovine herpesvirus type 1 (BHV, ATCC VR-188), Bovine viral diarrhea virus (BVDV, ATCC VR-534), Bovine parainfluenza 3 virus (BPIV-3, ATCC VR-281), Hepatitis A virus (HAV, ATCC VR-1402), Mimute virus of mice (MVM, ATCC VR-1346), Porcine epidemic diarrhea virus (PEDV, KVCC-VR0000188), Porcine parvovirus (PPV, ATCC VR-742), Porcine rotavirus (PRoV, KVCC-VR0000176), Pseudorabies virus (PRV, ATCC VR-00129), Reovirus 3 (Reo-3, ATCC VR-824)에 대한 cross-reactivity를 측정하였다. 시험에 사용한 BHV 타이터(titer)는 7.76 x 108 TCID50/mL, PEDV titer는 8.08 x 108 TCID50/mL, BVDV titer는 7.44 x 108 TCID50/mL, MVM titer는 7.34 x 108 TCID50/mL, BPIV-3 titer는 6.07 x 107 TCID50/mL, Reo-3 titer는 6.60 x 107 TCID50/mL, HAV titer는 7.44 x 108 TCID50/mL, PRV titer는 5.33 x 106 TCID50/mL, PRoV titer는 1.33 x 109 TCID50/mL, PPV titer는 8.08 x 108 TCID50/mL이었다. 바이러스 게놈 DNA 및 RNA는모두 104 TCID50/mL 준비한 후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수행하였다.
상기 반응 결과 TGEV에서만 fluorescence 값의 증가를 관찰할 수 있었고, 다른 바이러스에서는 음성대조군과 같이 상기 값의 증가를 관찰할 수 없었다(도 6).
검출시험법의 재현성과 직선성 검증은 Titer가 1.10 x 104 TCID50/mL인 TGEV를 10배씩 순차적으로 1.10 x 100 TCID50/mL까지 희석하여 준비하였다.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은 한번 수행시 triple로 준비하여, 총 3일에 걸쳐 실험을 수행하여 총 9회 반복 시험을 수행하였다. 검출한계 검증을 위해 타이터가 1.10 x 104 TCID50/mL인 TGEV를 10배씩 순차적으로 1.10 x 100 TCID50/mL까지 희석하여 준비하였다.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은 한번 수행시 triple로 준비하여, 총 8일에 걸쳐 실험을 수행하여 총 24회 반복 시험을 수행하였다. PCR 후에는 정량을 위한 표준곡선을 작성하였다. 반복된 실험의 통계 자료를 이용하여 재현성, 직선성, 검출한계를 분석하였다.
TGEV log titer (Log10 TCID50/mL; x)에 대한 cycle threshold 값(y) 간의 표준 회귀식은 첫째 날의 경우 y = -3.558x + 41.773 (결정계수 R2=0.991), 둘째 날의 경우 y = -3.392x + 41.022 (R2=0.997), 셋째 날의 경우 y = -3.476x + 41.364 (R2=0.990), 넷째 날의 경우 y = -3.487x + 41.343 (R2=0.996), 다섯째 날의 경우 y = -3.455x + 41.422 (R2=0.997), 여섯째 날의 경우 y = -3.230x + 39.710 (R2=0.994), 일곱째 날의 경우 y = -3.306x + 41.027 (R2=0.992), 여덟째 날의 경우 y = -3.263x + 41.470 (R2=0.994)로 TGEV log titer와 cycle threshold 값 간의 회귀성이 매우 높았다(도 7). 검출한계 검증은 8일에 걸쳐 triple로 총 24회 반복 시험을 수행하였다. 실시한 시험의 95%이상 검출된 TGEV의 검출한계는 1.10 x 101 TCID50/mL임을 확인하였다. R2은 평균 0.993으로 나타났다(표 8).
[표 8]
Figure 112013114284851-pat00008

