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9750B1 - 이강종 용강 혼합 저감 장치 및 이강종 연속 주조 방법 - Google Patents

이강종 용강 혼합 저감 장치 및 이강종 연속 주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9750B1
KR101639750B1 KR1020140163502A KR20140163502A KR101639750B1 KR 101639750 B1 KR101639750 B1 KR 101639750B1 KR 1020140163502 A KR1020140163502 A KR 1020140163502A KR 20140163502 A KR20140163502 A KR 20140163502A KR 101639750 B1 KR101639750 B1 KR 101639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diaphragm member
mold
plate member
molten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3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1062A (ko
Inventor
김성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163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9750B1/ko
Priority to CN201510729463.6A priority patent/CN105618698B/zh
Publication of KR20160061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1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9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9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22D11/11Treating the molten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22D11/103Distributing the molten metal, e.g. using runners, floats, distribu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Abstract

본 발명은 이종(異種) 강종을 연속 주조하는 주조 설비에서 몰드 내에 투입되어 이종 용강의 혼합을 저감하는 혼합 저감 장치로서, 몰드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면을 형성하는 격막부를 포함하고, 격막부는 몰드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면을 가지며, 상기 몰드의 폭 방향과 평행하도록 배치된 제 1 격막 부재, 몰드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면을 가지며, 상기 제 1 격막 부재와 대향 위치하여, 일부가 상기 제 1 격막 부재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 1 격막 부재와 연결된 연결 부위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여, 상기 제 1 격막 부재와 수직한 방향으로 배열되거나, 상기 제 1 격막 부재와 평행하게 배열 가능한 제 2 격막 부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턴디시의 이동 및 탕면 레벨기 와 같은 주변 설비의 제거 없이, 격막부를 투입시킬 수 있다. 또한, 노즐의 방해를 받지 않고 격막부를 몰드 내로 용이하게 투입시킬 수 있다. 즉, 이종 용강의 혼합을 저감시키기 위해, 주조 조업을 중단하고, 턴디시를 들어올려, 격막부를 투입한 후, 다시 턴디시를 하강시키거나, 탕면 레벨기와 같이 몰드 주변에 설치된 주변 설비의 제거 과정 없이, 격막부를 투입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이강종 용강 혼합 저감 장치 및 이강종 연속 주조 방법{Apparatus of reducing mixture of mixed grade molten steel and method for continuous casting f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강종 용강 혼합 저감 장치 및 이강종 연속 주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종(異種) 강종을 연속 주조하는 주조 설비에서, 이종 용강의 혼합을 저감시키는 이강종 용강 혼합 저감 장치 및 이강종 연속 주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종 강종의 연속 주조 조업은 현재 처리 중인 용강(이하, 기존 용강)의 성분과 다른 성분을 가지는 새로운 용강을 이용하여 연속 주조하는 조업이다. 이를 위해, 기존 용강을 이용한 조업 말기에 새로운 용강이 담긴 레이들을 턴디시로 이송시키고, 상기 턴디시 내로 새로운 용강을 주입한다. 즉, 동일한 턴디시에 연속적으로 서로 다른 조성의 성분을 투입하여 연속 주조하며, 이때 턴디시 내에서 기존 용강과 새로운 용강의 소정량으로 혼합된다. 따라서 이강종의 연속 주조에 있어서, 턴디시에서의 혼합 용강에 의해 연속 주조되는 주편에서는 기존 용강에 의해 주조된 주편의 말단부와, 새로운 용강에 의해 주조된 주편의 선단부 사이가 연속적으로 연결되도록 주조된다. 따라서, 연속 주조된 주편의 일부 영역에서 기존 용강과 새로운 용강이 혼합되어 주조된 혼합부(또는 혼합 영역)가 일정 길이 주조되는데, 상기 혼합부의 길이를 줄이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시도되고 있다.
특히, 턴디시에서 혼합된 용강이 몰드로 유입된 이후에, 몰드의 중심 영역(또는 중심부)로 빠르게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몰드 내에서 용강의 유동에 의한 용강의 재혼합 영역(또는 재혼합 면적)을 줄이기 위해, 격막판을 투입하는 시도가 꾸준히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몰드로 격막판을 투입할 때, 몰드 주위의 설비와의 간섭이 없어야 하는데, 특히 몰드로 용강을 주입하는 노즐과의 간섭이 없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조 속도를 낮추고, 몰드로 유입되는 용강을 차단한 후, 턴디시를 상승시킨 다음, 격막판을 몰드로 투입하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격막판의 투입 방법은 조업을 복잡하게 하고, 빠른 시간 내에 조업이 재개되지 않을 경우, 턴디시에서 몰드로 용강을 유입시키는 노즐의 온도 하락에 의해, 노즐 내주면에 지금이 부착되어, 노즐 막힘이 발생되거나, 몰드 내 용강 레벨(탕면 레벨)이 하락하여, 이중 주입에 따른 주편 단락을 야기시킨다.
한국공개특허 10-2012-0073692
본 발명은 조업 중단, 턴디시의 상승과 같은 조업 변화없이 몰드 내로 투입이 가능하며, 몰드 플럭스가 용강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격막판을 구비하는 이강종 용강 혼합 저감 장치 및 이강종 연속 주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턴디시에서 혼합된 용강이 몰드의 중심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 또는 줄일 수 있고, 몰드 내 상부 영역의 잔류 용강이 주조 방향으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는 격막판을 구비하는 이강종 용강 혼합 저감 장치 및 이강종 연속 주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종(異種) 강종을 연속 주조하는 주조 설비에서 몰드 내에 투입되어 이종 용강의 혼합을 저감하는 혼합 저감 장치로서, 몰드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면을 형성하는 격막부를 포함하고, 격막부는 몰드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면을 가지며, 상기 몰드의 폭 방향과 평행하도록 배치된 제 1 격막 부재; 몰드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면을 가지며, 상기 제 1 격막 부재와 대향 위치하여, 일부가 상기 제 1 격막 부재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 1 격막 부재와 연결된 연결 부위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여, 상기 제 1 격막 부재와 수직한 방향으로 배열되거나, 상기 제 1 격막 부재와 평행하게 배열 가능한 제 2 격막 부재를 포함한다.
