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9396B1 - 타이어 식출고무 트리밍장치 - Google Patents

타이어 식출고무 트리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9396B1
KR101439396B1 KR1020130007153A KR20130007153A KR101439396B1 KR 101439396 B1 KR101439396 B1 KR 101439396B1 KR 1020130007153 A KR1020130007153 A KR 1020130007153A KR 20130007153 A KR20130007153 A KR 20130007153A KR 101439396 B1 KR101439396 B1 KR 101439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rotating
unit
tread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7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4385A (ko
Inventor
이정휴
백중기
황정연
김정환
정문국
김근철
김용산
이형운
김병찬
Original Assignee
에이스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스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스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7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9396B1/ko
Publication of KR20140094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4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9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9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62Accessories, details or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33After-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vulcanising ty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81Parts of pneumatic tyre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yre Mou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식출고무 트리밍장치는 타이어가 안착되고 상기 타이어를 회전시키는 회전부, 그리고 상기 회전부를 통해 회전되는 상기 타이어로부터 식출고무를 제거하는 트리밍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타이어의 일측 및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타이어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타이어에 밀착되어 상기 타이어를 고정시킨 후 공기를 주입하여 타이어의 원형을 유지하고 회전력을 발생시켜 상기 타이어를 회전 시키되, 상기 타이어의 회전 중심축과 동일한 회전 중심축을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핀들에 연결된 림이 타이어를 고정시키고 스핀들과 타이어가 동일한 회전 중심축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스핀들이 타이어를 직접적으로 회전시켜 회전 시 타이어가 편심되지 않고 정원형의 형상을 유지하여 식출고무의 제거가 정확히 이루어져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림이 타이어의 일측 및 타측에 밀착되어 타이어를 고정함과 동시에 타이어와 함께 회전됨으로써, 회전 시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하여 림이 타이어로부터 이격되어 타이어의 고정이 해제되지 않고, 단면높이가 다른 규격의 타이어에도 적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타이어 식출고무 트리밍장치{Trimming apparatus for vent-rubber of tire}
본 발명은 타이어 식출고무 트리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입 타이어는 주행 시 지면과 접촉하는 트레드 및 트레드의 양측에 각각 접합되는 사이드월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트레드와 사이드월은 타이어의 가류(加硫) 시 가류금형 내에서 접합되는데, 이때, 트레드와 사이드월의 접합부에는 가류 시 가류 금형의 미세한 틈 및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금형에 형성되는 홀(hole)로 고무가 흘러들어가 경화되어 외부로 돌출되는 식출(植出)고무가 형성된다. 이러한 식출고무는 타이어의 외관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타이어의 회전 시 공기저항 및 소음을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러한 식출고무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들이 개발되어 사용되었다.
더 자세하게는, 초기에는 수동방식의 타이어 식출고무 제거장치가 사용되었다. 즉, 타이어의 원주면에 직접 접하는 복수 개의 롤러를 구비하고, 이를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구동하여 타이어를 회전시켜 회전되는 타이어의 표면에 나이프를 접촉함으로써, 식출고무를 제거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상기한 타이어 식출고무 제거장치는 편의성이 떨어지며, 정확한 제어가 힘들어 정밀한 식출고무의 제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종래에는 모터를 통해 자동으로 회전하는 복수 개의 롤러를 이용한 타이어 식출고무 제거장치가 사용되었다.
더 자세하게는, 종래에는 모터를 통해 자동으로 회전하는 복수 개의 롤러를 타이어의 원주면에 근접하도록 배치하고, 에어 실린더를 통해 복수 개의 롤러를 타이어의 원주면에 접하도록 조정한 후, 이를 구동하여 타이어가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나이프를 통해 타이어의 식출고무를 제거할 수 있는 타이어 식출고무 제거장치가 사용되었다.
