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8861B1 - 풋 브레이스 - Google Patents

풋 브레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8861B1
KR101638861B1 KR1020140113093A KR20140113093A KR101638861B1 KR 101638861 B1 KR101638861 B1 KR 101638861B1 KR 1020140113093 A KR1020140113093 A KR 1020140113093A KR 20140113093 A KR20140113093 A KR 20140113093A KR 101638861 B1 KR101638861 B1 KR 101638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p
foot
ankle
toe
fasten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3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5789A (ko
Inventor
황윤진
Original Assignee
(주)에이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더 filed Critical (주)에이더
Priority to KR1020140113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8861B1/ko
Publication of KR20160025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5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8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8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6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6Knee or fo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6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 A61F13/064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for f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단 및 타단이 연결스트랩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일단 또는 타단이 일단에 형성되는 제1발목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면서 인장력에 의해 발목을 압박하면서 감싸는 발목스트랩 본체, 상기 발목스트랩 본체의 일측에서 연장형성되며, 끝단에 제2발목고정수단이이 구비되어 끝단이 인장력에 의해 발등 및 발바닥을 압박하면서 감싸는 발등스트랩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발목스트랩; 및 제1발등고정수단이 구비된 끝단부가 인장력에 의해 발바닥 및 발등을 압박하면서 감싸며, 상기 끝단부가 상기 발목스트랩본체와 제1발등고정수단(222)에 의해 연결되는 제1발등스트랩, 상기 제1발등스트랩과 연결되어 형성되며, 제2발등고정수단이 구비된 끝단부가 상기 제1발등스트랩과 교차하면서 인장력에 의해 발바닥 및 발등을 압박하면서 감싸며, 상기 끝단부가 상기 발목스트랩과 제2발등고정수단에 의해 연결되는 제2발등스트랩, 및 상기 제1발등스트랩 및 제2발등스트랩의 사이에서 연장형성되며, 끝단에 형성된 토고정수단에 의해 인장력에 의해 엄지발가락을 압박하면 감싸는 토스트랩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발등스트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풋 브레이스 {Foot Brace}
본 발명은 발목을 보호하는 동시에 보행을 보조하여 발목의 과회외 및 족하수를 방지하는 풋 브레이스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발은 33개의 관절, 26개의 뼈(2개의 종자골과 경골 및 비골을 포함하면 30개)및 20개의 근육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발의 기능을 다양하고 이에 따른 증상도 매우 다양하다고 알려져 있다.
발은 몸과 지면 사이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인간이 이동하는 도중에 발은 보행시 많은 양의 스트레스와 부하를 받게 되고 이로 인해 병적 상황이 발생하기 도 한다. 즉, 인간은 걷기 시작하면서부터 이러한 스트레스와 부하가 발에 심하게 축적하게 된다. 병적 변화나 어떤 증상의 발현없이 이러한 심한 부하를 견디는 관건은 발의 정상적인 기능 상태의 여부에 달려있다.
그리고 보행시에 발은 지면과 상부 신체 기관에 의해 영향을 받는 수동적 기관이다. 발은 체중과 물리적 운동량 및 심한 충격을 흡수할 뿐만 아니라 신체의 모든 기관을 지지하고 안정성 등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행시에 발은 뒤꿈치가 닿은 후에 유연한 상태를 취하고(발의 회내), 몸을 추진할 때는 견고한 지렛대(발의 회외)로 작용한다. 결국 발이 회내할 때는 관절구조는 느슨해지고 지면에 적응을 잘 할 수 있게 되고 발의 회외시에는 관절이 딱 들어 맞게 되는 구조가 되어 뒷꿈치를 올리고 전진할 때 단단한 지렛대의 기능을 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발목에 부상을 입은 환자 또는 뇌졸증으로 인해 정상적인 보행이 힘든 환자들의 경우는 발의 회내 및 회의 기능이 제대로 발휘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정상인들의 경우에도 과도한 운동, 착지불안 및 잘못된 보행습관 등으로 인해 발의 과회외 및 족하수가 발생하기도 한다. 