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1615B1 - 자동차용 리어 시트 백 래치조립체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리어 시트 백 래치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1615B1
KR101641615B1 KR1020140187991A KR20140187991A KR101641615B1 KR 101641615 B1 KR101641615 B1 KR 101641615B1 KR 1020140187991 A KR1020140187991 A KR 1020140187991A KR 20140187991 A KR20140187991 A KR 20140187991A KR 101641615 B1 KR101641615 B1 KR 101641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strike
low friction
latch assembly
buffer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7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8585A (ko
Inventor
윤재호
유환조
Original Assignee
한화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첨단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87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1615B1/ko
Publication of KR20160078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85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1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1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with pin alignment systems, e.g. with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locking pins always aligned w.r.t.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pin-receiv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12Location of the la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리어 시트 백 래치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폴딩가능한 리어 시트백 프레임, 상기 리어 시트백 프레임을 잠금 또는 해제하는 래치, 상기 래치에 고정된 댐핑고무, 상기 래치에 끼워짐과 동시에 댐핑고무에 맞물려 고정되는 스트라이크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리어 시트 백 래치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댐핑고무는 상기 스트라이크와 접촉하는 댐핑블록과, 상기 래치를 관통하여 끼워지는 끼움봉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댐핑블록의 하단면에는 이종재질의 완충시트가 이중사출 방식으로 사출되어 일체를 이루며; 상기 완충시트의 하단면에는 상기 스트라이크와 선접촉 또는 점접촉되는 저마찰돌기를 다수 돌출 형성하되, 상기 완충시트는 상기 댐핑블록 보다는 고밀도이고 상기 저마찰돌기 보다는 저밀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리어 시트 백 래치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리어 시트백 프레임을 폴딩할 때 마찰이음을 극소화시켜 탑승환경을 고양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리어 시트 백 래치조립체{BACK LATCH ASSEMBLY OF REAR SEAT FOR CAR}
본 발명은 자동차용 리어 시트 백 래치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리어 시트백을 폴딩할 때 락킹하는 래치 구조 개선을 통해 마찰소음을 극소화시킨 자동차용 리어 시트 백 래치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시트백(Seat Back)은 탑승자의 엉덩이를 받쳐 주는 시트 쿠션과 연결되어 탑승자의 등을 지지함으로써 편안하고 안락한 탑승환경을 제공해 주는 수단이다.
이러한 시트백은 통상 플라스틱 소재로 성형되며, 강도(Strength) 유지를 위해 도 1의 예시와 같이, 시트백 프레임(10) 상에 리브(Rib)(12) 또는 채널(Channel)(14)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스틸(Steel)류의 보강 브라켓이나 판상의 보강대를 사용하여 강도를 더 보강한 예도 있으나 이 경우에는 중량이 급증하므로 경쟁력 측면에서 매우 불리한 단점을 가지며, 강성 측면에서도 불리하다.
즉, 시트백 프레임의 강성(Stiffness)은 강도(Strength)와는 다른 개념으로서, 강도는 물체의 강한 정도, 다시 말해 재료에 하중이 걸린 경우 재료가 파괴되기까지의 변형저항을 의미함에 반해, 강성(Stiffness)은 재료의 딱딱한 정도 혹은 단단한 정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시트백 프레임의 경우에는 감성품질까지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를 테면, 탑승자가 착좌시, 시트의 폴딩 다운시, 암레스트를 눌렀을 때에 시트백 프레임의 강성이 부족할 경우 꿀렁거림이 발생되는 것과 같은 것을 예로 들 수 있는데, 이러한 감성품질은 사람마다 다르게 느끼기 때문에 평가기준을 정량화하기는 어렵지만 이를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시트백 프레임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공개특허 제2008-100499호, 공개특허 제2010-0097776호에 등이 개시되어 있다.
특히, 시트백 프레임 중 리어 시트백 프레임은 트렁크 공간 확보를 위해 앞으로 폴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경우가 있는데, 통상 래치의 락킹 상태를 해제시킨 후 사이드와 센터의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폴딩하게 된다.
이 중에서도, 래치는 도 2 및 도 3의 예시와 같이, 시트백 프레임(10)에 부착할 수도 있고 혹은 차체에 부착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시트백 프레임(10), 즉 차량 리어 시트의 중앙이나 혹은 사이드 어느 쪽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래치(20)에는 댐핑고무(30)가 구비되어 있어 잠금수단인 스트라이크(40)가 댐핑고무(30)와 맞닿음으로써 완충과 동시에 스트라이크(40)를 고정하여 잠그게 된다.
