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8894A - 후크가 연결되는 타일 조립체 - Google Patents

후크가 연결되는 타일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8894A
KR20220078894A KR1020200168145A KR20200168145A KR20220078894A KR 20220078894 A KR20220078894 A KR 20220078894A KR 1020200168145 A KR1020200168145 A KR 1020200168145A KR 20200168145 A KR20200168145 A KR 20200168145A KR 20220078894 A KR20220078894 A KR 202200788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hook
guide groove
tiles
til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8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훈
Original Assignee
김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훈 filed Critical 김태훈
Priority to KR1020200168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8894A/ko
Publication of KR20220078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88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6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or layered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fixed directly to the wall by means of magnets, hook and loop-type or similar fasteners, not necessarily involving the side faces of the covering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후크가 연결되는 타일 조립체를 개시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타일 조립체는 벽면에 부착되는 복수의 타일; 및 상기 타일에 연결되고, 물품을 걸기 위한 후크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타일은 모서리를 따라 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서로 인접한 한 쌍의 타일은 서로 마주보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를 통해 하나의 가이드홈을 형성하며, 상기 후크는 상기 가이드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Description

후크가 연결되는 타일 조립체{TILE ASSEMBLY WITH HOOK}
아래의 설명은 타일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물품을 걸기 위한 후크가 연결되는 타일에 관한 것이다.
타일은 구조물의 바닥이나 벽면을 피복하기 위해 평판 형태로 제조된 제품으로, 구조물의 표면을 보호하고 장식하는 건축 자재이다. 본래 타일은 도자기로 만들어졌지만, 최근에는 유리, 시멘트, 고무, 플라스틱, 금속, 목재 등 다양한 재질을 통해 제조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타일은 벽멱에 부착되는데, 타일의 시공방법은 벽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도포된 접착제 상에 타일을 가압하여 벽면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타일 접착제로는 몰탈이나 에폭시 등을 사용하는데, 이러한 접착제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경화되면서 벽면에 타일을 견고하게 접착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벽면에 타일을 시공하는 경우, 복수의 타일이 벽면에 부착되게 된다. 복수의 타일은 서로의 모서리가 인접하도록 일정한 패턴으로 배열되며, 타일 사이의 빈 공간에는 줄눈이 시공된다.
한편, 타일이 부착된 벽면에는 물품을 걸기 위한 못 등이 시공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타일은 견고한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타일에 직접 못을 박는 경우 타일이 깨지거나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타일의 손상을 야기하지 않으면서도 물품을 걸기 위한 후크를 설치할 수 있는 제품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공보 제10-2019-0030866호는 “타일 조립체”에 대한 발명을 개시한다.
전술한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내용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인정하는 것이라고 할 수는 없다.
실시 예의 목적은, 타일의 손상을 야기하지 않으면서도 물품을 걸기 위한 후크가 설치 가능한 타일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 예의 목적은,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후크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타일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 예에서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후크가 연결되는 타일 조립체는 벽면에 부착되는 복수의 타일; 및 상기 타일에 연결되고, 물품을 걸기 위한 후크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타일은 모서리를 따라 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서로 인접한 한 쌍의 타일은 서로 마주보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를 통해 하나의 가이드홈을 형성하며, 상기 후크는 상기 가이드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후크는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진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가이드홈에 배치되는 삽입부재; 및 상기 가이드홈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삽입부재로부터 연장되는 돌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단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삽입부재가 위치하는 제1삽입부분; 및 상기 돌출부재가 위치하고, 상기 제1삽입부분으로부터 상기 삽입부재가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삽입부재의 외측을 커버하는 제2삽입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일은 서로 인접한 타일과 접촉하는 연결부분이 모서리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분은 상기 가이드부보다 벽면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타일은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하고, 일면이 상기 벽면에 부착되는 하판; 및 상기 하판의 타면에 부착되는 상판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타일 조립체는 타일의 손상을 야기하지 않으면서도 물품을 걸기 위한 후크를 설치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타일 조립체는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후크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타일 조립체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타일 조립체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타일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타일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타일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이하,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타일 조립체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타일의 측면도이며,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타일 조립체의 단면도이고,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타일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타일 조립체는 구조물의 벽면(w)에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구조물은 일반적으로 건물을 의미하지만 반드시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타일(10)이 부착될 수 있는 피 대상물이라면 무엇이든지 가능하다. 