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1753B1 - 무선 통신 방법, 휴대 장치 및 무선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방법, 휴대 장치 및 무선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1753B1
KR101641753B1 KR1020130045845A KR20130045845A KR101641753B1 KR 101641753 B1 KR101641753 B1 KR 101641753B1 KR 1020130045845 A KR1020130045845 A KR 1020130045845A KR 20130045845 A KR20130045845 A KR 20130045845A KR 101641753 B1 KR101641753 B1 KR 101641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rocessing
unit
wireless communic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5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5300A (ko
Inventor
마사또시 기무라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25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5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1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1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5Replication or mirroring of data, e.g. scheduling or transport for data synchronisation between network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소비 전력을 억제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스마트 폰은,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다. 스마트 폰은, 자기 장치와 무선 통신에 의해 접속되는 제휴 대상의 정보 처리 장치가 취득 대상으로 하는 콘텐츠를 보유한다. 그리고, 스마트 폰은, 보유하는 콘텐츠가 갱신된 경우에, 무선 통신 기능을 기동시켜 제휴 대상의 정보 처리 장치를 탐색한다. 그 후, 스마트 폰은, 탐색한 제휴 대상의 정보 처리 장치와 무선 통신에 의해 접속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방법, 휴대 장치 및 무선 통신 시스템{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MOBILE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방법, 휴대 장치 및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퍼스널 컴퓨터(PC:Personal Computer) 등이, Wi-Fi(wireless fidelity) 등의 무선 통신을 사용하여, 스마트 폰이나 Wi-Fi를 탑재한 디지털 카메라 등의 모바일 단말기가 보유하는 콘텐츠를 취득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여기서 취득되는 콘텐츠의 일례로서는, 디지털 카메라 등으로 촬상한 동화상 데이터나 스마트 폰 등에서 다운로드한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의 취득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사전 설정으로서, 유저는, 자신이 사용하는 스마트 폰과 퍼스널 컴퓨터에 제휴 어플리케이션 등을 인스톨하고, 동일한 SSID(Service Set Identifier)를 설정한다. 즉, 서로 등록 완료된 단말기인 것을 인식할 수 있는 정보를 양쪽 단말기에 설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사전 설정이 완료된 스마트 폰은 Wi-Fi 기능을 동작시켜, 등록 완료된 PC가 주위에 존재하는지 정기적으로 검색한다. 그리고, 스마트 폰은 등록 완료된 PC를 검출하면, 검출한 PC와의 사이에서 Wi-Fi 접속을 확립한다. 그 후, 스마트 폰과 Wi-Fi 접속이 확립된 PC는, 스마트 폰으로부터 콘텐츠를 취득하여 자기 장치에 보존한다. 그 후, 스마트 폰은 PC와의 Wi-Fi 접속을 절단한다. 이와 같이 하여, PC가, 스마트 폰으로부터 콘텐츠를 취득할 수 있어, PC와 스마트 폰 사이에서 콘텐츠를 동기시킬 수도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0-57165호 공보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는, 스마트 폰이나 Wi-Fi를 등재한 비디오 카메라 등의 모바일 단말기가, Wi-Fi의 접속과 절단을 정기적으로 반복하게 되므로, 소비 전력이 많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단말기는, 휴대하면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기도 하여, 전력의 소비를 억제하고자 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소비 전력량이 많은 Wi-Fi 기능을 정기적으로 동작시키는 것은, 소비 전력의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지 않다.
개시된 기술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소비 전력을 억제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방법, 휴대 장치 및 무선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이 개시하는 무선 통신 방법, 휴대 장치 및 무선 통신 시스템은,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휴대 장치는, 상기 휴대 장치와 상기 무선 통신에 의해 접속되는 제휴 대상의 정보 처리 장치가 취득 대상으로 하는 콘텐츠를 보유한다. 휴대 장치는, 보유하는 콘텐츠가 갱신된 경우에, 상기 무선 통신 기능을 기동시켜 상기 제휴 대상의 정보 처리 장치를 탐색한다. 휴대 장치는 탐색한 상기 제휴 대상의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무선 통신에 의해 접속한다.
본원이 개시하는 무선 통신 방법, 휴대 장치 및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하나의 양태에 따르면, 소비 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콘텐츠 DB에 기억되는 콘텐츠 리스트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콘텐츠 설정 DB에 기억되는 정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제휴 모드에 의해 통지되는 내용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제휴 모드 통지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콘텐츠 취득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처리 시퀀스이다.
도 8은 제휴 판정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9는 소프트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스마트 폰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PC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 본원이 개시하는 무선 통신 방법, 휴대 장치 및 무선 통신 시스템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전체 구성]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무선 통신 시스템은 퍼스널 컴퓨터(이하, PC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1)와, 스마트 폰(10)을 갖는다. 예를 들어, 이 무선 통신 시스템은 유저가 Wi-Fi(Wireless Fidelity) 등을 사용하여 자택에 구축하는 가정 내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또한, 여기서 도시한 각 장치의 수는 어디까지나 예시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PC(1)와 스마트 폰(10)이 제휴되어, 콘텐츠의 취득이 실행된다. 예를 들어, PC(1)가, 액세스 포인트(7)로서의 기능을 실행하는 단말기이고, 스마트 폰(10)이, 액세스 포인트(7)를 통해서 무선 통신을 접속하는 단말기이다. 또한, 여기서는, PC(1)가 액세스 포인트(7)를 갖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PC(1)와 스마트 폰(10)은 별도로, 라우터 등의 기기가 액세스 포인트를 갖고 있어도 좋다.
PC(1)는 스마트 폰(10)과 무선 통신에 의해 정기적으로 접속하고, 스마트 폰(10)으로부터 콘텐츠를 취득하여 보존하는 정보 처리 장치이다. 스마트 폰(10)은 무선 통신에 의해 접속된 PC(1)가 취득 대상으로 하는 콘텐츠를 보유하는 휴대 장치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 있어서, 스마트 폰(10)은 제휴 대상의 PC(1)가 취득 대상으로 하는, 보유하는 콘텐츠가 갱신된 경우에, Wi-Fi 등의 무선 통신 기능을 기동시켜 제휴 대상의 PC(1)를 탐색한다. 그리고, 스마트 폰(10)은 탐색한 제휴 대상의 PC(1)와 무선 통신에 의해 접속한다.
이와 같이, 스마트 폰(10)은 제휴 대상의 장치가 취득 대상으로 하는 콘텐츠가 갱신된 경우에, Wi-Fi 등을 기동하여 PC(1)와 접속한다. 이로 인해, 정기적으로 Wi-Fi를 기동하는 경우에 비해, 불필요한 Wi-Fi 기동을 삭감할 수 있으므로, 스마트 폰(10)의 소비 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장치의 구성]
다음에, 도 1에 도시한 PC(1)와 스마트 폰(10)의 기능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또한, 여기서는, 무선 통신의 예로서 Wi-Fi를 사용하는 예를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무선 통신을 사용할 수도 있다.
