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6414B1 - 스러스터를 구비하는 선박 - Google Patents

스러스터를 구비하는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6414B1
KR101616414B1 KR1020140075707A KR20140075707A KR101616414B1 KR 101616414 B1 KR101616414 B1 KR 101616414B1 KR 1020140075707 A KR1020140075707 A KR 1020140075707A KR 20140075707 A KR20140075707 A KR 20140075707A KR 101616414 B1 KR101616414 B1 KR 1016164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uster
hull
cover unit
fluid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5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5569A (ko
Inventor
김세훈
송윤영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5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6414B1/ko
Publication of KR20150145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55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6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6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42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propulsive elements; 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propellers used therefor only; 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rudders carrying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63B13/02Ports for passing water through vessels' sides

Abstract

스러스터를 구비하는 선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러스터를 구비하는 선박은, 관통중공이 형성되는 선체; 선체에 형성된 관통중공에 설치되는 스러스터(Thruster); 및 선체에 결합되며, 스러스터의 작동여부에 따른 유체유동에 의해 개폐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스러스터커버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러스터를 구비하는 선박{SHIP HAVING THRUSTERS}
본 발명은, 스러스터를 구비하는 선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체의 유동에 의해 개폐되는 스러스터커버유닛을 통해 별도의 동력원없이 스러스터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스러스터를 구비하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안벽에 접안하거나, 수리를 위하여 도크(dock)에 진입하는 경우에 안벽 또는 도크와 평행을 이루도록 선체를 미세하게 조향시킬 필요가 있으며, 시추선 등과 같은 특수 선박, 부유식 해양 구조물 또한 정교한 위치를 유지, 이동하기 위해서 선체를 미세하게 조향시킬 필요가 있다.
여기서, 해상의 정확한 지점에서 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 시추선이나 굴착선 등과 같은 선박의 경우에는 계류할 때, 외력, 즉 물의 저항에 대항하여 선체를 미세하게 조향하면서 원하는 범위에서 위치 제어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사용되는 것이 스러스터(Thruster) 장치이며, 스러스터 장치는 일반적으로 선미 또는 선수측에 설치되고, 수평으로 관통되는 관통중공에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한 프로펠러를 설치하여, 관통중공으로 유입된 물을 이동하고자 하는 반대측으로 배출시키면서 선박의 위치를 미세조정하게 된다.
여기서, 스러스터를 설치하기 위해 선체에 중공을 형성하게 되면 선박 운항시 저항을 유발하게 되므로 에너지효율이 감소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종래에는 동력원에 의해 구동되는 커버를 설치하여 스러스터가 설치되는 관통중공을 폐쇄하도록 마련되었었다.
하지만, 스러스터를 개폐하기 위한 커버를 작동하기 위해 별도의 동력원이 설치되어야 하므로 설치비용이 증가하고, 동력원의 구동을 위한 에너지소비에 의해 에너지효율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공개번호:제10-2010-0010353호(공개일자:2010년02월01일)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유체의 유동에 의해 개폐되는 스러스터커버유닛을 통해 별도의 동력원없이 스러스터의 개폐가 가능하며, 이에 의해, 동력원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비용이 감소되고, 선박에서의 저항감소를 통해 에너지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스러스터를 구비하는 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관통중공이 형성되는 선체; 상기 선체에 형성된 상기 관통중공에 설치되는 스러스터(Thruster); 및 상기 선체에 결합되며, 상기 스러스터의 작동여부에 따른 유체의 유동에 의해 개폐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스러스터커버유닛을 포함하는, 스러스터를 구비하는 선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러스터 작동시 발생되는 유체의 유동에 의해 상기 