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9508B1 - 드립 백 - Google Patents

드립 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9508B1
KR101639508B1 KR1020147034389A KR20147034389A KR101639508B1 KR 101639508 B1 KR101639508 B1 KR 101639508B1 KR 1020147034389 A KR1020147034389 A KR 1020147034389A KR 20147034389 A KR20147034389 A KR 20147034389A KR 101639508 B1 KR101639508 B1 KR 101639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body
oblique
center line
bag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4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3718A (ko
Inventor
아키코 미야와키
미츠노리 사이토
Original Assignee
오끼 쇼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끼 쇼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끼 쇼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13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3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9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9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43Packages adapted to allow liquid to pass through the contents
    • B65D85/8061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05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a valve at the filter-outlet; Anti-drip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2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means for securing the filter holder to the beverag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3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suspended from the top of the beverage container so as to remain in contact with the prepared infu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봉지 본체의 대향하는 2 면의 외표면에 걸림 부재를 첩착한 간략한 구성의 드립 백에 대해, 봉지 본체의 개구부의 개구 면적을 넓히고, 또한 그 개구 형상을 안정화시킨다. 그 때문에, 드립 백 (1) 이, 통수성 여과성 시트 (20) 로 형성되고, 상단부가 개구되는 봉지 본체 (2) 와, 봉지 본체 (2) 의 대향하는 2 면의 외표면에 형성된 박판상 재료로 이루어지는 걸림 부재 (10) 를 갖는다. 걸림 부재 (10) 는, 봉지 본체 (2) 의 개구부 (3) 를 따라 띠상으로 봉지 본체 (2) 에 첩착되어 있는 상부 첩착부 (12), 봉지 본체 (2) 의 폭 방향의 중앙부에 있어서 상부 첩착부 (12) 의 하방에서 봉지 본체 (2) 로부터 일으켜 세울 수 없게 형성되어 있는 중앙부 (13), 및 봉지 본체 (2) 에 첩착되어 있지 않은 걸림부 (11) 를 갖는다. 상부 첩착부 (12) 에는, 1 쌍의 제 1 경사 절선 (L1) 과, 1 쌍의 제 2 경사 절선 (L2) 이 특정한 각도로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드립 백{DRIP BAG}
본 발명은 컵 등의 용기의 상부에 걸어 고정시킴으로써, 용이하게 드립식으로 커피, 홍차, 녹차, 한방약 등의 추출액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드립 백에 관한 것이다.
종래, 손쉽게 본격적인 커피를 즐기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커피를 내리는 방법으로서, 페이퍼 드립 방식이 널리 보급되었다. 이 페이퍼 드립 방식으로는, 통상적으로 여러 잔 분의 커피가 한 번에 추출된다.
한편, 최근, 독신 생활을 하는 사람이 많아지고, 또, 핵가족화나 출생률의 저하 등에 의해 한 가족의 구성 인원수도 적어졌다. 그 때문에, 종래의 여러 잔 분의 커피를 추출하는 것이 기본으로 되어 있는 페이퍼 드립 방식 대신에, 한 잔 분의 커피의 추출을 손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일회용 드립 백이 여러 가지 제품 형태로 시장에 출시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간략한 구성이며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는 것으로서, 통수성 여과성 시트로 이루어지는 봉지 본체와, 봉지 본체의 대향하는 2 면의 외표면에 첩착 (貼着) 된 판지로 이루어지는 걸림 부재로 형성된 드립 백으로서, 걸림 부재를 특정 형상으로 한 것이 있다 (특허문헌 1).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드립 백 (1X) 에 의하면, 봉지 본체 (2) 로부터 걸림 부재 (10X) 의 걸림부 (11X) 를 일으켜 세워, 걸림부 (11X) 를 컵 (200) 에 걸어 고정시킴으로써, 봉지 본체 (2) 의 개구부 (3) 가 벌어진 상태로 용이하게 드립 백 (1X) 을 컵 (200) 에 세팅할 수 있다.