각각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이며, 상기 제 1 및 제 2 격막 부재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격막부를 몰드 내에 투입 시 사용되는 투입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투입 부재의 외주면에 상기 격막부의 투입 깊이를 나타내는 스케일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격막 부재가 상기 제 1 격막 부재와 수직한 방향이 되도록 회전되었을 때, 상기 제 1 격막 부재와 제 2 격막 부재 사이에 몰드로 용강을 주입하는 노즐의 통과가 가능한 삽입구가 마련된다.
상기 제 1 격막 부재는 몰드의 장변 방향으로 연장된 제 1 판 부재 및 일단이 상기 제 1 판 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제 1 판 부재와 교차하도록 상기 몰드의 단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 2 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판 부재의 일단이 상기 회전 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제 2 판 부재는 상기 제 1 판 부재의 일단의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격막 부재의 위치와 반대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제 1 판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판 부재와 제 2 판 부재 사이에 상기 노즐의 통과가 가능한 빈 공간 인 삽입구가 마련된다.
상기 제 2 격막 부재는 상기 몰드의 장변 방향으로 연장된 제 3 판 부재 및 상기 제 3 판 부재로부터 상기 제 2 판 부재가 위치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 4 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4 판 부재는 제 2 판 부재와 대향 위치하고, 상기 제 4 판 부재의 면적은 상기 삽입구에 비해 크거나 같다.
상기 제 2 격막 부재가 상기 제 1 격막 부재와 평행하도록 배열되었을 때, 상기 제 2 격막 부재는 상기 제 1 격막 부재에 비해 하측에 위치하도록 장착된다.
이종(異種) 강종을 연속으로 주조하는 이강종 연속 주조 방법으로서, 몰드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면을 가지며, 상기 몰드의 폭 방향과 평행하도록 배치된 제 1 격막 부재 및 상기 몰드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면을 가지며, 상기 제 1 격막 부재와 대향 위치하여, 일부가 상기 제 1 격막 부재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 1 격막 부재와 연결된 연결 부위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한 제 2 격막 부재를 포함하는 격막부를 기존 용강을 이용한 연속 주조 조업 말기부터 새로운 이종 용강을 주입하는 주조 조업 초기까지 상기 몰드 내로 투입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격막부를 상기 몰드 내로 투입하는 과정은, 상기 격막부를 상기 몰드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과정; 상기 제 2 격막 부재를 상기 제 1 격막 부재와 수직을 이루도록 회전시켜, 상기 제 1 격막 부재와 제 2 격막 부재 사이를 이격시켜, 빈 공간인 삽입구를 개구하는 과정; 상기 삽입구에 상기 노즐이 위치하도록 상기 격막부를 이동시키는 과정; 상기 삽입구에 노즐이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격막부를 상기 몰드 내로 하강시키는 과정; 상기 제 1 격막 부재가 상기 노즐의 하부까지 하강하면, 상기 노즐로부터 토출되는 용강에 의해 제 2 격막부재가 제 1 격막 부재와 평행하도록 회전하여, 상기 삽입구를 폐쇄하는 과정; 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격막 부재는 상기 제 1 격막 부재와의 연결 부위를 기준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 2 격막 부재가 상기 제 1 격막 부재와 평행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격막 부재와 수직을 이루도록 회전하여, 삽입구를 개방하는데 있어서, 상기 제 2 격막 부재의 외측면 중, 상기 제 1 격막 부재와 대향하는 외측면이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 2 격막 부재를 회전시키고, 상기 제 2 격막 부재가 상기 제 1 격막 부재와 수직인 상태에서 상기 제 1 격막 부재와 평행을 이루도록 회전하여, 삽입구를 폐쇄하는데 있어서, 상기 제 2 격막 부재의 외측면 중, 상기 몰드의 하측 개구를 향하는 외측면이 상측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 2 격막 부재를 회전시킨다.
상기 격막부를 상기 몰드 내로 투입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격막부에 연결된 투입 부재를 파지하여 하강시키고, 상기 투입 부재의 외주면에 마련된 스케일을 통해 투입 깊이를 확인하면서 투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턴디시의 이동 및 탕면 레벨기 와 같은 주변 설비의 제거 없이, 격막부를 투입시킬 수 있다. 또한, 노즐의 방해를 받지 않고 격막부를 몰드 내로 용이하게 투입시킬 수 있다. 즉, 이종 용강의 혼합을 저감시키기 위해, 주조 조업을 중단하고, 턴디시를 들어올려, 격막부를 투입한 후, 다시 턴디시를 하강시키거나, 탕면 레벨기와 같이 몰드 주변에 설치된 주변 설비의 제거 과정 없이, 격막부를 투입시킬 수 있다.
또한, 격막부를 투입할 때, 삽입구의 개방에 의해 몰드 플럭스의 부유가 용이하다. 그리고 격막부의 투입이 완료되면, 몰드 또는 스트랜드의 중심인 삽입구가 폐쇄되어, 혼합 용강이 몰드 내 중심 영역 다른 말로 하면, 스트랜드의 중심부로 확산되는 유동 통로가 완전히 없어지므로, 혼합 용강이 스트랜드의 중심으로 이동하는 통로가 차단된다. 따라서, 이강종의 연속 주조에 의해 제조된 주편에서 기존 용강과 새로운 용강이 혼합되어 있는 혼합 길이 또는 혼합 영역이 감소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연속 주조 설비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이종 강종의 연속 주조 시에, 몰드(mold) 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 저감 장치를 투입하는 과정을 순서적으로 도시한 정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 저감 장치를 도시한 입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 저감 장치의 격막판을 도시한 상측 단면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 저감 장치를 몰드 내로 투입하는 과정을 순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이강종을 연속 주조하는데 있어서, 격막판을 투입하지 않았을 때(비교예)와, 본 발명에 따른 격막판을 1개 투입하였을 때(제 1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격막판 2개를 연속적으로 투입하였을 때(제 2 실시예)의 몰드 주편에서의 혼합부 길이를 그래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연속 주조 설비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이종 강종의 연속 주조 시에, 몰드(mold) 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 저감 장치를 투입하는 과정을 순서적으로 도시한 정면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 저감 장치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 저감 장치의 격막부를 도시한 상측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 저감 장치를 몰드 내로 투입하는 과정을 순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연속 주조 설비는 정련된 용강을 수용하며, 연주 조업장으로 이동 가능한 레이들(10), 레이들(10)로부터 공급되는 용강을 수용하는 턴디시(20), 턴디시(20)로부터 용강을 공급받아 응고시켜 주편을 제조하는 몰드(100), 일단이 턴디시(20)와 연결되고, 하부의 적어도 일부가 몰드(100) 내로 삽입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턴디시(20) 내의 용강을 몰드 내로 주입하는 노즐(200)을 포함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드(100) 내 상측에서 용강 상측에 위치하여 탕면 레벨을 측정하는 탕면 레벨기(300)를 포함한다. 이때, 탕면 레벨기(300)는 몰드(100)의 상측 또는 몰드(100) 내 상측 영역에 위치하며, 노즐(200)은 상기 탕면 레벨기(300)에 비해 몰드(100) 내 하측으로 더 깊이 삽입 장착된다.
