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0944B1 - γ-오리잔올 함유 외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γ-오리잔올 함유 외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0944B1
KR101640944B1 KR1020090095610A KR20090095610A KR101640944B1 KR 101640944 B1 KR101640944 B1 KR 101640944B1 KR 1020090095610 A KR1020090095610 A KR 1020090095610A KR 20090095610 A KR20090095610 A KR 20090095610A KR 101640944 B1 KR101640944 B1 KR 101640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mass
acid
polyoxyethylene
sa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5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4094A (ko
Inventor
유이치로 가노
이사무 사와이
Original Assignee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44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4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0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09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16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benactizyne, clofib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2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44Oils, fats or waxes according to two or more groups of A61K47/02-A61K47/42; Natural or modified natural oils, fats or waxes, e.g. castor oil, polyethoxylated castor oil, montan wax, lignite, shellac, rosin, beeswax or lanol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4Phosphorous;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γ-오리잔올을 유상 중에 함유하는, 시간 경과적인 변색이 억제된 외용제 조성물의 제공.
γ-오리잔올, 인산 혹은 그 염 또는 그들의 용매화물, 및 바셀린을 함유하는 외용제 조성물.

Description

γ-오리잔올 함유 외용제 조성물 {EXTERNAL COMPOSITION CONTAINING γ-ORYZANOL}
본 발명은 시간 경과적인 변색이 억제된, γ-오리잔올 함유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γ-오리잔올은 미강유 (米糠油), 쌀 배아유, 옥수수유, 그 밖의 곡류의 강유 (糠油) 중에 존재하는 물질로, 트리테르펜알코올의 페룰산(3-메톡시-4-히드록시 신남산)에스테르의 혼합물이다 (비특허 문헌 1). γ-오리잔올의 약리 작용에 관해서는 여러가지 보고가 있고, 성장 촉진 작용, 자율 신경 실조증의 완화 작용, 성선 (性腺) 자극 작용, 피지 분비 촉진 작용, 혈류 촉진 작용, 피부 온도 상승 작용, 항산화 작용, 자외선 흡수 작용,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작용 등이 있고, 또한 안전성도 높은 물질이다. 따라서, 의약품, 화장품, 식품 첨가물, 나아가서는 동물의 성장 촉진제로서 응용되어 광범위에 걸쳐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γ-오리잔올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로서, 우레아와 정제 γ-오리잔올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가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1).
또, γ-오리잔올은 지용성이기 때문에, 제제화시에 다양한 검토가 이루어지 고 있고, 예를 들어 수용액의 형태로 하여 공급하는 기술도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2).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제3493459호
특허 문헌 2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7-258165호
비특허 문헌 1 : FRAGRANCE JOURNAL, 3, p71-77, 1998
γ-오리잔올은 지용성으로서, 유상 중에 용해시켜, 유화 조성물이나 유성 연고 등의 형태로 피부 등에 적용하는 것이 흡수성, 안정성 등의 점에서 유리하다. 그러나, γ-오리잔올을 함유하는 외용제 조성물을 제조할 때에, γ-오리잔올을 유상 중에 배합한 경우, 얻어진 유상이 시간 경과적으로 황색으로 변색된다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 판명되었다. 외용제 조성물의 변색은, 그 상품 가치를 크게 저하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γ-오리잔올을 유상 중에 함유하는, 시간 경과적인 변색이 억제된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외용제 조성물의 시간 경과적인 변색의 억제에 대해 여러 가지 검토해 온 바, 인산 혹은 그 염 또는 그들의 용매화물, 또는 바셀린을, 각각 단독으로 γ-오리잔올 함유 외용제 조성물에 배합한 경우에는, 외용제 조성물의 시간 경과적인 변색의 억제 작용이 보이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의외로, 이들을 조합하여 배합한 경우에만 특이적으로 장기간 변색되지 않고, 안정적인 외용제 조성물이 얻어지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γ-오리잔올, 인산 혹은 그 염 또는 그들의 용매화물, 및 바셀린을 함유하는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여러 가지 약리 작용, 생리 작용을 갖는 γ-오리잔올을 유상에 함유하고, 또한, 장기간 변색되지 않아 안정적이며, 상품 가치가 높은 피부 혹은 점막 외용제 또는 좌제 등의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γ-오리잔올」은, 벼 (Oryza sativa L.) 의 종피 등에서 얻을 수 있고, 주로 트리테르펜알코올의 페룰산(3-메톡시-4-히드록시 신남산)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것이고, 본 발명에 사용되는「γ-오리잔올」로서는, 원료, 정제 방법, 제조 방법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의약부 외품 원료 규격 2006 에 기재된 γ-오리잔올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γ-오리잔올로서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γ-오리잔올「리켄」(리켄 비타민사 제조), γ-오리잔올 (오리자 유화사 제조), 오리자놀-C (오카야스 상점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외용제 조성물 중의 γ-오리잔올의 함유량은, 약리 효과, 생리 효과 및 외용제 조성물의 시간 경과적인 변색의 억제 효과 관점에서, 외용제 조성물 전체 질량에 대해, 0.01 ∼ 5 질량% 가 바람직하고, 0.1 ∼ 3 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고, 0.5 ∼ 2 질량% 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γ-오리잔올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HPLC 법 (UV 검출) 에 의해 정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인산 혹은 그 염 또는 그들의 용매화물」로서는, 인산 그 자체 외에, 그 염 (예를 들어, 나트륨염, 칼륨염 등의 알칼리 금속염;칼슘염 등의 알칼리 토금속염), 그 용매화물 (예를 들어, 수화물) 을 들 수 있으며, 이들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인산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어, 오르토인산, 피로인산, 폴리인산 등을 들 수 있다.