스러스터커버유닛이 상기 관통중공을 개방하며, 상기 선체의 구동시 발생되는 유체의 유동에 의해 상기 스러스터커버유닛이 상기 관통중공을 폐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선체에 설치되며, 상기 스러스터커버유닛이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러스터커버유닛은,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축; 및 상기 힌지축에 결합되며, 상기 힌지축의 회동에 연동되어 회동하는 커버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힌지축은 유체의 유동방향에 교차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축의 회동각도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선체에 결합되어 상기 힌지축에 접촉되는 회동각도제한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힌지축에는, 상기 회동각도제한유닛에 접촉될 수 있는 접촉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러스터와 상기 스러스터커버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선체에 결합되는 망 구조의 보호그리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유체의 유동에 의해 개폐되는 스러스터커버유닛을 통해 별도의 동력원없이 스러스터의 개폐가 가능하며, 이에 의해, 동력원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비용이 감소되고, 선박에서의 저항감소를 통해 에너지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러스터를 구비하는 선박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러스터를 구비하는 선박에서 스러스터커버유닛이 유동에 의해 개방된 측면사시도와 정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러스터를 구비하는 선박에서 스러스터커버유닛이 유동에 의해 폐쇄되고 있는 측면사시도와 정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러스터를 구비하는 선박에서 스러스터커버유닛이 폐쇄된 측면사시도와 정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러스터를 구비하는 선박에서 스러스터커버유닛의 개폐과정을 상측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일측'과 '타측'의 용어는 특정된 측면을 의미할 수도 있고, 또는, 특정된 측면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측면 중 임의의 측면을 일측이라 지칭하면, 이에 대응되는 다른 측면을 타측이라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결합' 또는 '연결'이라는 용어는, 하나의 부재와 다른 부재가 직접 결합되거나,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의 부재가 이음부재를 통해 다른 부재에 간접적으로 결합되거나,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러스터를 구비하는 선박(100)은, 관통중공(210)이 형성되는 선체(200)와, 선체(200)에 형성된 관통중공(210)에 설치되는 스러스터(Thruster,300)와, 선체(200)에 결합되며, 스러스터(300)의 작동여부에 따른 유체유동에 의해 개폐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스러스터커버유닛(400)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러스터를 구비하는 선박(100)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선박(100)은, 상선, 군함, 어선, 운반선, 드릴쉽, 크루즈선 및 특수 작업선 등과 같이 자항능력을 가지고 사람이나 화물을 이송시키는 선박(100)을 모두 포함하며, 또한, 부유식 생산저장설비(FPSO : 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 부유식 원유 저장 설비(FSU : Floating Storage Unit) 등 화물을 저장 및 하역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다양한 선박(100)은, 선체(200)를 미세하게 조향하여 원하는 범위에서 위치를 제어할 수 있는 스러스터(300)가 구비된다.
즉, 도 1을 참조하면, 선체(200)의 선수 또는 선미측에는 관통중공(210)이 형성될 수 있는데, 관통중공(210) 내부에는 정회전과 역회전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프로펠러(310)를 포함하는 스러스터(300)가 설치된다.
여기서, 스러스터(300)에 포함된 프로펠러(310)의 회전에 의해 관통중공(210)의 일측으로 유체가 유입된 후 관통중공(210)의 타측으로 유체가 유출되며, 이에 의해, 선박(100)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키면서 선박(100)의 위치를 미세조정하게 된다.
즉, 선박(100)의 선미로부터 선수측으로 바라본 상태를 기준으로 좌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관통중공(210)의 우측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유체를 유출하게 되며, 선박(100)의 선미로부터 선수측으로 바라본 상태를 기준으로 우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관통중공(210)의 좌측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유체를 유출하게 된다.
다만, 선박(100)이 위치의 미세조정을 하는 것이 아니라 운항 등을 시작하는 경우, 즉, 선박(100)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전방을 향해 전진하는 경우, 관통중공(210)이 개방되어 있다면 관통중공(210)측으로 유체가 유동하면서 관통중공(210)에서 유체저항이 발생된다.
