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6044B1 - 회전 가능한 그리드를 구비한 선박 - Google Patents

회전 가능한 그리드를 구비한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6044B1
KR101636044B1 KR1020140070382A KR20140070382A KR101636044B1 KR 101636044 B1 KR101636044 B1 KR 101636044B1 KR 1020140070382 A KR1020140070382 A KR 1020140070382A KR 20140070382 A KR20140070382 A KR 20140070382A KR 101636044 B1 KR101636044 B1 KR 101636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d
hull
plate
propeller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0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1835A (ko
Inventor
송윤영
김세훈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0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6044B1/ko
Publication of KR20150141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1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6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6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42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propulsive elements; 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propellers used therefor only; 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rudders carrying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63B13/02Ports for passing water through vessels'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회전 가능한 그리드를 구비한 선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그리드를 구비한 선박은, 선체와, 수면 아래에 배치되며 선체의 선수를 횡 방향으로 관통하여 양 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추진기홀과, 추진기홀의 내부에 위치하여 개구부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추진력을 제공하는 추진기, 및 개구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측으로 노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조절판이 형성된 그리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회전 가능한 그리드를 구비한 선박{Vessel having rotatable grid}
본 발명은 회전 가능한 그리드를 구비한 선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해수의 유동 방향에 따라 그리드가 자동으로 회전하여 선체에 걸리는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는 구조의 회전 가능한 그리드를 구비한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선박은 선수부에 바우 스러스터(bow thruster)를 구비한다. 바우 스러스터는 선수부 또는 선미부의 수면 아래 잠기는 부분에 설치되며, 선박의 정박 또는 운항 시 횡 방향으로 힘을 전달한다. 바우 스러스터는 선체의 횡 방향으로 형성된 터널 형태의 스러스터홀의 내측에 설치되며, 회전하여 좌우 방향 이동에 필요한 추진력을 발생시킨다.
한편, 스러스터홀의 양측 입구에는 그리드(grid)가 설치된다. 그리드는 스러스터홀 내측에 설치된 스러스터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 개의 바(bar)들을 서로 교차하여 망 형태로 제작된다. 이 때, 그리드는 모형시험 등을 통해 예측된 유선(stream line)의 방향과 바의 각도가 서로 일치하도록 고정 부착되어 선체에 걸리는 저항을 최소화한다. 그러나, 종래의 그리드는 설계 속도, 설계 흘수에서 최적화된 결과에 의거하여 고정 부착된 것이므로, 선체의 속도 또는 흘수가 변경되면 선체에 걸리는 저항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선속이 늦어질 뿐만 아니라 연료소모가 커져 연료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76217호 2010. 07. 06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해수의 유동 방향에 따라 그리드가 자동으로 회전하여 선체에 걸리는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는 구조의 회전 가능한 그리드를 구비한 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그리드를 구비한 선박은, 선체와, 수면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선체의 선수를 횡 방향으로 관통하여 양 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추진기홀과, 상기 추진기홀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개구부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추진력을 제공하는 추진기, 및 상기 개구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측으로 노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조절판이 형성된 그리드를 포함한다.
상기 방향조절판은 복수 개가 서로 평행하게 병렬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그리드는, 상기 개구부의 내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방향조절판과 교차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와류방지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류방지판은 복수 개가 서로 평행하게 병렬로 배치되며, 상기 방향조절판과 수직 방향으로 교차 배치되어 격자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선체와 상기 그리드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그리드와 상기 선체 사이의 마찰저항을 감소시키는 베어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체의 흘수, 속도, 및 트림 등에 따라 변화하는 해수의 유동 방향에 따라 그리드가 자동으로 회전하여 선체에 걸리는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연료소모가 감소하여 연료비가 절감되고, 선체의 운항효율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구동력 없이도 작동 가능하여 효율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그리드를 구비한 선박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회전 가능한 그리드를 구비한 선박의 선수 부분을 일부 절개하여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그리드에 베어링부가 결합된 모습을 확대하여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다.
