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6919B1 - 코트 노즐 - Google Patents

코트 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6919B1
KR101216919B1 KR1020080017176A KR20080017176A KR101216919B1 KR 101216919 B1 KR101216919 B1 KR 101216919B1 KR 1020080017176 A KR1020080017176 A KR 1020080017176A KR 20080017176 A KR20080017176 A KR 20080017176A KR 101216919 B1 KR101216919 B1 KR 101216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coat nozzle
coat
opening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7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0915A (ko
Inventor
마티아스 클루게
Original Assignee
베커 마린 시스템즈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커 마린 시스템즈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filed Critical 베커 마린 시스템즈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ublication of KR20090050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0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6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6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16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in recesses; with stationary water-guiding elements; Means to prevent fouling of the propeller, e.g. guards, cages 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14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in non-rotating ducts or rings, e.g. adjustable for steering purpo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42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propulsive elements; 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propellers used therefor only; 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rudders carrying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46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jets or by rudders carrying jets

Abstract

선박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한 각위치에서도 재순환 또는 선회 발생이 감소되거나 이를 피할 수 있고 가능한한 전체적으로 균일한 흐름 패턴이 조정될 수 있는 코트 노즐, 특히 선박의 방향타 축선 주위로 회가능한 코트 노즐을 나타내기 위해, 상기 코트 노즐의 벽에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제공된다.
방향타, 개구, 프로펠러, 선회각,

Description

코트 노즐{KORT NOZZLE}
본 발명은 코트 노즐(kort nozzle)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선박의 방향타 축선의 주위로 회전가능한 코트 노즐에 관한 것이다.
코트 노즐은 선박의 프로펠러가 배치되는, 원추형으로 경사진 튜브이다. 상기 튜브는 코트 노즐의 벽을 형성한다. 선박의 선미를 향한 튜브의 경사로 인해, 출력을 증가할 필요 없이 코트 노즐은 선박에 부가의 트러스트를 전달할 수 있다. 코트 노즐의 특성을 개선시키는 추진력 이외에, 거친 바다에 의한 피칭(pitching)이 감소되므로, 바다 난류에 의해 속도 손실이 감소되고 방향 안정성이 개선될 수 있다. 코트 노즐의 고유저항은 선박 속도의 증가에 따라 2차 함수와 같은 형태로 증가하기 때문에, 그 장점은 프로펠러 추력이 큰 저속 선박(예를 들어 예인선, 어선)에 특히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서 "코트 노즐의 높이"는 코트 노즐의 수직 직경을 "코트 노즐의 길이"는 코트 노즐의 원통 형상의 노즐 길이를 의미한다.
선박의 제어를 위해 통상적으로 방향타가 흐름 방향으로 배치되는 고정형 코트 노즐 이외에, 수직방향인 선박의 방향타 축선 주위로 코트 노즐이 회전가능한 "코트 방향타 노즐"이 있다. 이를 위하여, 회전가능한 위치조정을 위해 그 벽의 외측에서 코트 노즐의 상부측 및 하부측에는 베어링이 제공된다. 이와는 달리, 프로 펠러는 아직 고정되어 있으므로, 코트 노즐은 프로펠러 주위로 회전할 수 있다. 빈번하게도, 코트 노즐은 방향타 포스트에 연결되어, 방향타 힐(heel)에 배치된다. 이것은 통상적으로 회전축선 주위로 또는 방향타 축선에 대해 양측으로 약 30°내지 35°로 선회가능하다. 따라서, 코트 노즐은 추진 개선수단 및 방향타의 조합이 되는데, 그 이유는 선박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 각도를 이루는 프로펠러 제트의 왕복운동에 의해 방향타 효과가 달성되기 때문이다. 왕복운동된 방향타 노즐을 위하여, 선박의 선미는 반작용 제트 추진력에 의해 가압된다.