(PC의 구성)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PC(1)는 설정 정보 DB(Data Base)(2), 콘텐츠 DB(3), WLAN(Wireless LAN)부(4), 제어부(5)를 갖는다. 설정 정보 DB(2)나 콘텐츠 DB(3)는, 메모리 등의 기억 장치에 설치된다. 제어부(5)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의 전자 회로이다.
또한, 여기서 도시한 각 처리부는, 어디까지나 예시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부, 마우스 등의 입력부, 유선 네트워크와 접속하는 인터페이스 등, 일반적인 PC가 갖는 처리부를 갖고 있어도 좋다.
설정 정보 DB(2)는 제휴 대상의 스마트 폰(10)과 Wi-Fi로 제휴하기 위한 설정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이다. 예를 들어, 설정 정보 DB(2)는 스마트 폰(10)과 공통인 SSID(Service Set Identifier), 암호 키, 제휴 대상의 장치의 MAC(Media Access Control) 어드레스 등을 기억한다. 여기서 기억되는 정보는, 사전 설정부(5a)에 의해 갱신된다.
콘텐츠 DB(3)는 스마트 폰(10)으로부터 취득한 콘텐츠를 기억하는 기억부이다. 예를 들어, 콘텐츠 DB(3)는 취득한 일시나 콘텐츠가 생성된 일시에 대응시켜, 사진, 동화상 데이터,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의 콘텐츠를 기억한다. 여기서 기억되는 정보는 취득부(5c)에 의해 갱신된다.
WLAN부(4)는 Wi-Fi를 사용한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처리부이다. 여기서는, WLAN부(4)는 설정 정보 DB(2)에 기억되는 설정 정보를 사용하여, 제휴 대상이 되는 스마트 폰(10)을 식별하고, 스마트 폰(10)과 Wi-Fi로 접속한다.
제어부(5)는 사전 설정부(5a), 제휴부(5b), 취득부(5c)를 갖고, 이들에 의해 스마트 폰(10)과 무선 접속하여 콘텐츠를 취득하는 처리부이다. 또한, 사전 설정부(5a), 제휴부(5b), 취득부(5c)는 CPU 등이 실행하는 처리부이다.
사전 설정부(5a)는 스마트 폰(10)과 Wi-Fi로 제휴를 실행하기 위한 정보를 설정하는 처리부이다. 예를 들어, 사전 설정부(5a)는 스마트 폰(10)과 공통인 SSID, 암호 키, 제휴처의 장치의 MAC 어드레스를 관리자 등으로부터 접수하여, 설정 정보 DB(2)에 저장한다. 또한, 사전 설정부(5a)는 SSID나 암호 키의 변경을 관리자 등으로부터 접수한 경우, 설정 정보 DB(2)에 저장되는 정보를 갱신한다. 또한, 사전 설정부(5a)는 관리자 등으로부터 설정 커맨드를 접수한 경우에, 당해 커맨드를 실행하여 설정 정보를 설정 정보 DB(2)에 저장할 수도 있다.
제휴부(5b)는 스마트 폰(10)과 Wi-Fi에 의한 무선 통신을 확립하는 처리부이다. 구체적으로는, 제휴부(5b)는 WLAN부(4)가 검출한 Wi-Fi의 접속 요구로부터, 설정 정보 DB(2)에 기억되는 SSID나 암호 키가 일치하는 접속 요구를 특정한다. 그리고, 제휴부(5b)는 특정한 접속 요구에 대해서 접속 허가 응답을 송신하여, 무선 통신을 확립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휴부(5b)는 PC(1)와 제휴 가능한 스마트 폰(10)을 식별하여, 식별한 스마트 폰(10)과 PC(1)와 제휴시킨다.
취득부(5c)는 Wi-Fi로 접속된 스마트 폰(10)으로부터 콘텐츠를 취득하여, 콘텐츠 DB(3)에 저장하는 처리부이다. 구체적으로는, 취득부(5c)는 제휴부(5b)와 WLAN부(4)에 의해 스마트 폰(10)과의 Wi-Fi 접속이 확립되면, 스마트 폰(10)으로부터 취득 대상을 나타내는 제휴 모드 통지를 수신한다. 그리고, 취득부(5c)는 수신한 제휴 모드 통지에 따라서, 스마트 폰(10)으로부터 콘텐츠를 취득하여, 콘텐츠 DB(3)에 저장한다. 이때, 취득부(5c)는 콘텐츠 DB(3)에 이미 기억되는 콘텐츠와, 통지된 새로운 취득 대상의 콘텐츠를 비교하여, 차분만을 취득해도 좋다.
(스마트 폰의 구성)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마트 폰(10)은 설정 정보 DB(11), 콘텐츠 DB(12), 콘텐츠 설정 DB(13), WLAN부(14), 제어부(15)를 갖는다. 설정 정보 DB(11), 콘텐츠 DB(12), 콘텐츠 설정 DB(13)는 메모리 등의 기억 장치에 설치된다. 제어부(5)는 CPU 등의 전자 회로이다.
또한, 여기서 도시한 각 처리부는, 어디까지나 예시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터치 패널 등의 표시 입력부, 음성 통화를 실행하는 통화 처리부, 인터넷에 접속하는 접속부, 어플리케이션 등을 다운로드하는 처리부, 카메라 등의 촬상부, 배터리 등, 일반적인 스마트 폰이 갖는 처리부를 갖고 있어도 좋다.
설정 정보 DB(11)는 제휴 대상의 PC(1)와 Wi-Fi로 제휴하기 위한 설정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이다. 예를 들어, 설정 정보 DB(11)는 PC(1)와 공통인 SSID, 암호 키, 제휴처의 장치의 MAC 어드레스 등을 기억한다. 여기서 기억되는 정보는 설정부(15a)에 의해 갱신된다.
콘텐츠 DB(12)는 Wi-Fi로 접속되는 제휴 대상의 PC(1)가 취득 대상으로 하는 콘텐츠를 기억하는 기억부이다. 예를 들어, 콘텐츠 DB(12)는 사진, 동화상 데이터,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의 콘텐츠를 기억한다. 여기서 기억되는 정보는 갱신부(15b)에 의해 갱신된다.
또한, 콘텐츠 DB(12)는 보유하는 콘텐츠의 리스트를 도시하는 콘텐츠 리스트도 기억한다. 또한, 콘텐츠 리스트는 비교부(15c) 등에 의해 생성된다. 도 3은, 콘텐츠 DB에 기억되는 콘텐츠 리스트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콘텐츠 리스트는, 「저장 장소, 파일명, 종별, 갱신 일시」 등을 대응시켜 관리한다. 여기서 기억되는 「저장 장소」는, 콘텐츠가 저장되는 폴더명 등을 나타내고, 「파일명」은, 콘텐츠의 파일명을 나타낸다. 「종별」은, 콘텐츠의 종별을 나타내고, 예를 들어 사진, 동화상, 어플리케이션 등이 설정된다. 「갱신 일시」는, 콘텐츠가 등록 또는 갱신된 일시를 나타낸다.
