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3657B1 - 터널 스러스터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Google Patents

터널 스러스터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3657B1
KR102573657B1 KR1020180129060A KR20180129060A KR102573657B1 KR 102573657 B1 KR102573657 B1 KR 102573657B1 KR 1020180129060 A KR1020180129060 A KR 1020180129060A KR 20180129060 A KR20180129060 A KR 20180129060A KR 102573657 B1 KR102573657 B1 KR 102573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nel
opening
ship
seawater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9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7067A (ko
Inventor
고재우
Original Assignee
한화오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오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오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9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3657B1/ko
Publication of KR20200047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7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3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3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42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propulsive elements; 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propellers used therefor only; 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rudders carrying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6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with plugs having spherical surfaces; Packing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면을 기준으로 일부가 돌출된 터널을 형성하는 선박용 터널 스러스터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터널 스러스터 구조체는, 선박을 폭 방향으로 관통하되 수평면을 기준으로 일부 또는 전부가 돌출된 중심부를 포함하고 양 끝단이 상기 중심부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터널, 중심부에 설치되어 터널 내부의 해수를 선박의 좌현 또는 우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프로펠러, 터널의 양 끝단에 설치되어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부, 외부로부터 터널 내부로 해수를 유입시키기 위한 펌프 및 외부로부터 터널 내부로 해수가 이동하는 해수 공급 터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터널 스러스터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TUNNEL THRUSTER STRUCTURE AND VESSEL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수평면을 기준으로 일부가 돌출된 터널을 형성하는 선박용 터널 스러스터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터널 스러스터(tunnel thruster)는 선박에 형성된 터널 내에 설치되어 선박의 횡방향 이동을 조종 또는 보조하는 장치를 나타낸다.
터널 스러스터는 선박의 선수 또는 선미에서 주 추진기의 배치 방향과 다른 방향인 선박의 폭 방향으로 설치된다. 선박은 터널 스러스터를 이용하여 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주 추진기를 사용하지 않고 선박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선박은 터널 스러스터를 이용하여 횡방향 추진력을 발생시키고, 횡방향 추진력을 이용하여 접안 또는 이안을 용이하게 하며, 저속 운항 시에 방향타(rudder)와 함께 사용되어 선박의 조향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통상적인 터널 스러스터는 선박의 선수 또는 선미에서 직선 형태의 터널 내부에 프로펠러를 설치하고 이를 회전시켜 추진력을 발생시킨다.
선박이 위치하는 해상 상황에 따라서 파도나 수심 등의 영향으로 인하여 터널 스러스터 내부의 프로펠러에 충분한 양의 해수가 유입되지 못할 경우 프로펠러가 충분한 힘을 낼 수 없기 때문에 프로펠러가 해수에 충분히 잠길 수 있는 구성을 필요로 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0-086895호 (선박용 사이드 스러스터 장치, 1998.04.07.)
본 발명은 선박의 최대한 하부 방향에 터널 스러스터의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는 터널 스러스터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널 스러스터 구조체는, 선박을 폭 방향으로 관통하되, 수평면을 기준으로 일부 또는 전부가 돌출된 중심부를 포함하고 양 끝단이 상기 중심부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터널; 중심부에 설치되어 터널 내부의 해수를 선박의 좌현 또는 우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프로펠러; 터널의 양 끝단에 설치되어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부: 외부로부터 터널 내부로 해수를 유입시키기 위한 펌프; 및 외부로부터 터널 내부로 해수가 이동하는 해수 공급 터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널의 양 끝단은 수평면 보다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터널은, “ㅅ”자 형상을 구비하되 프로펠러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개폐부는, 개폐 방향 및 개폐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볼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박의 항해 조건에 기초하여 개구부가 개방되거나 차폐되도록 개폐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널은, 개구부 입구에 제1 각도를 갖도록 형성된 제1 모서리; 및 제1 모서리의 끝단에서부터 터널의 내부로 제2 각도를 갖도록 형성된 제2 모서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개폐부는, 굴곡을 갖는 선박의 외표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포함하여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은, 상기한 터널 스러스터 구조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선박의 