또한, 타일(10)이 부착되는 벽면(w)은 구조물의 측벽, 천장과 같이 타일(10)이 부착될 수 있는 구조물의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타일 조립체는 벽면(w)에 부착됨으로써 벽면(w)을 장식하고 보호하는 동시에, 물품을 걸기 위한 후크(20)가 설치될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타일 조립체는 복수의 타일(10) 및, 후크(20)를 포함할 수 있다.
타일(10)은 사각형의 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타일(10)은 시공 대상 벽면(w) 상에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는데, 복수의 타일(10)은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일렬로 배치된다는 것은 서로 인접한 타일(10)의 모서리가 서로 마주한 상태로 접촉되는 것을 의미한다. 타일(10)의 일면은 접착제를 통해 벽면(w)에 부착되며, 벽면(w)에 부착된 면의 반대면이 외부에 노출되게 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벽면(w)에 부착되는 타일(10)면은 내면이라 지칭하고, 외부에 노출되는 타일(10)면을 외면이라 지칭하도록 한다. 또한, 타일(10)은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데 타일(10)의 모서리를 따라 관찰되는 두께방향 면을 타일(10)의 측면이라 지칭하도록 한다.
복수의 타일(10)은 각각은 모서리를 따라 측면에 형성되는 연결부분(1033) 및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2와 같이 타일(10)의 측면에는 모서리를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부와 연결부분(1033)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분(1033)은 타일(10)의 측면 모서리에서 가장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으로써, 도 3과 같이 서로 인접한 타일(10)과 접촉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서로 인접한 타일(10)의 모서리는 연결부분(1033)을 통해 접촉할 수 있다. 연결부분(1033)은 가이드부보다 벽면(w)에 인접할 수 있는데, 다시 말해 타일(10)의 외면보다 내면에 가까울 수 있다.
가이드부는 연결부분(1033)을 기준으로 외면 방향에 가까운 측면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타일(10)이 서로 인접한 경우, 즉, 연결부분(1033)을 통해 서로 접촉하는 경우,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가이드부는 합쳐져서 가이드홈(12)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12)은 인접한 한 쌍 타일(10) 사이에 형성되는 빈 공간으로써, 후술하는 후크(20)가 끼워지는 공간에 해당한다.
가이드홈(12)은 벽면(w)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기준으로, 제1삽입부분(1031)과 제2삽입부분(103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삽입부분(1031)은 가이드홈(12)에서 벽면(w)에 가장 가까운 부분으로써 후크(20)가 끼워지는 공간에 해당한다. 제2삽입부분(1032)은 제1삽입부분(1031)으로부터 타일(10)의 외면까지 해당하는 부분으로써, 제1삽입부분(1031)에 끼워진 후크(20)가 가이드홈(12)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2삽입부분(1032)은 제1삽입부분(1031)에 끼워진 후크(20) 부위의 외면을 커버함으로써, 후크(20)를 가이드홈(12) 내에 위치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단면을 기준으로, 제2삽입부분(1032)은 제1삽입부분(1031)의 최외각보다 작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즉, 제2삽입부분(1032)에 해당하는 타일 부분은 제1삽입부분(1031)에 해당하는 타일 부분의 외면을 가릴 수 있다.
한편, 타일(10)은 복수의 판이 부착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하판(102)과 하판(102)에 부착되는 상판(101)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판(102)은 타일(10)의 내면을 구성하는 부분으로서, 일면에 벽면(w)에 부착될 수 있다. 하판(102)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하판(102)의 측면 모서리에는, 연결부분(1033)과 제1삽입부분(1031)이 형성될 수 있다.
상판(101)은 타일(10)의 외면을 구성하는 부분으로써, 하판(102)의 타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판(101)은 하판(102)의 모서리를 커버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는데, 다시 말해, 상판(101)이 하판(102)에 부착된 상태에서 하판(102)이 가려질 수 있다. 상판(101)의 측면 모서리에는 제2삽입부분(1032)이 형성될 수 있다.
후크(20)는 타일(10)에 연결되고, 벽면(w)상에 물품을 거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후크(20)는 복수의 타일(10) 사이에 형성된 가이드홈(12)에 끼워질 수 있다. 후크(20)는 가이드홈(12)에 끼워진 상태를 기준으로, 가이드홈(12)에 배치되는 삽입부재(210)와, 삽입부재(210)로부터 타일(10) 외부로 연장되는 돌출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와 같이, 삽입부재(210)는 가이드홈(12)의 제1삽입부분(1031)상에 끼워질 수 있다. 삽입부재(210)는 가이드홈(12)에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돌출부재(220)는 가이드홈(12)의 제2삽입부분(1032)을 관통하여 타일(1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돌출부재(220)를 통해 타일(10)이 부착된 벽면(w)에 물품을 거치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타일(10)의 단면을 통해 가이드홈(12)을 표시하였으나, 가이드홈(12)은 서로 인접한 타일(10)의 모서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후크(20)는 가이드홈(12)에 끼워진 상태로 타일(10)의 모서리를 따라 슬라이딩 할 수 있다. 즉, 사용자에 의해 후크(20)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후크(20)가 물품을 걸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만을 예시하였으나, 이와 달리 후크(20)는 타일(10)의 가이드홈(12)에 끼워지는 물품으로써, 무드등과 같은 액세서리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정리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타일 조립체는 벽면(w)에 손상을 야기하지 않으면서도, 타일(10) 사이에 형성되는 가이드홈(12)을 통해 물품을 걸기 위한 후크(20)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후크(20)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변경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10: 패널
20: 후크

