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1835B1 - 풍구 냉각장치 및 풍구 수리방법 - Google Patents

풍구 냉각장치 및 풍구 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1835B1
KR101641835B1 KR1020150088457A KR20150088457A KR101641835B1 KR 101641835 B1 KR101641835 B1 KR 101641835B1 KR 1020150088457 A KR1020150088457 A KR 1020150088457A KR 20150088457 A KR20150088457 A KR 20150088457A KR 101641835 B1 KR101641835 B1 KR 101641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cooling water
repair
cooling
tuye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8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효섭
김상범
김영종
정기홍
장순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50088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18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1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1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6Tuyéres
    • C21B7/166Tuyere replacement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0Cooling; Device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2Opening or sealing the tap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urnace Housings, Linings, Walls, And Ceilings (AREA)

Abstract

고로의 조업중 풍구를 냉각시키는 풍구 냉각장치에 있어서, 풍구의 냉각수 이동로 또는 냉각가스 이동로를 포함하는 냉각부; 냉각부에 투입되어 풍구의 용손부 수리를 가능하게 하는 수리용유동체; 및 냉각부에 수리용유동체의 공급을 가능하게 하는 수리용유동체 보급유닛;을 포함하는 풍구 냉각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풍구 냉각장치 및 풍구 수리방법 {COOLING APPARATUS FOR TUYERE AND METHOD FOR REPAIRING TUYERE}
본 발명은 풍구 내에 형성된 냉각수 이동로에 냉각수와 함께 수리용유동체를 투입시킴으로써 풍구를 냉각시킴과 동시에 풍구에 형성된 용손부를 폐쇄하는 풍구 냉각장치 및 풍구 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로의 풍구는 고로 내의 장입물을 녹여내기 위해 고열의 바람을 불어 넣어주는 통로이다. 따라서 고로의 풍구는 고열을 취급하는 직접적인 설비이므로 장기간 사용시 파손이 생기게 된다. 또한 고열에 의해서뿐 아니라 장입물에 직접적으로 부딪혀 파손이 생기기도 한다.
고열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풍구 내에 형성된 이동로로 냉각수를 순환시키는데 장입물에 의한 충격에는 풍구가 파손될 수밖에 없다. 종전에는 이러한 문제의 발생시 즉각적으로 냉각수의 유량공급을 중단하고 고로 외부의 철피 냉각수 살포만이 대책이 되었다. 따라서 결과적으로는 조업의 중단이 일어나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서는 풍구를 냉각시킴과 동시에 용손부를 수리함으로써 조업의 중단 없이도 문제의 해결이 가능한 풍구 냉각장치 및 풍구 수리방법을 제시한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0863670 B1
본 발명은 풍구 내에 형성된 냉각수 이동로에 냉각수와 함께 수리용유동체를 투입시킴으로써 풍구를 냉각시킴과 동시에 풍구에 형성된 용손부를 폐쇄하는 풍구 냉각장치 및 풍구 수리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풍구 냉각장치는 냉각수가 순환하며, 풍구 내의 냉각수 이동로로 연결되는 냉각수 파이프; 냉각수 파이프로 투입되어 냉각수와 함께 용손부로 이동하고 고로와 풍구 내의 냉각수 이동로의 압력차에 의해 용손부에 결착되며 조업시 고로의 온도에 의해 녹아서 용손부를 폐쇄하는 수리용유동체; 및 수리용유동체를 냉각수 파이프 내로 투입시키는 유동체 보급유닛;을 포함한다.
유동체 보급유닛은 수리용유동체를 저장하는 유동체보관소; 일단이 유동체보관소와 연결되고 타단이 냉각수 파이프와 연통되어 수리용유동체를 유동체보관소로부터 냉각수 파이프로 이동시키는 유동체이동로; 및 유동체보관소와 유동체이동로 연결부위에 위치하며 냉각수 파이프로의 수리용유동체의 투입을 조절하는 게이트;를 포함한다.