즉, 종래에는 복수 개의 롤러를 에어 실린더를 통해 타이어의 원주면에 접촉시켜 타이어를 회전시킴으로써, 구동장치를 통해 타이어를 직접적으로 회전시키지 않고, 단지, 복수 개로 이루어진 롤러의 회전력만으로 타이어를 간접적으로 회전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타이어 식출고무 제거장치는 복수 개의 롤러가 에어 실린더를 통해 타이어의 원주면에 접촉하되, 에어 실린더는 복수 개의 롤러의 구동 시 타이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복수 개의 롤러를 타이어의 내측으로 가압하여 타이어와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타이어의 형상이 연성에 따라 정원형의 형상이 유지되지 않고, 타원형의 형상으로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타이어 식출고무 제거장치는 식출고무의 제거가 이루어 질 타이어의 단면높이가 다르게 적용될 경우, 각 롤러가 타이어에 접하도록 에어 실린더의 공기압을 재조정해야만 하고, 타이어의 회전 시 원심력에 의해 발생한 진동이 롤러를 통해 에어 실린더에 전해져 복수 개의 롤러가 타이어로부터 이격되거나 타이어를 회전시키지 못하여 식출고무의 제거가 정확히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타이어 식출고무 제거장치는 타이어의 회전이 정확히 이루어지지 않고, 식출고무의 제거 또한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타이어의 외관 품질이 저하되어 제품의 불량률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타이어 식출고무 제거장치는 복수 개의 롤러와 이에 접하여 회전하는 타이어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열을 줄이기 위하여 마찰부위에 직접 유성 오일을 도포하였는데, 이는 식출고무 제거 후 처리가 곤란하여 작업시설 및 환경오염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10-1137204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스핀들이 타이어와 동일한 회전 중심축을 가지고, 스핀들의 결합 시 타이어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타이어의 원형을 유지하며, 스핀들의 회전력이 타이어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도록 하여 회전 시 타이어가 정원을 유지하고, 이를 통해 정밀한 식출고무의 제거가 가능한 타이어 식출고무 트리밍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식출고무 트리밍장치는 타이어가 안착되고 상기 타이어를 회전시키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를 통해 회전되는 상기 타이어로부터 식출고무를 제거하는 트리밍부, 그리고 상기 회전부를 상기 타이어의 회전 중심축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타이어의 일측 및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타이어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타이어에 밀착되어 상기 타이어를 고정시킨 후 공기를 주입하여 타이어의 원형을 유지하고 회전력을 발생시켜 상기 타이어를 회전 시키되, 상기 타이어의 회전 중심축과 동일한 회전 중심축을 가지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회전부와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와 함께 상기 타이어의 회전 중심축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는 가이드 축, 상기 가이드 축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 축을 이동시키는 제1 동력장치, 그리고 상기 회전부와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 축 상에서 상기 회전부를 이동시키는 제2 동력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부는 상기 타이어의 회전 중심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타이어에 밀착되는 림 및 상기 림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스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는 상기 타이어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회전부, 그리고 상기 타이어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어의 고정 시 상기 제1 회전부 또는 상기 제2 회전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타이어 측으로 선택적으로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부 및 상기 제2 회전부는 회전 시 선택적으로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삭제
삭제
상기 제1 동력장치는 공기압 또는 유압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가이드 축에 압력을 전달하여 상기 가이드 축을 이동시키는 실린더이고, 상기 제2 동력장치는 제어신호를 통해 구동되어 상기 가이드 축 상에서 상기 회전부를 이동시키는 서보모터일 수 있다.
