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7994B1 - 방향족/지방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방향족/지방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7994B1
KR101637994B1 KR1020160005996A KR20160005996A KR101637994B1 KR 101637994 B1 KR101637994 B1 KR 101637994B1 KR 1020160005996 A KR1020160005996 A KR 1020160005996A KR 20160005996 A KR20160005996 A KR 20160005996A KR 101637994 B1 KR101637994 B1 KR 101637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omatic
resin composition
dicarboxylic acid
aliphatic
aliphatic copoly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5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구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수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수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수연
Priority to KR1020160005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79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7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79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G63/18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acids or hydroxy compounds containing carbocyclic rings
    • C08G63/181Acids containing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착성이 우수한 방향족/지방족 코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접착성 필름 제조에 관한 것이고, 더욱 상세하게는, 섬유원단 및 플라스틱 제픔에 대한 접착력이 좋은 방향족/지방족 코폴리에스테르계의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성이 우수한 방향족/지방족 코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용도에 따른 접착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방향족 디카르복실산과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을 혼합 사용하도록 이루어진 디카르복실산과 디올 화합물의 단독 또는 혼합물을 포함하며, 디올 혼합물의 몰비는 1:1.15~1:1.5 이며, 이렇게 만들어진 방향족/지방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전체 100중량부에 반응속도 및 접착력을 좋게 하는 화학식 (1)로 이루어진 폴리에틸렌 타르트레이트 0.1~5중량부가 항시 첨가되어 제조되는 방향족/지방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이렇게 제조된 방향족/지방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인플레이션 기기 또는 T-Die기기를 이용하여 우수한 접착력을 갖는 필름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향족/지방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Aromatic/aliphatic copolyester resin composition}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타르트레이트를 이용한 접착력이 우수한 방향족/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접착성 필름의 제조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접착력이 우수한 방향족/지방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인플레이션 기기 및 T-Die 기기를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에 관한 것이다. 이렇게 하여 제조된 필름은 섬유원단과 플라스틱 제품에 대한 우수한 접착력을 가진다.
종래 제품들은 표면은 원색의 단순함이 주를 이루었다. 그러나 디자인의 산업의 발전에 따라 보다 화려한 외관을 가지는 제품들이 많이 생산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전자제품들은 예전의 것과는 달리 깔끔한 메탈이나 원목의 느낌을 주거나 화려한 무늬가 있어 집안 인테리어와 잘 어울릴 뿐 아니라, 집안 분위기를 한 층 화려하게 하는 멋이 있다.
종래, PVC계열의 시트로 된 접착제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PVC의 경우 작업도중 환경 유해 물질의 방출이 많고, 제조과정에서도 다량의 유해물질들이 사용되고 있어 친환경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PVC에 비해서 결정성이 있어 접착성능이 낮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이용해서 접착제로 사용하는 방안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대부분 유기용매에 녹인 후 코팅, 건조하여 피코팅체 표면에 열용융코팅층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유기용매의 사용에 의한 환경오염 문제가 심각한 상태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대한민국 공개 10-2010-0082077호 등에서는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제조한 후, 이를 단독으로 또는 다른 첨가제와 함께 물 또는 물과 알코올의 혼합용매에 분산시켜 필름코팅용 수분산성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를 코팅 및 건조하여 열.용융형 접착층을 형성하는 방법들이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코팅의 형성 방법이 매우 복잡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환경오염이 없고, 간단하게 코팅체를 형성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에 대한 요구가 계속되고 있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환경상의 문제 및 필름제조에 있어서 복잡한 단계를 거치지 않고,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한 접착력이 우수한 방향족/지방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이용하여 인플레이션 기계 및 T-Die 기기에서 쉽게 접착력이 우수한 친환경적이고 접착력이 우수한 방향족/지방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여 쉽게 필름 성형을 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으로서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와 디메틸이소프탈레이트의 몰비가 1:1 내지 9:1 몰인 혼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화합물 및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으로서 아디프산을 4:1 몰 비율로 투입하여 이루어진 디카르복실산과 글리콜 화합물을 포함하며,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접착력이 우수한 방향족/지방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전체 100중량부 대비 폴리에틸렌타르트레이트가 0.1~10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이루어진 접착력이 우수한 방향족/지방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방향족/지방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용융흐름지수(190℃, 2160g)가 5~100인 핫멜트형 폴리에스테르 접착용 수지 조성물이다.