일본 특허 제4079041호
상기 서술한 드립 백 (1X) 은, 일반적인 개구 직경의 컵에서 사용하면,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봉지 본체 (2) 의 개구부 (3) 가 사각형으로 크게 벌어져, 봉지 본체 (2) 내로의 주탕 (注湯) 이 용이해진다. 그러나, 개구부 (3) 로의 주탕 등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점에서는, 개구부의 개구 면적을 더욱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일한 봉지 본체를 사용하여 개구부 (3) 의 개구 면적을 최대한으로 크게 하기 위해서는 , 개구부 (3) 를 진원으로 벌리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봉지 본체 (2) 를 형성하는 통수성 여과성 시트와 걸림 부재 (10X) 를 형성하는 박판상 재료의 강성의 차, 및 봉지 본체 (2) 의 대향하는 2 면에 첩착된 1 쌍의 걸림 부재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것만으로 봉지 본체 (2) 의 개구부 (3) 를 벌린다는 개구 조작에 요구되는 간편성을 만족시키는 점에서, 개구부 (3) 를 진원으로 벌리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은, 봉지 본체의 대향하는 2 면의 외표면에 걸림 부재를 첩착한 간략한 구성의 드립 백에 대해, 드립 백을 컵에 세팅했을 때의 봉지 본체의 개구부의 개구 면적을 현저하게 넓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봉지 본체의 대향하는 2 면의 외표면에 걸림 부재를 첩착한 간략한 구성의 드립 백에 있어서, 개구부를 따라 첩착된 상부 첩착부에, 봉지 본체의 개구부가 8 각형 이상의 다각형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복수의 절선을 형성하고, 그 절선의 방향을 상부 첩착부의 상변에 대해 경사지게 하고, 또한 복수의 절선 사이에서, 그 기울기 각도에 특정한 관계를 갖게 하면, 봉지 본체의 대향하는 2 면의 걸림 부재를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개구부가 8 각형 이상의 다각형으로 개구되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통수성 여과성 시트로 형성되고, 상단부가 개구되는 봉지 본체와,
봉지 본체의 대향하는 2 면의 외표면에 형성된 박판상 재료로 이루어지는 걸림 부재를 갖는 드립 백으로서,
걸림 부재가, 봉지 본체의 개구부를 따라 봉지 본체에 첩착되어 있는 상부 첩착부, 봉지 본체의 폭 방향의 중앙부에 있어서 상부 첩착부의 하방에서 봉지 본체로부터 일으켜 세울 수 없도록 형성되어 있는 중앙부, 및 봉지 본체에 첩착되어 있지 않은 걸림부를 갖고,
상부 첩착부에, 상부 첩착부의 하변으로부터 상변을 향하여 봉지 본체의 폭 방향을 이분하는 중심선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사 절선이, 그 중심선을 사이에 두고 2 쌍 이상 형성되고,
경사 절선 중 중심선측의 제 1 경사 절선과 중심선의 사이에 두는 각도 (θ1) 와, 제 1 경사 절선보다 중심선으로부터 멀어진 제 2 경사 절선과 중심선의 사이에 두는 각도 (θ2) 가,
0 < θ2 ≤ θ1
인 드립 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드립 백에 의하면, 봉지 본체의 외표면에서 대향하는 1 쌍의 걸림부를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겨 컵에 걸어 고정시키면, 봉지 본체의 개구부를 따른 상부 첩착부에 형성된 2 쌍 이상의 경사 절선에 의해, 봉지 본체의 개구부가 8 각형 이상의 다각형상, 바람직하게는 대략 정 10 각형으로 벌어지고, 개구부가 사각형으로 벌어지는 경우와 비교하여 개구 면적을 현저하게 증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봉지 본체의 개구부가 사각형으로 벌어지는 종전의 드립 백과 소재, 형상, 크기가 동등한 첩착 부재와 봉지 본체를 사용한 경우에도, 종전의 드립 백에 대해 개구부의 개구 면적이 약 23 % 증가한다. 따라서, 드립 백의 개구부로의 주탕이 용이해지거나 하여, 드립 백의 사용 용이성이 향상된다.
도 1 은, 개봉 전의 실시예의 드립 백 (1) 의 평면도이다.
도 2 는, 개봉 후의 실시예의 드립 백 (1) 의 사시도이다.
도 3A 는, 컵에 세팅한 실시예의 드립 백 (1) 의 사시도이다.
도 3B 는, 컵에 세팅한 실시예의 드립 백 (1) 의 상면도이다.
도 3C 는, 보다 큰 컵에 세팅한 실시예의 드립 백 (1) 의 상면도이다.
도 4 는, 실시예의 드립 백 (1) 의 제조에 사용하는 드립 백용 시트의 평면도이다.
도 5 는, 개봉 전의 실시예의 드립 백 (1B) 의 평면도이다.
도 6 은, 개봉 후의 실시예의 드립 백 (1B) 의 사시도이다.
도 7 은, 개봉 전의 실시예의 드립 백 (1C) 의 평면도이다.
도 8 은, 컵에 세팅한 실시예의 드립 백 (1C) 의 사시도이다.
도 9 는, 컵에 세팅한 종래의 드립 백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드립 백을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 중, 동일 부호는 동일 또는 동등한 구성 요소를 나타내고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개봉 전의 드립 백 (1) 의 평면도이다. 이 드립 백 (1) 은 대향하는 2 면을 갖는 봉지 본체 (2) 와, 봉지 본체 (2) 의 대향하는 2 면의 외표면에 형성된 걸림 부재 (10) 를 갖는다.
봉지 본체 (2) 는 통수성 여과성 시트로부터 평면에서 보았을 때 사각형의 평봉지상으로 형성되고, 상단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점선 등의 개봉 유도선 (4) 이 형성되어 있다. 봉지 본체 (2) 에는 커피, 홍차, 녹차, 한방약 등의 추출 재료가 충전되어 있다.