상기 타이어를 상기 회전부 측으로 이송시켜 상기 타이어의 회전 중심축과 상기 회전부의 회전 중심축을 일치시키고 선택적으로 상승 및 하강되는 컨베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리밍부는 상기 타이어의 트레드부의 식출고무를 제거하기 위한 트레드 커팅부, 그리고 상기 타이어의 숄더부 및 사이드부의 식출고무를 제거하기 위한 사이드 커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드 커팅부는 상기 트레드부의 식출고무를 제거하는 트레드 나이프, 상기 트레드 나이프가 수직이동 및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트레드 나이프 이동부, 그리고 상기 트레드 나이프 이동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트레드 커팅부 동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커팅부는 상기 사이드부 및 상기 숄더부의 식출고무를 제거하는 사이드 나이프, 상기 사이드 나이프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 상기 사이드 나이프가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사이드 나이프 이동부, 그리고 상기 각도조절부 및 상기 사이드 나이프 이동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사이드 커팅부 동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핀들에 연결된 림이 타이어를 고정시켜 타이어의 내측에 공기를 주입하여 타이어의 원형을 유지하고 스핀들과 타이어가 동일한 회전 중심축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스핀들이 타이어를 직접적으로 회전시켜 회전 시 타이어가 편심되지 않고 정원형의 형상을 유지하여 식출고무의 제거가 정확히 이루어져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림이 타이어의 일측 및 타측에 밀착되어 타이어를 고정함과 동시에 타이어와 함께 회전됨으로써, 회전 시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하여 림이 타이어로부터 이격되어 타이어의 고정이 해제되지 않고, 단면높이가 다른 규격의 타이어에도 적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타이어와 타이어를 회전시키는 장치 간의 마찰열의 발생을 줄이기 위해 타이어의 표면에 도포하는 유성 오일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주변 작업환경이 개선되어 작업자의 작업능률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식출고무 트리밍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식출고무 트리밍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식출고무 트리밍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식출고무 트리밍장치의 회전부가 직선 이동하여 타이어를 고정시키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식출고무 트리밍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식출고무 트리밍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식출고무 트리밍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식출고무 트리밍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식출고무 트리밍장치의 회전부가 직선 이동하여 타이어를 고정시키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식출고무 트리밍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식출고무 트리밍장치(100)(이하 '타이어 식출고무 트리밍장치(100)'라 함)는 회전부(10)를 포함한다.
회전부(10)는 타이어(T)가 안착되고, 안착된 타이어(T)를 고정하여 회전시킨다.
더 자세하게는, 회전부(10)는 림(rim)(10a) 및 림(10a)과 동일한 중심축을 가지도록 림(10a)과 결합되는 스핀들(10b)(spindle)을 포함하며, 타이어(T)의 회전 중심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타이어(T)에 밀착되는 림(10a)을 통해 타이어(T)를 고정 시킨 후, 림(10a)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스핀들(10b)을 통해 타이어(T)를 회전시킨다.
예시적으로, 본 타이어 식출고무 트리밍장치(100)에 적용되는 림(10a)은 차량의 휠을 구성하는 림과 동일한 방식으로 타이어(T)에 밀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본 타이어 식출고무 트리밍장치(100)의 림(10a)은 원판형으로 타이어(T)의 중심부의 외면, 즉, 후술할 타이어(T)의 사이드부에 밀착되어 타이어(T) 내부의 공기압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이때, 회전부(10)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 및 도3을 참조하면, 회전부(10)는 타이어(T)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회전부(11), 그리고 타이어(T)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회전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회전부(11) 및 제2 회전부(13)는 상기한 림(10a)과 스핀들(10b)을 동일하게 구비하고 있다.
즉, 본 타이어 식출고무 트리밍장치(100)의 회전부(10)는 타이어(T)의 일측 및 타측에 배치되고, 타이어(T) 측으로 이동하여 림(10a)을 통해 타이어(T)에 밀착되어 타이어(T)를 고정 시킨 후, 림(10a)에 결합된 스핀들(10b)을 통하여 회전력을 발생시켜 타이어(T)를 회전시키되, 타이어(T)의 회전 중심축과 동일한 회전 중심축을 가진다.
더 자세하게는, 타이어(T)의 일측에는 제1 회전부(11)가 배치되고, 타이어(T)의 타측에는 제2 회전부(13)가 배치되어 타이어(T)의 회전 중심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타이어(T)를 고정 시킨 후, 회전력을 발생시켜 타이어(T)를 회전 시킨다.