도 4는 해수의 유동 방향이 변화됨에 따라 그리드가 회전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선체의 흘수에 따라 그리드가 회전하는 모습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그리드를 구비한 선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그리드를 구비한 선박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그리드를 구비한 선박(1)은 적어도 하나의 추진장치(T)를 구비하여 전방으로 운항하거나 해상의 일정한 위치에 머무르며 각종 작업을 수행하는 통상의 선박으로, 용도에 따라 화물선, 운반선, 여객선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회전 가능한 그리드를 구비한 선박(1)은 선체(10)의 흘수, 속도, 및 트림 등에 따라 변화하는 해수의 유동 방향에 따라 그리드(40)가 자동으로 회전하여 선체(10)에 걸리는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연료소모가 감소하여 연료비가 절감되고, 선체(10)의 운항효율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구동력 없이도 작동 가능한 구조이므로 효율적인 특징이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회전 가능한 그리드를 구비한 선박(1)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회전 가능한 그리드를 구비한 선박의 선수 부분을 일부 절개하여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그리드에 베어링부가 결합된 모습을 확대하여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고, 도 4는 해수의 유동 방향이 변화됨에 따라 그리드가 회전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 가능한 그리드를 구비한 선박(1)은 선체(10)와, 선체(10)를 횡 방향으로 관통하는 추진기홀(20)과, 추진기홀(20) 내부에 위치하는 추진기(30), 및 개구부(20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의 방향조절판(42)이 형성된 그리드(40)를 포함한다.
선체(10)는 회전 가능한 그리드를 구비한 선박(1)의 본체로서, 외측 형상이 유선형(流線型)으로 형성되어 해류의 저항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선체(10)는 선수(10a)와 선미(10b)로 구분되며, 선수(10a)는 선체(10)의 전방 부분을 의미하고 선미(10b)는 선체(10)의 후방 부분을 의미한다.
선수(10a)에는 벌브(bulb, 11)가 형성된다. 벌브(11)는 해류의 저항을 줄이기 위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수(10a) 중앙에 둥근 모양으로 돌출 형성된다. 선체(10)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적당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 벌브(11)를 형성하면, 벌브(11)가 만드는 파도와 선수(10a) 근처의 선체(10)가 만드는 파도가 서로 간섭되어 물결이 거의 일지 않게 된다. 따라서, 선체(10)는 좀 더 안정적으로 운항할 수 있다. 벌브(11)는 선체(10)의 흘수에 따라 전체가 수면(w) 아래에 배치되거나, 일부가 수면(w) 위로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선체(10)의 흘수라 함은, 선체(10)가 수면(w)에 부유할 때 수면(w) 아래에 잠겨 있는 부분의 깊이를 의미하며, 선체(10)가 수면(w) 아래에 잠길수록 흘수는 깊어지게 된다.
선수(10a)의 일 측에는 추진기홀(20)이 형성된다. 추진기홀(20)은 수면(w) 아래에 배치되며, 선체(10)의 선수(10a)를 횡 방향으로 관통하여 터널 형태로 형성된다. 즉, 추진기홀(20)은 양 측이 각각 개방되어 개구부(20a)가 형성되며, 양 개구부(20a)를 통해 해상과 연통된다. 추진기홀(20)의 내부에는 추진기(30)가 설치된다.
추진기(30)는 추진기홀(20)의 내부 중앙에 위치하며, 추진기홀(20)의 양 개구부(20a)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추진력을 제공한다. 추진기(30)는 유선형의 날개를 갖는 복수 개의 프로펠러(31)가 회전축(32)에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형성되며, 엔진(도시되지 않음)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회전축(32)이 회전함에 따라 프로펠러(31)가 회전하여 추진력을 발생시킨다. 추진기(30)가 추진력을 제공하는 방향에 따라 선체(10)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특히, 추진기(30)는 선박이 정박하거나 선회하는 경우 작동하여 선체(10)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선체(10)가 우측으로 선회할 경우, 추진기(30)는 선체(10)의 좌측에 위치한 개구부(20a)를 통해 추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반대로, 선체(10)가 좌측으로 선회할 경우, 추진기(30)는 선체(10)의 우측에 위치한 개구부(20a)를 통해 추진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추진기홀(20)의 양 개구부(20a)에는 그리드(40)가 설치된다.
