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8068B1 - 창호 프로파일의 기계적 물성 및 압출성이 우수한 창호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창호 - Google Patents

창호 프로파일의 기계적 물성 및 압출성이 우수한 창호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8068B1
KR101638068B1 KR1020130144201A KR20130144201A KR101638068B1 KR 101638068 B1 KR101638068 B1 KR 101638068B1 KR 1020130144201 A KR1020130144201 A KR 1020130144201A KR 20130144201 A KR20130144201 A KR 20130144201A KR 101638068 B1 KR101638068 B1 KR 101638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window
styrene
copolymer
resi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4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0132A (ko
Inventor
이섭주
이제철
김형진
김윤환
윤승희
Original Assignee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4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8068B1/ko
Publication of KR20150060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0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8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80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2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4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06Single frames
    • E06B3/08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 E06B3/20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of plastic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스티렌계-비닐시안계 공중합체 20~60 중량%; (b) 초고분자 스티렌계-비닐시안계 공중합체 5~30 중량%; (c) 아크릴계 고무 그라프트 수지 15~40 중량%; 및 (d)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5~20 중량%를 포함하는 창호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창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수지 조성물은 충격 강도, 인장 강도, 신율 등의 기계적 물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압출 시에 다이 스웰(die swell)이 매우 커서 압출성이 우수하고, 창호 프로파일 형상화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창호 프로파일의 기계적 물성 및 압출성이 우수한 창호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창호{COMPOSITION FOR WINDOW PROFILE WITH ENHANCED MECHANICAL PROPERTY AND EXTRUDABILITY AND WINDOW FRAME MANUFACTURED B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창호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창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창호 프로파일의 기계적 물성 및 압출성이 우수한 창호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창호에 관한 것이다.
종래 시스템창의 소재로는 일반적으로 폴리염화비닐 수지가 이용되었으며, 폴리염화비닐 수지의 기능성을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첨가제를 함께 이용하고 있다. 이 경우, 하나의 물질 만으로는 만족할 만한 구조적 강도 및 단열 효과를 얻을 수 없기 때문에, 예를 들어, 우레탄폼 또는 유리섬유 등이 내장된 형태로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폴리염화비닐 수지는 연소 압출 가공 과정에서 다이옥신과 같은 환경유해물질이 다량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카드뮴스테아레이트나 납스테아레이트와 같은 중금속을 포함하는 물질을 열안정제로 사용하므로,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나아가, 폴리염화비닐 수지는 열안정성이 낮아 창호로 압출되는 과정에서 제조시 변색이 일어나 리사이클링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건축자재에 이용된 폴리염화비닐 수지는 인체에 대한 유해한 영향, 환경적인 문제를 일으킬 뿐만 아니라, 폐기 시에도 자연 부식이 곤란하여 환경에 부담을 지우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를 야기한다.
최근 다양한 산업 분야의 친환경적 개발 경향에 따라, 건축자재 분야에서도 폴리염화비닐 수지를 대체할 수 있는 재료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러한 연구의 일환으로 폴리염화비닐 수지를 ABS계 수지로 대체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건축자재에 이용되는 ABS계 수지로는, 아크릴 고무-스티렌계 단량체-부타디엔 고무-비닐시안계 단량체로 이루어진 4원 공중합체 수지와 분자량과 분산도가 큰 스티렌계-비닐시안계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수지 조성물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이러한 수지 조성물들은 ABS계 수지의 단점이 취성이 높다는 문제가 있으며, 건축 외장재로 사용될 경우, 충격 강도, 인장 강도, 신율 등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고, 창호로 제조시 압출성이 저하되어 가공에 문제가 발생하여, 열안정성 및 내후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창호 등의 건축자재로서 우수한 기계적 물성 및 압출성을 동시에 갖는 창호용 ABS계 수지 조성물에 대한 요구가 여전히 존재한다.