이때, 타이어(T)의 고정 시 제1 회전부(11) 또는 제2 회전부(13) 중 적어도 하나는 타이어(T) 측으로 선택적으로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타이어(T)가 제1 회전부(11) 및 제2 회전부(13)와 동일한 회전 중심축을 갖는 위치에 다다르면(도 2의 (a)), 제1 회전부(11)가 타이어(T) 측으로 이동하여 타이어(T)의 일측에서 타이어(T)를 가압하여 제1 회전부(11) 및 제2 회전부(13)에 구비된 림(10a)에 타이어(T)를 밀착시켜 타이어(T)를 고정시킬 수 있다(도 2의 (b)).
이와는 반대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타이어(T)가 제1 회전부(11) 및 제2 회전부(13)와 동일한 회전 중심축을 갖는 위치에 다다르면, 제2 회전부(13)가 타이어(T) 측으로 이동하여 타이어(T)의 타측에서 타이어(T)를 가압하여 제1 회전부(11) 및 제2 회전부(13)에 구비된 림(10a)에 타이어(T)를 밀착시켜 타이어(T)를 고정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적용되는 타이어(T)의 규격, 타이어(T)에 형성된 식출고무의 위치 등과 같은 외부 요인 및 사용상 필요에 따라 적합한 방법으로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회전부(11) 및 상기 제2 회전부(13)는 회전 시 선택적으로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시적으로, 타이어(T)를 고정하고 있는 제1 회전부(11) 및 제2 회전부(13) 중 제1 회전부(11)가 구동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킬 경우, 제2 회전부(13)는 구동되지 않고 제1 회전부(11)의 회전력을 통해 제1 회전부(11)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방법으로 제2 회전부(13)가 회전될 경우 제1 회전부(11)는 구동되지 않고 제2 회전부(13)의 회전력을 통해 회전될 수 있다.
즉, 제1 회전부(11) 및 제2 회전부(13)는 각 스핀들(10b)이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제1 회전부(11) 및 제2 회전부(13)의 각 스핀들(10b)을 구동시키는 별도의 동력발생장치(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타이어 식출고무 트리밍장치(100)는 회전부(10)를 타이어(T)의 회전 중심축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는 이송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한 타이어(T)의 회전 중심축 방향의 일측 및 타측에 배치되어 타이어(T) 측으로 선택적으로 이동이 가능한 제1 회전부(11) 및 제2 회전부(13)는 이송부(30)를 통하여 타이어(T) 측으로 직선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이송부(30)는 제1 회전부(11) 또는 제2 회전부(13) 중 어느 하나에 적용되도록 구비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회전부(11)에 이송부(30)가 적용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송부(30)는 회전부(10)와 결합되어 회전부(10)와 함께 타이어(T)의 회전 중심축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는 가이드 축(31), 가이드 축(31)에 연결되어 가이드 축(31)을 이동시키는 제1 동력장치(33), 그리고 회전부(10)와 연결되어 가이드 축(31) 상에서 회전부(10)를 이동시키는 제2 동력장치(35)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가이드 축(31)은 제1 회전부(11)를 관통하도록 제1 회전부(11)와 결합되고, 가이드 축(31)의 선단은 제2 회전부(13) 측으로 직선 이동되어 제2 회전부(13)의 스핀들(10b)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축(31)의 선단에는 복수개의 홀이 형성되어 제2 회전부(13)의 스핀들(10b)과 결합 시, 제2 회전부(13)의 스핀들(10b)의 내측에 형성된 유로를 통해 유입되는 압축공기를 타이어(T) 내부로 주입시킬 수 있다.
또한, 이송부(30)의 제1 동력장치(33)는 공기압 또는 유압 중 어느 하나를 통해 가이드 축(31)에 압력을 전달하여 가이드 축(31)을 직선 이동시키는 실린더이고, 제2 동력장치(35)는 제어신호를 통해 구동되어 가이드 축(31) 상에서 회전부(10)를 이동시키는 서보모터일 수 있다.
