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906U - 선박 및 그 사이드 스러스터용 개폐기 - Google Patents

선박 및 그 사이드 스러스터용 개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1906U
KR20170001906U KR2020150007618U KR20150007618U KR20170001906U KR 20170001906 U KR20170001906 U KR 20170001906U KR 2020150007618 U KR2020150007618 U KR 2020150007618U KR 20150007618 U KR20150007618 U KR 20150007618U KR 20170001906 U KR20170001906 U KR 2017000190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s
thruster tunnel
drive
thruster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76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표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500076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1906U/ko
Publication of KR201700019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90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42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propulsive elements; 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propellers used therefor only; 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rudders carrying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63B13/02Ports for passing water through vessels'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08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revolv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1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for shi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선박의 사이드 스러스터용 개폐기는, 스러스터 터널의 개구부 일부를 복개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커버와; 상기 스러스터 터널의 개구부 나머지를 복개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2커버와; 상기 제1,제2커버의 접선에 각각 일체로 회동토록 결합된 제1,제2힌지축과; 상기 제1,제2커버가 서로 펼쳐지거나 접혀지면서 상기 스러스터 터널이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제2힌지축을 일체로 회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의한 선박 및 그 사이드 스러스터용 개폐기를 이용하면, 상기 스러스터 터널이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선박 및 그 사이드 스러스터용 개폐기{vessel and door system for side thruster of the same}
본 고안은 선박 및 그 사이드 스러스터용 개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항해 상황 등에 따라 스러스터 터널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선박 및 그 사이드 스러스터용 개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사이드 스러스터는 선박의 선수 또는 선미의 수면 밑에 잠긴 선체의 가로방향에 있는 터널 안에 장비한 스크루 프로펠러의 회전에 의해 수류를 발생시켜 해중에 내보내어 추진력을 발생시킨다. 이것은 선회용 프로펠러인데, 이착안때, 항내 등에서 저속항해의 조선성능을 향상시킬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예인선 사용의 감소 내지 폐지가 가능하고, 다른 선박 또는 안벽과 접촉위험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오늘날 선박의 고성능화, 자동화의 일환으로서 이장치를 채택하였는데, 도선 및 연락선 외에 항해용 여객선 등에도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선박의 사이드 스러스터는 보통 스러스터 터널이 항상 개방된 상태이기 때문에 보통의 항해시에는 스러스터 터널에 의한 수류가 항해진행방향으로 저항으로 작용하여 운항 비용 증가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한편, 도 1(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00054호) 및 도 2를 참조하면, 사이드 스러스터로부터 발생된 유동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루버가 설치된 선행기술이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은 스러스터 터널의 개방시 스러스터 터널의 개구부가 적어도 3개 이상으로 구획되기 때문에 루버로 인한 저항 때문에 사이드 스러스터의 궁극적인 목적인 사이드 추진력이 저감되는 문제점이 부각될 수 밖에 없다. 또한, 상기한 선행기술은 스러스터 터널의 둘레에 별도로 구동부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해야 되는 문제점이 부각될 수 있다. 또한, 루버의 회전축 결합을 위해 선체에 다수의 홀을 시공해야 되는데, 선체에 다수의 홀을 시공하는 것은 다수의 수밀 장치를 설치해야 하는 부담감이 문제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루버를 설치하여도 조향의 성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루버의 폭이 300mm이상이어야 하므로 스러스터 터널의 개방 상태에서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그리드를 설치하여야 하며, 이때 루버 안쪽에 설치된 그리드와의 간섭을 고려하여 그리드가 터널 깊숙이 설치 될 수 밖에 없어 설치 상 문제가 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한 방향형 스윙, 양 방향형 스윙 등, 스윙 형 커버의 경우 선박의 조향을 위하여 스러스터를 구동할 때 커버를 오픈 상태로 위치해야 한다. 이때 커버는 선박 조향에 저항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위치 하게 된다. 스러스터의 주목적인 조향에 문제가 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가변 형 블레이드의 목적상 스러스터 커버의 목적이 아니라 횡방향 토출 수의 토출 방향을 조절하여 미세 조향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형태에서는 평면형태로 커버를 완벽히 닫을 수 없는 구조이다. 따라서 이런 형태는 추진시 발생하는 개구부의 저항을 최소화 할 수 없다.
