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5736Y1 - 누룽지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누룽지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5736Y1
KR200275736Y1 KR2020020005499U KR20020005499U KR200275736Y1 KR 200275736 Y1 KR200275736 Y1 KR 200275736Y1 KR 2020020005499 U KR2020020005499 U KR 2020020005499U KR 20020005499 U KR20020005499 U KR 20020005499U KR 200275736 Y1 KR200275736 Y1 KR 2002757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main
molding
container
nurungj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54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피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피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피콜
Priority to KR20200200054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57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57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5736Y1/ko

Links

Landscapes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누룽지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누룽지를 성형하는 주성형홈 둘레에 폐곡선 형태의 주커터가 형성된 누룽지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누룽지 제조장치{apparatus for making the crust of overcooked rice}
본 고안은 누룽지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누룽지를 성형하는 주성형홈 둘레에 폐곡선 형태의 주커터가 형성된 누룽지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누룽지 제조장치로서 예컨대 국내실용신안 공개번호 실1997-56796호(도 1참조) 및 실2000-4712호(도 2참조)의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누룽지 제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누룽지 제조장치(10)는 상부 가열판(11)과 하부 가열판(12)으로 이루어지며, 하부 가열판(12)의 표면에는 성형홈(17)이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부 가열판(11)의 표면과 하부 가열판(12)의 표면은 성형홈(17)을 제외하고 서로 접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이 구조로 인하여, 성형홈(17) 각각에 놓여진 성형물(통상 '밥')은 상부 가열판(11)의 표면으로부터 가압되면서 성형홈(17)에 채워진다. 채워진 후 남은 성형물은 성형홈(17)과 성형홈(17) 사이의 표면(13)으로 유동하거나 또는 외주면의 표면(15)으로 유동하여 정지하게 된다.
이들 표면(13;15)과 표면(13;15) 사이는 서로 접하고 있고 잔존물을 수용하는 장소가 없기 때문에, 표면(13;15)에 성형물이 잔류하게 되어 누룽지가 완성된 후 이 잔류물을 일일이 분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분리하더라도 그 모양이 나 탄 자국이 성형물에 남게 되어 외적 미관을 해칠 우려가 커서 판매에 악영향을미칠 수 있다.
또한, 이 잔류물은 성형홈(17)의 성형물보다 상대적으로 더 빨리 열이 전달되어 타게 된다. 이 탄 잔존물은 표면에 굳어 있어 청소하기가 힘들뿐 아니라 탄 냄새가 실내에 진동하게 된다.
특히, 외주면의 표면(15)으로 유동한 성형물이 외부로 유출된 경우에는 외관상 보기가 흉할 뿐 아니라 화염에 쉽게 그을리게 될 수 있다.
또한, 성형홈(17) 각각에 일정량의 밥을 담아야 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표면(13;15)과 표면(13;15) 사이는 서로 접하고 있기 때문에, 밥이 전체적으로 골고루 유동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만약 밥의 양이 적을 경우에는 충분히 가압될 수 없어 누룽지가 되지 않을 수 있으며, 그 양이 너무 많을 경우에는 밀폐시키기 곤란하여 열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도 2는 종래의 다른 누룽지 제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누룽지 제조장치(20)는 도 1의 누룽지 제조장치(10)와 마찬가지로 성형물이 상부 성형판(26)의 성형돌부(42)의 가압에 의해 하부 성형판(28)의 성형홈(40)을 채운다음 성형홈(40)과 성형홈(40) 사이의 표면(23)으로 유동하거나 또는 외주면의 표면(25)으로 유동하여 정지하게 되어, 전술한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완성된 성형물이 주성형홈의 형태대로 제조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한 누룽지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누룽지 제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다른 누룽지 제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누룽지 제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제1용기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을 기준으로 하여 본 닫힌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열린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도 4의 B-B선을 기준으로 하여 본 닫힌 상태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누룽지 제조장치 100a : 제1용기
