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6047B1 - 피아노 연주 연습 시스템 - Google Patents

피아노 연주 연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6047B1
KR101636047B1 KR1020140160963A KR20140160963A KR101636047B1 KR 101636047 B1 KR101636047 B1 KR 101636047B1 KR 1020140160963 A KR1020140160963 A KR 1020140160963A KR 20140160963 A KR20140160963 A KR 20140160963A KR 101636047 B1 KR101636047 B1 KR 101636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te
user
piano
key
web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0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9281A (ko
Inventor
이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테일윈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테일윈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테일윈드
Priority to KR1020140160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6047B1/ko
Publication of KR20160059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9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6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6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3Education institution selection, admissions, or financial ai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피아노 또는 마스터 키보드와 연결되어 연동 가능한 전자 기기이며, 피아노 연주 연습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디바이스, 상기 디바이스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며, 상기 디바이스의 요청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필요한 관련 데이터를 제공하는 웹 서버,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웹 서버의 요청에 따른 관련 데이터를 상기 웹 서버에 제공하는 DB(Database)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사용자 인증을 처리하기 위하여 디바이스 ID를 상기 웹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웹 서버는 상기 디바이스 ID 정보를 상기 DB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DB 서버로부터 상기 디바이스 ID 정보에 해당하는 이용권 정보 및 현황 정보를 제공받아 사용자 인증 과정을 처리하며, 사용자 인증 결과에 따라 피아노 연주 연습에 필요한 컨텐츠 목록 데이터와 사용 이력 정보를 상기 디바이스에 전송한다.

Description

피아노 연주 연습 시스템 {System for practicing piano play}
본 발명은 디지털 피아노에서의 피아노 연주 연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아노 연주를 배우는 과정에서 연주곡으로서 바이엘과 체르니 과정의 많은 곡들이 있다. 이 곡들은 대개 악보 교본의 형태로 이용된다.
근래에는 디지털 피아노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연주자가 조작하는 건반에 의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미리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 음원 데이터로 변환한 뒤 스피커로 출력하는 형태를 가진다.
디지털 피아노는 비록 본래 피아노의 음색에는 못 미치지만 가격이 저렴하고, 크기도 소형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또한 피아노 소리뿐만 아니라 다양한 악기의 음색을 자유자재로 표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피아노는 내장된 메모리 내에 연주음을 저장하고 이를 출력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에 이러한 기능을 이용하여 학습 기능에 이용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예컨대 바이엘 교본에 있는 곡들과 체르니 교본에 있는 곡들을 왼손 파트와 오른손 파트로 나누어 연주한 음을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 이를 출력할 수 있는 시스템이 공개되어 있다.
이는 피아노 연주 학습시 이러한 곡들을 연주함에 있어서 악보에 나오는 음계와 같은 오른손과 왼손의 동시 연주가 이루어져야 하는데, 양손의 동시 연주를 습득하는 데에는 상당한 숙련이 필요하게 되므로, 이러한 숙련을 위한 학습에 유리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디지털 피아노 및 마스터 키보드는 미디 포트 및 USB 포트를 이용하여, 또는 USB 포트만을 이용하여 디지털 악보 표시가 가능한 PC(Personal computer)와 연결하여 연동이 가능하다.
주로 디지털 피아노 또는 마스터 키보드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이유는 음악을 만드는 프로그램에서 입력장치로 사용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피아노 연주 프로그램에서도 연결하여 사용하나, 방법은 화면 표시된 음을 연주하거나 선택한 악보 타이밍바(또는 음표 머리 색상 변화)를 보고 연주했을 때, 점수가 올라가거나 악보상의 음표 머리 색상이 바뀌는 정도로 사용될 뿐이다. 또는 지시선 위치의 음표를 누르면 다음 음표로 지시선을 이동하는 형식 표시가 수행된다.