냉각수 파이프 내의 유량변화를 감지하는 변화감지부; 감지한 유량변화를 기초로 하여 용손부의 크기를 계산하고 수리용유동체의 투입량을 결정하는 투입량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냉각수 파이프 상에 위치하며, 수리용유동체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냉각수 파이프 내의 유압을 조절하는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리용유동체는 냉각수 내에서 이동이 원활하고 냉각수 파이프 및 풍구 내의 냉각로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구의 형상일 수 있다.
수리용유동체의 용융점이 고로의 온도와 같거나 다소 낮을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풍구 수리방법은 풍구 내의 냉각수 이동로를 순환하는 냉각수의 유량변화를 감지하는 변화감지 단계; 유량의 변화가 감지되면 수리용유동체를 냉각수로 투입하는 유동체 보급단계; 수리용유동체를 냉각수와 함께 용손부로 이동시키는 유동체 전송단계; 및 용손부에 도달된 수리용유동체가 고로와 풍구 내의 냉각수 이동로의 압력차이에 의해 용손부에 결착되고 고로의 온도에 의해 녹음으로써 풍구의 용손부가 폐쇄되는 수리단계;를 포함한다.
변화감지 단계 이후에는, 감지한 유량변화를 기초로 하여 용손부의 크기를 계산하고 수리용유동체의 투입량을 결정하는 투입량 결정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동체 보급단계 이후에는, 냉각수 파이프 상의 유압을 조절하여 냉각수와 함께 이동하는 수리용유동체의 용손부에 대한 결착이 원활해지도록 제어하는 유량 조절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풍구 냉각장치 및 풍구 수리방법에 따르면, 풍구가 파손이 되어도 냉각수 내에 수리용유동체를 투입시켜 용손부를 수리함으로써 풍구의 교환 없이 비교적 간단하게 용손부를 완전히 폐쇄할 수 있게 되며 용손부의 부위가 더 확대됨으로써 생기는 2차적 피해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로의 중단 없이도 풍구의 수리가 가능하여 조업 중단에서 오는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냉각수 파이프 내로 수리용유동체를 냉각수와 함께 흘려 보냄으로써 고로와 풍구 내의 압력차 및 고로의 온도에 의해 고로의 폐쇄가 가능한바 설비를 위한 큰 투자가 필요 없고 수리를 위한 별도의 공정 없이 풍구의 냉각과 함께 수리의 병행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구 냉각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리용유동체 보급유닛을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풍구 냉각장치는 풍구의 냉각수 이동로 또는 냉각가스 이동로(400)를 포함하는 냉각부; 냉각부에 투입되어 풍구의 용손부(500) 수리를 가능하게 하는 수리용유동체; 및 냉각부에 수리용유동체(200)의 공급을 가능하게 하는 수리용유동체 보급유닛(300);을 포함한다.
또한, 냉각부는 냉각수 또는 냉각가스가 순환하며, 풍구 내의 냉각수 이동로 또는 냉각가스 이동로(400)와 연결되는 냉각수 파이프 또는 냉각가스 파이프(100)를 포함하고, 수리용유동체(200)는 냉각수 파이프 또는 냉각가스 파이프(100)에 투입되어 냉각수 또는 냉각가스와 함께 풍구에 형성된 용손부(500)로 이동하고, 고로(10)와 풍구 내의 냉각수 이동로 또는 냉각가스 이동로(400)의 압력차에 의해 용손부(500)에 결착되며, 고로(10)의 온도에 의해 녹아서 용손부를 폐쇄하고 수리용유동체 보급유닛(300)은 수리용유동체(200)를 냉각수 파이프 또는 냉각가스 파이프(100) 내로 투입시킬 수 있다.