100b : 제2용기 103 : 축핀
105 : 힌지부 107a,107b : 손잡이
110 : 주성형공동부 110a,110b : 주성형홈
120 : 플래쉬부 120a,120b : 요홈
140,150 : 보조성형공동부 140a,140b;150a,150b : 보조성형홈
130a : 제1표면 130b : 제2표면
160 : 주커터 170 : 보조커터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누룽지 제조장치는 일측은 축핀에 의해 결합되고 타측은 손잡이가 각각 설치된 제1용기와 제2용기; 상기 제2용기의 제2표면과 접하는 상기 제1용기의 제1표면에 소정간격으로 배치 형성된 주성형홈; 서로 접하여 상기 주성형홈을 밀폐시키도록 상기 주성형홈 둘레에 형성된 폐곡선 형태의 주커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구성을 통하여, 완성된 성형물이 주성형홈의 형태대로 제조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제1표면의 외주면에 형성된 요홈이 더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2표면이 성형물을 가압함에 따라 상기 주성형홈을 충만하고 남은 상기 성형물이 상기 요홈으로 유동되어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성형홈 사이에 보조성형홈이 더 형성됨으로서, 성형물의 유동과 수용을 보다 확대시킬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요홈과 상기 보조성형홈 사이에 보조커터가 더 형성되어 있어, 상기 보조성형홈의 성형물도 형태대로 제조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른 누룽지 제조장치는 일측은 축핀에 의해 결합되고 타측은 손잡이가 각각 설치된 제1용기와 제2용기; 상기 제1용기의 제1표면에 소정간격으로 배치 형성된 제1주성형홈; 상기 제1주형성홈 둘레에 형성된 폐곡선 형태의 제1주커터; 상기 제1주성형홈과 대응되도록 상기 제2표면에 형성된 제2주형성홈; 상기 제1주커터와 서로 접하여 상기 제1주형성홈를 밀폐시키는 제2주커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구성을 통하여, 양면 사용이 가능하여 취급이 편리해 질 수 있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누룽지 제조장치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누룽지 제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제1용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선을 기준으로 하여 본 닫힌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열린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4의 B-B선을 기준으로 하여 본 닫힌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누룽지 제조장치(100)는 크게 제1용기(100a), 제2용기(100b), 제1용기(100a)와 제2용기(100b)를 연결시키는 축핀(103), 제1용기(100a)와 제2용기(100b)에 각각 설치되는 손잡이(107a;107b)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제1용기(100a)와 제2용기(100b)의 하면 각각은 가열면(101a,101b)이고 그 상면 각각은 서로 접하는 제1표면(130a)과 제2표면(130b)으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의 누룽지 제조장치(100)는 양면 사용이 가능하다.
제1표면(130a)과 제2표면(130b)에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대응하도록 소정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주성형홈(110a;110b)이 형성되고, 이 주성형홈(110a;110b)을 둘러싸는 표면에는 폐곡선 형태의 주커터(160a;160b)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용기(100a)와 제2용기(100b)가 서로 밀폐되면, 도 5 및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커터(160a;160b)는 서로 접촉하여 주성형홈(110a;110b)을 밀폐시키면서 주성형홈(110a;110b)에 주성형공동부(110)가 형성되게 된다. 그러므로, 주성형공동부(110)의 성형물간에는 서로 분리된 채 밀폐되어 있어, 누룽지가 완성된 후에도 주성형공동부(110)의 형상대로 떼어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주커터(160a;160b)가 접촉되는 접촉면에는 실질적으로 거의 잔류물이 남아 있지 않게 되어, 그을린 재가 남지 않아 깔끔한 최종 성형물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제1표면(130a) 또는 제2표면(130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주면에는 요홈(120a) 또는 요홈(120b)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요홈(120a,120b)은 여분 공동부인 플래쉬부(120)를 형성하여 외부로 삐져나가는 일이 없이 주성형공동부(110)에 성형물이 충만하도록 한다. 이것은 형단조와 유사한 방식을 취하고 있는데, 예컨대 제1용기(100a)는 하형, 제2용기(100b)는 상형 역할을 한다.