그런데, 도 3의 예시와 같이, 댐핑고무(30)가 스트라이크(40)와 맞닿는 면이 평면으로 되어 있어 스트라이크(40)가 압입될 때 댐핑고무(30)를 탄성변형시키면서 면접촉되기 때문에 잠금과 풀림 동작이 이루어질 때 삐익거리는 마찰소음이 크게 발생하고, 특히 이러한 마찰이음(마찰소음)은 주파수대역이 높아 탑승자의 신경을 상당히 건드리는 소음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리어 시트백 프레임 또는 차체에 구비된 래치에 스트라이크를 결합시켜 잠금 또는 풀림 기능을 수행할 때 스트라이크와 댐핑고무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이음을 극소화시켜 탑승환경을 고양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킨 자동차용 리어 시트 백 래치조립체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폴딩가능한 리어 시트백 프레임, 상기 리어 시트백 프레임을 잠금 또는 해제하는 래치, 상기 래치에 고정된 댐핑고무, 상기 래치에 끼워짐과 동시에 댐핑고무에 맞물려 고정되는 스트라이크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리어 시트 백 래치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댐핑고무는 상기 스트라이크와 접촉하는 댐핑블록과, 상기 래치를 관통하여 끼워지는 끼움봉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댐핑블록의 하단면에는 이종재질의 완충시트가 이중사출 방식으로 사출되어 일체를 이루며; 상기 완충시트의 하단면에는 상기 스트라이크와 선접촉 또는 점접촉되는 저마찰돌기를 다수 돌출 형성하되, 상기 완충시트는 상기 댐핑블록 보다는 고밀도이고 상기 저마찰돌기 보다는 저밀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리어 시트 백 래치조립체를 제공한다.
삭제
이때, 상기 저마찰돌기는 상기 스트라이크와 수직한 방향, 수평한 방향, 방사상, 사선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저마찰돌기는 반원형의 선상 배열 또는 반구형의 돗트상 배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저마찰돌기는 최소 4개에서 최대 30개 돌출 형성되며, 돌출높이는 0.2-3mm, 폭은 0.2-2mm일 수도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리어 시트백 프레임을 폴딩할 때 마찰이음을 극소화시켜 탑승환경을 고양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시트백 프레임의 예시도이다.
도 2는 종래 시트백 프레임에 설치된 래치 조립예를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요부를 확대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백 프레임의 래치조립체를 구성하는 댐핑고무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자동차용 리어 시트 백 래치조립체는 댐핑고무(100)를 포함한다.
상기 댐핑고무(100)는 '∩' 형상을 갖는 래치(20, 도 2 참조)의 상단 중앙을 상하로 관통하여 배치된다.
이때, 상기 댐핑고무(100)는 스트라이크(40, 도 2 참조)와 접촉하는 댐핑블록(110)과, 상기 래치(20)를 관통하여 끼워지는 끼움봉(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끼움봉(120)의 길이 일부에는 상기 끼움봉(120)이 래치(20)에 끼워진 다음에 유동되지 않고 정위치 고정되도록 걸림 기능을 제공하는 걸림턱(122)이 더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122)은 도시와 같이, 상기 끼움봉(120)의 둘레를 따라 직경이 더 큰 플랜지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댐핑블록(110)의 하단면에는 다수의 저마찰돌기(200)가 다수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마찰돌기(200)는 상기 댐핑블록(110)보다 높은 밀도를 갖는 수지로 형성되도록 하여 스트라이크(40)와 접촉시 약간의 변형이 있더라도 복원력이 빠르고 원래 형상을 최대한 보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상기 스트라이크(40)와 접촉할 때 점접촉 또는 선접촉가능케 하여 마찰력을 극소화시킴으로써 마찰이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스트라이크(40) 접촉시 탄성변형은 댐핑블록(110)에서 이루어지며, 상기 저마찰돌기(200)는 댐핑블록(110)의 변형에 따라 자연스럽게 움직이는 정도이지 이 저마찰돌기(200) 자체가 탄성변형되는 것은 아니다.
이 경우, 상기 저마찰돌기(200)는 도시와 같은 라인, 즉 반원형 단면을 갖는 것이 선상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될 수도 있고, 혹은 반구형 단면을 갖는 것이 돗트(Dot) 상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저마찰돌기(200)는 상기 스트라이크(40)와 수직한 방향으로 배열될 수도 있고, 수평한 방향으로 배열될 수도 있으며, 방사상으로 배열될 수도 있고, 사선방향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저마찰돌기(200)는 최소 4개에서 최대 30개 정도까지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돌출높이는 스트라이크(40)의 고정능력을 감안하여 0.2-3mm 범위가 가장 바람직하고, 폭은 0.2-2mm까지가 바람직하다.
한편, 도시와 같이 상기 댐핑블록(110)이 이종재질의 댐핑블록(110) 보다는 고밀도이고, 상기 저마찰돌기(200) 보다는 저밀도인 별도의 완충시트(300)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 완충시트(300)의 하단면에 상기 저마찰돌기(200)를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구현할 수도 있다.
만약, 이종 재질의 완충시트(300)를 더 구비할 경우, 저마찰돌기(200)의 변형을 더 억제할 수 있어 스트라이크(40)와의 접촉시 미끌림을 방지하고, 고정 안정성을 더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완충시트(300)는 이중 사출방식으로 쉽게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래치조립체는 구조적으로 안정하고, 고정성도 우수하며 끼우기도 쉬우므로 제품 품질이 향상되고, 분리 이탈도 없어 고정 안정성이 확보된다.
