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4147B1 - 원목 자동 송재차 - Google Patents

원목 자동 송재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4147B1
KR101634147B1 KR1020160003696A KR20160003696A KR101634147B1 KR 101634147 B1 KR101634147 B1 KR 101634147B1 KR 1020160003696 A KR1020160003696 A KR 1020160003696A KR 20160003696 A KR20160003696 A KR 20160003696A KR 101634147 B1 KR101634147 B1 KR 101634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mit
log
rotary shaft
clutch
ro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3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반성욱
Original Assignee
반성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반성욱 filed Critical 반성욱
Priority to KR1020160003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41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4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4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29/00Gripping, clamping, or holding devices for the trunk or log in saw mills or sawing machines; Travelling trunk or log carri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25/00Feeding devices for timber in saw mills or sawing machines; Feeding devices for tre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29/00Gripping, clamping, or holding devices for the trunk or log in saw mills or sawing machines; Travelling trunk or log carriages
    • B27B29/08Trunk or log carriages with gripping means designed to pass the saw blade(s), especially for band saws; Arrangement of gripping accessories thereon; Turning devices there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Fluid-actuated clutches
    • F16D25/08Fluid-actuated clutches with fluid-actuated member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Fluid-actuated clutches
    • F16D25/08Fluid-actuated clutches with fluid-actuated member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 F16D25/082Fluid-actuated clutches with fluid-actuated member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the line of action of the fluid-actuated members co-inciding with the axis of rotation
    • F16D25/083Actuato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목 자동 송재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길이가 긴 원목을 톱날 장치로 이송시켜 원목을 제재할 때, 원목이 흔들리지 않도록 방지하여 톱날의 파손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원목 자동 송재차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은 원목(11)이 상부에 위치되는 송재차 몸체(10); 상기 송재차 몸체(10)의 하단에 구비되는 다수의 회전축(20); 상기 송재차 몸체(10)의 하단과 회전축(20)을 연결하는 연결부(30); 및 상기 회전축(20)의 양측에 구비되어, 레일(50) 상에서 이동하는 휠(40); 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다수의 상기 회전축(20) 중 어느 하나의 회전축(20) 일측 끝단에 구비되며, 상기 송재차 몸체(10)의 하단과 결합되어, 상기 송재차 몸체(10)가 상기 회전축(20)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클러치부(1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원목 자동 송재차{AUTO-FEED LOG CARRIAGE}
본 발명은 원목 자동 송재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길이가 긴 원목을 톱날 장치로 이송시켜 원목을 제재할 때, 원목이 흔들리지 않도록 방지하여 톱날의 파손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원목 자동 송재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목 자동 송재차는 길이가 긴 원목을 톱날 장치로 이송시켜, 원목을 제재할 때 사용한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특1998-036118호 ("전자동 송재차", 공개일 1998.08.05., 이하 '선행기술')에 개시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선행기술은 프레임 상부에 원목을 고정하여 위치시킨다. 또한, 프레임 하부에는 다수의 회전축에 바퀴가 장착되어,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송재차는 원목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톱날 장치로 이송시켜, 원목을 임의의 폭으로 제재한다.
