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8046B1 - 공동주택용 코너비드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용 코너비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8046B1
KR101638046B1 KR1020160015406A KR20160015406A KR101638046B1 KR 101638046 B1 KR101638046 B1 KR 101638046B1 KR 1020160015406 A KR1020160015406 A KR 1020160015406A KR 20160015406 A KR20160015406 A KR 20160015406A KR 101638046 B1 KR101638046 B1 KR 101638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justment rods
bead
fixture
guide holes
co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5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간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간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간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60015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80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8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8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2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at vertical intersections of walls
    • E04B1/40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26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specially adapted for cushioning impacts
    • E04F19/028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specially adapted for cushioning impacts used at protruding cor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너비드의 수직을 정밀하게 보정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용 코너비드에 관한 것으로, 서로 각을 이루면서 만나는 양쪽 벽면(20)(22)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상부고정체(30)(40)와 하부고정체(50)(60); 상부고정체(30)(40)와 하부고정체(50)(60)에 각각 결합되어 회전되고, 측방향으로 관통된 가이드홀(32h)(42h)을 갖는 상부회전롤러(32)(42)와 하부회전롤러(52)(62); 상부회전롤러(32)(42)와 하부회전롤러(52)(62)의 외측면으로부터 가이드홀(32h)(42h)로 각각 관통되는 탭구멍(32t)(42t); 가이드홀(32h)(42h)에 삽입되어 미끄러지는 상부조정봉(34)(44)과 하부조정봉(54)(64); 탭구멍(32t)(42t)에 각각 결합되어 상부조정봉(34)(44)과 하부조정봉(54)(64)을 고정하는 세트볼트(36)(46)(56)(66); 상부조정봉(34)(44)과 하부조정봉(54)(64)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열린 고리 형태의 탄성클립(38)(48)(58)(68); 및 탄성클립(38)(48)(58)(68)이 끼워지는 클립걸림홈(72)(74)이 상하부에 형성되고, 벽면(20)(22)이 만나는 모서리(24)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는 비드봉(7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공동주택용 코너비드{Corner Bead for Appartment House}
본 발명은 콘크리트 벽, 조적벽, 기둥 등의 외측 모서리 부위에 설치되어 미장마감층을 정교하게 시공하는데 이용하는 공동주택용 코너비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코너비드의 수직을 정밀하게 맞출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용 코너비드에 관한 것이다.
코너비드는 모서리쇠라고도 불리우며, 미장 마감의 바름벽 코너부를 보호하기 위한 막대 모양으로 된 것으로서, 벽이나 기둥 모서리에 대어 미장 마감층의 모서리가 상하지 않도록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코너비드는 통상 알루미늄, 아연도금강판, 스테인리스스틸, 황동을 이용해서 성형되며, 단면은 모진 것과 둥그스름한 것이 있고, 날개부는 끝을 벌린 것과 따로 끼워 대는 것이 있으며, 벽이나 기둥의 모서리에 미장마무리 위치를 확정하여 미장공사 시행 전에 고정 설치한다.
이와 같은 종래 코너비드 중에서 날개부가 양쪽에 형성되어 양쪽 벽면에 고정할 수 있는 코너비드를 첨부도면 도 1 및 도 2에 도시하였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벽체(13)의 외측모서리에 밀착되는 "L"자 모양의 단면을 갖는 날개부(10a)(10b)가 라운드 형태의 코너비드(10) 양측에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콘크리트못(14a)(14b)에 의해 날개부(10a)(10b)를 벽체(13)의 외측모서리에 고정하기 위해 날개부(10a)(10b)에 장공(11a)(11b)이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었다.