여기서, 관통중공(210)측으로 유동하는 유체에 의해 발생되는 유체저항의 경우, 선박(100)의 관점에서 선속을 감소시키고 에너지효율을 감소시키는 요인이므로, 선박(100)이 전진하는 경우에는 관통중공(210)을 폐쇄하는 것이 에너지측면에서 유리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러스터를 구비하는 선박(100)은, 유체의 유동에 의해 별도의 동력원없이 스러스터(300)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바, 이하,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러스터를 구비하는 선박(100)에서 스러스터커버유닛(400)이 유동에 의해 개방된 측면사시도와 정면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러스터를 구비하는 선박(100)에서 스러스터커버유닛(400)이 유동에 의해 폐쇄되고 있는 측면사시도와 정면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러스터를 구비하는 선박(100)에서 스러스터커버유닛(400)이 폐쇄된 측면사시도와 정면도이고,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러스터를 구비하는 선박(100)에서 스러스터커버유닛(400)의 개폐과정을 상측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스러스터커버유닛(400)은 선체(200)에 결합되며, 스러스터(300)의 작동여부에 따른 유체의 유동에 의해 개폐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즉, 선박(100)이 운항 등에 의해 전진하게 되면 유체에 의한 저항 감소를 위해 스러스터(300)가 설치되는 관통중공(210)이 스러스터커버유닛(400)에 의해 폐쇄되고, 선박(100)의 접안 등 선박(100) 위치의 미세조정시에는 스러스터(300)의 작동에 의해 스러스터커버유닛(400)이 회동하여 관통중공(210)이 개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스러스터(300)가 작동하는 경우 관통중공(210)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유체가 유동(도 2(a)의 화살표 A 참조)하게 되는데, 이러한 유체의 유동에 의해 스러스터커버유닛(400)이 관통중공(210)을 개방하게 된다.
다만,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측면과 대향되는 측면에 마련되어 있는 스러스터커버유닛(400)은, 관통중공(210)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유동하는 유체에 의해 스러스터커버유닛(400)이 관통중공(210)을 개방하게 된다.
이에 대해 도 5(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스러스터(300)의 프로펠러(310)가 일측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유체의 유동은 도 5(a)를 기준으로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유동하게 된다(화살표 C 참조).
이때, 도 5(a)에서 상측에 마련되어 있는 스러스터커버유닛(400a)의 경우 관통중공(210)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유동하는 유체에 부딪혀 상측방향을 향하도록 개방된다.
그리고, 도 5(a)에서 하측에 마련되어 있는 스러스터커버유닛(400b)의 경우 관통중공(210)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유동하는 유체에 부딪혀 상측방향을 향하도록 개방된다.
한편, 도 5(c)를 참조하면, 스러스터(300)의 프로펠러(310)가 도 5(a)의 일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유체의 유동은 도 5(C)를 기준으로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유동하게 된다(화살표 E 참조).
이때, 도 5(c)에서 하측에 마련되어 있는 스러스터커버유닛(400f)의 경우 관통중공(210)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유동하는 유체에 부딪혀 하측방향을 향하도록 개방된다.
그리고, 도 5(c)에서 상측에 마련되어 있는 스러스터커버유닛(400e)의 경우 관통중공(210)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유동하는 유체에 부딪혀 하측방향을 향하도록 개방된다.
이에 의해, 스러스터커버유닛(400)이 개방되면, 스러스터(300)가 선박(100)의 위치를 미세조정할 수 있게 된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선체(200)가 구동하는 경우, 즉, 선체(200)가 전진하는 경우, 선체(200)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유체가 유동(도 3(a)의 화살표 B 참조)하게 되며, 이에 의해, 스러스터커버유닛(400)이 관통중공(210)을 폐쇄하게 된다(도 4(a) 및 도 4(b) 참조).
다만,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측면과 대향되는 측면에 마련되어 있는 스러스터커버유닛(400)은 관통중공(210)의 내부에 있는 유체의 유동에 의해 스러스터커버유닛(400)이 관통중공(210)을 폐쇄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해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선박(100)이 전진하는 경우 유체의 유동은 도 5(b)를 기준으로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유동하게 된다(화살표 D 참조).
이때, 도 5(b)에서 상측에 마련되어 있는 스러스터커버유닛(400c)의 경우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유동하는 유체에 부딪혀 관통중공(210)을 폐쇄하게 된다.
