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3156B1 - 고로 내벽 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고로 내벽 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3156B1
KR101733156B1 KR1020160051729A KR20160051729A KR101733156B1 KR 101733156 B1 KR101733156 B1 KR 101733156B1 KR 1020160051729 A KR1020160051729 A KR 1020160051729A KR 20160051729 A KR20160051729 A KR 20160051729A KR 101733156 B1 KR101733156 B1 KR 101733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blast furnace
unit
wall
internal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1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호
이정효
김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60051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31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3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3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7/00Analysing materials by measuring the pressure or volume of a gas or vapour
    • G01N7/10Analysing materials by measuring the pressure or volume of a gas or vapour by allowing diffusion of components through a porous wall and measuring a pressure or volume differe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56Investigating resistance to wear or abrasion
    • G01N3/567Investigating resistance to wear or abrasion by submitting the specimen to the action of a fluid or of a fluidised material, e.g. cavitation, jet abra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Blast Furnaces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로의 외벽에 삽입되어, 제 1 종단이 상기 고로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되는 감지 유도부; 및 상기 감지 유도부의 제 2 종단에 연결되고, 상기 감지 유도부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감지 본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감지 유도부의 제 1 종단의 개방영역은 상기 고로의 내벽에 도포되는 내화재에 의해 폐쇄되고, 상기 감지 유도부의 제 1 종단의 개방영역은 개방되면, 상기 감지 본체부는 기준값 이상의 상기 감지 유도부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내벽 감지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은 고로 내벽 감지 장치는 고로 내벽 상태를 감지하여, 고로 내벽 상태에 따른 고로의 노황 상태를 제어하고, 고로 내벽의 마모로 인한 고로 철피의 손상을 방지한다.

Description

고로 내벽 감지 장치{APPARATUS FOR DETECTING INNER WALL OF BLAST FURNACE}
본 발명은 고로 내벽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고로 내벽의 상태를 감지하여 고로 내벽의 마모에 따른 고로 외벽의 손상 및 고로 가스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고로 내벽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철 산업에서 고로(blast furnace)는 주원료인 철광석과 연료인 석탄을 소결광 및 코크스의 형태로 장입하고 환원반응을 통해 산화철을 선철의 용융된 상태, 즉 용선으로 제조하는 설비이다. 고로의 내부에는 환원반응을 위하여 고온의 열풍이 공급되고 제조된 용선은 고로의 하부에 해당하는 노저에 누적된다. 용선은 일정량 이상으로 누적되면, 열풍을 공급하는 풍구 아래의 노저의 상단에 위치한 출선구를 통해 주기적으로 배출되어 제강공장으로 공급된다.
한편, 환원 반응에 의한 용선 제조 과정을 통해 고로의 상부인 노구에서 장입된 소결광 및 코크스는 높이가 점점 낮아지기에, 소결광 및 코크스가 순서대로 지속적으로 공급되고, 공급된 연료는 자연스럽게 하강하게 된다.
또한, 고로는 하강하는 원료, 원료, 고열의 열풍 및 반응열로부터 노체를 보호하기 위하여, 고로의 외벽인 철피의 내측에는 냉각기구인 스테이브(stave)가 포함된다.
스테이브는 내화재료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 냉각수 배관이 설치된다. 이러한 스테이브는 고출선비 조업에서 원료, 연료 등의 마찰 및 환원 반응에 의해 마모가 이루어져 냉각수 배관의 파손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이로 인해, 냉각수는 고로 내부에 유입되어, 고로 내부의 온도를 하강시키고, 용선을 생산하기 위한 열량을 증가시키며, 고로 내부 상황을 악화시킨다.
