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0424B1 - 타일용 코너비드 - Google Patents

타일용 코너비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0424B1
KR101920424B1 KR1020170126708A KR20170126708A KR101920424B1 KR 101920424 B1 KR101920424 B1 KR 101920424B1 KR 1020170126708 A KR1020170126708 A KR 1020170126708A KR 20170126708 A KR20170126708 A KR 20170126708A KR 101920424 B1 KR101920424 B1 KR 101920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base plate
height
plate
corner b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6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범진
Original Assignee
김범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범진 filed Critical 김범진
Priority to KR1020170126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04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0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0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6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panels or masking the edges of wall- or floor-cove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면의 직교면에 타일을 마감하기 위한 타일용 코너비드에 관한 것으로서, 베이스 판 및 상기 베이스 판과 수직하게 체결되는 높이 조절판으로 이루어지는 타일용 코너비드에 있어서, 베이스 판과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및 제2 연장부재와 상기 연장부재 사이에서 상기 베이스 판과 수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2개 이상의 높이 조절용 부재 및 일측에 끼움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끼움부재와 상기 높이 조절용 부재 중 어느 하나가 끼움 결합하는 높이 조절판을 구성하고, 상기 베이스 판과 상기 높이 조절판을 통해 벽면의 직교면에 일정한 높이로 타일을 마감하는 타일용 코너비드에 관한 기술분야가 개시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타일용 코너비드는 타일을 사용한 마감 작업 시 다양한 두께의 타일에 모두 적용할 수 있도록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범용성이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고, 코너비드를 이용하여 타일을 콘크리트 벽면에 접착할 때 접착제에 의한 접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코너비드의 형태 및 표면 구조를 최적화함으로써 마감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타일용 코너비드 {corner bead for corner finish with tile}
본 발명은 벽면의 직교면에 타일을 마감하기 위한 타일용 코너비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베이스 판 및 상기 베이스 판과 수직하게 체결되는 높이 조절판으로 이루어지는 타일용 코너비드에 있어서, 베이스 판과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및 제2 연장부재와 상기 연장부재 사이에서 상기 베이스 판과 수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2개 이상의 높이 조절용 부재 및 일측에 끼움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끼움부재와 상기 높이 조절용 부재 중 어느 하나가 끼움 결합하는 높이 조절판을 구성하고, 상기 베이스 판과 상기 높이 조절판을 통해 벽면의 직교면에 일정한 높이로 타일을 마감하는 타일용 코너비드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타일이나 패널로 마감되는 벽면의 직교면에는 타일 마감부위를 깔끔하게 처리할 수 있고, 타일 모서리나 경계 주위의 탈락(깨짐, 들뜸, 갈라짐)을 막으며, 두가지 이상의 재질(타일과 벽지 등)을 자연스럽게 이을 수 있기 때문에 통상 마감용 코너비드가 부착된다.
종래의 코너비드는 접착성 향상, 시공성 향상을 위한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코너비드의 종래기술로의 일예로, 등록실용신안 20-0416325호(2006.05.08 타일의 마감용 코너비드)가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 선행기술의 코너비드는 건물의 내 외장 패널이나 타일의 직교부분에 설치되어 마감하는 것으로, 베이스판이 벽면에 단단히 접착되어 시공이 편리한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코너비드의 종래기술로의 다른 예로서, 등록특허 10-1579726호(2015.12.17, 시공성이 향상된 석고보드용 코너비드)를 들 수 있다. 상기 선행기술에서는 콘크리트 건축물에 석고보드를 설치하기 위한 석고보드용 코너비드로서 구조적으로 간단하고 안정적으로 MDF를 고정할 수 있어 공정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코너비드는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데에는 적합하나, 주로 석고보드 마감 작업에 적용되는 것이다. 그러나 타일을 적용한 마감 작업의 경우, 다양한 두께의 타일이 사용되고 있어 타일의 두께와 상기 코너비드의 높이가 상이할 경우 마감 작업이 곤란하기 때문에 상기 타일의 두께와 일치하는 높이의 코너비드를 제작하여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종래기술의 코너비드를 적용하면 작업효율이나 비용면에서 장점이 없어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416325호 (2006.05.08.)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579726호 (2015.12.17.)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09-0055083호 (2009.03.02.)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타일을 사용한 마감 작업 시 다양한 두께의 타일에 모두 적용할 수 있도록 높이 조절이 가능한 타일용 코너비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코너비드를 이용하여 타일을 콘크리트 벽면에 접착할 때 접착제에 의한 접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코너비드의 형태 및 표면 구조를 최적화함으로써 마감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타일용 코너비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베이스 판 및 상기 베이스 판과 수직하게 체결되는 높이 조절판으로 이루어지는 타일용 코너비드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판은 양 끝단에 상기 베이스 판과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및 제2 연장부재와 상기 연장부재 사이에서 상기 베이스 판과 수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2개 