구조적 제약을 극복하고 터널 스러스터의 개구부를 최대한 선박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설치하여 낮은 수심에서도 터널 스러스터의 가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프로펠러가 설치되는 터널의 중심부가 선체의 하부에서 비교적 상측에 위치하도록 구성하여 프로펠러의 유지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터널 스러스터의 개구부에 개폐부를 설치하여 터널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해수의 배출 방향을 제어할 수 있어서 횡방향 뿐만 아니라 종방향을 포함하는 다양한 방향으로 추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널 스러스터 구조체를 포함하는 선박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널 스러스터 구조체의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구부의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의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의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널의 개구부가 개방된 상태의 개폐부의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널의 개구부가 차폐된 상태의 개폐부의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 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실시 예들에 차이는 상호 배타적이지 않은 사항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널 스러스터 구조체를 포함하는 선박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선박(100)의 일측에 터널 스러스터 구조체(110, tunnel thruster structure)가 설치된다. 일 실시예로서, 선박(100)의 일측은 선수 또는 선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든 종류의 선박에 터널 스러스터 구조체(110)가 구비되는 것은 아니지만 터널 스러스터 구조체(110)가 설치되면, 선박(100)의 정지 또는 항해 시 조정 성능을 향상시키고 선박의 오퍼레이션(operation)을 용이하게 하는 등 다이내믹 포지션(dynamic position) 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선박(100)은 해상에 부유중인 시설에서 화물을 적재하는 이른 바 셔틀 탱커(shuttle tanker)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선박(100)은 상선, 군함, 어선, 운반선, 드릴쉽(drill ship), 부유식 해상 구조물 및 특수 작업선 등 다양한 종류의 선박을 포함할 수 있다.
선박(100)의 일측, 특히 선수부(SH)에 구비되는 터널 스러스터 구조체(110)를 바우 스러스터(bow thruster)라고도 하며, 선박의 용적에 따라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 설치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널 스러스터 구조체의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널 스러스터 구조체(110)는 터널(111), 중심부(112), 프로펠러(113), 개폐부(114), 펌프(115) 및 해수 공급 터널(116)을 포함할 수 있다.
터널(111)은 선박(100)을 폭 방향으로 관통하되, 수평면(HP)을 기준으로 일부 또는 전부가 돌출된 중심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터널(111)이 “선박(100)을 폭 방향으로 관통한다”라 함은, 선박(100)의 좌현 방향을 통하여 터널(111) 내부로 유입된 해수는 선박(100)의 우현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고, 선박(100)의 우현 방향을 통하여 터널(111) 내부로 유입된 해수는 선박(100)의 좌현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다는 의미를 나타낸다.
또한, 터널(111)의 양 끝단은 중심부(112)보다 낮은 위치에,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평면 보다 아래에 형성되어 수심이 낮은 곳에서도 터널(111)의 개구부가 외부의 수평면 즉, 해수면보다 낮은 곳에 위치하여 터널 트러스터 구조체(110)를 이용한 추진력 획득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터널(111)은 선박(100)을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경우 “ㅅ”자 형상을 갖되 프로펠러(113)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터널(111)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터널(111)의 중심부(112)가 양 끝단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 다양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터널(111)의 중심부(112)는 수평면(HP)을 기준으로 일부가 돌출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중심부(112)의 일부는 해수면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고 일부는 해수면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거나, 중심부(112)의 전부가 해수면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고 터널(111)의 양 끝단과 연결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프로펠러(113)가 설치되는 터널(111)의 중심부(112)가 선체의 하부에서 비교적 상측에 위치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프로펠러의 유지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프로펠러(113)는 중심부(112)의 중앙에 설치되어 터널(111) 내부의 해수를 선박(100)의 좌현 또는 우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프로펠러(113)는 중심부(112)의 가장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선박의 좌현 또는 우현 방향으로 동일한 추진력을 얻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펠러(113)는 회전 방향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변경하여 선박(100)의 좌현 또는 우현 방향으로 해수의 이동 방향을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터널(111) 내부의 해수를 좌현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프로펠러(113) 및 우현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프로펠러(113)를 각각 설치할 수도 있다. 아울러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프로펠러(113)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 및 프로펠러(113)의 회전 방향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구비될 수 있다.