도 2 는, 이 드립 백 (1) 의 상단부를 개봉 유도선 (4) 으로 제거하여 개봉 함으로써 개구부 (3) 를 형성한 후, 봉지 본체 (2) 로부터 걸림 부재 (10) 의 걸림부 (11) 를 일으켜 세우기 시작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여기서, 드립 백 (1) 의 걸림 부재 (10) 는, 판지, 플라스틱 시트 등의 박판상 재료의 타발에 의해 형성되어, 봉지 본체 (2) 에 첩착되어 있다. 도 1 에 있어서, 도트로 전부 칠한 부분은, 그 전부 칠해진 부분에 있어서의 걸림 부재 (10) 의 일부 또는 전부가 봉지 본체 (2) 의 외표면에 열융착 또는 접착에 의해 첩착되어 있음으로써, 봉지 본체 (2) 의 표면으로부터 일으켜 세울 수 없도록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드립 백에서는, 봉지 본체의 대향하는 2 면의 각 표면에 있어서, 걸림 부재 (10) 가, 봉지 본체 (2) 의 개구부 (3) 를 따라 봉지 본체 (2) 에 첩착되어 있는 상부 첩착부, 봉지 본체 (2) 의 폭 방향의 중앙부에 있어서 상부 첩착부의 하방에서 봉지 본체 (2) 로부터 일으켜 세울 수 없도록 형성되어 있는 중앙부, 및 봉지 본체 (2) 에 첩착되어 있지 않은 걸림부 (11) 를 갖고, 특히, 본 실시예의 드립 백 (1) 에서는, 걸림 부재 (10) 는 상부 첩착부로서, 봉지 본체 (2) 의 개구부 (3) 를 따라 띠상으로 첩착되어 있는 띠상 첩착부 (12) 를 갖고, 중앙부로서 봉지 본체 (2) 의 중앙부에 첩착되어 있는 중앙 첩착부 (13) 를 갖는다. 또, 이 드립 백 (1) 은, 봉지 본체 (2) 로부터 일으켜 세울 수 있도록 형성된 아암부 (14) 를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중앙 첩착부 (13) 는 오목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전체면이 봉지 본체에 첩착되어 있다.
아암부 (14) 는 중앙 첩착부 (13) 상에 위치하고, 아암부 (14) 의 하단부가 중앙 첩착부 (13) 의 오목형의 오목한 부분과 연속하고 있다. 따라서, 아암부 (14) 는 그 상단부측으로부터 일으켜 세워진다.
걸림부 (11) 는 중앙 첩착부 (13) 와 아암부 (14) 를 둘러싸는 위치에 형성되고, 걸림부 (11) 의 상부는 아암부 (14) 의 상단부와 연속하고 있다. 또, 걸림부 (11) 의 상부 양측에는, 대략 수평으로 신장된 1 쌍의 걸기부 (15) 가 형성되고, 그 봉지 본체 중앙부측 단부에 상하 방향의 절선 (Lx) 이 형성되어 있다.
또, 띠상 첩착부 (12) 의 좌우 양단부로부터는, 상하 방향으로 신장된 걸림부 (11) 의 외측변을 따라 보강부 (16) 가 연장 형성되어, 봉지 본체 (2) 에 첩착되어 있다.
이 드립 백 (1) 에서는, 띠상의 첩착부 (12) 에, 띠상 첩착부 (12) 의 하변 (12b) 으로부터 상변 (12a) 을 향하여 봉지 본체 (2) 의 폭 방향을 이분하는 중심선 (Z) 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진 제 1 경사 절선 (L1) 과 제 2 경사 절선 (L2) 이, 각각 그 중심선 (Z) 을 사이에 두고 1 쌍씩 합계 2 쌍이 병렬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중심선 (Z) 측의 제 1 경사 절선 (L1) 과 중심선 (Z) 의 사이에 두는 각도 (θ1) 와, 제 1 경사 절선 (L1) 보다 중심선 (Z) 으로부터 멀어진 제 2 경사 절선 (L2) 과 중심선 (Z) 의 사이에 두는 각도 (θ2) 가, 0 < θ2 ≤ θ1 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로써, 드립 백 (1) 을 개봉하여 봉지 본체 (2) 의 대향하는 면에 첩착된 1 쌍의 걸림 부재 (10) 의 걸림부 (11) 를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것만으로 제 1 경사 절선 (L1) 과 제 2 경사 절선 (L2) 모두가 절곡되어, 봉지 본체 (2) 의 개구부 (3) 가 8 각형 이상의 다각형으로 벌어지게 된다. 이것에 대해, θ1 < θ2 로 하면, 1 쌍의 걸림부 (11) 를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것에 의해, 중심선 (Z) 에 가까운 제 1 경사 절선 (L1) 은 스스로 절곡되지만, 중심선 (Z) 으로부터 멀어진 제 2 경사 절선 (L2) 은 절곡되기 어려워, 개구부 (3) 는 편평한 사각형으로 벌어지기 쉬워진다.