일반적으로 고로의 스테이브의 마모 지연 및 보호를 위하여, 고로 내부에서 연원료가 배출된 공동 상태에서 스프레이건을 이용하여 고로 내벽에 내화물이 도포된다. 하지만, 내화물이 고로 내벽에 도포되더라도, 정상조업 중에는 고로 내벽의 상태가 확인되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고로 내벽의 상태를 확인하여 적절하게 조치를 취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65119호(공개일: 2012년 6월 20일)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88617호(공개일: 2002년 11월 29일)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48267호(공개일: 2004년 6월 7일)
본 발명은 고로 내벽 상태를 감지하여, 고로 내벽 상태에 따른 고로의 노황 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고로 내벽 감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로 내벽의 마모로 인한 고로 철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고로 내벽 감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고로의 외벽에 삽입되어, 제 1 종단이 상기 고로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되는 감지 유도부; 및 상기 감지 유도부의 제 2 종단에 연결되고, 상기 감지 유도부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감지 본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감지 유도부의 제 1 종단의 개방영역은 상기 고로의 내벽에 도포되는 내화재에 의해 폐쇄되고, 상기 감지 유도부의 제 1 종단의 개방영역이 개방되면, 상기 감지 본체부는 기준값 이상의 상기 감지 유도부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내벽 감지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감지 본체부가 증가된 상기 감지 유도부의 내부 압력을 측정할 때, 상기 고로의 내벽에 도포된 내화재는 마모되고 상기 감지 유도부의 제 1 종단이 노출되어, 고로 가스가 상기 감지 유도부의 개방영역으로 유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내벽 감지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고로 내벽 감지 장치는, 상기 감지 본체부에 연결되고, 상기 감지 본체부에 의해 측정된 상기 감지 유도부의 내부 압력에 따라 상기 감지 유도부에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감지 본체부가 기준값 이상의 상기 감지 유도부의 내부 압력을 측정할 때, 상기 가스 공급부는 상기 감지 유도부에 가스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내벽 감지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가스 공급부는, 가스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감지 본체부에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 상에 설치되어, 상기 감지 본체부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감지 유도부의 내부 압력에 따라 상기 연결부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되, 상기 감지 유도부의 내부 압력이 기준값 이상일 때, 상기 개폐부는 상기 연결부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내벽 감지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고로 내벽 감지 장치는, 상기 감지 본체부에 의해 측정된 상기 감지 유도부의 내부 압력에 따른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가스 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내벽 감지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감지 유도부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상기 감지 유도부들은 각각 상기 고로의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위치되면서 제 1 종단이 상이한 길이로 상기 고로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내벽 감지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감지 유도부는 상기 감지 유도부의 제 1 종단을 갖고 상기 고로에 설치되는 제 1 유도부, 및 상기 감지 유도부의 제 2 종단을 갖고 상기 감지 본체부에 연결되는 제 2 유도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로 내벽 감지 장치는, 상기 고로의 외벽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유도부와 상기 제 2 유도부를 연결하는 연결 블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내벽 감지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고로 내벽 감지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1) 본 발명의 고로 내벽 감지 장치는 고로 내벽 상태를 감지하여, 고로 내벽 상태에 따른 고로의 노황 상태를 제어하는 효과를 갖는다.
(2) 본 발명의 고로 내벽 감지 장치는 고로 내벽의 마모로 인한 고로 철피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로 내벽 감지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고로 내벽 감지 장치의 감지 유도부가 고로에 설치된 모습을 도 1의 선 A-A를 따라 절개하여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고로 내벽 감지 장치의 감지 유도부에 고로 가스가 유입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고로 내벽 감지 장치의 가스 공급부가 가스를 공급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로 내벽 감지 장치(100)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고로 내벽 감지 장치(100)의 감지 유도부(101)가 고로(10)에 설치된 모습을 도 1의 선 A-A를 따라 절개하여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고로 내벽 감지 장치(100)의 감지 유도부(101)에 고로 가스가 유입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고로 내벽 감지 장치(100)의 가스 공급부(103)가 가스를 공급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로 내벽 감지 장치(100)는 감지 유도부(101), 감지 본체부(102) 및 가스 공급부(103)를 포함하고, 고로(10)의 내벽의 마모에 따른 상태를 감지하여 고로(10)의 내벽이 지속적으로 마모되어 고로(10)의 외벽까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고로(10)는 외벽을 이루는 철피(11), 내벽을 이루는 스테이브(12; stave) 및 내벽에 내화재가 도포되어 형성되는 내화물(13)로 이루어진다.
