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9879B1 - 밀봉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진공창호용 무연 실런트 및 그 진공창호 - Google Patents

밀봉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진공창호용 무연 실런트 및 그 진공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9879B1
KR101639879B1 KR1020140126759A KR20140126759A KR101639879B1 KR 101639879 B1 KR101639879 B1 KR 101639879B1 KR 1020140126759 A KR1020140126759 A KR 1020140126759A KR 20140126759 A KR20140126759 A KR 20140126759A KR 101639879 B1 KR101639879 B1 KR 101639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lead
glass
sealing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6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5653A (ko
Inventor
최범진
박신서
서규식
장용호
안정혁
황성현
Original Assignee
(주) 센불
주식회사 이건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센불, 주식회사 이건창호 filed Critical (주) 센불
Priority to KR1020140126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9879B1/ko
Publication of KR20160035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5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9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98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0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8/00Enamels; Glazes; Fusion seal compositions being frit compositions having non-frit additions
    • C03C8/02Frit compositions, i.e. in a powdered or comminuted form
    • C03C8/04Frit compositions, i.e. in a powdered or comminuted form containing zinc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8/00Enamels; Glazes; Fusion seal compositions being frit compositions having non-frit additions
    • C03C8/14Glass frit mixtures having non-frit additions, e.g. opacifiers, colorants, mill-addi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Abstract

납(Pb)이 첨가되지 않음으로써, 환경오염의 염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디스펜싱 공법을 적용하여 진공창호의 씰링 마감재로 활용되어 진공 형성시 고온점도가 높아 빨림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밀봉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진공창호용 무연 실런트 및 그 진공창호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밀봉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진공창호는 일측 가장자리를 관통하는 진공 배기구를 갖는 제1 진공 유리; 상기 제1 진공 유리와 대향하도록 이격 배치된 제2 진공 유리; 상기 제1 및 제2 진공 유리의 이격된 사이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 진공 유리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 상기 제1 진공 유리의 진공 배기구를 밀봉하기 위한 캡 봉지재; 및 상기 제1 또는 제2 진공 유리의 최외곽 가장자리를 따라 디스펜싱 공법으로 씰링되어, 상기 제1 및 제2 진공 유리를 합착하기 위한 무연 씰링재;를 포함하며, 상기 무연 씰링재는 Bi2O3 : 70 ~ 80wt%, B2O3 : 5 ~ 10wt%, ZnO : 0.1 ~ 5.0wt% 및 BaO : 5 ~ 10w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밀봉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진공창호용 무연 실런트 및 그 진공창호{SEALEANT FOR VACUUM WINDOW WITH EXCELLENT SEALING PERFORMANCE AND DURABILITY AND VACUUM WINDOW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진공창호용 무연 실런트 및 그 진공창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납(Pb)이 첨가되지 않음으로써, 환경오염의 염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디스펜싱 공법을 적용하여 진공창호의 씰링 마감재로 활용되어 진공 형성시 고온점도가 높아 빨림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밀봉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진공창호용 무연 실런트 및 그 진공창호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에서 채광과 조망은 인간의 행복에 관여하는 기본 요구이지만, 창호 건축물의 다양한 재료 중에서도 에너지 절약 측면에서 주택의 전체 에너지 손실 중 35% 이상, 일부 건물에서는 60% 이상을 차지한다.