도 5를 참조하면, 스러스터 터널의 단면과 개구의 크기는 같다. 볼 벨브 형태로 커버를 만들 경우 그 볼의 지름이 반드시 닫고자 하는 단면보다 1.5배 이상 크다. 양면 전체를 터널의 크기 만큼 시공할 경우 커버로써의 역할을 할 수 없게 되며 커버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토출구를 작게 만들 수 밖에 없으므로 스러스터의 토출량에 방해가 발생한다. 또는 굳이 볼 형태의 커버를 사용하자고 한다면 볼 커버 홀의 최대 크기가 스러스터의 토출 용량에 맞춰지고 볼 커버를 설치 할 수 있도록 스러스터 터널의 크기는 더 커져야 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부채꼴 형태의 유닛 덕트는 대부분의 스러스터 터널이 원형 터널이므로 내부 구성이 불가한 형태이다. 스러스터 터널은 선박의 외판이므로 도 6과 같은 구성은 될 수가 없을 뿐 아니라, 만약 사용을 목적으로 하여 구성하게 된다면 부채꼴 형태의 커버가 회전하여 막을 수 있을 정도의 공간을 확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외에도 종래 기술들은 스러스터 터널을 수시로 개폐 가능한 형태가 아니다. 이로 인하여 수시로 사용해야 하는 스러스터의 특성에 맞지 않아 사용에 어려움이 많은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00054호 (공개일:2013년 01월 02일)
본 고안의 목적은, 스러스터 터널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선박 및 그 사이드 스러스터용 개폐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사이드 스러스터용 개폐기는, 스러스터 터널의 개구부 일부를 복개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커버와; 상기 스러스터 터널의 개구부 나머지를 복개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2커버와; 상기 제1,제2커버의 접선 일부에 배치되어, 일단이 상기 제1커버와 일체로 회동토록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제2커버의 접선과 일렬로 선체에 형성된 한 쌍의 힌지 홈 중 어느 하나에 회동 가능토록 결합된 제1힌지축과; 상기 제1힌지축과 일렬로 정렬되도록 상기 제1,제2커버의 접선 나머지 부분에 배치되어, 일단이 상기 제2커버와 일체로 회동토록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선체에 형성된 한 쌍의 힌지 홈 중 나머지 하나에 회동 가능토록 결합된 제2힌지축과; 상기 제1,제2커버가 서로 펼쳐지거나 접혀지면서 상기 스러스터 터널이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제2힌지축을 일체로 회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제2커버는 상기 접선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제2커버는 각각 상기 스러스터 터널의 종단면에 대응하여 대략 반원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제2커버는 상기 스러스터 터널의 개방시 상기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정렬될 수 있도록, 상기 선체의 상하로 정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제2커버는 상기 접선의 중심에 상기 구동부의 구동박스가 개재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제2힌지축 사이에 개재되는 베벨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벨기어는, 상기 제1,제2힌지축 사이에 대향되게 위치되어 각각 상기 제1,제2힌지축과 결합되는 제1,제2종동기어와, 상기 제1,제2종동기어에 함께 맞물려 동력에 의해 상기 제1,제2종동기어를 구동시키는 구동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스러스터 터널 상부 선체에 내재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된 제1구동축과, 상기 구동기어와 연결된 제2구동축과, 상기 제1,제2구동축 사이에 개재되는 조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제2힌지축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베벨기어가 내재되는 구동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러스터 터널 내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구동박스에 일체로 결합된 그리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박스를 중심으로 상기 제1,제2커버는 상기 스러스터 터널 바깥쪽을 향해 접히며, 상기 그리드는 상기 스러스터 터널 안쪽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은, 선체에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스러스터 터널을 개혜하는 개폐기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기는, 상기 스러스터 터널의 개구부를 복개할 수 있도록 상기 선체의 상하로 정렬되어 서로 쌍을 이루어며, 대칭되게 형성되는 제1,제2커버와, 상기 제1,제2커버의 접선 중심에 개재되는 구동박스와, 상기 구동박스에 내재되며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베벨기어와, 상기 제1,제2커버가 서로 펼쳐지거나 접혀짐에 따라 상기 스러스터 터널이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제2커버의 접선에 상기 구동박스를 가운데 두고 일렬로 정렬되어 상기 베벨기어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제1,제2커버를 각각 회동시키는 제1,제2힌지축을 포함한다.