그리드(40)는 추진기홀(20) 내부에 위치한 추진기(30)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양 개구부(20a)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드(40)는 개구부(20a)를 가로지르며 서로 교차되어 격자 구조를 이루는 판 형상의 부재들로 형성된다. 판 형상의 부재가 격자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추진기홀(20) 내부로 부피가 큰 덩어리 형태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추진기(30)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추진기(30)의 회전으로 발생한 추진력이 그리드(40)를 통과할 수 있어 그리드(40)로 인해 추진력이 감소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그리드(40)는 본체(41)와 적어도 하나의 방향조절판(42), 및 와류방지판(43)을 포함한다.
본체(41)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링 형상의 부재로, 강성 및 내구성이 강한 단단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41)의 개방된 일 측면, 즉, 해상과 연통되는 측면에는 방향조절판(42)과 와류방지판(43)이 서로 교차되어 배치된다.
방향조절판(42)은 판 형상의 부재로, 개구부(20a)를 가로질러 양단부가 각각 본체(41)의 내측면에 고정 결합된다. 이 때, 방향조절판(42)은 일 측이 본체(41)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다시 말해, 방향조절판(42)은 본체(41)의 내측과 외측의 경계면에 걸쳐지게 고정 결합된다. 방향조절판(42)이 본체(41)의 내측과 외측의 경계면에 걸쳐지게 결합됨으로써, 방향조절판(42)은 일부가 본체(41)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추진기홀(20) 주위를 유동하는 해수의 흐름에 노출될 수 있다. 방향조절판(42)은 본체(41)와 같이 강성 및 내구성이 강한 단단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가 서로 평행하게 병렬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병렬로 배치되는 것이라 함은 각각의 방향조절판(42)이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방향조절판(42)은 단면이 원 형상인 본체(41)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될수록 길이가 점차 짧아진다.
도면 상에는 방향조절판(42)이 본체(41)의 전면에 걸쳐 복수 개로 형성된 구조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방향조절판(42)은 본체(41)의 중심 또는 외곽에 한 개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방향조절판(42)이 판 형상의 부재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방향조절판(42)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향조절판(42)은 유선형의 단면을 갖는 날개 형상으로 형성되어 해수의 흐름에 더욱 원활하게 융화될 수도 있다.
와류방지판(43)은 판 형상의 부재로, 본체(41)를 가로질러 양단부가 각각 본체(41)의 내측면에 고정 결합된다. 이 때, 와류방지판(43)은 본체(41)의 내측으로 완전히 수용되게 결합되어 개구부(20a)의 내측으로 돌출되며, 방향조절판(42)과 교차 배치된다. 와류방지판(43)은 방향조절판(42)과 같이 강성 및 내구성이 강한 단단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가 서로 평행하게 병렬로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와류방지판(43)은 본체(41)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될수록 길이가 점차 짧아진다. 방향조절판(42)과 와류방지판(43)이 각각 복수 개로 형성되어 병렬로 배치될 경우, 방향조절판(42)과 와류방지판(43)은 수직 방향으로 교차 배치되어 격자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도면 상에는 방향조절판(42)과 와류방지판(43)의 구분을 위해 와류방지판(43)이 방향조절판(42)보다 두껍게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와류방지판(43)과 방향조절판(42)은 서로 동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방향조절판(42)은 일부가 본체(41)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추진기홀(20) 주위를 유동하는 해수의 흐름에 노출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조절판(42)이 해수의 흐름에 융화되어 해류의 방향과 방향조절판(42)이 배치된 방향이 서로 일치하도록 그리드(40)가 회전하면, 방향조절판(42)과 직교하는 와류방지판(43)이 해수의 흐름을 방해하여 추진기홀(20) 내부로 해수가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와류방지판(43)은 일정한 방향으로 유동하는 해수의 흐름을 흐트러뜨려 해수가 와류를 형성하며 추진기홀(2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추진기홀(20) 내부로 유입되는 해수의 양을 줄임으로써, 선체(10)에 걸리는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그리드(40)는 해수의 흐름에 노출된 방향조절판(42)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하므로, 별도의 구동력 없이도 작동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그리드(40)는 베어링부(50)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베어링부(50)는 그리드(40)와 선체(10) 사이의 마찰저항을 감소시켜 그리드(40)의 회전을 돕는 것으로, 선체(10)와 그리드(40) 사이에 삽입된다. 베어링부(50)는 외륜부(51)와, 내륜부(52)와, 볼(53), 및 프레임(54)을 포함한다.