개폐부(114)는 터널(111)의 양 끝단에 설치되어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개폐부(114)는 평상 시 개구부를 차폐시키고 펌프(115) 및 해수 공급 터널(116)을 이용하여 터널(111) 내부가 해수로 가득 차도록 하며, 터널(111) 내부의 해수가 선박(100) 외부로 배수되지 않도록 하여 수심이 낮은 곳에서도 프로펠러(113)의 구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선박(100)을 이동시키고자 하는 반대 방향의 개폐부(114)를 개방하여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선박(100)을 좌현 방향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 우현 방향의 개폐부(114)를 개방하고 터널(111) 내부의 해수가 우현 방향의 개구부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할 수 있고, 선박(100)을 우현 방향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 좌현 방향의 개폐부(114)를 개방하고 터널(111) 내부의 해수가 좌현 방향의 개구부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터널(111) 내부의 해수를 배출하면서도 펌프(115) 및 해수 공급 터널(116)을 이용하여 터널(111) 내부로 해수를 계속 공급하여 터널(111) 내부가 항상 해수로 가득 차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114)의 다양한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아울러, 터널 스러스터 구조체(110)의 제어부는, 선박의 항해 조건에 기초하여 개구부가 개방되거나 차폐되도록 개폐부(114)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어부는, 선박(100)이 주 추진기를 이용하여 항해 중이거나 정박 중인 경우 개구부를 차폐하도록 개폐부(114)를 제어할 수 있고, 터널 스러스터 구조체(110)의 프로펠러(113)가 가동될 경우 개구부를 개방하도록 개폐부(114)를 제어할 수 있다.
펌프(115)는 터널(111) 내부로 해수를 유입시키기 위하여 선박(100) 외부로부터 해수를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펌프(115)는 선박(100) 외부의 해수 유입이 용이하도록 터널(111)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선박(100) 외부의 해수 유입이 용이한 선박(100) 내부 또는 외부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펌프(115)는 선박(100)에 설치된 해수 흡입 펌프(sea chest pump)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해수 공급 터널(116)은 펌프(115)에서 공급된 해수가 터널(111) 내부로 이동하는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해수 공급 터널(116)은 씨 크로스 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선박(100) 외부의 해수를 선박(100) 내부로 이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을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구부의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널(111)의 개구부 입구에는 터널(111) 직경에 비하여 외부로 확산되는 형태의 제1 모서리(117, chamfer)를 형성하고, 제1 모서리(117)의 끝단에서부터 터널(111) 내부로 제2 모서리(118)를 형성함으로써, 터널(111)의 개구부로부터 유입되는 해수에 의한 유동 박리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에로서, 터널(111)의 개구부 입구에 외부로 확산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제1 모서리(117)의 각도(a)는 30°~ 45°의 경사도를 갖도록 형성되는데, 제1 모서리(117)의 각도(a)를 30° 이하로 형성할 경우에는 제2 모서리(118)와의 경계면이 명확하지 않아 제2 모서리(118)를 터널(111)의 개구부로 연장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고, 제1 모서리(117)의 각도(a)를 45° 이상으로 형성할 경우에는 오히려 유동 박리현상이 증가할 수 있다.
제1 모서리(117)의 끝단에서부터 터널(111) 내부로 형성되는 제2 모서리(118)의 각도(b)는 5°~ 15°의 경사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터널(111)의 개구부로부터 유입되는 해수에 의한 유동 박리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의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a)는 터널 크러스터 구조체(110)를 사용하지 않는 평상 시의 개폐부(114) 상태를 도시하고, (b)는 선박(100)의 선미 방향에 치우치도록 개폐부(114)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하며, (c)는 선박(100)의 선수 방향에 치우치도록 개폐부(114)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다.
개폐부(114)는 평상 시, 즉, 주 추진기를 이용하여 항해 중이거나 정박 중인 경우,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부를 차폐하고 있어서, 터널(111) 내부의 해수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개폐부(114)는 개방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볼 밸브(ball valve)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개방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개폐부(114)를 개방하여 추진력을 얻고자 할 경우, 개폐부(114)의 개방 방향을 조절하여 선박(100)의 추진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즉, 기존에는 터널 스러스터를 이용하여 선박(100)을 기준으로 횡방향의 추진력만을 얻을 수 있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개폐부(114)의 개방 방향을 조절하여 주 추진기의 도움없이 선박(100)의 횡방향 추진력 및 종방향 추진력을 함께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부(114)를 제어하여 개구부를 선미 방향으로 개방 시킬 경우 터널(111) 내부의 해수는 선박(100)의 선미 방향에 치우치도록 배출되고, 선박(100)은 해수의 배출 방향(WE1)과 반대 방향으로의 추진력(T1)을 획득할 수 있다. 즉, 선박(100)은 해수의 배출 방향(WE1)과 180도 반대 방향으로, 횡방향 추진력(B1) 및 종방향 추진력(L1)의 합력(T1)만큼 추진력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부(114)를 제어하여 개구부를 선수 방향으로 개방 시킬 경우 터널(111) 내부의 해수는 선박(100)의 선수 방향에 치우치도록 배출되고, 선박(100)은 해수의 배출 방향(WE2)과 반대 방향으로의 추진력(T2)을 획득할 수 있다. 즉, 선박(100)은 해수의 배출 방향(WE2)과 180도 반대 방향으로, 횡방향 추진력(B2) 및 종방향 추진력(L2)의 합력(T2)만큼 추진력을 획득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의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널의 개구부가 개방된 상태의 개폐부의 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널의 개구부가 차폐된 상태의 개폐부의 상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부(114)는 터널(111)의 개구부, 즉 입구 영역에 배치되며, 3차원으로 굴곡진 선박(100)의 외표면(100a) 형상에 대응되게 터널(111)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선박(100)의 외표면(100a)은 물의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 유선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선박(100)의 외표면(100a)에 형성되는 터널(111)의 개구부 역시 완전히 정면에서 바라보지 않는 한 타원의 형태를 이룰 수밖에 없다.