상기 베벨기어는, 상기 제1,제2힌지축 사이에 대향되게 위치되어 각각 상기 제1,제2힌지축과 결합되는 제1,제2종동기어와, 상기 제1,제2종동기어에 함께 맞물려 동력에 의해 상기 제1,제2종동기어를 구동시키는 구동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기는, 상기 스러스터 터널 상부 선체에 내재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된 제1구동축과, 상기 구동기어와 연결된 제2구동축과, 상기 제1,제2구동축 사이에 개재되는 조인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박스를 중심으로 상기 제1,제2커버는 상기 스러스터 터널 바깥쪽을 향해 접히며, 상기 그리드는 상기 스러스터 터널 안쪽에 배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직진 등 보통의 항해시에는 스러스터 터널의 개구부를 복개하고, 선회시에는 스러스터 터널이 개방될 수 있기 때문에 선박에 사이드 스러스터가 구축되더라도 사이드 스러스터로 인한 항해 저항이 방지될 수 있고, 따라서 운항 비용이 저감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제1,제2커버가 접힘 가능토록 대칭으로 형성되고, 베벨기어에 의해 함께 동시에 구동됨에 따라 스러스터 터널이 균형적으로 개폐될 수 있고, 제1,제2커버로 인한 유동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제1,제2커버가 상하로 정렬 배치되어 스러스터 터널의 개방을 위해 접힐 때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정렬될 수 있기 때문에 조향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
또한, 본 고안은, 제1,제2힌지축이 제1,제2커버의 접선을 따라 둘로 분리되어 일렬로 정렬됨에 따라, 결과적으로 선체에 하나의 구동축에 대응하는 한 쌍의 힌지 홈만 형성하여도 되므로, 수밀 장치 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베벨기어에 의해 제1,제2커버를 일체로 함께 균형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제1,제2커버 사이에 베벨기어가 개재될 수 있어 효율적으로 공간 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구동모터를 스러스터 터널의 상부 선체에 내장하고, 구동모터 측 제1구동축과 베벨기어 측 제2구동축의 편각을 유니버셜 조인트로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구동부 설치 및 축 정렬이 용이하고, 수류와의 간섭 방지를 위해 구동박스를 최소화할 수 있어 조향 성능에 가감없이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그리드가 구동박스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기 때문에 그리드의 설치 시수를 줄일 수 있고, 또한 그리드를 조향 성능에 가감없이 설치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사이드 스러스터에 관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체의 사이드 스러스터용 개폐기가 도시된 평면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체의 사이드 스러스터용 개폐기가 도시된 측면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체의 사이드 스러스터용 개폐기의 정면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체의 사이드 스러스터용 개폐기의 상세 구성도이다.
본 고안과 본 고안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사이드 스러스터는 선체(2)의 선수 또는 선미에 가로방향으로 스러스터 터널(10)이 형성되고, 상기 스러스터 터널(10)에 스크류형 프로펠러(20)가 회전 가능토록 설치되며, 특히 상기 스러스터 터널(10)의 개구부에는 상기 스러스터 터널(10)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기(5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기(50)는, 스러스터 터널(10)의 개구부 일부를 복개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커버(52)와, 상기 스러스터 터널(10)의 개구부 나머지를 복개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2커버(54)와, 상기 제1,제2커버(52,54)의 접선에 상기 제1,제2커버(52,54)와 일체로 회동토록 결합된 제1,제2힌지축(56,58)과, 상기 제1,제2커버(52,54)가 서로 펼쳐지거나 접혀지면서 상기 스러스터 터널(10)이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제2힌지축(56,58)을 일체로 회동시키는 구동부(6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제2커버(52,54)는 서로 쌍을 이루며, 상기 접선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제2커버(52,54)는 각각 상기 스러스터 터널(10)의 종단면인 원형에 대응하여 대략 반원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스러스터 터널(10)이 균형적으로 개폐될 수 있고, 상기 개폐기(50)가 전체적으로 균형적으로 구성 및 구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제2커버(52,54)는 상기 접선의 중심에 상기 구동부(60)의 구동박스(62)가 개재될 수 있도록 홈(52a,54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제2커버(52,54)의 홈(52a,54a)은 상호 합치되어 상기 구동부(60)에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며, 상기 구동부(60)에 대응하여 서로 대칭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제2커버(52,54)의 