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9687B1 - 내, 외장 마감패널과 클램프의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내, 외장 마감패널과 클램프의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9687B1
KR102369687B1 KR1020210049145A KR20210049145A KR102369687B1 KR 102369687 B1 KR102369687 B1 KR 102369687B1 KR 1020210049145 A KR1020210049145 A KR 1020210049145A KR 20210049145 A KR20210049145 A KR 20210049145A KR 102369687 B1 KR102369687 B1 KR 102369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clamp
fixing
bent piece
fin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9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남훈
Original Assignee
조남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남훈 filed Critical 조남훈
Priority to KR1020210049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96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9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9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6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fixed by means of clamp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39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situated at the corners of the covering elements, not extending through the cov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내, 외장 마감패널과 클램프의 고정구조가 제공된다. 제공된 고정구조는 절곡편이 구비되는 내, 외장 마감패널; 및 상기 절곡편을 고정하기 위한 돌기체와 상기 돌기체에 설치되어 상기 절곡편을 상기 돌기체에 밀착고정하는 탄성클립이 구비되는 클램프를 포함하되, 상기 돌기체는 일면과 타면에 제1, 제2 경사밀착면을 마련하여 상기 내, 외 마감패널들이 상호 밀착설치될 수 있도록 상부로 갈수로 폭이 좁아지는 삼각뿔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내, 외장 마감패널의 절곡편은 상기 제1, 제2 경사밀착면에 외부면이 밀착되도록 상기 각 경사밀착면과 대응하는 경사절곡부가 마련된다.

Description

내, 외장 마감패널과 클램프의 고정구조{A Clamp for Construction}
본 발명은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내, 외벽 또는 천장을 마감하기 위해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내, 외장 마감패널과, 상기 각 마감패널이 결합되는 클램프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내, 외벽 또는 천장에 마감패널을 고정설치하는 건식 마감처리공법(DRY WALL FIXING)은 건축물 내, 외벽 또는 천장에 클램프를 포함하는 설치부재를 고정한 후, 상기 설치부재의 클램프를 매개체로 하여 마감패널을 설치함으로서 시공된다. 이와 같은 건식 마감처리공법은 시공 시간이 짧고 작업의 편의성 및 시공상의 장점이 많아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 내, 외장 마감패널용 클램프의 대표적인 일례로서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 제10-2016-880호(2016.01.05. 공개)에서는 4개 방면으로 1회 이상 절곡 가공되어 절곡면이 형성되는 '외장패널의 코너용 방수부재'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공개특허 제10-2016-880호에 개시된 코너용 방수부재는 평판형의 베이스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으로 직각구조를 갖도록 형성된 제1, 제2 차단막과, 방수부재가 건물의 벽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장착공을 포함한다.
하지만, 상기의 공개특허 제10-2016-880호에 개시된 코너용 방수부재는 제1, 제2 차단막이 외장패널의 절곡면을 고정하는 것이 아니라 외장패널의 코너부분에 형성되는 틈새를 봉인하여 누수를 차단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고, 실제 외장패널은 장착용 브라켓에 의해 고정됨에 따라 설치구조가 복잡하고, 외장패널의 부분파손시 교체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종래 내, 외장 마감패널용 클램프의 대표적인 일례로서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 제10-139876호(2014.05.27. 공고)에서는 지지프레임에 결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서로 인접되게 배치된 마감용 패널들의 스커트부를 각각 삽입시킨 상태로 상기 지지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마감용 패널들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마감용 패널들의 스커트부를 파지하는 파지부와;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본체를 서로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구비한 '천정 마감용 패널 고정구'를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등록특허 제10-139876호는 상기 파지부를 통해 마감용 패널의 스커트부를 파지하는 구조로 마감패널들을 지지프레임에 고정한다.