도 3의 경우, 폴더 A에 저장되는 파일명이 「AAA」인 사진 데이터의 최신 갱신 일시가 「2012/4/25 12:00」인 것을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폴더 B에 저장되는 파일명이 「BBB」인 동화상 데이터의 최신 갱신 일시가 「2012/4/27 13:15」인 것을 나타낸다.
콘텐츠 설정 DB(13)는 콘텐츠 DB(12)에 기억되는 콘텐츠 중, PC(1)가 취득 대상으로 하는 콘텐츠가 무엇인지를 나타내는 설정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이다. 도 4는, 콘텐츠 설정 DB에 기억되는 정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콘텐츠 설정 DB(13)는 「사진 송신, 동화상 송신」을 대응시켜 기억한다. 콘텐츠 설정 DB(13)에는, 설정부(15a)에 의해 도 4에 도시한 어느 하나의 조합이 설정된다.
여기서 기억되는 「사진 송신」은, 콘텐츠 종별이 「사진」인 콘텐츠가 취득 대상인지 여부를 나타내고, 「동화상 송신」은, 콘텐츠 종별이 「동화상」인 콘텐츠가 취득 대상인지 여부를 나타낸다. 도 4에 도시하는 「사진 송신=유효, 동화상 송신=유효」는, 제휴시에 PC(1)가 사진 데이터와 동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사진 송신=유효, 동화상 송신=무효」는, 제휴시에 PC(1)가 사진 데이터를 취득하는 것을 나타낸다. 「사진 송신=무효, 동화상 송신=유효」는, 제휴시에 PC(1)가 동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것을 나타낸다. 「사진 송신=무효, 동화상 송신=무효」는, 자동 제휴가 무효인 것을 나타낸다.
제어부(15)는 설정부(15a), 갱신부(15b), 비교부(15c), 탐색부(15d), 확립부(15e)를 갖고, 이들에 의해, 콘텐츠의 갱신이나 PC(1)의 제휴를 실행하는 처리부이다. 또한, 설정부(15a), 갱신부(15b), 비교부(15c), 탐색부(15d), 확립부(15e)는 CPU 등이 실행하는 처리부이다.
설정부(15a)는 PC(1)와 Wi-Fi에 의한 제휴를 실행하기 위한 정보나 취득 대상을 나타내는 정보를 설정하는 처리부이다. 예를 들어, 설정부(15a)는 PC(1)와 공통인 SSID, 암호 키, 제휴처의 장치의 MAC 어드레스를 관리자 등으로부터 접수하여, 설정 정보 DB(11)에 저장한다. 또한, 설정부(15a)는 SSID나 암호 키의 변경을 관리자 등으로부터 접수한 경우, 설정 정보 DB(11)에 저장되는 정보를 갱신한다. 또한, 설정부(15a)는 PC(1)에 취득시키는 설정 정보를 관리자 등으로부터 접수하여, 콘텐츠 설정 DB(13)에 저장한다. 또한, 설정부(15a)는 관리자 등으로부터 설정 커맨드를 접수한 경우에, 당해 커맨드를 실행하여 설정 정보 DB(11)나 콘텐츠 설정 DB(13)에 설정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갱신부(15b)는 콘텐츠의 취득이나 갱신을 실행하는 처리부이다. 예를 들어, 갱신부(15b)는, 도시하지 않은 카메라 등으로 촬상된 동화상 데이터를 콘텐츠 DB(12)에 저장한다. 또한, 갱신부(15b)는 어플리케이션 등이 다운로드나 인스톨된 경우에, 다운로드된 위치나 인스톨된 위치를 특정하여, 콘텐츠 DB(12)에 저장한다. 또한, 갱신부(15b)는 자동 갱신이나 관리자에 의한 수동 갱신 등에 의해, 콘텐츠 DB(12)에 저장되는 콘텐츠를 갱신한다.
비교부(15c)는 PC(1)가 취득 완료된 콘텐츠로부터 갱신이 있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부이다. 구체적으로는, 비교부(15c)는 소정의 간격으로 갱신이 있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부이고, 전회 PC(1)가 취득된 콘텐츠와, 현재 보유되어 있는 콘텐츠를 비교하여, 차분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비교부(15c)는 차분이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 탐색부(15d)에 탐색 처리의 개시를 지시한다.
예를 들어, 비교부(15c)는, 전회의 비교 타이밍에서 비교한 콘텐츠 리스트를 콘텐츠 DB(12) 등에 보유시킨다. 그리고, 비교부(15c)는 비교 타이밍에 도달하면, 콘텐츠 DB(12)에 기억되는 콘텐츠로부터, 현시점에서 보유되어 있는 콘텐츠의 리스트를 생성한다. 그리고, 비교부(15c)는 콘텐츠 DB(12) 등이 보유하는 전회의 콘텐츠 리스트와, 현시점에서 생성한 콘텐츠 리스트를 비교하여, 차분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차분이 있다고 판정되는 예로서는, 새로운 콘텐츠가 콘텐츠 DB(12)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나, 어플리케이션 등의 콘텐츠가 갱신되어 있는 경우 등이 해당한다. 또한, 비교 타이밍은, 임의로 설정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스마트 폰(10)이 충전 중인 경우에는 15분 간격으로 폴링하거나, 스마트 폰(10)이 충전 중이 아닌 경우에는 60분 간격으로 폴링하거나 할 수 있다.
탐색부(15d)는 보유하는 콘텐츠가 갱신된 경우에, Wi-Fi를 기동하여, 제휴 대상의 PC(1)를 탐색하는 처리부이다. 구체적으로는, 탐색부(15d)는 비교부(15c)로부터 탐색 처리의 개시가 지시되면, WLAN부(14)에 Wi-Fi 기동을 지시하여, Wi-Fi를 기동시킨다. 그리고, 탐색부(15d)는 스마트 폰(10)이 무선 통신 가능한 범위에 존재하는 PC 중, 제휴 대상의 PC(1)를 탐색한다.
예를 들어, 탐색부(15d)는 Wi-Fi를 기동한 WLAN부(14)가 수신하는 Wi-Fi 통신 중, 설정 정보 DB(11)에 기억되는 SSID와 동일한 SSID에 의해 접속 요구를 송신하는 통신을 탐색한다. 그리고, 탐색부(15d)는 동일한 SSID의 Wi-Fi 통신을 탐색할 수 있었던 경우에, 확립부(15e)에 통신의 확립을 지시한다.