수리용유동체는 냉각수 파이프(100)로 투입되어 냉각수와 함께 풍구에 형성된 용손부(500)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져 있고, 고로(10)와 풍구 내의 냉각수 이동로(400)의 압력차에 의해 용손부에 결착되며, 고로(10)의 온도에 의해 녹아서 용손부(500)를 폐쇄하고, 수리용유동체 보급유닛(300)은 수리용유동체(200)를 냉각수 파이프 내로 투입시키도록 이루어져 있다.
풍구 내의 냉각수 이동로(400)로 연결되는 냉각수 파이프(100)에는 풍구의 온도를 낮추어서 고열에 의한 풍구의 용손이 일어남을 방지하도록 냉각수가 흐른다. 냉각수는 펌프(110)로부터 압력을 받아 풍구 내에 형성된 냉각수 이동로(400)를 향하게 되고 풍구 내의 냉각수 이동로(400)를 순환하고 나온 냉각수는 다시 펌프(110)에 의해 풍구 내에 형성된 냉각수 이동로(400)를 향한다. 바람직하게는 풍구 내의 냉각수 이동로(400)를 순환한 고열의 냉각수는 열교환장치로 이동하여 온도가 낮아지고 다시 펌프(110)로 순환하여 지속적으로 풍구의 냉각이 가능해 진다.
냉각수 파이프(100)로 투입되어 냉각수와 함께 용손부(500)로 이동하고 고로와 풍구 내의 냉각수 이동로의 압력차에 의해 용손부(500)에 결착되며 조업시 고로의 온도에 의해 녹아서 용손부(500)를 폐쇄하는 수리용유동체(200)는 직접적으로 용손부(500)와 결합하여 수리기능을 하는 핵심적인 구성요소이다.
수리용유동체(200)의 크기는 냉각수 파이프(100) 및 풍구 내의 풍구 내의 냉각수 이동로(400) 내에서 원활히 이동가능한 정도가 바람직하다. 용손부(500)의 크기에 따라 다르겠지만 보통 수리용유동체(200) 한 조각만을 투입하는 것보다 여러조각이 용손부(500)에 결착됨으로써 더욱 효율적인 용손부(500)의 폐쇄가 가능할 것이므로 1~2mm 정도의 범위에서 다양한 길이를 갖는 복수의 수리용유동체(200) 조각이 발명의 목적을 달성함에 있어서 효과적이다.
당해 발명은 냉각수 파이프(100) 내의 유량의 미세한 변화만으로도 그 차이를 감지하여 수리용유동체(200)를 투입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풍구의 용손부(500)가 더욱 확대되기 전에 미리부터 수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장치에 의해 수리되는 용손부(500)의 크기는 대체로 초기에 발생한 것이기 때문에 수리용유동체(200)의 크기는 1~2mm 정도의 범위에서 다양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수리용유동체(200)를 냉각수 파이프(100) 내로 투입시키는 수리용유동체 보급유닛(300)은 수리용유동체(200)가 냉각수와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흘려보내는 역할을 하는 구성으로서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중요 수단이 된다.
다만 단지 수리용유동체(200)를 투입시킬 뿐 수리용유동체(200)의 이동과 결착 및 용융에 의한 폐쇄는 본디 존재하던 설비의 작동에 따라 자연히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동작원리는 비교적 간단하다.
이에 따라 장치를 위한 투자비가 적게 들고 장치의 작동에 따른 고장이 날 확률이 적을뿐더러 고장이 나도 보수가 손쉬어 풍구의 수리장치에 있어서 매우 효율적인 수단이 될 것이다.
풍구의 온도를 냉각시키는 수단은 단지 냉각수에 한정되지 않고 냉각가스가 냉각수단으로 작용할 수 있다. 다만, 냉각수 및 냉각가스 모두 유체로서 냉각로를 이동하는 것이기 때문에 풍구를 냉각시키기 위해 형성된 풍구 내의 냉각수 또는 냉각가스 이동로 및 냉각수 또는 냉각가스 파이프의 외형상 차이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리고 냉각작용을 하는데 있어서 기본적인 원리와 방법에서도 큰 차이가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수리용유동체 보급유닛(300)은 크게 수리용유동체(200)를 저장하는 수리용유동체보관소(310); 일단과 타단이 각각 수리용유동체보관소(310)와 냉각수 파이프(100)와 연결되어 있는 수리용유동체이동로(320); 및 수리용유동체보관소(310)와 수리용유동체이동로(320) 사이의 연결부위에 형성되어 수리용유동체(200) 투입을 조절하는 게이트(330);를 구성요소로 포함한다.