하지만, 상기의 등록특허 제10-139876호는 상기 파지부가 '十'자 또는 'X'자 형태의 홈에 마감용 패널의 스커트부를 끼워서 고정하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어서, 마감용 패널의 스커트부가 파지부의 홈에서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이 상존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상기의 등록특허 제10-139876호에서는 파지부를 클립형태로 구성하여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실시예를 제시하고 있지만, 이러한 클립형태 파지부또한 가압부위가 마감용 패널의 스커트부에 점접촉되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어서, 고정력이 미미하고, 시공이후 소정시간이 지나 파지부 가압부위의 변형에 의해 가압력을 상실할 경우 마감용 패널의 스커트부가 파지부에서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이 여전히 상존한다.
한편, 본 출원인에 의해 대한민국 특허청에 선등록된 등록특허 제10-2159837호(2020.09.25. 공고)에서는 십자형태의 날개편이 구비된 본체에 줄눈형성돌기체와 탄성클립이 구비되는 '건축용 불연성 클램프'를 제안한 바 있다. 이와 같은 등록특허 제10-1732726호는 클램프와 외장패널의 결합구조에 끼움고정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시공이 단순하고,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외장패널을 부분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제10-2159837호는 상기 줄눈형성돌기체의 고정부와 상기 탄성클립의 탄성력에 의해 외장패널의 절곡편을 이중으로 고정함에 따라 고정력을 향상할 수 있어 시공이후에도 외장패널이 클램프에서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의 제10-2159837호는 상기 줄눈형성돌기체의 두께만큼 외장패널과 외장패널의 사이에 환기통로역할을 하는 줄눈이 형성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결로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이중벽체, 예컨대 외벽 또는 지하구조물의 내벽에 시공되는 이중벽체에는 적합하지만, 결로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건축물의 내, 외벽 또는 천장에 적용시 외장패널과 외장패널에 마련되는 줄눈이 미관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의 제10-2159837호는 상기 줄눈형성돌기체의 두께만큼 외장패널과 외장패널의 사이에 이격되게 시공되므로, 패널간의 사이를 정밀하게 밀착시공하는 실내벽체 또는 실외벽체 및 천장 마감용도에 적용할 수 없으며, 적용하더라도 줄눈에 의해 미려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내,외장 마감패널과 클램프의 고정구조가 갖는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내, 외장 마감패널들의 밀착시공이 가능하면서도 마감패널을 견고하게 고정하여 내, 외장 마감패널에 의해 시공되는 내벽체, 외벽체 및 천장구조체를 미려하게 시공할 수 있는 내, 외장 마감패널과 클램프의 고정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내, 외장 마감패널들의 밀착시공이 가능하면서도 마감패널을 견고하게 고정하여 내, 외장 마감패널이 클램프에서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내, 외장 마감패널과 클램프의 고정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기존 돌기체와 패널간의 고정구조를 개선하여 내, 외장 마감패널을 견고하게 고정하면서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내, 외장 마감패널과 클램프의 고정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절곡편이 구비되는 내, 외장 마감패널; 및 상기 절곡편을 고정하기 위한 돌기체와 상기 돌기체에 설치되어 상기 절곡편을 상기 돌기체에 밀착고정하는 탄성클립이 구비되는 클램프;를 포함하는 내, 외장 마감패널과 클램프의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돌기체는 일면과 타면에 제1, 제2 경사밀착면을 마련하여 상기 내, 외 마감패널들이 상호 밀착설치될 수 