삭제
특허문헌 1: 공개특허 제2009-0105386호(2009.10.07.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자재에 적용되는 경우 충격 강도, 인장 강도, 신율 등의 기계적 물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압출 시에 다이 스웰(die swell)이 매우 커서 압출성이 우수하고, 창호 프로파일 형상화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창호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창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a) 스티렌계-비닐시안계 공중합체 20~60 중량%; (b) 초고분자 스티렌계-비닐시안계 공중합체 5~30 중량%; (c) 아크릴계 고무 그라프트 수지 15~40 중량%; 및 (d)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5~20 중량%를 포함하는 창호용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창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창호용 수지 조성물의 충격 강도, 인장 강도, 신율 등의 기계적 물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압출 시에 다이 스웰(die swell)이 매우 커서 압출성이 우수하고, 창호 프로파일 형상화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수지 조성물은 우수한 기계적 물성 및 압출성을 동시에 발휘할 수 있어, 창호에 최적화된 수지 조성물로서,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a) 스티렌계-비닐시안계 공중합체 20~60 중량%; (b) 초고분자 스티렌계-비닐시안계 공중합체 5~30 중량%; (c) 아크릴계 고무 그라프트 수지 15~40 중량%; 및 (d)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5~20 중량%를 포함하는 창호용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스티렌계-비닐시안계 공중합체(a)는 스티렌계 단량체와 비닐시안계 단량체의 공중합체를 의미한다. 스티렌계-비닐시안계 공중합체(a)는 창호 형재에 있어서 요구되는 물성인 인장 강도 및 신율 특성을 발휘하게 하며, 창호 형재의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일 실시예에서, 스티렌계-비닐시안계 공중합체(a)는 200,000~400,000, 바람직하게는 250,000~350,000 범위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스티렌계-비닐시안계 공중합체(a)의 중량평균분자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인장 강도 및 굴곡탄성율이 저하되며, 신율 저하도 발생할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충격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티렌계-비닐시안계 공중합체(a)는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이 20~35 중량%일 수 있다. 아크릴로니트릴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대기 중의 수분 흡수, 및 이러한 수분 흡수로 인해 압출 공정시 기포 발생 및 발포되는 현상이 일어날 우려가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티렌계-비닐시안계 공중합체(a)는 60~80 중량%의 스티렌계 단량체 및 20~40 중량%의 비닐시안계 단량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티렌계 단량체의 함량이 지나치게 높아지면 공중합체의 강성이 약해질 우려가 있으며, 비닐시안계 단량체의 함량이 지나치게 높아지면 공중합체의 열 안정성이 낮아질 수 있다.
스티렌계 단량체는 스티렌, 알파-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또는 그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스티렌이다.
비닐시안계 단량체는 아크릴로니트릴을 포함할 수 있다.
스티렌계 단량체와 비닐시안계 단량체로부터 스티렌계-비닐시안계 공중합체(a)를 제조하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방법 중 적절한 것을 선택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유화중합, 괴상중합 또는 현탁중합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스티렌계-비닐시안계 공중합체(a)는 창호용 수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20~60 중량%, 바람직하게는 30~50 중량%의 함량으로 창호용 수지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스티렌계-비닐시안계 공중합체의 함량이 20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압출성 등의 가공성이 저하되며, 6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충격 강도 및 인장 강도가 낮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초고분자 스티렌계-비닐시안계 공중합체(b)는 창호 프로파일 압출 시에 다이 스웰(die swell)이 매우 커서 창호 이형 압출시 압출성이 우수하고, 복잡한 창호 형재의 형상화를 쉽게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초고분자 스티렌계-비닐시안계 공중합체(b)는 1,500,000~4,000,000, 바람직하게는 2,500,000~3,500,000 범위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스티렌계-비닐시안계 공중합체(b)의 중량평균분자량이 4,500,000 이상인 경우에는 점도가 너무 높고 압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중량평균분자량이 상기 범위를 30% 이상 초과하는 경우에는 압출 시 압출 부하로 인해, 다이 토출 시 막힘 및 써징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일 실시예에서, 초고분자 스티렌계-비닐시안계 공중합체(b)는 창호용 수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5~3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2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초고분자 스티렌계-비닐시안계 공중합체(b)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창호 형재로서의 인장강도, 신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30 중량% 이상에서는 충격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일 실시예에서, 초고분자 스티렌계-비닐시안계 공중합체(b)는 유화 중합을 통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아크릴계 고무 그라프트 수지(c)는 창호 형재의 신율을 높이고, 충격 강도를 높이며, 선팽창계수를 낮추는 작용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아크릴계 고무 그라프트 수지는 아크릴계 고무를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비닐시안계 화합물로 그라프트 공중합한 수지를 의미한다.