도5는 본 기술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고정형 프로펠러가 배치된 선박의 방향타 축선 주위로 회전가능하게 배치된 코트 노즐(200)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코트 노즐(200)은 선박(도시않음)의 고정형 선박 프로펠러(210) 주위에 배치된다. 코트 노즐은 선박의 길이방향 축선(220) 주위로 약 30°의 각도(α) 아래로 피봇된다. 화살표(221)는 바닷물 또는 염수의 흐름 방향을 나타낸다. 고정된 플랩(230)은 코트 노즐(200)의 프로펠러의 후방에서 흐름 방향으로 제공되며, 이를 통해 코트 방향타 노즐의 유체 유동은 가이드 되어 유동 특성이 향상된다. 감소된 벽 두께로 인해, 입구 영역[코트 노즐(200)를 통과하는 흐름 방향에 대해](201)은 코트 노즐(200)의 나머지 영역에 대해 넓게 형성된다. 이것은 입구 영역의 내경이 코트 노즐(200)의 나머지 영역의 내경 보다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코트 노즐(200)을 통한 물 흐름은 증가되어, 코트 노즐의 추진 효율을 높인다.
본 출원인의 종합적인 연산, 테스트 및 시뮬레이션에 따르면, 종래 코트 노즐의 비틀림 각도에 대해 선회 또는 재순환은 프로펠러의 바로 후방에 영역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재순환 또는 선회는 코트 노즐의 파워에 악영향을 끼친다. 재순환 또는 선회는 코트 노즐이 회전하는 프로펠러의 측부 영역에서 특히 프로펠러 바로 뒤에서 전개된다. 재순환으로 인해, 이를 통과한 물의 흐름율은 상기 영역에서는 상당히 감소되므로, 코트 노즐의 구동력이 감소된다. 재순환은 오직 국부적으로 한정된 측부 영역에만 발생되고 또한 흐름은 통상적으로 다른 영역에서 층류로 작동되기 때문에, 선박의 선체로 전달될 수 있는 또한 불리한 효과를 갖는 상당한 진동이 조정된다. 이하, 도6a 및 도6b를 참조하여 이러한 문제에 대해 서술하기로 한다.
도6a는 본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절단형 코트 노즐(200)의 개략적인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6a 및 도6b의 화살표는 흐름의 경로를 구성한다. 선박 프로펠러(210)는 간단명료함을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이러한 코트 노즐(200)에서는 도5의 코트 노즐과는 달리 가동형의 또는 선회가능한 플랩(231)이 프로펠러(210)의 후방에서 흐름 방향으로 배치된다. 코트 노즐(200)은 선박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 약 15°의 각도로 선회한다. 코트 노즐(200)의 벽의 후방 부분(202a)은 흐름 방향에 대해, 즉 프로펠러(210)에 대해 회전하며; 벽의 대향 부분(202b)은 흐름 방향에 대해 회전한다.
도6a에 도시된 코트 노즐(200)의 하부 영역은 도6b에 확대되어 도시되어 있다. 프로펠러(210)에 대해 또는 선박의 길이방향 축선(220)에 대한 코트 노즐(200)의 각위치로 인하여, 흐름의 선회 또는 재순환이 프로펠러(210)의 바로 후방에서 흐름 방향으로 외측 엣지 영역에 형성된다. 이러한 재순환으로 인해, 주- 흐름 방향(2210)에서의 평균 흐름율은 국부적인 영역에서 최소한으로 감소된다. 이러한 영역에서의 측정 및 시뮬레이션에 따르면 주-흐름 방향(221)에서 평균 흐름율은 0.2 내지 2 m/s 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평균 흐름율은 플랩(231)과 벽 영역(202b) 사이의 영역에서 12 내지 16 m/s의 범위에 속한다.
벽(202a)을 따른 외측에서 층류로 흐르는 물은 코트 노즐 단부 영역(203)의 벽의 둥근 엣지 주위에서 내측으로 흘러 주-흐름 방향(221)으로 도시된 프로펠러(210)에 의해 생성된 흐름을 타격한다. 외측 흐름의 일부는 주-흐름 방향(221)에 대해 내측으로 지향되어, 벽(202)의 내측에서 주-흐름 방향(221)에 대해 프로펠러(210)의 후방 영역으로 흐르고, 이로부터 다시 프로펠러(210)를 통해 역류된다. 따라서, 흐름의 국부적 순환 또는 재순환이 형성되고, 이러한 영역에서 주-흐름 방향(221)의 평균 흐름율은 제로에 가깝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단점이 발생된다.