있도록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삼각뿔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내, 외장 마감패널의 절곡편은 상기 제1, 제2 경사밀착면에 외부면이 밀착되도록 각 경사밀착면과 대응하는 경사절곡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 외장 마감패널과 클램프의 고정구조를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상기 절곡편의 외부면에는 상기 탄성클립을 고정하기 위한 스토퍼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상기 돌기체의 제1, 제2 경사밀착면에 상기 절곡편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1, 제2 경사밀착면과 상기 절곡편에는 절곡돌기와 고정홀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상기 돌기체의 제1, 제2 경사밀착면에 상기 절곡편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1, 제2 경사밀착면과 상기 절곡편에는 탄성걸림방식으로 상호 고정되는 탄성돌기와 걸림홀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 외장 마감패널과 클램프의 고정구조는 클램프의 돌기체가 제1, 제2 경사밀착면을 갖도록 구성하고, 절곡편에 경사절곡부를 두어 내, 외장 마감패널들을 밀착시공함으로써 이러한 내, 외장 마감패널에 의해 시공되는 내벽체, 외벽체 및 천장구조체를 미려하게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감패널간의 마찰간섭에 의한 고정효과 및 상기 탄성클립의 탄성부에 의해 내부면이 고정하는 효과와 함께 상기 고정홀 또는 걸림홀에 절곡돌기 또는 탄성돌기가 고정되게 하여 돌기체와 절곡편에 추가로 고정력을 발생함에 따라 클램프에 내,외장 마감패널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 내, 외장 마감패널이 클램프에서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스토퍼와 절곡돌기가 삼각돌기형태로 구성되고, 탄성돌기 또한 자체 탄성을 갖도록 구성되어 내, 외장 마감패널의 훼손 및 파손시 해당 마감패널만을 클램프에서 분리, 교체할 수 있어서, 유지 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에 내, 외장 마감패널이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에 내, 외장 마감패널이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에 의해 시공되는 내, 외장 마감패널의 설치상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내, 외장 마감패널과 클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단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내, 외장 마감패널과 클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내, 외장 마감패널과 클램프의 작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내, 외장 마감패널과 클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내, 외장 마감패널과 클램프의 작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내, 외장 마감패널과 클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내, 외장 마감패널과 클램프의 작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내, 외장 마감패널과 클램프는 건축물의 외벽 또는 건축물의 내벽 및 천장에 마감시공되어 외벽체 또는 내벽체 및 천장구조체를 형성하는 마감패널 및 이러한 마감패널을 고정하는 클램프로 정의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내, 외장 마감패널과 클램프는 건축물의 내, 외벽 또는 천장에 시공할 때, 클램프가 직결방식으로 건축물의 내, 외벽에 배열설치되어 마감패널을 고정하거나, 건축물의 내, 외벽 또는 천장에 배열설치되는 파이프에 클램프가 설치되어 마감패널을 고정하는 구조로 정의할 수 있다.