즉, 제1 회전부(11)는 제1 동력장치(33)를 통해 구동되는 가이드 축(31)을 통해 직선 이동되어 제2 회전부(13)와 결합된 후, 제2 동력장치(35)를 통해 가이드 축(31) 상에서 이동되어 타이어(T)에 밀착되어 타이어(T)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타이어 식출고무 트리밍장치(100)는 컨베이어(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타이어 식출고무 트리밍장치(100)는 타이어(T)를 회전부(10) 측으로 이송시켜 타이어(T)의 회전 중심축과 회전부(10)의 회전 중심축을 일치시키고 선택적으로 상승 및 하강되는 컨베이어(40)를 포함할 수 있다.
컨베이어(40)는 인입된 타이어(T)를 식출고무 제거가 이루어질 작업위치로 이동시키고, 식출고무 제거 작업이 종료된 타이어(T)를 외부로 인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컨베이어(40)는 상승 및 하강되는 구조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즉, 컨베이어(40)는 타이어(T)의 회전 중심축과 회전부(10)의 회전 중심축이 일치될 수 있도록 인입된 타이어(T)를 식출고무 제거가 이루어질 작업위치로 이동시킨 후, 제1 회전부(11) 또는 제2 회전부(13) 중 어느 하나의 림(10a)에 타이어(T)가 접할 수 있도록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회전부(13)가 고정되고 제1 회전부(11)가 이송부(30)를 통해 이동되는 본 실시예에서는, 컨베이어(40)는 타이어(T)를 제1 회전부(11) 및 제2 회전부(13)의 회전 중심축과 일치되도록 이송시킨 후, 타이어(T)의 타측면이 제2 회전부(13)의 림(10a)에 접할 수 있도록 하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회전부(11)는 이송부(30)를 통해 타이어(T) 측으로 직선 이동하여 타이어(T)를 일측에서 가압하여 타이어(T)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식출고무 트리밍장치(100)는 트리밍(trimming)부를 포함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트리밍부(20)는 회전부(10)를 통해 회전되는 타이어(T)로부터 식출고무를 제거한다.
더 자세하게는, 트리밍부(20)는 차량의 주행 시 노면에 접하는 타이어(T)의 트레드(tread)부의 식출고무를 제거하기 위한 트레드 커팅부(21), 그리고 트레드부와 사이드부의 경계부위로 트레드부로부터 연장되어 라운드지게 형성된 숄더(shoulder)부 및 숄더부로부터 연장되어 타이어(T)의 옆면을 형성하는 사이드(side)부의 식출고무를 제거하기 위한 사이드 커팅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트레드 커팅부(21)는 트레드부의 식출고무를 제거하는 트레드 나이프(211), 트레드 나이프(211)가 수직이동 및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트레드 나이프 이동부(213), 그리고 트레드 나이프 이동부(213)에 동력을 전달하는 트레드 커팅부 동력장치(215)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이드 커팅부(23)는 사이드부 및 숄더부의 식출고무를 제거하는 사이드 나이프(231), 사이드 나이프(231)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233), 사이드 나이프(231)가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사이드 나이프 이동부(235), 그리고 각도조절부(233) 및 사이드 나이프 이동부(235)에 동력을 전달하는 사이드 커팅부 동력장치(237)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트레드 커팅부(21)는 트레드 커팅부 동력장치(215)의 구동을 통하여 트레드 나이프 이동부(213)에 동력이 전달됨으로써, 트레드 나이프(211)가 타이어(T)의 트레드부 측으로 수평이동 하고, 타이어(T)의 트레드부의 폭에 맞게 수직이동되어 트레드부의 식출고무 제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커팅부(23)는 사이드 커팅부 동력장치(237)의 구동을 통하여 사이드 나이프 이동부(235)에 동력이 전달됨으로써, 사이드 나이프(231)가 타이어(T)의 숄더 및 사이드부 측으로 이동 하고, 각도조절부(233)를 통해 숄더 및 사이드부의 식출고무 제거 위치에 적합한 각도로 조절되어 숄더 및 사이드부의 식출고무 제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간의 작용 및 작용 효과에 대하여 알아본다.