상술의 종래 기술로부터, 본 발명의 목적은 선박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한 각위치에서 재순환 또는 선회의 발생이 감소되거나 이를 피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균일한 흐름 패턴을 갖는 코트 노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범위 제1항의 특징을 갖는 코트 노즐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요한 사상은 코트 노즐의 벽에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제공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내용에 있어서 개구는 기본적으로 코트 노즐의 벽에서 어떠한 형태라도 취할 수 있는 개구인 것으로 간주된다. 상기 개구는 전체 벽을 통해 연장되며, 이에 따라 내측 개방영역 및 외측 개방영역과 이러한 두 영역을 연결하는 중앙 영역으로 구성된다. 코트 노즐의 외측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통해 코트 노즐의 내부로 바닷물 또는 염수를 위한 흐름 연결부가 생성된다는 것이 중요하다.
코트 노즐의 벽은 정지된 선박 프로펠러를 둘러싸는 노즐 링에 의해 형성된다. 기본적으로, 코트 노즐의 벽의 그 어떤 위치라도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우현측 또는 좌현측에서 코트 노즐의 측부 영역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트 노즐의 선회 각도로 전개되는 재순환 또는 선회가 억제되거나 또는 상당히 감소되는 방식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는 벽에 제공되거나 배치되도록 형성된다는 것이 중요하다. 본 출원인의 테스트 결과에 따르면, 이러 한 개구로 인해 코트 노즐의 트러스트는 전형적으로 선회 또는 재순환이 20%까지 발생되는 측부 영역에서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선체로 전달되는 진동도 감소되었다. 적어도 하나의 개구로 인해, 층류 흐름이 외측으로부터 상기 선회 각도에서 선회가 전형적으로 발생되는 코트 노즐의 임계측 영역으로 도입된다. 이러한 층류는 주-흐름 방향에 대해 측부 영역에서 재순환 흐름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된다. 따라서, 트러스트와 작동 안정성 및 코트 노즐의 효율이 상당히 개선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는 종속항에 개시된 바를 특징으로 한다.
그 어떤 선회 방향으로의 선회 발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코트 노즐의 벽에 적어도 두개의 개구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개의 개구는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개의 개구는 코트 노즐의 측부 영역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는데, 그 이유는 종래의 코트 노즐에서는 가장 강력한 선회가 이러한 장소에서 전개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좌현측에 대한 선회뿐만 아니라 우현측에 대한 선회에 대해서는 선회 또는 재순환의 발생 위험이 감소된다.
코트 노즐의 높이에 대해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중앙 영역에 배치된다. 상기 중앙 영역은 코트 노즐 높이의 1/3 내지 2/3, 양호하기로는 2/5 내지 3/5의 범위에 속한다. 이와 같이, 소용돌이가 전형적으로 발생되는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통해 흐르는 층류 흐름은 최적의 효과를 전개할 수 있으며, 가능한한 선회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코트 노즐의 높이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개구의 중앙 배치를 제공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코트 노즐의 높이는 장착되었을 때 그 수직 연장부, 즉 그 수직 축선을 따라 또는 방향타 축선을 따라 코트 노즐의 대향의 벽 영역들 사이의 거리에 대응한다.
코트 노즐의 단면적은 코트 노즐의 전체 길이에 걸쳐 그 길이방향 연장부로 연장된다. 따라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두개의 중앙 영역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두개의 개구는 이러한 두개의 중앙 영역의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다. 또한, 이러한 적어도 두개의 개구는 코트 노즐의 길이방향으로 하나의 후방에 다른 하나가 배치되고 배치되며 및/또는 수직방향으로 하나 위에 다른 하나가 배치된다. 각각의 선회 각도뿐만 아니라 코트 노즐 및 프로펠러의 형태에 따라, 트러스트의 개선 및 코트 노즐의 조양한 작동 등과 같은 달성될 결과는 최적화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도, 적어도 두개의 개구가 두개의 중앙 영역에 제공되므로, 두개의 중앙 영역의 개구는 서로 대향하여 양호하게 배치된다.