특히, 최근에는 전세계적으로 프레온가스, 이산화 탄소 등의 사용량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며, 이에 따라 각종 환경규제 및 에너지 절약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유럽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오래 전부터 기밀화된 벽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단열성능과 투명재의 특성상 하절기 일사에 의한 냉방부하의 불리함 등으로 국내보다 훨씬 강화된 기준으로 창호의 열관류율을 관리하고 있다. 이때, 전체 에너지의 98% 이상을 수입에 의존하는 국가의 경우 에너지를 10%만 절감해도 연간 50억불 이상 국가 예산을 절약할 수 있으며, 실내온도를 1?만 조절해도 7%에 달하는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건축물 창호의 경우, 열관류율이 대략 3.0W/㎡ㆍk에서 1.5W/㎡ㆍk로만 낮춰져도 건축물 에너지는 대략 20 ~ 30% 정도 절약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진공창호의 실런트 빨림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실런트를 전자주사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진공창호(1)의 경우, 환경유해물질인 납(Pb)을 함유하는 실런트의 사용으로 인해 사용상의 제약이 따르고 있다. 이에 따라, 납(Pb)을 함유하지 않는 무연 실런트(30)로 대체하고자 하는 노력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무연 실런트(30)를 평판디스플레이의 패널 제조시 사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평판디스플레이의 패널 제조시 사용하고 있는 무연 실런트(30)를 이용하여 진공창호(1)를 제작하려는 시도가 진행 중에 있다. 이때, 종래의 진공창호(1)는 상부 및 하부 진공 유리(10, 20)의 최외곽 가장자리를 따라 무연 실런트(30)를 도포한 다음 진공 소성으로 씰링하여 상부 및 하부 진공 유리(10, 20)를 대향 합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평판디스플레이 패널 제조시 사용되는 무연 실런트(30)는 고진공용이 아니기 때문에 진공창호(1)에 적용하게 되면, 고온점도가 낮은 관계로 진공 소성 시 무연 실런트(30)가 내부로 빨려 들어가는 현상으로 인하여 기포 발생 및 기밀성 불량으로 진공도가 낮아지게 되어 밀봉성 및 내구성이 낮아지게 된다 또한, 심할 경우에는 기포로 인해 외부와의 채널(channel)이 형성되어 진공창호의 역할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관련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36709호(2009.04.15. 공개)가 있으며, 상기 문헌에는 진공창호 유리 및 그 제조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납(Pb)이 첨가되지 않음으로써, 환경오염의 염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디스펜싱 공법을 적용하여 진공창호의 씰링 마감재로 활용되어 진공 소성시 고온점도가 높아 빨림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밀봉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진공창호용 무연 실런트 및 그 진공창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봉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진공창호용 무연 실런트는 Bi2O3 : 70 ~ 80wt%, B2O3 : 5 ~ 10wt%, ZnO : 0.1 ~ 5.0wt% 및 BaO : 5 ~ 10w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봉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진공창호는 일측 가장자리를 관통하는 진공 배기구를 갖는 제1 진공 유리; 상기 제1 진공 유리와 대향하도록 이격 배치된 제2 진공 유리; 상기 제1 및 제2 진공 유리의 이격된 사이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 진공 유리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 상기 제1 진공 유리의 진공 배기구를 밀봉하기 위한 캡 봉지재; 및 상기 제1 또는 제2 진공 유리의 최외곽 가장자리를 따라 디스펜싱 공법으로 씰링되어, 상기 제1 및 제2 진공 유리를 합착하기 위한 무연 씰링재;를 포함하며, 상기 무연 씰링재는 Bi2O3 : 70 ~ 80wt%, B2O3 : 5 ~ 10wt%, ZnO : 0.1 ~ 5.0wt% 및 BaO : 5 ~ 10w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밀봉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진공창호용 무연 실런트 및 그 진공창호는 환경규제물질인 납(Pb)이 첨가되지 않는 대신 Bi2O3를 주 성분으로 하는 최적의 성분계로 설계하여, 환경오염의 염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디스펜싱 공법을 적용하여 진공창호의 씰링 마감재로 활용되어 진공 소성시 고온점도가 높아 빨림 현상을 억제하여 밀봉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진공창호의 실런트 빨림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실런트를 전자주사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창호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무연 실런트를 디스펜싱 공법으로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예 1에 대한 1차 소성 및 2차 소성 후의 결정화 이미지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6은 실시예 1에 대한 1차 소정 및 2차 소성 후의 플로우 버트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7은 실시예 1 ~ 2 및 비교예 1 ~ 4에 대한 온도-수축율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2에 대한 온도-점도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밀봉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진공창호용 무연 실런트 및 그 진공창호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진공창호용 무연 실런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창호용 무연 실런트는 납(Pb)이 첨가되지 않음으로써, 환경오염의 염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디스펜싱 공법을 적용하여 진공창호의 씰링 마감재로 활용되어 진공 형성시 고온점도가 높아 빨림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창호용 무연 실런트는 Bi2O3 : 70 ~ 80wt%, B2O3 : 5 ~ 10wt%, ZnO : 0.1 ~ 5.0wt% 및 BaO : 5 ~ 10wt%를 포함한다.