확립부(15e)는 제휴 대상의 PC(1)와 Wi-Fi로 접속하는 처리부이다. 구체적으로는, 확립부(15e)는 탐색부(15d)에 의해 탐색된 Wi-Fi 통신에 응답함으로써, 제휴 대상의 PC(1)와 Wi-Fi로 접속한다. 예를 들어, 확립부(15e)는 탐색부(15d)에 의해 탐색된 Wi-Fi 통신에 대해서, SSID나 암호 키를 응답한다. 그리고, 확립부(15e)가 응답처로부터 접속 완료 등의 응답을 수신하면, 응답처와 Wi-Fi에 의한 통신이 확립된다. 이와 같이 하여, 확립부(15e)는 제휴 대상의 PC(1)와 Wi-Fi 접속을 확립하고, PC(1)와 제휴할 수 있다.
또한, 확립부(15e)는 Wi-Fi 접속을 확립할 때에, 제휴처의 PC(1)에 대해서, 취득 대상의 콘텐츠를 통지한다. 구체적으로는, 확립부(15e)는 콘텐츠 설정 DB(13)에 기억되는 설정 정보로부터 생성한 제휴 모드 통지를 PC(1)에 송신한다. 여기서, 확립부(15e)가 통지하는 내용이나 통지 형식을 설명한다. 도 5는, 제휴 모드에 의해 통지되는 내용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제휴 모드 통지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예를 들어, 확립부(15e)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Function, CommandInfo, ScheduleImport(Photo, Movie)」를 포함한 Command를 제휴 모드 통지로서 생성한다. 「Function」은, 송신처에 통지하는 커맨드의 문자열이 설정된다. 「CommandInfo」는, Command에 본 노드(플래그)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수동으로 제휴되었다고 판단되는 정보가 설정된다.
「ScheduleImport(Photo)」는, 제휴시에 사진을 자동적으로 취득하는지 여부를 지정한 플래그이고, 자동적으로 취득하는 경우에는 「YES」, 자동적으로 취득하지 않는 경우에는 「NO」가 설정된다. 「ScheduleImport(Movie)」는, 제휴시에 동화상을 자동적으로 취득하는지 여부를 지정한 플래그이고, 자동적으로 취득하는 경우에는 「YES」, 자동적으로 취득하지 않는 경우에는 「NO」가 설정된다.
그리고, 확립부(15e)는, 도 5에 도시한 각 정보를 나타낸 제휴 모드 통지를,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형식으로 생성하여 PC(1)에 송신한다. 구체적으로는, 확립부(15e)는 「Function」에 미리 지정된 「CONNECTION」을 설정한다. 또한, 확립부(15e)는 콘텐츠 설정 DB(13)에 기억되는 「사진 송신」의 설정 내용을, 「ScheduleImport(Photo)」로 설정한다. 마찬가지로, 확립부(15e)는 콘텐츠 설정 DB(13)에 기억되는 「동화상 송신」의 설정 내용을, 「ScheduleImport(Movie)」로 설정한다. 확립부(15e)는, 이와 같이 하여 생성한 XML 형식의 제휴 모드 통지를 PC(1)에 송신한다.
[처리의 흐름]
다음에, 도 7과 도 8을 사용하여,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처리의 흐름을 설명한다. 여기서는, 도 7을 사용하여 처리 시퀀스를 설명하고, 도 8을 사용하여 스마트 폰(10)이 실행하는 처리를 설명한다.
(처리 시퀀스)
도 7은, 콘텐츠 취득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처리 시퀀스이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PC(1)의 제어부(5)의 사전 설정부(5a)는 SSID나 암호 키 등의 사전 설정을 실행한다(S101). 마찬가지로, 스마트 폰(10)의 제어부(15)의 설정부(15a)는 SSID나 암호 키 등의 사전 설정을 실행한다(S102). 이때, 스마트 폰(10)의 설정부(15a)는 콘텐츠 설정 DB(13)에 콘텐츠의 취득 설정을 실행한다.
계속해서, 스마트 폰(10)의 제어부(15)는, 도 8에서 설명하는 제휴 판정 처리를 실행한다(S103). 여기서는, Wi-Fi를 접속한다고 판정된 것으로 한다. 그리고, 스마트 폰(10)의 제어부(15)의 탐색부(15d)는 등록 PC를 탐색한다(S104와 S105). 즉, 탐색부(15d)는 동일한 SSID 등이 설정된, 제휴 대상의 PC를 탐색한다.
PC(1)의 제어부(5)의 제휴부(5b)는 스마트 폰(10)으로부터의 탐색 요구에 대해서, 응답을 송신한다(S106과 S107). 그리고, 스마트 폰(10)의 제어부(15)의 탐색부(15d)는 통신 가능한 범위에 존재하고, 응답을 송신해 온 PC 중, 등록된 Wi-Fi로 응답해 온 PC(1)가 선택된다(S108).
그 후, 스마트 폰(10)의 제어부(15)의 확립부(15e)는 선택된 PC(1)가 접속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한다(S109). 예를 들어, 확립부(15e)는 응답에 포함되는 PC(1)의 MAC 어드레스와, 사전 설정 등으로 취득 완료된 MAC 어드레스와의 비교로 행해지고, 그들이 일치하는 경우는 접속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이 결과, 선택되어 있는 PC(1)와 접속 가능한 경우에는, 확립부(15e)는, 도 6 등에서 설명한 제휴 모드 통지를 생성하여, 선택되어 있는 PC(1)에 송신한다(S110과 S111). 한편, 선택되어 있는 PC(1)와 접속 가능하지 않는 경우에는, 확립부(15e)는 제휴 모드 통지를 송신하지 않는다.
그 후, PC(1)의 제어부(5)의 제휴부(5b)는, 선택되어 있는 스마트 폰(10)과 접속하기 위해 스마트 폰(10)을 탐색한다(S112와 S113). 스마트 폰(10)의 확립부(15e)는 PC(1)가 실행한 탐색에 포함되는 정보가 사전 설정에 의해 취득 완료된 SSID 등의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탐색에 대해서 응답한다(S114와 S115). 그러면, PC(1)의 제어부(5)의 제휴부(5b)는 선택되어 있는 스마트 폰(10)으로부터 응답이 있다고 판정한다(S116).
이와 같이 하여, 서로 등록 완료된 PC(1)와 스마트 폰(10)과의 Wi-Fi 접속이 확립되면, PC(1)의 취득부(5c)는 제휴처의 스마트 폰(10)에 대해서, 콘텐츠 리스트의 송신을 요구한다(S117과 S118). 이 요구를 수신한 스마트 폰(10)의 비교부(15c)는 제휴 판정 처리에서 생성한 콘텐츠 리스트를 PC(1)에 송신한다(S119와 S120).
그리고, PC(1)의 취득부(5c)는 콘텐츠 DB(3)에 기억되는 콘텐츠의 콘텐츠 리스트와, 스마트 폰(10)으로부터 취득한 콘텐츠 리스트를 비교하여, 차분을 추출한다(S121). 그 후, PC(1)의 취득부(5c)는 추출한 차분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스마트 폰(10)의 콘텐츠 DB(12)로부터 읽어들여, 자기 장치의 콘텐츠 DB(3)에 저장한다(S122와 S123). 이때, PC(1)의 취득부(5c)는 제휴 모드 통지에 의해 통지된 플래그에 기초하여 콘텐츠를 취득한다. 예를 들어, 취득부(5c)는 차분으로서 데이터가 사진인 경우에, 통지된 플래그가 OFF이면, 취득을 실행하지 않는다.