인산 염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어, 인산 3 나트륨, 인산 3 칼륨, 인산 3암모늄 등의 인산염;인산 2 수소나트륨, 인산 2 수소 칼륨, 인산 2 수소 암모늄, 인산 2 수소칼슘 등의 인산 2 수소염;인산수소 2 나트륨, 인산수소 2 칼륨, 인산수소 2 암모늄, 인산수소칼슘 등의 인산수소염 등을 들 수 있다.
인산 또는 그 염의 용매화물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어, 인산 1 수소나트륨 7 수화물, 인산수소칼슘 수화물, 인산 2 수소나트륨 1 수화물, 인산 2 수소칼슘 수화물 등의 인산염 수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본 발명에 있어서는, 외용제 조성물의 시간 경과적인 변색의 억제 효과 관점에서, 오르토인산 혹은 그 염 또는 그들의 용매화물이 바람직하고, 오르토인산의 2 수소염 또는 그 용매화물이 보다 바람직하고, 인산 2 수소 칼륨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인산 혹은 그 염 또는 그들의 용매화물로서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고, 이러한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인산 1 나트륨 (와꼬 준야꾸사 제조), 인산수소 2 나트륨 (와꼬 준야꾸사 제조), 무수 인산 2 수소나트륨 (타이헤이 화학 산업사 제조), 인산 2 수소 칼륨 (칸토 화학사 제조, 와꼬 준야꾸사 제조), 인산수소 칼륨 (와꼬 준야꾸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인산 혹은 그 염 또는 그들 용매화물의 함유량은, 외용제 조성물의 시간 경 과적인 변색의 억제 효과 관점에서, 외용제 조성물 전체 질량에 대해, 프리 인산의 질량 (오르토인산, 피로인산, 폴리인산 등의 염, 용매화물에 있어서는, 각각 대응하는 오르토인산, 피로인산, 폴리인산 등의 프리체의 질량) 으로 환산하여 0.01 ∼ 5 질량% 가 바람직하고, 0.02 ∼ 4 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고, 0.03 ∼ 3 질량% 가 특히 바람직하다.
γ-오리잔올과 인산 혹은 그 염 또는 그들의 용매화물의 함유비는, 외용제 조성물의 시간 경과적인 변색의 억제 효과 관점에서, γ-오리잔올 1 질량부에 대해, 프리 인산의 질량으로 환산하여 0.01 ∼ 5 질량부가 바람직하고, 0.02 ∼ 4 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고, 0.03 ∼ 3 질량부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바셀린」은, 주로 보습제·기제 등으로서 배합되는 성분으로서, 백색 바셀린, 황색 바셀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외용제 조성물의 시간 경과적인 변색의 억제 효과 관점에서, 백색 바셀린이 바람직하고, 제 15 개정 일본 약국방에 기재된 백색 바셀린이 특히 바람직하다.
바셀린의 함유량은, 시간 경과적인 변색의 억제 효과 관점에서 외용제 조성물 전체 질량에 대해, 1 ∼ 45 질량% 가 바람직하고, 1.5 ∼ 40 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고, 2 ∼ 35 질량% 가 특히 바람직하다.