상기와 같은 발명을 통해서, 섬유원단 및 플라스틱 제품에 접착력이 우수한 필름을 인플레이션 기기 및 T-Die 기기로 쉽게 만들 수 있는 접착성이 우수한 방향족/지방족 코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조성물이 제공되었다. 이러한 방향족/지방족 코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조성물은 제작이 간편하고 용매 등에 의한 환경오염을 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공된 섬유 및 플라스틱 제품용 폴리에스테르계 접착 수지 조성물은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기존 PVC 접착제를 대체하여, 다이옥신 등의 환경호르몬의 방출을 억제하여 지구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3:1 내지 5:1 몰비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과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의 디카르복실산 혼합물, 글리콜 화합물, 및 하기 화학식(1)의 폴리에틸렌타르트레이트를 촉매 및 첨가제의 존재하에 에스테르 반응 또는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수행시킨 후, 진공 조건하에서 축중합 반응 첨가제를 첨가하여 축중합 반응을 수행시킴으로써 생성되는 방향족/지방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로서, 사용되는 디카르복실산 혼합물과 글리콜의 몰비가 1:1.15 내지 1:5이고, 폴리에틸렌타르트레이트의 사용량이 생성되는 방향족/지방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0.1 내지 10 중량부인 방향족/지방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16056223830-pat00005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서,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은 1:1 내지 9:1 몰비의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와 디메틸이소프탈레이트의 혼합물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서, 방향족 디카르복실산과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의 혼합 몰 비율은 4:1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서,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은 아디프산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서, 용융흐름지수(190℃, 2160g)는 5~100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인플레이션 기기 및 T-Die에 의해서 본 발명의 상기 방향족/지방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로부터 생산된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방향족/지방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용융흐름지수(190℃, 2160g)가 5~100인 접착용의 핫멜트형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디카르복실산 혼합물은 3:1 내지 5:1 몰 비율로 방향족 디카르복실산과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을 혼합한 혼합물이다.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의 사용이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1몰에 대해서 3몰 미만인 경우의 반응속도 및 색상이 불량해지고 5몰 초과인 경우의 접착력이 떨어지는 현상을 보인다.
이론적으로 한정된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와 디메틸이소프탈레이트가 혼합되어 있어, 분자사슬들이 가지화가 향상된 접착력을 나타내게 되면서도 적절한 냉각 속도를 가지게 되어, 필름에 용융 압출되면서 접착층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의 중량비가 과다하게 되면 수지의 기본 접착력이 낮아지고, 디메틸이소프탈레이트의 중량비가 과다하게 되면 접착력은 우수하나 용융점이 낮아지고 성형성이 나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숙신산, 아디프산, 글루타르산, 세바신산, 무수 숙신산, 디메틸석시네이트, 디메틸글루타레이트, 또는 디메틸아티페이트이고,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으로는 테레프탈산, 프탈산, 이소프탈산 등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선택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카르복실산은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와 디메틸이소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아디프산과 혼합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카르복실산 화합물과 글리콜 화합물은 충분한 고분자량을 확보하면서, 제조과정에서 부산물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1:1.15 - 1:5의 비율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글리콜류 화합물로서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2-부탄디올,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1,6-헥산디올, 디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한다. 바람직한 글리콜류 화합물로는 1,4-부탄디올이다.
이렇게 하여 제조된 접착력이 우수한 방향족/지방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용융흐름지수가 190℃ 2160g에서 5~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용융흐름지수는 5이하일 경우 상기 용융흐름지수가 낮게 되면 압출시 부하 및 생산속도에 문제가 발생하여 필름을 형성하기 어렵게 되며, 상기 용융흐름지수가 100이상일 경우 필름성형을 하기가 어렵고 인장강도가 낮아져 접착력이 불량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열용융 접착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통상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제조 방법을 이용해 진행될 수 있으며, 특별한 제한은 없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터계 접착 수지는 지방족 및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 폴리에틸렌타르트레이트와 글리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촉매 및 첨가제 첨가하에 에스테르 반응 또는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한다. 이렇게 에스테르 반응 또는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한 중간 생성물에 마찬가지로 축중합 반응 첨가제를 첨가하여 진공 조건하에서 축중합 반응을 한다. 상기 접착력이 우수한 방향족/지방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조성물의 전체 100 중량부 대비 화학식(1)의 폴리에틸렌타르트레이트 0.1~10 중량부를 포함하여 제조된 접착력이 우수한 방향족/지방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폴리에틸렌타르트레이트가 0.1 중량부 이하일 때는 반응속도가 느리고 접착력에 문제가 발생되며 10%이상일 때는 겔화될 우려가 있다.
