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146Y1 - 조리용 기구를 위한 힌지 구조체 및 조리용 기구 - Google Patents
조리용 기구를 위한 힌지 구조체 및 조리용 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8146Y1 KR200488146Y1 KR2020180003093U KR20180003093U KR200488146Y1 KR 200488146 Y1 KR200488146 Y1 KR 200488146Y1 KR 2020180003093 U KR2020180003093 U KR 2020180003093U KR 20180003093 U KR20180003093 U KR 20180003093U KR 200488146 Y1 KR200488146 Y1 KR 20048814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se
- support
- cooking utensil
- lower case
- lower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1—Vessels uniquely adapted for baking
- A47J37/015—Vessels uniquely adapted for baking electrically heated
-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5/00—Baking apparatus for special goods; Other baking apparatus
-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21D13/30—Filled, to be filled or stuffed products
- A21D13/32—Filled, to be filled or stuffed products filled or to be filled after baking, e.g. sandwi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Cookers (AREA)
Abstract
조리용 기구를 위한 힌지 구조체 및 조리용 기구가 제공된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른 힌지 구조체(20)는 전원을 공급받아 가열되는 한 쌍의 구이판(11a, 11b)이 내부에 각각 결합된 하부 케이스(12a)와 상부 케이스(12b)를 포함하는 조리용 기구(10)를 위한 것으로서, 상기 하부 케이스(12a)의 일측에 고정 결합하는 하부 지지대(21a), 및 상기 상부 케이스(12b)의 일측에 고정 결합하며, 힌지축(22)을 매개로 상기 하부 지지대(21a)와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결합하는 상부 지지대(21b)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상부 케이스(12b)는 상기 상부 지지대(21b)가 상기 힌지축(22)을 중심으로 상기 하부 지지대(21a)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선회함에 따라 상기 하부 케이스(12a)와 개폐 작동하고, 상기 하부 지지대(21a)와 상부 지지대(21b)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하부 케이스(12a)와 상부 케이스(12b)가 개방 상태 혹은 접합 상태에 있는 조리용 기구(10)를 지지하며, 상기 힌지축(22)은 상기 하부 지지대(21a)와 상기 하부 케이스(12a) 간의 고정 결합부위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소정 거리(d)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하부 지지대(21a)와 상부 지지대(21b)를 연결시킨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조리용 기구를 위한 힌지 구조체 및 그 힌지 구조체를 가지는 조리용 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토스트나 치즈, 계란, 야채 등의 내용물과 소스를 넣어 샌드위치를 간단하게 요리할 수 있는 샌드위치 메이커 등의 조리용 기구가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샌드위치 메이커의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가 서로 접합될 때, 내용물이나 소스가 외부로 쉽게 밀려나오고 전체가 균등하게 밀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와 관련하여 등록실용신안 제20-0482291호(고안의 명칭: 샌드위치 메이커)는 내주면 둘레에 단턱이 형성되고 네 변 테두리를 가압 밀봉해줌으로써 내용물이나 소스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한 쌍의 식빵 사이에 내용물이나 소스가 내주면 둘레에 형성된 단턱 높이보다 많이 개재되면, 주로 손잡이가 형성된 방향으로 내용물이나 소스가 밀려나오게 되어 샌드위치 메이커 자체가 오염된다.
또한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 간 접합 과정에서 내용물이나 소스가 케이스 단부에 형성된 힌지 구조에 묻거나 인입된 경우 세척이 용이하지 않아 비위생적이고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하게 된다.
