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4059B1 - 양면 조리팬 - Google Patents

양면 조리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4059B1
KR101634059B1 KR1020160005938A KR20160005938A KR101634059B1 KR 101634059 B1 KR101634059 B1 KR 101634059B1 KR 1020160005938 A KR1020160005938 A KR 1020160005938A KR 20160005938 A KR20160005938 A KR 20160005938A KR 101634059 B1 KR101634059 B1 KR 101634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cooking
fans
reinforcing plate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5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상은
Original Assignee
배상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상은 filed Critical 배상은
Priority to KR1020160005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40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4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4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 A47J37/101Integrated lids
    • A47J37/103Broiling- or heating-l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 A47J37/101Integrated l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7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hinge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F21V31/005Sealing arrangemen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202/00Devices having temperature indic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1Outdoor lighting of tunnels or the like, e.g. under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면으로 열을 공급하여 음식을 조리할 수 있는 양면 조리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내부에 조리물이 안착되며, 사각형태의 단턱이 돌출되어 조리물을 가압하는 제1조리부가 구성되고, 제1조리부와 테두리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는 제1이격부가 형성되며, 테두리의 상부로 돌부가 형성되고, 일측으로 제1손잡이가 마련되고,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1팬; 내부에 조리물을 수용하며, 상기 제1팬의 제1조리부에 대응되도록 사각 형태의 단턱이 돌출되어 조리물을 가압함으로서 제1조리부와 함께 조리물의 외측을 가압하여 조리시키는 제2조리부가 구성되고, 제2조리부와 테두리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는 제2이격부가 형성되며, 테두리의 하부로 제1팬의 돌부가 인입되는 인입부가 형성되고, 일측으로 제2손잡이가 마련되고,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2팬; 상기 제1팬과 제2팬의 제1, 2손잡이가 마련되는 타측에서 제1, 2팬의 힌지회동을 수행하여 제1, 2팬의 밀폐 또는 개방작용을 도모하는 힌지수단; 상기 제1팬과 제2팬의 외측면으로 구비되며, 스테인레스 재질인 보강판;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조리팬을 제공한다.
따라서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지는 보강판이 제1, 2팬의 외측면으로 구비됨으로서 알루미늄 재질인 제1, 2팬에 직접 열원이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1, 2팬의 파손을 최소화하면서도 조리기구의 열이 보강판을 거쳐 제1, 2팬에 전달하도록 하여 조리물이 수용되어 있는 제1, 2팬에 열기가 직접 닿지 않도록 하므로 조리물이 쉽게 타지 않고 균일한 조리가 이루어져 양질의 음식을 조리할 수 있어 알루미늄과 스테인리스의 장점을 극대화시키는 양면 조리팬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양면 조리팬{Two faces flying pan}
본 발명은 양면으로 열을 공급하여 음식을 조리할 수 있는 양면 조리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 하부로 구분되는 제1, 2팬의 외측면에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지는 보강판이 구비되는 양면 조리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라이팬은 기름을 두르고 여러 가지 필요한 음식을 지지거나 부쳐 만드는 운두가 높지 않은 넓적한 냄비로서, 가정 또는 음식점의 주방에서 조리를 하기 위해 많이 사용한다.
이러한 프라이팬에서 조리되는 요리는 보통 구이류이며, 이러한 구이류를 조리할 때에는 기름, 수분 등의 액체나 굽는 냄새가 개방된 부위로 튀어나와 실내로 퍼지게 된다.
따라서 주방이 지저분해지고 집안에 냄새가 배이고 열효율이 낮아지기 때문에 조리 시간이 길어지고, 구이류에 함유된 수분을 거의 외부로 비산시키게 되므로 맛과 영양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 통상 신문지, 뚜껑 등과 같은 덮개를 사용하지만 구이류를 뒤집기 위해서는 덮개를 열어야 되므로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못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근래에는 프라이팬을 뒤집지 않고 조리를 수행할 수 있는 양면 프라이팬이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양면 프라이팬은 내측에 빈 공간이 형성되며 일측으로 손잡이가 마련된 하부팬과, 이 하부팬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으로 손잡이가 마련된 상부팬과, 이 상부팬과 하부팬의 후방부를 접철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부재를 갖추고 있다.