γ-오리잔올과 바셀린의 함유비는, 외용제 조성물의 시간 경과적인 변색의 억제 효과 관점에서, γ-오리잔올 1 질량부에 대해, 1 ∼ 45 질량부가 바람직하고, 1.5 ∼ 40 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고, 2 ∼ 35 질량부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 인산 혹은 그 염 또는 그들의 용매화물과 바셀린의 함유비는, 외용제 조 성물의 시간 경과적인 변색의 억제 효과 관점에서, 프리 인산의 질량으로 환산한 인산 1 질량부에 대해, 0.2 ∼ 4500 질량부가 바람직하고, 0.2 ∼ 2000 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고, 0.6 ∼ 1500 질량부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외용제 조성물 중의 유성 성분으로서는, 유화 조성물이나 유성 연고 조성물 등의 외용제 조성물에 있어서 유상을 구성하는 성분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탄화 수소류 (유동 파라핀, 스쿠알란 등), 왁스류 (표백 왁스, 카르나우바왁스, 캔데릴라왁스, 라놀린 등), 유지류 (油脂類) (대두유, 경화 지방, 피마자유, 올리브유, 트리아실글리세롤 등), 알코올류 (세탄올, 스테아릴알코올, 올레일알코올, 콜레스테롤 등), 지방산류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등), 실리콘유 (메틸폴리실록산 등), 비타민 유도체류 (팔미트산레티놀, 아세트산토코페롤 등)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유성 성분은, γ-오리잔올의 용해 성 면에서, 본 발명의 외용제 조성물 중에 γ-오리잔올 1 질량부에 대해 1 ∼ 1000 질량부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 ∼ 500 질량부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5 ∼ 200 질량부 함유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외용제 조성물에는, 상기 성분 이외에 외용제 조성물의 사용 목적, 형태 등 여러 가지 조건에 따라, 필요에 따라 유화제, 수성 성분, 방부제, 산화 방지제, 다른 약효 성분, 물 등을 함유시킬 수 있다.
유화제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에테르 등),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폴리옥시 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옥틸페닐에테르 등),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에테르(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세틸에테르 등),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트 지방산에스테르(모노라우르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트 등),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에스테르(모노올레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모노스테아르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폴리소르베이트 60), 트리스테아르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등),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트 왁스, 자당 지방산에스테르, 모노아실글리세롤(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등), 디아실글리세롤(디스테아르산글리세릴 등), 폴리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모노스테아르산디글리세릴 등), 폴리옥시에틸렌라놀린, 폴리옥시에틸렌라놀린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스테롤,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아미드(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르산아미드 등), 레시틴, 폴리에틸렌글리콜 지방산에스테르(모노라우르산폴리에틸렌글리콜 등),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에스테르(모노스테아르산프로필렌글리콜 등), 소르비탄 지방산에스테르(모노스테아르산 소르비탄 등), 알킬 황산나트륨(라우릴 황산나트륨 등)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유화제는, 본 발명의 외용제 조성물 중에, γ-오리잔올의 용해성 및 피부 등에 대한 자극 면에서 0.5 ∼ 10 질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 ∼ 5 질량%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 ∼ 4 질량% 함유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수성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저급 알코올류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등), 다가 알코올류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등), 수용성 고분자류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비닐폴리머, 잔탄검, 폴리비닐피롤리돈, 수용성 콜라겐, 히알루론산 등), 아미노산류 (글리신, 알라닌 등), 그 외에 (시트르산, 락트산, 락트산나트륨, 염화 나트륨 등)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방부제로서는, 예를 들어, 메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부틸파라벤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예를 들어, 에데트산나트륨 수화물 등의 에데트산염 또는 그 수화물,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토코페롤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약효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진양 (鎭痒) 을 목적으로 하여, 항히스타민제 (디펜히드라민, 말레산클로르페닐라민 등), 국소 마취제 (아미노벤조산에틸, 리도카인 등), 국소 소염 진양제 (캠퍼, 멘톨 등), 그 외에 (크로타미톤, 글리틸레틴산 등) 등을 배합할 수 있고,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보습을 목적으로 하여, 다가 알코올류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등), 아미노산 (글리신, 알라닌 등), 산성 뮤코 다당류 (히알루론산, 헤파린 유사 물질 등), 당 알코올 (소르비톨, 트레할로스 등), 그 외에 (우레아, 락트산, 락트산나트륨, 피롤리돈카르복실산염 등) 등을 배합할 수 있고,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외용제 조성물의 pH 는, γ-오리잔올의 안정성 및 외용제 조성물의 자극성 면에서, 4 ∼ 9 가 바람직하고, 5 ∼ 8 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당해 pH 의 조정은, 수산화 나트륨 등을 사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실시하면 된다.
