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0748A - 바우 스러트터 커버 - Google Patents

바우 스러트터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0748A
KR20150070748A KR1020130157322A KR20130157322A KR20150070748A KR 20150070748 A KR20150070748 A KR 20150070748A KR 1020130157322 A KR1020130157322 A KR 1020130157322A KR 20130157322 A KR20130157322 A KR 20130157322A KR 20150070748 A KR20150070748 A KR 201500707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hydraulic motor
type hydraulic
tu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7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재완
이재국
추경훈
황상훈
홍진한
김인경
최종문
Original Assignee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7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70748A/ko
Publication of KR20150070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07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42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propulsive elements; 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propellers used therefor only; 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rudders carrying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125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movably mounted with respect to hull, e.g. adjustable in direction, e.g. podded azimuthing thru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017/0045Caps, hoods, or the like devices for protective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125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movably mounted with respect to hull, e.g. adjustable in direction, e.g. podded azimuthing thrusters
    • B63H2005/1254Podded azimuthing thrusters, i.e. podded thruster units arranged inboard for rotation about vertical axis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의 선수를 횡으로 관통하는 터널의 입구를 개폐하는 바우 스러스터 커버로서, 복수의 개폐 날개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개폐 날개들은 상기 선박의 헐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 상단 및 하단을 각각 갖고, 상기 선박의 전후 방향을 따라 나열된다.