기존의 디지털 피아노에서 피아노 연주를 연습하는 프로그램은 점수가 올라가거나 맞은 음표 머리의 색상만 변경되는 정도인데, 이것만으로는 자기주도학습 형태의 피아노 연주에서는 큰 효과가 없으며, 특히, 큰 보표(높은 음자리+낮음 음자리)가 표현되는 피아노 연주에서는 제대로 표현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디지털 피아노 연주 프로그램에서는 사용자가 누른 건반이 어떤 음인지, 언제, 얼마나 눌렀는지 확인할 수 없으므로, 악보의 옥타브(음계)를 잘못 읽어 옥타브를 낮게 또는 높게 연주할 경우, 사용자는 잘못되었다는 것만 표시할 수 있을 뿐이며, 어떤 것이 잘못되었는지 알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음표 길이만큼 누르지 않아도 가점이 되므로 잘못된 연주를 해도 알 수 없다.
또한, 기존에는 지시선에 위치한 음표를 눌렀을 때, 지시선을 이동시키는 방식이 처음 건반의 위치를 익숙하게 하는 데는 도움이 되지만, 혼자서 피아노 연주를 연습하게 될 경우, 정확한 박자에 맞춰 연주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005667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시간적, 공간적 제약으로 인해 피아노 연주 학습을 집에서 스스로 해야만 하는 경우, 사용자가 누른 건반 정보 즉, 어떤 건반을 어느 시점에서 얼마나 눌렀는 지를 음악에 맞춰 진행하는 지시선에 맞춰 화면의 악보 위에 실시간으로 표시하여, 반복적인 연습이 필수적인 피아노 연주를 배우는 데 있어서, 자신의 연주를 실시간적으로 기존 악보와 대비하여 시각적으로 표현해줌으로써, 짧은 기간 내 보다 쉽고 올바른 연주 및 음악성을 배울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디지털 피아노 또는 마스터 키보드와 연결되어 연동 가능한 전자 기기이며, 피아노 연주 연습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디바이스, 상기 디바이스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며, 상기 디바이스의 요청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필요한 관련 데이터를 제공하는 웹 서버,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웹 서버의 요청에 따른 관련 데이터를 상기 웹 서버에 제공하는 DB(Database)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사용자 인증을 처리하기 위하여 디바이스 ID를 상기 웹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웹 서버는 상기 디바이스 ID 정보를 상기 DB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DB 서버로부터 상기 디바이스 ID 정보에 해당하는 이용권 정보 및 현황 정보를 제공받아 사용자 인증 과정을 처리하며, 사용자 인증 결과에 따라 피아노 연주 연습에 필요한 컨텐츠 목록 데이터와 사용 이력 정보를 상기 디바이스에 전송한다.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웹 서버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목록 데이터 중에서 피아노 연주를 연습할 컨텐츠가 선택되면,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연주 연습 데이터를 상기 웹 서버에 요청하여 다운로드할 수 있다.
상기 연주 연습 데이터는 음원 데이터와, 악보 표시를 위한 악보 디스플레이 데이터와, 연주 교습에 필요한 교습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원 데이터는 MP3, MIDI, WAV의 오디오 형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연주 연습 데이터를 로딩(loading)하면, 타이밍을 표시하는 바(bar)인 지시선 표시, 왼손 건반 표시, 오른손 건반 표시, 메트로놈 표시, 빠르기 표시, 오른손 악보, 왼손 악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화면에서 왼손으로 눌러야할 왼손 건반과 오른손으로 눌러야할 오른손 건반의 색상을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된 화면에서 사용자에 의해 빠르기가 선택되면, 선택된 빠르기에 따라 메트로놈 표시, 배경 음악, 지시선 속도가 변경될 수 있다.
피아노 연주 연습이 진행 중에, 미리 정해진 지점에 지시선이 도달하면, 미리 정해진 음성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한 손 연주 모드인 경우, 상기 지시선이 상기 오른손 악보 또는 왼손 악보 중 어느 하나의 악보에만 위치하여 진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디바이스와 연결된 디지털 피아노 또는 마스터 키보드의 건반을 누르면, 재생 시작시간을 기준으로 이동하는 지시선에 맞춰 눌러진 건반의 음표를 표시할 수 있다.