홈(52a,54a)은 각각 반으로 갈라진 사각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제2커버(52,54)는 선체(2)의 상하로 정렬 배치되어 스러스터 터널(10)의 개방을 위해 접힐 때 대략 선체(2)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정렬되는 것이 조향에 방해가 되지 않으므로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상기 제1,제2힌지축(56,58)은 결과적으로 단일의 하나의 힌지축에 의해 상기 제1,제2커버(52,54)와 일체로 회동토록, 그 축방향을 따라 둘로 나뉜 구조를 취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선체(2)에 시공되는 힌지 홈(2a,2b) 수를 한 쌍으로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수밀 장치의 부담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제2힌지축(56,58)은 서로 겹치지 않고 조밀하게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제2힌지축(56,58)은 상기 제1,제2커버(52,54)의 접선을 따라 서로 일렬로 정렬됨에 따라 보다 효율적으로 공간 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1힌지축(56)은, 상기 제1,제2커버(52,54)의 접선 일부에 배치되어, 일단이 상기 제1커버(52)와 일체로 회동토록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제2커버(52,54)의 접선과 일렬로 선체(2)에 형성된 한 쌍의 힌지 홈(2a,2b) 중 어느 하나에 회동 가능토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힌지축(58)은, 상기 제1힌지축(56)과 일렬로 정렬되도록 상기 제1,제2커버(52,54)의 접선 나머지 부분에 배치되어, 일단이 상기 제2커버(54)와 일체로 회동토록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선체(2)에 형성된 한 쌍의 힌지 홈(2a,2b) 중 나머지 하나에 회동 가능토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제2힌지축(56,58)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부(60)의 구동박스(62)를 기준으로 대칭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60)는 상기 제1,제2커버(52,54)의 홈(52a,54a) 사이에 개재되는 구동박스(62)와, 상기 구동박스(62) 내에 내재되어 상기 제1,제2힌지축(56,58) 사이에 개재되는 베벨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벨기어는, 상기 제1,제2힌지축(56,58) 사이에 대향되게 위치되어 각각 상기 제1,제2힌지축(56,58)과 일체로 결합되는 제1,제2종동기어(64,66)와, 상기 제1,제2종동기어(64,66)에 함께 맞물려 동력에 의해 상기 제1,제2종동기어(64,66)를 구동시키는 구동기어(68)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구동기어(68)에 의해 제1,제2종동기어(64,66)가 함께 동시에 구동될 수 있으며, 즉 상기 제1,제2커버(52,54)가 동시에 구동되어 상기 스러스터 터널(10)이 균형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60)는 상기 구동기어(68)를 구동시키는 동력원인 구동모터(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70)는 구조적 간소화 및 스러스터 기능 저하 방지 등을 위해, 상기 스러스터 터널(10) 내에 설치되는 것보다는 상기 스러스터 터널(10)의 상부 선체(2)에 별도로 형성된 수밀 해치(hatch)로 통하는 룸(room)에 내장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70)의 동력을 상기 구동기어(68)에 전달하기 위해, 상기 구동모터(70)에는 제1구동축(72)이 연결되며, 상기 구동기어(68)에는 제2구동축(74)이 연결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구동축(72)과 상기 제2구동축(74)이 서로 일렬로 정렬되지 않고 편각을 이루는 경우, 상기 제1구동축(72)과 상기 제2구동축(74) 사이에 조인트(76), 특히 편각 범위가 넓은 유니버셜 조인트를 개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70)와 상기 구동기어(68) 사이의 동력 전달이 용이하고 간소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스러스터 터널(10)의 개구부 측에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격자모양 등의 그리드(30)(grid)가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그리드(30)는 상기 구동부(60)의 구동박스(62)에 일체로 결합되어 본 고안의 개폐기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스러스터 터널(10) 안쪽으로 너무 들어가지 않고 상기 스러스터 터널(10)의 개구부 측에 위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구동박스(62)를 중심으로 상기 제1,제2커버(52,54)는 상기 스러스터 터널(10) 바깥쪽을 향해 접히며, 상기 그리드(30)는 상기 스러스터 터널(10) 안쪽에 배치됨에 따라 상기 제1,제2커버(52,54)와 상기 그리드(30)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사이드 스러스터용 개폐기(50)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보통의 항해시에는 상기 베벨기어를 제어하여 상기 제1,제2커버(52,54)가 펼침모드로 구동되게 함으로써 상기 제1,제2커버(52,54)에 의해 상기 스러스터 터널(10)의 개구부가 닫아진다. 그러면, 상기 스러스터 터널(10)을 들고 나는 해수의 와류 현상으로 인한 유동저항이 방지될 수 있어 선박의 추진력 감소를 줄일 수 있다.