수리용유동체보관소(310)는 일단이 개방되어 수리용유동체(200)의 보충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고 타단은 수리용유동체이동로(320)와 연결되어 있다.
수리용유동체보관소(310)는 수리용유동체(200)의 저장과 동시에 보급을 하는 기능을 하게 되므로 발명의 일실시례로서 수리용유동체보관소(310)의 바닥부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수리용유동체(200)의 이동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일단이 수리용유동체보관소(310)와 연결되고 타단이 냉각수 파이프(100)와 연통되어 수리용유동체(200)를 수리용유동체보관소(310)로부터 냉각수 파이프(100)로 이동시키는 수리용유동체이동로(320)의 경우 수리용유동체(200)를 직접적으로 냉각수 파이프(100)로 투입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수리용유동체(200)가 다각면체로서 통일된 형상을 갖지 않는 경우의 경우 수리용유동체이동로(320)는 냉각수 파이프(100)와 수직으로 연통되어 있는 것이 수리용유동체(200)의 즉각적인 투입에 있어서 효과적일 것이다.
다만 수리용유동체(200)가 구 형상을 갖는 경우에는 냉각수 파이프(100)와 수직이 아닌 예각의 경사를 형성하는 편이 수리용유동체(200)의 투입량 조절에 있어서 효율적인 설계가 된다.
수리용유동체보관소(310)와 수리용유동체이동로(320) 연결부위에 위치하며 냉각수 파이프(100)로의 수리용유동체(200)의 투입을 조절하는 게이트(330)는 수리용유동체(200)의 투입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수리용유동체보관소(310) 내의 수리용유동체(200) 전량을 일거에 투입시키지는 않기 때문에 투입량의 조절이 요구되므로 필수적인 구성요소라 할 수 있겠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례로 게이트(330)는 용손부(500)의 크기에 따라 정해진 양만큼 수리용유동체(200)가 투입이 될 것이므로 하기에 기재될 투입량제어부(340)에 의해 개폐가 제어될 것이다. 결정된 양만큼을 투입해야 하므로 투입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게이트(330)가 미닫이 형식으로 형성되는 것이 수리용유동체(200)의 투입량 조절에 있어서 효과적일 것이다.
냉각수 파이프(100) 내의 냉각수의 유량변화를 감지하는 변화감지부(130)는 풍구가 용손되었을 경우 용손부(500)로부터 고로로 냉각수가 새어 나가게 될 것이므로 이 경우에 있어서 냉각수의 유량에 대한 변화를 감지하는 구성요소이다. 일종의 센서로서 문제발생에 대한 알람 역할을 수행한다.
변화감지부(130)의 위치는 풍구 내의 냉각수 이동로(400)를 순환하고 나온 냉각수가 흐르게 되는 파이프에 위치하게 된다. 풍구에 용손이 발생시 고로로 냉각수가 소실되어 그에 따른 차이가 발생하는 부분이기 때문이다.
또한 풍구 내의 냉각수 이동로(400)를 순환하고 나온 냉각수는 높은 온도이므로 변화감지부(130)는 고온에 견딜 수 있는 내열성 소재로 이루어진 보호막에 둘러 쌓여 있음이 바람직하다.
감지한 유량변화값을 이용하여 용손부(500)의 크기를 계산하고 수리용유동체(200)의 투입량을 결정하여 이에 따라 게이트(330)를 개폐하는 투입량제어부(340)는 유량변화를 용손부(500)의 크기로 환산하여 수리용유동체(200)의 투입량을 결정한다.