한편, 이종 강종의 연속 주조 조업을 위해서는 턴디시(20) 및 몰드(100) 내로 새로운 용강을 주입해야 하며, 현재 처리하고 있는 용강(이하, 기존 용강)과 후속 주입되는 용강(이하, 새로운 용강)이 혼합될 수 있다. 즉, 현재 처리하고 있는 레이들(10) 내부의 용강(이하, 기존 용강) 성분과 후속 레이들(10)의 용강(이하, 새로 주입되는 용강) 성분이 서로 상이하고, 이를 하나의 턴디시(10)에 연속으로 주입하여 주조할 때, 상기 턴디시(10) 내에서 기존 용강과 새로 주입되는 용강이 혼합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종 강종의 연속 주조 조업 시에, 혼합 저감 장치(500)를 투입하여, 기존 용강과 새로운 용강이 혼합된 용강(이하, 혼합 용강)에 의한 주편 혼합부의 길이를 줄이고, 조업 중단 및 주변 설비의 이동 없이 투입이 용이한 혼합 저감 장치를 제공한다.
몰드(100)는 노즐(200)로부터 공급되는 용강을 수용하고, 소정의 주편 형상으로 용강을 응고시키기 위해 1차 냉각한다. 이러한 몰드(100)는 소정 거리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마련된 2개의 장변부와, 2개의 장변부 사이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마련된 2개의 단변부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혼합 저감 장치(500)는 몰드(10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면을 형성하는 격막부(510),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이며, 격막부(510)의 가장 자리에 설치되어, 상기 격막부(510)를 몰드(100) 내에 투입 시에 사용되는 투입 부재(520, 530)를 포함한다.
격막부(510)는 이종 용강의 혼합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몰드(100)의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판 형상의 제 1 격막 부재(510a), 몰드(100)의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판 형상이며, 일부가 제 1 격막 부재(510a)와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제 1 격막 부재(510a)와 연결된 연결 부위를 기준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제 2 격막 부재(510b), 제 1 격막 부재(510a)와 제 2 격막 부재(510b)의 연결 부위에서 상기 제 2 격막 부재(510b)가 회전 가능하도록 제 1 격막 부재(510a)와 제 2 격막 부재(510b) 사이에 설치되는 회전 부재(540)를 포함한다.
격막부(510)는 격막부(510) 전체가 이루는 형상이 몰드(100)와 대응되는 형상 예컨대, 사각형, 보다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의 형상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격막부(510)를 구성하는 제 1 격막 부재(510a)와, 제 2 격막 부재(510b) 각각은 상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판 형상인데, 제 1 격막 부재(510a)와, 제 2 격막 부재(510b) 각각이 몰드(100)의 폭 방향과 평행한 상태일 때, 상기 격막부(510) 전체가 이루는 형상이 몰드(100)와 대응되는 형상이 되도록, 제 1 격막 부재(510a) 및 제 2 격막 부재(510b)의 형상을 구성한다(도 2c 및 도 3b 참조).
제 1 격막 부재(510a)와 제 2 격막 부재(510b)는 회전 부재(540)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데, 제 2 격막 부재(510b)를 향하는 제 1 격막 부재(510a)의 일부 영역이 회전 부재를 통해 제 2 격막 부재(510b)와 체결되고, 제 2 격막 부재(510b)를 향하는 제 1 격막 부재(510a)의 나머지 영역은 회전 부재(540) 및 제 2 격막 부재(510b)와 체결되지 않고, 상기 제 2 격막 부재(510b)와 분리 가능한 설치구조이다. 제 2 격막 부재(510b)를 기준으로 다시 설명하면, 제 1 격막 부재(510a)를 향하는 제 2 격막 부재(510b)의 일부 영역이 회전 부재(540)를 통해 제 1 격막 부재(510a)와 체결되고, 제 1 격막 부재(510a)를 향하는 제 2 격막 부재(510b)의 나머지 영역은 회전 부재(540) 및 제 1 격막 부재(510a)와 체결되지 않고, 상기 제 1 격막 부재(510a)와 분리 가능한 설치구조이다.
그리고, 제 2 격막 부재(510b)가 회전 부재(540)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 2 격막 부재(510b)가 몰드(100)의 폭 방향과 수직 또는 제 1 격막 부재(510a)와 수직 또는 몰드의 높이 방향과 평행하도록 회전된 상태일 때(도 2 a, 도 2b 및 도 3a 참조), 제 1 격막 부재(510a)와 제 2 격막 부재(510b) 사이에 노즐(200)의 통과가 가능한 면적의 빈 공간이 마련된다. 즉, 제 2 격막 부재(510b)가 회전 부재(540)를 중심으로 하여, 제 1 격막 부재(510a)와 수직을 이루도록 회전될 때, 제 1 격막 부재(510a)와 제 2 격막 부재(510b) 사이의 영역 중, 회전 부재(540)에 의해 상호 체결된 영역(또는 부위)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 제 1 격막 부재(510a)와 제 2 격막 부재(510b)가 상호 이격 또는 분리된 상태이다. 따라서, 제 1 격막 부재(510a)와 제 2 격막 부재(510b) 사이의 영역 중, 회전 부재(540)가 위치한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빈 공간이 발생되며, 이는 격막부(510)의 투입 시에 노즐(200)과 간섭되지 않고 투입시키기 위해, 노즐(200)이 통과되는 공간(이하, 삽입구)이다.