따라서 하부팬에 조리물을 넣고 상부팬을 접으면, 조리물은 상부팬을 통해 덮혀진 상태에서 조리가 수행된다.
그리고 상, 하부팬의 손잡이를 잡고서 이를 상하로 뒤집으면 상부팬과 하부팬의 상하 위치가 뒤바뀌며, 이로 인해 조리물을 보다 편리하게 조리할 수 있으면서도 조리할 때 발생되는 기름, 수분 등의 액체나 굽는 냄새가 개방된 부위로 튀어나와 실내로 퍼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 또한 상기 양면 프라이팬의 개량을 제시한 것이며,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샌드위치 및 토스트의 외측을 가압하여 내용물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샌드위치 및 토스트 전용으로 조리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조리되는 부위의 열전달을 균일하게 하여 양질의 조리가 이루어지게 하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50158호(2002.08.27)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65210호(2005.01.1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지는 보강판이 제1, 2팬의 외측면에 구비됨으로서 알루미늄 재질인 제1, 2팬에 직접 열원이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1, 2팬의 파손을 최소화하면서도 조리기구의 열이 보강판을 거쳐 제1, 2팬에 전달하도록 하여 조리물이 수용되어 있는 제1, 2팬에 균일한 조리가 이루어져 양질의 음식을 조리할 수 있어 알루미늄과 스테인리스의 장점을 극대화시키는 양면 조리팬을 제공하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제1, 2팬 외측면과 보강판 사이의 공기층에 의해 전도열이 유동, 배출됨으로서 조리물이 놓여진 제1, 2팬의 온도가 지속적으로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여 조리물을 태우지 않는 일정한 온도로 유지됨으로서 음식물을 태우지 않고 은근히 익힐 수 있어 조리가 편리하게 이루어고, 조리기구의 대류열의 팽창력에 의해 제1, 2팬이 변형 또는 균열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조리물이 안착되며, 사각형태의 단턱이 돌출되어 조리물을 가압하는 제1조리부가 구성되고, 제1조리부와 테두리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는 제1이격부가 형성되며, 테두리의 상부로 돌부가 형성되고, 일측으로 제1손잡이가 마련되고,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1팬; 내부에 조리물을 수용하며, 상기 제1팬의 제1조리부에 대응되도록 사각 형태의 단턱이 돌출되어 조리물을 가압함으로서 제1조리부와 함께 조리물의 외측을 가압하여 조리시키는 제2조리부가 구성되고, 제2조리부와 테두리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는 제2이격부가 형성되며, 테두리의 하부로 제1팬의 돌부가 인입되는 인입부가 형성되고, 일측으로 제2손잡이가 마련되고,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2팬; 상기 제1팬과 제2팬의 제1, 2손잡이가 마련되는 타측에서 제1, 2팬의 힌지회동을 수행하여 제1, 2팬의 밀폐 또는 개방작용을 도모하는 힌지수단; 상기 제1팬과 제2팬의 외측면으로 구비되며, 스테인레스 재질인 보강판;이 포함되고, 상기 제1, 2팬 외측면에는 상부로 돌출되어 보강판에 체결되는 다수의 돌기부가 배열되고, 상기 보강판은 돌기부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다수 형성되고, 음각 형태의 홈부가 다수 배열되어 보강판과 제1, 2팬 외측면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고, 상기 보강판에 체결되는 돌기부의 상측을 프레스가공하여 돌기부의 상측이 보강판의 상측 표면에 압착되어 보강판을 고정하고, 상기 제1, 2조리부의 내측 바닥면으로 양각인 십자(+) 형태의 구획부가 상호 대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팬의 제1이격부에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 내부에 제1, 2팬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수단이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제1이격부의 표면과 수평선상으로 동일하게 위치되도록 요홈 상측에 안착되어 요홈 내부에 구비된 온도측정수단을 관찰할 수 있도록 내열강화유리로 이루어지는 투시창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조리팬을 제공한다.