이상의 높이 조절용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높이 조절판은 일측에 끼움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끼움부재와 상기 높이 조절용 부재 중 어느 하나가 끼움 결합하여 상기 베이스 판과 상기 높이 조절판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용 코너비드를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끼움부재는 내측에 대향하여 형성되는 한 쌍의 끼움돌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높이 조절판은 표면에 요철구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베이스 판은 접착제를 도포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에 접착하며, 상기 높이 조절판은 접착제를 도포하여 타일 및 콘크리트 구조물에 접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타일용 코너비드는 타일을 사용한 마감 작업 시 다양한 두께의 타일에 모두 적용할 수 있도록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범용성이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코너비드를 이용하여 타일을 콘크리트 벽면에 접착할 때 접착제에 의한 접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코너비드의 형태 및 표면 구조를 최적화함으로써 마감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종래의 코너비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타일용 코너비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너비드의 베이스 판(a), 높이 조절판(b)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공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이하에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벽면의 직교면에 타일을 마감하기 위한 타일용 코너비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베이스 판(100) 및 상기 베이스 판(100)과 수직하게 체결되는 높이 조절판(200)으로 이루어지는 타일용 코너비드에 있어서, 베이스 판(100)과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및 제2 연장부재(120)와 상기 연장부재(120) 사이에서 상기 베이스 판(100)과 수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2개 이상의 높이 조절용 부재(140) 및 일측에 끼움부재(220)가 형성되어, 상기 끼움부재(220)와 상기 높이 조절용 부재(140) 중 어느 하나가 끼움 결합하는 높이 조절판(200)을 구성하고, 상기 베이스 판(100)과 상기 높이 조절판(200)을 통해 벽면의 직교면에 일정한 높이로 타일을 마감하는 타일용 코너비드에 관한 기술이다.
종래의 타일용 코너비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부가 형성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타단부에서 연장되어 벽면에 접착되는 베이스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베이스판이 벽면의 직교면에 접착되고, 헤드부는 접착력을 향상시키도록 시멘트나 접착제에 삽입된다.
그러나 이러한 타일용 코너비드는 한가지 규격의 타일에만 적용이 가능하여 규격이 달라지면 코너비드의 형태도 달라져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일용 코너비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판(100) 및 상기 베이스 판(100)과 수직하게 체결되는 높이 조절판(200)으로 이루어지는 타일용 코너비드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판(100)은 양 끝단에 상기 베이스 판(100)과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및 제2 연장부재(120)와 상기 연장부재(120) 사이에서 상기 베이스 판(100)과 수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2개 이상의 높이 조절용 부재(140)로 이루어지며, 상기 높이 조절판(200)은 일측에 끼움부재(220)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끼움부재(220)와 상기 높이 조절용 부재(140) 중 어느 하나가 끼움 결합하여 상기 베이스 판(100)과 상기 높이 조절판(200)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끼움부재(220)는 내측에 대향하여 형성되는 한 쌍의 끼움돌기(도 3에서 설명함)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높이 조절판(200)은 표면에 요철구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베이스 판(100)은 접착제를 도포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에 접착하며, 상기 높이 조절판(200)은 접착제를 도포하여 타일 및 콘크리트 구조물에 접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높이 조절판(200)은 상기 코너비드의 길이 방향 전체에 대응하도록 구성될 필요는 없고 10 ~ 15㎝의 폭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 하다. 폭이 너무 넓을 경우 상기 높이 조절판(200)을 높이 조절용 부재(140)에 끼우기 힘들기 때문에 작업성이 떨어지고, 반면에 폭이 너무 좁을 경우 쉽게 이탈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코너비드의 구조 및 사용방법을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베이스 판(10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끝단에 상기 베이스 판(100)과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및 제2 연장부재(120)와 상기 연장부재(120) 사이에서 상기 베이스 판(100)과 수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2개 이상의 높이 조절용 부재(140)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벽면의 직교면에 타일 마감부위를 깔끔하게 처리하여 미려감을 향상시키고, 타일의 취약한 부분인 측면을 보호하여 손상을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베이스 판(100)의 연장부재(120)는 상기 베이스 판(100)의 양 끝단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서, 양끝단에 돌출 형성된 연장부재(120)를 각각 제1 및2 연장부재(120)라 하면, 제1 연장부재(121)의 측면에는 접착제를 도포하여 타일을 접착하게 되고, 제2 연장부재(122)의 측면에는 타일이 접착되지 않고 외부에 노출되어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타일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베이스 판(100)의 높이 조절용 부재(140)는 상기 연장부재(120) 사이에서 상기 베이스 판(100)과 수직 방향으로 2개 이상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서, 타일의 두께에 따라 상기 상기 높이 조절판(200)의 끼움부재(220)를 선택적으로 상기 높이 조절용 부재(140)에 끼움 체결 하게 된다.