이하에서는 제 1 격막 부재(510a) 및 제 2 격막 부재(510b)의 형상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한 쌍의 장변부와 한 쌍의 단변부로 구성되는 몰드에 있어서, 장변부가 연장된 방향을 X 축 방향, 단변부가 연장된 방향을 Y 축 방향이라 정의한다. 다시 말하면, 몰드의 장변 방향을 X 축 방향, 몰드의 단변 방향을 Y 축 방향이라 정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격막 부재(510a)는 X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판 부재(이하, 제 1 판 부재(511a)), 제 1 판 부재(511a)와 교차 또는 직교하도록 Y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판 부재(이하, 제 2 판 부재(512a))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판 부재(511a)와 제 2 판 부재(512a) 간의 연결 부위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는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즉, 제 1 판 부재(511a)와 제 2 판 부재(512a) 간의 연결 부위의 측면이 오목한 형태의 곡선 또는 라운드(round)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제 1 판 부재(511a)의 X 방향의 길이(WX1)는 제 2 판 부재(512a)의 비해 X 방향의 길이(WX2)가 길고, 제 1 판 부재(511a)의 Y 방향의 길이(WY1)가 제 2 판 부재(512a)의 Y 방향의 길이(WY2)에 비해 짧도록 형성되고, 제 1 판 부재(511a)의 좌우 방향의 양 끝단 중, 제 2 격막 부재(510b)를 향하는 끝단(이하, 제 2 격막 부재의 일단)이 회전 부재(540)와 연결된다. 이에, 제 1 판 부재(511a)의 일단은 제 2 판 부재(512a)에 비해 제 2 격막 부재(510b)가 위치한 방향 X 축 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판 부재(512a)의 X 축 방향의 길이(Wx2)는 제 1 판 부재(511a)의 X 축 방향의 길이(Wx1)에 비해 짧고, 제 2 판 부재(512a)의 Y 축 방향의 길이(WY2)는 제 1 판 부재(511a)의 Y 축 방향의 길이(WY1)에 비해 길다. 이러한 제 2 판 부재(512a)는 상기 제 1 판 부재(511a)의 양 끝단과 교차하는 양 측면 중 하나에 연결되는데, 회전 부재(540)와 연결되지 않는 제 1 판 부재(511a)의 끝단(이하, 제 1 판 부재의 타단)이 위치한 방향으로 치우치도록 연결된다. 즉, 제 2 판 부재(512a)의 일단이 제 1 판 부재(511a)에 연결되며, Y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격막 부재(510a)의 외측면 중 몰드(100) 내벽과 마주보는 외측면을 제 1 외측면(51a)이라하고, 제 2 격막 부재(510b)와 마주보는 외측면을 제 2 외측면(52a)이라 할 때, 제 1 격막 부재(510a)의 제 2 외측면(52a) 중, 제 1 판 부재(511a)로부터 제 2 판 부재(512a)로 연결된 영역이 내측으로 라운드(round) 형상 또는 오목한 곡률을 가지는 형상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격막 부재(510a)는 한글 자음의 "ㄱ"을 뒤집은 "┏" 형상이며, 제 2 격막 부재(510b)를 향하는 측면 중, 삽입되는 노즐(200)과 대응하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노즐(200)과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는 곡선이다.
이렇게 제 1 격막 부재(510a)가 X 축 s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 1 판 부재(511a) 및 Y 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 1 판 부재(511a)의 타단 방향으로 치우치도록 제 1 판 부재(511a)에 연결된 제 2 판 부재(512a)로 이루어짐에 따라, 다른 말로 하면 "┏" 형상으로 제조되어, 제 1 판 부재(511a)와 제 2 판 부재(512a) 사이의 영역에 빈 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빈 공간이 노즐(200)이 통과하는 공간이다.
상기에서는 제 1 판 부재(511a)에서 제 2 판 부재(512a)로 이어지는 제 1 격막 부재(510a)의 제 2 외측면(52a)이 적어도 일부가 곡선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직선 형태일 수 있다. 즉, 제 1 격막 부재(510a)는 곡선이 없는 "┌" 의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격막 부재(510b)의 형상에 있어서, Y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판 부재(이하, 제 3 판 부재(511b)), 제 3 판 부재(511b)로부터 제 1 격막 부재(510a)가 위치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 3 판 부재(511b)에 연결된 제 2 판 부재(512a))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판 부재(511b)와 제 4 판 부재(512b) 간의 연결 부위의 측면은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곡선일 수 있다. 제 3 판 부재(511b)의 Y 축 방향의 길이(WY3)는 제 4 판 부재(512b)의 Y 축 방향의 길이(WY4)에 비해 길고, 제 3 판 부재(511b)의 X 축 방향의 길이(WX3)는 제 4 판 부재(512b)의 X 축 방향의 길이(WX4)에 비해 짧다.
또한 제 4 판 부재(512b)의 면적은 삽입구의 면적에 비해 크거나 같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4 판 부재(512b)의 X 축 방향의 길이(Wx4)는 삽입구(550)의 X 축 방향의 길이(Lx)에 비해 길거나 같고, 제 4 판 부재(512b)의 Y 축 방향의 길이(WY4)는 삽입구(550)의 Y 축 방향의 길이(LY)에 비해 길거나 같다.
이하에서는 제 3 판 부재(511b)에서 X 방향을 기준으로, 제 1 격막 부재(510a)와 마주보며, Y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영역을 제 3 판 부재(511b)의 일단이라 하고, 상기 제 3 판 부재(511b)의 일단의 반대 방향의 영역을 제 3 판 부재(511b)의 타단이라고 명명한다.