Description

바우 스러트터 커버{BOW THRUSTER COVER}
본 발명은 바우 스러스터 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의 횡방향으로 추진력을 발휘하는 바우 스러스터(bow thruster)의 터널을 개폐하기 위한 바우 스러스터 커버에 관한 것이다.
바우 스러스터(bow thruster)는 선박의 선수(bow)에 마련된어 횡방향으로 추진력을 발휘하는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터널 및 프로펠러를 갖는다. 상기 터널은 선수의 좌현으로부터 우현까지 관통하는 형태로 마련된다. 상기 프로펠러는 터널 내에 설치되고, 정회전 또는 역회전을 하도록 작동하면서 선박에 좌현 또는 우현 방향의 추진력을 부여한다.
바우 스러스터를 장착한 선박은 정교하게 조향될 수 있기 때문에 예인선의 도움 없이도 부두에 접안하거나 부두로부터 이안할 수 있고, 좁은 지역에서도 선회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바우 스러스터는 접안이나 이안이 불필요한 대부분의 항해 기간에는 저항 증가 요인으로 작용한다. 즉, 선수를 횡방향으로 완전히 관통하는 터널로 인해 항해중인 선박의 저항이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이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0144호(스러스터 터널 개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2924호(회전식 개폐막을 구비한 선수 쓰러스터) 및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41622호(터널 스러스터를 구비하는 선박)에 개시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0144호에서는 신축성 재질이 팽창 또는 수축하면서 터널의 입구를 밀폐하거나 개방한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2924호에서는 원판 형태의 개폐막이 회전하면서 터널의 입구를 개방하거나 밀폐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41622호에서는 볼 형태 또는 부채꼴 형태의 유닛 턱트가 회전하면서 터널의 입구를 개방하거나 밀폐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들에 따르면 터널의 개폐가 가능하므로 바우 스러스터의 단점이 극복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의 신축성 재질, 원판 형태의 개폐막 및 볼 또는 부채꼴 형태의 유닛 덕트는 터널 내 프로펠러의 회전에 의해 터널의 외부로 토출되는 해수의 방향을 조절할 수 없는 한계를 갖는다.
터널의 외부로 토출되는 해수의 방향이 조절될 수 있으면 선박의 조향이 더욱 정교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터널 입구의 개폐뿐만 아니라 터널의 외부로 토출되는 해수의 방향까지도 조절할 수 있는 바우 스러스터 커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선박의 선수를 횡으로 관통하는 터널의 입구를 개폐하는 바우 스러스터 커버로서, 복수의 개폐 날개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개폐 날개들은 상기 선박의 헐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 상단 및 하단을 각각 갖고, 상기 선박의 전후 방향을 따라 나열된다.
상기 복수의 개폐 날개들은 상기 터널의 입구를 밀폐하였을 때 상기 헐의 외면 및 서로에 대하여 단차를 갖지 않도록 마련된다.
상기 바우 스러스터 커버는, 상기 복수의 개폐 날개들의 상단 또는 하단을 정역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요동형 유압 모터;를 포함한다.
상기 요동형 유압 모터는, 상기 복수의 개폐 날개들 중 가운데에 위치하는 중앙 개폐 날개와, 상기 중앙 개폐 날개의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 차폐 날개들 및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 차폐 날개들 중 어느 한 그룹을 동시에 회전시키는 1차 요동형 유압 모터; 및 나머지 한 그룹을 동시에 회전시키는 2차 요동형 유압 모터;를 포함한다.
상기 1차 요동형 유압 모터 및 2차 요동형 유압 모터는 랙-피니언식 요동형 유압 모터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1차 요동형 유압 모터 및 2차 요동형 유압 모터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터널의 상부에 설치되고, 나머지 하나는 터널의 하부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개폐 날개들의 회전 각도에 따라 터널로부터 토출되는 해수의 각도가 조절되므로 선박의 조향이 정교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밀폐 위치에 있는 개폐 날개들로 인해 저항이 초래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두 개의 요동형 유압 모터만으로도 모든 개폐 날개들이 회전할 수 있고, 그러면서도 상기 두 개의 요동형 유압 모터가 상호 간섭 없이 설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우 스러스터 커버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우 스러스터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바우 스러스터 커버의 개폐 날개들이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우 스러트터 커버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우 스러스터 커버(100)는 선박의 선수를 횡으로 관통하는 터널(20)의 좌우측 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의 전후 방향을 따라 나열된 복수의 개폐 날개들(110, 112, 114)과, 상기 개폐 날개들(110, 112, 114)을 회전시키기 위한 요동형 유압 모터(130, 150)를 포함한다.
상기 개폐 날개들(110, 112, 114)은 가운데에 위치하는 중앙 개폐 날개(110)와, 상기 중앙 개폐 날개(110)의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 개폐 날개(112)와, 상기 중앙 개폐 날개(110)의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 개폐 날개(114)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4에는 후방 개폐 날개(112) 및 전방 개폐 날개(114)가 하나씩 도시되어 있으나, 이 개폐 날개들(112, 114)은 복수로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개폐 날개들(110, 112, 114)의 상단(110a, 112a, 114a) 및 하단(110b, 112b, 114b)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의 헐(10)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있는데, 이로 인해 개폐 날개들(110, 112, 114)은 개방 위치와 밀폐 위치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놓일 수 있다.