본 고안의 일부 실시 예는 조리용 기구 외부로 내용물이 밀려나오거나 소스가 흘러나오는 등의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조리용 기구를 위한 힌지 구조체 및 이를 가지는 조리용 기구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부 실시 예는 조리 대상물 전체를 균등하게 압착할 수 있고, 세척의 불편함을 감소시킬 수 있는 조리용 기구를 위한 힌지 구조체 및 이를 가지는 조리용 기구를 제공하는 데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부 실시 예는 별도의 후라이팬을 사용하지 않고 구이판에서 계란, 야채 등을 직접 조리하고 그 이후에 조리된 내용물과 식빵을 조합하여 샌드위치를 완성할 수 있는 조리용 기구를 제공하는 데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실시 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고안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른 힌지 구조체(20)는, 전원을 공급받아 가열되는 한 쌍의 구이판(11a, 11b)이 내부에 각각 결합된 하부 케이스(12a)와 상부 케이스(12b)를 포함하는 조리용 기구(10)를 위한 것으로서, 상기 하부 케이스(12a)의 일측에 고정 결합하는 하부 지지대(21a); 및 상기 상부 케이스(12b)의 일측에 고정 결합하며, 힌지축(22)을 매개로 상기 하부 지지대(21a)와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결합하는 상부 지지대(21b)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상부 케이스(12b)는 상기 상부 지지대(21b)가 상기 힌지축(22)을 중심으로 상기 하부 지지대(21a)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선회함에 따라 상기 하부 케이스(12a)와 개폐 작동하고, 상기 하부 지지대(21a)와 상부 지지대(21b)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하부 케이스(12a)와 상부 케이스(12b)가 개방 상태 혹은 접합 상태에 있는 조리용 기구(10)를 지지하며, 상기 힌지축(22)은 상기 하부 지지대(21a)와 상기 하부 케이스(12a) 간의 고정 결합부위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소정 거리(d)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하부 지지대(21a)와 상부 지지대(21b)를 연결시킨다.
또한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 지지대(21a)는 상기 하부 케이스(12a)의 일측에 고정 결합하는 일단부(211a)와, 상기 상부 지지대(21b)와 상기 힌지축(22)에 의해 연결되는 중단부(212a)와, 상기 힌지축(22)에 의한 연결부위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타단부(213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지지대(21a)의 중단부(212a)는 상기 연결부위에서 상기 타단부(213a)를 향하여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경사면(214a)을 구비하고, 상기 경사면(214a)은 상기 조리용 기구(10)가 개방 상태인 경우 상기 상부 지지대(21b)의 일부분과 맞닿아 상기 상부 지지대(21b)의 최대 선회 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용 기구(10)가 접합 상태인 경우 상기 상부 지지대(21b)는 상기 상부 케이스(12b)의 일측에 고정 결합하는 일단부(211b)와, 상기 하부 지지대(21a)와 상기 힌지축(22)에 의해 연결되는 중단부(212b)와, 상기 힌지축(22)에 의한 연결부위로부터 상기 하부 지지대(21a)의 타단부(213a)의 연장 방향과 반대로 연장되는 타단부(213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리용 기구(10)가 접합 상태이면서 상기 하부 케이스(12a)와 상부 케이스(12b)가 지면에 대해 수직인 상태인 경우 상기 하부 지지대(21a)의 타단부(213a)와 상기 상부 지지대(21b)의 타단부(213b)는 조리용 기구(10)를 동시에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하부 지지대(21a)의 타단부(213a)의 팁과 상기 상부 지지대(21b)의 타단부(213b)의 팁 간 길이(f)는 상기 하부 지지대(21a)의 일단부(211a)의 하부면과 상기 상부 지지대(21b)의 일단부(211b)의 상부면 간 길이(e)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소정 거리(d)는 상기 하부 케이스(12a)의 무게와 크기, 상기 상부 케이스(12b)의 무게와 크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 기구(10)는, 전원을 공급받아 가열되는 한 쌍의 구이판(11a, 11b)이 내부에 각각 결합된 하부 케이스(12a)와 상부 케이스(12b); 및 상기 하부 케이스(12a)의 일측에 고정 결합하는 하부 지지대(21a), 및 상기 상부 케이스(12b)의 일측에 고정 결합하며, 힌지축(22)을 매개로 상기 하부 지지대(21a)와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결합하는 상부 지지대(21b)를 포함하는 힌지 구조체(2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상부 케이스(12b)는 상기 상부 지지대(21b)가 상기 힌지축(22)을 중심으로 상기 하부 지지대(21a)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선회함에 따라 상기 하부 케이스(12a)와 개폐 작동하고, 상기 하부 지지대(21a)와 상부 지지대(21b)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하부 케이스(12a)와 상부 케이스(12b)가 개방 상태 혹은 접합 상태에 있는 조리용 기구(10)를 지지하며, 상기 힌지축(22)은 상기 하부 지지대(21a)와 상기 하부 케이스(12a) 간의 고정 결합부위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소정 거리(d)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하부 지지대(21a)와 상부 지지대(21b)를 연결시킨다.