건반이 눌러진 시점을 기준으로 음표를 표시하며, 건반이 눌러졌다가 떼어진 시간 동안을 음표의 길이로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눌러진 건반의 음표는 원래의 악보 위에 오버레이(overlay)하여 악보 상에 표시된 눌러야할 음표와 다른 색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음표 머리만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는 눌러야할 음표와 눌러진 음표 간의 차이와, 눌러야할 음 길이와 눌러진 음 길이와의 차이를 판별하여, 실시간으로 맞게 연주한 음표의 개수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맞게 연주한 음표의 개수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연주 연습 정보를 상기 웹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사용자의 연주 연습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사용자의 연주 연습 정보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다른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간적, 공간적 제약으로 인해 피아노 연주 학습을 집에서 스스로 해야만 하는 경우, 사용자가 누른 건반 정보 즉, 어떤 건반을 어느 시점에서 얼마나 눌렀는 지를 음악에 맞춰 진행하는 지시선에 맞춰 화면의 악보 위에 실시간으로 표시하여, 반복적인 연습이 필수적인 피아노 연주를 배우는 데 있어서, 자신의 연주를 실시간적으로 기존 악보와 대비하여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절차 기억을 강화해줌으로써, 짧은 기간 내에 보다 쉽게 올바른 연주 및 음악성을 배울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혼자서 피아노 연주를 연습하게 될 경우, 곡의 지정된 박자를 무시하고 연주 속도가 임의로 변화되는 문제점을 극복하여, 정확한 박자에 반복적으로 연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올바른 연주에 도움이 된다.
또한, 본 발명이 제공하는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연주를 표시하는 것 뿐만 아니라, 피아노 연주 연습 결과를 디지털 데이터로 저장하고 전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나중에 연습 결과를 확인하거나, 원격지에 있는 피아노 강사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아노 연주 연습에 있어서 절차기억(procedural memory)을 강화함으로써, 피아노 연주의 학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아노 연주 연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 연습 데이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 연습 데이터가 로딩된 화면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 손 연주인 경우에서의 지시선 위치 및 모양을 보여주는 화면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에 따라 악보의 지시선이 이동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화면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보 상에 사용자의 피아노 건반 입력을 표시하는 것을 도시한 화면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아노 연주 연습 시스템에서의 피아노 연주 연습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아노 연주 연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피아노 연주 연습 시스템은 디바이스(110), 웹 서버(120), DB(Database) 서버(1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디바이스(110)는 디지털 피아노 또는 마스터 키보드와 연결되어 연동 가능한 PC, 스마트 디바이스 기기를 포함하는 개념이며, 피아노 연주 연습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장치이다.
즉, 본 발명의 디바이스(110)는 디지털 피아노와 연결하여 연동 가능한 PC, 컴퓨터, 태블릿 PC, 스마트 폰 등이 될 수 있으며, 또는 디지털 피아노 내부에 컴퓨팅 가능한 보드로 내장되어, 디지털 피아노 자체에서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가 디바이스(110)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응용 프로그램, 이하 “앱”)을 실행한다.
그리고, 앱이 실행되면서, 디바이스(110)는 웹 서버(120)와 통신하며 사용자 인증 과정을 처리한다. 이때, 사용자 인증은 디바이스 ID 기준으로 처리한다.
디바이스(110)의 앱은 웹 서버(120)로부터 컨텐츠 목록 데이터와 사용자 인증 과정 결과에 따른 사용이력정보를 받는다.
여기서 디바이스(110)의 사용자는 자신이 이전에 사용했던 이력을 통해 다음 해야할 과정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디바이스(110)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 목록 데이터 중에서 연주 연습할 컨텐츠를 선택한다.
그리고, 선택한 컨텐츠에 대한 연주 연습 데이터를 웹 서버(120)에 요청하여, 웹 서버(120)로부터 다운로드한다.
이를 다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웹 서버(120)는 디바이스(11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며, 디바이스(110)의 요청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필요한 관련 데이터를 제공한다.
DB 서버(130)는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웹 서버(120)의 요청에 따른 관련 데이터를 웹 서버에 제공한다.