개폐 날개들(110, 112, 114)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방 위치에 있으면, 터널(20)을 따라 흐르는 해수는 개폐 날개들(110, 112, 114)을 거치더라도 각도의 변경 없이 토출된다. 반면, 개폐 날개들(110, 112, 114)이 개방 위치와 밀폐 위치 사이에 있으면, 터널(20)을 따라 흐르는 해수는 개폐 날개들(110, 112, 114)을 거치면서 각도가 변경되어 토출된다. 개폐 날개들(110, 112, 114)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 위치에 있으면, 해수는 터널(20)로 유입되거나 터널(20)로부터 토출될 수 없다.
밀폐 위치에 있는 개폐 날개들(110, 112, 114)이 서로에 대하여 단차를 이루거나 헐(10)에 대하여 단차를 갖게 된다면, 상기 단차로 인한 저항이 초래된다. 따라서 밀폐 위치에 있는 개폐 날개들(110, 112, 114)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헐(10)의 외면에 대하여 단차를 갖지 않게,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에 대하여도 단차를 갖지 않게 마련되는 것이 좋다. 밀폐 위치에 있는 개폐 날개들(110, 112, 114)이 헐(10)의 외면의 곡률을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게 마련되면 저항의 감소에 더욱 좋을 것이다.
상기 요동형 유압 모터(130, 150)는 개폐 날개들(110, 112, 114)의 상단 또는 하단을 정역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1차 요동형 유압 모터(130)와, 2차 요동형 유압 모터(150)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개방 위치에 있는 개폐 날개들(110, 112, 114)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밀폐 위치로 이동할 경우, 전방 개폐 날개(114)는 중앙 개폐 날개(110) 및 후방 개폐 날개(112)와 반대로 회전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전방 개폐 날개(114)를 회전시키기 위한 요동형 유압 모터(150)가 중앙 개폐 날개(110) 및 후방 개폐 날개(112)를 회전시키기 위한 요동형 유압 모터(130)와 따로 마련된다.
1차 요동형 유압 모터(130)는 터널(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중앙 개폐 날개(110) 및 후방 개폐 날개(112)를 동시에 정역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랙-피니언식으로 구성된다.
랙-피니언식 1차 요동형 유압 모터(130)는 케이스(132)에 내장된 랙 기어(138a)를 포함하는데, 이 랙 기어(138a)는 중앙 개폐 날개(110)의 상단(110a) 및 후방 개폐 날개(112)의 상단(112a)에 마련된 피니언 기어(138b)와 맞물려 있다. 또한, 랙 기어(138a)의 전단은 전방 유압실(134a) 내의 전방 피스톤(136a)과 연결되어 있고, 그 후단은 후방 유압실(134b) 내의 후방 피스톤(136b)과 연결되어 있다. 유체 호스(140a, 140b)를 통해 유체가 상기 유압실들(134a, 134b)을 나들면 유압실들(134a, 134b) 내부의 유압이 변하게 되고, 이러한 유압 변화가 생기면 랙 기어(138a)는 전후 방향으로 직선 운동을 하면서 중앙 개폐 날개(110) 및 후방 개폐 날개(112)를 동시에 정역으로 회전시킨다.
2차 요동형 유압 모터(150)는 터널(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전방 개폐 날개(114)를 정역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1차 요동형 유압 모터(130)와 마찬가지로 랙-피니언식으로 구성된다. 1차 요동형 유압 모터(130)와 달리 2차 요동형 유압 모터(150)에서는 랙 기어가 전방 개폐 날개 하단(114b)의 피니언 기어와 맞물린다. 또한, 2차 요동형 유압 모터(150)는 1차 요동형 유압 모터(130)와 달리 터널(20)의 하부에 설치되는데, 이는 1차 요동형 유압 모터(130)와 2차 요동형 유압 모터(150) 간 간섭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술된 바에 따르면 1차 요동형 유압 모터(130)가 터널(20)의 상부에 설치되고 2차 요동형 유압 모터(150)가 터널(20)의 하부에 설치된다. 그러나 이와 반대로 1차 요동형 유압 모터(130)가 터널(20)의 하부에 설치되고 2차 요동형 유압 모터(150)가 터널(20)의 상부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술된 바에 따르면 1차 요동형 유압 모터(130)가 중앙 및 후방 개폐 날개(110, 112)를 회전시키도록 마련되고 2차 요동형 유압 모터(150)가 전방 개폐 날개(114)를 회전시키도록 마련된다. 그러나 이와 달리, 1차 요동형 유압 모터(130)가 후방 개폐 날개(112)를 회전시키도록 마련되고 2차 요동형 유압 모터(150)가 전방 및 중앙 개폐 날개(114, 110)를 회전시키도록 마련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술된 바에 따르면 요동형 유압 모터들(130, 150)이 랙-피니언식으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상기 요동형 유압 모터들(130, 150)은 싱글 베인식(single vane) 또는 더블 베인식(double vane)으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중앙 개폐 날개(110) 및 후방 개폐 날개(112)는 서로 다른 요동형 유압 모터들에 의해 따로 회전하게 될 것이다.
미설명 부호 22는 해수의 유입 및 토출을 위해 터널(20) 내에 설치된 프로펠러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바우 스러스터 커버 110 : 중앙 개폐 날개
112 : 후방 개폐 날개 114 : 전방 개폐 날개
110a, 112a, 114a : 상단 110b, 112b, 114b : 하단
130 : 1차 요동형 유압 모터 132 : 케이스
134a, 134b : 유압실 136a, 136b : 피스톤
138a : 랙 기어 138b : 피니언 기어
140a, 140b : 유압 호스 150 : 2차 요동형 유압 모터