여기에서, 아크릴계 고무는 아크릴 고무, 또는 아크릴 고무와 부타디엔 고무가 80:20 ~ 10:90의 중량비로 혼합된 고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아크릴계 고무 그라프트 수지는 부틸아크릴레이트나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를 가교중합한 아크릴 고무를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비닐시안계 화합물로 그라프트 공중합한 그라프트 공중합체일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아크릴계 고무 그라프트 수지는 아크릴 고무와 부타디엔계 고무를 혼합한 혼합 고무에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비닐시안계 화합물을 그라프트 공중합한 그라프트 공중합체일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아크릴계 고무 그라프트 수지는 아크릴 고무에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비닐시안계 화합물을 그라프트 공중합한 그라프트 공중합체와, 부타디엔 고무에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비닐시안계 화합물을 그라프트 공중합한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혼합한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혼합물일 수 있다.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혼합은 라텍스 상태로 혼합하는 것도 가능하며, 파우더 상태로 혼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아크릴계 고무 그라프트 수지는 아크릴계 고무 40~70 중량%, 방향족 비닐 화합물 25~40 중량% 및 비닐시안계 화합물 5~2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방향족 비닐 화합물은 스티렌계 단량체 및 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스티렌계 단량체는, 스티렌, 알파-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또는 그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스티렌이다.
예를 들어, 방향족 비닐 화합물은 90~99 중량%의 스티렌계 단량체 및 1~10 중량%의 이와 공중합 가능한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의 혼합물일 수 있다.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비닐시안계 화합물은 비닐시안계 단량체 및 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비닐시안계 단량체는 아크릴로니트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닐시안계 화합물은 90~99 중량%의 비닐시안계 단량체 및 1~10 중량%의 이와 공중합 가능한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의 혼합물일 수 있다.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아크릴계 고무 그라프트 수지는 창호용 수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0~30 중량%, 바람직하게는 15~25 중량%의 함량으로 창호용 수지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아크릴계 고무 그라프트 수지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충격 강도 및 저온 추낙구가 약해질 우려가 있으며, 3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선팽창계수가 높아지며, 내열성 및 유동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d)는 창호용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물성을 높이는 작용을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d)는 연속식 공정을 통해 제조된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연속식 공정을 통하여 제조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는 기존 유화중합을 통해 제조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보다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d)는 아크릴로니트릴(AN) 함량이 15~25 중량%일 수 있다.
삭제
삭제
일 실시예에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d)는 창호용 수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5~20 중량%, 바람직하게는 8~15 중량%의 함량으로 창호용 수지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d)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충격 강도, 저온추낙구, 신율 등의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2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인장 강도가 저하되고, 팽창계수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수지 조성물은 산화방지제, 난연제, 자외선 흡수제, 활제 및 안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산화방지제로는 페놀계, 인계 또는 황에스테르계 산화방지제를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산화방지제는 창호용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5.0 중량부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난연제로는 데카브로머다이페닐 옥사이드(DBDPO), 옥타브로머다이페닐 옥사이드(ODBDPO), 테트라브로머 비스페놀에이(TBBA), 및 브롬미네이트 에폭시 올리고머(BEO), 2,4,6 트리브로머페녹시 1,3,5 트리잔(SR-245), 브로미네이트 아로마틱 컴파운드(S-8010, S-4010) 등의 브롬계 난연제; 클로리네이트 파라핀, 및 클로리네이트 폴리에틸렌(CPE) 등의 염소계 난연제; 트라이페닐포스페이트(TPP), 트라이크레실 포스페이트(TCP), 3-하이드록시페닐포스핀, 폴리인산암모늄, 및 트라이페닐포스페이트(TPP)의 올리고머 형태인 레소시놀 다이포스페이트(RDP), 비스페놀에이 다이포스페이트(BDP), 및 방향족 방향족 인산에스테르 올릭고머(PX-200) 등의 인계 난연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난연제를 이용할 수 있다.
난연제는 창호용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30 중량부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자외선 흡수제로는 벤조트리아졸 또는 HALS(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계 흡수제를 이용할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는 창호용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5.0 중량부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활제로는 에틸렌비스스테아르아미드, 폴리에틸렌 왁스 또는 스테아린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활제는 창호용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3~5.0 중량부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안료는 원하는 색상에 따라 조색하여 첨가될 수 있으며, 창호용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6 중량부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창호에 관한 것이다.