검출시험법의 완건성 검증을 위해 두 가지 실험으로 프라이머 제조사별 비교 실험과 MgCl2 농도별 비교 실험을 수행하였다. 프라이머의 완건성을 검증하기 위해 TGEV 프라이머와 동일한 서열로 다른 세 회사에서 제작하였다. MgCl2 농도에 따른 반응성을 확인하기 MgCl2를 0 mM, 1 mM, 2 mM 농도씩 추가하여 수행하였다. 모든 완건성 실험은 Titer가 1.10 x 104 TCID50/mL인 TGEV를 10배씩 순차적으로 1.10 x 100 TCID50/mL까지 희석하여 준비하였다.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은 triple로 준비하여, 동시에 수행하였다. 각각의 완건성 검증결과는 첨가해준 TGEV cDNA 농도에 따른 cycle threshold 값을 비교하였다.
상기 반응 결과 세 회사 간의 cycle threshold 값이 비슷하고 CV(%) 값이 3% 미만으로 프라이머 제작 회사간의 완건성은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표 9). 또한 염화마그네슘의 농도에 대한 완건성을 확인한 결과 모든 샘플의 cycle threshold 값이 비슷하고 CV(%) 값이 3% 미만으로 염화마그네슘에 대한 완건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표 10).
[표 9]
Figure 112013114284851-pat00009
Values indicate Cycle threshold (Ct) value.
CV(%): Coefficient of variance % = (SD of Ct/Mean of Ct)ⅹ100
*N/A, Not Applicable; real-time PCR signals were not detected.
[표 10]
Figure 112013114284851-pat00010
Values indicate Cycle threshold (Ct) value.
CV(%): Coefficient of variance % = (SD of Ct/Mean of Ct)ⅹ100
*N/A, Not Applicable; real-time PCR signals were not detected.
(실시예 9) CHO 세포주에서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이용한 TGEV 검출
확립된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생물의약품 제조공정 검증에 적용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인위적으로 TGEV를 오염시킨 CHO 세포주에서 TGEV 검출 시험을 실시하였다. CHO-K1 세포를 10% 우혈청을 첨가한 Roswell Park Memorial Institutr medium (RPMI-1640; Gibco BRL, USA) 배지에 1X Antibiotic Antimycotic Sol. (Hyclone, USA)를 첨가하여 배양하였다. T-25 플라스크에 배양된 CHO-K1에 104 TCID50/mL인 TGEV를 감염시킨 후 2일 동안 배양하였다. 세포 배양액을 제거한 후 세포 배양액에 남아있을 수 있는 TGEV를 완벽히 제거하기 위해 phosphate buffered saline으로 2번 세척한 다음 CHO-K1를 2회 계대 배양하였다. 각 배양시 마다 2일 동안 배양한 후 현미경으로 CHO-K1의 모양을 관찰한 후 세포가 포함된 세포 배양액를 수거하였다. 확립된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 방법을 이용하여 세포 배양액에 TGEV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 양성 대조군으로는 타이터가 1.10 x 104 TCID50/mL인 TGEV를 10배씩 순차적으로 1.10 x 101 TCID50/mL까지 희석하여 준비 사용하였으며, 음성 대조군으로는 비 감염된 CHO 세포주 배양배지를 사용하였다.
TGEV를 정량 검출한 결과는 도 8에 도시하였다. 1차 배양된 세포 배양액에서는 7.6 x 101 TCID50/mL, 2차 배양된 세포배양액에서는 1.0 x 101 TCID50/mL, 3차 배양된 세포 배양액에서는 1.1 x 101 TCID50/mL의 TGEV가 검출되었다(표 11).
[표 11]
Figure 112013114284851-pat00011
*N/A, Not Applicable; real-time PCR signals were not detected
<110> Hannam University Institute for Industry-Academy Cooperation <120> Real-time PCR assays for quantitative detection of transmissible gastroenteritis virus <130> P13090701231 <160> 5 <170> KopatentIn 2.0 <210> 1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GEV forward primer <400> 1 taatgtaagg caacccgatg tct 23 <210> 2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GEV reverse primer <400> 2 agcattgcca aatcaaatct aaact 25 <210> 3 <211> 2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GEV forward primer <400> 3 gtggtgcttc gagtaatctt tctagtct 28 <210> 4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GEV reverse primer <400> 4 agcattgcca aatcaaatct aaact 25 <210> 5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GEV probe <400> 5 catcgcgctg tctactcttg tacagaatgg 30

Claims (6)