Claims (6)

  1. 선박의 선수를 횡으로 관통하는 터널의 입구를 개폐하는 바우 스러스터 커버에 있어서,
    상기 선박의 헐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 상단 및 하단을 갖고, 상기 선박의 전후 방향을 따라 나열된 복수의 개폐 날개들;을 포함하는 바우 스러스터 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폐 날개들은 상기 터널의 입구를 밀폐하였을 때 상기 헐의 외면 및 서로에 대하여 단차를 갖지 않도록 마련된 바우 스러스터 커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폐 날개들의 상단 또는 하단을 정역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요동형 유압 모터;를 포함하는 바우 스러스터 커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형 유압 모터는,
    상기 복수의 개폐 날개들 중 가운데에 위치하는 중앙 개폐 날개와, 상기 중앙 개폐 날개의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 차폐 날개들 및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 차폐 날개들 중 어느 한 그룹을 동시에 회전시키는 1차 요동형 유압 모터; 및
    나머지 한 그룹을 동시에 회전시키는 2차 요동형 유압 모터;를 포함하는 바우 스러스터 커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요동형 유압 모터 및 2차 요동형 유압 모터는 랙-피니언식 요동형 유압 모터인 바우 스러스터 커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요동형 유압 모터 및 2차 요동형 유압 모터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터널의 상부에 설치되고, 나머지 하나는 터널의 하부에 설치되는 바우 스러스터 커버.

KR1020130157322A 2013-12-17 2013-12-17 바우 스러트터 커버 KR201500707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7322A KR20150070748A (ko) 2013-12-17 2013-12-17 바우 스러트터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7322A KR20150070748A (ko) 2013-12-17 2013-12-17 바우 스러트터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0748A true KR20150070748A (ko) 2015-06-25

Family

ID=53517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7322A KR20150070748A (ko) 2013-12-17 2013-12-17 바우 스러트터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7074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94715A (zh) * 2018-08-02 2018-12-28 中国船舶工业集团公司第七0八研究所 一种与船体曲面线型完全一致的防气泡槽道式侧推封盖
KR20200033000A (ko) 2018-09-19 2020-03-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바우 스러스터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94715A (zh) * 2018-08-02 2018-12-28 中国船舶工业集团公司第七0八研究所 一种与船体曲面线型完全一致的防气泡槽道式侧推封盖
KR20200033000A (ko) 2018-09-19 2020-03-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바우 스러스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3513B2 (en) Recovering capsized watercraft incorporating rapid filling and emptying ballast systems
CN101434292A (zh) 科特导流管
KR101641882B1 (ko) 보호망을 구비한 코트 노즐 프로펠러
KR20150070748A (ko) 바우 스러트터 커버
US3841258A (en) Hull construction
US3610197A (en) Motorboat
US4315476A (en) Steering system for a ship
US2369996A (en) Marine propulsion
KR20170079802A (ko) 추진기 겸용 스러스터를 갖는 선박
RU2584039C1 (ru) Реверсивно-рулевое устройство водометного движителя
US6932013B1 (en) Maneuvering of submerged waterjet propelled sea craft
JPH11505485A (ja) ウォータジェットの正逆方向変更用コントロール部材を備えた水上艇のウォータジェット推進装置
US2363335A (en) Steering means for watercraft
KR20170001906U (ko) 선박 및 그 사이드 스러스터용 개폐기
US3854437A (en) Hydraulic jet stern steering control
US6286447B1 (en) Baffle system for mitigation of thruster wake deficit
US2347785A (en) Ship propulsion
US7144282B1 (en) Contoured rudder maneuvering of waterjet propelled sea craft
RU2745758C1 (ru) Подрули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судна
US2043276A (en) Steering device for boats
RU2712408C1 (ru) Реверсивно-рулевое устройство водометного движителя
JPH0840377A (ja) 船舶用ウォータジェット推進装置
US3677215A (en) Power assist barge for ocean service
KR101430161B1 (ko) 터널 스러스터
KR102573657B1 (ko) 터널 스러스터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