본 발명의 외용제 조성물의 조도 (稠度) 는, 사용감 면에서, 2 g ∼ 50 g 이 바람직하고, 5 g ∼ 45 g 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조도는 25℃ 에서 직경 1 ㎝ 의 금속구를 6 ㎝/분의 속도로 1 ㎝ 진입시켰을 때의 응력의 최대치를 나타내고, 레오 미터 (FUDOH 레오 미터:(주) 레오텍) 로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외용제 조성물은, γ-오리잔올을 유상에 함유하고 있으면 되고, 예를 들어 유화 조성물이나 유성 연고 조성물이어도 되는데, 유화 조성물, 특히 수중 유형 유화 조성물인 것이, 사용감 등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유화 조성물의 바람직한 형태로서는 크림, 유액, 로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외용제 조성물이 유화 조성물인 경우에 있어서의, 유상/수상의 질량비는, 유화 안정성의 관점에서, 0.05 ∼ 1/1 이 바람직하고, 0.1 ∼ 0.95/1 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외용제 조성물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고, 통상적인 유화 조성물, 연고 등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산 혹은 그 염 또는 그들의 용매화물을 용해한 수상과, γ-오리잔올 및 바셀린을 용해한 유상을 각각 가열 혼합하고, 50 ∼ 80 ℃ 등의 가열 조건 하에서 유화한 후, 냉각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외용제 조성물의 사용 형태로서는, 예를 들어, 피부 국소 혹은 점막에 대한 도포 또는 좌제로서의 항문에 대한 주입 등을 들 수 있는데, 피부 국소에 대한 도포가 바람직하다.
실시예
다음으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것에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인산 2 수소 칼륨 (인산 2 수소 칼륨:칸토 화학사 제조) 0.5 g, 우레아 20 g 및 크림의 pH 가 7.2 가 되는 양에 상당하는 수산화 나트륨을, 크림의 전체량이 100 g 이 되는 양에 상당하는 정제수에 첨가하여, 75℃ 로 가열·혼합한 것을 수상으로 하였다. 한편, γ-오리잔올 (오리자놀-C:오카야스 상점사 제조) 1 g, 백색 바셀린 (백색 바셀린:Sonneborn 사 제조) 15 g, 글리틸레틴산 0.3 g, 스쿠알란 6 g,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1.2 g, 폴리소르베이트 60 1.4 g 및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50 0.5 g 를 첨가하여 75℃ 로 가열·혼합한 것을 유상으로 하였다. 수상에 유상을 첨가하고 75℃ 에서 교반·혼합하여 유화한 후에 실온으로 냉각시켜 전체량 100 g 의 크림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크림은 백색이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 에 있어서 인산 2 수소 칼륨을 배합하지 않은 것을, 인산 2 수소 칼륨을 배합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1 의 크림으로서 제조하였다. 얻어진 크림은 백색이었다.
비교예 2
실시예 1 에 있어서 백색 바셀린을 배합하지 않은 것을, 백색 바셀린을 배합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2 의 크림으로서 제조하였다. 얻어진 크림은 백색이었다.
시험예 1
실시예 1 그리고 비교예 1 및 2 에서 제조한 크림에 대해, 하기 평가 항목에 대해 평가하였다.
(시간 경과적인 변색 억제의 평가)
변색은, 조제 직후의 색조에 대한 40 ℃, 6 개월 어두운 곳 보존 후의 크림의 색조의 변화를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색조에 변화가 없는 것을 ○, 황색 내지 갈색으로 변색된 것을 × 로 하였다. 또, 아울러 40 ℃, 6 개월 어두운 곳 보존 후의 크림의 pH 를 측정하였다.
시험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Figure 112009061682590-pat00001
표 1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γ-오리잔올을 함유하는 크림에 인산 2 수소 칼륨 및 바셀린을 배합한 경우만 시간 경과적인 변색이 억제되었다. 당해 시험 결과로부터, γ-오리잔올, 인산 혹은 그 염 또는 그들의 용매화물, 및 바셀린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외용제 조성물은, 장기간 변색하지 않고, 안정적인 외용제 조성물임이 알 수 있게 되었다.