Bi2O3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창호용 무연 실런트 전체 중량의 70 ~ 80wt%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Bi2O3의 첨가량이 70wt% 미만일 경우에는 연화온도가 500℃ 이상으로 되어 봉착재료의 역할을 할 수 없다. 반대로, Bi2O3의 첨가량이 80wt%를 초과할 경우에는 열팽창계수가 높아져 봉착이 곤란해진다.
B2O3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창호용 무연 실런트 전체 중량의 5 ~ 10wt%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B2O3의 첨가량이 5wt% 미만일 경우에는 결정상이 석출될 우려가 크다. 반대로, B2O3의 첨가량이 10wt%를 초과할 경우에는 연화온도가 500℃를 초과하게 되어 저온봉착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ZnO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창호용 무연 실런트 전체 중량의 0.1 ~ 5.0wt%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ZnO의 첨가량이 0.1wt% 미만일 경우에는 열팽창계수가 높아져 봉착이 곤란해지는 문제가 있다. 반대로, ZnO의 첨가량이 5.0wt%를 초과할 경우에는 결정상이 석출되어 봉착이 어려워지고 진공창호의 밀봉성과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BaO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창호용 무연 실런트 전체 중량의 5 ~ 10wt%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BaO의 첨가량이 5wt% 미만일 경우에는 유리 안정화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는데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반대로, BaO의 첨가량이 10wt%를 초과할 경우에는 결정상이 석출되는 한편 유리전이온도 및 연화점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창호용 무연 실런트는 Co3O4, NiO, CuO, CeO2, Fe2O3 및 ZrO2 중 1종 이상이 더 첨가될 수 있으며, 그 함량비는 진공창호용 무연 실런트 전체 중량의 0.1 ~ 5wt%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금속 산화물들은 연화점을 낮추고 유리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첨가되며, 그 합산 첨가량이 0.1wt% 미만일 경우에는 상기의 첨가 효과를 제대로 발휘할 수 없고, 반대로 그 합산 첨가량이 5wt%를 초과할 경우에는 결정화를 유도하여 씰링재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창호용 무연 실런트는 세라믹 필러가 더 첨가될 수 있다. 이때, 세라믹 필러는 코디어라이트(cordierite), 유크립타이트(eucryptite), 티탄산 알루미나(aluminum titanate), 지르콘(zircon), 스포듀민(spodumene), 윌레마이트(willemite) 및 뮬라이트(mulite)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창호용 무연 실런트는 500℃ 이하의 연화점(Ts)을 갖고, 이때, 무연 실런트의 연화점이 50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저온봉착이 사실상 어렵기 때문이다. 물론, 필러를 첨가하여 저온봉착이 가능하게 할 수 있지만, 필러를 과량으로 넣게 되면 실런트의 유동성이 좋지 않게 되고 봉착 후 진공창호의 밀봉성과 내구성을 저하시킬 우려가 크므로, 저온봉착을 위해 실런트의 연화점은 5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창호용 무연 실런트는 500℃ 이하에서 6g/cmㆍs 이상의 점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디스펜싱 공법을 이용하여 진공창호의 내부로부터 공기를 빼내어 진공 상태를 만들 시 무연 실런트의 고온점도가 높아야 무연 실런트가 내부로 빨려 들어가는 현상을 없앨 수 있기 때문이다.
진공창호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창호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무연 씰런트를 디스펜싱 공법으로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봉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진공창호(100)는 제1 진공 유리(110), 제2 진공 유리(120), 스페이서(130), 캡 봉지재(140) 및 무연 씰링재(150)를 포함한다.