선박(100)의 외표면(100a)이 3차원으로 굴곡진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이러한 조건 하에서 터널(111)의 개구부가 선박(100)과의 단차 발생을 최소화시키면서 개폐하기 위해서는 선박(100)의 외표면(100a)에 대응되는 구조를 필요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개폐부(114)는, 선박(100)의 외표면(100a)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는 곡률면(141)이 일측에 형성되고 내부는 빈 공간을 형성하는 덕트(140), 덕트(140)와 연결되어 덕트(140)를 회전시키는 회전부(150) 및 회전부(150)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부채꼴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는 덕트(140)의 일측면인 곡률면(141)에는 터널(111)의 개구부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개방홀(141a)이 형성된다. 개방홀 (141a)을 제외한 덕트(140)의 나머지 차폐면(141b)은 차폐되어 있다.
회전부(150)로 하여금 덕트(140)가 회전되도록 하여 곡률면(141)의 개방홀 (141a)이 터널(111)의 개구부와 연통되면 터널(111)의 개구부 전체가 뚫린 형태가 될 수 있다. 이때, 프로펠러(113)을 구동시켜서 횡방향 추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덕트(140)가 더 회전되어 곡률면(141)의 나머지 차폐면(141b)이 터널(111)의 개구부에 배치되도록 하면 터널(111)의 개구부 전체가 막힌 구조가 되는데, 이때는 터널(111)이 막힌 상태이므로 별다른 저항 없이 선박의 추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회전부(150)는 덕트(140)와 연결되어 덕트(14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선박의 항해 조건에 기초하여 터널(111)의 개구부가 개방되거나 차폐되어야 하기 때문에 회전부(150)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부(150)는 덕트(140)의 회전축심을 형성하는 회전축(145)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회전부(150)는 덕트(140)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151), 모터(151)의 모터축(151a)에 연결되는 제1 톱니(152), 회전축(145)에 연결되는 제2 톱니 (153) 및 제1 톱니(152)와 제2 톱니(153)를 폐루프 형태로 연결하는 사슬(154)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에 의해 모터(151)가 동작되면 모터(151)의 회전력이 제1 톱니(152), 사슬(154) 및 제2 톱니(153)로 전달되어 회전축(145)이 회전하게 되고, 덕트(140)가 회전되면서 터널(111)의 개구부가 개방되거나 차폐될 수 있다.