<제1 실시예>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구조는 절곡편(12)을 갖는 내, 외장 마감패널(1)과, 돌기체(22) 및 탄성클립(23)을 갖는 클램프(2)를 포함하되, 상기 절곡편(12)에는 경사절곡부(121)가 마련되고, 상기 돌기체(22)에는 제1, 제2 경사밀착면(221,222))을 구비함으로써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고정구조는 상기 클램프(2)의 돌기체(22) 및 탄성클립(23)의 사이에 내, 외장 마감패널(1)의 절곡편(12)을 고정하는 구조라면, 어느 고정구조라도 적용할 수 있다. 이를 자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고정구조는 절곡편(12)이 구비되는 내, 외장 마감패널(1)과, 상기 절곡편(12)을 고정하기 위한 돌기체(22) 및 상기 돌기체(22)에 설치되어 상기 절곡편(12)을 상기 돌기체(22)에 밀착고정하는 탄성클립(23)이 구비되는 클램프(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고정구조에 대한 대표적인 일례로는 본 출원인이 발명자인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 10-1732726호 및 등록특허 10-1935422호의 '줄눈환기형 외벽체'와, 본 출원인에 의해 대한민국 특허청에 등록된 등록특허 10-2159837호의 '건축용 불연성 클램프'를 들 수 있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내, 외장 마감패널(1)과 클램프(2)의 고정구조는 상기의 등록특허 10-1732726호 및 등록특허 10-1935422호에서의 줄눈형성돌기와 탄성클립을 갖는 클램프 및 절곡편을 갖는 외장패널의 고정구조에 적용할 수 있고, 상기의 등록특허 10-2159837호에서의 줄눈형성돌기체와 탄성클립을 갖는 클램프 및 절곡편을 갖는 외장패널의 고정구조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고정구조에서 상기 내, 외장 마감패널(1)은 사각체, 예컨대 정사각체 또는 직사각체로 구성되는데, 사각판형태 전면판(11)의 사방 외둘레에서 절곡되는 절곡편(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내, 외장 마감패널(1)은 금속제(철판 또는 스테인리스와 같은 불연성 금속제를 포함한다.) 또는 열경화성수지 패널(SMC)과 같은 합성수지재를 구성재질로 하며, 취급이 용이하도록 강도가 보장되는 범위 내에서 얇은 두께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내, 외장 마감패널(1)의 절곡편(12)에는 경사절곡부(121)가 마련된다. 이와 같은 경사절곡부(121)는 상기 절곡편(12)이 상기 전면판(11)의 사방 외둘레에서 예각(전면판(11)에 대하여 절곡편(12)이 예각을 이루도록 함.)으로 절곡되도록 한 부위로서, 이러한 경사절곡부(121)의 절곡각도는 후술하게 될 돌기체(22)의 제1, 제2 경사밀착면(221,222)의 각도와 대응하는 각도가 부여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기 경사절곡부(121)가 마련되는 절곡편(12)은 후술하게 될 상기 돌기체(22)의 제1, 제2 경사밀착면(221,222)에 외부면이 밀착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의 고정구조에서 상기 클램프(2)는 합성수지제 또는 금속제(철판 또는 스테인리스와 같은 불연성 금속제를 포함한다.)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클램프(2)를 구성하는 상기 돌기체(22)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판상체로 된 클램프본체(21)에 결합되는 구조, 즉 상기의 등록특허 10-2159837호에서의 줄눈형성돌기체와 같이 십자형태의 날개편을 갖는 클램프본체(11)에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상기 돌기체(22)는 상부로 갈수로 폭이 좁아지는 삼각뿔구조로 구성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돌기체(22)는 일면과 타면을 제1, 제2 경사밀착면(221,222), 즉 상기한 절곡편(12)의 외부면(12a)이 밀착되도록 한 각도가 부여되는 제1, 제2 경사밀착면(221,222)으로 구성한다.
또한, 클램프(2)를 구성하는 상기 탄성클립(23)은 상기 돌기체(22)에 결합되는 구조, 즉 상기의 등록특허 10-2159837호에서의 탄성클립과 같이 상기 돌기체(22)의 하부에 결합되어 탄성부(231)가 상기 제1, 제2 경사밀착면(221,222)에 맞닿도록 상기 돌기체(22)에 결합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기 탄성클립(23)은 상기 돌기체(22)에 설치되는 상기 절곡편(12)의 내부면에 상기 탄성부(231)가 맞닿게 된다.