외륜부(51)는 링 형상의 부재로, 그리드(40)의 외측을 둘러싸며 배치된다. 외륜부(51)는 내측면이 만입되어 후술할 볼(53)과 프레임(54)이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선체(10)의 내측에 삽입 고정된다. 즉, 외륜부(51)의 외측면은 선체(10)의 내측에 고정 결합된다. 외륜부(51)는 그리드(40)와 같이 강성 및 내구성이 강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측면에 링 형상의 고정홈(51a)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홈(51a)은 외륜부(51)의 내주면을 따라 만입되어 형성되며, 볼(53)의 외측면과 구름 접촉을 한다. 그러나, 고정홈(51a)이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볼(53)의 외측면 형상에 대응하여 각각 이격되어 파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내륜부(52)는 본체(41)의 외측면에 형성된다. 내륜부(52)는 본체(41)와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본체(41)의 외측면에 결합되거나 본체(41)의 외측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내륜부(52)가 본체(41)의 외측면에 일체로 형성된 구조에 대해 보다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내륜부(52), 즉, 본체(41)의 외측면에는 링 형상의 이동홈(52a)이 형성된다. 이동홈(52a)은 본체(41)의 외주면을 따라 만입되어 형성되며, 볼(53)의 외측면과 구름 접촉을 한다. 즉, 볼(53)의 일 측은 외륜부(51)의 고정홈(51a)에 접촉하고 타측은 내륜부(52)의 이동홈(52a)에 접촉한다.
볼(53)은 구 형상의 부재로, 고정홈(51a)과 이동홈(52a) 사이에 개재되어 회전한다. 즉, 고정홈(51a)과 이동홈(52a) 사이에 개재된 볼(53)이 회전함에 따라 내륜부(52)는 외륜부(5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때, 볼(53)은 자신의 무게중심을 지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고정홈(51a)과 이동홈(52a)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볼(53)이 무게중심을 지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고정홈(51a)과 이동홈(52a)을 따라 회전함으로써, 그리드(40)와 선체(10) 사이의 마찰저항이 감소하여 그리드(40)가 선체(10)에 대하여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볼(53)은 자신의 무게중심을 지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만 회전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볼(53)은 복수 개로 형성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외주면에 프레임(54)이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54)은 각각의 볼(53)을 연결하는 것으로, 외륜부(51)와 내륜부(52) 사이에 개재된다. 볼(53)의 외주면에 프레임(54)이 결합됨으로써, 각각의 볼(53)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며 회전할 수 있다. 프레임(54)은 볼(53)이 고정홈(51a)과 이동홈(52a)에 각각 접촉할 수 있도록 상측과 하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54)은 통상의 베어링 구조에서 사용되는 리테이너(rerainer)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그리드(40)가 베어링부(50)에 의해 회전하는 구조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그리드(40)가 회전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리드(40)는 외주면을 따라 기어치가 형성된 외접기어로 형성되어 그리드(40)의 외측을 둘러싸는 내접기어와 치합하며 회전할 수도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회전 가능한 그리드를 구비한 선박(1)의 동작과정에 관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선체의 흘수에 따라 그리드가 회전하는 모습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그리드를 구비한 선박(1)은 선체(10)의 흘수, 속도, 및 트림 등에 따라 변화하는 해수의 유동 방향에 따라 그리드(40)가 자동으로 회전하여 선체(10)에 걸리는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연료소모가 감소하여 연료비가 절감되고, 선체(10)의 운항효율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그리드(40)는 해수의 흐름에 노출된 방향조절판(42)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하므로, 별도의 구동력 없이도 작동 가능하여 효율적이다.
