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8513B1 - 음료 추출용 드립 백 - Google Patents

음료 추출용 드립 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8513B1
KR102368513B1 KR1020210071999A KR20210071999A KR102368513B1 KR 102368513 B1 KR102368513 B1 KR 102368513B1 KR 1020210071999 A KR1020210071999 A KR 1020210071999A KR 20210071999 A KR20210071999 A KR 20210071999A KR 102368513 B1 KR102368513 B1 KR 1023685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bag
center line
wing
ext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1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찬
Original Assignee
주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찬 filed Critical 주찬
Priority to KR1020210071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85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8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85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2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means for securing the filter holder to the beverag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5Portable or compact beverage making apparatus, e.g. for travelling, for use in automotive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음료 추출용 드립 백이 개시되며,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용 드립 백은, 통수성 및 여과성 시트로 형성되고, 상단부가 개구된 추출용 백 및 상기 추출용 백의 대향하는 양면의 외표면에 적어도 일부가 부착되는 형태로 배치되는 박판상 재료로 이루어진 한 쌍의 지지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지지 시트 각각은, 용기의 테두리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측으로 함몰된 한 쌍의 홈을 형성하고, 상기 외표면의 좌우 방향 기준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접힘선을 축으로 하여 좌우 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상기 외표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벌어짐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날개 부재와 제2날개 부재를 포함하는 날개부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료 추출용 드립 백{DRIP BAG FOR BEVERAGE BREWING}
본원은 음료 추출용 드립 백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본원은 드립 커피 필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커피, 홍차, 엽차, 우롱차, 기타 건강차 등의 음료를 추출하기 위하여, 종이 필터의 상부에서 뜨거운 물을 주입하여 드립(drip) 방식으로 내려 마시는 방법이 일반화 되었고, 추출시 필터를 컵 위에 안정된 상태로 유지하는 동시에, 음료의 추출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드립 백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드립 커피 등의 드립형 음료는 대부분이 일회용 여과지를 이용하는 것으로, 분쇄커피 등과 미리 함께 포장되어 있고, 그 상태로 저장 및 유통되며 개봉 후 조립하여 뜨거운 물을 부음으로서 음료를 즐길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종이컵 등의 용기 상부의 가장자리 위에 드립 백을 걸치는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 컵의 크기 및 형상의 다양성으로 인하여 드립 백의 충분한 안정성이 확보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원형 또는 타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단순한 형상의 수용 공간에 분쇄커피 등을 저장하도록 제작되는 드립 백의 경우 드립을 위하여 더운 물 등을 부을 때 저장된 분쇄커피 등이 수용 공간 내에서 특정 영역으로 치우치게 되어 드립 백이 용기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지지되기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13211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용기의 상부의 테두리부에 안정적으로 걸쳐지도록 상측으로 함몰된 한 쌍의 홈을 형성하는 날개부를 구비한 음료 추출용 드립 백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용 드립 백은, 통수성 및 여과성 시트로 형성되고, 상단부가 개구된 추출용 백 및 상기 추출용 백의 대향하는 양면의 외표면에 적어도 일부가 부착되는 형태로 배치되는 박판상 재료로 이루어진 한 쌍의 지지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지지 시트 각각은, 용기의 테두리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측으로 함몰된 한 쌍의 홈을 형성하고, 상기 외표면의 좌우 방향 기준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접힘선을 축으로 하여 좌우 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상기 외표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벌어짐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날개 부재와 제2날개 부재를 포함하는 날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홈은 상기 날개부의 좌우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인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지지 시트 각각은, 상기 외표면의 상단부와 상기 외표면의 상기 한 쌍의 접힘선 사이 영역에 부착되는 접착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부에는, 상기 외표면의 상단부에 상기 외표면의 좌우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향하는 좌측 접힘선 및 우측 