풍구의 용손부(500)는 장입물과의 충격으로 인해 파열된 형태일 수도 있고 찢어진 형태일 수도 있는 등 다양한 형태 및 크기를 갖을 수 있으므로 그에 따른 수리용유동체(200)의 투입량을 결정해야 할 것이다.
만일 적정 투입량보다 적게 투입될 경우 용손부(500)를 완전히 폐쇄하지 못하는 상황이 벌어질 것이며 적정 투입량보다 많게 투입될 경우 자칫 냉각수의 흐름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단위당 수리용유동체(200)가 완전히 용융되는 경우 대략적인 평균면적을 산출하고 유량의 변화와 용손부(500)의 크기 간의 관계를 설정하여 유량변화에 따른 수리용유동체(200)의 투입량을 결정해야 할 것이다.
냉각수 파이프(100) 상에 위치하며, 수리용유동체(200)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투입량제어부(340)로부터 수리용유동체(200) 투입되었다는 신호를 받아 일정시간 동안 냉각수 파이프(100) 내의 유압을 증대시키는 펌프(110)의 경우 냉각수와 함께 이동하는 수리용유동체(200)를 용손부(500)에 안착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기본적으로 조업중의 고로의 압력은 4~5(kg/㎠)에서 형성이 되고 냉각수 펌프(110)의 경우 17(kg/㎠) 정도의 압력을 가한다. 냉각수와 함께 이동하는 수리용유동체(200)는 용손부(500)에 이르러 압력차에 의해 용손부(500)에 결착하게 되는데 간혹 결착되지 못하고 냉각수와 함께 돌아오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펌프(110)의 출력을 높이는 것으로 유압을 증대시켜 고로와 풍구 내의 냉각수 이동로(400)의 압력차이를 크게 형성시킴으로써 수리용유동체(200)의 용손부(500)에 대한 결착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례로 냉각수의 압력을 증대시키는 방법은 베르누이의 정리를 이용하여 풍구 내로 유입되는 냉각수 이동로(400) 근처의 냉각수 파이프(100)에 구비된 밸브를 열어 냉각수 파이프(100)의 통로가 넓어지게 되어 유압이 증가할 것이다.
보통 유압의 증대는 수리용유동체(200)가 용손부(500)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 동안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는 수리용유동체(200)가 투입된 지점에서 풍구 내의 냉각수 이동로(400)까지의 거리와 유압 증대 후 냉각수 순환로 내에서 냉각수가 이동하는 속도를 통해 구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그럼에도 결착되지 못하고 돌아나온 수리용유동체(200)의 회수를 위해 풍구 내의 냉각수 이동로(400)를 돌고 나온 냉각수가 흐르는 파이프에 그물망을 설치하는 것도 본 발명에 대한 일실시례가 될 수 있다.
수리용유동체(200)의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1~2mm 정도의 범위에서 크기가 결정되나 형상의 경우 통일되지 않은 다각면체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수리용유동체보관소(310) 및 수리용유동체이동로(320)에서의 이동이 원활하지 못하여 적절한 투입이 어려워질 수 있고 다각면체가 갖는 모서리에 의해 냉각수 파이프(100) 등이 손상되어 또 다른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수리용유동체(200)가 구 형상을 가질 경우 이동이 원활할 뿐더러 냉각수 파이프(100) 등의 손상 위험도 줄어들고 또한 용융시켰을 경우 커버 가능한 단면적의 예측이 용이하여 투입량을 제어함에 있어서도 수월할 것이다.
수리용유동체(200)는 풍구에 결착하여 조업 중의 고로의 온도에 의해 용융되어 용손부(500)를 폐쇄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조업중의 고로의 온도는 고로의 위치마다 다르나 풍구가 형성된 부위의 온도는 풍구를 통해 나가는 열풍에 의해 1100~1300℃정도로 형성이 된다.