이것은 본 발명자가 알아낸 다음의 작용에 의한다. 즉, 1 쌍의 걸림부 (11) 를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겼을 경우에, 경사 절선이 중심선 (Z) 측에 가까울수록 절곡되기 쉽고, 또, 경사 절선과 중심선 (Z) 의 각도가 작을수록, 즉, 경사 절선과 상부 첩착부 (12) 의 상변 (12a) 의 각도가 수직에 가까울수록 절곡되기 쉽다. 따라서, 중심선 (Z) 에 가까운 제 1 경사 절선 (L1) 에 대해 중심선 (Z) 으로부터 멀어져 있는 것에 의해, 형성 위치의 면에서는 제 1 경사 절선 (L1) 보다 절곡되기 어려운 제 2 경사 절선 (L2) 이, 각도의 크기 면에서는 제 1 경사 절선보다 절곡되기 쉬워지도록, θ2 < θ1 의 관계를 가짐으로써, 중심선 (Z) 에 가까운 제 1 경사 절선 (L1) 뿐만 아니라, 제 1 경사 절선 (L1) 보다 중심선 (Z) 으로부터 멀어진 제 2 경사 절선 (L2) 도, 1 쌍의 걸림부 (11) 를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것만으로 스스로 절곡되게 된다. 또한, 제 1 경사 절선 (L1) 과 제 2 경사 절선 (L2) 의 떨어져 있는 정도 등에 따라서는, 형성 위치에 의한 절곡 용이성에 큰 차이가 없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θ1 = θ2 로 해도 된다.
또, 제 2 경사 절선 (L2) 과 중심선 (Z) 이 사이에 두는 각도를 제로로 하면, 즉, 제 2 절선을 상부 첩착부 (12) 의 상변 (12a) 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하면, 1 쌍의 걸림부 (11) 를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겼을 경우에, 제 1 경사 절선 (L1) 이 절곡되지 않고 제 2 절선만이 절곡되기 쉬워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경사 절선과 중심선의 사이에 두는 각도가 마이너스가 되면, 즉, 경사 절선이, 상부 첩착부 (12) 의 하변 (12b) 으로부터 상변 (12a) 을 향하여 봉지 본체 (2) 의 폭 방향의 중심선 (Z) 에 가까워지도록 기울면, 봉지 본체 (2) 의 개구부 (3) 에 비틀림이 발생하여, 개구부 (3) 의 벌어짐이 작아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상의 θ1 과 θ2 의 관계는, 중심선 (Z) 을 사이에 두는 경사 절선이 3 쌍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도 성립된다. 따라서, 중심선 (Z) 으로부터 n 번째의 경사 절선과 중심선 (Z) 이 사이에 두는 각을 θn, 중심선 (Z) 으로부터 n-1 번째의 경사 절선과 중심선 (Z) 이 사이에 두는 각을 θn-1 로 했을 경우에, 모든 경사 절선이 0 < θn ≤ θn-1 (단, n ≥ 2) 을 만족하도록 하면, 1 쌍의 걸림부 (11) 를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겼을 때에 어떠한 경사 절선도 절곡되기 쉬워져, 봉지 본체 (2) 의 개구부 (3) 가 다각형으로 벌어지기 쉬워진다.
또, 이 드립 백 (1) 에서는, 1 쌍의 걸림부 (11) 를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긴 것만으로 제 1 경사 절선 (L1) 과 제 2 경사 절선 (L2) 이 절곡되도록, 이들의 절선을 절곡되기 쉽게 형성한다. 예를 들어, 컷의 길이에 대해 타이를 가능한 한 짧게 하고, 타이의 개수를 가능한 한 적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의 절선을 절단선만으로 형성해도 된다. 봉지 본체 (2) 를 형성하는 통수성 여과성 시트에 걸림 부재 (10) 를 첩착하는 작업성도 고려하면, 타이를 2 군데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경사 절선 (L1) 과 제 2 경사 절선 (L2) 을 용이하게 절곡되도록 크리싱하여, 하프 컷 등에 의해 형성해도 된다.
제 1 경사 절선 (L1) 과 제 2 경사 절선 (L2) 의 형성 위치에 관하여, 1 쌍의 제 1 경사 절선 (L1) 의 상부 첩착부 (12) 의 상변 (12a) 에 있어서의 간격 (w1) 과, 이웃하는 제 1 경사 절선 (L1) 과 제 2 경사 절선 (L2) 의 상부 첩착부 (12) 의 상변 (12a) 에 있어서의 간격 (w2) 을 동일하게 하면, 드립 백 (1) 을 컵 (200) 에 세팅했을 경우에, 도 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립 백 (1) 의 개구 형상을 대략 정 10 각형으로 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이로써, 개구 형상이 사각형인 종전의 드립 백과 소재, 형상, 크기가 동일한 첩착 부재와 봉지 본체를 사용한 경우에도, 그 종전의 드립 백과 비교하여 개구 면적이 약 23 % 증가하여, 드립 백 사용의 편리함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또한, 도 3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드립 백 (1) 을 컵의 개구 직경이 보다 큰 컵 (200b) 에 세팅하면, 드립 백 (1) 의 개구 형상은 8 각형이 되지만, 이 경우에도 개구 형상이 사각형인 종전의 드립 백과 비교하여 개구 면적을 증가시킨 것이 된다.