또한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구이판(11a, 11b)의 내주연(111a, 111b)은 곡면으로 형성되어 외곽 테두리(112a, 112b)에서 바닥면(113a, 113b)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좁아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구이판(11a, 11b)은 불소수지로 코팅 처리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조리용 기구의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가 서로 접합될 때, 힌지축으로 연결된 하부 지지대와 상부 지지대를 별도로 마련함으로써, 많은 양의 내용물이나 소스가 개재된 경우에도 내용물 등이 밀려나오는 현상을 최소화하고 조리 대상물 전체를 균등하게 압착하여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힌지축이 조리용 기구의 한 쌍의 케이스와 분리되어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내용물이나 소스가 힌지축에 묻거나 인입될 가능성이 낮아져 사용자 만족도가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별도의 후라이팬을 사용하지 않고 조리용 기구가 접합 상태인 경우뿐만 아니라 개방 상태에서도 구이판에서 계란, 야채 등을 직접 조리할 수 있어 조리과정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른 힌지 구조체를 가지는 조리용 기구의 개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른 힌지 구조체를 가지는 조리용 기구의 접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 기구가 개방 상태인 경우와 접합 상태인 경우, 힌지 구조체의 측면을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른 힌지 구조체를 가지는 조리용 기구의 접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 기구가 개방 상태인 경우와 접합 상태인 경우, 힌지 구조체의 측면을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해당 용어는 "결합", "체결", "결속" 등과 실질적으로 동등한 의미를 가지고, 어떤 구성요소가 어딘가에 "설치"되어 있다고 할 때 해당 용어는 "배치", "배열" 등과 실질적으로 동등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어떤 부분과 어떤 부분의 "사이"에 있다고 할 때 어떤 구성요소의 "모든 부분"뿐만 아니라 "일부분"이 어떤 부분에서 어떤 부분까지의 거리, 공간 또는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까지 포함한다.
본 고안에서 제안하는 "힌지 구조체"는 예를 들어 샌드위치 메이커와 같은 조리용 기구를 위한 것으로서, 힌지축을 구비하여 조리용 기구의 개폐 동작을 위해 사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른 힌지 구조체를 가지는 조리용 기구의 개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른 힌지 구조체를 가지는 조리용 기구의 접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참고로 명세서 전체에서, 상하 방향, 외측 방향 등 방향을 나타내는 기재는 도면에 도시된 예시적인 형태를 기준으로 설명되고, 그 방향의 의미는 도시된 형태가 달라짐에 따라 그 달라진 도시 형태에 적합하게 달라져 이해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조리용 기구(10)는 한 쌍의 케이스 및 이들 케이스를 개폐할 수 있도록 일측에 결합된 힌지 구조체(20)를 포함한다.
한 쌍의 케이스와 힌지 구조체(20)는 상하 대칭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쌍의 케이스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지면과 맞닿아 있는 하부 케이스(12a)와 지면에 대하여 수직에 가깝게 위치해 있는 상부 케이스(12b)를 의미한다.
그러나 조리용 기구(10)는 조리과정에서 사용자에 의해 뒤집어질 수 있고, 그로 인해 조리용 기구(10)의 위아래가 뒤바뀔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것과 반대로 상부 케이스(12b)가 지면과 맞닿아 있고, 하부 케이스(12a)가 지면에 대하여 수직에 가깝게 위치해 있을 수 있다.