해수의 유동 방향, 즉, 해류의 방향은 선체(10)의 흘수가 깊어질수록, 선체(10)의 이동 속도가 감소할수록, 선수(10a)가 선미(10b)보다 수면(w) 아래에 깊게 잠기는 선수트림 상태일수록 수면(w)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도 5의 (a)와 (b)를 참조하여 선체(10)의 흘수에 따른 해수의 유동 방향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5의 (a)를 참조하면, 선체(10)의 속도와, 선수(10a)와 선미(10b)의 기울기가 일정한 경우, 선체(10)의 흘수가 깊어지면 개구부(20a) 주위의 해류의 방향은 수면(w)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선체(10)의 흘수가 깊어져 선수(10a)에 형성된 벌브(11)가 완전히 수면(w) 아래로 배치되면, 선체(10)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유동하는 해수는 벌브(11)에 부딪히게 되어 유선(해수의 흐름을 의미함)이 벌브(11)를 감싸며 선체(10)의 아래쪽, 즉, 선저로 급격하게 내려가는 형태가 된다. 다시 말해, 개구부(20a)를 따라 유동하는 해수의 방향이 수면(w)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어 개구부(20a) 주위의 유동각(α1)이 커지게 된다. 여기서, 유동각이라 함은, 수면(w)과 유동하는 해류가 이루는 각도를 의미한다.
이 때, 본체(41)의 외측으로 노출된 방향조절판(42)은 해수의 흐름에 융화되며, 그리드(40)는 해류의 방향과 방향조절판(42)이 배치된 방향이 서로 일치하도록 회전한다. 해류의 방향과 방향조절판(42)이 배치된 방향이 서로 일치하면, 방향조절판(42)과 직교하는 와류방지판(43)이 해수의 흐름을 방해하여 추진기홀(20) 내부로 유입되는 해수의 양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선체(10)에 걸리는 저항이 감소되어 선체(10)의 운항효율이 증가할 수 있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선체(10)의 속도와, 선수(10a)와 선미(10b)의 기울기가 일정한 경우, 선체(10)의 흘수가 낮아지면 개구부(20a)는 주위의 해류의 방향은 수면(w)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완만하게 배치될 수 있다.
선체(10)의 흘수가 낮아져 선수(10a)에 형성된 벌브(11)의 일부가 수면(w) 위로 노출되면, 선체(10)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유동하는 해수는 벌브(11)가 완전히 수면(w) 아래에 배치되는 경우보다 유선이 상대적으로 완만하게 선저로 내려가는 형태가 된다. 즉, 벌브(11)와 수면(w)이 접하는 위치로부터 유선이 선저로 내려가는 형태가 되므로, 개구부(20a)를 따라 유동하는 해수의 방향이 수면(w)에 대하여 완만하게 배치되어 개구부(20a) 주위의 유동각(α2)이 작아지게 된다.