제 3 판 부재(511b)의 일단 중, 제 3 판 부재(511b)와 대향하는 영역이 회전 부재(540)와 연결되고, 회전 부재(540)와 연결되지 않은 나머지 영역은 제 4 판 부재(512b)가 연결되며, 상기 제 4 판 부재(512b)는 제 1 격막 부재(510a)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2 판 부재(512a)가 위치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제 4 판 부재(512b)는 제 3 판 부재(511b)에 비해 제 1 격막 부재(510a)가 위치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형상이 된다.
제 4 판 부재(512b)는 제 3 판 부재(511b)의 일단으로부터 제 1 격막 부재(510a)의 제 2 판 부재(512a)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 4 판 부재(512b)는 제 4 판 부재(512b)의 일단의 영역 중, 회전 부재(540)와 연결되지 않은 나머지 영역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X 축 방향의 길이는 제 3 판 부재(511b)에 비해 길고, Y 축 방향의 길이는 제 3 판 부재(511b)에 비해 짧다. 그리고 제 4 판 부재(512b)의 전체 면적은 제 3 판 부재(511b)의 삽입구(550)에 비해 크도록 제작되며, 제 2 격막 부재(510b)가 수평 방향으로 놓여있을 때, 제 1 격막 부재(510a)에 비해 하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수평 방향으로 놓여져 있는 제 2 격막 부재(510b)가 제 1 격막 부재(510a)에 의해 그 이동이 차단됨에 따라, 상기 수평 방향으로 놓여져 있는 제 2 격막 부재(510b)가 상측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2 격막 부재(510b)의 외측면 중 몰드(100)의 내벽과 마주보는 외측면을 제 3 외측면(51b)이라하고, 제 1 격막 부재(510a)와 마주보는 외측면을 제 4 외측면(52b)이라 할 때, 제 2 격막 부재(510b)의 제 4 외측면(52b) 중, 제 3 판 부재(511b)로부터 제 4 판 부재(512b)로 연결된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라운드진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즉, 제 3 판 부재(511b)와, 제 4 판 부재(512b) 간의 연결 부위의 측면이 볼록한 곡선 또는 라운드(round) 형태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격막 부재(510b)는 한글 자음의 "ㄴ"을 뒤집은 "┘" 형상이며, 제 1 격막 부재(510a)를 향하는 측면 영역 중, 제 1 격막 부재(510a)의 삽입구(550)와 대응하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삽입구(550)와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는 곡선이다.
상기에서는 제 3 판 부재(511b)에서 제 4 판 부재(512b)로 이어지는 제 2 격막 부재(510b)의 제 4 외측면(52b)이 적어도 일부가 곡선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직선 형태일 수 있다. 즉, 제 1 격막 부재(510a)는 곡선이 없는 "┌" 의 형상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격막 부재(510b)가 수직 상태가 되도록 회전되어 몰드(100) 내로 삽입되었을 때, 몰드(100) 폭 방향 면적에서 개방 면적은 삽입구(550)를 포함하여 50% 이상이다. 여기서, 격막부(510)에 의해 개방된 영역은 삽입구(550)와, 격막부(510) 가장자리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의 면적일 수 있다. 그리고, 제 2 격막 부재(510b)가 수평 상태로 회전되어 삽입구(550)가 폐쇄되었을 때, 몰드(100) 폭 방향 면적에서 개방 면적은 30%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이하이다. 이와 같이 제 2 격막 부재(510b)가 수평 상태로 놓였을 때, 몰드(100) 폭 방향의의 개방 면적은 몰드(100)의 폭 방향 사이즈에 따라 제 1 격막 부재(510a) 및 제 2 격막 부재(510b)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수정 가능하다.
삽입구(550)는 격막부(510)를 몰드(100) 내로 투입 시에, 턴디시(20)의 이동 없이 투입을 용이하게 위해, 턴디시(20)와 몰드(100)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된 노즐(200)이 인입되는 영역이다. 이러한 삽입구(550)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막부(510)의 내부로부터 가장자리까지 연장된 개방부이며, 일측 즉, 가장자리 측이 개구되어 있다.
실시예에 따른 회전 부재는 경첩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2 격막 부재(510b)를 회전 시킬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의 적용이 가능하다.
삽입구(550) 중 가장자리의 개구는 몰드(100) 내로 격막부(510)를 투입할 때, 노즐(200)이 삽입구(550)로 인입되는 영역이다. 삽입구(550) 내로 노즐(200)을 삽입시키기 위해서, 상기 삽입구(550)의 수평 방향 중 X 방향의 길이(W2)가 노즐의 직경에 비해 크거나 같다. 또한, 삽입구(550)의 수평 방향 중, Y 방향의 길이(W1)가 노즐(200)의 직경에 비해 길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삽입구(550)의 Y 방향의 길이(W1)가 노즐(200)의 직경에 비해 길도록 하는 것은, 격막부(510)를 몰드(100) 내에 투입 시에, 격막부(510)를 몰드(100) 상부의 일측에 위치시키고, 하향 경사지도록 한 후, 격막부(510)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시키면서 밀어 넣는 방법으로 투입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격막부(510)의 이송 과정에서 노즐(200)이 삽입구(550)의 가장자리에 마련된 개구로부터 내부까지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삽입구(550)는 격막부(510)의 내부에 위치하는 즉, 가장자리와 대향하는 위치의 영역이 곡선 또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형상이며, 이 형상은 원통형인 노즐(200)과 대응되는 형상이다. 물론 삽입구(55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노즐(200)이 통과하여 배치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 가능하다.
제 1 투입 부재(52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하단이 제 1 격막 부재(510a)와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제 2 투입 부재(53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하단이 제 2 격막 부재(510b)와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제 1 및 제 2 투입 부재(520, 530) 각각은 작업자가 손으로 파지(把持)하여,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수단으로서, 예컨대 그 횡단면의 형상이 원형인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물론 제 1 및 제 2 투입 부재(520, 530)의 형상은 상술한 원기둥 형상의 한정되지 않고, 작업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제 1 및 제 2 투입 부재(520, 530)의 외주면에는 격막부(510)의 투입 깊이 정도를 알 수 있는 스케일(scale)이 형성된다. 여기서 스케일(scale)은 막대자 또는 바에 마련된 눈금자일 수 있다.