즉, 상기 높이 조절용 부재(140)는 상기 연장부재(120) 사이에 2개 이상 형성되되, 상기 높이 조절용 부재(140)는 타일의 두께에 대응되도록 위치하여 형성되고, 타일의 두께에 맞는 상기 높이 조절용 부재(140)와 상기 끼움부재(220)가 끼움 결합하여 타일의 두께와 타일용 코너비드의 높이가 상이한 경우 이를 극복하여 시공이 가능하게 하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지게 한다.
현장에서 사용되는 타일은 두께가 6, 8, 10, 12, 15㎜ 이므로 일실시 형태에서 상기 높이 조절용 부재(140)는 상기 타일의 두께에 대응하도록 5개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15㎜ 타일을 적용할 경우 다섯번째 높이 조절용 부재(140)에 높이 조절판(200)을 결합하면 베이스 판(100)과 수직한 방향으로 구획이 형성되기 때문에 콘크리트 벽면의 코너를 직각으로 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높이 조절판(200)은 일측에 끼움부재(220)가 형성되어, 상기 끼움부재(200)와 상기 높이 조절용 부재(140) 중 어느 하나가 끼움 결합하여 상기 베이스 판(100)과 상기 높이 조절판(200)이 체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높이 조절판(200)에 타일이 접착되고, 타일의 두께에 맞는 상기 높이 조절용 부재(140)에 상기 끼움부재(220)가 끼움 결합함으로써, 타일의 두께에 상관 없이 시공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높이 조절판(200)은 타일을 접착할 수 있도록 얇고 긴 판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일측에 상기 높이 조절용 부재(140)와 끼움 결합하는 상기 끼움부재(220)가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판(100)과 수직하게 결합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끼움부재(220)는 상기 높이 조절용 부재(140)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어, 시공자에 의해 상기 높이 조절판(200)은 상기 베이스 판(100)의 상기 높이 조절용 부재(140)에 쉽게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상기 끼움부재(220)는 내측에 대향하여 형성되는 한 쌍의 끼움돌기(222)가 형성된다. 상기 끼움돌기(222)는 상기 끼움부재(220)와 상기 높이 조절용 부재(140)가 끼움 결합시에 상기 끼움부재(220)가 임의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시공시 코너비드가 분리되는 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높이 조절용 부재(140)에는 상기 끼움돌기(222)와 대응되도록 한 쌍의 홈(142)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끼움부재(220)를 상기 높이 조절용 부재(140)에 끼운 후 약간의 힘을 가하면 상기 끼움돌기(222)와 홈(142)이 체결되면서 이탈이 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높이 조절판(200)은 표면에 요철구조가 형성된다. 상기 끼움부재(220)의 타측 즉, 타일이 부착되는 부분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에 요철구조가 형성되어 상기 높이 조절판(200)과 타일 및 상기 높이 조절판(200)과 벽면 사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접착되는 경우 접착력을 향상시킨다. 구체적으로 벽면에 접착제를 바른 후 상기 높이 조절판(200)을 밀착시키면 접착제가 상기 높이 조절판(200)의 표면에 펼쳐지게 된다. 이때 요철구조에 의해서 상기 높이 조절판(200)의 표면적이 넓어지기 때문에 적은 힘을 가해도 상기 높이 조절판(200)이 벽면과 단단히 밀착하게 된다.