제1 진공 유리(110)는 일측 가장자리를 관통하는 진공 배기구를 갖고, 제2 진공 유리(120)는 제1 진공 유리(110)와 대향하도록 이격 배치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 진공 유리(110, 120)는 각각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호 동일한 면적으로 설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그 형상 및 면적은 서로 상이한 형태로 설계하는 것도 무방하다. 이때, 제1 진공 유리(110)는 5.0 ⅹ 10-4torr ~ 6.0 ⅹ 10-4torr의 진공도를 갖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2 진공 유리(120)는 로이 유리(Low-E glass)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페이서(130)는 제1 및 제2 진공 유리(110, 120)의 이격된 사이 공간에 삽입되어, 제1 및 제2 진공 유리(110, 120)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스페이서(130)는, 평면상으로 볼 때, 매트릭스 배열(matrix arrangement)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제1 및 제2 진공 유리(110, 120)의 가장자리부와 중앙부에서의 두께 편차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캡 봉지재(140)는 제1 진공 유리(110)의 진공 배기구를 밀봉하기 위한 목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캡 봉지재(140)는 진공 배기구를 덮도록 형성되어, 제1 진공 유리(110)의 진공 배기구를 밀봉시키게 된다. 이때, 진공 배기구는 제1 및 제2 진공 유리(110, 120)의 합착에 의해 제1 및 제2 진공 유리(110, 120) 사이의 빈 공간을 진공 상태가 되도록 공기를 빼내기 위한 목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제1 진공 유리(110)의 일측 가장자리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무연 씰링재(150)는 제1 진공 유리(110) 또는 제2 진공 유리(120)의 최외곽 가장자리를 따라 디스펜싱 공법으로 씰링되어, 제1 및 제2 진공 유리(110, 120)를 합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무연 씰링재(150)는,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납(Pb)이 첨가되지 않음으로써, 환경오염의 염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디스펜싱 공법을 적용하여 진공창호(100)의 씰링 마감재로 활용되어 진공 소성시 고온점도가 높아 빨림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무연 씰링재(150)는 Bi2O3 : 70 ~ 80wt%, B2O3 : 5 ~ 10wt%, ZnO : 0.1 ~ 5.0wt% 및 BaO : 5 ~ 10wt%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의 조성을 갖는 무연 씰링재는 디스펜서(200)를 이용한 디스펜싱(dispensing) 공법으로 제2 진공 유리(120) 상에 무연 실런트 조성물(150a)을 스캔 방식으로 도포한 후, 경화하는 것에 의해 제1 및 제2 진공 유리(110, 120)를 씰링하게 된다. 이와 같이, 디스펜싱 공법으로 무연 실런트 조성물(150a)을 도포할 경우, 시간 및 비용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화 방식으로 공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조성을 갖는 무연 실런트 조성물(150a)은 납(Pb)이 첨가되지 않으며, 고온점도가 높아 고온 수축율이 낮기 때문에 진공 소성 후에도 기포가 발생하지 않으며, 무연 씰링재(150)가 제1 및 제2 진공 유리(110, 120)의 내부로 빨려 들어가는 현상이 억제되어 밀봉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다.
이때, 상기 무연 씰링재(150)는 500℃ 이하의 연화점(Ts)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연 씰링재(150)의 연화점이 50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저온봉착이 사실상 어렵기 때문이다. 물론, 필러를 첨가하여 저온봉착이 가능하게 할 수 있지만, 필러를 과량으로 넣게 되면 무연 씰링재(150)의 유동성이 좋지 않게 되고 봉착 후 진공창호의 밀봉성과 내구성을 저하시킬 우려가 크므로, 저온봉착을 위해 무연 씰링재(150)의 연화점은 5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무연 씰링재(150)는 500℃ 이하에서 6g/cm?s 이상의 점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디스펜싱 공법을 이용하여 진공창호(100)의 내부로부터 공기를 뽑아내어 진공 상태로 만들 시 무연 씰링재(150)의 고온점도가 높아야 무연 씰링재(150)가 내부로 빨려 들어가는 현상을 없앨 수 있기 때문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봉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진공창호는 환경 규제물질인 납(Pb)이 첨가되지 않는 대신 Bi2O3를 주 성분으로 하는 최적의 성분계로 설계하여, 환경오염의 염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디스펜싱 공법을 적용하여 진공창호의 씰링 마감재로 활용되어 진공 소성시 고온점도가 높아 빨림 현상을 억제하여 밀봉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1. 무연 실런트 제조
표 1의 조성을 갖도록 칭량하여 알루미나 도가니에 넣어 전기로에서 용융 뒤 급냉하여 실시예 1 ~ 2 및 비교예 1 ~ 4에 따른 무연 실런트를 제조하였다. 이후, 실시예 1 ~ 2 및 비교예 1 ~ 4에 따른 무연 실런트를 DTA(differential thermal analysis) 측정을 통해 유리 전이 온도, 연화점 및 열팽창계수를 측정하였다.
[표 1] (중량%)
Figure 112014090213217-pat00001

2. 물성 평가
표 2는 실시예 1 ~ 2 및 비교예 1 ~ 4에 따른 무연 실런트에 대한 물성 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5는 실시예 1에 대한 1차 소성 및 2차 소성 후의 결정화 이미지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6은 실시예 1에 대한 1차 소정 및 2차 소성 후의 플로우 버트을 촬영한 사진이다.