이에,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구조의 작용상태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구조는 상기 돌기체(22)와 상기 탄성클립(23)의 사이에 상기 내, 외장 마감패널(1)의 절곡편(12)을 삽입설치하면, 상기 절곡편(12)의 외부면(12a)이 상기 돌기체(22)의 제1경사밀착면(221) 또는 제2 경사밀착면(222)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절곡편(12)의 내부면(12b)에는 상기 탄성클립(23)의 탄성부(231)가 갖는 탄성고정력이 작용하여 상기 절곡편(12)이 상기 돌기체(22)에 밀착고정된다. 이때, 상기 돌기체(22)에 상기 절곡편(12)을 완접삽입하면, 이웃하는 마감패널(1)과 마감패널(1)은 사방 외둘레가 서로 맞닿아 밀착설치되는데, 이는 각 마감패널(1)의 절곡편(12)에 예각으로 된 경사절곡부(121)이 구비되어 있어서 이러한 절곡편(12)의 외부면(12a)이 상기 제1, 제2 경사밀착면(221,222)에 밀착됨에 따라 이웃하는 마감패널(1)과 마감패널(1)의 사방 외둘레가 도 3에서와 같이 견고하게 밀착설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 외장 마감패널(1)과 클램프(2)의 고정구조에서는 돌기체(22)의 제1, 제2 경사밀착면(221,22)과 절곡편(12)에 구비되는 경사절곡부(121)의 구성을 통해 내, 외장 마감패널(1)들의 사이를 정밀하게 밀착시공할 수 있어, 내벽 또는 외벽 및 천장의 마감용도에 적용할 경우 시공되는 내벽체, 외벽체 및 천장구조체(3,3',3")를 미려하게 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은 기존과 같이 마감패널들의 사이에서 이격공간형태로 마련되는 줄눈의 형성을 방지함에 따라서 이러한 줄눈에 의해 내벽체, 외벽체 및 천장구조체(3,3',3")의 미려함이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소비자(시공인 및 시공의뢰인)의 기호를 충족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각 마감패널(1)들의 사방 외둘레가 밀착되게 설치되므로 마감패널(1)간의 마찰간섭이 발생됨에 따라서, 이러한 상호 마찰간섭을 통해 마감패널(1)이 클램프(2)에서 분리되는 현상을 마감패널(1)들간에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도 2에서와 같이 클램프(2)에 고정된 상태의 각 마감패널(1)들은 사방 외둘레, 즉 경사절곡부(121)가 서로 면접촉되는 형태로 밀착되므로 마감패널(1)간의 마찰간섭이 발생하여 마감패널(1)이 클램프(2)에서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마찰간섭은 하나의 마감패널(1a)에서 볼 때, 도 3에서와 같이 사방 외둘레가 각기 다른 마감패널(1b,1c,1d,1e)들과 마찰간섭됨에 따라 마감패널(1a)이 클램프에서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호 마찰간섭이 발생하도록 설치되는 각 마감패널(1)들은 서로 유기적인 결합관계를 통해 마감패널(1)이 클램프(2)에서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구조에서는 클램프에 설치된 상태의 내, 외장 마감패널이 상기한 마찰간섭에 의한 상호 고정작용과 함께 클램프(2)의 탄성클립(23)가 상기 내, 외장 마감패널(1)의 절곡편(12)을 고정함에 따라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내, 외장 마감패널(1)의 훼손 및 파손시에는 흡착기구 또는 그 밖의 도구(도면에 미도시됨.)를 이용하여 해당 마감패널(1a)의 전면판에 소정 힘을 가해((클램프에 설치하는 방향과 반대되는 역방향) 해당 마감패널(1)을 분리할 수 있고, 새로운 마감패널로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구조는 내, 외장 마감패널(1)을 클램프(2)에 견고하게 고정하면서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제2 실시예>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정구조는 내, 외장 마감패널(1)의 절곡편(12)을 구성함에 있어, 상기 절곡편(12)의 외부면에 상기 탄성클립(23)을 고정하기 위한 스토퍼(122,122')가 구비된 것이다. 이와 같은 스토퍼(122,122')는 상기의 등록특허 10-2159837호와 대응하는 구조의 도 4a에서와 같이 제1 스토퍼(122a)와 제2 스토퍼(122b)를 소정간격 이격시켜 분할 구성하거나, 상기의 등록특허 10-1732726호 및 등록특허 10-1935422호와 대응하는 구조의 도 4b에서와 같이 단수개로 구성하되, 상기 탄성클립(23)의 탄성부(231)와 충분히 면접촉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토퍼(122,122')는 상기 탄성클립(23)의 탄성부(231)의 형태와 대응하도록 삼각돌기형태로 돌출된 구조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밖에도 상기 탄성부(231)에 용이하게 고정 및 분리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느 구조라도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정구조는 상기 내, 외장 마감패널(1)의 절곡편(12)에 스토퍼(122,122' : 