또한, 상기 높이 조절판(200)은 이탈착 되기 때문에 사용시 부러질 우려가 있다. 타일이 접착되는 부분의 길이 즉, 끼움부재(220)를 제외한 부분의 길이가 길게 되면 시공시에 상기 높이 조절판(200)이 쉽게 부러지게 될 우려가 있으며, 반대로 그 길이가 타일의 길이에 비해 너무 짧게 되면 타일을 접착하여 고정하는 기능을 상실하기 때문에 상기 높이 조절판(200)의 길이는 타일의 폭을 고려하여 5㎝ ~ 10㎝를 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높이 조절판(200)은 그 두께가 두꺼운 경우 타일과 벽면 사이의 접착제를 과도하게 도포해서 시공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첫 번째 타일에 이어지는 두 번째 타일과의 단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두께를 얇게 할 경우 시공시 접착된 타일의 무게에 의해 변형 또는 파손의 우려가 있어 1 ~ 3㎜를 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코너비드는 콘크리트 벽면에 타일을 고정하여 마감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재질은 적절한 강도를 가지면 어떤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을 사용하는 것이 가공이나 단가의 면에서 유리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코너비드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벽면에 시공하는 실시 형태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타일의 규격에 맞게 코너비드의 높이 조절판(200)을 베이스 판(100)의 높이 조절용 부재(140)에 결합하여 코너비드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제1 타일(210)의 배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상기 코너비드의 높이 조절판(200)을 상기 제1 타일(210)의 배면에 부착시킨다. 또한 코너비드와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베이스 판(100)에도 접착제를 도포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그러나 베이스 판(100)에 너무 많은 접착제를 도포하면 타일 사이로 접착제가 삐져나와 마감 작업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높이 조절판(200)에만 접착제를 바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충분한 접착력 확보를 위해서 높이 조절판(200)의 폭, 길이, 두께를 최적화할 필요가 있다. 이후 상기 코너비드가 부착된 제1 타일(210)을 콘크리트 벽면의 X축 방향에 부착한다. 다음으로, 제2 타일(110)의 배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상기 콘크리트 벽면의 Y축 방향에 부착함으로써 마감 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도 4에서는 코너비드에 의해 마감되는 코너가 직각 형태이나 현장의 필요에 따라 라운딩된 형태, 다각형 형태나 단차가 형성된 형태로 구성해야 할 경우도 있다. 따라서 제2 연장부재(122)와 베이스 판(100)이 맞닿는 부분을 라운딩 처리하거나 다각형 형태로 구성하거나, 단차를 형성한 형태로도 제작할 수 있다.
제2 타일(110)이 부착되었을 때 상기 콘크리트 벽면의 X축 방향에 부착된 제1 타일(210) 및 코너비드와 단차가 어긋날 수 있다. 그러나 접착제가 즉시 경화 되지 않기 때문에 제1 타일(210)을 움직여 단차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타일(210)이 이탈되지 않으면서도 접착제 경화전에 미세 조절이 가능해야 하기 때문에 상기 높이 조절판(200)의 표면 요철구조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일반적인 코너비드가 사용되는 석고보드에서는 타카총으로 고정못을 박음 결합하나 타일 시공에서는 고정못을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접착제 만을 사용해서 접착해야만 한다. 이때문에 표면 요철구조를 통해 충분한 접착력을 확보하지 못 하면 타일 작업이 어렵게 된다. 표면 요철구조가 없이 제작해본 결과 타일이 미끄러져 유격이 발생하는 문제가 생겨 작업시간이 느려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높이 조절판(200)의 길이나 폭을 최적화 하지 않았을 경우에도 타일의 단차를 맞추는 작업시 타일이 움직이거나 배열이 흐트러지는 문제가 있었다.