상기 에스테르 반응 또는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하는데 있어서, 디카르복실산과 글리콜의 몰비는 1:1.15내지 1:1.5 정도가 적당하다. 글리콜의 비율이 1.15 이하이면 색상이 불량해지고 고분자량의 중합물을 얻기 어렵고, 1.5이상이면 제조원가가 높아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적정 반응 온도는 170℃~230℃ 이고, 바람직하게는 190℃~220℃가 적당하다. 반응온도가 190℃이하일 때는 메탄올 및 물이 유출하는데 오래 걸려 촉매활성을 적게 만들고 220℃ 이상일 때는 색상에 문제가 된다.
이러한 1차 에스테르 반응 또는 에스테르 교환반응이 완료된 후에는 축중합 촉매와 각종 첨가제를 첨가하여 반응온도 230℃~265℃에서, 바람직하게는 240℃~255℃에서 감압 조건하에 축중합 반응을 진행한다. 반응 온도가 240℃이하이면 중합 반응이 느려지고, 255℃ 이상이면 중합물의 열분해가 일어날 수 있어, 고분자량의 중합물을 얻기 어렵고 중합물의 색상도 나빠진다. 또 축중합 반응 중에는 감압을 하여 고진공 분위기를 조성해 주는데 진공도가 2torr 이상이면 반응 중 생성되는 부반응 물질이나 올리고머, 과잉 글리콜 등을 제거하는데 어려워 고분자량의 중합물을 얻기 어렵다. 바람직하게는 0.5torr 이하의 진공도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상기의 에스테르 반응 또는 에스테르 교환반응, 축중합 반응을 하는 초기나 말기에는 중합 반응을 촉진하기 위해 각종 첨가제를 첨가하는데, 테트라부틸티타네이트, 징크아세테이트, 칼슘아세테이트, 마그네슘아세테이트, 디부틸틴옥사이드, 안티몬아세테이트, 트리메틸포스페이트, 트리페닐포스페이트, 코발트아세테이트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한다. 사용량은 0.02~1.2 중량%가 적당한데, 0.02중량% 미만이면 반응 속도가 느려지고 고분자량의 수지를 얻기 어렵다. 첨가량 1.2중량% 이상이면 반응 속도는 빠르지만 겔화가 일어날 수 있으며, 중합생성물의 색상이 나빠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성이 우수한 방향족/지방족 코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용도에 따른 접착력을 유지 할 수 있도록 방향족 디카르복실산과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의 단독 또는 혼합사용하도록 이루어진 디카르복실산과 디올 화합물의 단독 또는 혼합물로 이루어진 디올 혼합물의 몰비는 1:1.15~1:1.5 이며, 이렇게 만들어진 방향족/지방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의 전체 100중량부에 반응속도 및 접착력을 좋게 하는 폴리에틸렌 타르트레이트 0.1~10중량부가 항시 첨가된 방향족/지방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제조된 방향족/지방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인플레이션 기기 또는 T-Die 기기를 이용하여 우수한 접착력을 갖는 필름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1
500㎖의 둥근바닥 플라스크를 질소로 치환하고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97g 1,4-부탄디올 121.6g을 투입하고 테트라메틸티타네이트 0.1g을 넣고 200℃에서 두 시간 동안 에스테르화 반응을 진행시켜 이론량의 메탄올을 유출시킨 후, 아디프산 73g 및 폴리에틸렌타르타르레이트 10g을 투입한 후 반응온도를 200℃로 고정시키고 물을 유출시켰다. 이 때 촉매로서 안티몬 아세테이트 0.1g, 디부틸틴옥사이드 0.1g, 테트라부틸티나네이트 0.1g, 안정제로서는 트리메틸포스페이트 0.2g을 첨가하였다. 이론적 물의 양이 유출된 후 계속해서, 온도를 상승시키고 온도가 250℃에서 2.0Torr이하의 감압하에서 150분 동안 축중합 반응을 실시한다.
이때 얻어진 수지의 용융흐름지수는 190℃, 2160g에서 11이고, GPC분석을 통한 중량평균분자량은 130,000이었다
실시예 2
500㎖의 둥근바닥 플라스크를 질소로 치환하고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77.6g, 디메틸이소테레프탈레이트 77.6g, 1,4-부탄디올 121.6g을 투입하고 테트라메틸티타네이트 0.1g을 넣고 200℃에서 두 시간 동안 에스테르화 반응을 진행시켜 이론량의 메탄올을 유출시킨 후, 퓨마르산 0.12g, 폴리에틸렌타르트레이트 13g, 아디프산 29.2g을 투입한 후 반응온도를 200℃로 고정시키고 물을 유출시켰다.