PC(1)의 취득부(5c)는 차분의 취득이 완료되면, 콘텐츠의 취득이 완료된 것을 도시하는 완료 통지를 스마트 폰(10)에 송신한다(S124와 S125). 스마트 폰(10)의 확립부(15e)는 완료 통지를 수신하면, 소정 시간 대기하고, Wi-Fi 접속을 유지 한다(S126).
이 소정 시간 동안에 콘텐츠가 갱신된 경우, 스마트 폰(10)의 확립부(15e)는 갱신된 콘텐츠가 취득 대상으로 설정되어 있는 종별이면, 당해 콘텐츠를 PC(1)에 통지한다. 그리고, PC(1)는 통지된 콘텐츠를 취득한다. 또한, 콘텐츠의 갱신이 있었던 경우에는, 일단 타이머를 리셋하고, 갱신 발생 후에 다시 타이머를 설정한다. 그리고, 스마트 폰(10)의 확립부(15e)는 소정 시간 경과한 후, Wi-Fi를 절단한다(S127과 S128).
(제휴 판정 처리)
도 8은, 제휴 판정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처리는, 도 7에서 도시한 S103에 있어서 스마트 폰(10)이 실행하는 처리이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마트 폰(10)의 비교부(15c)는 폴링 시간을 설정한다(S201). 즉, 비교부(15c)는 제휴 판정 처리의 개시 간격을 설정한다. 그리고, 비교부(15c)는 폴링 시간에 도달하면(S202 "예"), 자동 제휴 플래그를 0으로 설정한다(S203).
계속해서, 비교부(15c)는 콘텐츠 설정 DB(13)를 참조하고, 사진 송신이 「유효」로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204). 사진 송신이 「유효」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S204 "예"), 비교부(15c)는 사진을 취득 대상으로 판정하고(S205), 사진의 리스트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206). 또한, 사진 송신이 「무효」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S204 "아니오"), 비교부(15c)는 S212 이후를 실행한다.
그리고, 비교부(15c)는 사진의 리스트가 있다고 판정한 경우(S206 "예"), 콘텐츠 DB(12)로부터 사진의 리스트를 취득한다(S207). 한편, 비교부(15c)는 사진의 리스트가 없다고 판정한 경우(S206 "아니오"), 콘텐츠 DB(12)에 기억되는 정보를 사용하여 사진의 리스트를 생성한다(S208).
그 후, 비교부(15c)는 전회의 사진 리스트와 금회의 사진 리스트를 비교해서 차분을 추출하고(S209), 차분이 있는 경우에는(S210 "예"), 자동 제휴 플래그를 1로 설정한다(S211). 한편, 비교부(15c)는 전회의 사진 리스트와 금회의 사진 리스트를 비교한 결과, 차분이 없다고 판정한 경우에는(S210 "아니오"), S211을 실행하지 않고, S212를 실행한다.
계속해서, 비교부(15c)는 콘텐츠 설정 DB(13)를 참조하고, 동화상 송신이 「유효」로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212). 동화상 송신이 「유효」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S212 "예"), 비교부(15c)는 동화상을 취득 대상으로 판정하고(S213), 동화상의 리스트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214). 또한, 동화상 송신이 「무효」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S212 "아니오"), 비교부(15c)는 S220 이후를 실행한다.
그리고, 비교부(15c)는 동화상의 리스트가 있다고 판정한 경우(S214 "예"), 콘텐츠 DB(12)로부터 동화상의 리스트를 취득한다(S215). 한편, 비교부(15c)는 동화상의 리스트가 없다고 판정한 경우(S214 "아니오"), 콘텐츠 DB(12)에 기억되는 정보를 사용하여 동화상의 리스트를 생성한다(S216).
그 후, 비교부(15c)는, 전회의 동화상 리스트와 금회의 동화상 리스트를 비교해서 차분을 추출하고(S217), 차분이 있는 경우에는(S218 "예"), 자동 제휴 플래그를 1로 설정한다(S219). 한편, 비교부(15c)는 전회의 동화상 리스트와 금회의 동화상 리스트를 비교한 결과, 차분이 없다고 판정한 경우에는(S218 "아니오"), S219를 실행하지 않고, S220을 실행한다.
이와 같이 하여, 비교부(15c)는 취득 대상의 콘텐츠에 대해서 차분의 비교를 행한 결과, 자동 제휴 플래그가 1인지 여부를 판정한다(S220). 그리고, 비교부(15c)는 자동 제휴 플래그가 1이라고 판정한 경우(S220 "예"), Wi-Fi를 기동한다(S221). 그 후, 도 7의 S104 이후의 처리가 실행된다. 한편, 비교부(15c)는 자동 제휴 플래그가 0이라고 판정한 경우(S220 "아니오"), Wi-Fi를 정지한 상태 그대로(S222), S201로 되돌려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효과]
이와 같이, 스마트 폰(10)은 Wi-Fi로 접속된 PC(1)가 취득 대상으로 하는 콘텐츠를 보유하고, 보유하는 콘텐츠가 갱신된 경우에, Wi-Fi를 기동하여 PC(1)에 접속함으로써, 불필요한 접속을 억제하고, 배터리의 낭비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폰(10)은 보유하는 콘텐츠가 갱신되면, PC(1)에 콘텐츠를 취득시킬 수 있으므로, 지체없이 콘텐츠를 동기시킬 수도 있다.
<실시예 2>
우선, 지금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이외에도, 다양한 다른 형태로 실시되어어도 좋은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폴링 타이밍)
예를 들어, 스마트 폰(10)이 제휴 판정 처리를 실행하는 타이밍은, 임의로 설정 편광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폰(10)은 배터리 잔량이 소정값보다 적은 경우에는, 폴링 시간에 도달해도, 다음의 타이밍까지 제휴 판정 처리를 억지할 수도 있다. 소정값의 예로서는, 20% 등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진 송신 또는 동화상 송신의 설정이 무효로부터 유효로 변경된 후의 첫회만, 설정 변경으로부터 1분 후에 제휴 판정 처리를 실행할 수도 있다. 또한, 스마트 폰(10)은 유저가 스마트 폰(10)을 조작하고 있지 않은 로크 상태일 때에 제휴 판정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스마트 폰(10)은 제휴 판정 처리는 폴링 간격으로 실행하지만, 실제의 Wi-Fi 접속을 로크 상태일 때에 실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유저 조작을 저해하지 않고, 콘텐츠를 동기시킬 수도 있다. 또한, 자동 제휴가 개시된 경우에는, 제휴되는 각 장치의 스테이터스 바, 벌룬, 화면 등을 사용하여, 콘텐츠의 취득이 실행되어 있는 것을 통지한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PC(1)가 콘텐츠의 차분을 추출하여, 추출한 차분을 취득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스마트 폰(10)이, 차분의 콘텐츠 일람을 PC(1)에 통지할 수도 있다. 이 결과, PC(1)측의 처리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제휴 대상이 복수대)
실시예 1에서는, 제휴 대상이 1대의 예를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복수대의 장치를 제휴 대상으로서 사전 설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스마트 폰(10)은 동기하여 프로브를 행한다. 그리고, 스마트 폰(10)은 프로브에 의해 검출한 PC 중, 제휴 대상 외의 PC를 필터링한다. 또한, 스마트 폰(10)은 제휴 대상의 PC를 복수대 검출한 경우, 임의의 순서로 시퀀셜로 제휴하여, 콘텐츠를 취득시킨다.