제1, 제2 스토퍼(122a,122b)를 포함한다)를 구비하여 상기 탄성클립(23)의 탄성부(231)가 상기 스토퍼(122,122')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게 함으로써 마감패널(1)을 클램프(2)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정구조는 마감패널(1)과 클램프(2)의 고정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외력이 작용할 수 있는 외벽체의 마감용도 또는 마감패널의 중력이 작용하는 천장구조체의 마감용도로 적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정구조는 상기 스토퍼(122,122')와 탄성부(231)가 상호 대응하는 삼각돌기구조로 구성되어 상기 스토퍼(122,122')와 탄성부(231)가 치합되는 형태로 고정되므로 고정력을 배가할 수 있다. 아울러, 마감패널(1)을 교체코자 할 경우에는 마감패널(1)의 설치방향과 반대되는 역방향으로 마감패널(1)에 소정 힘을 가해 삼각돌기구조의 스토퍼(122,122')가 동일구조의 탄성부(231)에서 이탈시킴으로써 마감패널(1)을 클램프(2)에서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1, 제2 스토퍼(122a,122b)로 분할 구성되는 스토퍼(122)는 도 5에서와 같이 마감패널(1)이 클램프(2)의 설치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외력 등이 작용할 경우 탄성클립(23)의 탄성부(231)에 고정되어 있는 제1 스토퍼(122a)가 분리되더라도 제2 스토퍼(122b)가 재차 해당 탄성부(231)에 고정되므로 마감패널(1)이 의도치 않게 클램프(2)에서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제3 실시예>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고정구조는 상기 클램프(2)의 돌기체(22)를 구성함에 있어, 상기 제1, 제2 경사밀착면(221,222)에 절곡돌기(223)를 형성하고, 상기 절곡편(12)에는 고정홀(123)을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은 절곡돌기(223)는 상기 제1, 제2 경사밀착면(221,222)의 소정부위, 예컨대 상기 탄성클립(23)의 탄성부(231)와 간섭되지 않는 부위에 마련되며, 삼각돌기형태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절곡돌기(223)를 삼각돌기형태로 구성함에 있어, 구성형태는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제1, 제2 경사밀착면(221,222)의 가로방향에 연속 절곡형성하거나(도 6의 (a)), 2개의 절곡돌기(223)가 서로 이격되게 펀칭가공을 통해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펀칭가공을 통해 다수의 절곡돌기(223)를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고정홀(123)은 상기 절곡편(12)의 소정부위, 예컨대 상기 돌기체(22)에 상기 절곡편(12)을 완전삽입설치할 때 상기 절곡돌기(223)에 걸림고정될 수 있는 부위에 사각통공형태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기 절곡편(12)은 상기 클램프(2)의 돌기체(22)에 삽입고정할 때, 상기 제1, 제2 경사밀착면(221,222)에 마련된 절곡돌기(223)에 상기 고정홀(123)이 삽입고정되므로 상기 돌기체(22)와 견고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견고한 결합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절곡편(12)은 전술한 마감패널(1)간의 마찰간섭에 의한 고정효과 및 상기 탄성클립(23)의 탄성부(231)에 의해 내부면(12b)이 고정되는 것과 함께 상기 고정홀(123)이 상기 제1, 제2 경사밀착면(221,222)의 절곡돌기(223)에 삽입고정되어 추가로 고정력을 발생함에 따라 견고하게 상기 돌기체(22)에 결합되며, 견고한 결합상태를 지속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고정구조는 마감패널(1)과 클램프(2)의 고정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외력이 작용할 수 있는 외벽체(3')의 마감용도 또는 마감패널의 중력이 작용하는 천장구조체(3")의 마감용도로 적합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서와 같이 기 설치된 내, 외장 마감패널(1)을 분리할 때에도 상기 절곡돌기(223)가 삼각돌기형태로 구성됨에 따라서 해당 마감패널(1)의 전면판(11)에 소정 힘을 가해((클램프에 설치하는 방향과 반대되는 역방향) 해당 마감패널을 분리할 수 있고, 새로운 마감패널로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고정구조는 내, 외장 마감패널(1)을 클램프(2)에 견고하게 고정하면서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절곡돌기(223)와 고정홀(123)은 상기 제1, 제2 경사밀착면(221,222)과 상기 절곡편(12)에 구비되는데, 이러한 구성부위를 치환하여 상기 제1, 제2 경사밀착면(221,222)에 고정홀(123)을 구비하고, 상기 절곡편(12)에 절곡돌기(223)를 구비할 수도 있다.