한편, 선회시에는 상기 베벨기어를 상기 제1,제2커버(52,54)의 접힘모드로 제어하면, 상기 구동기어(68)가 회동됨에 따라 상기 제1,제2종동기어(64,66)가 동시에 일체로 회동되며, 상기 제1,제2종동기어(64,66)와 함께 상기 제1,제2커버(52,54)가 나비의 날개와 같이 상기 제1,제2커버(52,54)의 접선을 중심으로 서로를 향해 상기 스러스터 터널(10)의 바깥쪽으로 회동하여 하나로 겹쳐짐으로써 접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러스터 터널(10)이 개방되며, 상기 스러스터 터널(10)에 상기 프로펠러(20)의 회전에 의한 수류가 발생됨으로써 선회를 위한 추진력이 발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제2커버(52,54)가 상호 겹쳐지며, 상기 스러스터 터널(10)의 개구부 측에는 간소하게 상기 구동부(60)의 구동박스(62)만 위치되어 있어 스러스터의 수류에 의한 저항을 최대한 상쇠하여 선체(2)의 옆 추진력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스러스터 터널 20; 프로펠러
30; 그리드 50; 개폐기
52; 제1커버 54; 제2커버
56; 제1힌지축 58; 제2힌지축
60; 구동부 62; 구동박스
64; 제1종동기어 66; 제2종동기어
68; 구동기어 70; 구동모터
72; 제1구동축 74; 제2구동축
76; 조인트

Claims (15)

  1. 스러스터 터널의 개구부 일부를 복개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커버와;
    상기 스러스터 터널의 개구부 나머지를 복개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2커버와;
    상기 제1,제2커버의 접선 일부에 배치되어, 일단이 상기 제1커버와 일체로 회동토록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제2커버의 접선과 일렬로 선체에 형성된 한 쌍의 힌지 홈 중 어느 하나에 회동 가능토록 결합된 제1힌지축과;
    상기 제1힌지축과 일렬로 정렬되도록 상기 제1,제2커버의 접선 나머지 부분에 배치되어, 일단이 상기 제2커버와 일체로 회동토록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선체에 형성된 한 쌍의 힌지 홈 중 나머지 하나에 회동 가능토록 결합된 제2힌지축과;
    상기 제1,제2커버가 서로 펼쳐지거나 접혀지면서 상기 스러스터 터널이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제2힌지축을 일체로 회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선박의 사이드 스러스터용 개폐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제2커버는 상기 접선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선박의 사이드 스러스터용 개폐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제2커버는 각각 상기 스러스터 터널의 종단면에 대응하여 대략 반원판으로 형성되는 선박의 사이드 스러스터용 개폐기.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커버는 상기 스러스터 터널의 개방시 상기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정렬될 수 있도록, 상기 선체의 상하로 정렬 배치되는 선박의 사이드 스러스터용 개폐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제2커버는 상기 접선의 중심에 상기 구동부의 구동박스가 개재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되는 선박의 사이드 스러스터용 개폐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제2힌지축 사이에 개재되는 베벨기어를 포함하는 선박의 사이드 스러스터용 개폐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베벨기어는, 상기 제1,제2힌지축 사이에 대향되게 위치되어 각각 상기 제1,제2힌지축과 결합되는 제1,제2종동기어와, 상기 제1,제2종동기어에 함께 맞물려 동력에 의해 상기 제1,제2종동기어를 구동시키는 구동기어를 포함하는 선박의 사이드 스러스터용 개폐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스러스터 터널 상부 선체에 내재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된 제1구동축과, 상기 구동기어와 연결된 제2구동축과, 상기 제1,제2구동축 사이에 개재되는 조인트를 포함하는 선박의 사이드 스러스터용 개폐기.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제2힌지축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베벨기어가 내재되는 구동박스를 포함하는 선박의 사이드 스러스터용 개폐기.
  10.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스러스터 터널 내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구동박스에 일체로 결합된 그리드를 더 포함하는 선박의 사이드 스러스터용 개폐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구동박스를 중심으로 상기 제1,제2커버는 상기 스러스터 터널 바깥쪽을 향해 접히며, 상기 그리드는 상기 스러스터 터널 안쪽에 배치되는 선박의 사이드 스러스터용 개폐기.