그리고, 도 5(b)에서 하측에 마련되어 있는 스러스터커버유닛(400d)의 경우, 도 5(b)의 상측에 마련되어 있는 스러스터커버유닛(400c)이 폐쇄되는 것에 의해 관통중공(210) 내부의 유체가 도 5(b)의 하측에 마련되어 있는 스러스터커버유닛(400d)측으로 이동하면서 하측의 스러스터커버유닛(400d)에 부딪히게 되며, 이에 의해, 하측의 스러스터커버유닛(400d)이 관통중공(210)을 폐쇄하게 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지지프레임(500)은 선체(200)에 설치되며, 스러스터커버유닛(400)이 결합되도록 마련된다. 즉, 지지프레임(500)은 관통중공(210)의 단부, 즉, 관통중공(210)의 입구와 출구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스러스터(300)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관통중공(210)으로 유체가 유입되는 측이 입구에 해당되며, 관통중공(210)으로부터 유체가 유출되는 측이 출구에 해당되는데, 스러스터(300)의 회전방향에 따라 입구와 출구가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프레임(500)에는 스러스터커버유닛(400)이 결합될 수 있는데, 스러스터커버유닛(400)이 지지프레임(500)에 결합된 후 지지프레임(500)에 의해 지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스러스터커버유닛(400)은 힌지축(410)과, 커버플레이트(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힌지축(410)은 지지프레임(5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힌지축(410)이 지지프레임(500)에 결합된 후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그리고, 힌지축(410)에 결합되는 커버플레이트(420)가 힌지축(410)의 회동에 연동되어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러스터(300) 작동시 또는 선체(200)의 구동시 유체의 유동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렇게 유동하는 유체가 커버플레이트(420)에 부딪히게 되면 힌지축(410)에 결합되어 있는 커버플레이트(42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힌지축(410)에 결합되어 있는 커버플레이트(420)가 유동하는 유체에 용이하게 부딪힐 수 있도록 힌지축(410)은 유체의 유동방향에 교차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힌지축(410)은 선체(200)의 운항시의 유체의 유동방향과 수직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또는, 흘수와 선속을 고려하여 소정 범위의 각도가 형성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커버플레이트(420)는 복수의 단위커버플레이트가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관통중공(210)의 단부, 즉, 관통중공(210)의 입구와 출구가 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복수의 단위커버플레이트 각각은 크기와 형상이 상호 상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플레이트(420)가 복수의 단위커버플레이트로 분할되어 설치되는 경우, 유체의 유동에 따른 단위커버플레이트의 회동 조절이 용이해지며, 이에 의해, 관통중공(210)에서의 저항감소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회동각도제한유닛(600)은 힌지축(410)의 회동각도를 제한하기 위해, 선체(200)에 결합되어 힌지축(410)에 접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회동각도제한유닛(600)이 없다면 힌지축(410)은 360°이상 회전이 가능하므로, 힌지축(410)에 결합되어 있는 커버플레이트(420) 역시 360°이상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플레이트(420)가 과도하게 회전하게 되면 선체(200)에 부딪혀 파손이 발생될 수 있고, 또한, 예상범위를 초과한 회전에 의해 회동의 조절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회동각도제한유닛(600)이 선체(200)에 결합되며, 회동각도제한유닛(600)이 힌지축(410)에 형성되어 있는 접촉돌기(411)에 접촉하여 힌지축(410)이 과도하게 회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도 5(a) 및 도 5(c)를 참조하면, 회동각도제한유닛(600)은 커버플레이트(420)가 상측으로 90°까지 회동하도록 제한할 수 있고, 또한, 커버플레이트(420)가 하측으로 90°까지 회동하도록 제한할 수 있다.
즉, 커버플레이트(420)가 상측으로 90°까지 회동하게 되면, 접촉돌기(411a)가 회동각도제한유닛(600)에 접촉(도 5(a) 참조)되어 더이상 회동할 수 없게 되며, 커버플레이트(420)가 하측으로 90°까지 회동하게 되면, 접촉돌기(411b)가 회동각도제한유닛(600)에 접촉(도 5(c) 참조)되어 더이상 회동할 수 없게 된다.