[표 2]
Figure 112014090213217-pat00002
표 1 및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 ~ 2의 경우, 비교예 1 ~ 4에 비하여 유리전이온도 및 연화점이 낮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 2의 경우, 비교예 1 ~ 4에 비하여 열팽창 계수가 낮은 78.37 x 10-7/K 및 79.26 x 10-7/K로 각각 측정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우 버튼 테스트(flow button test)를 실시한 결과, 실시예 1의 경우 500℃에서 유동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차 및 2차 소성 후 500℃에서 결정석출도 발생하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도 7은 실시예 1 ~ 2 및 비교예 1 ~ 4에 대한 온도-수축율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예 1 ~ 4{(c), (d), (e), (f)}의 경우, 350 ~ 450℃의 온도까지는 수축율이 선형적으로 감소하다가 450 ~ 500℃의 온도 구간에서 수축율이 급감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실시예 1 ~ 2{(a), (b)}의 경우, 비교예 1 ~ 4{(c), (d), (e), (f)}에 비하여, 450 ~ 500℃의 온도 구간에도 수축율 변화가 크게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 1 ~ 2{(a), (b)}의 경우, 대략 450 ~ 500℃의 온도 구간에서도 수축율이 낮으므로, 진공창호 제작을 위한 진공 소성시 빨림 현상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도 8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2에 대한 온도-점도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비교예 2의 경우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선형적으로 점도가 감소하는 하나, 실시예 1이 비교예 2에 비하여 점도 커브가 상향되어 온도별 점도 값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실시예 1이 비교예 2에 비하여, 열특성(Ts)이 대략 5℃ 정도가 상승함에 따라 전체적인 점도 커브를 상향시킨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과 변형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기술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진공창호 110 : 제1 진공 유리
120 : 제2 진공 유리 130 : 스페이서
140 : 캡 봉지제 150 : 무연 씰링재
200 : 디스펜서

Claims (10)

  1. Bi2O3 : 70 ~ 80wt%, B2O3 : 5 ~ 10wt%, ZnO : 0.1 ~ 5.0wt% 및 BaO : 5 ~ 10wt%를 포함하고,
    Co3O4, NiO, CuO, CeO2, Fe2O3 및 ZrO2 중 1종 이상을 0.1 ~ 5wt%가 더 첨가되어, 400℃ 이하의 연화점(Ts)을 갖고, 500℃ 이하에서 6g/cmㆍs 이상의 점도를 가짐으로써, 디스펜서를 이용한 디스펜싱(dispensing) 공법에 의해 도포된 후, 경화되는 것에 의해 씰링되어, 진공창호의 씰링 마감재로 활용되어 진공 형성시 빨림 현상이 억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진공창호용 무연 실런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연 실런트는
    세라믹 필러가 더 첨가되되,
    상기 세라믹 필러는 코디어라이트(cordierite), 유크립타이트(eucryptite), 티탄산 알루미나(aluminum titanate), 지르콘(zircon), 스포듀민(spodumene), 윌레마이트(willemite) 및 뮬라이트(mulite)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창호용 무연 실런트.
  4. 삭제
  5. 삭제
  6. 일측 가장자리를 관통하는 진공 배기구를 갖는 제1 진공 유리;
    상기 제1 진공 유리와 대향하도록 이격 배치된 제2 진공 유리;
    상기 제1 및 제2 진공 유리의 이격된 사이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 진공 유리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
    상기 제1 진공 유리의 진공 배기구를 밀봉하기 위한 캡 봉지재; 및
    상기 제1 또는 제2 진공 유리의 최외곽 가장자리를 따라 디스펜싱 공법으로 씰링되어, 상기 제1 및 제2 진공 유리를 합착하기 위한 무연 씰링재;를 포함하며,
    상기 무연 씰링재는 Bi2O3 : 70 ~ 80wt%, B2O3 : 5 ~ 10wt%, ZnO : 0.1 ~ 5.0wt% 및 BaO : 5 ~ 10wt%를 포함하며,
    Co3O4, NiO, CuO, CeO2, Fe2O3 및 ZrO2 중 1종 이상을 0.1 ~ 5wt%가 더 첨가되어, 400℃ 이하의 연화점(Ts)을 갖고, 500℃ 이하에서 6g/cmㆍs 이상의 점도를 가짐으로써, 디스펜서를 이용한 디스펜싱(dispensing) 공법에 의해 도포된 후, 경화되는 것에 의해 씰링되어, 진공 형성시 빨림 현상이 억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진공창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진공 유리는
    5.0 ⅹ 10-4torr ~ 6.0 ⅹ 10-4torr의 진공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진공창호.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진공 유리는
    로이 유리(Low-E glas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진공창호.