상기에서는 작업자가 제 1 투입 부재(520) 및 제 2 투입 부재(530)을 파지(把持)하여 격막부(510)를 몰드(100) 내로 투입하는 것을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투입 부재(5300)를 파지(把持)하여 격막부(510)를 몰드(100) 내로 투입할 수 있는 별도의 장비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하기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치구를 삽입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연속 주조 방법을 설명한다.
몰드(100) 내로 선 주입된 용강(이하, 기존 용강)을 응고시켜 주편을 제조하는 연속 주조 조업 중에, 상기 기존 용강과 성분 조성이 다른 새로운 용강을 이용하는 주편 주조를 준비한다. 이를 위해, 기존 용강을 이용한 연속 주조 조업 말기부터 신규 이종 용강을 주입하는 주조 초기까지 예컨대, 신규 이종 용강 주입 시작 약 2M 이전 지점에서부터 2M 이후 지점까지 혼합 저감 장치(500)를 몰드(100) 내로 투입한다.
하기에서는 혼합 저감 장치(500)의 투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작업자가 혼합 저감 장치(500)의 제 1 투입 부재(5300)를 파지(把持)하여, 격막부(510)를 몰드(100) 상측으로 이송시킨다. 이때, 격막부(510)의 제 1 격막 부재(510a)와 제 2 격막 부재(510b)는 몰드(100)의 폭 방향에 대해 평행한 상태로, 삽입구(550) 폐쇄된 마련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이후, 회전 부재(540)를 중심으로 제 2 격막 부재를 회전시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격막 부재(510b)가 제 1 격막 부재(510a) 또는 몰드(100)의 폭 방향에 대해 수직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제 1 격막 부재(510a)와 제 2 격막 부재(510b) 사이에 빈 공간인 즉, 삽입구(550)가 개방 또는 마련된다. 이어서, 격막부(510)를 몰드(100)의 상측에서 일측에 위치시키고, 격막부(510)의 삽입구(550)가 노즐(200)과 대향 위치하도록 한다. 그리고 격막부(510)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시키면서 노즐(200)이 삽입구(550)의 일측 개구에서 내측 방향으로 통과 또는 상대적으로 이동하도록 밀어 넣는다. 그런데, 몰드(100) 상측에 탕면 레벨기(300) 등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격막부(510)를 몰드(100) 방향으로 기울여 즉, 하향 경사지도록 지지하고, 상기 격막부(510)가 탕면 레벨기(300)의 하측을 통과하도록 밀어 넣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하향 경사지도록 배치된 격막부(510)를 탕면 레벨기(300)의 하측 영역을 통과하도록 밀어 넣는 과정에서, 상기 격막부(510)의 경사를 점차 줄이며, 종단에는 경사지지 않고 수평하게 배치 되도록 한다.
이렇게 격막부(510)의 삽입구에 노즐(200)이 대응 위치되면, 도 5b, 도 5c와 같이 격막부를 하강시킨다. 이때, 격막부(510)의 삽입구(550)에 노즐(200)이 위치한 상태로, 상기 격막부가 하강하므로, 노즐(200)과의 간섭없이 용이하게 하강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격막부(510)를 투입 및 하강시킬 때, 격막부(510) 전체에 대해 삽입구(550)의 면적인 50% 이상이 되기 때문에, 몰드 플럭스가 주조 방향으로 강제 이동하더라도, 용강과의 비중 차이에 의해 몰드 플럭스가 삽입구(550)를 통해 상측으로 부유한다.
그리고 몰드(100) 내 탕면 하측으로 격막부(510)가 하강하면, 이후에는 주조 속도와 동기화하여 하측으로 점차 하강한다.
격막부(510)가 하강하여 제 1 격막 부재(510a)가 도 5d와 같이 노즐(200) 하단까지 이동하면, 새로운 용강이 담긴 레이들(10)을 개공하여, 상기 새로운 용강을 턴디시(20) 내로 주입한다. 그리고, 턴디시(20) 내로 주입된 새로운 용강을 노즐(200)을 통해 몰드(100) 내로 주입한다. 이때, 제 1 격막 부재(510a)의 상측에 위치한 노즐의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용강 유동에 의해 수직 상태로 놓여진 제 2 격막 부재(510b)에 힘이 가해진다. 즉, 노즐(200)의 토출구로부터 측 방향으로 토출되는 용강이 유동되는 힘이, 수직 상태로 놓여진 제 2 격막 부재(510b)로 가해져,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격막 부재(510b)가 수평 상태로 회전하여, 정면에서 바라본 격막부의 형상이 "┣"에서 "ㅡ" 형상으로 전환된다. 이때, 격막부(510)의 삽입구(550)는 완전히 폐쇄되고, 격막부(510) 외측의 일부 영역이 개구된다. 즉, 제 2 격막 부재(510b)가 수직인 상태에서 격막부(510)를 투입할 때, 격막부(510)의 삽입구(550)와, 격막부(510)의 외측 영역에 해당하는 일부 영역이 개구되어 있는데, 몰드(100) 폭 방향 면적에 대해, 상기 개구된 면적이 50% 이상이 된다. 그리고 격막부(510)의 투입을 종료하여 제 2 격막 부재(510b)가 수평 상태가 되었을 때, 격막부(510)의 삽입구(550)가 폐쇄되고, 격막부(510)의 외측 영역에 해당하는 일부 영역이 개구되어 있어, 몰드(100) 폭 방향 면적에 대해, 상기 개구된 면적이 30%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이하가 된다. 즉, 격막부(510)의 투입을 종료하였을 때, 몰드(100) 내에서 예컨대 제 1 격막 부재(510a) 및 제 2 격막 부재(510b)와 일 장변부 사이 영역과, 제 2 격막 부재(510b)와 일 단변부 사이의 영역이 개방되어 있는데, 상기 개방 영역의 면적이 30%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이하이다. 상기 격막부의 투입 종료후의 개방 면적은 몰드의 폭 방향 사이즈에 따라 제 1 격막 부재 및 제 2 격막 부재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수정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하나의 격막부를 몰드 내로 투입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격막부를 복수개 예컨대, 2개 마련하여 순차적으로 투입할 수도 있다.