이 때 촉매로서 안티몬 아세테이트 0.1g, 디부틸틴옥사이드 0.1g, 테트라부틸티나네이트 0.1g, 안정제로서는 트리메틸포스페이트 0.2g을 첨가하였다. 이론적 물의 양이 유출된 후 계속해서, 온도를 상승스키고 온도가 250℃에서 2.0Torr이하의 감압하에서 150분 동안 축중합 반응을 실시한다. 이 때 얻어진 수지는 용융흐름지수는 190℃, 2160g에서 34이고, GPC 측정결과, 중량평균분자량은 114,000이었다.
실시예 3
500㎖의 둥근바닥 플라스크를 질소로 치환하고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58.2g, 디메틸이소테레프탈레이트 58.2g, 1,4-부탄디올 90.12g, 에틸렌 글리콜 18g, 말산 0.15g, 2,2-비스-(20옥사졸린) 5g을 투입하고 테트라메틸티타네이트 0.1g을 넣고 200℃에서 두 시간 동안 에스테르화 반응을 진행시켜 이론량의 메탄올을 유출시킨 후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로 HMV-8CA(Nisshinbo 社 일본)를 6g, 폴리에틸렌타르트레이트 7g, 아디프산 58.4g을 투입한 후 반응온도 200℃로 고정시키고 물을 유출시켰다. 이 때 촉매로서 안티몬 아세테이트 0.1g, 디부틸틴옥사이드 0.1g, 테트라부틸티나네이트 0.1g, 안정제로서는 트리메틸포스페이트 0.2g을 첨가하였다. 이론적 물의 양이 유출된 후 계속해서, 온도를 상승스키고 온도가 250℃에서 2.0Torr이하의 감압하에서 100분 동안 축중합 반응을 실시한다. 이 때 얻어진 수지는 용융흐름지수는 190℃, 2160g에서 27이고, GPC 측정결과, 중량평균분자량은 127,000이었다.
실시예 4
500㎖의 둥근바닥 플라스크를 질소로 치환하고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97g, 디메틸이소테레프탈레이트 19.4g, 1,4-부탄디올 81g, 네오펜틸글리콜 52g, 2-부텐-1,4-디올 7g을 투입하고 테트라메틸티타네이트 0.1g을 넣고 200℃에서 두 시간 동안 에스테르화 반응을 진행시켜 이론량의 메탄올을 유출시킨 후, 폴리에틸렌타르트레이트 20g, 아디프산 58.4g을 투입한 후 반응온도를 200℃로 고정시키고 물을 유출시켰다.
이 때 촉매로서 안티몬 아세테이트 0.1g, 디부틸틴옥사이드 0.1g, 테트라부틸티나네이트 0.1g, 안정제로서는 트리메틸포스페이트 0.2g을 첨가하였다. 이론적 물의 양이 유출된 후 계속해서, 온도를 상승스키고 온도가 250℃에서 2.0Torr이하의 감압하에서 110분 동안 축중합 반응을 실시한다. 이 때 얻어진 수지는 용융흐름지수가 190℃, 2160g에서 48이고, GPC 측정결과, 중량평균분자량은 140,000이었다.
실시예 5
500㎖의 둥근바닥 플라스크를 질소로 치환하고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58.2g, 디메틸이소테레프탈레이트 77.6g, 1,4-부탄디올 99.12g, 네오펜틸글리콜 18g을 투입하고 테트라메틸티타네이트 0.1g을 넣고 200℃에서 두 시간 동안 에스테르화 반응을 진행시켜 이론량의 메탄올을 유출시킨 후 말산5.3g, 폴리에틸렌타르트레이트 17g, 아디프산 43.8g을 투입한 후 반응온도를 200℃로 고정시키고 물을 유출시켰다.
이 때 촉매로서 안티몬 아세테이트 0.1g, 디부틸틴옥사이드 0.1g, 테트라부틸티나네이트 0.1g, 안정제로서는 트리메틸포스페이트 0.2g을 첨가하였다. 이론적 물의 양이 유출된 후 계속해서, 온도를 상승스키고 온도가 250℃에서 2.0Torr이하의 감압하에서 130분 동안 축중합 반응을 실시한다. 이 때 얻어진 수지는 용융흐름지수가 190℃, 2160g에서 71이고, GPC 측정결과, 중량평균분자량은 131,000이었다.