  9. 삭제
  10. 삭제
KR1020140126759A 2014-09-23 2014-09-23 밀봉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진공창호용 무연 실런트 및 그 진공창호 KR1016398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6759A KR101639879B1 (ko) 2014-09-23 2014-09-23 밀봉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진공창호용 무연 실런트 및 그 진공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6759A KR101639879B1 (ko) 2014-09-23 2014-09-23 밀봉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진공창호용 무연 실런트 및 그 진공창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5653A KR20160035653A (ko) 2016-04-01
KR101639879B1 true KR101639879B1 (ko) 2016-07-15

Family

ID=55799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6759A KR101639879B1 (ko) 2014-09-23 2014-09-23 밀봉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진공창호용 무연 실런트 및 그 진공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98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9668B1 (ko) 2015-10-22 2017-04-25 (주)센불 밀봉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진공유리용 친환경 실링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9424B1 (ko) * 2021-05-31 2023-11-08 한국공학대학교산학협력단 봉착용 글라스 프릿 페이스트, 이를 이용한 글라스 프릿 바 및 진공유리 조립체의 제조방법 및 건축용 창유리
CN117259982B (zh) * 2023-11-01 2024-04-09 承德奥斯力特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便捷封口结构的真空封装机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163B1 (ko) * 2009-04-01 2011-09-15 주식회사 다이온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실링 소자용 슬러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실링 소자
KR101133546B1 (ko) * 2009-06-01 2012-04-09 (주) 센불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실링 소자용 슬러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실링 소자
KR20120008752A (ko) * 2010-07-20 2012-02-01 주식회사 좋은나라 2개의 진공펌프를 이용한 진공복층유리 및 제조방법
JP5957847B2 (ja) * 2011-10-13 2016-07-27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ビスマス系ガラス組成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9668B1 (ko) 2015-10-22 2017-04-25 (주)센불 밀봉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진공유리용 친환경 실링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5653A (ko) 2016-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6840B1 (ko) 유기 el 봉착용 무연 유리재와 이것을 사용한 유기 el 디스플레이
KR101520316B1 (ko) 밀봉 유리
KR101758076B1 (ko) 국소 가열 봉착용 바나듐계 유리재와 이것을 사용한 플랫 디스플레이 및 이 디스플레이의 제조 방법
EP2743240A2 (en) Heat-strengthened vacuum glass
TWI677483B (zh) 無銻玻璃、玻璃料、玻璃料糊及玻璃組件
US9346708B2 (en) Strengthened glass substrates with glass frit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EP2626337A2 (en) Vacuum glass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1639879B1 (ko) 밀봉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진공창호용 무연 실런트 및 그 진공창호
CN114249530B (zh) 热钢化玻璃元件及其用途
JP6565700B2 (ja) 複層ガ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
EP3070060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tempered vacuumed glass
WO2018207435A1 (ja) 複層ガ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5529621A5 (ko)
CN104829097A (zh) 浮法玻璃制造装置和浮法玻璃制造方法
US10745317B2 (en) Low-temperature tellurite glass mixtures for vacuum compaction at temperatures of 450 degrees C or less
US20030209308A1 (en) Glass pane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4596358B2 (ja) 封止用ガラス
KR101729668B1 (ko) 밀봉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진공유리용 친환경 실링재
JP2007186395A (ja) ビスマス系ガラス組成物およびビスマス系封着材料
KR20130109754A (ko) 진공유리 배기관용 밀봉체 조성물
KR101941716B1 (ko) 바나듐-기초 프릿 물질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JP4556544B2 (ja) 封止用ガラス
CN109399967A (zh) 纳米涂膜钢化隔热真空玻璃及其制备方法
JP2022063452A (ja) ガラスパネル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101957743B1 (ko) 티타니아와 동시 소성이 가능한 대면적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봉지용 유리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