코트 노즐의 길이에 대해, 즉 코트 노즐의 칫수에 대해,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 코트 노즐이 선박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 선회하지 않을 때, 적어도 하나의 개구는 길이의 1/3 내지 2/3, 양호하기로는 길이의 2/5 내지 3/5, 특히 양호하기로는 중간 영역에 배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개구의 효과는 이러한 측정에 의해서도 다시 최적화될 수 있다.
고정된 선박 프로펠러가 배치된 선회가능한 코트 노즐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개구는 그 내측 개방영역이 프로펠러에 인접하여 10°, 15°, 또는 20°의 선 회 각도로 배치되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전형적인 선회각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개구의 내측 개방영역으로부터 유입되며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코트 노즐내로 흐르는 층류는 선회 영역을 직접적으로 타격하는 것이 보장된다. 따라서, 층류는 재순환 흐름에 대해 직접 작용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개구에 대한 효과는 더욱 개선된다. 일부 경우에 있어서 예를 들어 25°또는 30°등의 선회각이 사용될 수 있다면, 적어도 하나의 개구의 배치가 자연스럽게 채택될 수 있다.
코트 노즐의 효율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개구의 효과에 대한 또 다른 최적화를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타원형 슬릿으로 형성할 것이 제공된다. 또한, 슬릿형 개구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수직으로 지향된 흐름 밴드는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코트 노즐내로 흐르므로, 통상적으로 선회가 전개되는 임계영역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끼친다. 또한, 이러한 개구는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생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벽을 통한 주-흐름 방향에 대해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비스듬히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개구의 중간선이 주-흐름 방향에 대해 또는 코트 노즐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 설정의 각도로 지향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외측 층류 흐름은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코트 노즐내로 흐르게 되며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통해서는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물이 흐르지 않을 것이 보장된다.
특히 코트 노즐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10°내지 60 °, 양호하기로는 20°내지 45°, 더욱 양호하기로는 30°내지 35°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도 표시는 코트 노즐의 길이방향 축선과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통해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의 중간선 사이의 각도를 언급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개구는 벽의 외측으로부터 또는 그 외측 개방영역으로부터 벽의 내측에 있는 내측 개방영역으로 경사져서 제공된다. 따라서, 외측으로부터 코트 노즐내로 흐르는 흐름의 속도가 증가되므로, 코트 노즐의 전체적인 효율과 난류 또는 재순환이 발생할 위험성이 더욱 감소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는 그 전체 연장부 위에서 일정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인입 엣지의 적어도 하나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의 방출 개구중 적어도 하나는 둥글게 형성된다. 흐름 방향에 있어서, 각각의 개구는 예를 들어 수직으로 지향된 슬릿형 개구를 위해 수직으로 지향된 두개의 인입 엣지와 수직으로 지향된 두개의 방출 엣지를 갖는다. 따라서, 흐름의 단절로 인해 인입 엣지 또는 방출 엣지상에서 불필요한 선회가 발생할 위험성이 감소되므로, 개구를 통해 코트 노즐로의 인입이 개선된다.
본 발명의 기타 다른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하기의 상이한 실시예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도면부호가 부여되 었다.