디바이스(110)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사용자 인증을 처리하기 위하여 디바이스 ID를 웹 서버(120)에 전송한다. 그러면, 웹 서버(120)는 디바이스 ID 정보를 DB 서버(130)에 전송하고, DB 서버(130)로부터 디바이스 ID 정보에 해당하는 이용권 정보 및 현황 정보를 제공받아 사용자 인증 과정을 처리한다. 그리고, 웹 서버(120)는 사용자 인증 결과에 따라 피아노 연주 연습에 필요한 컨텐츠 목록 데이터와 사용 이력 정보를 디바이스(110)에 전송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 연습 데이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연주 연습 데이터는 미디, MP3, WAV 등 재생용 음원(210)과 악보 표시를 위한 악보 디스플레이 데이터(230)와, 연주 교습에 필요한 교습 데이터(220)로 구성되어 있다.
만약, 연습 전에 필요한 선수 과정이 있다면, 앱은 해당 선수 과정을 처리한다.
그리고, 디바이스(110)는 다운로드한 연주 연습 데이터를 로딩(loading)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 연습 데이터가 로딩된 화면예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피아노 연주 연습을 위한 악보가 표시되며, 연주 연습 데이터가 로딩된 화면에서 지시선(301), 왼손 건반(302), 오른손 건반(303), 메트로놈(304), 빠르기(305), 오른손 악보(306), 왼손 악보(307)가 표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손가락 번호, 가온도 위치, 첫음, 눌러야할 건반의 왼손 또는 오른손 여부에 따라 색상 차를 부여하여 표시한 화면예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타이밍바인 지시선(301)은 맨 첫 음표에 위치한다. 못갖춘 마디인 경우, 사용자 편의를 위해 쉼표를 두었다면, 지시선(301)이 쉼표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가 빠르기를 선택하면, 곡의 빠르기에 맞춰 메트로놈 표시 및 소리, 배경음악, 지시선 속도가 변경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자기주도학습이라는 점을 감안하여, 악보 상에 주의해야 할 부분을 표시하기도 하며, 또한, 특정 지점에 이르렀을때, 메트로놈 소리와 함께 연주에 필요한 조언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타카토를 배우는 단계에서 악보에서 스타카토가 나올 때, 배경소리로 “다음은 스타카토 연주 부분이니 짧게 끊어서 연주하세요~”라는 음성이 출력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 손 연주인 경우에서의 지시선 위치 및 모양을 보여주는 화면예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한 손 연주인 경우, 지시선이 오른손 악보 또는 왼손 악보 중 하나의 악보에 위치하여 진행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에 따라 악보의 지시선이 이동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화면예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피아노 연주 연습을 시작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디바이스(110)의 앱 상에서 시작을 선택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곡의 빠르기에 맞춰 메트로놈 이미지가 표시된다.
그리고, 곡의 박자에 맞춰 디바이스(110)는 곡 시작을 표시한다.
그리고, 악보의 지시선이 곡 빠르기와 각 음표의 시간정보에 맞춰 이동한다. 이때, 지시선의 이동, 메트로놈 표시, 메트로놈 소리, 지시선의 현재 박자 정보가 모두 일치한다.
지시선의 이동은 이전 음표(음표위치1)와 다음 음표(음표위치2)간의 시간정보와 위치를 기준으로하여 현재시간으로 위치를 계산한다.
현재 박자는 현재 시간에서 시작 시간을 뺀 재생시간을 박자로 나눈 후, 나머지값으로 계산한다.
음표에 대한 시간 및 위치는 정보는 교습 데이터로부터 얻는다. 시간정보는 음악 해상도인 틱(Tick)으로 표시하여, 선택한 빠르기에 맞춰 시간이 유동적으로 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보 상에 사용자의 피아노 건반 입력을 표시하는 것을 도시한 화면예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디바이스(110)와 연결된 디지털 피아노 또는 마스터 키보드의 건반을 누르면, 재생의 시작시간을 기준으로 이동하는 지시선에 맞춰 눌러진 건반의 음표를 표시한다.