발의 회내시에는 전경골근과 후경골근이 작용하고 발의 회외시에는 장비골근과 단비골근이 작용한다. 하지만 발의 과회외 및 족하수가 발생한 경우에는 증상원인에 따라 안쪽곁인대 또는 아킬레스건이 무너지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발의 과회외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환자가 발등을 스스로 들지 못하여 발끌림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보행시에 발목을 압박하여 발목의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는 풋 브레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행시에 발 또는 발목의 회내기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는 동시에 과회외 및 족하수(food drop)를 방지할 수 있는 풋 브레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발끌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풋 브레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단 및 타단이 연결스트랩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일단 또는 타단이 일단에 형성되는 제1발목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면서 인장력에 의해 발목을 압박하면서 감싸는 발목스트랩 본체, 상기 발목스트랩 본체의 일측에서 연장형성되며, 끝단에 제2발목고정수단이 구비되어 끝단이 인장력에 의해 발등 및 발바닥을 압박하면서 감싸는 발등스트랩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발목스트랩; 및 제1발등고정수단이 구비된 끝단부가 인장력에 의해 발바닥 및 발등을 압박하면서 감싸며, 상기 끝단부가 상기 발목스트랩본체와 제1발등고정수단(222)에 의해 연결되는 제1발등스트랩, 상기 제1발등스트랩과 연결되어 형성되며, 제2발등고정수단이 구비된 끝단부가 상기 제1발등스트랩과 교차하면서 인장력에 의해 발바닥 및 발등을 압박하면서 감싸며, 상기 끝단부가 상기 발목스트랩과 제2발등고정수단에 의해 연결되는 제2발등스트랩, 및 상기 제1발등스트랩 및 제2발등스트랩의 사이에서 연장형성되며, 끝단에 형성된 토고정수단에 의해 인장력에 의해 엄지발가락을 압박하면 감싸는 토스트랩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발등스트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1발목고정수단, 제2발목고정수단, 제1발등고정수단, 제2발등고정수단 및 토고정수단은 각각 벨크로, 고리형 후크, 단추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실시로 발생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로 보행시에 발목을 압박하여 발목의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는 풋 브레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로 보행시에 발 또는 발목의 회내기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는 동시에 과회외 및 족하수(foof drop)를 방지할 수 있는 풋 브레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로 발끌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풋 브레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의한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착용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공지된 사항을 제외한 본본 발명의 구성상의 특징 및 기능을 중심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의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인 풋 브레이스(10)는 첨부된 도 1 및 도 2와 같이 발목을 압박하면서 감싸주는 발목스트랩(100)과 엄지발가락, 발등 및 발바닥을 압박하면서 감싸주는 발등스트랩(200)으로 구성되어 서로 연결고정된다.
본 발명의 발목스트랩(100)은 첨부된 도 1과 같이 발목을 감싸면서 압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발목스트랩 본체(120)와 인장력에 의해 발바닥 및 발등을 감싸면 압박하는 발등스트랩(140)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발목스트랩 본체(120) 및 발등스트랩(140)의 재질은 당겨도 늘어날 수 있는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목스트랩 본체(120)는 도 1과 일단(124) 및 타단(126)이 연결스트랩(122)에 의해 연결되고 안쪽으로 첨부된 도 3과 같이 착용자의 발목이 들어가게 되는 구성이다. 이때 발목스트랩 본체(120)의 일단(124) 또는 타단(126) 중 한쪽에는 제1발목고정수단(128)을 구비하여 상기 제1발목고정수단(128)이 형성된 쪽을 당겨 인장력을 형성하여 발목을 압박하면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내지 도 12의 실시예에서는 발목스트랩 본체 일단(124)의 내측에 제1발목고정수단(128)으로서 벨크로(일명 찍찍이)를 사용하였다. 즉, 발목스트렙 본체의 일단부의 내측에 벨크로를 구비한 경우라면 발목스트랩 본체 일단(124)의 내측부가 타단(126)의 외측을 감싸면서 벨크로가 부착된다. 이때 벨크로가 부착되는 타단(126)의 외측은 벨크로가 잘 부착될 수 있는 까실까실한 표면으로 구성하는것이 바람직하다.