그러나, 원목이 톱날에 의해 절단될 때, 원하는 폭으로 절단되지 않을 경우, 원목의 절단을 멈추고 후진시켜야 한다. 이때, 원목을 후진시키는 과정에서 프레임이 좌우로 흔들릴 수 있고, 이로 인해 원목이 톱날에 걸려 톱날이 파손되기도 한다. 또한, 부러진 톱날 파편이 주변 작업자로 날아가 인면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원목 자동 송재차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특1998-036118호 ("전자동 송재차", 공개일 1998.08.05.)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원목을 후진시킨 때, 톱날에 걸리지 않도록 원목 자동 송재차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톱날의 파손 및 이탈로 인한 인명 사고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원목 자동 송재차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원목 자동 송재차에 관한 것으로, 원목(11)이 상부에 위치되는 송재차 몸체(10); 상기 송재차 몸체(10)의 하단에 구비되는 다수의 회전축(20); 상기 송재차 몸체(10)의 하단과 회전축(20)을 연결하는 연결부(30); 및 상기 회전축(20)의 양측에 구비되어, 레일(50) 상에서 이동하는 휠(40); 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다수의 상기 회전축(20) 중 어느 하나의 회전축(20)의 일측 끝단에 구비되며, 상기 송재차 몸체(10)의 하단과 결합되어, 상기 송재차 몸체(10)가 상기 회전축(20)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클러치부(1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클러치부(100)는 상부 일측에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110)와, 상부 타측에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120)를 포함하며, 상부가 상기 송재차 몸체(10)와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회전축(20)이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클러치몸체(130); 상기 클러치부몸체(130)와 상기 회전축(2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유체에 의해 압력이 형성되는 압력공간(140); 및 상기 압력공간(140)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압력공간(140)의 압력에 의해 상기 송재차 몸체(10)가 상기 회전축(20)의 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클러치피스톤(15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목 자동 송재차는 다수의 상기 회전축(20) 중 또 다른 회전축(20)의 일측 끝단에 구비되며, 상기 클러치부(100)로 작동 신호를 전송하는 리미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송재차 몸체(10)는 상기 송재차 몸체(10)의 하단에서 하부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2개의 센서판(210); 및 하나의 상기 센서판(210)에 형성되는 센서(211);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리미트부는 상기 회전축(20)의 일측 끝단에 결합되는 리미트몸체(200); 및 상기 리미트몸체(200)에 구비되며, 일측이 상기 회전축(20)과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2개의 센서판(21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회전축(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센서(211)를 작동시키는 리미트회전판(2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미트부는 상기 리미트몸체(200)와 리미트회전판(220) 사이에 형성되는 리미트라이닝(2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원목 자동 송재차에 관한 것으로, 원목을 톱날로부터 후진시킬 때, 원목 자동 송재차가 좌우로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시켜 후진시킴으로써, 톱날의 파손 및 이탈로 인한 인명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원목 자동 송재차의 측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원목 자동 송재차의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원목 자동 송재차의 클러치부가 작동되는 실시예1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원목 자동 송재차의 클러치부가 작동되는 실시예2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원목 자동 송재차의 리미트부의 측면확대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원목 자동 송재차의 리미트부의 단면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원목 자동 송재차의 측면도이며,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원목 자동 송재차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원목 자동 송재차는 송재차 몸체(10)의 상부에는 원목(11)이 고정되어 위치된다. 또한, 송재차 몸체(10)의 하단에는 다수의 회전축(20)이 구비되며, 상기 송재차 몸체(10)의 하단과 회전축(20)을 연결하는 연결부(30)에 의해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회전축(20)에는 휠(40)이 구비되며, 상기 휠(40)은 레일(50)을 따라 이동한다.
즉, 본 발명의 원목 자동 송재차는 원목(11)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구동부(12)를 통해 레일(50)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원목(11)을 톱날(13)로 이송시켜, 임의의 폭으로 제재한다. 이때, 본 발명의 원목 자동 송재차는 원목(11)을 제재하는 도중, 원목(11)을 톱날(13)로부터 후진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 원목(11)이 후진하면서 송재차 몸체(10)가 좌우로 흔들리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때, 원목(11)이 톱날(13)에 걸려 톱날(13)이 파손되거나 이탈된다. 또한, 파손된 톱날이 주변의 작업자로 날아가 인명 사고가 날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원목 자동 송재차는 회전축에 송재차 몸체(10)가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클러치부(100)가 구비된다.
상기 클러치부(100)는 다수의 상기 회전축(20) 중 어느 하나의 회전축(20) 일측 끝단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클러치부(100)가 장착되는 상기 회전축(20)은 일측 끝단이 상기 휠(40)이 위치하는 부분보다 외측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 부분에 상기 클러치부(100)가 구비된다. 기존에는 회전축(20)의 가운데 부분(휠과 휠 사이)에 클러치가 구비되어, 고장 났을 경우 수리가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지만, 본 발명과 같이, 회전축(20)의 일측 끝단에 상기 클러치부(100)를 구비함으로써, 접근성이 용이해 유지보수가 좋은 장점이 있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원목 자동 송재차의 클러치부가 작동되는 실시예1이며,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원목 자동 송재차의 클러치부가 작동되는 실시예2이다.