<제4 실시예>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고정구조는 상기 제1, 제2경사밀착면(221,222)과 상기 절곡편(12)에 탄성걸림방식으로 상호 고정되는 탄성돌기(224)과 걸림홀(124)을 구비한 것이다. 이와 같은 탄성돌기(224)는 타단이 상기 제1, 제2 경사밀착면(221,222)와 일체로 연결되고 일단이 상기 제1, 제2 경사밀착면(221,222)에서 돌출되는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걸림홀(124)은 상기 절곡편(12)을 상기 돌기체(22)에 삽입고정할 때 상기 탄성돌기(224)에 걸림고정될 수 있는 부위에 사각통공형태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기 절곡편(12)은 상기 클램프(2)의 돌기체(22)에 삽입고정할 때, 상기 제1, 제2 경사밀착면(221,222)에 마련된 탄성돌기(224)에 상기 걸림홀(124)이 삽입고정되므로 상기 돌기체(22)와 견고히 결합되며, 견고한 결합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절곡편(12)은 전술한 마감패널(1)간의 마찰간섭에 의한 고정효과 및 상기 탄성클립의 탄성부에 의해 내부면이 고정하는 것과 함께 상기 걸림홀(124)이 상기 제1, 제2 경사밀착면(221,222)의 탄성돌기(224)에 삽입고정되어 추가로 고정력을 발생함에 따라 견고하게 상기 돌기체(22)에 결합되며, 견고한 결합상태를 지속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고정구조는 마감패널(1)과 클램프(2)의 고정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외력이 작용할 수 있는 외벽체(3')의 마감용도 또는 마감패널의 중력이 작용하는 천장구조체(3")의 마감용도로 적합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서와 같이 기 설치된 내, 외장 마감패널(1)을 분리할 때에도 상기 탄성돌기(224) 자체가 탄성력을 갖는 구조로 구성됨에 따라서 해당 마감패널(1)의 전면판에 소정 힘을 가해((클램프에 설치하는 방향과 반대되는 역방향) 해당 마감패널(1)을 분리할 수 있고, 새로운 마감패널로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고정구조는 내, 외장 마감패널(1)을 클램프(2)에 견고하게 고정하면서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탄성돌기(224)와 걸림홀(124)은 상기 제1, 제2 경사밀착면(221,222)과 상기 절곡편(12)에 구비되는데, 구성부위를 치환하여 상기 제1, 제2 경사밀착면(221,222)에 걸림홀(124)을 구비하고, 상기 절곡편(12)에 탄성돌기(224)를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예를 든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들에 대해 다양한 변형이나 변경이 가능함을 주목하여야 한다. 다시 말하면, 전술한 실시예들을 병합하여 적용할 수도 있음을 주목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원칙적으로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진다.