(휴대 장치의 예)
실시예 1에서는, 휴대 장치의 예로서 스마트 폰(10)을 사용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외에는, 휴대 전화, Wi-Fi 기능을 탑재한 디지털 카메라나 비디오 카메라, Wi-Fi 기능을 탑재한 메모리 카드가 삽입된 디지털 카메라나 비디오 카메라 등이 있다.
(소프트웨어 구성)
다음에, PC(1) 및 스마트 폰(10) 사이의 제휴를 실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소프트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PC(1) 및 스마트 폰(10) 사이의 제휴를 실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는, OS(810), 드라이버(820) 및 어플리케이션(830)을 갖는다. OS(810), 드라이버(820), 어플리케이션(830)은 하드웨어(800)와 협동하여 제휴 처리를 실현한다.
드라이버(820)에는, WLAN 프로그램(821)이 포함된다. PC(1)에 있어서 실행되는 WLAN 프로그램(821)은, 도 2에 도시한 WLAN부(4)의 기능을 실현한다. 또한, 스마트 폰(10)에 있어서 실행되는 WLAN 프로그램(821)은, 도 2에 도시한 WLAN부(14)의 기능을 실현한다.
어플리케이션(830)에는, 제휴 프로그램(831)이 포함된다. PC(1)에 있어서 실행되는 제휴 프로그램(831)은, 도 2에 도시한 제어부(5)가 갖는 각 처리부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실현한다. 또한, 스마트 폰(10)에 있어서 실행되는 제휴 프로그램(831)은, 도 2에 도시한 제어부(15)가 갖는 각 처리부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실현한다. 제휴 프로그램(831)은 WLAN 프로그램(821)을 사용하여 다른 정보 통신 기기와 제휴를 행한다. 즉, PC(1)[또는 스마트 폰(10)]의 제휴 프로그램(831)은 스마트 폰(10)[또는 PC(1)]의 제휴 프로그램(831)과 제휴 처리를 실행한다.
(스마트 폰의 하드웨어 구성)
도 10은, 스마트 폰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마트 폰(900)은 무선 통신부(910)와, 표시부(920)와, 음성 입출력부(930)와, 입력부(940)와, 프로세서(950)와, 기억부(960)를 갖는다. 무선 통신부(910), 표시부(920), 음성 입출력부(930), 입력부(940) 및 기억부(960)는, 각각 프로세서(950)와 접속되어 있다.
기억부(960)는 프로그램 기억부(961)와, 데이터 기억부(962)와, RAM(Random Access Memory)(963)을 갖는다. 프로그램 기억부(961)에는, 도 2에 도시한 제어부(15)가 갖는 각 처리부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실현하는 제휴 프로그램(831) 등의 프로그램이 기억된다. 데이터 기억부(962)는, 도 2에 도시한 각 DB에 기억되는 각종의 데이터를 기억한다. 또한, 기억부(960)는, 예를 들어, 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의 반도체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HDD:Hard Disk Drive), 광 디스크 등의 기억 장치이다.
프로세서(950)는, 예를 들어,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나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집적 회로 또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나 MPU(Micro Processing Unit) 등의 전자 회로이다. 그리고, 프로세서(950)가 제휴 프로그램(831) 등의 프로그램을 기억부(960)로부터 읽어내어 RAM(963)에 로드함으로써, 제휴 프로그램(831) 등의 프로그램은 제휴 프로세스 등의 프로세스로서 기능하게 된다. 그리고, 제휴 프로세스는 데이터 기억부(962)로부터 읽어낸 정보 등을 적절히 RAM(963) 상의 자신에게 할당된 영역에 로드하고, 이 로드한 데이터 등에 기초하여 각종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한다.
(PC의 하드웨어 구성)
도 11은, PC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PC(1000)는, RAM(1010)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1020)와, HDD(1030)와, CPU(1040), 매체 판독 장치(1050) 및 버스(1060)를 갖는다. RAM(101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1020), HDD(1030), CPU(1040), 매체 판독 장치(1050)는 버스(1060)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HDD(1030)에는, 도 2에 도시한 제어부(5)가 갖는 각 처리부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실현하는 제휴 프로그램(831) 등의 프로그램이 기억된다. 또한, HDD(1030)는, 도 2에 도시한 각 DB에 기억되는 각종의 데이터를 기억한다.
그리고, CPU(1040)가 제휴 프로그램(831)을 HDD(1030)로부터 읽어내어 RAM(1010)에 로드함으로써, 제휴 프로그램(831)은 제휴 프로세스로서 기능하게 된다. 그리고, 제휴 프로세스는 HDD(1030)로부터 읽어낸 정보 등을 적절히 RAM(963) 상의 자신에게 할당된 영역에 로드하고, 이 로드한 데이터 등에 기초하여 각종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한다.
매체 판독 장치(1050)는 제휴 프로그램(831) 등의 프로그램이 HDD(1030)에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라도,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매체 등으로부터 제휴 프로그램(831) 등의 프로그램을 판독한다. 매체 판독 장치(1050)에는, 예를 들어 CD-ROM이나 광 디스크 장치가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1020)는 외부 장치와 네트워크 경유로 접속하는 장치이고, 무선에 대응하는 장치이다.
또한, 상기의 제휴 프로그램(831)은 공중 회선, 인터넷, LAN, WAN(Wide Area Network) 등을 통해서 PC(1000)에 접속되는 다른 컴퓨터(또는 서버) 등에 기억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PC(1000)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1020)를 통해서 다른 컴퓨터 등으로부터 제휴 프로그램(831)을 읽어내어 실행한다.
(시스템)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설명한 각 처리 중, 자동적으로 행하게 되는 것으로서 설명한 처리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동적으로 행할 수도 있다. 혹은, 수동적으로 행하게 되는 것으로서 설명한 처리의 전부 또는 일부를 공지의 방법에 의해 자동적으로 행할 수도 있다. 이 밖에, 상기 문서 중이나 도면 중에 도시한 처리 수순, 제어 수순, 구체적 명칭, 각종의 데이터나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정보에 대해서는, 특기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한 각 장치의 각 구성 요소는 기능 개념적인 것이고, 반드시 물리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즉, 각 장치의 분산이나 통합의 구체적 형태는 도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그 전부 또는 일부를, 각종의 부하나 사용 상황 등에 따라서, 임의의 단위로 기능적 또는 물리적으로 분산ㆍ통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각 장치에서 행해지는 각 처리 기능은, 그 전부 또는 임의의 일부가, CPU 및 그 CPU에 의해 해석 실행되는 프로그램으로 실현되거나, 혹은, 와이어 로직에 의한 하드웨어로서 실현될 수 있다.