삭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지는 보강판이 제1, 2팬의 외측면에 구비됨으로서 알루미늄 재질인 제1, 2팬에 직접 열원이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1, 2팬의 파손을 최소화하면서도 조리기구의 열이 보강판을 거쳐 제1, 2팬의 내부에 전달하도록 하여 조리물이 수용되어 있는 제1, 2팬에 열기가 직접 닿지 않도록 하므로 조리물이 쉽게 타지 않고 균일한 조리가 이루어져 양질의 음식을 조리할 수 있어 알루미늄과 스테인리스의 장점을 극대화시키는 양면 조리팬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2팬의 외측면과 보강판 사이의 공기층에 의해 전도열이 유동, 배출됨으로서 조리물이 놓여진 제1, 2팬의 온도가 지속적으로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여 조리물을 태우지 않는 일정한 온도로 유지됨으로서 음식물을 태우지 않고 은근히 익힐 수 있어 조리가 편리하게 이루어지고, 조리기구의 대류열의 팽창력에 의해 제1, 2팬이 변형 또는 균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2조리부에 십자(+) 형태의 구획부가 형성되어 조리물을 조리할 때에 구획부가 표식되어 외관을 특이하게 식별하여 조리물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면서도 구획부로 구획된 조리물의 공간에 각각 내용물을 달리하여 한가지 조리물에 여러 가지 맛을 나게 하여 취식자로 하여금 다양한 맛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요홈에 구비된 온도측정수단으로 인하여 조리가 이루어지는 제1, 2팬의 내부 온도를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가 조리 과정 및 완료되는 시점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조리가 간편해지고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2, 3은 본 발명에 의한 양면 조리팬의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양면 조리팬이 작동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5, 6은 본 발명에 의한 제1, 2팬의 외측면과 보강판 사이의 공기층에 의해 전도열이 유동, 배출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돌기부의 상측을 프레스가공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8, 9는 본 발명에 의한 구획부가 형성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10, 11은 본 발명에 의하여 패킹이 형성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12, 13은 본 발명에 의하여 온도측정수단 및 투시창이 요홈이 구비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조리팬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팬(10)과 제2팬(20), 상기 제1팬(10)과 제2팬(20)의 힌지회동을 도모하는 힌지수단(30), 제1팬(10)과 제2팬(20)의 조리되는 부위에 보강되는 보강판(40)으로 구성되어진다.
제1팬(10)은 내부에 조리물이 안착되며, 사각형태의 단턱이 돌출되어 조리물을 가압하는 제1조리부(11)가 구성됨과 아울러 제1조리부(11)와 제1팬(10)의 테두리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는 제1이격부(13)가 형성되어 제1이격부(13)로 하여금 제1팬(10)의 테두리와 제1조리부(11)와의 공간이 마련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1팬(10)은 테두리의 상부로 돌부(15)가 형성되어 후술되는 제2팬(20)과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일측으로 제1손잡이(17)가 마련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2팬(20)은 제1팬(10)과 함께 양측으로 가열 가능하게 대응되도록 위치되며, 더욱 상세한 형태는 내부에 조리물을 수용하며, 상기 제1팬(10)의 제1조리부(11)에 대응되도록 사각 형태의 단턱이 돌출되어 조리물을 가압함으로서 제1조리부(11)와 함께 조리물이 외측을 가압하여 조리시키는 제2조리부(21)가 구성된다.