다만, 회동각도제한유닛(600)에 의한 커버플레이트(420)의 회동각도의 제한정도는 상기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각도까지 회동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보호그리드(700)는 스러스터(300)와 스러스터커버유닛(400) 사이에 배치되어 선체(20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보호그리드(700)는 관통중공(210)에서 스러스터커버유닛(400)의 내측에 배치되며, 망 구조로 형성되어 스러스터(300)를 보호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보호그리드(700)는 관통중공(210)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고, 또는, 급속한 유체의 유동을 방지하여 저항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러스터를 구비하는 선박(100)과 관련하여, 유체의 유동에 의해 개폐되는 스러스터커버유닛(400)을 통해 별도의 동력원없이 스러스터(300)의 개폐가 가능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선박(100)의 접안 등의 경우 스러스터(300)가 작동하게 되는데, 여기서, 스러스터(300)에 구비된 프로펠러(310)의 회전에 의해 유체가 관통중공(210)의 입구로 유입된 후 출구로 유출(도 2(a)의 화살표 A 참조)된다.
이렇게 관통중공(210)의 출구로 유출되는 유체가 스러스터커버유닛(400)의 커버플레이트(420)에 부딪히게 되면, 힌지축(410)에 결합되어 있는 커버플레이트(420)가 회동하여 관통중공(210)이 개방된다.
여기서, 도 5(a)를 참조하면, 스러스터(300)에 구비된 프로펠러(310)의 회전에 의해 유체가 화살표 C방향으로 유동하는 경우, 입구측과 출구측 모두에서 스러스터커버유닛(400a, 400b)가 상측을 향하도록 회동하여 관통중공(210)이 개방된다.
그리고, 도 5(c)를 참조하면, 스러스터(300)에 구비된 프로펠러(310)의 회전에 의해 유체가 화살표 E방향으로 유동하는 경우, 입구측과 출구측 모두에서 스러스터커버유닛(400e, 400f)가 하측을 향하도록 회동하여 관통중공(210)이 개방된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선박(100)이 운항 등에 의해 전진하는 경우 선박(100)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유동하는 유체(도 3(a)의 화살표 B 참조)가 스러스터커버유닛(400)의 커버플레이트(420)에 부딪하면서 커버플레이트(420)가 관통중공(210)을 폐쇄(도 4(a) 및 도 4(b) 참조)하도록 회동하게 된다.
여기서, 도 5(b)를 참조하면, 유체가 선박(100)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유동(화살표 D 참조)하는 경우, 스러스터커버유닛(400c, 400d)이 유체에 부딪혀 회동하게 되며, 관통중공(210)이 스러스터커버유닛(400c, 400d)에 의해 폐쇄된다.
이에 의해, 별도의 동력원없이 유체의 유동에 의해 스러스터의 개폐가 가능하며, 이로부터, 동력원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비용이 감소되고, 선박에서의 저항감소를 통해 에너지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선박 200 : 선체
210 : 관통중공 300 : 스러스터
310 : 프로펠러 400 : 스러스터커버유닛
410 : 힌지축 411 : 접촉돌기
420 : 커버플레이트 500 : 지지프레임
600 : 회동각도제한유닛 700 : 보호그리드

Claims (8)

  1. 관통중공이 형성되는 선체;
    상기 선체에 형성된 상기 관통중공에 설치되는 스러스터(Thruster);
    상기 선체에 결합되며, 상기 스러스터의 작동여부에 따른 유체의 유동에 의해 개폐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스러스터커버유닛; 및
    상기 선체에 설치되며, 상기 스러스터커버유닛이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스러스터커버유닛은,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축; 및
    상기 힌지축에 결합되며, 상기 힌지축의 회동에 연동되어 회동하는 커버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선체에는, 상기 힌지축의 회동각도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힌지축에 접촉되는 회동각도제한유닛이 마련되며,
    상기 힌지축에는, 상기 회동각도제한유닛에 접촉될 수 있는 접촉돌기가 형성되는, 스러스터를 구비하는 선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러스터 작동시 발생되는 유체의 유동에 의해 상기 스러스터커버유닛이 상기 관통중공을 개방하며, 상기 선체의 구동시 발생되는 유체의 유동에 의해 상기 스러스터커버유닛이 상기 관통중공을 폐쇄하도록 마련되는, 스러스터를 구비하는 선박.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은 유체의 유동방향에 교차하도록 설치되는, 스러스터를 구비하는 선박.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러스터와 상기 스러스터커버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선체에 결합되는 망 구조의 보호그리드를 더 포함하는, 스러스터를 구비하는 선박.