접힘선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측 접힘선 및 상기 우측 접힘선을 경계로 하여 상기 접착부가 적어도 일부 구부러짐으로써 상기 추출용 백의 수용 공간이 상하 방향에 연직한 면 방향을 기준으로 다각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측 접힘선 및 상기 우측 접힘선은 상기 한 쌍의 접힘선 대비 상기 외표면의 좌우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치우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접힘선은,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날개부의 좌우 방향 중심선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상기 날개부의 좌우 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홈의 함몰 깊이는, 상기 추출용 백의 상하 방향 높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부와 상기 제1날개 부재 및 상기 제2날개 부재 사이의 절개선은 상기 날개부의 좌우 방향 중심선으로부터 외측으로 멀어질수록 하측으로 치우치도록 좌우 방향을 기준으로 비스듬히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용기의 상부의 테두리부에 안정적으로 걸쳐지도록 상측으로 함몰된 한 쌍의 홈을 형성하는 날개부를 구비한 음료 추출용 드립 백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원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용 드립 백이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원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용 드립 백이 접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는 본원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용 드립 백이 접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원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용 드립 백이 펼쳐진 상태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본원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용 드립 백이 펼쳐진 상태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본원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용 드립 백이 펼쳐진 상태를 상측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원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용 드립 백이 용기에 대하여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참고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 중 방향이나 위치에 관련된 용어(상단, 하단, 상부, 하부, 상하 방향, 좌우 방향 등)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각 구성의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도2a및 도 2b에서 보았을 때 좌우 방향은 3시에서 9시방향, 상하 방향은 12시에서 6시방향일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방향 설정은 본원 드립 백의 배치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필요에 따라서는 도2a및 도 2b 기준 좌우 방향이 수직 방향(상하 방향)을 향하도록 본원 드립 백이 배치될 수 있고, 다른 예로 도2a및 도 2b 기준 상향이 비스듬한 경사 방향을 향하도록 본원 드립 백이 배치될 수 있다.
본원은 음료 추출용 드립 백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본원은 드립 커피 필터에 관한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원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용 드립 백이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용 드립 백(10)(이하, '드립 백(10)'이라 한다.)은, 추출용 백(100) 및 한 쌍의 지지 시트(200, 200')를 포함할 수 있다.
추출용 백(100)은 통수성 및 여과성 시트로 형성되고, 상단부가 개구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추출용 백(100)은 분쇄커피 등의 드립형 음료를 만들기 위한 원재료가 내측에 저장(포장)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것일 수 있으며, 추출용 백(100)에 대한 사항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 쌍의 지지 시트(200, 200')는 추출용 백(100)의 대향하는 양면의 외표면에 적어도 일부가 부착되는 형태로 배치되는 박판상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달리 말해, 한 쌍의 지지 시트(200, 200')는 각각 추출용 백(100)의 정면측과 배면측에 상호 대칭의 형태로 적어도 일부가 부착될 수 있다. 달리 말해, 지지 시트(200) 및 지지 시트(200')는 동일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 개시하는 드립 백(10)의 한 쌍의 지지 시트(200, 200') 각각은 접착부(210) 및 날개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a는 본원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용 드립 백이 접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b는 본원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용 드립 백이 접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2b에서 점선은 접힘선을 나타내고 파선은 절개선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한 쌍의 지지 시트(200, 200') 각각은 용기(1)의 테두리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측으로 함몰된 한 쌍의 홈(A1, A2)을 형성하고, 추출용 백(100)의 외표면의 좌우 방향 기준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접힘선(fa1, fa2)을 축으로 하여 좌우 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추출용 백(100)의 외표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벌어짐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날개 부재(221)와 제2날개 부재(222)를 포함하는 날개부(220)를 구비할 수 있다.