또한 제2조리부(21)와 제2팬(20)의 테두리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는 제2이격부(23)가 형성되며, 테두리의 외측 하부로 제1팬(10)의 돌부(15)가 인입되는 인입부(25)가 형성되어 제1, 2팬(10, 20)의 테두리가 밀폐되어 음식물을 밀폐된 상태로 조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1, 2팬(10, 20)을 통해 조리물이 조리될 때 제1, 2조리부(11, 21)에 의해 조리물의 외측이 가압되어 조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샌드위치나 토스트의 내용물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제1, 2조리부(11, 21)를 통해 조리물의 외측을 가압하지 않고 조리물을 수용시켜 조리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제1팬(10)과 제2팬(20)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져 가볍고 열 전도성이 좋은 장점을 살릴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제1팬(10)과 제2팬(20)의 내부 표면에 불소 수지나 다이아몬드, 세라믹, 티타늄 등 인체에 무해한 성분으로 코팅을 실시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힌지수단(30)은 제1팬(10)과 제2팬(20)의 제1. 2손잡이(17, 27)가 마련되는 타측에서 제1, 2팬(10, 20)의 힌지회동을 수행하여 제1, 2팬(10, 20)의 밀폐 또는 개방작용을 도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힌지수단(30)은 제1팬(10) 또는 제2팬(20)에 걸림홈(31)이 형성되고 걸림홈(31)이 형성되지 않은 제1팬(10) 또는 제2팬(20)에는 걸림홈(31)에 걸림되는 걸림부(33)가 형성되어 힌지수단(30)은 힌지회동이 이루어지면서도 상호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보강판(40)은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지며, 제1팬(10)과 제2팬(20)의 외측면에 구비된다.
즉,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지는 보강판(40)으로 하여금 열용량이 작고, 마찰과 열 등에 약한 알루미늄 재질인 제1, 2팬(10, 20)에 직접 열원이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1, 2팬(10, 20)의 파손을 최소화하면서도 조리기구의 열이 보강판(40)을 거쳐 제1, 2팬(10, 20)에 전달하도록 하여 조리물이 수용되어 있는 제1, 2팬(10, 20)에 열기가 직접 닿지 않도록 하므로 조리물이 쉽게 타지 않고 균일한 조리가 이루어져 양질의 음식을 조리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보강판(40)으로 인해 기존의 가스렌지와 같은 조리기구뿐만 아니라 최근에 각광 받고 있는 인덕션과 같은 자기장을 이용해 전기유도물질로 만들어진 용기와 반응시켜 열을 만들어내는 제품에도 균일하게 열을 전달할 수 있어 인덕션 전용용기 없이도 사용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 2팬(10, 20) 외측면에는 상부로 돌출되어 보강판(40)에 체결되는 다수의 돌기부(50)가 배열되며, 상기 돌기부(50)는 테이퍼지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보강판(40)에 돌기부(50)가 관통되는 관통공(41)이 다수 형성되고, 음각 형태의 홈부(43)가 다수 배열되어 보강판(40)과 제1, 2팬(10, 20) 외측면 사이에 공기층(45)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공기층(45)으로 조리기구의 대류열이 유동되어 전도열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외부로 방출됨으로서 공기층(45)으로 유동되는 전도열로 하여금 조리물이 놓여진 제1, 2팬(10, 20)의 온도가 지속적으로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여 조리물을 태우지 않는 일정한 온도로 유지됨으로서 음식물을 태우지 않고 은근히 익힐 수 있어 조리가 편리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공기층(45)으로 인해 전도열이 유동되면서 외부로 방출됨으로서 조리기구의 대류열의 팽창력에 의해 제1, 2팬(10, 20)이 변형 또는 균열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돌기부(50)의 형태가 테이퍼지는 형태로 이루어져 전도열의 유동이 보다 활발히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7(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판(40)을 제1팬(10)과 제2팬(20)의 외측면에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보강판(40)에 체결되는 돌기부(50)의 상측을 프레스가공하여 돌기부(50)의 상측이 보강판(40)의 상측 표면에 압착되어 보강판(40)을 고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도 8,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2조리부(11, 21)의 내측 바닥면으로 양각인 십자(+) 형태의 구획부(60)가 상호 대향되도록 형성된다.