또, 코너비드(10)를 벽체(13)의 외측모서리에 설치한 다음 마감층(13a)(13b)을 벽체(13)에 발라서 마무리하도록 되어 있으며, 날개부(10a)(10b)의 표면에는 마감층(13a)(13b)과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한 리브(12a)(12b)가 형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양날개 형태의 종래 코너비드(10)는 기울기를 보정할 수 없도록 되어 있었기 때문에 벽면이 기울어진 경우 코너비드(10)도 같이 기울어져서 마감층(13a)(13b)이 수직을 이루지 못하고 기울어지게 시공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시공오차에 의해 벽체(13)의 외측모서리가 평면에서 볼 때 직각을 이루지 못하고 예각 또는 둔각을 이루는 경우를 많이 볼 수 있는데, 이 경우 날개부(10a)(10b)의 한쪽이 벽면으로부터 들떠서 불완전하게 설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 코너비드 중에서 날개부가 한쪽에만 형성되어 한쪽 벽면에 고정할 수 있는 코너비드를 첨부도면 도 3 및 도 4에 도시하였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벽체(17)의 한쪽 벽면에 고정하기 위한 벽면고정부(16)의 후면에는 실리콘(18)과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한 복수의 스페이서(16a)가 벽면고정부(16)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벽면고정부(16)의 앞면에는 마감층(19)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보강리브(16b)가 벽면고정부(16)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고, 벽면고정부(16)의 단부에 경사지게 형성된 비드연결부(15a) 끝부분에는 마감층(19)의 외측모서리에 해당하는 라운드 형태의 코너비드(1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한쪽 날개형의 종래 코너비드(15)는 실리콘(18)을 이용해서 벽면에 고정하기 때문에 미장 마감층(19)을 바르는 과정에서 코너비드(15)가 움직이면서 마감층(19)이 불균일하게 시공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코너비드(15)의 고정에 이용하는 실리콘(18)은 굳은 후에도 탄성이 있기 때문에 코너비드(15)에 가해지는 작은 크기의 외력에도 쉽게 움직이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접착에 이용하는 실리콘은 콘크리트나 조적벽에 부착력이 약해 코너비드(15)가 쉽게 벽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벽면이 기울어지거나 평면에서 볼 때 직각을 이루지 못하는 경우 코너비드(15)를 수직으로 고정하는 것이 곤란하여 미장 마감층을 정밀하게 시공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71203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13657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20-038768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51275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두 벽면이 만나는 모서리가 둔각 또는 예각을 이루는 경우에도 견고한 설치가 가능하고, 코너비드의 수직을 정밀하게 맞출 수 있는 공동주택용 코너비드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공동주택용 코너비드는 서로 각을 이루면서 만나는 양쪽 벽면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상부고정체와 하부고정체; 상기 상부고정체와 하부고정체에 각각 결합되어 회전되고, 측방향으로 관통된 가이드홀을 갖는 상부회전롤러와 하부회전롤러; 상기 상부회전롤러와 하부회전롤러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가이드홀로 각각 관통되는 탭구멍;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미끄러지는 상부조정봉과 하부조정봉; 상기 탭구멍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상부조정봉과 하부조정봉을 고정하는 세트볼트; 상기 상부조정봉과 하부조정봉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열린 고리 형태의 탄성클립; 및 상기 탄성클립이 끼워지는 클립걸림홈이 상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벽면이 만나는 모서리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는 비드봉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부고정체(30)(40)와 하부고정체(50)(60)를 벽면(20)(22)에 고정한 상태에서 세트볼트(36)(46)(56)(66)를 풀면 비드봉(70)을 전후좌우로 움직여서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비드봉(70)의 수직을 정밀하게 맞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비드봉(70)을 잡고 있는 탄성클립(38)(48)(58)(68)이 비드봉(70)의 위치에 따라 탄성복원력을 갖고 벌어지면서 비드봉(70)을 강하게 물고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비드봉(70)을 전후좌우로 움직이거나 기울기를 조정하는 작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탄성클립(38)(48)(58)(68)이 비드봉(70)의 클립걸림홈(72)(74)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부회전롤러(32)(42)와 