감지 유도부(101)는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고로(10)의 외벽에 삽입된다. 이때, 감지 유도부(101)의 제 1 종단은 고로(10)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된다. 여기서, 감지 유도부(101)의 제 1 종단은 고로(10)의 내벽으로부터 1㎜ 내지 30㎜ 정도 돌출된다.
한편, 고로(10)의 내벽에서 내화물(13)은 내화재에 의해 형성되는 데, 내화재는 고로(10)의 내벽에서 50㎜의 두께를 이루도록 도포된다. 이로 인해, 감지 유도부(101)의 제 1 종단은 내화재에 의해 완전히 폐쇄된 상태이다. 이때, 감지 유도부(101)의 제 1 종단의 개방영역(110)도 폐쇄되어, 고로(10)의 고로 가스가 개방영역(110)을 통해 감지 유도부(101)에 유입되는 것이 차단된다. 여기서, 감지 유도부(101)의 제 1 종단의 개방영역(110)은 감지 유도부(101)의 내부와 고로(10)의 내부를 연결할 수 있도록 감지 유도부(101)의 제 1 종단에 형성되는 영역이다.
또한, 감지 유도부(101)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로 이루어진다. 복수 개의 감지 유도부(101)들은 고로(10)의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위치된다. 이때, 감지 유도부(101)들 각각의 제 1 종단은 고로(10)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된 정도가 상이하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감지 유도부(101)는 4개로 이루어지는 데, 각각 제 1 종단이 고로(10)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된 길이가 1㎜, 10㎜, 20㎜ 및 30㎜이다. 여기서, 감지 유도부(101)에서 고로(10)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된 길이가 30㎜인 감지 유도부(101a), 20㎜인 감지 유도부(101b), 10㎜인 감지 유도부(101c) 및 1㎜인 감지 유도부(101d)는 각각 제 1 감지 유도부(101a), 제 2 감지 유도부(101b), 제 3 감지 유도부(101c) 및 제 4 감지 유도부(101d)라 하기로 한다.
한편, 고로(10)의 조업으로 인해 내화물(13)의 마모가 이루어지며, 감지 유도부(101)의 제 1 종단의 개방영역(110)은 고로 가스에 노출된다. 이때, 감지 유도부(101)는 고로(10)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된 길이가 클수록, 우선적으로 개방영역(110)을 통해 고로 가스의 유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 고로 가스가 감지 유도부(101)에 유입된다면, 내화물(13)이 적어도 감지 유도부(101)의 제 1 종단까지 마모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이를 통해 내화물(13)의 마모 정도가 확인될 수 있다.
또한, 제 1 감지 유도부(101a)는 제 1 유도부(101a') 및 제 2 유도부(101a")로 이루어진다.
제 1 유도부(101a')는 제 1 감지 유도부(101a)의 제 1 종단을 갖고 고로(10)에 설치된다. 제 1 유도부(101a')는 고로(10)의 외벽에 삽입된 상태로 고로(10)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된다.
제 2 유도부(101a")는 제 1 감지 유도부(101a)의 제 2 종단을 갖고 후술될 감지 본체부(102)에 연결된다.
제 1 유도부(101a')와 제 2 유도부(101a")는 분리가능한 구성이다. 연결 블록부(111)는 고로(10)의 외벽 상에 설치되어 제 1 유도부(101a')와 제 2 유도부(101a")를 연결한다. 연결 블록부(111)는 제 1 감지 유도부(101)가 고로(10) 상에 설치된 위치에 상응하도록 위치된다.
또한, 제 2 감지 유도부(101b), 제 3 감지 유도부(101c) 및 제 4 감지 유도부(101d)도 제 1 감지 유도부(101b)에 상응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연결 블록부(111)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감지 유도부(101)는 용이하게 고로(10)에 설치되고, 마모 또는 손상 시에도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다.