경사 절선을 3 쌍 이상 형성하는 경우도 동일하며, 상부 첩착부 (12) 의 상변 (12a) 에 있어서, 이웃하는 경사 절선끼리의 간격을 모두 동일하게 함으로써, 봉지 본체 (2) 의 개구부 (3) 를 보다 진원에 가깝게 벌어지게 할 수 있다.
한편, 봉지 본체 (2) 를 형성하는 통수성 여과성 시트 (20) 로는, 소정량의 추출 재료를 충전하여 주탕했을 경우에, 추출 재료의 침출이 가능한 것을 여러 가지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침출용 시트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비닐론 등의 합성 섬유, 레이온 등의 반합성 섬유, 닥나무, 삼지닥나무 등의 천연 섬유의 단독 또는 복합 섬유로 이루어지는 직포 혹은 부직포, 마닐라삼, 목재 펄프, 폴리프로필렌 섬유 등으로 이루어지는 혼초지, 티백 원지 등의 종이류가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에 있어서도 이것들을 사용할 수 있다.
환경에 대한 부하를 경감시키는 점에서, 통수성 여과성 시트 (20) 를 형성하는 섬유나, 걸림 부재 (10) 를 형성하는 박판상 재료로서 무표백인 것을 사용해도 된다. 또, 드립 백의 사용 후의 폐기성 면에서, 통수성 여과성 시트 재료나 박판상 재료에는 생분해성 섬유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분해성 섬유로는, 폴리락트산,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 폴리에틸렌숙시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 커피 분말 등을 추출 재료로 하는 경우에는, 드립시에 추출 재료에 적당한 뜸들이기 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섬유 재료로 통수성 여과성 시트를 제조할 때에는, 섬유층의 공극률을 조정함으로써 추출 재료에 직접 접하게 되는 층을 「성김」으로 하고, 직접적으로 접하지 않는 층을 「빽빽함」으로 하는 소밀한 복층 구조로 하며, 또한 추출 재료에 직접 접하게 되는 층에서는 소수성 섬유의 함유율을 높이고, 추출 재료에 직접 접하지 않는 층에서는 소수성 섬유의 함유율을 낮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본 특허 제3674486호).
이 드립 백 (1) 의 사용 방법으로는, 먼저, 점선 등의 개봉 유도선 (4) 을 따라 봉지 본체 (2) 의 상단부를 절제함으로써 봉지 본체 (2) 를 개구하고,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봉지 본체 (2) 의 표리 1 쌍의 걸림 부재 (10) 의 아암부 (14) 와 걸림부 (11) 를 일으켜 세우고, 더욱 크게 일으켜 세워 도 3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컵 (200) 에 걸림부 (11) 를 걸어 고정시킨다. 이로써, 봉지 본체 (2) 의 개구부 (3) 가 도 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정 10 각형으로 벌어진다.
본 발명의 드립 백의 제조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쌍의 걸림 부재 (10) 의 바닥부측끼리를, 간격을 두고 대향시킨 것을 긴 띠상의 통수성 여과성 시트 (20) 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 배치한 드립 백용 시트 (21) 를 준비하고, 그 시트 (21) 를 길이 방향의 가장자리변끼리가 서로 겹치도록 반으로 접어, 봉지 본체 (2) 의 폭의 간격에서 폭 방향으로 용착 용단을 반복하고, 그 사이에 커피 분말 등의 추출 재료를 1 봉지분씩 충전해 감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 경우의 용착 용단부가 봉지 본체 (2) 의 양 측변 (2p, 2q) (도 1) 이 된다. 또, 이 폭 방향의 용착 용단에 앞서, 통수성 여과성 시트 (21) 에는, 미리, 개봉용의 개봉 용이선으로서 점선 등의 개봉 유도선 (4) 을 형성해 둔다. 또한, 개봉 유도선 (4) 으로는, 점선 (4) 대신에, 초음파나 열 등으로 라인상의 취약부를 형성해도 된다.