하부회전롤러(52)(62)가 상부고정체(30)(40)와 하부고정체(50)(60)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조정봉(34)(44)과 하부조정봉(54)(64)은 상부회전롤러(32)(42)와 하부회전롤러(52)(62)에 형성된 가이드홀(32h)(42h)에서 직선방향으로 미끄러지도록 되어 있으므로, 두 벽면(20)(22)이 이루는 모서리(24)가 둔각 또는 예각을 이루는 경우에도 상부고정체(30)(40)와 하부고정체(50)(60)를 벽면(20)(22)에 밀착해서 고정할 수 있어 견고한 설치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비드봉(70)의 움직임에 의해 상부조정봉(34)(44)과 하부조정봉(54)(64)이 가이드홀(32h)(42h)에서 미끄러질 때 상부회전롤러(32)(42)와 하부회전롤러(52)(62) 및 탄성클립(38)(48)(58)(68)이 미세하게 회전되기 때문에 비드봉(70)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코너비드의 일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코너비드가 벽면의 외측모서리에 설치된 것을 보인 평단면도
도 3은 종래 코너비드의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코너비드가 벽면의 외측모서리에 설치된 것을 보인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코너비드가 벽면에 설치된 것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고정체와 상부회전롤러 및 세트볼트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클립과 상부조정봉을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코너비드가 벽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비드봉의 수직을 맞추면서 탄성클립이 벌어진 예를 보인 부분 정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코너비드가 벽면에 설치된 것을 보인 평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코너비드가 벽면에 설치된 것을 보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5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서로 각을 이루면서 만나는 양쪽 벽면(20)(22)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상부고정체(30)(40)와 하부고정체(50)(6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고정체(30)(40)와 하부고정체(50)(6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20)(22)에 설치되는 평판 형태의 벽면고정판(35)과, 벽면고정판(35)의 상하 가장자리로부터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수평방향으로 절곡되는 롤러지지판(33a)(33b)과, 롤러지지판(33a)(33b)에 중심이 일치되게 상하관통형으로 형성되는 롤러구멍(31a)(31b)과, 콘크리트못(26)(28)을 이용해서 벽면(20)(22)에 설치하기 위해 상기 벽면고정판(35)에 형성되는 못구멍(35a)(35b)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 상부고정체(30)(40)와 하부고정체(50)(60)는 강판을 이용해서 펀칭, 절곡 등의 프레스 가공에 의해 성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상부고정체(30)(40)와 하부고정체(50)(60)에 각각 결합되어 회전되고, 측방향으로 관통된 가이드홀(32h)(42h)을 갖는 상부회전롤러(32)(42)와 하부회전롤러(52)(62); 상기 상부회전롤러(32)(42)와 하부회전롤러(52)(62)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가이드홀(32h)(42h)로 각각 관통되는 탭구멍(32t)(42t)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회전롤러(32)(42)와 하부회전롤러(52)(6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롤러구멍(31a)(31b)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보스(32a)(32b)를 상부회전롤러(32)(42)와 하부회전롤러(52)(62)의 상하단 중심에 형성할 수 있다.
상부회전롤러(32)(42)와 하부회전롤러(52)(62)를 상부고정체(30)(40)와 하부고정체(50)(60)에 조립하는 과정은, 상기 롤러지지판(33a)(33b)의 사이를 약간 벌려서 상부회전롤러(32)(42)와 하부회전롤러(52)(62)를 롤러지지판(33a)(33b) 사이로 집어넣은 다음, 롤러구멍(31a)(31b)과 보스(32a)(32b)의 중심을 서로 일치시킨 상태에서 벌리고 있던 롤러지지판(33a)(33b)으로부터 외력을 제거하게 되면, 롤러지지판(33a)(33b)이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오므라들면서 상부회전롤러(32)(42)와 하부회전롤러(52)(62)의 양쪽 단면에 밀착되고, 동시에 보스(32a)(32b)가 롤러구멍(31a)(31b)으로 삽입되면서 조립된다.
본 발명은 상기 가이드홀(32h)(42h)에 삽입되어 미끄러지는 상부조정봉(34)(44)과 하부조정봉(54)(64); 상기 탭구멍(32t)(42t)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상부조정봉(34)(44)과 하부조정봉(54)(64)을 고정하는 세트볼트(36)(46)(56)(66); 상기 상부조정봉(34)(44)과 하부조정봉(54)(64)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열린 고리 형태의 탄성클립(38)(48)(58)(68)을 포함한다.