도1a는 선박의 선체(10)에 선회가능하게 배치된 코트 노즐(100)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선박의 선체(10)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해 부분적으로만 도시되었다. 코트 노즐은 베어링(12)에 의해 선체(10)에 연결되어, 방향타 축선(11) 주위로 회전가능하다. 방향타 축선(11)은 수직 축선에 대응한다. 코트 노즐(100)은 또 다른 베어링(도시않음)에 의해 그 하부 영역에서 선체에도 연결된다. 흐름 방향(13)을 고려하였을 때, 가동형 또는 제어가능한 플랩(14)은 코트 노즐(100)의 단부에서 흐른다. 코트 노즐(100)은 링형 벽(15)을 가지며, 이러한 링형 벽은 원추형으로 형성되고 흐름 방향(13)으로 경사져 있다. 개구(16)는 코트 노즐의 높이에 대해 벽(15)의 중앙 측부 영역(15a, 15b)에 각각 배치된다. 개구(16)는 높이에 대해 중간에도 배치된다. 코트 노즐(100)의 길이 방향에서 고려할 때, 개구(16)는 코트 노즐(100)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경사진 형태를 갖는다. 이들은 외측으로 내측으로 경사져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슬릿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개구(16)는 대략적으로 삽 형태의 외관을 갖는데, 그 이유는 개구(16)의 테이퍼로 인해 외측 개방영역(16a)이 내측 개방영역(16b) 보다 넓기 때문이다. 명확성을 기하기 위해 도1a에서는 프로펠러가 생략되었지만, 이러한 프로펠러는 장착시 코트 노즐(100)의 내부에 배치된다.
도1b는 도1a의 코트 노즐의 일부에 대한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특히, 도1b의 코트 노즐(100)의 벽은 개구(16)의 영역에서 절단된다. 개구(16)는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경사져서 흐름 방향으로 연장되고 내측으로 경사진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외측 개방영역(16a)은 내측 개방영역(16b) 보다 넓다. 개구(16)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두개의 인입 엣지(17a, 17b)중에서 후방 인입 엣지(17a)는 둥글며, 전방 인입 엣지(17b)는 예리하다. 동일한 방식으로, 후방 방출 엣지(18a)는 흐름 방향(13)으로 둥글며, 전방 방출 엣지(18b)는 예리하다. 또한, 상기 인입 엣지(17a, 17b) 및 방출 엣지(18a,18b)는 모두 둥글게 형성될수도 있고 인입 엣지(17a, 17b) 또는 방출 엣지(18a,18b)중 어느 하나가 둥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측부로부터 투시하였을 때, 개구의 외측 개방영역(16a) 및 내측 개방영역(16b)은 서로 중첩되며, 특히 서로에 대해 측방향으로 중첩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내측 개방영역(16b)은 코트 노즐(100)의 측부에 대해 개구(16)의 비스듬히 연장되는 측벽에 의해 또는 벽(15)에 의해 덮인다. 환언하면, 개구는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비스듬히 흐름 방향(13)으로 연장되는 슬릿형 채널로서 형성된다.
도2a는 본 발명에 따른 코트 노즐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2a에 있어서, 플랩(14)은 코트 노즐상에서 하부 플랩 베어링 뿐만 아니라 상부 방향타 베어링(12)에 지지되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두개의 개구(16)는 벽(15)의 중앙 영역(15a, 15b)에 각각 배치되며, 선박 길이방향으로 또는 코트 노즐의 길이방향으로 선박에서 하나뒤에 다른 하나가 배치된다. 도2a에 외측으로부터는 개구(16)의 외측 개방영역만 보이지만, 내측 개방영역은 덮여있다. 따라서, 개구(16)의 외측 및 내측 개방영역은 흐름 방향(13)으로 하나뒤에 다른 하나가 배치된다.
도2b는 코트 노즐(100)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개구(16)는 벽(15)의 중앙 영역(15a, 15b)에서 서로 대향하여 각각 배치됨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개구(16)는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흐름 방향(13)으로 비스듬이 연장된다. 개 구(16)는 각각 동일하게 몰딩되므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코트 노즐(1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수직방향으로 하나 위에 다른 하나가 배치되는 3개의 개구가 벽(15)의 각각의 중앙 영역(15a, 15b)에 제공된다. 개구(16)는 코트 노즐(100)의 길이방향에 대해 중간에 배치된다. 중앙 영역(15a, 15b)의 개구(16) 사이의 거리는 대략적으로 거의 동일하다.