건반을 누른 시점을 기준으로 음표를 그리며, 건반을 놓는 순간 음표의 길이를 나타낸다. 이때,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음표 머리만 표시할 수도 있다. 음표는 원래의 악보 위에 오버레이(overlay)하여 다른 색으로 표현한다.
본 발명에서 건반을 통해 그려진 음표는 원래 악보의 음표 간의 차이가 없는 경우와 차이가 있는 경우의 색상을 다르게 하여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맞는 경우는 파란색으로 표시하고, 틀린 경우는 빨간색으로 표시하는 식이다.
음표를 그리는 기준은 다음과 같다.
(1) x 좌표는 누른 시점에서의 지시선의 위치로 한다.
(2) y좌표는 누른 건반의 위치(해당 악보의 큰 보표 종류에 따라 미리 정해둔 값)로 한다.
(3) 검은 건반인 경우, 해당 위치의 이전 방향으로 가까운 음표의 임시표 정보를 참고하여 ? 또는 플랫으로 표시한다.
(4) 사용자에 의해 눌려진 건반이 떼어지는 순간, 음의 길이를 시간정보와 빠르기를 고려하여 계산한다.
디바이스(110)의 화면에는 사용자가 눌러야 할 건반 뿐만 아니라 누르고 있는 건반을 동시에 표시하여, 잘못 누른 경우에 사용자가 올바로 누를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연주해야 음표와 실제로 눌려진 음표 간의 차이가 있을 경우,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실시간으로 보여준다. 또한, 음 길이만큼 사용자가 건반을 누르지 못한 경우, 이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알려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실시간으로 맞게 연주한 음표의 개수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연주한 건반의 음높이, 음길이 전체를 표현하며, 학습 단계에 따라서 음표 머리(음높이)만 표현하여 쉽게 알 수 있도록 한다.
디바이스(110)는 맞게 연주한 음표의 개수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연주 연습 정보를 웹 서버(120)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바이스(110)는 사용자의 연주 연습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디바이스(110)는 사용자의 연주 연습 정보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다른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체적으로 사용자의 연주가 늦어지거나 음길이에 맞지 않게 연주할 경우, 메트로놈 소리와 함께 사용자에게 배경음으로 자동으로 알려줄 수 있다.
사용자가 본 발명의 피아노 연주 연습 프로그램을 시작하기 전에 양손이 아닌 왼손 또는 오른손을 선택한 경우,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시선(타이밍바)이 해당 보표에만 표시된다. 또한 사용자가 건반을 눌렀을 때, 실시간으로 표시할 경우에도 해당 보표에 맞춰 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지시선의 이동시 눌러야 할 건반색이 바뀌도록 구현할 수 있다. 즉, 왼손이 눌러야 할 건반 색과 오른손이 눌러야 할 건반 색이 다르게 표시되며, 이때 손가락번호도 같이 표시한다.
본 발명에서는 모든 연주가 끝난 후에는 사용자가 악보를 좌우로 이동할 경우에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표시하여 스스로 자신의 연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피아노 연주 연습의 결과를 디지털 데이터로 저장하여 이동통신망 또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외부 기기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나중에 확인하거나 원격지 강사가 확인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아노 연주 연습에 있어서 절차기억(procedural memory)을 강화함으로써, 피아노 연주의 학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아노 연주 연습 시스템에서의 피아노 연주 연습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피아노 연주 연습 방법은 사용자가 디바이스(110)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응용 프로그램, 이하 “앱”)을 실행하면(S801), 디바이스(110)는 웹 서버(120)와 통신하며 사용자 인증 과정을 처리한다(S803). 이때, 사용자 인증은 디바이스 ID 기준으로 처리한다.
디바이스(110)의 앱은 웹 서버(120)로부터 컨텐츠 목록 데이터와 사용자 인증 과정 결과에 따른 사용이력정보를 받는다(S805). 여기서 디바이스(110)의 사용자는 자신이 이전에 사용했던 이력을 통해 다음 해야할 과정을 선택할 수 있다.