도 2를 참조하면, 컨베이어(40)를 통해 타이어(T)가 제1 회전부(11) 및 제2 회전부(13)의 회전 중심축과 동일한 위치로 이송된 후, 타이어(T)의 타측(타측 사이드부)에 제2 회전부(13)의 림(10a)이 접하도록 하강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컨베이어(40)의 하강이 완료된 후, 제1 회전부(11)와 결합된 이송부(30)의 가이드 축(31)이 제1 동력장치(33)를 통해 이동하여 제2 회전부(13)의 스핀들(10b)과 결합된다. 이송부(30)의 가이드 축(31)과 제2 회전축의 스핀들(10b)의 결합이 완료된 후, 제1 회전부(11)의 스핀들(10b)이 이송부(30)의 제2 동력장치(35)를 통해 가이드 축(31) 상에서 직선이동하여 타이어(T)의 일측(일측 사이드부)에 림(10a)이 접하도록 가압한다. 이때, 제1 회전부(11)의 스핀들(10b)은 인입된 상기 타이어(T)의 정보를 외부 정보장치(도시되지 않음)로부터 미리 입력받아 타이어(T) 측으로 이동 시 타이어(T)의 정해진 규격에 맞춰 이동될 수 있다. 제1 회전부(11)의 가압으로 제1 회전부(11) 및 제2 회전부(13)의 림(10a)이 타이어(T)에 완전히 밀착되어 타이어(T)를 내측으로 가압하여 타이어(T)를 고정시킨다. 타이어(T)의 고정이 완료된 후, 제2 회전부(13)의 스핀들(10b)과 결합되어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된 이송부(30)의 가이드 축(31)의 선단을 통해 제2 회전부(13)의 스핀들(10b)의 내부로 유입되는 압축 공기를 타이어(T) 내부에 주입하여 타이어(T) 내부의 공기압을 유지시킨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타이어(T)의 고정 및 타이어(T)의 내부에 공기 주입이 완료된 후, 제2 회전부(13)의 스핀들(10b)이 회전력을 발생하여 타이어(T) 및 제1 스핀들(10b)을 동시에 회전시킨다. 타이어(T)가 회전됨에 따라, 트리밍부(20)의 트레드 커팅부(21)가 타이어(T)의 트레드부 측으로 이동하여 타이어(T)의 규격에 따라 트레드 나이프(211)를 이동시켜 트레드부의 식출고무를 제거한다. 그리고, 트리밍부(20)의 사이드 커팅부(23)가 타이어(T)의 숄더부 및 사이드부 측으로 이동하여 타이어(T)의 규격에 따라 사이드 나이프(231)의 각도를 조절하여 숄더 및 사이드부의 식출고무를 제거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타이어 식출고무 트리밍장치(100)는 스핀들(10b)에 연결된 림(10a)이 타이어(T)를 고정시키고 스핀들(10b)과 타이어(T)가 동일한 회전 중심축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스핀들(10b)이 타이어(T)를 직접적으로 회전시켜 회전 시 타이어(T)가 편심되지 않고 정원형의 형상을 유지하여 식출고무의 제거가 정확히 이루어져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림(10a)이 타이어(T)의 일측 및 타측에 밀착되어 타이어(T)를 고정함과 동시에 타이어(T)와 함께 회전됨으로써, 회전 시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하여 림(10a)이 타이어(T)로부터 이격되어 타이어(T)의 고정이 해제되지 않고, 단면높이가 다른 규격의 타이어(T)에도 적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타이어(T)와 타이어(T)를 회전시키는 장치 간의 마찰열의 발생을 줄이기 위해 타이어(T)의 표면에 도포하는 유성 오일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주변 작업환경이 개선되어 작업자의 작업능률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타이어 식출고무 트리밍장치
10. 회전부 10a. 림
10b. 스핀들
11. 제1 회전부 13. 제2 회전부
20. 트리밍부
21. 트레드 커팅부
211. 트레드 나이프
213. 트레드 나이프 이동부
215. 트레드 커팅부 동력장치
23. 사이드 커팅부
231. 사이드 나이프
233. 각도조절부
235. 사이드 나이프 이동부
237. 사이드 커팅부 동력장치
30. 이송부
31. 가이드 축
33. 제1 동력장치
35. 제2 동력장치
40. 컨베이어
T. 타이어

Claims (11)

  1. 타이어가 안착되고 상기 타이어를 회전시키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를 통해 회전되는 상기 타이어로부터 식출고무를 제거하는 트리밍부, 그리고