이는 샌드위치 및 토스트과 같이 일정한 형태인 조리물을 조리할 때에 조리물에 십자(+) 형태의 구획부(60)가 표식되게 하여 외관을 특이하게 식별하여 조리물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면서도 구획부(60)로 구획된 조리물의 공간에 각각 내용물을 달리하여 한가지 조리물에 여러 가지 맛을 나게 하여 취식자로 하여금 다양한 맛을 즐길 수 있도록 하여 음식점에서는 특이한 제품을 조리하여 부가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고, 가정에서는 양질의 음식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10,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팬(10)의 테두리 부위에 안착됨과 아울러 돌부(15)를 수용하는 패킹(70)이 구비되며, 돌부(15)를 수용한 패킹(70)의 상측 부위가 제2팬(20)의 인입부(25)에 인입되어 패킹(70)으로 하여금 제1팬(10)과 제2팬(20)의 테두리를 밀폐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패킹(70)으로 인해 제1팬(10)과 제2팬(20)의 사이를 밀착하게 되므로 기밀이 잘 유지되어 조리시간 단축 및 조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도 12,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팬(10)의 제1이격부(13)에 요홈(19)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19) 내부에 제1, 2팬(10, 20)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수단(90)이 구비된다.
따라서 요홈(19)에 구비된 온도측정수단(90)으로 인하여 조리가 이루어지는 제1, 2팬(10, 20)의 내부 온도를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가 조리 과정 및 완료되는 시점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조리가 간편해지고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절약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1이격부(13)의 표면과 수평선상으로 동일하게 위치되도록 요홈(19) 상측에 안착되어 요홈(19) 내부에 구비된 온도측정수단(90)을 관찰할 수 있도록 내열강화유리로 이루어지는 투시창(100)이 구비되어 온도측정수단(90)이 고온으로 이루어지는 제1, 2팬(10, 20)의 내부에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온도측정수단(90)은 온도변화에 따라 색깔이 변하는 안료와 잉크가 혼합되어 요홈(19) 내부면의 온도 상승에 따른 열전도로 인해 원래 색깔이 다른 색깔로 변하는 변색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변색층은 특정온도에서 명료하게 변색되는 화합물, 혹은 용융하여 상태가 변화하는 화합물을 안료로 사용하여 온도 측정목적에 이용되는 것이다.
즉, 변색층에 사용되는 안료는 넓은 범위에 이르러 각종 변색점을 가지고 있어서 제1, 2팬(10, 20)의 온도 상승에 따른 열전도로 인한 온도측정의 목적으로 이용되며, 열전도에 의하여 변색된 것이 냉각에 의하여 원색으로 되돌아 오는 가역성의 안료를 사용하게 된다.
상기 변색층에 사용되는 안료는 온도의 변화시 안료의 투명성을 이용한 색 변환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삼색일 경우 1단 표면은 검정색으로 도포하고 그밑의 2단은 황색, 3단은 적색으로 도포하여 온도가 올라가면 검정색이 투명하게 됨으로서 2단의 색이 보이며, 온도가 더 올라가면 2단의 황색도 투명하게 변하여 3단의 적색이 보이게 하는 공법으로서 온도가 식으면 반대의 작용이 나타내는 것이다.