  12. 선체에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스러스터 터널을 개혜하는 개폐기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기는, 상기 스러스터 터널의 개구부를 복개할 수 있도록 상기 선체의 상하로 정렬되어 서로 쌍을 이루어며, 대칭되게 형성되는 제1,제2커버와,
    상기 제1,제2커버의 접선 중심에 개재되는 구동박스와,
    상기 구동박스에 내재되며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베벨기어와,
    상기 제1,제2커버가 서로 펼쳐지거나 접혀짐에 따라 상기 스러스터 터널이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제2커버의 접선에 상기 구동박스를 가운데 두고 일렬로 정렬되어 상기 베벨기어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제1,제2커버를 각각 회동시키는 제1,제2힌지축을 포함하는 선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베벨기어는, 상기 제1,제2힌지축 사이에 대향되게 위치되어 각각 상기 제1,제2힌지축과 결합되는 제1,제2종동기어와, 상기 제1,제2종동기어에 함께 맞물려 동력에 의해 상기 제1,제2종동기어를 구동시키는 구동기어를 포함하는 선박.
  14. 청구항 12 또는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는, 상기 스러스터 터널 상부 선체에 내재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된 제1구동축과, 상기 구동기어와 연결된 제2구동축과, 상기 제1,제2구동축 사이에 개재되는 조인트를 더 포함하는 선박.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구동박스를 중심으로 상기 제1,제2커버는 상기 스러스터 터널 바깥쪽을 향해 접히며, 상기 그리드는 상기 스러스터 터널 안쪽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박스에 일체로 결합되는 선박.

KR2020150007618U 2015-11-23 2015-11-23 선박 및 그 사이드 스러스터용 개폐기 KR2017000190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618U KR20170001906U (ko) 2015-11-23 2015-11-23 선박 및 그 사이드 스러스터용 개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618U KR20170001906U (ko) 2015-11-23 2015-11-23 선박 및 그 사이드 스러스터용 개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906U true KR20170001906U (ko) 2017-05-31

Family

ID=59021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7618U KR20170001906U (ko) 2015-11-23 2015-11-23 선박 및 그 사이드 스러스터용 개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1906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2926A (ko) * 2017-10-17 2019-04-25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선박
KR20200001868A (ko) * 2018-06-28 2020-01-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잠수함의 세일 유동소음 감소를 위한 가이드라인 장치
KR20220062837A (ko) 2020-11-09 2022-05-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터널 스러스터 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0054A (ko) 2011-06-22 2013-01-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사이드 스러스터의 유동방향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0054A (ko) 2011-06-22 2013-01-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사이드 스러스터의 유동방향 조절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2926A (ko) * 2017-10-17 2019-04-25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선박
KR20200001868A (ko) * 2018-06-28 2020-01-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잠수함의 세일 유동소음 감소를 위한 가이드라인 장치
KR20220062837A (ko) 2020-11-09 2022-05-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터널 스러스터 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17782B2 (en) Marine vessel propulsion device and marine vessel including the same
KR20170001906U (ko) 선박 및 그 사이드 스러스터용 개폐기
KR20090011202A (ko) 쇄빙용 부가 추진 시스템
FI121659B (fi) Vesialuksen propulsiojärjestelmä
ES2690489T3 (es) Propulsor retráctil
KR20110002737U (ko) 스러스터 그리드를 이용한 스러스터 터널 개폐장치
CN201874400U (zh) 船舰侧推器封盖
KR101292883B1 (ko) 바우 스러스터 입구의 저항 저감을 위한 반 개방형 도어
KR101488000B1 (ko) 선박의 추진 장치
US3008443A (en) Device for covering transverse passages in ships
KR20150056977A (ko) 선박용 러더
ES2604804T3 (es) Sistema de propulsión retráctil
RU2573186C2 (ru) Водное судно с улучшенными характеристиками для передвижения во льдах
KR101335256B1 (ko) 터널식 스러스터 및 이를 갖춘 선박
CN201843436U (zh) 封盖启闭装置
KR20160022537A (ko) 폴더블 스러스트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부유식 해양구조물
KR101310601B1 (ko) 터널 스러스터 개폐장치
KR20150070748A (ko) 바우 스러트터 커버
KR20130002924U (ko) 회전식 개폐막을 구비한 선수 쓰러스터
JP6618869B2 (ja) 船舶の推進システム
KR101701749B1 (ko) 선박 추진장치
KR102573657B1 (ko) 터널 스러스터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611633B1 (ko) 보조 프로펠러가 구비된 선외기
KR20150076680A (ko) 방사형 구조의 바우 스러스터 개폐 장치
KR102358674B1 (ko) 접이식 러더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