본 발명의 드립 백은, 여러 가지의 양태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첩착부에 형성하는 경사 절선으로서, 봉지 본체 (2) 의 폭 방향을 이분하는 중심선 (Z) 을 사이에 두고 3 쌍 이상의 경사 절선을 형성해도 된다. 경사 절선의 수를 늘림으로써, 드립 백의 개구 형상을 진원에 가깝게 할 수 있다. 드립 백의 제조시의 가공 용이성의 점에서는, 경사 절선의 수는 2 쌍 또는 3 쌍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도 5 에 나타내는 드립 백 (1B) 과 같이, 중앙 첩착부 (13) 를 山 자형으로 형성하고, 아암부 (14) 가 좌우로 분단되도록 중앙 첩착부 (13) 와 상부 첩착부 (12) 를 연속시켜도 된다. 이 드립 백 (1B) 도, 봉지 본체 (2) 의 폭 방향을 이분하는 중심선 (Z) 을 사이에 두고, 제 1 경사 절선 (L1) 과 제 2 경사 절선 (L2) 이 1 쌍씩 형성되어 있고, 이들은 0 < θ2 ≤θ1 의 각도로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봉하여 1 쌍의 걸림부 (11) 를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기고, 그것을 컵에 걸어 고정시키는 것만으로, 상기 서술한 드립 백 (1) 과 동일하게 개구부 (3) 가 넓게 개구된다.
도 7 에 나타내는 드립 백 (1C) 은, 도 1 에 나타낸 드립 백 (1) 에 있어서 봉지 본체 (2) 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세로로 긴 평봉지상인 것을 가로로 긴 평봉지상으로 하고, 걸림 부재 (10) 도 가로로 길게 되어 있다.
이 드립 백 (1C) 에서는, 봉지 본체 (2) 의 개구부 (3) 를 따른 띠상의 상부 첩착부 (12) 를 갖고, 상부 첩착부 (12) 의 폭 방향 중앙부의 하측으로 일으켜 세울 수 없는 중앙부 (13) 가 계속되어 있다. 상부 첩착부 (12) 에는, 상부 첩착부 (12) 의 하변으로부터 상변을 향하는 제 1 경사 절선 (L1) 과 제 2 경사 절선 (L2) 이 1 쌍씩 형성되어 있다.
이 드립 백 (1C) 에 있어서 중앙부 (13) 는 봉지 본체 (2) 에 첩착되어 있지 않지만, 첩착시킴으로써 중앙부 (13) 를 중앙 첩착부로 해도 된다.
중앙부 (13) 의 하단으로부터 아암부 (14) 가 수평으로 좌우 방향으로 신장되고, 아암부 (14) 의 좌우의 단부에 원호상의 걸림부 (11) 의 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이 드립 백 (1C) 을 컵에 걸어 고정시킬 때에는, 걸림부 (11) 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겨,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림부 (11) 를 컵 (200) 에 걸어 고정시킨다. 이로써 상부 첩착부 (12) 의 제 1 경사 절선 (L1) 과 제 2 경사 절선 (L2) 이 모두 절곡되고, 봉지 본체 (2) 의 개구부 (3) 가 8 각형 이상의 다각형으로 벌어져, 넓은 개구 면적을 얻을 수 있다.
1, 1B, 1C, 1X : 드립 백
2 : 봉지 본체
2p, 2q : 측부 가장자리
3 : 개구부
4 : 개봉 유도선
10, 10B, 10X : 걸림 부재
11, 11X : 걸림부
12 : 상부 첩착부, 띠상 첩착부
12a : 상부 첩착부의 상변
12b : 상부 첩착부의 하변
13 : 중앙부, 중앙 첩착부
14 : 아암부
15 : 걸기부
16 : 보강부
20 : 통수성 여과성 시트
21 : 드립 백용 시트
200, 200b : 컵
L1 : 제 1 경사 절선
L2 : 제 2 경사 절선
Lx : 절선
W0 : 봉지 본체의 폭
W1 : 1 쌍의 제 1 경사 절선의 간격
W2 : 제 1 경사 절선과 제 2 경사 절선의 간격
Z : 봉지 본체의 폭 방향의 중심선

Claims (10)

  1. 통수성 여과성 시트로 형성되고, 상단부가 개구되는 봉지 본체와,
    봉지 본체의 대향하는 2 면의 외표면에 형성된 박판상 재료로 이루어지는 걸림 부재를 갖는 드립 백으로서,
    걸림 부재가, 봉지 본체의 개구부를 따라 봉지 본체에 첩착되어 있는 상부 첩착부, 봉지 본체의 폭 방향의 중앙부에 있어서 상부 첩착부의 하방에서 봉지 본체로부터 일으켜 세울 수 없도록 형성되어 있는 중앙부, 및 봉지 본체에 첩착되어 있지 않은 걸림부를 갖고,
    상부 첩착부에, 상부 첩착부의 하변으로부터 상변을 향하여 봉지 본체의 폭 방향을 이분하는 중심선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사 절선이, 그 중심선을 사이에 두고 2 쌍 이상 형성되고,
    경사 절선 중 중심선측의 제 1 경사 절선과 중심선의 사이에 두는 각도 (θ1) 와, 제 1 경사 절선보다 중심선으로부터 멀어진 제 2 경사 절선과 중심선의 사이에 두는 각도 (θ2) 가,
    0 < θ2 ≤ θ1
    인 드립 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선을 사이에 두고 2 쌍 또는 3 쌍의 경사 절선이 형성되어 있는 드립 백.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선을 사이에 두고 3 쌍 이상의 경사 절선이 형성되어 있고, 중심선으로부터 n 번째의 경사 절선과 중심선이 사이에 두는 각을 θn, 중심선으로부터 n-1 번째의 경사 절선과 중심선이 사이에 두는 각을 θn-1 로 한 경우에, 모든 경사 절선이
    0 < θn ≤ θn-1 (단, n ≥ 2)
    을 만족하는 드립 백.