10 : 제1팬 11 : 제1조리부
13 : 제1이격부 15 : 돌부
17 : 제1손잡이 19 : 요홈
20 : 제2팬 21 : 제2조리부
23 : 제2이격부 25 : 인입부
27 : 제2손잡이 30 : 힌지수단
40 : 보강판 41 : 관통공
43 : 홈부 45 : 공기층
50 : 돌기부 60 : 구획부
70 : 패킹 90 : 온도측정수단
100 : 투시창

Claims (7)

  1. 내부에 조리물이 안착되며, 사각형태의 단턱이 돌출되어 조리물을 가압하는 제1조리부(11)가 구성되고, 제1조리부(11)와 테두리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는 제1이격부(13)가 형성되며, 테두리의 상부로 돌부(15)가 형성되고, 일측으로 제1손잡이(17)가 마련되고,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1팬(10);
    내부에 조리물을 수용하며, 상기 제1팬(10)의 제1조리부(11)에 대응되도록 사각 형태의 단턱이 돌출되어 조리물을 가압함으로서 제1조리부(11)와 함께 조리물이 외측을 가압하여 조리시키는 제2조리부(21)가 구성되고, 제2조리부(21)와 외측 테두리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는 제2이격부(23)가 형성되며, 테두리의 하부로 제1팬(10)의 돌부(15)가 인입되는 인입부(25)가 형성되고, 일측으로 제2손잡이(27)가 마련되고,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2팬(20);
    상기 제1팬(10)과 제2팬(20)의 제1, 2손잡이(17, 27)가 마련되는 타측에서 제1, 2팬(10, 20)의 힌지회동을 수행하여 제1, 2팬(10, 20)의 밀폐 또는 개방작용을 도모하는 힌지수단(30);
    상기 제1팬(10)과 제2팬(20)의 외측면으로 구비되며, 스테인레스 재질인 보강판(40);이 포함되고,
    상기 제1, 2팬(10, 20) 외측면에는 상부로 돌출되어 보강판(40)에 체결되는 다수의 돌기부(50)가 배열되고,
    상기 보강판(40)은 돌기부(50)가 관통되는 관통공(41)이 다수 형성되고, 음각 형태의 홈부(43)가 다수 배열되어 보강판(40)과 제1, 2팬(10, 20) 외측면 사이에 공기층(45)이 형성되고,
    상기 보강판(40)에 체결되는 돌기부(50)의 상측을 프레스가공하여 돌기부(50)의 상측이 보강판(40)의 상측 표면에 압착되어 보강판(40)을 고정하고,
    상기 제1, 2조리부(11, 21)의 내측 바닥면으로 양각인 십자(+) 형태의 구획부(60)가 상호 대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팬(10)의 제1이격부(13)에 요홈(19)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19) 내부에 제1, 2팬(10, 20)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수단(90)이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제1이격부(13)의 표면과 수평선상으로 동일하게 위치되도록 요홈(19) 상측에 안착되어 요홈(19) 내부에 구비된 온도측정수단(90)을 관찰할 수 있도록 내열강화유리로 이루어지는 투시창(100)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조리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팬(10)의 테두리 부위에 안착됨과 아울러 돌부(15)를 수용하는 패킹(70)이 구비되며, 돌부(15)를 수용한 패킹(70)의 상측 부위가 제2팬(20)의 인입부(25)에 인입되어 제1팬(10)과 제2팬(20)의 외측 테두리를 밀폐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조리팬.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측정수단(90)은 온도변화에 따라 색깔이 변하는 안료와 잉크가 혼합되어 요홈(19) 내부면의 온도 상승에 따른 열전도로 인해 원래 색깔이 다른 색깔로 변하는 변색층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조리팬.