달리 말해, 본원에서 개시하는 드립 백(10)의 한 쌍의 지지 시트(200, 200') 각각은 용기(1)의 테두리부에 거치되는 홈을 형성하는 복수의 날개 부재(221, 222, 221', 22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한 쌍의 지지 시트(200, 200') 중 어느 하나의 지지 시트(200)에 대하여 구비되는 한 쌍의 날개 부재(221, 222)가 용기(1)의 테두리부의 일측 영역에 배치될 때, 한 쌍의 지지 시트(200, 200') 중 나머지 지지 시트(200')에 대하여 구비되는 한 쌍의 날개 부재(221', 222')는 전술한 용기(1)의 일측 영역과 대향하는(마주보는) 타측 영역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제1날개 부재(211) 및 제2날개 부재(222)의 한 쌍의 홈(A1, A2)의 좌우 방향 기준 외측 영역(2210, 2220)은 드립 백(10)이 용기(1)에 거치된 상태에서 용기(1)의 테두리부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한 쌍의 홈(A1, A2)의 함몰 깊이는 추출용 백(100)의 상하 방향 높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홈(A1, A2)의 함몰 깊이는 대용량의 원재료를 수용하도록 추출용 백(100)이 커질수록 추출용 백(100)의 상하 방향 높이에 비례하여 증가하는(깊어지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한 쌍의 홈(A1, A2)은 날개부(220)의 좌우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인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한 쌍의 접힘선(fa1, fa2)은 날개부(220)의 좌우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인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한 쌍의 홈(A1, A2)은 한 쌍의 접힘선(fa1, fa2) 대비 좌우 방향 기준 외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드립 백(10)의 한 쌍의 지지 시트(200, 200') 각각은 추출용 백(100)의 외표면의 상단부 및 추출용 백(100) 외표면 상의 한 쌍의 접힘선(fa1, fa2) 사이 영역에 부착되는 접착부(210)를 구비할 수 있다. 달리 말해, 접착부(210)는 제1날개 부재(221) 및 제2날개 부재(222)의 상측에 배치되며 추출용 백(100) 외표면의 상부측에 부착되는 제1파트와 제1날개 부재(221) 및 제2날개 부재(222)에 대응하는 한 쌍의 접힘선(fa1, fa2)의 사이 영역에서 추출용 백(100) 외표면에 부착되는 제2파트로 구분될 수 있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서 제1파트 및 제2파트는 접착부(210)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하여 구분하여 정의되는 것으로서, 접착부(210)는 제1파트 및 제2파트가 일체로 마련되는 T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도 2b의 빗금친 영역 참조.).
또한, 도 2b를 참조하면, 접착부(210)와 제1날개 부재(221) 및 제2날개 부재(222) 사이의 절개선은 날개부(220)의 좌우 방향 중심선으로부터 외측으로 멀어질수록 하측으로 치우치도록 좌우 방향을 기준으로 비스듬히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달리 말해, 제1날개 부재(221) 및 제2날개 부재(222)의 상측에 구비되는 절개선은 좌우 방향 중심부로 갈수록 상향하는 비스듬한 경사 방향으로 절개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한 쌍의 접힘선(fa1, fa2)을 축으로 하여 한 쌍의 지지 시트(200, 200')의 날개부(220)의 좌우 방향 기준 외측부가 추출용 백(100)의 외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1날개 부재(221) 및 제2날개 부재(222)를 회전시키고 제1날개 부재(221) 및 제2날개 부재(222)를 추출용 백(100)의 외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힘을 가하면, 제1날개 부재(221) 및 제2날개 부재(222)에 가해지는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한 쌍의 지지 시트(200, 200') 및 추출용 백(100)의 외표면을 연결하는 접착부(210)가 추출용 백(100)의 외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외측 방향으로 마찬가지로 잡아당겨지게 되고, 이에 따라 전후 방향(도 2 기준 도면의 법선 방향)을 기준으로 납작한 상태로 포장된 추출용 백(100)이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 방향 양방향으로 부풀어지게 될 수 있다(달리 말해, 펼친 상태).