이 때, 그리드(40)는 해류의 방향과 방향조절판(42)이 배치된 방향이 서로 일치하도록 회전한다. 해류의 방향과 방향조절판(42)이 배치된 방향이 서로 일치하면, 방향조절판(42)과 직교하는 와류방지판(43)이 해수의 흐름을 방해하여 추진기홀(20) 내부로 유입되는 해수의 양이 감소하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회전 가능한 그리드를 구비한 선박
10: 선체 10a: 선수
10b: 선미 11: 벌브
20: 추진기홀 20a: 개구부
30: 추진기 31: 프로펠러
32: 회전축 40: 그리드
41: 본체 42: 방향조절판
43: 와류방지판 50: 베어링부
51: 외륜부 51a: 고정홈
52: 내륜부 52a: 이동홈
53: 볼 54. 프레임
w: 수면

Claims (5)

  1. 선체;
    수면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선체의 선수를 횡 방향으로 관통하여 양 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추진기홀;
    상기 추진기홀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개구부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추진력을 제공하는 추진기;
    상기 개구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측으로 노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조절판이 형성된 그리드; 및
    상기 선체와 상기 그리드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그리드와 상기 선체 사이의 마찰저항을 감소시키는 베어링부를 포함하되,
    상기 그리드는 해류의 방향과 상기 방향조절판이 배치된 방향이 서로 일치하도록 회전하는 회전 가능한 그리드를 구비한 선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조절판은 복수 개가 서로 평행하게 병렬로 배치되는 회전 가능한 그리드를 구비한 선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드는,
    상기 개구부의 내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방향조절판과 교차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와류방지판을 더 포함하는 회전 가능한 그리드를 구비한 선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방지판은 복수 개가 서로 평행하게 병렬로 배치되며, 상기 방향조절판과 수직 방향으로 교차 배치되어 격자를 이루는 회전 가능한 그리드를 구비한 선박.
  5. 삭제
KR1020140070382A 2014-06-10 2014-06-10 회전 가능한 그리드를 구비한 선박 KR101636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382A KR101636044B1 (ko) 2014-06-10 2014-06-10 회전 가능한 그리드를 구비한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382A KR101636044B1 (ko) 2014-06-10 2014-06-10 회전 가능한 그리드를 구비한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1835A KR20150141835A (ko) 2015-12-21
KR101636044B1 true KR101636044B1 (ko) 2016-07-05

Family

ID=55083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0382A KR101636044B1 (ko) 2014-06-10 2014-06-10 회전 가능한 그리드를 구비한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60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64590A (zh) * 2016-01-21 2016-05-11 上海船舶研究设计院 一种船底吸入格栅的优化结构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1029A (ko) * 1998-02-18 2001-05-15 버그 도날드 이. 박용 추진기
KR20100076217A (ko) 2008-12-26 2010-07-0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바우 스러스터 입구의 저항 저감을 위한 블라인드형 도어
KR20110002737U (ko) * 2009-09-11 2011-03-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스러스터 그리드를 이용한 스러스터 터널 개폐장치
KR101707408B1 (ko) * 2010-08-12 2017-02-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트러스터 그리드 설치 구조
KR101302031B1 (ko) * 2011-10-17 2013-09-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터널 스러스터를 구비하는 선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1835A (ko) 2015-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64385B2 (ja) 船舶用の複合ノズル・ベンチュリ・システム
KR101641882B1 (ko) 보호망을 구비한 코트 노즐 프로펠러
CN101559828B (zh) 翼舵
JP2011098711A (ja) 船用推進システム
KR101636044B1 (ko) 회전 가능한 그리드를 구비한 선박
JP6132295B2 (ja) 船舶
JP6265565B2 (ja) 舵構造と船の製作方法
KR101672249B1 (ko) 그리드의 회전각이 제어되는 선박
KR101431497B1 (ko) 선박
KR102095421B1 (ko) 아지무스 스러스터
KR101616414B1 (ko) 스러스터를 구비하는 선박
US8881666B2 (en) Ship
JP7169766B2 (ja) スケグ船
KR101430161B1 (ko) 터널 스러스터
KR102573657B1 (ko) 터널 스러스터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EP2692628A1 (en) Ship with a propeller and a rudder mounted in a recess, whereby the rudder is oriented towards the bow
KR20180048769A (ko) 선미 덕트를 가진 선미 형상 및 선박
JP7054501B2 (ja) カヌー
CN101962071B (zh) 船舶的喷嘴螺旋桨
JP2007230509A (ja) ポッド推進器及びそれを備えた船舶
ES2797734T3 (es) Sistema y método para reducir el arrastre de embarcación
KR20140131768A (ko) 선박용 방향타
KR101111618B1 (ko) 호버 그래프트 방식의 모터보트
KR20220001689A (ko) 바우 스러스터용 커버 장치
JP2020185810A (ja) 舵及びこれを備えた船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