도4는 프로펠러의 일부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코트 노즐(100)의 측부 영역의 흐름 패턴을 도시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도4는 도6b와 유사하며, 도6b와는 달리 개구(16)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코트 노즐이 사용된다. 도시된 화살표는 코트 노즐을 통해 흐르는 물의 흐름 경로를 간단히 도시한다. 인식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물은 외측으로부터 개구(16)를 통해 내측으로 흐른다. 개구(16)의 내측 개방영역(16b)을 통과하자마자, 최종적으로 코트 노즐(100)을 떠날 때까지 벽(15)의 내측을 따라 흐른다. 따라서, 흐름 방향(13)에 대해 프로펠러(20)의 외측과 코트 노즐(100)의 단부측 사이의 영역에서는 역순환 또는 선회가 형성되지 않는다. 이와는 달리, 전체적인 흐름은 코트 노즐(100)의 내부와 코트 노즐(100)의 엣지에서의 외부에서 층류로 흐른다.
도1a는 선박의 선체상에서 선회가능하게 배치된 대향하는 두개의 개구가 구비된 코트 노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1b는 도1a의 코트 노즐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2a는 수평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된 두개의 개구가 각각의 중앙 영역에 배치된 선박의 선체상에 선회가능하게 배치된 코트 노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2b는 도2a의 코트 노즐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3은 수직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된 3개의 개구가 각각의 중앙 영역에 배치된 선박의 선체상에 선회가능하게 배치된 코트 노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4는 유동선으로 도시된 개구를 갖는 코트 노즐의 일부에 대한 평면도.
도5는 도5는 고정형 프로펠러가 배치된 선박의 방향타 축선 주위로 회전가능하게 배치된 코트 노즐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6a는 본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절단형 코트 노즐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6b는 도6a에 도시된 코트 노즐의 하부 영역을 확대도시한 도면.

Claims (14)

  1. 선박의 방향타 축선(11) 주위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된 코트 노즐(100)에 있어서,
    상기 코트노즐은 상기 코트 노즐(100)의 벽(15)을 형성하며 프로펠러를 둘러싸는 노즐 링을 포함하며,
    상기 코트 노즐(100)의 벽(15)에는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적어도 두개의 개구(16)가 제공되며,
    상기 노즐 링은 원추형으로 테이퍼지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개구(16)는 내측 및 외측 개방 영역을 구비하고 주요 흐름 방향에 대하여 외측에서 내측으로 벽(15)을 통과하며 코트 노즐(100)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 10°내지 60°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되고, 코트 노즐(100)의 외부에서 코트 노즐 (100)의 내부로 흐름 연결부를 생성하며,
    상기 적어도 두개의 개구(16)는 각각의 전체가 코트 노즐(100)의 높이에 대해 중앙 영역(15a, 15b)에 놓여지고, 상기 중앙 영역(15a, 15b)은 코트 노즐 높이의 1/3 내지 2/3 범위에 속하며, 코트 노즐(100)의 다른 영역에는 다른 개구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트 노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코트 노즐(100)의 적어도 하나의 중앙 영역(15a, 15b)에는 개구(16)가 배치되고; 상기 개구(16)는 코트 노즐(100)의 길이방향으로 하나 뒤에 다른 하나가 배치되고, 코트 노즐(100)의 수직방향으로 하나위에 다른 하나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트 노즐.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개구(16)는 길이의 2/5 내지 3/5 의 영역에 대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트 노즐.
  7. 코트 노즐(100)이 선박의 방향타 축선(11) 주위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코트 노즐(100)에 선박의 고정된 프로펠러(20)가 배치되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코트 노즐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개구(16)는 프로펠러(20)에 인접한 내측 개방영역(16b)에 10°, 15°또는 20°의 선회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트 노즐.
  8.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개구(16)는 코트 노즐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타원형 슬릿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트 노즐.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개구(16)는 벽(15)의 외측으로부터 벽(15)의 내측으로 경사지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트 노즐.
  12.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개구(16)는 일정한 폭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트 노즐.
  13.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개구(16)의 인입 엣지(17a, 17b) 또는 방출 엣지(18a, 18b) 또는 인입 엣지(17a, 17b) 와 방출 엣지(18a, 18b) 모두가 둥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트 노즐.