1 : PC
2 : 설정 정보 DB
3 : 콘텐츠 DB
4 : WLAN부
5 : 제어부
5a : 사전 설정부
5b : 제휴부
5c : 취득부
7 : 액세스 포인트
10 : 스마트 폰
11 : 설정 정보 DB
12 : 콘텐츠 DB
13 : 콘텐츠 설정 DB
14 : WLAN부
15 : 제어부
15a : 설정부
15b : 갱신부
15c : 비교부
15d : 탐색부
15e : 확립부

Claims (7)

  1. 휴대 장치가,
    제휴 대상의 정보 처리 장치와 무선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당해 정보 처리 장치가 취득 대상으로 하는 콘텐츠로서 상기 휴대 장치의 동작 상태에 따라 결정된 소정의 간격의 각 시점에 있어서 상기 휴대 장치에 보유되는 콘텐츠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각 시점마다 작성하여 보유하고,
    상기 소정의 간격으로, 당해 시점에 있어서 작성된 정보와 당해 시점의 직전에 작성된 정보와의 차분의 유무를 판정하고,
    차분이 없다고 판정된 경우는, 상기 휴대 장치와 상기 정보 처리 장치와의 동기화를 실행하지 않고, 차분이 있다고 판정된 경우는, 상기 소정의 간격에 관계없이, 상기 휴대 장치가 유저에 의해 조작되어 있지 않은 로크(lock) 상태까지 대기하여, Wi-Fi에 의한 무선 통신 기능을 기동시켜 통상 동작시는 통신 접속되어 있지 않은 무선 통신 가능한 범위에 존재하는 상기 제휴 대상의 정보 처리 장치와의 사이에서 무선 접속을 확립하기 위해 상기 제휴 대상의 정보 처리 장치의 탐색을 실행하고,
    탐색한 상기 제휴 대상의 정보 처리 장치에 무선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통지를 송신하여 Wi-Fi에 의해 접속하고,
    상기 차분을 상기 휴대 장치로부터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처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의 종별마다, 취득 대상인지, 또는, 취득 대상 외인지가 지정된 설정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에 의해 접속되는 상기 제휴 대상의 정보 처리 장치에 통지하는 처리를 상기 휴대 장치에 또한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하는 처리로서, 상기 제휴 대상의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한 상기 콘텐츠의 취득이 완료되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상기 제휴 대상의 정보 처리 장치가 상기 소정 시간 전에 취득한 상기 콘텐츠의 일람과, 상기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상기 휴대 장치가 보유하는 콘텐츠의 일람을 비교함으로써, 차분의 유무를 판정하는 처리를, 상기 휴대 장치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하는 처리는, 상기 제휴 대상의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한 상기 콘텐츠의 취득이 완료되고 나서 소정 시간, 상기 무선 통신의 접속을 유지하고, 상기 소정 시간 내에 갱신된 콘텐츠를 상기 제휴 대상의 정보 처리 장치에 취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6. 휴대 장치로서,
    당해 휴대 장치가 제휴 대상의 정보 처리 장치와 무선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당해 정보 처리 장치가 취득 대상으로 하는 콘텐츠로서 상기 휴대 장치의 동작 상태에 따라 결정된 소정의 간격의 각 시점에 있어서 상기 휴대 장치에 보유되는 콘텐츠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각 시점마다 작성하여 보유하는 보유부와,
    상기 소정의 간격으로, 당해 시점에 있어서 작성된 정보와 당해 시점의 직전에 작성된 정보와의 차분의 유무를 판정하는 비교부와,
    상기 비교부에 의해 차분이 없다고 판정된 경우는, 상기 휴대 장치와 상기 정보 처리 장치와의 동기화를 실행하지 않고, 상기 비교부에 의해 차분이 있다고 판정된 경우는, 상기 소정의 간격에 관계없이, 상기 휴대 장치가 유저에 의해 조작되어 있지 않은 로크 상태까지 대기하여, Wi-Fi에 의한 무선 통신 기능을 기동시켜 통상 동작시는 통신 접속되어 있지 않은 무선 통신 가능한 범위에 존재하는 상기 제휴 대상의 정보 처리 장치와의 사이에서 무선 접속을 확립하기 위해 상기 제휴 대상의 정보 처리 장치의 탐색을 실행하는 탐색부와,
    상기 탐색부에 의해 탐색된 상기 제휴 대상의 정보 처리 장치에 무선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통지를 송신하여 Wi-Fi에 의해 접속하고, 상기 차분을 상기 휴대 장치로부터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접속부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
  7. 휴대 장치와 정보 처리 장치를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휴대 장치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와 무선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당해 정보 처리 장치가 취득 대상으로 하는 콘텐츠로서 상기 휴대 장치의 동작 상태에 따라 결정되는 소정의 간격의 각 시점에 있어서 상기 휴대 장치에 보유되는 콘텐츠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각 시점마다 작성하여 보유하는 보유부와,
    상기 소정의 간격으로, 당해 시점에 있어서 작성된 정보와 당해 시점의 직전에 작성된 정보와의 차분의 유무를 판정하는 비교부와,
    상기 비교부에 의해 차분이 없다고 판정된 경우는, 상기 휴대 장치와 상기 정보 처리 장치와의 동기화를 실행하지 않고, 상기 비교부에 의해 차분이 있다고 판정된 경우는, 상기 소정의 간격에 관계없이, 상기 휴대 장치가 유저에 의해 조작되어 있지 않은 로크 상태까지 대기하여, Wi-Fi에 의한 무선 통신 기능을 기동시켜 통상 동작시는 통신 접속되어 있지 않은 무선 통신 가능한 범위에 존재하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와의 사이에서 무선 접속을 확립하기 위해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탐색을 실행하는 탐색부와,
    상기 탐색부에 의해 탐색된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무선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통지를 송신하여 Wi-Fi에 의해 접속하고, 상기 차분을 상기 휴대 장치로부터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접속부를 갖고,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휴대 장치로부터 취득한 콘텐츠를 보유하는 보유부와,
    상기 정보 처리 장치와 무선 통신이 접속된 경우에, 상기 보유부가 보유하는 콘텐츠와, 상기 휴대 장치가 보유하는 콘텐츠의 차분을 추출하는 차분 추출부와,
    상기 차분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차분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상기 무선 통신에 의해 접속되는 휴대 단말기로부터 취득하여 상기 보유부에 보유시키는 취득부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KR1020130045845A 2012-05-08 2013-04-25 무선 통신 방법, 휴대 장치 및 무선 통신 시스템 KR1016417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07043 2012-05-08
JP2012107043A JP5895692B2 (ja) 2012-05-08 2012-05-08 無線通信プログラム、携帯装置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5300A KR20130125300A (ko) 2013-11-18
KR101641753B1 true KR101641753B1 (ko) 2016-07-21

Family

ID=49475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5845A KR101641753B1 (ko) 2012-05-08 2013-04-25 무선 통신 방법, 휴대 장치 및 무선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398444B2 (ko)
JP (1) JP5895692B2 (ko)
KR (1) KR101641753B1 (ko)
CN (1) CN103391601B (ko)
DE (1) DE1020132074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19358B2 (ja) * 2015-06-30 2019-05-29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制御装置および制御システム
JP6565607B2 (ja) * 2015-10-30 2019-08-28 株式会社リコー 通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取得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645920B2 (ja) * 2016-07-06 2020-02-14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
CN109218657A (zh) * 2017-06-29 2019-01-15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门禁对讲设备及模式切换方法
CN108243489B (zh) * 2018-01-17 2020-09-1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拍照控制方法及移动终端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18354A (ja) * 2004-10-25 2008-05-29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メディア・プレーヤとホスト・デバイスとの間のワイヤレス同期化