클러치부(100)는 상기 송재차 몸체(10)가 상기 회전축(20)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클러치부(100)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110)와 배출되는 배출구(120)를 포함하는 클러치몸체(130)와, 상기 유체에 의해 압력이 형성되는 압력공간(140) 및 상기 압력공간(140)의 형성되는 압력에 의해 부상기 송재차 몸체(10)가 상기 회전축(20)의 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클러치피스톤(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클러치몸체(130)는 상부가 상기 송재차 몸체(10)의 하단과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회전축(20)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또한, 상기 클러치몸체(130)는 클러치몸체(130)의 상부 일측에 유체가 유입되는 통로인 유입구(110)가 구비되고, 클러치부(100)의 상부 타측에 유체가 배출되는 통로인 배출구(120)가 구비된다.
압력공간(140)은 상기 클러치몸체(130)와 상기 회전축(20) 사이에 구비된다. 즉, 상기 압력공간(140)은 상기 클러치몸체(130)와 상기 회전축(20)이 둘러싸여 형성되는 공간이다. 이러한 상기 압력공간(140)은 유입구(110) 및 배출구(120)를 통해 유체가 유입되거나 배출되어 압력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유체는 액체를 사용(유압클러치)할 수도 있고, 기체를 사용(공압클러치)할 수도 있다.
클러치피스톤(150)은 상기 압력공간(140)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압력공간(140)의 압력에 의해 상기 송재차 몸체(10)가 상기 회전축(20)의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3 및 도4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3은 송재차 몸체(10)가 원목을 톱날로 전진시킬 때, 클러치피스톤(150)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4는 송재차 몸체(10)가 원목을 톱날로부터 후퇴시킬 때, 상기 클러치피스톤(150)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유입구(110)로 유체가 유입되면, 압력공간(140)에 압력이 형성되어, 송재차 몸체(10)가 톱날방향(좌측)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상태로 원목을 톱날로 전진시키게 되면, 송재차 몸체(10)가 회전축(20)의 축 방향(좌우)로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원목을 일정한 폭으로 제재할 수 있다.
또한, 원목을 제재하는 도중, 원하는 폭으로 제재되지 않을 경우, 톱날이 가동되는 상태에서 원목을 후진시켜야 한다. 이때, 톱날이 가동되고 있고, 원목을 제재하는 도중이기 때문에, 원목 사이에 톱날이 위치하고 있어, 송재차 몸체(10)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톱날이 파손되거나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여, 상기 유입구(110)에 유체를 주입하여,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송재차 몸체(10)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압력을 준다. 이러한 상태로 원목을 후퇴시키면, 원목이 가동 중인 톱날을 건드리지 않고 원목을 후퇴시킬 수 있다.
원목을 일측 끝단에서 타측 끝단까지 제재한 경우,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클러치부(100)를 가동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배출구(120)로 유체가 유입되면, 압력공간(140)에 압력이 형성되어, 상기 송재차 몸체(10)를 톱날의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는 톱날이 원목과 원목 사이에 위치하지 않기 때문에, 원목을 톱날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송재차 몸체(10)를 이동시켜도, 톱날이 파손되거나 이탈되지 않는다. 즉, 상기 원목과 톱날을 이격시켜, 원목을 후퇴시킬 때, 원목이 톱날에 접촉되지 않게 한다. 이러한 상태로 원목을 후퇴시키게 되면, 원목과 톱날이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톱날이 파손되거나 이탈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인명 사고의 발생이 줄어든다.
또한, 상기 클러치부(100)는 회전축(20)이 관통 삽입되고, 상기 회전축(20)이 관통된 일측에 클러치결합부(170)가 더 구비된다. 상기 클러치결합부(170)는 상기 회전축(20)의 일측 끝단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클러치부(100)는 내부에 베어링부(160)가 구비되기도 한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원목 자동 송재차의 리미트부의 측면확대도이며,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원목 자동 송재차의 리미트부의 단면확대도이다.