이러한, 펼친 상태에서 드립 백(10)은 드립형 음료를 만들기 위한 원재료를 수용하는 추출용 백(100)의 수용 공간(S)이 확장되게 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수용 공간(S)에 뜨거운 물 등을 부어 드립형 음료(예를 들면, 드립 커피)를 만들 수 있게 된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착부(210)의 제1파트에는 추출용 백(100)의 외표면의 좌우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향하는 좌측 접힘선(fb1) 및 우측 접힘선(fb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좌측 접힘선(fb1) 및 우측 접힘선(fb2)은 날개부(220)의 한 쌍의 접힘선(fa1, fa2) 대비 추출용 백(100)의 외표면에서 좌우 방향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치우치도록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접착부(210)의 좌측 접힘선(fb1) 및 우측 접힘선(fb2)을 각각 경계로 하여 접착부(210)가 적어도 일부 구부러짐으로써 추출용 백(100)의 내측에 형성되는 수용 공간이 상하 방향에 연직한 면 방향을 기준으로 다각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도 2a 및 도 2b를 함께 참조하면,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 용기(1)의 테두리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측으로 함몰된 한 쌍의 홈(A1, A2)의 함몰 형상은 각진 형태(도 2a), 둥근 형태(도 2b) 등으로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2a를 참조하면, 본원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드립용 백(10)이 펼쳐진 상태에서 추출용 백(100)이 좌측 접힘선(fb1) 및 우측 접힘선(fb2)을 사이에 배치되는 중심 접힘선(fc)을 통해 필요에 따라 보다 넓은 단면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지지 시트(200)는 중심 접힘선(fc)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원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용 드립 백이 펼쳐진 상태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4는 본원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용 드립 백이 펼쳐진 상태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본원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용 드립 백이 펼쳐진 상태를 상측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드립용 백(10)이 펼쳐진 상태에서 추출용 백(100)은 좌측 접힘선(fb1) 및 우측 접힘선(fb2)을 각각 경계로 하여 구부러짐으로써 수용 공간(S)이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본원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용 드립 백이 용기에 대하여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순히 원형 또는 타원형의 단면으로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경우, 수용 공간에 드립을 위하여 물 등을 부을 때 저장된 원재료가 특정 방향으로 치우치게 되면, 추출용 백(100)의 수용 공간의 기존 형상이 지속적으로 유지되기 어려운 반면, 본원에서 개시하는 드립용 백(10)의 경우, 추출용 백(100)이 다각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수용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원재료의 쏠림 등의 영향을 적게 받고 안정적으로 용기(1)에 대하여 지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날개부(220)의 한 쌍의 접힘선(fa1, fa2)은 상측으로 갈수록 날개부(220)의 좌우 방향 중심선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날개부(220)의 좌우 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기울어지도록(비스듬히)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접힘선(fa1, fa2)이 좌우 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비스듬히 형성되는 타입의 드립 백(10)의 경우, 접착부(210)의 제2파트의 상부의 좌우 방향 너비가 제2파트의 하부의 좌우 방향 너비 대비 크게 구비됨으로써, 제2파트의 상부가 추출용 백(100)의 외표면을 제2파트의 하부 대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도 제1날개 부재(221) 및 제2날개 부재(222)를 추출용 백(100)의 외측 방향으로 쉽게 당길 수 있는 것에 이점이 있을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음료 추출용 드립 백
100: 추출용 백
200, 200': 한 쌍의 지지 시트
210: 접착부
220: 날개부
221: 제1날개 부재
222: 제2날개 부재
1: 용기

Claims (9)

  1. 음료 추출용 드립 백에 있어서,
    통수성 및 여과성 시트로 형성되고, 상단부가 개구된 추출용 백; 및
    상기 추출용 백의 대향하는 양면의 외표면에 적어도 일부가 부착되는 형태로 배치되는 박판상 재료로 이루어진 한 쌍의 지지 시트,
    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지지 시트 각각은,
    용기의 테두리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측으로 함몰된 한 쌍의 홈을 형성하고, 상기 외표면의 좌우 방향 기준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접힘선을 축으로 하여 좌우 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상기 외표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벌어짐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날개 부재와 제2날개 부재를 포함하는 날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지지 시트 각각은,
    상기 외표면의 상단부와 상기 외표면의 상기 한 쌍의 접힘선 사이 영역에 부착되는 접착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접착부에는,
    상기 외표면의 좌우 방향 중심선에 대응하는 중심 접힘선과 상기 좌우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향하는 좌측 접힘선 및 우측 접힘선이 상기 외표면의 상단부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접힘선은,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좌우 방향 중심선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상기 좌우 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 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홈은 상기 날개부의 좌우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인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 백.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접힘선 및 상기 우측 접힘선을 경계로 하여 상기 접착부가 적어도 일부 구부러짐으로써 상기 추출용 백의 수용 공간이 상하 방향에 연직한 면 방향을 기준으로 다각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 백.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접힘선 및 상기 우측 접힘선은 상기 한 쌍의 접힘선 대비 상기 외표면의 좌우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치우치도록 형성되는 것인, 드립 백.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홈의 함몰 깊이는,
    상기 추출용 백의 상하 방향 높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 백.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와 상기 제1날개 부재 및 상기 제2날개 부재 사이의 절개선은 상기 날개부의 좌우 방향 중심선으로부터 외측으로 멀어질수록 하측으로 치우치도록 좌우 방향을 기준으로 비스듬히 형성되는 것인, 드립 백.