비교예 1
500㎖의 둥근바닥 플라스크를 질소로 치환하고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93.2g, 1,4-부탄디올 121.6g을 투입하고 테트라메틸티타네이트 0.1g을 넣고 200℃에서 두 시간 동안 에스테르화 반응을 진행시켜 이론량의 메탄올을 유출시킨 후 아디프산 76g을 투입한 후 반응온도를 200℃로 고정시키고 물을 유출시켰다.
이 때 촉매로서 안티몬 아세테이트 0.1g, 디부틸틴옥사이드 0.1g, 테트라부틸티나네이트 0.1g, 안정제로서는 트리메틸포스페이트 0.2g을 첨가하였다. 이론적 물의 양이 유출된 후 계속해서, 온도를 상승스키고 온도가 255℃에서 2.0Torr이하의 감압하에서 320분 동안 축중합 반응을 실시하였다. 이 때 얻어진 수지는 용융흐름지수는 190℃, 2160g에서 32이고, GPC 측정결과, 중량평균분자량은 82,000이었다.
비교예 2
500㎖의 둥근바닥 플라스크를 질소로 치환하고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77.7g, 1,4-부탄디올 135.2g을 투입하고 촉매로서 테트라메틸티타네이트 0.2g을 투입하여 온도를 서서히 올린 후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통하여 메탄올을 유출시킨다. 이 때 온도를 205℃로 유지시키면서 완전히 메탄올을 유출시킨 후, 상기 삼각플라스크에 숙신산 35.4g, 아디프산 43.8g을 투입하여 에세테르화 반응을 실시한다. 이때, 온도를 180℃로 고정시키고 완전히 물을 유출한 후, 촉매로서 삼산화 안티몬 0.1g, 디부틸틴옥사이드 0.3g, 테트라부틸티나네이트 0.07g, 안정제로서는 트리메틸포스페이트 0.1g을 첨가하였다. 이론적 물의 양이 유출된 후 계속해서, 온도를 상승스키고 온도가 245℃에서 0.3Torr이하의 감압하에서 240분 동안 축중합 반응을 실시하였다. 수지는 용융흐름지수는 190℃, 2160g에서 18이고, GPC 측정결과, 중량평균분자량은 78,000이었다.
위의 실시 예 및 비교에서 나온 수지의 접착력(100마이크로 필름을 제조 후 섬유원단과 열 접착후 인장강도 측정기를 통하여 인장강도를 측정한 결과)은 다음과 같다.
접착력 시험결과
Figure 112016005397375-pat00002
축중합 반응 시간 결과
Figure 112016005397375-pat00003
* 인장강도는 100마이크로 필름을 섬유원단과 열접착후 ASTM 1238 규격으로 측정하였다.
접착력 시험 결과를 보면 폴리에틸렌타르트레이트가 첨가된 방향족/지방족 코폴리에스테르는 폴리에틸렌타르트레이트가 첨가안된 방향족/지방족폴리에스테르수지보다 월등한 인장강도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고, 축중합 반응시간도 훨씬 빨라 생산량을 증대 할 수 있다.

Claims (6)

  1. 3:1 내지 5:1 몰비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과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의 디카르복실산 혼합물, 글리콜 화합물, 및 하기 화학식(1)의 폴리에틸렌타르트레이트를 촉매 및 첨가제의 존재하에 에스테르 반응 또는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수행시킨 후, 진공 조건하에서 축중합 반응 첨가제를 첨가하여 축중합 반응을 수행시킴으로써 생성되는 방향족/지방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로서,
    사용되는 디카르복실산 혼합물과 글리콜의 몰비가 1:1.15 내지 1:5이고, 폴리에틸렌타르트레이트의 사용량이 생성되는 방향족/지방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0.1 내지 10 중량부인 방향족/지방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Figure 112016056223830-pat00006
  2. 제 1항에 있어서,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이 1:1 내지 9:1 몰비의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와 디메틸이소프탈레이트의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족/지방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방향족 디카르복실산과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의 혼합 몰 비율이 4:1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족/지방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이 아디프산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족/지방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용융흐름지수(190℃, 2160g)가 5~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족/지방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6. 인플레이션 기기 및 T-Die에 의해서 제1항의 방향족/지방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로부터 생산된 필름.