도5 및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리미트부는 다수의 회전축(20) 중 클러치부(100)가 장착된 회전축 외에 어느 하나의 회전축(20)의 일측 끝단에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리미트부는 상기 클러치부(100)로 작동 신호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리미트부는 리미트몸체(200), 센서판(210), 센서(211) 및 리미트회전판(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리미트몸체(200)는 상기 회전축(20)의 일측 끝단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20)은 휠(40)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이 돌출된 부분에 리미트몸체(200)가 구비된다.
리미트회전판(220)은 상기 리미트몸체(200)에 구비되며, 일측이 상기 회전축(20)과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타측이 2개의 센서판(210) 사이에 위치한다. 이때, 상기 송재차 몸체(10)는 상기 송재차 몸체(10)의 하단에서 하부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2개의 센서판(210) 및 하나의 상기 센서판(210)에 형성되는 센서(2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리미트회전판(220)은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축(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센서(211)를 작동시킨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송재차 몸체(10)를 톱날방향으로 전진시킬 때, 상기 리미트회전판(220)은 회전축(20)과 같이 회전한다. 이때, 상기 리미트회전판(220)은 2개의 센서판(210) 중 하나의 센서(211)에 접촉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20)은 지속적으로 회전하고, 상기 리미트회전판(220)은 센서(211)에 접촉된다. 즉, 상기 회전축(20)과 리미트회전판(220)은 독립적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센서(211)는 원목이 톱날과 밀착되도록, 클러치부(100)로 신호를 전송하여, 송재차 몸체(10)를 이동시킨다. 신호를 전송받은 상기 클러치부(100)는 도3과 같이 구동되어, 원목을 톱날에 밀착시킨다.
반대로, 송재차 몸체(10)를 후진시킬 경우, 상기 회전축(20)이 후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리미트회전판(220)은 또 다른 센서(211)와 접촉된다. 이때, 상기 또 다른 센서(211)는 원목이 톱날과 이격되도록, 상기 클러치부(100)로 신호를 전송하여, 송재차 몸체(10)를 이동시킨다. 신호를 전송받은 상기 클러치부(100)는 도4와 같이 구동하여 송재차 몸체(10)를 이동시켜, 원목과 톱날을 이격시킨다.
또한, 상기 리미트회전판(220)은 리미트작동판(221)이 구비된다. 상기 리미트작동판(221)은 리미트회전판(220)의 폭방향으로 넓게 형성된다. 이러한 리미트 작동판(221)은 송재차 몸체(10)가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더라도, 센서(211)를 정확히 작동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리미트부는 리미트라이닝(23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리미트라이닝(230)은 리미트몸체(200)와 리미트회전판(22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리미트회전판(220)이 회전할 때 상기 리미트몸체(200)와의 마찰을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리미트부는 상기 리미트몸체(200)에 스프링(240)이 더 구비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 송재차 몸체
11 : 원목
12 : 구동부
13 : 톱날
20 : 회전축
30 : 연결부
40 : 휠
50 : 레일
100 : 클러치부
110 : 유입구
120 : 배출구
130 : 클러치몸체
140 : 압력공간
150 : 클러치피스톤
160 : 베어링부
170 : 클러치결합부
200 : 리미트몸체
210 : 센서판
211 : 센서
220 : 리미트회전판
221 : 리미트작동판
230 : 리미트라이닝
240 : 리미트스프링
250 : 리미트결합부

Claims (5)

  1. 원목(11)이 상부에 위치되는 송재차 몸체(10);
    상기 송재차 몸체(10)의 하단에 구비되는 다수의 회전축(20);
    상기 송재차 몸체(10)의 하단과 회전축(20)을 연결하는 연결부(30);
    상기 회전축(20)의 양측에 구비되어, 레일(50) 상에서 상기 송재차 몸체(1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휠(40); 및
    다수의 상기 회전축(20) 중 어느 하나의 회전축(20)의 일측 끝단에 구비되며, 상기 송재차 몸체(10)의 하단과 결합되어, 상기 송재차 몸체(10)가 상기 회전축(20)의 축 방향으로 상기 회전축(2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클러치부(100);
    을 포함하되,
    상기 클러치부(100)는
    상부에 원목이 위치되는 상기 송재차 몸체(10)가 상기 레일(50)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할 때,
    상기 회전축(20)의 축 방향으로 상기 회전축(20)이 흔들리는 경우, 상기 송재차 몸체(10)가 흔들리지 않도록 위치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목 자동 송재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부(100)는
    상부 일측에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110)와, 상부 타측에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120)를 포함하며, 상부가 상기 송재차 몸체(10)와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회전축(20)이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클러치몸체(130);