KR1020160005938A 2016-01-18 2016-01-18 양면 조리팬 KR101634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5938A KR101634059B1 (ko) 2016-01-18 2016-01-18 양면 조리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5938A KR101634059B1 (ko) 2016-01-18 2016-01-18 양면 조리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4059B1 true KR101634059B1 (ko) 2016-06-27

Family

ID=56344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5938A KR101634059B1 (ko) 2016-01-18 2016-01-18 양면 조리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40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146Y1 (ko) * 2018-07-05 2018-12-19 (주)누리마루 조리용 기구를 위한 힌지 구조체 및 조리용 기구
IT202100025112A1 (it) * 2021-09-30 2023-03-30 Jessica Domenichini Padella doppia con stampi per fornelli a induzione, conchiglia e metodo di produzion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5736Y1 (ko) * 2002-02-25 2002-05-16 주식회사 해피콜 누룽지 제조장치
KR100350158B1 (ko) 2000-07-14 2002-08-27 이현삼 구이장치
KR200295881Y1 (ko) * 2002-08-08 2002-11-23 이신근 조리용 팬
KR100465210B1 (ko) 2002-10-04 2005-01-13 주식회사 해피콜 양면 사용이 가능한 후라이팬
KR101043217B1 (ko) * 2009-04-14 2011-06-21 (주)드림셰프 누룽지 구이팬
KR101073461B1 (ko) * 2011-06-07 2011-10-17 (주)드림셰프 양면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0158B1 (ko) 2000-07-14 2002-08-27 이현삼 구이장치
KR200275736Y1 (ko) * 2002-02-25 2002-05-16 주식회사 해피콜 누룽지 제조장치
KR200295881Y1 (ko) * 2002-08-08 2002-11-23 이신근 조리용 팬
KR100465210B1 (ko) 2002-10-04 2005-01-13 주식회사 해피콜 양면 사용이 가능한 후라이팬
KR101043217B1 (ko) * 2009-04-14 2011-06-21 (주)드림셰프 누룽지 구이팬
KR101073461B1 (ko) * 2011-06-07 2011-10-17 (주)드림셰프 양면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146Y1 (ko) * 2018-07-05 2018-12-19 (주)누리마루 조리용 기구를 위한 힌지 구조체 및 조리용 기구
WO2020009291A1 (ko) * 2018-07-05 2020-01-09 (주)누리마루 조리용 기구를 위한 힌지 구조체 및 조리용 기구
CN112165888A (zh) * 2018-07-05 2021-01-01 纽利马鲁有限公司 用于烹饪用具的铰链结构及烹饪用具
CN112165888B (zh) * 2018-07-05 2023-04-28 纽利马鲁有限公司 用于烹饪用具的铰链结构及烹饪用具
IT202100025112A1 (it) * 2021-09-30 2023-03-30 Jessica Domenichini Padella doppia con stampi per fornelli a induzione, conchiglia e metodo di produzio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318597B2 (en) Heating apparatus and cooking apparatus including same
US5809871A (en) Cooking apparatus
CN203182729U (zh) 多功能烹饪盒
JP2006280441A (ja) 加熱調理器
WO2007142616A2 (en) Electric cooking apparatus having interchangeable cooking inserts and method for using same
KR101634059B1 (ko) 양면 조리팬
US20140246418A1 (en) Toaster Oven with Improved Access to Cooking Cavity
US4220134A (en) Toaster/oven accessory container
KR101640726B1 (ko) 양면 프라이팬
US11499723B2 (en) Griddle cover with an integrated splatter shield
JPH072137B2 (ja) 加熱調理装置
KR20080006168U (ko) 전자렌지용 조리용기
KR101815774B1 (ko) 조리기기
KR200479981Y1 (ko) 다목적 조리 기구
KR20040087397A (ko) 다용도 양면조리팬
KR200307333Y1 (ko) 양면요리판이 구비된 전기쿠커
KR20190064952A (ko) 조리용 용기
KR200320440Y1 (ko) 다용도 양면조리팬
KR20180087057A (ko) 내열을 이용한 이중가열식 조리기구
WO2019015062A1 (zh) 微波炉烤盘
KR20190018944A (ko) 가열기기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JPH01320016A (ja) マイクロ波利用調理器具
US20150122803A1 (en) Splatter and splash guard to more uniformly heat items in microwave ovens and method therefor
AU706865B2 (en) Cooking apparatus
KR200366225Y1 (ko) 다용도 조리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