다음, 사용자가 디바이스(110)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 목록 데이터 중에서 연주 연습할 컨텐츠를 선택한다(S807).
그리고, 선택한 컨텐츠에 대한 연주 연습 데이터를 웹 서버(120)에 요청하여, 웹 서버(120)로부터 다운로드한다(S809)
그리고, 다운로드한 연주 연습 데이터를 로딩한다(S811).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10 디바이스 120 웹 서버
130 DB 서버 210 재생용 음원
220 교습 데이터 230 악보 디스플레이 파일
301 지시선 302 왼손 건반
303 오른손 건반 304 메트로놈
305 빠르기 306 오른손 악보
307 왼손 악보

Claims (17)

  1. 디지털 피아노 또는 마스터 키보드와 연결되어 연동 가능한 전자 기기이며, 피아노 연주 연습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디바이스;
    상기 디바이스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며, 상기 디바이스의 요청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필요한 관련 데이터를 제공하는 웹 서버;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웹 서버의 요청에 따른 관련 데이터를 상기 웹 서버에 제공하는 DB(Database)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사용자 인증을 처리하기 위하여 디바이스 ID를 상기 웹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웹 서버는 상기 디바이스 ID 정보를 상기 DB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DB 서버로부터 상기 디바이스 ID 정보에 해당하는 이용권 정보 및 현황 정보를 제공받아 사용자 인증 과정을 처리하며, 사용자 인증 결과에 따라 피아노 연주 연습에 필요한 컨텐츠 목록 데이터와 사용 이력 정보를 상기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웹 서버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목록 데이터 중에서 피아노 연주를 연습할 컨텐츠가 선택되면,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연주 연습 데이터를 상기 웹 서버에 요청하여 다운로드하고,
    상기 연주 연습 데이터는 음원 데이터와, 악보 표시를 위한 악보 디스플레이 데이터와, 연주 교습에 필요한 교습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연주 연습 데이터를 로딩(loading)하면, 타이밍을 표시하는 바(bar)인 지시선 표시, 왼손 건반 표시, 오른손 건반 표시, 메트로놈 표시, 빠르기 표시, 오른손 악보, 왼손 악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상기 디바이스와 연결된 디지털 피아노 또는 마스터 키보드의 건반을 누르면, 재생 시작시간을 기준으로 이동하는 지시선에 맞춰 눌러진 건반의 음표를 표시하고,
    상기 디바이스는 건반이 눌러진 시점을 기준으로 음표를 표시하며, 건반이 눌러졌다가 떼어진 시간 동안을 음표의 길이로 나타내고,
    상기 디바이스는 눌러진 상기 건반의 음표를 원래의 악보 위에 오버레이(overlay)하여 악보 상에 표시된 눌러야할 음표와 다른 색상으로 표시하고, 상기 눌러야할 음표와 상기 눌러진 상기 건반의 음표 간의 차이가 있을 경우,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실시간으로 수치화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 연주 연습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음원 데이터는 MP3, MIDI, WAV 형식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 연주 연습 시스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면에서 왼손으로 눌러야할 왼손 건반과 오른손으로 눌러야할 오른손 건반의 색상을 다르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 연주 연습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된 화면에서 사용자에 의해 빠르기가 선택되면, 선택된 빠르기에 따라 메트로놈 표시, 배경 음악, 지시선 속도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 연주 연습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피아노 연주 연습이 진행 중에, 미리 정해진 지점에 지시선이 도달하면, 미리 정해진 음성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 연주 연습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한 손 연주 모드인 경우, 상기 지시선이 상기 오른손 악보 또는 왼손 악보 중 어느 하나의 악보에만 위치하여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 연주 연습 시스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음표 머리만 표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 연주 연습 시스템.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눌러야할 음표와 눌러진 음표 간의 차이와, 눌러야할 음 길이와 눌러진 음 길이와의 차이를 판별하여, 실시간으로 맞게 연주한 음표의 개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 연주 연습 시스템.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맞게 연주한 음표의 개수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연주 연습 정보를 상기 웹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 연주 연습 시스템.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사용자의 연주 연습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 연주 연습 시스템.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사용자의 연주 연습 정보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다른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 연주 연습 시스템.