  1. a) 전염성 위장염 바이러스(TGEV)의 ORF 7 유전자 검출을 위한 정방향 프라이머로서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을 갖으며, 역방향 프라이머로서 서열번호 2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을 갖으며, 5' 말단의 형광물질은 FAM (5-carboxy fluorescein), 3' 말단의 형광물질은 BHQ 1(black hole quencher 1)인 프로브로서 서열번호 5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을 갖는 프라이머 쌍과 프로브를 제작하는 단계; 및
    b) 어닐링 온도(annealing)는 54-60 ℃, 염화마그네슘은 첨가하지 않고, 상기 프라이머와 프로브는 0.5:1-1:0.5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TaqMan Probe PCR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염성 위장염 바이러스 검출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닐링 온도는 60 ℃인 전염성 위장염 바이러스 검출방법.
  6. 삭제
KR1020130155383A 2013-12-13 2013-12-13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통한 전염성 위장염 바이러스의 정량 검출방법 KR1016418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5383A KR101641865B1 (ko) 2013-12-13 2013-12-13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통한 전염성 위장염 바이러스의 정량 검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5383A KR101641865B1 (ko) 2013-12-13 2013-12-13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통한 전염성 위장염 바이러스의 정량 검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9220A KR20150069220A (ko) 2015-06-23
KR101641865B1 true KR101641865B1 (ko) 2016-07-22

Family

ID=53516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5383A KR101641865B1 (ko) 2013-12-13 2013-12-13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통한 전염성 위장염 바이러스의 정량 검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18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36827B (zh) * 2017-08-09 2020-11-20 四川纳比生物科技有限公司 猪传染性胃肠炎病毒检测试剂盒及检测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62851A2 (en) 2005-12-01 2007-06-07 Consejo Superior De Investigaciones Cientificas Nucleic acids encoding tgev and prrsv sequences for improved expression of prrsv sequence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8395B1 (ko) 1995-04-19 1998-04-30 김광희 유전자 프로브를 이용한 돼지의 유행성 설사병과 전염성 위장염의 진단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62851A2 (en) 2005-12-01 2007-06-07 Consejo Superior De Investigaciones Cientificas Nucleic acids encoding tgev and prrsv sequences for improved expression of prrsv sequences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GENBANK: AB115411.1
Virology Journal 2012, 9:17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9220A (ko) 2015-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004870B (zh) 新型冠状病毒n基因核酸检测试剂盒
WO2022095723A1 (zh) 用于检测SARS-CoV-2的试剂盒及方法
CN105385787B (zh) 12种脑炎病毒核酸多重pcr检测试剂盒及其应用
CN111304368A (zh) 用于检测新型冠状病毒的方法、寡核苷酸和试剂盒
CN110760620A (zh) 一种猪瘟病毒与非洲猪瘟病毒双重荧光pcr检测试剂、试剂盒和检测方法
CN106119413B (zh) 一种艾滋病病毒多重荧光pcr检测试剂盒及检测方法
AU2019100992A4 (en) Primer set, kit, and method for detecting porcine epidemic diarrhea virus
CN110106285B (zh) 一种快速检测3型人腺病毒的含内参双重等温核酸扩增方法
CN110055353B (zh) 一种快速检测7型腺病毒的含内参双重等温核酸扩增方法
CN113005226A (zh) 检测SARS-CoV-2的寡核苷酸和试剂盒
US20180073087A1 (en) Qualitative and absolute quantification kit for detecting hepatitis b virus cccdna
CN113249522B (zh) 一种检测SARS-CoV-2变异毒株核酸的方法及其应用
CN111100954A (zh) 同时检测包括2019-nCoV在内的四种人冠状病毒的四重荧光定量检测试剂盒
CN105648114B (zh) 检测新变异型高致病性猪蓝耳病病毒的荧光rt-pcr引物、探针和试剂盒及检测方法
CN113652505A (zh) 检测新型冠状病毒及其voc-202012/01突变株的方法和试剂盒
CN113564280A (zh) 一种用于检测禽腺病毒i群12个血清型的raa引物及其检测方法
WO2023279042A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detection of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variants
US20230250497A1 (en) One-step nested pcr primers set and kit modified with locked nucleic acid for detecting african swine fever virus
KR101641865B1 (ko)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통한 전염성 위장염 바이러스의 정량 검출방법
CN110724763A (zh) 人腺病毒和博卡病毒荧光定量pcr检测方法及其应用
CN112391495A (zh) 一种高危人乳头瘤病毒分型检测方法与试剂盒
CN109868332A (zh) 一种检测海洋食品中gⅱ型诺如病毒的方法
KR101567765B1 (ko)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통한 소파보바이러스의 정량 검출방법
CN111500772B (zh) 基于PMA-qRT-PCR法的甲型肝炎疫苗病毒滴度快速检测方法
AU2019100972A4 (en) Primer set, kit, and method for detecting porcine deltacoronavir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