Claims (5)

  1. 벽면에 부착되는 복수의 타일; 및
    상기 타일에 연결되고, 물품을 걸기 위한 후크를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타일은 모서리를 따라 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상기 타일은 서로 마주보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를 통해 하나의 가이드홈을 형성하며,
    상기 후크는 상기 가이드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후크가 연결되는 타일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진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가이드홈에 배치되는 삽입부재; 및
    상기 가이드홈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삽입부재로부터 연장되는 돌출부재를 포함하는, 타일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단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가이드홈는,
    상기 삽입부재가 위치하는 제1삽입부분; 및
    상기 돌출부재가 위치하고, 상기 제1삽입부분으로부터 상기 삽입부재가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삽입부재의 외측을 커버하는 제2삽입부분을 포함하는, 타일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은,
    서로 인접한 타일과 접촉하는 연결부분이 모서리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분은 상기 가이드부보다 벽면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타일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은,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하고, 일면이 상기 벽면에 부착되는 하판; 및
    상기 하판의 타면에 부착되는 상판을 포함하는, 타일 조립체.
KR1020200168145A 2020-12-04 2020-12-04 후크가 연결되는 타일 조립체 KR202200788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8145A KR20220078894A (ko) 2020-12-04 2020-12-04 후크가 연결되는 타일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8145A KR20220078894A (ko) 2020-12-04 2020-12-04 후크가 연결되는 타일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8894A true KR20220078894A (ko) 2022-06-13

Family

ID=81983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8145A KR20220078894A (ko) 2020-12-04 2020-12-04 후크가 연결되는 타일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7889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48774C2 (ru) Стеновая или потолочная панель, устанавливаемая в разных положениях
US20040010994A1 (en) Apertured wall element
US20230399855A1 (en) Sound Damping Wallboard and Method of Constructing a Sound Damping Wallboard
KR102122685B1 (ko) 건물벽 마감재 고정조립체
AU2017203768B2 (en) Exterior-material securing member and building exterior structure
US20190335955A1 (en) Shower Shelf
US6128793A (en) Complete pre-fabricated tile counter in components
KR20220078894A (ko) 후크가 연결되는 타일 조립체
GB2233381A (en) Joints for Masonry and Sheet Material Structures
KR101828368B1 (ko) 천장 몰딩장치
US20050072083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achably fixing a surface component to a background
US6442905B1 (en) Complete pre-fabricated tile counter in components
KR101638046B1 (ko) 공동주택용 코너비드
CN207990749U (zh) 地面管道总成
KR101920424B1 (ko) 타일용 코너비드
KR20100003760A (ko) 건물 치장 패널
JPS594110Y2 (ja) タイルとその張り付け用パネルの組合せ
KR102152849B1 (ko) 연장된 결착부재의 모서리 고정부재로 시공성을 높인 건축외장재 구조체
KR101854776B1 (ko) 타일용 마감부재
US11617437B2 (en) Tile support device
KR200493023Y1 (ko) 덧붙임용 몰딩
US20080250748A1 (en) Joist Holder
JPH0320540B2 (ko)
US20200229620A1 (en) Mounting bracket
JP3266239B2 (ja) レンガタイル用下地材及びその取り付け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