도 6은 이강종을 연속 주조하는데 있어서, 격막부를 투입하지 않았을 때(비교예)와, 본 발명에 따른 격막부를 1개 투입하였을 때(제 1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격막부를 2개를 연속적으로 투입하였을 때(제 2 실시예)의 몰드 주편에서의 혼합부 길이를 그래프화한 것이다.
도 9을 참조하면, 혼합부 무차원 농도가 0.2~0.8일 경우, 격막부를 미투입한 비교예의 혼합부는 9.44m, 본 발명에 따른 격막부를 하나만 투입한 제 1 실시예의 혼합부는 5.88m, 격막부를 두 개를 투입한 제 2 실시예의 혼합부는 4.94m이다. 이로부터 격막부를 투입하지 않았을 때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격막부(510) 하나를 투입할 경우 약 38%, 본 발명에 따른 격막부(510) 두 개를 투입할 경우, 약 48%의 혼합부 저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턴디시(20)의 이동 및 탕면 레벨기(300) 와 같은 주변 설비의 제거 없이, 격막부(510)를 투입시킬 수 있다. 또한, 노즐(200)의 방해를 받지 않고 격막부(510)를 몰드(100) 내로 용이하게 투입시킬 수 있다. 즉, 이종 용강의 혼합을 저감시키기 위해, 주조 조업을 중단하고, 턴디시(20)를 들어올려, 격막부(510)를 투입한 후, 다시 턴디시(20)를 하강시키거나, 탕면 레벨기(300), 와 같이 몰드(100) 주변에 설치된 주변 설비의 제거 과정 없이, 격막부(510)를 투입시킬 수 있다.
또한, 격막부(510)를 투입할 때, 삽입구의 개방에 의해 몰드 플럭스의 부유가 용이하다. 그리고 격막부(510)의 투입이 완료되면, 몰드(100) 또는 스트랜드의 중심인 삽입구(550)가 폐쇄되어, 혼합 용강이 몰드 내 중심 영역 다른 말로 하면, 스트랜드의 중심부로 확산되는 유동 통로가 완전히 없어지므로, 혼합 용강이 스트랜드의 중심으로 이동하는 통로가 차단된다. 따라서, 이강종의 연속 주조에 의해 제조된 주편에서 기존 용강과 새로운 용강이 혼합되어 있는 혼합 길이 또는 혼합 영역이 감소한다.
100: 몰드 200: 노즐
510: 격막부

Claims (9)

  1. 이종(異種) 강종을 연속 주조하는 주조 설비에서 몰드 내에 투입되어 이종 용강의 혼합을 저감하는 혼합 저감 장치로서,
    상기 몰드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면을 형성하는 격막부를 포함하고,
    상기 격막부는,
    상기 몰드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면을 가지며, 상기 몰드의 폭 방향과 평행하도록 배치된 제 1 격막 부재;
    상기 몰드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면을 가지며, 상기 제 1 격막 부재와 대향 위치하여, 일부가 상기 제 1 격막 부재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 1 격막 부재와 연결된 연결 부위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여, 상기 제 1 격막 부재와 수직한 방향으로 배열되거나, 상기 제 1 격막 부재와 평행하게 배열 가능한 제 2 격막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격막 부재가 상기 제 1 격막 부재와 수직한 방향이 되도록 회전되었을 때, 상기 제 1 격막 부재와 제 2 격막 부재 사이에 몰드로 용강을 주입하는 노즐의 통과가 가능한 삽입구가 마련되는 혼합 저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각각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이며, 상기 제 1 및 제 2 격막 부재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격막부를 몰드 내에 투입 시 사용되는 투입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투입 부재의 외주면에 상기 격막부의 투입 깊이를 나타내는 스케일이 형성된 혼합 저감 장치.
  3. 삭제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격막 부재와 상기 제 2 격막 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회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격막 부재는 몰드의 장변 방향으로 연장된 제 1 판 부재 및 일단이 상기 제 1 판 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제 1 판 부재와 교차하도록 상기 몰드의 단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 2 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판 부재의 일단이 상기 회전 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제 2 판 부재는 상기 제 1 판 부재의 일단의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격막 부재의 위치와 반대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제 1 판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판 부재와 제 2 판 부재 사이에 상기 노즐의 통과가 가능한 빈 공간 인 삽입구가 마련된 혼합 저감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2 격막 부재는 상기 몰드의 장변 방향으로 연장된 제 3 판 부재 및 상기 제 3 판 부재로부터 상기 제 2 판 부재가 위치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 4 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4 판 부재는 제 2 판 부재와 대향 위치하고, 상기 제 4 판 부재의 면적은 상기 삽입구에 비해 크거나 같은 혼합 저감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2 격막 부재가 상기 제 1 격막 부재와 평행하도록 배열되었을 때, 상기 제 2 격막 부재는 상기 제 1 격막 부재에 비해 하측에 위치하도록 장착된 혼합 저감 장치.