제1 타일(210)을 접착한 후 이웃하여 추가 타일을 부착하게 되는데, 제1 타일(210)에 부착된 높이 조절판(200)의 두께에 의해 단차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높이 조절판(200)의 두께를 최적화 했으므로 타일 부착시 배면에 바르는 접착제에 의해 단차를 충분히 조절할 수 있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0 : 베이스 판 110 : 제2 타일
120 : 연장부재 121 : 제1 연장부재
122 : 제2 연장부재 140 : 높이 조절용 부재
142 : 홈 200 : 높이 조절판
210 : 제1 타일 220 : 끼움부재
222 : 끼움돌기

Claims (4)

  1. 베이스 판(100) 및 상기 베이스 판(100)과 수직하게 체결되는 높이 조절판(200)으로 이루어지는 타일용 코너비드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판(100)은,
    양 끝단에 상기 베이스 판(100)과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및 제2 연장부재(120):
    상기 연장부재(120) 사이에서 상기 베이스 판(100)과 수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2개 이상의 높이 조절용 부재(140)로 이루어지며,
    상기 높이 조절판(200)은,
    일측에 끼움부재(220)가 형성되어, 상기 끼움부재(220)와 상기 높이 조절용 부재(140) 중 어느 하나가 끼움 결합하여 상기 베이스 판(100)과 상기 높이 조절판(200)이 체결되며,
    상기 끼움부재(220)는 상기 끼움부재(220)의 내측에 대향하여 형성되는 한 쌍의 끼움돌기(222)가 형성되며,
    상기 높이 조절용 부재(140)에는 상기 끼움돌기(222)와 대응되도록 한 쌍의 홈(14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용 코너비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판(200)은
    표면에 요철구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용 코너비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판(100)은 접착제를 도포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에 접착하며, 상기 높이 조절판(200)은 접착제를 도포하여 타일 및 콘크리트 구조물에 접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용 코너비드.
KR1020170126708A 2017-09-29 2017-09-29 타일용 코너비드 KR101920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708A KR101920424B1 (ko) 2017-09-29 2017-09-29 타일용 코너비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708A KR101920424B1 (ko) 2017-09-29 2017-09-29 타일용 코너비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0424B1 true KR101920424B1 (ko) 2018-11-20

Family

ID=64568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6708A KR101920424B1 (ko) 2017-09-29 2017-09-29 타일용 코너비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042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7041A (ja) * 2001-09-25 2003-04-03 Panefuri Kogyo Kk 巾木構造
CN204571157U (zh) * 2015-03-26 2015-08-19 杭州广义装饰工程有限公司 一种瓷砖护角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7041A (ja) * 2001-09-25 2003-04-03 Panefuri Kogyo Kk 巾木構造
CN204571157U (zh) * 2015-03-26 2015-08-19 杭州广义装饰工程有限公司 一种瓷砖护角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83658A1 (en) Fastening System for Panels and Trim
KR102122685B1 (ko) 건물벽 마감재 고정조립체
KR20150003622A (ko) 석재 오픈 조인트용 연결철물 및 이를 이용한 석재의 고정구조
KR101558098B1 (ko) 비철거식 개보수 전용 창호
KR101920424B1 (ko) 타일용 코너비드
JP5110931B2 (ja) コーナー被覆具及びコーナー構造
CN109930944B (zh) 隐藏副套的安装方法
EP2441898A2 (en) Mounting support and method for mounting a construction panel
KR200385716Y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코너고정장치
KR101638046B1 (ko) 공동주택용 코너비드
KR100656091B1 (ko) 중공 단면을 갖는 천장 몰딩재 및 이를 이용한 천장 몰딩재설치공법
KR102064451B1 (ko) 시멘트 페이스트의 누출 방지를 위한 건축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CN211080874U (zh) 一种墙板固定件
KR101512959B1 (ko) 건물 외벽 단열재 및 그 시공방법
CN112459373A (zh) 一种圆角阳角固定件及其安装方法
JP3281437B2 (ja) 外装コーナー材の取付構造
JP2006219872A (ja) 板材施工方法及び板材施工構造
JPH042261Y2 (ko)
JP2003206613A (ja) タイル張り仕上げの伸縮目地構造及び施工方法
JP7124620B2 (ja) 隅部仕上材の仮保持具
KR102394368B1 (ko) 진동방지 창틀고정구, 이를 구비한 창틀 및 창틀 설치방법
KR101489127B1 (ko) 몰딩부재 고정용 브라켓
EP3951115A1 (en) A cladding assembly
JP7437044B2 (ja) 櫛目ごて
KR20220078894A (ko) 후크가 연결되는 타일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