수리용유동체(200)의 용융점이 고로의 온도와 같거나 다소 낮을 경우 용손부(500)에 결착된 수리용유동체(200)의 고로와 마주보는 바깥면부터 고로의 온도에 의해 녹게 되어 용손부(500)의 폐쇄가 가능해 진다. 수리용유동체(200)의 용융점이 조업중의 고로의 온도보다 훨씬 낮을 경우 수리용유동체(200)가 용손부(500)에 도달하기도 전에 용융이 되어 발명에서 목표하는 바를 이룰 수 없게 된다.
상기와 같은 이유에 따라 수리용유동체(200)의 재질은 용융점이 1100~1300℃ 정도에서 재질이 적합할 것이다. 이를테면 니켈, 구리, 망간 및 철 등이 그러하다. 다만, 경제적인 측면에서 단가가 가장 값싸며 용융점 측면에서도 가장 적합한 구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풍구의 수리방법은 크게 풍구 내의 냉각수 이동로(400)로 흐르던 냉각수의 유량변화를 감지하는 변화감지단계; 냉각수로 수리용유동체(200)를 투입하는 수리용유동체 보급단계; 수리용유동체(200)를 용손부(500)로 이동시키는 수리용유동체 전송단계; 및 압력차로 인해 용손부(500)에 결착된 수리용유동체(200)가 용융됨으로써 용손부(500)를 폐쇄시키는 수리단계;를 구성요소로 포함한다.
고로의 조업중 용손된 풍구의 수리방법에 있어서 풍구 내의 냉각수 이동로(400)를 순환하는 냉각수의 유량변화를 감지하는 변화감지단계는 문제의 인식 단계로서 냉각수의 유량변화는 곧 풍구에 용손이 발생하였음을 의미하게 되므로 그에 따른 대책을 발생시키기 위한 신호 역할을 한다.
일정유량을 설정해 놓고 설정한 유량값에 변화가 있는 경우 파이프 등에 설치된 센서 등이 이를 감지하고 신호를 전달한다.
유량변화가 감지되면 수리용유동체(200)를 냉각수로 투입하는 수리용유동체 보급단계는 유량변화에 따른 신호를 전달 받아 용손부(500)를 폐쇄하는 기능을 하는 수리용유동체(200)를 냉각수와 함께 이동시키기 위해 냉각수가 흐르는 파이프 등으로 수리용유동체(200)를 투입시키는 단계이다.
수리용유동체(200)를 냉각수와 함께 용손부(500)로 이동시키는 수리용유동체 전송단계는 펌프(110) 등으로 유압이 가해진 냉각수 내의 수리용유동체(200)가 수리작업을 위해 문제가 발생한 풍구의 용손부(500)로 이동하는 단계이다.
위와 같은 단계를 거쳐 용손부(500)에 도달된 수리용유동체(200)는 고로와 풍구 내의 냉각수 이동로(400)로의 압력차이에 의해 용손부(500)에 결착된다. 그 후 조업 중의 고로의 온도에 의해 용유이 되어 풍구의 용손부(500)가 폐쇄가 됨으로써 풍구의 용손부(500) 수리작업이 마무리 된다.
상기 풍구 수리방법에서 변화감지단계 이후에는 센서 등으로 감지한 유량변화를 기초로 하여 용손부(500)의 크기를 계산하고 이에 따른 수리용유동체(200)의 투입량을 결정하는 투입량 결정단계를 거치는 것이 용손부(500) 폐쇄에 있어서 효과적일 수 있다.
여러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용손부(500)는 크기와 모양이 제각각이기 때문에 그에 따른 수리용유동체(200)의 투입량이 결정될 필요가 있음을 그 이유로 한다.
수리용유동체 보급단계 이후에는 냉각수 파이프(100) 상의 유압을 조절하여 냉각수와 함께 이동하는 수리용유동체(200)의 용손부(500)에 대한 결착이 원활해지도록 제어하는 유량 조절단계를 거치는 것이 용손부(500) 폐쇄에 있어서 효과적일 수 있다.