즉, 주성형홈(110a;110b)은 밥과 같은 성형물이 놓이는 장소이며, 예컨대, 주성형홈(100a)에 성형물이 놓인 경우에는 제2용기(100b)의 제2표면(130b)이 가압면이 된다. 성형물이 가압되면, 성형물은 주성형홈(110a;110b)을 채우고 주커터(160a;160b)가 접촉되면서 주성형공동부(110)가 형성된다. 그리고, 남은 잔존성형물은 밀려서 요홈(120a,120b)에 수용되게 된다. 또한, 이 요홈(120a,120b)도 주성형홈(110a;110b)과 마찬가지로 일정한 깊이로 형성되어 있어, 이 요홈(120a,120b)에 수용된 잔류성형물은 주성형홈(110a;110b)과 같은 누룽지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성형물의 낭비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성형홈(110a)과 성형홈(110a) 사이 또는 성형홈(110b)과 성형홈(110b) 사이에 보조성형홈(140a,140b;150a,150b)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 보조성형홈(140a,140b;150a,150b)은 제1용기(100a)와 제2용기(100b)가 서로 접하여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성형공동부(140;150)를 형성하여, 다양한 모양의 누룽지와 여분의 표면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물론, 이 보조성형공동부(140;150)는 전술한 요홈(120a;120b)과 같이 플래쉬부의 역할을 행할 수 있다.
이때, 요홈(120a;120b)과 보조성형홈(140a;140b)의 경계를 이루는 표면에는 보조커터(170a;170b)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보조커터(170)도 주커터(160)와 마찬가지로 보조성형홈(140a;140b)과 요홈(120a;120b)을 분리시키면서 보조성형홈(140a;140b)을 밀폐시켜 보조성형공동부(140)를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요홈(120a;120b)의 내측 표면에는 주커터(160)와 보조커터(170)가 하나의 폐곡선의 형태를 취하여 주성형공동부(110) 또는 보조성형공동부(140)와 완전히 분리된다.
한편, 보조성형공동부(150)는 주커터(160)에 의해 주성형공동부(110)와 완전히 분리되게 된다.
축핀(103)도 용기(100a;100b)에 형성된 힌지부(105)를 연결시켜 제1용기(100a) 또는 제2용기(100b)를 개폐시킨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누룽지 제조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본 고안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누룽지 제조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주성형홈의 둘레에 폐곡선 형태의 주커터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①완성된 누룽지가 주성형홈의 형태대로 떨어질 수 있어 작업이 편리하고 모양이 깔끔하고 ②주커터간의 선접촉으로 인해 잔류물이 거의 남지 않아 타는 것을 거의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서로 접하는 표면의 외주면에 요홈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①가령 성형물이 주성형홈을 충만하고 남은 경우에도 요홈에 유동 수용되는 플래쉬부의 기능을 하여 태우지 않고 주성형홈과 같이 누룽지를 제조할 수 있고 ②요홈의 부피만큼 수용함으로 성형물의 양의 조절이 쉽고 ③특히 주성형홈에서 요홈으로 유동하는 성형물이 그 사이의 표면에 잔존하더라도 그 표면이 주커터의 접촉에 통한 분리로 인하여 잔존물이 거의 생기지 않는다.
셋째, 상기 주성형홈간의 표면에 보조성형홈이 더 형성되어 있어서, 주성형홈과 요홈을 보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넷째, 상기 요홈과 상기 보조성형홈 사이에 보조커터가 더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주커터와 같은 기능을 하게 된다.
다섯째, 제1용기와 제2용기의 표면에 각각 대응되도록 주성형홈과 주커터가 형성되어 있어서, 양면을 다 사용할 수 있어 취급이 편리해질 수 있다.