무엇보다도, 스트라이크(40)와 댐핑블록(110)이 선접촉 또는 점접촉되게 구성되기 때문에 마찰에 의한 접촉소음, 즉 마찰이음 발생이 거의 없어 탑승객에게 편안한 탑승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100: 댐핑고무 200: 저마찰돌기
300: 완충시트

Claims (7)

  1. 폴딩가능한 리어 시트백 프레임, 상기 리어 시트백 프레임을 잠금 또는 해제하는 래치, 상기 래치에 고정된 댐핑고무, 상기 래치에 끼워짐과 동시에 댐핑고무에 맞물려 고정되는 스트라이크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리어 시트 백 래치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댐핑고무는 상기 스트라이크와 접촉하는 댐핑블록과, 상기 래치를 관통하여 끼워지는 끼움봉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댐핑블록의 하단면에는 이종재질의 완충시트가 이중사출 방식으로 사출되어 일체를 이루며;
    상기 완충시트의 하단면에는 상기 스트라이크와 선접촉 또는 점접촉되는 저마찰돌기를 다수 돌출 형성하되, 상기 완충시트는 상기 댐핑블록 보다는 고밀도이고 상기 저마찰돌기 보다는 저밀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리어 시트 백 래치조립체.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마찰돌기는 상기 스트라이크와 수직한 방향, 수평한 방향, 방사상, 사선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리어 시트 백 래치조립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저마찰돌기는 반원형의 선상 배열 또는 반구형의 돗트상 배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리어 시트 백 래치조립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마찰돌기는 최소 4개에서 최대 30개 돌출 형성되며, 돌출높이는 0.2-3mm, 폭은 0.2-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리어 시트 백 래치조립체.
  6. 삭제
  7. 삭제
KR1020140187991A 2014-12-24 2014-12-24 자동차용 리어 시트 백 래치조립체 KR101641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991A KR101641615B1 (ko) 2014-12-24 2014-12-24 자동차용 리어 시트 백 래치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991A KR101641615B1 (ko) 2014-12-24 2014-12-24 자동차용 리어 시트 백 래치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8585A KR20160078585A (ko) 2016-07-05
KR101641615B1 true KR101641615B1 (ko) 2016-07-22

Family

ID=56501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7991A KR101641615B1 (ko) 2014-12-24 2014-12-24 자동차용 리어 시트 백 래치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16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89401A (zh) * 2022-10-28 2022-12-20 杭州吉利汽车有限公司 一种后排座椅连接结构及汽车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5852Y1 (ko) * 2003-03-17 2003-06-11 주식회사 원진 층간 충격음 완충재용 스티로폴
KR100921968B1 (ko) 2008-03-12 2009-10-15 대기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차량용 도어래치 조립체의 댐핑부재
KR101154803B1 (ko) * 2010-09-30 2012-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트 래치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0499A (ko) * 2009-04-03 2010-10-13 컴텍주식회사 러버 풋 시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5852Y1 (ko) * 2003-03-17 2003-06-11 주식회사 원진 층간 충격음 완충재용 스티로폴
KR100921968B1 (ko) 2008-03-12 2009-10-15 대기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차량용 도어래치 조립체의 댐핑부재
KR101154803B1 (ko) * 2010-09-30 2012-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트 래치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8585A (ko) 2016-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72474B2 (ja) シートバックボード及び車両用シート
JP4833261B2 (ja) 自動車用制御盤装置
EP2902258B1 (en) Headrest and vehicle seat equipped with same
EP2902257B1 (en) Headrest, vehicle seat provided with same, and method for producing headrest
JP5925575B2 (ja) ヘッドレスト装置
JP5534018B2 (ja) 車両用ヘッドレスト装置
AU2011201237A1 (en) Slide device for vehicle seat
KR101641615B1 (ko) 자동차용 리어 시트 백 래치조립체
JP5310684B2 (ja) 車両用シート及びシートバックボード
KR101678484B1 (ko) 자동차용 리어 시트백 사이드 힌지조립체
US20140354025A1 (en) Vehicle seat
KR101211847B1 (ko) 차량 시트용 쿠션 프레임
KR101652421B1 (ko) 자동차용 리어 시트백 센터 힌지조립체
JP2015209084A (ja) 乗物用シート
CN112739573B (zh) 具有侧面冲击能量吸收的儿童安全座椅
JP2014004926A (ja) チャイルドシート装着部構造
KR20180001205U (ko) 헤드레스트 고정 어셈블리
JP5528676B2 (ja) 車両用シート
JP5985213B2 (ja) 乗物用シート
JP2016168869A (ja) ステップトリムの支持構造
KR20200114344A (ko) 헤드레스트 폴가이드
JP2012171610A (ja) 自動車用シート
JP2012056455A (ja) 車両用シート
WO2021221153A1 (ja) シート
JP2005287765A (ja) ヘッドレストフレーム及び該ヘッドレストフレームを備えたヘッドレス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