  4. 제 1 항에 있어서,
    1 쌍의 제 1 경사 절선의 상부 첩착부의 상변에 있어서의 간격과, 이웃하는 제 1 경사 절선과 제 2 경사 절선의 상부 첩착부의 상변에 있어서의 간격이 동등한 드립 백.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선을 사이에 두고 3 쌍 이상의 경사 절선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 첩착부의 상변에 있어서, 이웃하는 경사 절선끼리의 간격이 모두 동등한 드립 백.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앙부가 봉지 본체에 첩착되어, 중앙 첩착부를 형성하고 있는 드립 백.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걸림부가, 봉지 본체로부터 일으켜 세울 수 있도록 형성된 아암부를 갖고, 아암부를 개재하여 걸림부가 중앙부와 연속하고 있는 드립 백.
  8. 제 7 항에 있어서,
    아암부의 하단부가 중앙부와 연속하고, 아암부의 상단부가 걸림부와 연속하고 있는 드립 백.
  9.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부 첩착부가 띠상의 띠상 첩착부인 드립 백.
  10.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봉지 본체에 추출 재료가 충전되고, 봉지 본체의 상단부가 닫혀 있는 드립 백.
KR1020147034389A 2012-12-11 2013-12-11 드립 백 KR1016395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2/082113 WO2014091568A1 (ja) 2012-12-11 2012-12-11 ドリップバッグ
JPPCT/JP2012/082113 2012-12-11
PCT/JP2013/083260 WO2014092136A1 (ja) 2012-12-11 2013-12-11 ドリップバッ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3718A KR20150013718A (ko) 2015-02-05
KR101639508B1 true KR101639508B1 (ko) 2016-07-13

Family

ID=50933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4389A KR101639508B1 (ko) 2012-12-11 2013-12-11 드립 백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730692B2 (ko)
EP (1) EP2932873B1 (ko)
KR (1) KR101639508B1 (ko)
CN (1) CN104334060B (ko)
RU (1) RU2638508C2 (ko)
TW (1) TWI557044B (ko)
WO (2) WO201409156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8513B1 (ko) * 2021-06-03 2022-02-25 주찬 음료 추출용 드립 백
KR102368514B1 (ko) * 2021-06-03 2022-02-25 주찬 이중 고정이 가능한 음료 추출용 드립 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452U (ko) 2015-12-29 2017-07-07 주식회사 영우워터라인 저렴한 단가로 용이하게 제조되는 커피추출을 위한 일회용 접이식 드립퍼
KR20170002637U (ko) 2016-01-14 2017-07-24 주식회사 영우워터라인 컵의 장착이 용이한 일회용 드립퍼
WO2018193295A1 (en) * 2017-04-21 2018-10-25 Castillo Redondo Mauricio Portable brewing device
CN107963345B (zh) * 2017-07-14 2019-11-26 常州信息职业技术学院 悬挂式粉末饮品包装袋
US10624487B2 (en) * 2017-09-28 2020-04-21 Tzu-Chi LIN Anti-overflow brewing filter and spiral hanging-ear structure coupled thereto
CN109645822A (zh) * 2017-10-11 2019-04-19 林紫绮 防溢漏冲泡过滤器及螺旋挂耳结构
TWI721240B (zh) * 2018-01-08 2021-03-11 林紫綺 掛耳式杯套結構
DE102018101333A1 (de) * 2018-01-22 2019-07-25 Melitta Single Portions Gmbh & Co. Kg Portionspack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etränks
DE102018101338A1 (de) * 2018-01-22 2019-07-25 Melitta Single Portions Gmbh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etränks mit einer Portionspackung und Portionspackung
JP7148907B2 (ja) * 2018-04-20 2022-10-06 キーコーヒー株式会社 ドリップバッグ
JP7250278B2 (ja) * 2018-08-10 2023-04-03 味の素株式会社 ドリップバッグ
JP6710385B1 (ja) * 2019-09-03 2020-06-17 キーコーヒー株式会社 抽出バッグ
CN115135206B (zh) * 2020-02-26 2024-05-28 大纪商事株式会社 滴滤袋
JP7452859B2 (ja) 2020-12-03 2024-03-19 大紀商事株式会社 ドリップバッグ
CN117677323A (zh) * 2021-07-21 2024-03-08 大纪商事株式会社 滴滤袋