KR1020210071999A 2021-06-03 2021-06-03 음료 추출용 드립 백 KR102368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1999A KR102368513B1 (ko) 2021-06-03 2021-06-03 음료 추출용 드립 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1999A KR102368513B1 (ko) 2021-06-03 2021-06-03 음료 추출용 드립 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8513B1 true KR102368513B1 (ko) 2022-02-25

Family

ID=80490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1999A KR102368513B1 (ko) 2021-06-03 2021-06-03 음료 추출용 드립 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851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5378A (ja) * 1991-10-30 1993-05-14 Yamanaka Sangyo Kk ドリツプ式コーヒーバツグ
JP2004242760A (ja) * 2003-02-12 2004-09-02 Tokyo Allied Coffee Roasters Co Ltd 飲料抽出バッグ
JP3719291B2 (ja) * 1996-07-02 2005-11-24 大紀商事株式会社 コーヒードリップバッグ
KR101639508B1 (ko) * 2012-12-11 2016-07-13 오끼 쇼지 가부시키가이샤 드립 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5378A (ja) * 1991-10-30 1993-05-14 Yamanaka Sangyo Kk ドリツプ式コーヒーバツグ
JP3719291B2 (ja) * 1996-07-02 2005-11-24 大紀商事株式会社 コーヒードリップバッグ
JP2004242760A (ja) * 2003-02-12 2004-09-02 Tokyo Allied Coffee Roasters Co Ltd 飲料抽出バッグ
KR101639508B1 (ko) * 2012-12-11 2016-07-13 오끼 쇼지 가부시키가이샤 드립 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32606B2 (en) Portable drip coffee apparatus
US5059325A (en) Tubular coffee filter with vertical fold lines
US4981588A (en) Filter for making coffee drinks that includes supporting members
US9629495B2 (en) Beverage brewing package
EP3309092A1 (en) Environmental-friendly paper carrier for takeout cup
KR102368513B1 (ko) 음료 추출용 드립 백
RU2374158C2 (ru) Заварочный узел
KR100908848B1 (ko) 절첩식 컵
KR102368514B1 (ko) 이중 고정이 가능한 음료 추출용 드립 백
JP5389588B2 (ja) 支持具及び濾過具
KR101486190B1 (ko) 절첩식 컵
CA2267460A1 (en) Filter-paper insert for a filter holder
KR100826212B1 (ko) 농도 조절 기능을 갖는 드립퍼
US10624487B2 (en) Anti-overflow brewing filter and spiral hanging-ear structure coupled thereto
KR200483545Y1 (ko) 컵 홀더
KR20190002956U (ko) 티백용 홀더
JP6855041B2 (ja) 飲料抽出フィルタ及び飲料抽出バッグ
KR102259245B1 (ko) 음료용 드립백
KR20170059747A (ko) 차 추출용 드립백
JP2000211670A (ja) 嗜好飲料抽出バッグ及び嗜好飲料抽出バッグの製造方法
JP7271949B2 (ja) ドリッパー
KR102576031B1 (ko) 기호성 음료 추출용 드립백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추출용 포장용기
JP4108855B2 (ja) ドリッパー
KR102641297B1 (ko) 커피 드립백용 거치대.
CN221478138U (zh) 饮品包装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