    상기 회전부를 상기 타이어의 회전 중심축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타이어의 일측 및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타이어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타이어에 밀착되어 상기 타이어를 고정시킨 후 공기를 주입하여 타이어의 원형을 유지하고 회전력을 발생시켜 상기 타이어를 회전 시키되,
    상기 타이어의 회전 중심축과 동일한 회전 중심축을 가지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회전부와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와 함께 상기 타이어의 회전 중심축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는 가이드 축,
    상기 가이드 축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 축을 이동시키는 제1 동력장치, 그리고
    상기 회전부와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 축 상에서 상기 회전부를 이동시키는 제2 동력장치를 포함하는 타이어 식출고무 트리밍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타이어의 회전 중심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타이어에 밀착되는 림 및 상기 림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스핀들을 포함하는 타이어 식출고무 트리밍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타이어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회전부, 그리고
    상기 타이어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어의 고정 시 상기 제1 회전부 또는 상기 제2 회전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타이어 측으로 선택적으로 이동이 가능한 타이어 식출고무 트리밍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제1 회전부 및 상기 제2 회전부는 회전 시 선택적으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타이어 식출고무 트리밍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서,
    상기 제1 동력장치는 공기압 또는 유압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가이드 축에 압력을 전달하여 상기 가이드 축을 이동시키는 실린더이고,
    상기 제2 동력장치는 제어신호를 통해 구동되어 상기 가이드 축 상에서 상기 회전부를 이동시키는 서보모터인 타이어 식출고무 트리밍장치.
  8. 제1항에서,
    상기 타이어를 상기 회전부 측으로 이송시켜 상기 타이어의 회전 중심축과 상기 회전부의 회전 중심축을 일치시키고 선택적으로 상승 및 하강되는 컨베이어를 더 포함하는 타이어 식출고무 트리밍장치.
  9. 제1항에서,
    상기 트리밍부는
    상기 타이어의 트레드부의 식출고무를 제거하기 위한 트레드 커팅부, 그리고
    상기 타이어의 숄더부 및 사이드부의 식출고무를 제거하기 위한 사이드 커팅부를 포함하는 타이어 식출고무 트리밍장치.
  10. 제9항에서,
    상기 트레드 커팅부는
    상기 트레드부의 식출고무를 제거하는 트레드 나이프,
    상기 트레드 나이프가 수직이동 및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트레드 나이프 이동부, 그리고
    상기 트레드 나이프 이동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트레드 커팅부 동력장치를 포함하는 타이어 식출고무 트리밍장치.
  11. 제9항에서,
    상기 사이드 커팅부는
    상기 사이드부 및 상기 숄더부의 식출고무를 제거하는 사이드 나이프,
    상기 사이드 나이프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
    상기 사이드 나이프가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사이드 나이프 이동부, 그리고
    상기 각도조절부 및 상기 사이드 나이프 이동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사이드 커팅부 동력장치를 포함하는 타이어 식출고무 트리밍장치.