상기 탄성클립(38)(48)(58)(68)은,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볼 때 대략 "C"자 모양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하며, 탄성클립(38)(48)(58)(68)의 개방된 끝부분에는 서로 "V"자 모양을 이루는 절곡부(48a)(48b)를 형성해서 비드봉(70)의 결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 상부조정봉(34)(44)과 하부조정봉(54)(64)에 탄성클립(38)(48)(58)(68)을 접합하는 예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조정봉(34)(44)과 하부조정봉(54)(64)의 끝부분에 탄성클립(38)(48)(58)(68)의 단부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서로를 용접해서 접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탄성클립(38)(48)(58)(68)이 끼워지는 클립걸림홈(72)(74)이 상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벽면(20)(22)이 만나는 모서리(24)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는 비드봉(70)을 포함한다.
상기 탄성클립(38)(48)(58)(68)은, 비드봉(7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형성된 두 개의 클립걸림홈(72)(74)에 각각 두 개씩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클립걸림홈(72)(74)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탄성클립(38)(48)(58)(68)의 높이를 합한 길이보다 약간 길게 형성해서 비드봉(70)의 수직을 맞추기 위해 전후좌우로 움직일 때 벌어지면서 기울어지는 탄성클립(38)(48)(58)(68)이 클립걸림홈(72)(74)의 상하단 턱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동시에 탄성클립(38)(48)(58)(68)이 기울어지거나 벌어지는 것을 자유롭게 한다.
탄성클립(38)(48)(58)(68)을 클립걸림홈(72)(74)에 결합하는 과정은, 탄성클립(38)(48)(58)(68)의 개방된 부위에 클립걸림홈(72)(74)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비드봉(70)을 탄성클립(38)(48)(58)(68)의 안쪽을 향해 강제로 밀어 넣게 되면, 탄성클립(38)(48)(58)(68)이 벌어지면서 클립걸림홈(72)(74)에 결합되고, 동시에 탄성클립(38)(48)(58)(68)이 자체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오므라들면서 클립걸림홈(72)(74)을 물어서 잡는 형태로 결합된다.
상기 상부고정체(30)(40)와 하부고정체(50)(60), 상부회전롤러(32)(42)와 하부회전롤러(52)(62), 상부조정봉(34)(44)과 하부조정봉(54)(64), 탄성클립(38)(48)(58)(68)은 모두 상하좌우로 대칭되게 동일치수로 형성해서 동일한 것을 이용해서 서로 대치해서 설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5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고정체(30)(40)와 하부고정체(50)(60)에 상부회전롤러(32)(42)와 하부회전롤러(52)(62)가 조립되어 있고, 상부회전롤러(32)(42)와 하부회전롤러(52)(62)에 형성된 가이드홀(32h)(42h)에는 상부조정봉(34)(44)과 하부조정봉(54)(64)이 삽입되어 있으며, 상부회전롤러(32)(42)와 하부회전롤러(52)(62)에 형성된 탭구멍(32t)(42t)에는 세트볼트(36)(46)(56)(66)가 나사결합되어 있고, 탄성클립(38)(48)(58)(68)을 통해 상부조정봉(34)(44)과 하부조정봉(54)(64)이 비드봉(70)에 결합되면, 한 세트로 운반과 취급이 가능하여 빠른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콘크리트못(26)(28)을 이용해서 상부고정체(30)(40)와 하부고정체(50)(60)를 벽면(20)(22)에 고정한 다음, 실과 정추 또는 바이알 수평기, 디지털 각도계, 레이저 수평기와 같이 비드봉(70)의 수직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이용해서 비드봉(70)의 수직을 측정한 후, 세트볼트(36)(46)(56)(66)를 모두 풀고 비드봉(70)를 전후좌우로 움직여서 수직을 맞추게 되면, 탄성클립(38)(48)(58)(68)을 통해 비드봉(70)에 결합되어 있는 상부조정봉(34)(44)과 하부조정봉(54)(64)이 상부회전롤러(32)(42)와 하부회전롤러(52)(62)에 형성된 가이드홀(32h)(42h)에서 미끄러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부조정봉(34)(44)과 하부조정봉(54)(64)이 가이드홀(32h)(42h)에서 미끄러질 때 상부회전롤러(32)(42)와 하부회전롤러(52)(62)가 회전되며, 동시에 탄성클립(38)(48)(58)(68)도 비드봉(70)에서 회전된다.