제어부는 회전부(1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곡률면(141)의 개방홀(141a)이 터널(111)의 개구부와 일치되어, 즉 연통되어 터널(111)의 개구부가 개방되거나 개방홀(141a)을 제외한 곡률면(141)의 나머지 차폐면(141b)이 터널(111)의 개구부에 배치되어 터널(111)의 개구부가 차폐될 수 있도록, 선박(100)의 항해 조건에 기초하여 회전부(150)를 통해 덕트(140)의 회전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이 일부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명세서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00: 선박 110: 터널 스러스터 구조체
111: 터널 112: 중심부
113: 프로펠러 114: 개폐부
115: 펌프 116: 해수 공급 터널
117: 제1 모서리 118: 제2 모서리
SH: 선수부 HP: 수평면
140: 덕트 150: 회전부
141: 곡률면 141a: 개방홀
141b: 차폐면 145: 회전축
151: 모터 151a: 모터축
152: 제1 톱니 153: 제2 톱니
154: 사슬

Claims (8)

  1. 터널 스러스터 구조체(110)로서,
    선박(100)을 폭 방향으로 관통하되, 수평면(HP)을 기준으로 일부 또는 전부가 돌출된 중심부(112)를 포함하고 양 끝단이 상기 중심부(112)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터널(111);
    상기 중심부(112)에 설치되어 상기 터널(111) 내부의 해수를 상기 선박(100)의 좌현 또는 우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프로펠러(113);
    상기 터널(111)의 양 끝단에 설치되어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부(114):
    외부로부터 상기 터널(111) 내부로 해수를 유입시키기 위한 펌프(115); 및
    외부로부터 상기 터널(111) 내부로 해수가 이동하는 해수 공급 터널(116)을 포함하며,
    상기 터널(111)의 양 끝단은 수평면(HP) 보다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터널(111)은, “ㅅ”자 형상을 구비하되 상기 프로펠러(113)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터널 스러스터 구조체.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114)는,
    개폐 방향 및 개폐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볼 밸브를 포함하는,
    터널 스러스터 구조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100)의 항해 조건에 기초하여 개구부가 개방되거나 차폐되도록 상기 개폐부(114)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터널 스러스터 구조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111)은,
    상기 개구부 입구에 제1 각도(a)를 갖도록 형성된 제1 모서리(117); 및
    상기 제1 모서리(117)의 끝단에서부터 상기 터널(111)의 내부로 제2 각도(b)를 갖도록 형성된 제2 모서리(118)를 포함하는,
    터널 스러스터 구조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114)는,
    굴곡을 갖는 상기 선박(100)의 외표면(100a)에 대응되는 형상을 포함하여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터널 스러스터 구조체.
  8. 제 1 항, 및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터널 스러스터 구조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0180129060A 2018-10-26 2018-10-26 터널 스러스터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5736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060A KR102573657B1 (ko) 2018-10-26 2018-10-26 터널 스러스터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060A KR102573657B1 (ko) 2018-10-26 2018-10-26 터널 스러스터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7067A KR20200047067A (ko) 2020-05-07
KR102573657B1 true KR102573657B1 (ko) 2023-09-01

Family

ID=70733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9060A KR102573657B1 (ko) 2018-10-26 2018-10-26 터널 스러스터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3657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6895A (ja) 1996-09-13 1998-04-07 Nitsupatsu Jiyabusuko Kk 船舶用サイドスラスタ装置
KR20110069916A (ko) * 2009-12-18 2011-06-2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스러스터의 터널
KR101302031B1 (ko) * 2011-10-17 2013-09-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터널 스러스터를 구비하는 선박
KR101422163B1 (ko) * 2012-06-08 2014-07-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7067A (ko) 202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63103B2 (ja) ムーンプールにおける流動抵抗を軽減するための装置
JP2010083412A (ja) サイドスラスター付き船体
US20080257245A1 (en) Fins to control angular travel of sailboats and wake control
EP3523194B1 (en) Tugboat having azimuthal propelling units
US10703449B2 (en) Stabilizer fin for a watercraft
KR101324114B1 (ko) 해수 펌프를 이용한 선박 감속 장치 및 방법
KR102573657B1 (ko) 터널 스러스터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JP2011218959A (ja) バウスラスターを備えた船舶、及びこの船舶の航行方法と改修方法
KR101302031B1 (ko) 터널 스러스터를 구비하는 선박
KR101225175B1 (ko) 추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1390828B1 (ko) 선박의 저항 저감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
JP6234835B2 (ja) 船舶のスラスター
JP2023067297A (ja) 航走体の推進力発生システム、航走体及び航走体の抵抗低減方法
RU47845U1 (ru) Судно ледового класса,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танкер двойного действия
KR101487416B1 (ko) 추력 보강형 선박
KR101616414B1 (ko) 스러스터를 구비하는 선박
JP2012116329A (ja) 船舶推進装置
KR101444152B1 (ko) 선박용 추진장치
KR20150070748A (ko) 바우 스러트터 커버
KR101422163B1 (ko) 선박
KR20130002924U (ko) 회전식 개폐막을 구비한 선수 쓰러스터
KR20140032228A (ko) 아지무스 추진기를 갖춘 선박
JP2592729Y2 (ja) ウオータージェットポンプ用可変取水口
KR20140006031U (ko) 선박용 가변식 스러스터
KR101390826B1 (ko) 선박의 저항 저감장치 및 이를 갖춘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