US11694876B2 (en) 2021-12-08 2023-07-04 Applied Material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elivering a plurality of waveform signals during plasma processing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59878A (en) * 1957-06-06 1958-11-11 Phillip P Spiselman Filter-supporting funnel
DE3016729A1 (de) * 1980-04-30 1981-11-05 Maxs Ag, Sachseln Korbfilter
JPS5940909Y2 (ja) * 1982-06-03 1984-11-22 株式会社システムコミユニケ−シヨンズ コ−ヒ−抽出器
US4715271A (en) * 1986-07-31 1987-12-29 Noazi Kasai Disposable beverage brewer
US4735719A (en) * 1987-02-12 1988-04-05 Benedict Engineering Co., Inc. Coffee filter ring
DE3715519A1 (de) * 1987-05-09 1988-11-17 Jacobs Suchard Gmbh Aufsatzfilter fuer die herstellung von kaffee-getraenken
US5055311A (en) * 1988-02-24 1991-10-08 Walter H. Braier, Jr. Disposable coffee-brewing apparatus
GB0000921D0 (en) * 2000-01-14 2000-03-08 Molins Plc Infusion packages
JP3674486B2 (ja) 2000-09-27 2005-07-20 大紀商事株式会社 ドリップ用コーヒーフィルター
US20020185010A1 (en) * 2001-06-11 2002-12-12 Antonio Spiteri Self supporting coffe filter
US7235272B2 (en) * 2001-07-30 2007-06-26 Ohki Co., Ltd. Drip bag
JP3709177B2 (ja) * 2002-06-28 2005-10-19 味の素ゼネラルフーヅ株式会社 濾過具
JP4079041B2 (ja) 2002-12-06 2008-04-23 大紀商事株式会社 ドリップバッグ
JP4070628B2 (ja) * 2003-02-13 2008-04-02 不双産業株式会社 ドリップバッグ
DE10342416A1 (de) * 2003-09-13 2005-04-07 Outlast Technologies, Inc., Boulder Filtermaterial
JP2006036357A (ja) * 2004-07-27 2006-02-09 Keiichi Kikuchi ドリップ抽出バッグ
JP4688142B2 (ja) * 2005-03-29 2011-05-25 山中産業株式会社 コーヒー及びその他嗜好性飲料抽出用バッグ
CN2803202Y (zh) * 2005-04-26 2006-08-09 康宝农业(漳州)有限公司 一种挂耳式咖啡滤袋
JP4786250B2 (ja) * 2005-08-11 2011-10-05 山中産業株式会社 嗜好性飲料抽出用バッグ
JP5152779B2 (ja) * 2007-08-03 2013-02-27 山中産業株式会社 嗜好性飲料抽出用バッグ
JP5326366B2 (ja) 2008-05-26 2013-10-30 大紀商事株式会社 ドリップバッグ
JP5105119B2 (ja) * 2010-12-15 2012-12-19 大紀商事株式会社 ドリップバッグ
JP5640754B2 (ja) * 2011-01-13 2014-12-17 大紀商事株式会社 ドリップバッグ
JP5575013B2 (ja) * 2011-03-02 2014-08-20 片岡物産株式会社 簡易型濾過器
JP5894740B2 (ja) * 2011-03-09 2016-03-30 不双産業株式会社 抽出用バッグ
CN102670075B (zh) * 2011-03-15 2016-04-27 不双产业株式会社 滴滤袋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8513B1 (ko) * 2021-06-03 2022-02-25 주찬 음료 추출용 드립 백
KR102368514B1 (ko) * 2021-06-03 2022-02-25 주찬 이중 고정이 가능한 음료 추출용 드립 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334060B (zh) 2016-08-24
KR20150013718A (ko) 2015-02-05
US10730692B2 (en) 2020-08-04
EP2932873A4 (en) 2016-08-03
TWI557044B (zh) 2016-11-11
EP2932873A1 (en) 2015-10-21
RU2015111673A (ru) 2017-01-10
CN104334060A (zh) 2015-02-04
WO2014091568A1 (ja) 2014-06-19
WO2014092136A1 (ja) 2014-06-19
RU2638508C2 (ru) 2017-12-13
US20160001969A1 (en) 2016-01-07
EP2932873B1 (en) 2017-05-17
TW201438971A (zh) 2014-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9508B1 (ko) 드립 백
KR101648288B1 (ko) 드립 백
KR101494490B1 (ko) 드립 백
JP6451818B2 (ja) ドリップバッグ
JP5105119B2 (ja) ドリップバッグ
JP5640754B2 (ja) ドリップバッグ
JP7148907B2 (ja) ドリップバッグ
JP7094507B2 (ja) ドリップバッグ
JP5892262B2 (ja) ドリップバッグ
JP5858172B2 (ja) ドリップバッグ
JP7250278B2 (ja) ドリップバッグ
JP7452859B2 (ja) ドリップバッグ
WO2023002605A1 (ja) ドリップバッグ
CN115135206A (zh) 滴滤袋
CN206108028U (zh) 新型冲泡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