실시예 2
인산 2 수소 칼륨 (인산 2 수소 칼륨:칸토 화학사 제조) 0.8 ㎏, 우레아 32 ㎏, 글리신 4.8 ㎏, 수산화 나트륨 0.16 ㎏, 에데트산나트륨 수화물 0.01 ㎏, 정제수 70 ㎏ 을 수상 가마에 투입하고, 75℃ 에서 가온 용해하여 수상으로 하였다. 한편, γ-오리잔올 (오리자놀-C:오카야스 상점사 제조) 1.6 ㎏, 백색 바셀린 (백색 바셀린:Sonneborn 사 제조) 28.8 ㎏, 글리틸레틴산 0.8 ㎏, 유동 파라핀 9.6 ㎏, 세탄올 3.2 ㎏, 스테아릴알코올 3.2 ㎏,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1.6 ㎏, 폴리소르베이트 60 1.76 ㎏ 및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50 1.76 ㎏ 을 유상 가마에 투입하고, 75℃ 에서 가온 혼합하여 유상으로 하였다. 상기 유상과 수상을 유화 가마에 투입하고, 75℃ 에서 10 분간 유화 혼합하고, 혼합 후 추가로 교반하면서 냉각시켜 전체량 대략 160 ㎏ 의 크림을 제조하였다.

Claims (2)

  1. γ-오리잔올을 유상에 함유하고, 오르토인산 혹은 그 염 또는 그들의 용매화물, 및 바셀린을 함유하는, 시간 경과적인 변색이 억제된 외용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오르토인산 혹은 그 염 또는 그들의 용매화물이 인산 2 수소 칼륨인 외용제 조성물.
KR1020090095610A 2008-10-21 2009-10-08 γ-오리잔올 함유 외용제 조성물 KR1016409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71128 2008-10-21
JP2008271128 2008-10-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4094A KR20100044094A (ko) 2010-04-29
KR101640944B1 true KR101640944B1 (ko) 2016-07-19

Family

ID=42218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5610A KR101640944B1 (ko) 2008-10-21 2009-10-08 γ-오리잔올 함유 외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695310B2 (ko)
KR (1) KR101640944B1 (ko)
CN (1) CN10172141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69622A (zh) * 2016-04-22 2016-07-20 广西壮族自治区林业科学研究院 一种干性皮肤护理用精华油及其制备方法
JP2021014411A (ja) * 2019-07-10 2021-02-12 日医工株式会社 安定なダビガトランエテキシラート製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93459B2 (ja) * 1994-05-17 2004-02-03 株式会社大塚製薬工場 皮膚外用剤
JPH08259456A (ja) * 1995-03-25 1996-10-08 Kuga Takaaki アトピー性皮膚炎等の皮膚疾患治療薬
JP3935253B2 (ja) * 1997-12-15 2007-06-20 株式会社ヤクルト本社 尿素配合皮膚化粧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721418A (zh) 2010-06-09
JP5695310B2 (ja) 2015-04-01
KR20100044094A (ko) 2010-04-29
JP2010120928A (ja) 2010-06-03
CN101721418B (zh) 2013-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66068B2 (ja) 外用組成物
JP2009256377A (ja) 乳化組成物の調製方法
WO2008047680A1 (fr) Préparation externe pour la peau
JP3665360B2 (ja) 活性酸素消去剤及びこれを含む組成物
JP2000229832A (ja) 皮膚外用剤
KR101640944B1 (ko) γ-오리잔올 함유 외용제 조성물
US8940312B2 (en) Composition containing polyunsaturated fatty acid
JPH03236320A (ja) 皮膚外用剤
KR20090019916A (ko) 안정성이 우수한 피부 외용제
JP5338030B2 (ja) アダパレン含有外用剤組成物
TW202308591A (zh) 化妝料
JP3740069B2 (ja) 皮膚外用剤
JP2018203674A (ja) 皮脂分泌促進剤及び外用組成物
JP6920031B2 (ja) 慢性角化型湿疹改善剤
JP2017178798A (ja) 外用組成物
JP5856761B2 (ja) 皮膚外用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084579B2 (ja) タクロリムスを含有する水中油型クリーム状組成物
JP5980171B2 (ja) アダパレン含有外用剤組成物
JP7417347B2 (ja) 慢性角化型湿疹改善剤
JP3140513B2 (ja) 外用医薬基剤および外用医薬組成物
JP2019006697A (ja) 活性酸素消去剤
JP2014237595A (ja) 乳化組成物
JP7153429B2 (ja) 活性酸素消去剤
JP6779730B2 (ja) 外用組成物
JP2010100557A (ja) 亜硫酸塩の臭いの抑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