발등스트랩(140)은 도 1과 같이 발목스트랩 본체(120)의 일측에서 연장형성된다. 발등스트랩 끝단(142)에는 제2발목고정수단이(144)이 구비되고 발등스트랩 끝단(142)을 당겨 인장력을 형성하여 발등 및 발바닥을 압박하면서 감싸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발등스트랩의 끝단(142)은 도 7과 같이 발목스트랩 본체(120)의 일측에 제2발목고정수단(144)을 이용하여 고정하도록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조건에 따라서는 제2발목고정수단(144)으로서 벨크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등스트랩(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글의 시옷자 또는 한자의 사람인(人)자와 같은 형상으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다. 즉, 3과 같이 서로 제1발등스트랩(220) 및 제2발등스트랩(240)을 구성한 후 이들 사이에서 토스트랩(260)을 연장형성하는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를 이용하여 도 9 내지 도 12와 같이 토스트랩(260)을 이용하여 엄지발가락을 압박하여 감싼 후에 제1발등스트랩(220) 및 제2발등스트랩(240)을 이용하여 발바닥 및 발목을 압박하면서 감싸고 전술한 발목스트랩과 연결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발목스트랩(100) 및 토스트랩(260)이 연결고정되게 되면 발목스트랩(100) 및 발등스트랩(200)이 마치 하나의 기구와 같이 발목, 발등, 발바닥 및 발가락 등을 압박하게 되는 것이고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1발등스트랩(220)은 첨부된 도 1에 도신된 바와 같이 제1발등고정수단(224)을 끝단(222)에 를 구성하여 인장력에 의해 발바닥 및 발등을 압박하면서 감싸도록 구성할 수 있고, 끝단부(2202를 제1발등고정수단(224)을 이용하여 전술한 발목스트랩(100)의 일측에 연결고정하도록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발등스트랩(240)은 전술한 제1발등스트랩(220)과 비슷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끝단(242)에 제2발등고정수단(244)을 마련한 후에 제1발등스트랩(220)과 교차하면서 인장력을 형성하여 발바닥 및 발등을 압박하면서 감싸는 기능을 수행한다.
토스트랩(Toe Strap, 260)은 전술한 제1발등스트랩(220) 및 제2발등스트랩(240)의 사이에서 연장형성되도록 실시하되 토스트랩 끝단(262)에 토고정수단(264)을 마련하여 토스트랩 끝단(262)을 당기면서 인장력을 발생시켜 엄지발가락을 압박하면 감싸도록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발목고정수단(128), 제2발목고정수단(144), 제1발등고정수단(224), 제2발등고정수단(244) 및 토고정수단(264)은 각각 벨크로, 고리형 후크, 단추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다.
첨부된 도 3 내지 도 12의 실시예에서는 벨크로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하지만 실시조건에 따라서는 고리형 후크를 이용하여 고정되는 부위에 고리형 고정구를 마련할 수도 있고, 단추를 이용하여 단추구멍을 만들어 사용할 수도 있다. 이는 사용자의 발 및 발목에 크기에 따라 변형사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고정수단들의 변형 내지 치환사용은 본 발명의 균등범위에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 3 내지 도 12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인 풋 브레이스의 착용순서을 설명한다.
먼저, 도 3과 같이 본 발명인 풋 브레이스(10)의 발목스트랩 본체의 일단(124) 및 타단(126) 사이에 발목이 들어가도록 끼운다. 그런다음 도 3과 같은 형상이 되도록 발목스트랩 본체(120)을 발목의 복숭아뼈까지 올려준다.
그리고 발목스트랩 본체 일단(124)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1발목고정수단(128)인 벨크로를 이용하여 도 4와 같이 발목스트랩 본체 일단(124)을 당기면서 발목스트랩 본체 타단(126)의 외측에 고정시킨다.
이후에는 도 5와 같은 모양이 될 것이다. 그리고 난 후에는 도 6과 같이 발등스트랩(140)을 당기면서 발바닥 및 발들을 감싼다. 그리고 도 7과 같이 발등스트랩 끝단(142)에 구비된 제2발목고정수단(144)인 벨크로를 이용하여 발목스트랩 본체(120)에 고정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등스트랩(200)을 발 아래에 위치시킨 후에, 도 9와 같이 토스트랩(260)을 당겨서 엄지발가락을 압박하면서 감싼 후 토스트랩 끝단(262)에 형성된 토고정수단(264)인 벨크로를 이용하여 고정한다.