    상기 클러치부몸체(130)와 상기 회전축(2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유체에 의해 압력이 형성되는 압력공간(140); 및
    상기 압력공간(140)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압력공간(140)의 압력에 의해 상기 송재차 몸체(10)가 상기 회전축(20)의 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클러치피스톤(15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목 자동 송재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목 자동 송재차는
    다수의 상기 회전축(20) 중 또 다른 회전축(20)의 일측 끝단에 구비되며, 상기 클러치부(100)로 작동 신호를 전송하는 리미트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목 자동 송재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송재차 몸체(10)는
    상기 송재차 몸체(10)의 하단에서 하부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2개의 센서판(210); 및
    상기 센서판(210)에 형성되는 센서(211);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리미트부는
    상기 회전축(20)의 일측 끝단에 결합되는 리미트몸체(200); 및
    상기 리미트몸체(200)에 구비되며, 일측이 상기 회전축(20)과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2개의 센서판(21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회전축(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센서(211)를 작동시키는 리미트회전판(22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목 자동 송재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미트부는
    상기 리미트몸체(200)와 리미트회전판(220) 사이에 형성되는 리미트라이닝(2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목 자동 송재차.
KR1020160003696A 2016-01-12 2016-01-12 원목 자동 송재차 KR101634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3696A KR101634147B1 (ko) 2016-01-12 2016-01-12 원목 자동 송재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3696A KR101634147B1 (ko) 2016-01-12 2016-01-12 원목 자동 송재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4147B1 true KR101634147B1 (ko) 2016-06-28

Family

ID=56366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3696A KR101634147B1 (ko) 2016-01-12 2016-01-12 원목 자동 송재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414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6118A (ko) 1996-11-16 1998-08-05 강석환 전자동 송재차
KR100605668B1 (ko) * 2006-04-18 2006-07-31 라경배 피스톤펌프 및 피스톤모터용 실린더블록의 용융착라이닝방법
KR20070024391A (ko) * 2005-08-25 2007-03-02 도시바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클램핑 시스템 및 클램핑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6118A (ko) 1996-11-16 1998-08-05 강석환 전자동 송재차
KR20070024391A (ko) * 2005-08-25 2007-03-02 도시바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클램핑 시스템 및 클램핑 방법
KR100605668B1 (ko) * 2006-04-18 2006-07-31 라경배 피스톤펌프 및 피스톤모터용 실린더블록의 용융착라이닝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738091B (zh) 削尖机
US3223129A (en) Log barker-chippers
US2677475A (en) Industrial truck
KR101634147B1 (ko) 원목 자동 송재차
CN202572525U (zh) 自动锯木机
CN208543562U (zh) 一种断木机
US3838823A (en) Apparatus for reducing wood and like articles
CN102059629B (zh) 一种具有恒压装置的砂带抛光机
JP2000084906A (ja) 樹枝粉砕機
KR101266188B1 (ko) 정속주행 및 고속주행이 가능한 용접비드 및 돌출부 제거기
US9333509B2 (en) Grapple grinder
CN203306814U (zh) 输送带自动切边机
KR101439396B1 (ko) 타이어 식출고무 트리밍장치
CN207120318U (zh) 一种自行式林业采伐剩余物破碎系统
CN210967196U (zh) 一种移动式废钢剪断机
CN211729582U (zh) 木材剥皮装置
CN111136330A (zh) 一种用于剪板机的接料装置
CN203738380U (zh) 一种锯带淬火线储料机构
CN201951747U (zh) 封罐机刹车装置
CN211389165U (zh) 一种立式双轴木工铣床
US3066712A (en) Log barking machine
JP4568452B2 (ja) 自走式木材破砕機
CN106736592A (zh) 一种管件的全自动截断装置
RU2177407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выделения резины из автомобильных шин
CN207480705U (zh) 转角纵向切割型砌块切割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