KR1020140160963A 2014-11-18 2014-11-18 피아노 연주 연습 시스템 KR101636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0963A KR101636047B1 (ko) 2014-11-18 2014-11-18 피아노 연주 연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0963A KR101636047B1 (ko) 2014-11-18 2014-11-18 피아노 연주 연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9281A KR20160059281A (ko) 2016-05-26
KR101636047B1 true KR101636047B1 (ko) 2016-07-05

Family

ID=56104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0963A KR101636047B1 (ko) 2014-11-18 2014-11-18 피아노 연주 연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60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7099B1 (ko) * 2018-07-10 2019-01-09 이원경 피아노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30833B1 (ko) * 2019-02-21 2019-10-10 김안진 악기 학습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악기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6311B1 (ko) * 2018-08-22 2020-05-28 이윤정 음악 컨텐츠 생성과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102421338B1 (ko) * 2021-03-16 2022-08-03 박타민 표시장치 연동형 피아노 연습장치
KR102532811B1 (ko) * 2022-01-13 2023-05-16 주은교육 주식회사 악보 제작 기능을 포함하는 음악 레슨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9844A (ko) * 2000-06-02 2001-12-12 강문성 미디를 이용한 온라인 피아노 교육
KR20060032476A (ko) * 2004-10-12 2006-04-17 (주)알엠비정보통신 키 패드를 이용한 음악 연주 방법 및 장치
KR20110118933A (ko) * 2010-04-26 2011-11-02 제이엔제이웍스(주) 음성코멘트를 이용하는 피아노 연주 학습 시스템 및 방법
KR101162437B1 (ko) * 2010-05-07 2012-07-04 링크젠 주식회사 음악 게임 방법 및 이를 위한 음악 게임 장치
KR20120056679A (ko) 2010-11-25 2012-06-04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터치스크린이 탑재된 디지털 피아노 및 그 동작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7099B1 (ko) * 2018-07-10 2019-01-09 이원경 피아노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30833B1 (ko) * 2019-02-21 2019-10-10 김안진 악기 학습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악기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9281A (ko) 2016-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6047B1 (ko) 피아노 연주 연습 시스템
KR101535814B1 (ko) 연주를 용이하게 하는 피아노
JP5257966B2 (ja) 音楽再生制御システム、音楽演奏プログラム、および演奏データの同期再生方法
JP6493543B2 (ja) 演奏補助装置及び方法
JP2019124907A (ja) 学習支援システム
US20200027367A1 (en) Remote control of lesson software by teacher
US20190325776A1 (en) Lights-guided piano learning and teaching apparatus, and method
CN111816146A (zh) 一种电子琴的示教方法、系统、示教电子琴及存储介质
CN109416905A (zh) 演奏辅助装置及方法
CN105489209A (zh) 一种电声乐器节奏可控的方法及其对卡拉ok的改进
JPH11102187A (ja) 電子楽器及び記憶媒体
CN112598961A (zh) 钢琴演奏学习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6708537B2 (ja) カラオケシステム
KR102087491B1 (ko) 반주기와 연결되는 악보영상출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악보영상출력방법
JP2007322754A (ja) キー入力練習装置及びキー入力練習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1302296B2 (en) Method implemented by processor, electronic device, and performance data display system
JP6073618B2 (ja) カラオケ装置
JP5537246B2 (ja) 歌唱位置表示システム
KR101162437B1 (ko) 음악 게임 방법 및 이를 위한 음악 게임 장치
JP5847048B2 (ja) ピアノロール型譜表示装置、ピアノロール型譜表示プログラム、及びピアノロール型譜表示方法
JP7338669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演奏データ表示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476526B1 (ko)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음악 학습방법
JP6782491B2 (ja) 楽音発生装置、楽音発生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694365B1 (ko) 피아노 연주 보조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피아노 연주 보조 장치
JP2011039248A (ja) 携帯型音出力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