KR1020140075707A 2014-06-20 2014-06-20 스러스터를 구비하는 선박 KR101616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707A KR101616414B1 (ko) 2014-06-20 2014-06-20 스러스터를 구비하는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707A KR101616414B1 (ko) 2014-06-20 2014-06-20 스러스터를 구비하는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5569A KR20150145569A (ko) 2015-12-30
KR101616414B1 true KR101616414B1 (ko) 2016-04-28

Family

ID=55087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5707A KR101616414B1 (ko) 2014-06-20 2014-06-20 스러스터를 구비하는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64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O343833B1 (en) * 2017-06-06 2019-06-17 Nsh Solutions As Cover for thruster tunnels or similar openings in a ship hull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92675B2 (ja) * 1996-12-26 2003-03-3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船舶用サイドスラスタ蓋の異物噛込安全方法
KR20100010353A (ko) 2008-07-22 2010-02-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사이드 스러스터 개폐 장치 및 이를 가지는 선박
KR20100003165U (ko) * 2008-09-11 2010-03-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사이드 트러스트
KR20110002737U (ko) * 2009-09-11 2011-03-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스러스터 그리드를 이용한 스러스터 터널 개폐장치
KR101413178B1 (ko) * 2012-07-18 2014-06-27 주식회사 팬직 풍압에 의해 구동되는 셔터를 구비하는 송풍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5569A (ko) 2015-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92846B (zh) 侧推器减阻降噪装置
JP5563103B2 (ja) ムーンプールにおける流動抵抗を軽減するための装置
KR101216919B1 (ko) 코트 노즐
EP2658775B1 (en) A retractable thruster unit for a marine vessel
KR101641882B1 (ko) 보호망을 구비한 코트 노즐 프로펠러
KR20110002737U (ko) 스러스터 그리드를 이용한 스러스터 터널 개폐장치
KR101616414B1 (ko) 스러스터를 구비하는 선박
CN201874400U (zh) 船舰侧推器封盖
JP2011218959A (ja) バウスラスターを備えた船舶、及びこの船舶の航行方法と改修方法
KR101475019B1 (ko) 애지머스 스러스터를 구비하는 선박
KR101302031B1 (ko) 터널 스러스터를 구비하는 선박
KR20160022537A (ko) 폴더블 스러스트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부유식 해양구조물
JP2010120396A (ja) スラスタトンネル開閉装置
KR101616992B1 (ko) 프로펠러 캐비테이션 유기 기진력 저감형 선박
CN201907645U (zh) 侧推器减阻降噪装置
KR102573657B1 (ko) 터널 스러스터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1636044B1 (ko) 회전 가능한 그리드를 구비한 선박
KR101741831B1 (ko) 선박
KR20130002924U (ko) 회전식 개폐막을 구비한 선수 쓰러스터
KR101444144B1 (ko) 기진력 저감형 선박
JP2007230509A (ja) ポッド推進器及びそれを備えた船舶
KR101792490B1 (ko) 문풀 저항 감소장치
KR20140006031U (ko) 선박용 가변식 스러스터
KR20220001689A (ko) 바우 스러스터용 커버 장치
KR101672249B1 (ko) 그리드의 회전각이 제어되는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