수리용유동체(200) 투입 후 냉각수 파이프(100) 상의 유압을 조절로써 갑자기 증대시킬 경우 고로와 풍구 내의 냉각수 이동로(400)의 압력차이가 더 커지게 될 것인바, 냉각수와 함께 이동하는 수리용유동체(200)의 용손부(500)로의 결착이 더욱 원활하게 될 것임은 자명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 : 고로 100 : 냉각수 파이프
110 : 펌프 200 : 수리용유동체
300 : 수리용유동체 보급유닛 400 : 냉각수 이동로
500 : 용손부

Claims (9)

  1. 고로의 조업중 풍구를 냉각시키는 풍구 냉각장치에 있어서,
    풍구의 냉각수 이동로 또는 냉각가스 이동로를 포함하는 냉각부;
    냉각부에 투입되어 냉각수 또는 냉각가스와 함께 풍구에 형성된 용손부로 이동하고, 고로와 풍구 내의 냉각수 이동로 또는 냉각가스 이동로의 압력차에 의해 용손부에 결착되며, 고로의 온도에 의해 녹아서 용손부를 폐쇄하여 용손부 수리를 가능하게 하는 수리용유동체; 및
    냉각부에 수리용유동체의 공급을 가능하게 하는 수리용유동체 보급유닛;을 포함하는 풍구 냉각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냉각부는 냉각수 또는 냉각가스가 순환하며, 풍구 내의 냉각수 이동로 또는 냉각가스 이동로와 연결되는 냉각수 파이프 또는 냉각가스 파이프를 포함하고,
    수리용유동체는 냉각수 파이프 또는 냉각가스 파이프에 투입되며,
    수리용유동체 보급유닛은 수리용유동체를 냉각수 파이프 또는 냉각가스 파이프 내로 투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구 냉각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수리용유동체 보급유닛은,
    수리용유동체를 저장하는 수리용유동체보관소;
    일단이 수리용유동체보관소와 연결되고 타단이 냉각수 파이프 또는 냉각가스 파이프와 연통되어 수리용유동체가 수리용유동체보관소로부터 냉각수 파이프 또는 냉각가스 파이프로 이동되는 수리용유동체이동로; 및
    수리용유동체보관소와 수리용유동체이동로의 연결부위에 위치하며 냉각수 파이프 또는 냉각가스 파이프로 투입시키는 수리용유동체의 투입량을 조절하는 게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구 냉각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냉각수 파이프 내를 순환하는 냉각수의 유량변화를 측정하는 감지부;
    감지부에서 측정한 유량변화값을 이용하여 용손부의 크기를 계산하고 수리용유동체의 투입량을 결정하여 결정된 투입량에 따라 게이트를 개폐하는 투입량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구 냉각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냉각수 파이프 상에 위치하며, 수리용유동체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투입량제어부로부터 수리용유동체가 투입되었다는 신호를 받고 수리용이동체가 용손부에 도달 될 때까지 출력을 높여 냉각수 파이프 내의 유압을 증대시키는 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구 냉각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수리용유동체는 구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구 냉각장치.
  7. 고로의 조업중 냉각수가 누수되는 풍구의 용손부 수리방법에 있어서,
    풍구 내의 냉각수 이동로를 순환하는 냉각수의 유량변화를 감지하는 변화감지단계;
    유량변화가 감지되면 수리용유동체를 냉각수로 투입하는 수리용유동체 보급단계;
    수리용유동체를 냉각수와 함께 용손부로 이동시키는 수리용유동체 전송단계; 및
    용손부에 도달된 수리용유동체가 고로와 풍구 내의 냉각수 이동로의 압력차이에 의해 용손부에 결착되고 고로의 온도에 의해 녹음으로써 풍구의 용손부가 폐쇄되는 수리단계;를 포함하는 풍구 수리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변화감지단계 이후에는, 감지한 유량변화값을 이용하여 용손부의 크기를 계산하고 수리용유동체의 투입량을 결정하는 투입량 결정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구 수리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수리용유동체 보급단계 이후에는, 냉각수 파이프 상의 유압을 조절하여 냉각수와 함께 이동하는 수리용유동체의 용손부에 대한 결착이 원활해지도록 제어하는 유량 조절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구 수리방법.