  14. 제1항 또는 제5항에 따른 코트 노즐(100)은 선박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KR1020080017176A 2007-11-16 2008-02-26 코트 노즐 KR1012169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07016163.8 2007-11-16
DE202007016163U DE202007016163U1 (de) 2007-11-16 2007-11-16 Kortdü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0915A KR20090050915A (ko) 2009-05-20
KR101216919B1 true KR101216919B1 (ko) 2012-12-28

Family

ID=38973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7176A KR101216919B1 (ko) 2007-11-16 2008-02-26 코트 노즐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2) US20090130927A1 (ko)
EP (1) EP2060482B1 (ko)
JP (1) JP5184907B2 (ko)
KR (1) KR101216919B1 (ko)
CN (1) CN101434292B (ko)
AT (1) ATE555979T1 (ko)
DE (1) DE202007016163U1 (ko)
ES (1) ES2386467T3 (ko)
HK (1) HK1129640A1 (ko)
HR (1) HRP20120601T1 (ko)
PL (1) PL2060482T3 (ko)
SG (1) SG152959A1 (ko)
TW (1) TWI35679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02213A1 (de) * 2010-02-22 2011-10-06 Becker Marine Systems Gmbh & Co. Kg Drehbarer Düsenpropeller für Wasserfahrzeuge
DE102011053619A1 (de) * 2011-09-14 2013-03-14 Becker Marine Systems Gmbh & Co. Kg Propellerdüse für Wasserfahrzeuge
CN102501960A (zh) * 2011-11-15 2012-06-20 无锡德林船舶设备有限公司 导管舵传动装置
CN104554684B (zh) * 2015-01-06 2017-05-17 舟山欣臻船舶设计有限公司 一种多功能船用导流罩
DK3088295T3 (da) 2015-04-28 2019-09-23 Kongsberg Maritime CM AS Modulær fremdrivningsenhedsdyse
CN105240670B (zh) * 2015-11-13 2018-03-06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二六研究所 水下吊放装置的湿端结构
JP1575726S (ko) * 2016-10-31 2017-05-08
CN109050853B (zh) * 2018-08-10 2021-02-19 哈尔滨工程大学 一种船用可拆导管螺旋桨
JP7216531B2 (ja) * 2018-12-07 2023-02-01 株式会社ケイセブン 操舵装置
CN110040231A (zh) * 2019-05-13 2019-07-23 哈尔滨工程大学 一种用于船后螺旋桨的不对称导管
CN110282107A (zh) * 2019-07-02 2019-09-27 哈尔滨工程大学 一种可分离式船用导管螺旋桨
CN110949643A (zh) * 2019-11-25 2020-04-03 中国船舶工业集团公司第七0八研究所 一种带尾叶的舵桨装置
US11584492B1 (en) 2022-05-11 2023-02-21 John De Maria Directed thrust propulsion system
CN116573128B (zh) * 2023-07-14 2023-09-19 山东省水利科学研究院 一种船舶用具有防异物缠绕的螺旋桨推进机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54992A (ko) * 1974-06-04 1975-12-13
JPS5164295A (en) * 1974-10-18 1976-06-03 Nat Res Dev Dakuto puroperasochi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8558C (de) * H.DOCK in Philadelphia, V. St. A Neuerung an ummantelten Schrauben
US442615A (en) 1890-12-16 Marine propulsion
US2139594A (en) * 1936-02-08 1938-12-06 Kort Ludwig Combined propelling and steering device for screw propelled ships
GB502564A (en) * 1937-07-20 1939-03-20 Ludwig Kort Improvements in combined propelling and steering device for screw-propelled ships
GB1215136A (en) * 1967-02-20 1970-12-09 Kort Propulsion Co Ltd Improvements in nozzles or shrouds for ships' propellers
NO127962B (ko) * 1970-06-11 1973-09-10 Strommen Staal As
ES198772Y (es) * 1970-06-11 1975-11-16 Ans Strommen Staal Strommen-Raufoss Una disposicion de tobera de helice.