1, 1a~1e : 내, 외장 마감패널 2 : 클램프
3 : 내벽체 3' : 외벽체
3" : 천장구조체 11 : 전면판
12 : 절곡편 12a : 외부면
12b : 내부면 21 : 클램프본체
22 : 돌기체 23 : 탄성클립
121 : 경사절곡부 122,122' : 스토퍼
122a : 제1 스토퍼 122b : 제2 스토퍼
123 : 고정홀 124 : 걸림홀
221,222 : 제1, 제2 경사밀착면 223 : 절곡돌기
224 : 탄성돌기 231 : 탄성부

Claims (4)

  1. 절곡편이 구비되는 내, 외장 마감패널; 및 상기 절곡편을 고정하기 위한 돌기체와 상기 돌기체에 설치되어 상기 절곡편을 상기 돌기체에 밀착고정하는 탄성클립이 구비되는 클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돌기체는 수직면으로 된 양측면에 상기 절곡편이 수직밀착되어 상기 내, 외장 마감패널들이 소정간격 이격되게 상기 돌기체에 결합되는 내, 외장 마감패널과 클램프의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돌기체는 상기 내, 외 마감패널들이 상호 밀착설치될 수 있도록 일면과 타면에 제1, 제2 경사밀착면을 마련하여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삼각뿔구조로 구성하고,
    상기 내, 외장 마감패널의 절곡편은 상기 제1, 제2 경사밀착면에 외부면이 밀착되도록 각 경사밀착면과 대응하는 경사절곡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 외장 마감패널과 클램프의 고정구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편의 외부면에는 상기 탄성클립을 고정하기 위한 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 외장 마감패널과 클램프의 고정구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체의 제1, 제2 경사밀착면에 상기 절곡편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1, 제2 경사밀착면과 상기 절곡편에는 절곡돌기와 고정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 외장 마감패널과 클램프의 고정구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체의 제1, 제2 경사밀착면에 상기 절곡편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1, 제2 경사밀착면과 상기 절곡편에는 탄성걸림방식으로 상호 고정되는 탄성돌기와 걸림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 외장 마감패널과 클램프의 고정구조.
KR1020210049145A 2021-04-15 2021-04-15 내, 외장 마감패널과 클램프의 고정구조 KR102369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145A KR102369687B1 (ko) 2021-04-15 2021-04-15 내, 외장 마감패널과 클램프의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145A KR102369687B1 (ko) 2021-04-15 2021-04-15 내, 외장 마감패널과 클램프의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9687B1 true KR102369687B1 (ko) 2022-03-02

Family

ID=80815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9145A KR102369687B1 (ko) 2021-04-15 2021-04-15 내, 외장 마감패널과 클램프의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968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0378B1 (ko) * 2016-12-08 2017-02-28 주식회사 진흥 천장패널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천장패널 조립체
KR20200072758A (ko) * 2018-12-13 2020-06-23 조남훈 건축용 불연성 클램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0378B1 (ko) * 2016-12-08 2017-02-28 주식회사 진흥 천장패널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천장패널 조립체
KR20200072758A (ko) * 2018-12-13 2020-06-23 조남훈 건축용 불연성 클램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01817B (zh) 外装件的安装配件以及外装结构
KR102100643B1 (ko) 소음 방지형 커튼월 창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369687B1 (ko) 내, 외장 마감패널과 클램프의 고정구조
JPS6145738B2 (ko)
KR102159837B1 (ko) 건축용 불연성 클램프
JP6951700B2 (ja) 天井吊り金具及び多階層建物の躯体構造
KR101638046B1 (ko) 공동주택용 코너비드
JP4099685B2 (ja) パネル等の連結機構
GB2346627A (en) Partition seal
JPS588821Y2 (ja) 建築物用内外装飾板
GB2266736A (en) Grid for suspended ceiling
JPH0214572Y2 (ko)
JPH041206Y2 (ko)
JPS6212737Y2 (ko)
JPS6336097Y2 (ko)
JPH0237924Y2 (ko)
JP2563394Y2 (ja) 外壁プレハブパネルの目地構造
JPH0118737Y2 (ko)
JPH0460041A (ja) 仕上げユニットパネル及びタイル貼りカーテンウォール
JPH0713971U (ja) 巾 木
KR20160133158A (ko) 창호 고정용 조립브라켓
JP2020084646A (ja) 外壁目地の防水構造及び防水部材の施工方法
JP2571708Y2 (ja) 天井廻り縁
JPH11241442A (ja) クリーンルーム用壁パネルの取付構造
KR200386625Y1 (ko) 직각대를 이용한 천장돌림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