Claims (5)

  1. 일측은 축핀에 의해 결합되고 타측은 손잡이가 각각 설치된 제1용기와 제2용기;
    상기 제2용기의 제2표면과 접하는 상기 제1용기의 제1표면에 소정간격으로 배치 형성된 주성형홈;
    서로 접하여 상기 주형성홈을 밀폐시키도록 상기 주성형홈 둘레에 형성된 폐곡선 형태의 주커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누룽지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표면의 외주면에 요홈이 더 형성되어 상기 제2표면이 성형물을 가압함에 따라 상기 주성형홈을 충만하고 남은 상기 성형물이 상기 요홈으로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룽지 제조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주성형홈 사이에 보조성형홈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룽지 제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서로 접하여 상기 요홈과 상기 보조성형홈을 분리시키도록 상기 요홈과 상기 보조성형홈 사이에 보조커터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룽지 제조장치.
  5. 일측은 축핀에 의해 결합되고 타측은 손잡이가 각각 설치된 제1용기와 제2용기;
    상기 제1용기의 제1표면에 소정간격으로 배치 형성된 제1주성형홈;
    상기 제1주형성홈 둘레에 형성된 폐곡선 형태의 제1주커터;
    상기 제1주성형홈과 대응되도록 상기 제2표면에 형성된 제2주형성홈;
    상기 제1주커터와 서로 접하여 상기 제1주형성홈를 밀폐시키는 제2주커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누룽지 제조장치.
KR2020020005499U 2002-02-25 2002-02-25 누룽지 제조장치 KR2002757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499U KR200275736Y1 (ko) 2002-02-25 2002-02-25 누룽지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499U KR200275736Y1 (ko) 2002-02-25 2002-02-25 누룽지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5736Y1 true KR200275736Y1 (ko) 2002-05-16

Family

ID=73118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5499U KR200275736Y1 (ko) 2002-02-25 2002-02-25 누룽지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573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9670B1 (ko) * 2002-07-19 2004-12-03 정창구 압착누룽지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634059B1 (ko) * 2016-01-18 2016-06-27 배상은 양면 조리팬
KR101640726B1 (ko) * 2016-02-01 2016-07-18 정영묵 양면 프라이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9670B1 (ko) * 2002-07-19 2004-12-03 정창구 압착누룽지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634059B1 (ko) * 2016-01-18 2016-06-27 배상은 양면 조리팬
KR101640726B1 (ko) * 2016-02-01 2016-07-18 정영묵 양면 프라이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23902A1 (en) Container with hinged lids and method of molding the container and assembling the hinged lids on the container in the molding process
WO2006041965A3 (en) Closure for a container
CN101108530B (zh) 双色硅胶底片成型模具及其方法
MX2010006996A (es) Sistema de molde para fabricar un recipiente.
KR200275736Y1 (ko) 누룽지 제조장치
CN107985786A (zh) 一种方便打开的打包盒
JP4766593B2 (ja) 食品収納容器の製造方法
JPH072265A (ja) プラスチック蓋
KR200271123Y1 (ko) 누룽지 제조장치
KR200271124Y1 (ko) 누룽지 제조장치
TWM453467U (zh) 泡麵乾濕分離容器
WO2003032856A3 (en) Mold for forming dental prosthetics
CN209667623U (zh) 一种易脱模吐司盒
PL1686066T3 (pl) Puszka ponownie zamykana i sposób jej wytwarzania
CN219619676U (zh) 一种多功能使用的酒瓶
CN206910173U (zh) 一种保温餐碗
CN201164154Y (zh) 多功能水杯
CN218419552U (zh) 方便使用的一次性调料罐
CN220045674U (zh) 一种冲压成型的汉堡机精密金属壳体
CN213504178U (zh) 一种新型垃圾桶
JP2023089888A (ja) インスタント食品容器の湯注ぎ口開けカッタ-
CN2482915Y (zh) 双层杯
CN208392741U (zh) 一种多色拼装填粉模具
USD496227S1 (en) Container for bread
KR200326609Y1 (ko) 접철식 조리용 팬의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2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