KR1020150088457A 2015-06-22 2015-06-22 풍구 냉각장치 및 풍구 수리방법 KR101641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8457A KR101641835B1 (ko) 2015-06-22 2015-06-22 풍구 냉각장치 및 풍구 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8457A KR101641835B1 (ko) 2015-06-22 2015-06-22 풍구 냉각장치 및 풍구 수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1835B1 true KR101641835B1 (ko) 2016-07-22

Family

ID=56681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8457A KR101641835B1 (ko) 2015-06-22 2015-06-22 풍구 냉각장치 및 풍구 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183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1713A (ja) * 1996-03-04 1997-09-16 Nippon Steel Corp 高炉用炉体冷却装置の補修方法
JP2007084900A (ja) * 2005-09-26 2007-04-05 Nippon Steel Corp 高炉炉底極小空隙への骨材圧入方法
KR100863670B1 (ko) 2007-07-24 2008-10-15 김성욱 풍구의 교체가 용이한 용광로 및 손상된 기존 풍구를 교체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1713A (ja) * 1996-03-04 1997-09-16 Nippon Steel Corp 高炉用炉体冷却装置の補修方法
JP2007084900A (ja) * 2005-09-26 2007-04-05 Nippon Steel Corp 高炉炉底極小空隙への骨材圧入方法
KR100863670B1 (ko) 2007-07-24 2008-10-15 김성욱 풍구의 교체가 용이한 용광로 및 손상된 기존 풍구를 교체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1835B1 (ko) 풍구 냉각장치 및 풍구 수리방법
CN104898150B (zh) 放射性检测设备及检测方法
JP4855002B2 (ja) 微粉炭吹き込み高炉操業方法
KR20120132840A (ko) 롤 내부 유동 냉각 장치
KR101632735B1 (ko) 고로 스테이브의 냉각 파이프 보수장치 및 그 보수방법
CN106498105A (zh) 一种高炉冷却水管在线修复的方法
CN101381785B (zh) 高炉冷却壁破损后的控水方法
CN209210845U (zh) 一种高炉铁口用氧枪
CN115758624A (zh) 提高高炉炉腰、炉腹冷却壁使用寿命的方法
KR101466174B1 (ko) 고로 압력 측정장치
KR101289174B1 (ko) 머드건
KR101669414B1 (ko) 고로 스테이브 냉각 파이프용 밸브의 파손 방지장치 및 그 파손 방지방법
KR101733156B1 (ko) 고로 내벽 감지 장치
KR20130035084A (ko) 내화물 온도 측정이 가능한 전기로
KR101518614B1 (ko) 고로의 마모방지장치
KR100825613B1 (ko) 에어모타를 이용한 고로 압력검출단 개공시스템
JP4471393B2 (ja) 金属成形用射出装置における溶湯漏れ防止方法
KR101321931B1 (ko) 대탕도 용손 방지 장치
KR100913159B1 (ko) 미분탄 취입관 청소장치 및 청소방법
KR101568604B1 (ko) 고로 내부 온도측정장치
KR20110120598A (ko) 제강 래들 배열을 이용한 래들 가열장치, 래들 가열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2381603B1 (ko) 용사보수 버너장치의 공급가스 제어시스템 및 방법
KR101175587B1 (ko) 고로 노황복구시 풍구 개공시점 제어방법
CN220250684U (zh) 一种铜水冷元件集水联箱装置
JP2820895B2 (ja) プリレベル給湯制御方法における給湯精度向上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