이와 같이 비드봉(70)의 수직을 맞춘 다음 세트볼트(36)(46)(56)(66)를 조이게 되면, 상부조정봉(34)(44)과 하부조정봉(54)(64)이 고정되면서 비드봉(70)이 수직으로 보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 비드봉(70)을 전후좌우로 움직여서 기울기를 보정할 때 비드봉(70)의 중심이 탄성클립(38)(48)(58)(68)의 중심과 불일치될 수 있는데, 이때 탄성클립(38)(48)(58)(68)이 벌어지면서 비드봉(70)의 움직임을 돕게 되며, 상부조정봉(34)(44)과 하부조정봉(54)(64)이 세트볼트(36)(46)(56)(66)에 고정되면, 벌어진 탄성클립(38)(48)(58)(68)이 탄성복원력에 의해 비드봉(70)을 강하게 잡고 있는 꼴로 되기 때문에 비드봉(70)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클립걸림홈(72)(74)의 상하폭이 두 탄성클립(38)(48)(58)(68)의 길이를 합한 길이보다 약간 길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클립(38)(48)(58)(68)의 벌어질 때 클립걸림홈(72)(74)의 상하단 턱에 걸려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두 벽면(20)(22)이 이루는 모서리(24)가 둔각 또는 예각을 이루는 경우, 탄성클립(38)(48)(58)(68)이 비드봉(70)의 클립걸림홈(72)(74)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부회전롤러(32)(42)와 하부회전롤러(52)(62)가 상부고정체(30)(40)와 하부고정체(50)(60)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조정봉(34)(44)과 하부조정봉(54)(64)은 상부회전롤러(32)(42)와 하부회전롤러(52)(62)에 형성된 가이드홀(32h)(42h)에서 직선방향으로 미끄러지도록 되어 있으므로, 상부고정체(30)(40)와 하부고정체(50)(60)를 벽면(20)(22)에 밀착해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20,22 : 벽면 24 : 모서리
26,28 : 콘크리트못 30,40 : 상부고정체
31a,31b : 롤러구멍 32,42 : 상부회전롤러
32a,32b : 보스 32h,42h : 가이드홀
32t,42t : 탭구멍 33a,33b : 롤러지지판
34,44 : 상부조정봉 35 : 벽면고정판
35a,35b : 못구멍 36,46,56,66 : 세트볼트
38,48,58,68 : 탄성클립 48a,48b : 절곡부
50,60 : 하부고정체 52,62 : 하부회전롤러
54,64 : 하부조정봉 70 : 비드봉
72,74 : 클립걸림홈

Claims (1)

  1. 서로 각을 이루면서 만나는 양쪽 벽면(20)(22)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상부고정체(30)(40)와 하부고정체(50)(60);
    상기 상부고정체(30)(40)와 하부고정체(50)(60)에 각각 결합되어 회전되고, 측방향으로 관통된 가이드홀(32h)(42h)을 갖는 상부회전롤러(32)(42)와 하부회전롤러(52)(62);
    상기 상부회전롤러(32)(42)와 하부회전롤러(52)(62)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가이드홀(32h)(42h)로 각각 관통되는 탭구멍(32t)(42t);
    상기 가이드홀(32h)(42h)에 삽입되어 미끄러지는 상부조정봉(34)(44)과 하부조정봉(54)(64);
    상기 탭구멍(32t)(42t)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상부조정봉(34)(44)과 하부조정봉(54)(64)을 고정하는 세트볼트(36)(46)(56)(66);
    상기 상부조정봉(34)(44)과 하부조정봉(54)(64)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열린 고리 형태의 탄성클립(38)(48)(58)(68); 및
    상기 탄성클립(38)(48)(58)(68)이 끼워지는 클립걸림홈(72)(74)이 상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벽면(20)(22)이 만나는 모서리(24)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는 비드봉(70);
    을 포함하는 공동주택용 코너비드.