창호용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창호를 제조하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각 구성성분을 혼합하여 창호용 수지 조성물을 제조한 후, 이를 압출함으로써 창호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창호는 창호 프로파일 압출시 다이 스웰이 매우 커서 압출성이 우수하고, 창호 프로파일의 형상화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충격 강도, 인장 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3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티렌계-비닐시안계 공중합체(a), 초고분자 스티렌계-비닐시안계 공중합체(b), 아크릴계 고무 그라프트 수지(c),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d)에 가공조제 및 안정제를 첨가하여 공지의 혼합기에서 충분히 혼합하고, L/D=35, Φ=45mm인 이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압출한 후, 압출물을 펠렛 형태로 제조하였다. 트윈스크루(Twin screw) 95mm (금상기계)를 이용하였으며, 하기의 압출기 조건에 따라 제조되었다. 제조된 창틀모델은 이중창호 BF-250이다.
비교예 1-3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초고분자 스티렌계-비닐시안계 공중합체(b)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d)의 함량을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화시키고, 가공조제 및 안정제를 첨가하여 공지의 혼합기에서 충분히 혼합하고 L/D=35, Φ=45mm인 이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압출한 후, 압출물을 펠렛 형태로 제조하였다. 트윈스크루(Twin screw) 95mm (금상기계)를 이용하였으며 하기의 압출기 조건에 따라 제조되었다. 제조된 창틀모델은 이중창호 BF-250이다.
압출조건
상기 제조된 수지 조성물들은 창틀 제조 기계를 통하여 창틀로 제조되었다. 창틀 제조 기계로는 PVC 압출기인 트윈스크루(Twin screw) 95mm (금상기계)를 이용하였으며 하기의 압출기 조건에 따라 제조되었다. 제조된 창틀모델은 이중창호 BF-250이다. 시험조건에 따라 분쇄품을 사용하여 창틀을 제조 압출하였다.
압출기 조건
다이온도 실린더3
온도
실린더2온도 실린더1온도 회전수
(rpm)
인취속도
(m/min)
냉각수
온도
부하
200 150 156 150 16 1.4 18~19 83
상기와 같은 압출 조건으로 압출하고 물성을 측정하였다. 각 반응 조건 및 결과는 표 2에 나타내며, 물성 평가 방법은 하기와 같다.
창호 형재 시험방법 및 조건
(1) 충격강도
샤르피 충격 강도 시험으로 KS M3056법에 준하여 5호 시험편(A형 노치)으로 온도 23℃ ± 2에서 표준시험실시하였고, -10℃ ± 2에서 저온시험을 실시하였다. KS F5602 규격에 의하면 12.7 kJ/M2 (표준)이상이고 4.9 kJ/M2 (저온)이상이어야 합격이다.
(2) 인장강도 및 신장률
인장강도 및 신장률 시험은 KS M3006법에 준하여 온도 23℃ ± 2에서 시험을 실시하였다. KS F5602 규격에 의하면 인장강도는 36.8 MN/m2 이상이며 신장률은 100% 이상이어야 합격이다.
(3) 저온 추낙구
-20 ℃의 저온 챔버내에서 위치 에너지를 갖는 추(40J~5J)를 떨어뜨려 추에 의해 파단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4) 선팽창 시험
(L2-L1)/[L0(T2-T1)]
L1, L2는 T1, T2에서의 길이, L0는 실온에서의 길이의 변화를 측정한다.
(5) 유동성
ASTM D 1238법에 준하여 하중 22.5kg 하중, 230℃에 의해 측정하였으며, 창호재 압출에 적합한 유동성 범위는 10~40g/10min 이어야 창호 형재화가 가능한 범위이다.