감지 본체부(102)는 감지 유도부(101)의 제 2 종단에 연결되어, 감지 유도부(101)의 내부 압력을 측정한다. 내화물(13)이 마모되어 개방영역(110)이 개방되고 고로 가스가 개방영역(110)을 통해 감지 유도부(101)에 유입될 때, 감지 유도부(101)의 내부 압력은 증가한다. 감지 본체부(102)가 기준값 이상의 감지 유도부(101)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게 되면, 내화물(13)이 적어도 감지 유도부(101)의 제 1 종단까지 마모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이를 통해 내화물(13)의 마모 정도가 감지될 수 있다. 여기서, 기준값은 감지 유도부(101)의 제 1 종단의 개방영역(110)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될 때 측정되는 감지 유도부(101)의 내부 압력이고, 바람직하게는 감지 유도부(101)의 제 1 종단의 개방영역(110)이 완전히 개방될 때 측정되는 감지 유도부(101)의 내부 압력이다. 즉, 기준값은 개방영역(110)이 내화물(13)에 의해 완전히 폐쇄된 상태일 때보다 높은 감지 유도부(101)의 내부 압력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고로(10)의 정상조업이 이루어질 때, 고로 가스는 5,800 N㎥/min의 풍량 및 4,100 ㎏/㎠의 풍압을 갖는다. 이때, 고로 가스에 의해 고로(10)의 내화물(13)의 마모가 이루어진다. 내화물(13)의 마모로 인해 감지 유도부(101)의 제 1 종단이 노출되고 개방영역(110)이 개방된 상태에 이르게 되면, 고로 가스는 개방영역(110)을 통해 감지 유도부(101)에 유입되면서 감지 유도부(101)의 내부 압력을 증가시킨다. 이때, 감지 본체부(102)는 감지 유도부(101)의 증가된 내부 압력을 측정한다. 이로 인해, 증가된 내부 압력이 감지된 감지 유도부(101)가 확인되어, 내화물(13)의 마모 정도가 확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로 가스는 고로(10)의 내부에서 유동하여, 내화물(13)의 마모가 이루어진다. 내화물(13)의 마모로 인해 제 1 감지 유도부(101a)의 제 1 종단의 개방영역(110)이 개방되고, 고로 가스는 개방영역(110)을 통해 제 1 감지 유도부(101a)에 유입되어 제 1 감지 유도부(101a)의 내부 압력을 증가시키며, 감지 본체부(102)는 제 1 감지 유도부(101a)의 증가된 내부 압력을 측정한다. 감지 본체부(102)가 기준값 이상의 제 1 감지 유도부(101a)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게 되면, 고로(10)의 내벽에 도포된 내화물(13)이 30㎜정도의 두께로 잔존한다는 것이 인지될 수 있다.
지속적으로 내화물(13)의 마모가 이루어지면서, 감지 본체부(102)는 제 2 감지 유도부(101b), 제 3 감지 유도부(101c) 및 제 4 감지 유도부(101d) 순으로 증가된 내부 압력을 측정한다. 감지 본체부(102)가 기준값 이상의 제 2 감지 유도부(101b), 제 3 감지 유도부(101c) 및 제 4 감지 유도부(101d)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게 되면, 고로(10)의 내벽에서 잔존된 내화물(13)의 두께가 확인될 수 있다. 작업자는 확인된 내화물(13)의 두께에 따라 고로(10)의 조업을 제어할 수 있다.
가스 공급부(103)는 감지 본체부(102)에 연결되고, 감지 본체부(102)에 의해 측정된 감지 유도부(101)의 내부 압력에 따라 가스를 감지 유도부(101)에 공급한다. 이때, 감지 유도부(101)에 가스가 공급될 때 감지 유도부(101)의 내부 압력은 기준값 이상이다.
가스 공급부(103)에 의해 공급되는 가스는 바람직하게는 질소 등과 같은 비활성 가스이고, 감지 유도부(101)에 공급되어 고로(10)의 내부에 유입되더라도 고로 가스와 반응하지 않는다. 또한, 가스는 바람직하게는 고로(10)의 내부에서 고로 가스의 풍압보다 큰 압력을 갖고, 감지 유도부(101)에 공급되어 감지 유도부(101)에 유입된 고로 가스를 다시금 고로(10)의 내부로 유도한다. 이로 인해, 유입된 고로 가스로 인한 감지 유도부(101)의 변형이 방지되고, 감지 유도부(101)의 변형으로 인한 내화물(13)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가스 공급부(103)는 저장부(131), 연결부(133) 및 개폐부(135)를 포함한다.