KR1020160005996A 2016-01-18 2016-01-18 방향족/지방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KR101637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5996A KR101637994B1 (ko) 2016-01-18 2016-01-18 방향족/지방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5996A KR101637994B1 (ko) 2016-01-18 2016-01-18 방향족/지방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7994B1 true KR101637994B1 (ko) 2016-07-08

Family

ID=56504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5996A KR101637994B1 (ko) 2016-01-18 2016-01-18 방향족/지방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799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4221B1 (ko) 2017-03-20 2017-10-11 박민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생분해성 필름
KR102009619B1 (ko) * 2019-01-22 2019-08-12 홍창일 전지 포장재
KR102118821B1 (ko) * 2019-01-14 2020-06-04 (주)원익비엠텍 접착성 수지 조성물
KR20200086895A (ko) * 2019-01-10 2020-07-20 (주)원익비엠텍 고분자 화합물 및 그 제조 방법
WO2023068594A1 (ko) * 2021-10-20 2023-04-27 에코밴스 주식회사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적층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5023A (ko) * 1996-04-26 2000-11-06 로저 윌킨슨 지방족에스테르폴리머조성물을제조하는벌크반응성압출중합공정
KR20120134937A (ko) * 2011-06-03 2012-12-12 주식회사 케이에스케미칼 내가수분해성 및 생분해성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수지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5023A (ko) * 1996-04-26 2000-11-06 로저 윌킨슨 지방족에스테르폴리머조성물을제조하는벌크반응성압출중합공정
KR20120134937A (ko) * 2011-06-03 2012-12-12 주식회사 케이에스케미칼 내가수분해성 및 생분해성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수지 조성물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4221B1 (ko) 2017-03-20 2017-10-11 박민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생분해성 필름
KR20200086895A (ko) * 2019-01-10 2020-07-20 (주)원익비엠텍 고분자 화합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186639B1 (ko) * 2019-01-10 2020-12-03 (주)원익비엠텍 고분자 화합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118821B1 (ko) * 2019-01-14 2020-06-04 (주)원익비엠텍 접착성 수지 조성물
KR102009619B1 (ko) * 2019-01-22 2019-08-12 홍창일 전지 포장재
WO2020153707A1 (ko) * 2019-01-22 2020-07-30 (주)원익비엠텍 전지 포장재
WO2023068594A1 (ko) * 2021-10-20 2023-04-27 에코밴스 주식회사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적층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7994B1 (ko) 방향족/지방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US4065439A (en) Copolyester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TWI408159B (zh) 母料用熱塑性樹脂組成物、其之成形材料的製造方法、使用其的熱塑性樹脂組成物及其製造方法
CN103732684B (zh) 耐水解和生物可降解脂肪族/芳香族共聚酯树脂组合物
CN1541238A (zh) 磺化脂族-芳族共聚酯
KR20120134937A (ko) 내가수분해성 및 생분해성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수지 조성물
KR20160024218A (ko) 형태 안정성이 우수한 저융점 바인더용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테르 바인더 복합섬유
JP2017500380A (ja) 生分解性ポリエステル樹脂製造用組成物、及び生分解性ポリエステル樹脂の製造方法
CN108026257B (zh) 末端改性聚对苯二甲酸丁二醇酯树脂、包含其的热塑性树脂组合物、以及成型品
KR101644962B1 (ko) 생분해성 폴리락티드계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 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US20220243005A1 (en) Biodegradable resin composition having improved mechanical property, formability, and weatherproof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7397671B2 (ja) ポリエステルコポリマー
KR20100082077A (ko) 강판 코팅용 접착 수지
KR20140028493A (ko)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3181080A (ja) 樹脂組成物
EP4085082A1 (en) Hybrid alkyd-acrylic based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reof
JP2001354842A (ja) カレンダー成形用ポリエステル組成物
JPH0718167A (ja) 可塑剤及びポリエステル系樹脂組成物
AU2013348707B2 (en) Method for preparing biodegradable polyester copolymer
JP2000212266A (ja) 難燃性ポリエステルの製造方法
JPWO2013140947A1 (ja) 難燃性ポリエステルの製造方法および難燃性マスターバッチ
JPS59193953A (ja) ポリエステル組成物
JP2015535543A (ja) 生分解性ポリエステル系重合体の製造方法、及び当該方法で製造された生分解性ポリエステル系重合体
TW202227526A (zh) 生物可分解聚酯及其製備方法
JPH07149880A (ja) 新規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及び該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及び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を含有してなる混合物ならびにこれらの物質から製造された製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