JPS4944495A (ko) * 1972-07-19 1974-04-26
US3899992A (en) * 1972-07-20 1975-08-19 Ronald George Fuller Marine steering device
JPS50103097A (ko) * 1974-01-24 1975-08-14
JPS51100593A (ja) * 1975-03-03 1976-09-04 Kawasaki Heavy Ind Ltd Senpakuyokakeishanozuru
JPS532899U (ko) * 1976-06-25 1978-01-12
JPS554935U (ko) * 1978-06-24 1980-01-12
JPS5836999U (ja) * 1981-09-04 1983-03-10 川崎重工業株式会社 分離型ダクト・プロペラ
CA1231274A (en) * 1983-12-09 1988-01-12 Leslie G. Church Ring propeller
US4637801A (en) * 1984-07-12 1987-01-20 William H. Flood Thrust enhancing propeller duct assembly for water craft
US4957459A (en) * 1989-08-23 1990-09-18 Brunswick Corporation Propeller shroud with load bearing structure
US6159062A (en) * 1997-04-24 2000-12-12 Taylor, Jr.; Guy High performance boat prop guard
US6475045B2 (en) * 2001-01-18 2002-11-05 Gregory C. Morrell Thrust enhancing propeller guard assembl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54992A (ko) * 1974-06-04 1975-12-13
JPS5164295A (en) * 1974-10-18 1976-06-03 Nat Res Dev Dakuto puroperasochi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120169A (ja) 2009-06-04
ATE555979T1 (de) 2012-05-15
TW200922837A (en) 2009-06-01
EP2060482B1 (de) 2012-05-02
DE202007016163U1 (de) 2008-01-24
ES2386467T3 (es) 2012-08-21
EP2060482A1 (de) 2009-05-20
KR20090050915A (ko) 2009-05-20
CN101434292B (zh) 2012-06-13
TWI356791B (en) 2012-01-21
US20100323566A1 (en) 2010-12-23
HRP20120601T1 (hr) 2012-08-31
US8246401B2 (en) 2012-08-21
US20090130927A1 (en) 2009-05-21
JP5184907B2 (ja) 2013-04-17
PL2060482T3 (pl) 2012-10-31
CN101434292A (zh) 2009-05-20
HK1129640A1 (en) 2009-12-04
SG152959A1 (en) 2009-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6919B1 (ko) 코트 노즐
US20130064652A1 (en) Propeller nozzle
KR101421319B1 (ko) 선박용 노즐 프로펠러
JP5808428B2 (ja) 船舶用の格納式スラスタユニット
KR102384493B1 (ko) 선미용 덕트, 선미용 부가물, 선미용 덕트의 설계 방법, 및 선미용 덕트를 장착한 선박
KR200395385Y1 (ko) 선박용 방향타
KR101641882B1 (ko) 보호망을 구비한 코트 노즐 프로펠러
KR20180026363A (ko) 선박
KR20110050337A (ko) 선박용 추진 시스템
JP2010095239A (ja) 船舶用の舵装置
JP3135924U (ja) 船体回動装置
US11981410B2 (en) Stern bulbs
US20230043247A1 (en) Stern bulbs
KR101616414B1 (ko) 스러스터를 구비하는 선박
NL1015629C2 (nl) Gekromd scheepsroer.
US20230202628A1 (en) Arrangement to reduce a propulsion power requirement of a watercraft
KR101006285B1 (ko) 리버스 혼 러더
US6224436B1 (en) Reverse gate for water jet apparatus
JP2007230509A (ja) ポッド推進器及びそれを備えた船舶
CA3210700A1 (en) Energy-saving arrangement for twin-screw ships
CN101962071B (zh) 船舶的喷嘴螺旋桨
JPH08192795A (ja) 水流案内部材付き舶用サイドスラスタ
KR102129140B1 (ko) 선박용 방향타
WO2018104420A1 (en) A method of and a device for reducing the azimuthal torque acting on a pulling pod unit or azimuth thruster
WO2018139937A1 (en) Rudde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