저장부(131)는 탱크 형태로 이루어지고, 가스를 저장한 상태로 유지한다.
연결부(133)는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저장부(131)로부터 연장되어 감지 본체부(102)에 연결된다. 저장부(131)에 저장된 가스는 연결부(133)를 통해 감지 본체부(102) 및 감지 유도부(101)로 공급될 수 있다.
개폐부(135)는 밸브 형태로 이루어지고 연결부(133) 상에 설치되어 연결부(133)를 개폐한다. 개폐부(135)의 개폐 작용은 감지 본체부(102)에 의해 측정되는 감지 유도부(101)의 내부 압력에 따라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감지 유도부(101)의 내부 압력이 기준값 이상일 때, 연결부(133)는 개폐부(135)에 의해 개방되고 가스는 저장부(131)로부터 연결부(133) 및 감지 본체부(102)를 통해 감지 유도부(101)에 공급된다. 반면에, 감지 유도부(101)의 내부 압력이 기준값 미만일 때, 연결부(133)는 개폐부(135)에 의해 폐쇄되고 가스는 저장부(131)에 저장된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고로 내벽 감지 장치(100)는 제어부(104)를 더 포함하기도 한다. 제어부(104)는 감지 본체부(102)로부터 신호를 전달받는다. 이때, 신호는 감지 본체부(102)에 의해 측정된 감지 유도부(101)의 내부 압력에 따른 신호이다. 즉, 신호는 측정된 감지 유도부(101)의 내부 압력이 기준값 이상인지 아닌지에 따라 상이하다. 제어부(104)는 전달받은 신호에 따라 가스 공급부(103)의 개폐부(135)를 제어하여, 가스를 가스 공급부(103)로부터 감지 유도부(101)로 공급하기도 하고 공급을 중단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의 고로 내벽 감지 장치(100)는 감지 유도부(101)에 대한 고로 가스 유입을 통해 고로(10)의 내벽 마모 상태를 감지한다. 이때, 감지 본체부(102)가 감지 유도부(101)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고, 감지 유도부의 내부 압력이 기준값 이상일 때 가스 공급부(103)는 가스를 감지 유도부(101)에 공급하여 고로(10)의 내부로 유도한다. 고로(10)의 내벽이 마모된 정도를 고려하여, 고로 노황 상태가 제어될 수 있다. 또한, 고로(10)의 내벽 마모 상태가 감지되기에, 고로(10)의 내벽이 과도하게 마모되는 것이 방지되어, 고로(10)의 스테이브(12) 및 철피(11)까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고로 내벽 감지 장치(100)는 고로(10)의 높이를 기준으로 중간부분에 설치되고, 경우에 따라 통상적으로 마모가 많이 이루어지는 부분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상,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고로 내벽 감지 장치
101: 감지 유도부
110: 개방영역
111: 연결 블록부
102: 감지 본체부
103: 가스 공급부
131: 저장부
133: 연결부
135: 개폐부
104: 제어부

Claims (7)

  1. 고로의 외벽에 삽입되어, 제 1 종단이 상기 고로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되는 감지 유도부; 및
    상기 감지 유도부의 제 2 종단에 연결되고, 상기 감지 유도부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감지 본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감지 유도부의 제 1 종단의 개방영역이 상기 고로의 내벽에 도포되는 내화재에 의해 폐쇄되고,
    상기 감지 유도부의 제 1 종단의 개방영역이 개방되면, 상기 감지 본체부는 기준값 이상의 상기 감지 유도부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내벽 감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본체부가 증가된 상기 감지 유도부의 내부 압력을 측정할 때, 상기 고로의 내벽에 도포된 내화재는 마모되고 상기 감지 유도부의 제 1 종단이 노출되어, 고로 가스가 상기 감지 유도부의 개방영역으로 유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내벽 감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로 내벽 감지 장치는,
    상기 감지 본체부에 연결되고, 상기 감지 본체부에 의해 측정된 상기 감지 유도부의 내부 압력에 따라 상기 감지 유도부에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감지 본체부가 기준값 이상의 상기 감지 유도부의 내부 압력을 측정할 때, 상기 가스 공급부는 상기 감지 유도부에 가스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내벽 감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공급부는,
    가스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감지 본체부에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 상에 설치되어, 상기 감지 본체부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감지 유도부의 내부 압력에 따라 상기 연결부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되,
    상기 감지 유도부의 내부 압력이 기준값 이상일 때, 상기 개폐부는 상기 연결부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내벽 감지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로 내벽 감지 장치는,