KR1020130007153A 2013-01-22 2013-01-22 타이어 식출고무 트리밍장치 KR101439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7153A KR101439396B1 (ko) 2013-01-22 2013-01-22 타이어 식출고무 트리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7153A KR101439396B1 (ko) 2013-01-22 2013-01-22 타이어 식출고무 트리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4385A KR20140094385A (ko) 2014-07-30
KR101439396B1 true KR101439396B1 (ko) 2014-09-11

Family

ID=51740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7153A KR101439396B1 (ko) 2013-01-22 2013-01-22 타이어 식출고무 트리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93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9304B1 (ko) 2017-11-08 2019-03-12 세창엔터프라이즈(주) 타이어 자동 트리밍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02613B (zh) * 2019-12-17 2020-12-29 联亚智能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缠绕环装置、缠绕装置及胎圈缠绕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0610A (ja) 2001-09-11 2003-03-19 Yokohama Rubber Co Ltd:The タイヤトリミング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3326610A (ja) 2002-05-10 2003-11-19 Yokohama Rubber Co Ltd:The タイヤ加硫成形後における後加硫・タイヤ仕上げ・測定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137204B1 (ko) 2010-04-12 2012-04-19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의 비드 토우 트리밍 장치
JP2012201001A (ja) 2011-03-25 2012-10-22 Bridgestone Corp タイヤのトリミング方法とその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0610A (ja) 2001-09-11 2003-03-19 Yokohama Rubber Co Ltd:The タイヤトリミング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3326610A (ja) 2002-05-10 2003-11-19 Yokohama Rubber Co Ltd:The タイヤ加硫成形後における後加硫・タイヤ仕上げ・測定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137204B1 (ko) 2010-04-12 2012-04-19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의 비드 토우 트리밍 장치
JP2012201001A (ja) 2011-03-25 2012-10-22 Bridgestone Corp タイヤのトリミング方法とその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9304B1 (ko) 2017-11-08 2019-03-12 세창엔터프라이즈(주) 타이어 자동 트리밍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4385A (ko) 2014-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11614B1 (en) Milling apparatus
KR100971729B1 (ko) 타이어의 흡음재 부착 장치
CN105436898A (zh) 一种环形件的倒角滚切复合机
KR101439396B1 (ko) 타이어 식출고무 트리밍장치
ITVE20110025A1 (it) Macchina molatrice tangenziale.
WO2011025499A1 (en) Tread de-molding system
US10377058B2 (en) Mold for rubber article
KR20150027074A (ko) 베이스 타이어에 트레드 링을 장착하기 위한 장치 및 갱생 타이어의 제조 방법
CN104307954B (zh) 一种适用于大型槽轮可切除毛边的旋压机
CN109676935B (zh) 一种原材料的融合装置
CN205237516U (zh) 一种环形件的倒角滚切复合机
KR102121376B1 (ko) 그린타이어 성형용 트랜스퍼 링의 그립퍼 및 그 제어방법
EP2415589A2 (en) Air bellow press machine operable on vertical and horizontal planes
JP5415987B2 (ja) タイヤ製造装置及びタイヤ製造方法
KR101921889B1 (ko) 타이어 흡음재 부착장치
KR100593036B1 (ko) 타이어 성형기의 벨트 반제품 커팅 장치
JP2008307749A (ja) 更生タイヤ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101610229B1 (ko) 타이어 탈부착장치
CN108437066B (zh) 一种超声波裁断装置及裁断方法
KR20080114308A (ko) 엔드리스 캡플라이 절단장치
TW201429697A (zh) 形成一環狀填充膠的裝置及其方法
CN111070262A (zh) 一种基于车用环保橡胶智能自动化制备的生产工艺
CN219947471U (zh) 纸盖成型机
KR100572366B1 (ko) 재생타이어용 버핑 머신
CN111331890B (zh) 环保轮胎的制造装置及环保轮胎的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