  7. 이종(異種) 강종을 연속으로 주조하는 이강종 연속 주조 방법으로서,
    몰드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면을 가지며, 상기 몰드의 폭 방향과 평행하도록 배치된 제 1 격막 부재 및 상기 몰드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면을 가지며, 상기 제 1 격막 부재와 대향 위치하여, 일부가 상기 제 1 격막 부재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 1 격막 부재와 연결된 연결 부위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한 제 2 격막 부재를 포함하는 격막부를 기존 용강을 이용한 연속 주조 조업 말기부터 새로운 이종 용강을 주입하는 주조 조업 초기까지 상기 몰드 내로 투입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격막부를 상기 몰드 내로 투입하는 과정은,
    상기 격막부를 상기 몰드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과정;
    상기 제 2 격막 부재를 상기 제 1 격막 부재와 수직을 이루도록 회전시켜, 상기 제 1 격막 부재와 제 2 격막 부재 사이를 이격시켜, 빈 공간인 삽입구를 개구하는 과정;
    상기 삽입구에 노즐이 위치하도록 상기 격막부를 이동시키는 과정;
    상기 삽입구에 상기 노즐이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격막부를 상기 몰드 내로 하강시키는 과정;
    상기 제 1 격막 부재가 상기 노즐의 하부까지 하강하면, 상기 노즐로부터 토출되는 용강에 의해 제 2 격막 부재가 제 1 격막 부재와 평행하도록 회전하여, 상기 삽입구를 폐쇄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이강종 연속 주조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 2 격막 부재는 상기 제 1 격막 부재와의 연결 부위를 기준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 2 격막 부재가 상기 제 1 격막 부재와 평행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격막 부재와 수직을 이루도록 회전하여, 삽입구를 개방하는데 있어서, 상기 제 2 격막 부재의 외측면 중, 상기 제 1 격막 부재와 대향하는 외측면이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 2 격막 부재를 회전시키고,
    상기 제 2 격막 부재가 상기 제 1 격막 부재와 수직인 상태에서 상기 제 1 격막 부재와 평행을 이루도록 회전하여, 삽입구를 폐쇄하는데 있어서, 상기 제 2 격막 부재의 외측면 중, 상기 몰드의 하측 개구를 향하는 외측면이 상측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 2 격막 부재를 회전시키는 이강종 연속 주조 방법.
  9.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격막부를 상기 몰드 내로 투입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격막부에 연결된 투입 부재를 파지하여 하강시키고,
    상기 투입 부재의 외주면에 마련된 스케일을 통해 투입 깊이를 확인하면서 투입하는 이강종 연속 주조 방법.
KR1020140163502A 2014-11-21 2014-11-21 이강종 용강 혼합 저감 장치 및 이강종 연속 주조 방법 KR101639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3502A KR101639750B1 (ko) 2014-11-21 2014-11-21 이강종 용강 혼합 저감 장치 및 이강종 연속 주조 방법
CN201510729463.6A CN105618698B (zh) 2014-11-21 2015-10-30 减少混合级钢水的混合物的装置和用于混合级的连续铸造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3502A KR101639750B1 (ko) 2014-11-21 2014-11-21 이강종 용강 혼합 저감 장치 및 이강종 연속 주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1062A KR20160061062A (ko) 2016-05-31
KR101639750B1 true KR101639750B1 (ko) 2016-07-14

Family

ID=56034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3502A KR101639750B1 (ko) 2014-11-21 2014-11-21 이강종 용강 혼합 저감 장치 및 이강종 연속 주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39750B1 (ko)
CN (1) CN10561869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08814A1 (ko) * 2016-07-08 2018-01-11 주식회사 포스코 주조용 치구 및 이를 이용한 주조방법
CN112296286B (zh) * 2020-11-03 2022-06-07 万恩同 钢水连续铸造隔离板结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46532A (ja) 2007-03-30 2008-10-16 Jfe Steel Kk 異鋼種連続鋳造用継目金物及び鋼の連続鋳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82115A (en) * 1984-06-04 1986-04-15 Bethlehem Steel Corporation Device and procedure for mechanical insertion of a grade separator in continuous steel casting
JPH06297092A (ja) * 1993-04-19 1994-10-25 Nippon Steel Corp 複合金属材料の連続幅可変鋳造装置
KR960000295Y1 (ko) * 1993-12-06 1996-01-0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이(異) 강종 연연주용 치구
CN2366204Y (zh) * 1999-03-26 2000-03-01 宝山钢铁(集团)公司 用于隔离异钢种连浇的铁板自动插入装置
JP3395706B2 (ja) * 1999-04-21 2003-04-14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連続鋳造方法
CN201127992Y (zh) * 2007-11-28 2008-10-08 上海梅山钢铁股份有限公司 同中包异钢种连浇自动插入装置
WO2011163605A2 (en) 2010-06-24 2011-12-29 Isco Industries, Llc Modified pipe inlet
CN202539510U (zh) * 2012-03-01 2012-11-21 首钢总公司 减少无挡墙中间包异钢种板坯连铸过渡坯的装置
KR101460199B1 (ko) * 2012-12-20 2014-11-10 주식회사 포스코 혼합 저감 장치
CN203565814U (zh) * 2013-10-24 2014-04-30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板坯连铸异钢种连浇的隔离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46532A (ja) 2007-03-30 2008-10-16 Jfe Steel Kk 異鋼種連続鋳造用継目金物及び鋼の連続鋳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618698A (zh) 2016-06-01
CN105618698B (zh) 2018-06-01
KR20160061062A (ko) 2016-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9750B1 (ko) 이강종 용강 혼합 저감 장치 및 이강종 연속 주조 방법
EP2837441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high-purity steel casting, and tundish
KR101460199B1 (ko) 혼합 저감 장치
JP2007168411A (ja) 擁壁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製造法
CN105618726A (zh) 设置孕育剂漏斗盒的铁水浇注包
CN201410542Y (zh) 铸造辅助工具
CN104647576B (zh) 用于浇筑混凝土产品的设备
KR20180063605A (ko) 노즐 및 주조방법
CN204799940U (zh) 一种钢包长水口
RU2315681C2 (ru) Способ непрерывной разливки прямоугольных стальных слитков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6818980B2 (ja) 下注ぎ造塊設備
CN206083770U (zh) 大功率电机机壳的浇注装置
KR200439112Y1 (ko) 주형용 세라믹 탕구
CN202539508U (zh) 中间包复合式多功能整体稳流器
CN102350495A (zh) 长寿命的球化处理包
CN202539540U (zh) 一种中间包整体稳流器
JP2020062674A (ja) 異鋼種連続鋳造用仕切板及び異鋼種連続鋳造方法
CN202539507U (zh) 中间包复合式多功能湍流器
KR101009018B1 (ko) 레들의 용강 주입구 개폐장치
KR100828637B1 (ko) 비산 방지 구조를 갖는 침지 노즐
CN108176819A (zh) 一种铸造浇注口工装
CN211191991U (zh) 一种便于调节浇注面积的装置
EP3414032B1 (en) Method of moulding a settable material
RU2247156C2 (ru)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расплава металла в ковше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101615020B1 (ko) 연주 턴디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