WO2009120901A1 (en) 2008-03-27 2009-10-01 Mspot,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digital content from a personal computer to a mobile handset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89721B2 (en) * 1998-05-29 2010-03-30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pushing information from a host system to a mobile data communication device
US20020087546A1 (en) 2000-01-31 2002-07-04 Michael Slater Apparatus, methods, and systems for digital photo management
JP3910792B2 (ja) * 2000-09-28 2007-04-25 株式会社東芝 情報保守システム及び情報保守方法
US20020126150A1 (en) 2001-03-07 2002-09-12 Parry Travis J. Wireless updateable digital picture frame
US7032003B1 (en) * 2001-08-13 2006-04-18 Union Gold Holdings, Ltd. Hybrid replication scheme with data and actions for wireless devices
US9274576B2 (en) * 2003-03-17 2016-03-01 Callahan Cellular L.L.C. System and method for activation of portable and mobile media player devices for wireless LAN services
US7853255B2 (en) * 2004-04-16 2010-12-14 Broadcom Corporation Digital personal assistance via a broadband access gateway
CN101164355B (zh) * 2005-03-14 2012-01-11 奥兹摩股份有限公司 使用增强与无线lan网络的共存的覆盖协议操作无线pan网络的方法和装置
NO20052719D0 (no) 2005-06-06 2005-06-06 Ericsson Telefon Ab L M Synkronisering av informasjonsenheter med tilhorende referanser
JP2006352519A (ja) * 2005-06-16 2006-12-28 Nec Corp データバックアップ装置、データバックアップ方法及びデータ復元方法
CN1953406B (zh) * 2005-10-19 2011-06-01 株式会社Ntt都科摩 接入混合网的方法和网关设备、无线终端以及通信系统
US20070099610A1 (en) 2005-10-31 2007-05-03 Daesin Information Technology Co., Ltd. Method of automatically backing up and restoring PIMS data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96850B1 (ko) * 2005-12-30 2008-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Gsm 통신 장치의 총 배터리 수명을 개선하는 시스템
US8700105B2 (en) * 2006-06-22 2014-04-15 Qualcomm Incorporated Low duty cycle device protocol
JP2008147787A (ja) * 2006-12-06 2008-06-26 Toshiba Corp 携帯端末装置
ATE498969T1 (de) * 2007-07-27 2011-03-15 Research In Motion Ltd Fernsteuerung in einem drahtlosen kommunikationssystem
US9037647B2 (en) * 2008-03-14 2015-05-19 T-Mobile Usa, Inc. System and method for the distribution and use of presence
JP2009246898A (ja) * 2008-03-31 2009-10-22 Nec Saitama Ltd 携帯端末装置およびデータバックアップシステム
JP2009278160A (ja) * 2008-05-12 2009-11-26 Sharp Corp データ同期システム、充電器、携帯充電ユニットおよび同期プログラム
US8069232B2 (en) 2008-06-30 2011-11-29 Microsoft Corporation Wireless synchronization of media content and subscription content
JP5025694B2 (ja) 2008-07-28 2012-09-12 株式会社デジックス ネットワークカメラシステム
KR20100124456A (ko) * 2009-05-19 2010-11-2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네트워크 상의 콘텐츠 동기화 방법 및 장치, 이를 위한 콘텐츠 관리 서버
WO2010143669A1 (ja) 2009-06-08 2010-12-16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携帯端末装置の制御方法、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
KR101611373B1 (ko) * 2009-08-27 2016-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하이버네이션 부팅 방법 및 장치
US8825598B2 (en) * 2010-06-16 2014-09-02 Apple Inc. Media file synchronization
US9125159B2 (en) * 2010-09-01 2015-09-0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US8588870B1 (en) * 2010-10-15 2013-11-19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resource consumption to extend battery life based on an estimated time to destination
JP5917103B2 (ja) * 2011-11-18 2016-05-1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655307B1 (en) * 2012-10-26 2014-02-18 Lookout, Inc. System and method for developing, updating, and using user device behavioral context models to modify user, device, and application state, settings and behavior for enhanced user securit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18354A (ja) * 2004-10-25 2008-05-29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メディア・プレーヤとホスト・デバイスとの間のワイヤレス同期化
WO2009120901A1 (en) 2008-03-27 2009-10-01 Mspot,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digital content from a personal computer to a mobile hands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304790A1 (en) 2013-11-14
JP5895692B2 (ja) 2016-03-30
DE102013207422A1 (de) 2013-11-14
KR20130125300A (ko) 2013-11-18
US9398444B2 (en) 2016-07-19
CN103391601B (zh) 2017-05-03
JP2013236233A (ja) 2013-11-21
CN103391601A (zh) 2013-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94371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communication apparatus
US11553071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5842362B2 (ja) プログラム、情報通信機器および連携方法
KR101641753B1 (ko) 무선 통신 방법, 휴대 장치 및 무선 통신 시스템
EP2949138B1 (en)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program
JP5644639B2 (ja) プログラム、システムおよび連携方法
US20180124769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program
US9578190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2011061619A (ja) 無線通信装置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2217049A (ja) プログラム、情報通信機器およびシステム
US11687332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another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5691748B2 (ja) プログラム、情報通信機器および連携方法
US890960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CN104426918A (zh) 设备设置方法和电子设备
JP5655672B2 (ja) プログラム、情報通信機器および連携方法
EP2959742B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program
JP5821243B2 (ja) プログラム、パソコンおよび連携方法
US11641676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JP6662124B2 (ja) 通信装置、履歴情報管理方法及び履歴情報管理プログラム
JP6215853B2 (ja) プログラム、情報通信機器およ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