KR1020160015406A 2016-02-11 2016-02-11 공동주택용 코너비드 KR101638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5406A KR101638046B1 (ko) 2016-02-11 2016-02-11 공동주택용 코너비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5406A KR101638046B1 (ko) 2016-02-11 2016-02-11 공동주택용 코너비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8046B1 true KR101638046B1 (ko) 2016-07-08

Family

ID=56504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5406A KR101638046B1 (ko) 2016-02-11 2016-02-11 공동주택용 코너비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804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1906B1 (ko) 2019-01-31 2019-07-23 (주)해승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코너비드
KR102221241B1 (ko) * 2020-08-11 2021-03-02 주식회사 푸름인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코너비드 고정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3954A (en) * 1992-01-29 1993-04-20 Moore David R Adjustable corner bead drywall roller
JPH11350729A (ja) * 1998-06-04 1999-12-21 Washu Sangyo Kk 型枠出隅部の補強金具
KR200387685Y1 (ko) 2005-03-22 2005-06-21 이규만 내외장 마감용 코너비드
KR100712034B1 (ko) 2006-03-31 2007-04-27 (주)영광산업개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코너비드
KR100926424B1 (ko) * 2006-09-18 2009-11-12 김인태 조립식 구조물의 트러스 설치각 조절장치
KR101136574B1 (ko) 2009-09-23 2012-04-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신축 및 리모델링이 용이한 코너비드형 표준 마무리재 및 그를 이용한 벽체 코너부 마무리 구조
KR101360584B1 (ko) * 2012-07-03 2014-02-10 주식회사 다음이앤씨 확장된 통로를 갖는 박스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전단력 및 부모멘트 보강 장치
KR101512750B1 (ko) 2014-12-11 2015-04-16 (주)서한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코너비드 구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3954A (en) * 1992-01-29 1993-04-20 Moore David R Adjustable corner bead drywall roller
JPH11350729A (ja) * 1998-06-04 1999-12-21 Washu Sangyo Kk 型枠出隅部の補強金具
KR200387685Y1 (ko) 2005-03-22 2005-06-21 이규만 내외장 마감용 코너비드
KR100712034B1 (ko) 2006-03-31 2007-04-27 (주)영광산업개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코너비드
KR100926424B1 (ko) * 2006-09-18 2009-11-12 김인태 조립식 구조물의 트러스 설치각 조절장치
KR101136574B1 (ko) 2009-09-23 2012-04-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신축 및 리모델링이 용이한 코너비드형 표준 마무리재 및 그를 이용한 벽체 코너부 마무리 구조
KR101360584B1 (ko) * 2012-07-03 2014-02-10 주식회사 다음이앤씨 확장된 통로를 갖는 박스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전단력 및 부모멘트 보강 장치
KR101512750B1 (ko) 2014-12-11 2015-04-16 (주)서한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코너비드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1906B1 (ko) 2019-01-31 2019-07-23 (주)해승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코너비드
KR102221241B1 (ko) * 2020-08-11 2021-03-02 주식회사 푸름인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코너비드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3414B2 (en) Adjustable clip
US10508454B2 (en) Exterior-material securing member and building exterior structure
KR101576230B1 (ko) 천장마감용 경량 철골 조립체
JP2016205121A (ja) 止水パネルの取付構造
KR101638046B1 (ko) 공동주택용 코너비드
JP4087825B2 (ja) デッキ構造
TWI721257B (zh) 壁材的安裝件、及壁結構
JP6957173B2 (ja) 取付具、取付具と防水材とのセット、壁構造、及び外装材の施工方法
KR101604114B1 (ko) 건축용 코너비드 고정장치
JP6622454B2 (ja) 日射遮蔽装置の補助部材
JP7068208B2 (ja) 額縁
KR101920424B1 (ko) 타일용 코너비드
JP2006207201A (ja) 外装パネル用の下地金具の構造
JP5822588B2 (ja) 建築用パネル取付補助具及び建築用パネルの取付構造
KR102369687B1 (ko) 내, 외장 마감패널과 클램프의 고정구조
JP7474185B2 (ja) 水切り仮固定治具
JP6659277B2 (ja) 外壁材取付具及び外壁構造
KR102159838B1 (ko) 내, 외벽체 설치프레임용 브라켓
CA2698949A1 (en) Track wall system
JP7124620B2 (ja) 隅部仕上材の仮保持具
JP2011153403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取付具及び取付構造
JP6802648B2 (ja) 外壁構造
JP6798927B2 (ja) 建具
JP6661475B2 (ja) サッシ取付ブラケット
KR20160133158A (ko) 창호 고정용 조립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