    상기 감지 본체부에 의해 측정된 상기 감지 유도부의 내부 압력에 따른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가스 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내벽 감지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유도부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상기 감지 유도부들은 각각 상기 고로의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위치되면서 제 1 종단이 상이한 길이로 상기 고로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내벽 감지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유도부는 상기 감지 유도부의 제 1 종단을 갖고 상기 고로에 설치되는 제 1 유도부, 및 상기 감지 유도부의 제 2 종단을 갖고 상기 감지 본체부에 연결되는 제 2 유도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로 내벽 감지 장치는,
    상기 고로의 외벽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유도부와 상기 제 2 유도부를 연결하는 연결 블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내벽 감지 장치.
KR1020160051729A 2016-04-27 2016-04-27 고로 내벽 감지 장치 KR101733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729A KR101733156B1 (ko) 2016-04-27 2016-04-27 고로 내벽 감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729A KR101733156B1 (ko) 2016-04-27 2016-04-27 고로 내벽 감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3156B1 true KR101733156B1 (ko) 2017-05-24

Family

ID=59051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1729A KR101733156B1 (ko) 2016-04-27 2016-04-27 고로 내벽 감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315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8210A (ja) 2000-07-27 2002-02-06 Nippon Steel Corp 高炉炉壁付着物厚み測定装置及び高炉の操業方法
JP2002060821A (ja) 2000-08-08 2002-02-28 Nippon Steel Corp 高炉炉壁構造および高炉の操業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8210A (ja) 2000-07-27 2002-02-06 Nippon Steel Corp 高炉炉壁付着物厚み測定装置及び高炉の操業方法
JP2002060821A (ja) 2000-08-08 2002-02-28 Nippon Steel Corp 高炉炉壁構造および高炉の操業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orrkulla et al. Model of the state of the blast furnace hearth
US683522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ring a powder accumulation in a powder delivery tube
KR19990017156U (ko) 열풍로의 열풍밸브 누수측정장치
US11141779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variables in the outlet of a metallurgical vessel
KR101733156B1 (ko) 고로 내벽 감지 장치
EP3546600A1 (en)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surface level of molten metal
EP3180452B1 (en) Blast furnace cooling plate with integrated wear detection system
KR101796090B1 (ko) 피처리물 처리장치
CN109690242A (zh) 用于测量冷却壁的厚度的装置
JP4770316B2 (ja) 高炉の羽口及び高炉下部状況評価方法
KR100338433B1 (ko) 대탕도덮개내화물마모제어장치
KR101641835B1 (ko) 풍구 냉각장치 및 풍구 수리방법
KR960006322B1 (ko) 용광로의 조업방법
KR101766321B1 (ko) 고로 크랙 보수장치
KR20190062957A (ko) 고로
JP2004091887A (ja) 高炉用羽口およびその交換方法
JP7135779B2 (ja) 大ベル補修時の作業環境温度低減方法
KR101706570B1 (ko) 전기로
LU101057B1 (en) Method for protecting an inner wall of a shaft furnace
JP2009235437A (ja) 大減尺休風時の高炉操業管理方法
KR101798624B1 (ko) 용철 제조 설비의 미분탄 공급 장치
KR20020028013A (ko) 고로의 출선구 폐쇄방법
KR100362678B1 (ko) 일반탄 및 분철광석을 이용한 용철제조공정에 있어서 유동 환원로의 광석흐름 정체 방지장치
JPH06212215A (ja) 炉底の耐火レンガの温度制御方法
JPS5920409A (ja) 微粉炭吹込み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