구 분 실시
예1
실시
예2
실시
예3
비교
예1
비교
예2
비교
예3
스티렌계-비닐시안계
공중합체(a)
30 30 20 70 60 -
초고분자 스티렌계-비닐시안계 공중합체(b) 20 30 30 - - 50
아크릴계 고무 그라프트 수지 (c) 30 30 20 30 - 10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d) 20 10 30 - 40 40
압출조건 실린더온도(℃) 150 150 150 150 150 150
압출부하(%) 80 82 85 59 72 95
충격강도(KJ/㎡) 35 28 32 25 45 47
인장강도(MN/㎡) 42 43 37 41 28 15
신율(%) 90 62 78 42 95 100
저온추낙구(J) 38 31 35 26 40 41
선팽창계수(㎛/m·℃) 72 70 78 85 100 105
유동성(MI) 25 26 23 90 93 15
표 2로부터, 실시예 1 내지 3의 경우 충격 강도, 인장 강도, 신율, 저온추낙구, 선팽창계수 및 유동성의 항목에서 비교예 1 내지 3에 비하여 창호 형재로서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3의 경우 압출성이 우수하고, 창호 프로파일 형상화를 쉽게 이룰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9)

  1. (a) 스티렌계-비닐시안계 공중합체 20~60 중량%;
    (b) 초고분자 스티렌계-비닐시안계 공중합체 5~30 중량%;
    (c) 아크릴계 고무 그라프트 수지 15~40 중량%; 및
    (d)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5~20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스티렌계-비닐시안계 공중합체(a)는 250,000 내지 350,000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지며, 아크릴로니트릴(AN) 함량이 20~35 중량%이며,
    상기 초고분자 스티렌계-비닐시안계 공중합체(b)는 2,500,000~3,500,000 범위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지며,
    상기 아크릴계 고무 그라프트 수지(c)는 아크릴계 고무 40~70 중량%, 방향족 비닐 화합물 25~40 중량% 및 비닐시안계 화합물 5~20 중량%를 포함하는
    창호용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고무는 아크릴 고무, 또는 아크릴 고무와 부타디엔 고무가 80:20 ~ 10:90의 중량비로 혼합된 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d)는 아크릴로니트릴(AN) 함량이 15~2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산화방지제, 난연제, 자외선 흡수제, 활제 및 안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수지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창호용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창호.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30144201A 2013-11-26 2013-11-26 창호 프로파일의 기계적 물성 및 압출성이 우수한 창호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창호 KR101638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4201A KR101638068B1 (ko) 2013-11-26 2013-11-26 창호 프로파일의 기계적 물성 및 압출성이 우수한 창호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4201A KR101638068B1 (ko) 2013-11-26 2013-11-26 창호 프로파일의 기계적 물성 및 압출성이 우수한 창호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창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0132A KR20150060132A (ko) 2015-06-03
KR101638068B1 true KR101638068B1 (ko) 2016-07-08

Family

ID=53504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4201A KR101638068B1 (ko) 2013-11-26 2013-11-26 창호 프로파일의 기계적 물성 및 압출성이 우수한 창호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80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3043B1 (ko) * 2022-07-25 2023-02-24 장영호 첨가물질을 넣어서 벌레가 오지 않는 창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0294B1 (ko) * 2021-06-24 2022-03-07 선병욱 난연 및 내화성 pvc 창호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727B1 (ko) * 2006-01-04 2008-05-09 주식회사 엘지화학 기계적 물성, 내후성 및 착색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KR100936677B1 (ko) 2008-04-02 2010-01-13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프로파일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54413B1 (ko) * 2008-11-26 2012-06-15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가공조제의 제조방법 및 열가소성 수지의 조성물
KR101856465B1 (ko) * 2010-12-14 2018-06-19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내열성과 칼라 자유도가 우수한 친환경 창호재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3043B1 (ko) * 2022-07-25 2023-02-24 장영호 첨가물질을 넣어서 벌레가 오지 않는 창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0132A (ko) 2015-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13027B (zh) 邻苯二甲酸酯增塑剂的混合物在聚卤代乙烯配混料中的应用
CN101796127B (zh) 阻燃热塑性弹性体
CA2401785A1 (en) Flame-resistant polycarbonate moulding compositions
CN110982240B (zh) 一种聚碳酸酯/abs组合物、制备方法以及汽车柱护板
EP3214128B1 (en) Flame retardant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thermal stability,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molded product prepared therefrom
KR102298296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N109762292B (zh) 一种abs组合物及一种abs组合物的制备方法
CA2731175A1 (en) High flow polyvinyl halide compound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KR20110048377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1638068B1 (ko) 창호 프로파일의 기계적 물성 및 압출성이 우수한 창호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창호
KR100823497B1 (ko) 프로파일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60133A (ko) 치수 안정성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창호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창호
KR102318927B1 (ko) 우수한 난연성을 부여하는 복합난연제 및 이를 포함하는 난연 수지 조성물
DE112017003897T5 (de) Flammhemmende Polyesterzusammensetzung
KR20120077465A (ko) 유리섬유 강화 열가소성 얼로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1528196B1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함유하는 창호재용 수지 조성물
KR20160128534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CN112795159B (zh) 一种pc/abs合金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180136413A (ko) 기계적 강도 및 탄성이 우수한 시트 파일
KR101737169B1 (ko) 프로파일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986913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0633785B1 (ko) 고함량의 난연제를 포함하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컬러수지 조성물
KR100508147B1 (ko) 난연성과 내후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839483B1 (ko) 열안정성이 우수한 창호재용 수지 조성물
KR101790835B1 (ko) 폴리카보네이트 난연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