그리고 도 10 및 11과 같이 제1발등스트랩(220) 및 제2발등스트랩(240)을 당겨 인장력을 형성한 후에 서로 X자 형태로 교차시키면서 발목스트랩(100)에 각각이 끝단(222, 242)을 제1발등고정수단(224) 및 제2발등고정수단(244)인 벨크로를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이렇게 되면 도 12과 같은 상태가 되어 마치 발목스트랩(100) 및 발등스트랩(200)이 일체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발목의 과회외 및 족하수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10; 풋 브레이스
100; 발목스트랩
120; 발목스트랩 본체
124; 발목스트랩 본체 일단
126; 발목스트랩 본체 타단
128; 제1발목고정수단
140; 발등스트랩
142; 발등스트랩 끝단
144; 제2발목고정수단
200; 발등스트랩
220; 제1발등스트랩
222; 제1발등스트랩 끝단
224; 제1발등고정수단
240; 제2발등스트랩
242; 제2발등스트랩 끝단
244; 제2발등고정수단
260; 토스트랩
262; 토스트랩 끝단
264; 토고정수단

Claims (2)

  1. 일단 및 타단이 연결스트랩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일단 또는 타단이 일단에 형성되는 제1발목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면서 발목을 압박하면서 감싸는 발목스트랩 본체,
    상기 발목스트랩 본체의 일측에서 연장형성되며, 끝단에 제2발목고정수단이 구비되어 발등스트랩 끝단이 인장력에 의해 발등 및 발바닥을 압박하면서 감싸는 발등스트랩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발목스트랩; 및
    제1발등고정수단이 구비된 제1발등스트랩 끝단이 발바닥 및 발등을 압박하면서 감싸며, 상기 제1발등스트랩 끝단이 상기 발목스트랩본체와 제1발등고정수단에 의해 연결되는 제1발등스트랩,
    상기 제1발등스트랩과 연결되어 형성되며, 제2발등고정수단이 구비된 제2발등스트랩 끝단이 상기 제1발등스트랩과 교차하면서 발바닥 및 발등을 압박하면서 감싸며, 상기 제2발등스트랩 끝단이 상기 발목스트랩과 제2발등고정수단에 의해 연결되는 제2발등스트랩, 및
    상기 제1발등스트랩 및 제2발등스트랩의 사이에서 연장형성되며, 토스트랩 끝단에 형성된 토고정수단에 의해 엄지발가락을 압박하면서 감싸는 토스트랩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발등스트랩;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풋 브레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발목고정수단, 제2발목고정수단, 제1발등고정수단, 제2발등고정수단 및 토고정수단은 각각 벨크로, 고리형 후크, 단추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풋 브레이스
KR1020140113093A 2014-08-28 2014-08-28 풋 브레이스 KR101638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3093A KR101638861B1 (ko) 2014-08-28 2014-08-28 풋 브레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3093A KR101638861B1 (ko) 2014-08-28 2014-08-28 풋 브레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5789A KR20160025789A (ko) 2016-03-09
KR101638861B1 true KR101638861B1 (ko) 2016-07-12

Family

ID=55536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3093A KR101638861B1 (ko) 2014-08-28 2014-08-28 풋 브레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886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4534A (ja) 1999-08-17 2001-02-27 Kaori Tamenaga 尖足を予防する穴あき袋
KR200216333Y1 (ko) 2000-09-29 2001-03-15 황옥순 발가락 교정구
KR200420223Y1 (ko) 2006-04-03 2006-06-29 조현준 발목보호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0101341D0 (sv) * 2001-04-18 2001-04-18 Camp Scandinavia Ab Ankle-foot orthosi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4534A (ja) 1999-08-17 2001-02-27 Kaori Tamenaga 尖足を予防する穴あき袋
KR200216333Y1 (ko) 2000-09-29 2001-03-15 황옥순 발가락 교정구
KR200420223Y1 (ko) 2006-04-03 2006-06-29 조현준 발목보호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5789A (ko) 2016-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26273B2 (en) Dynamic tension brace or support
JP4553269B1 (ja) 足部障害用サポーター
EP2910139A1 (en) High heels capable of exercising achilles tendons while walking
JP2008125534A (ja) 装具
KR100975991B1 (ko) 보행보조신발
JP6802609B2 (ja) 機能性扁平足向け矯正用裸足靴
KR101638861B1 (ko) 풋 브레이스
JP2006212398A (ja) 弾性連結体付きサポーター
JP2019150575A5 (ko)
JP4374424B2 (ja) 足の健康装具
JP4047871B2 (ja) 甲留めベルトで係合する靴
US20230301811A1 (en) Calcaneal inversion-inducing orthotic sleeve and method of wearing for treating the ankle
EP2896389A1 (en) Support orthose system
JP2011115296A (ja) 底屈制動部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短下肢装具
JP7138274B2 (ja) ストレッチ器具
KR102172887B1 (ko) 족부환자의 보행 특성에 적합한 족부환자용 신발
CN202409224U (zh) 脑瘫儿童足部矫治器
JP7150299B2 (ja) 歩行補助具
KR100867845B1 (ko) 보행 보조신발
JP3119498U (ja) つまずき防止靴下
JP2015131084A (ja) 足指履物
JP6699976B2 (ja) 運動用のウェアおよびその使用方法
US20170100274A1 (en) Drop Foot Assistive Device
JP7125580B2 (ja) 運動補助具
JP2015052181A (ja) 靴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