전원을 공급받아 가열되는 한 쌍의 구이판(11a, 11b)이 하부 케이스(12a)와 상부 케이스(12b) 내부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12a)와 상부 케이스(12b) 내부에는 전기 히터(미도시)와 구이판(11a, 11b)이 배치되는 오목한 공간이 마련될 수 있고, 오목한 공간 주위로 단턱이 형성되어 조리 대상물이 외부로 흘러나오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구이판과 케이스 간의 탈착을 허용하는 제품의 경우 유격 발생 혹은 불완전 결합으로 인해 안전 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며, 장기간 사용에 따라 결합구조가 헐거워지는 문제점도 존재한다.
이처럼 구이판과 케이스 간의 탈착을 허용하는 제품과 달리, 한 쌍의 구이판(11a, 11b)은 각각 하부 케이스(12a)와 상부 케이스(12b)에 탈착 불가능하게 완전히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구이판(11a, 11b)의 내주연(111a, 111b)은 곡면으로 형성되어 외곽 테두리(112a, 112b)에서 바닥면(113a, 113b)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좁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외곽 테두리(112a, 112b)와 바닥면(113a, 113b)은 전체적으로 사각 형상으로 성형되고, 사각 형상의 각 모서리는 곡선 처리될 수 있다.
구이판(11a, 11b)의 내주연(111a, 111b)은 완만한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조리과정에서 좀더 많은 내용물 혹은 소스를 투입할 수 있고, 내용물 혹은 소스가 외부로 빠져나오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조리과정에서 내용물 혹은 소스는 구이판의 중앙부로 모일 수 있게 되고, 조리용 기구(10)가 접합 상태인 경우 식빵의 둘레 부분이 주로 압착되어 샌드위치의 식감이 높아질 수 있다.
아울러 구이판(11a, 11b)은 불소수지로 코팅 처리될 수 있고, 이러한 코팅 처리는 조리과정에서 구이판(11a, 11b)에 조리 대상물이 눌러 붙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힌지 구조체(20)는 하부 지지대(21a)와 상부 지지대(21b)를 포함하고, 하부 지지대(21a)와 상부 지지대(21b)는 힌지축(22)으로 연결된다.
하부 지지대(21a)는 하부 케이스(12a)의 일측에 고정 결합하고, 상부 지지대(21b)는 상부 케이스(12b)의 일측에 고정 결합한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하부 지지대(21a)는 하부 케이스(12a)의 일측면 상의 두(two) 지점에서 고정 결합된 형태일 수 있으나, 그 형태나 지점 개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부 지지대(21b) 역시 상부 케이스(12b)와 동일한 형태로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결합 방식은 예를 들어 볼트와 너트를 이용한 것일 수 있고, 각 케이스에 미리 형성된 끼움 홀에 대하여 각 지지대의 일단부가 맞물려 끼워지는 것일 수도 있다.
상부 지지대(21b)는 힌지축(22)을 매개로 하부 지지대(21a)와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부 케이스(12b)는 상부 지지대(21b)가 힌지축(22)을 중심으로 하부 지지대(21a)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선회함에 따라 하부 케이스(12a)와 개폐 작동한다. 즉, 하부 케이스(12a)와 상부 케이스(12b)는 각각 연결된 하부 지지대(21a)와 상부 지지대(21b)의 회전 동작에 종속되어 함께 회전 동작할 수 있다.
특히 힌지 구조체(20)의 힌지축(22)은 하부 지지대(21a)와 하부 케이스(12a) 간의 고정 결합부위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소정 거리(d)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하부 지지대(21a)와 상부 지지대(21b)를 연결시킨다.
이때, 소정 거리(d)는 하부 케이스(12a)의 무게와 크기, 상부 케이스(12b)의 무게와 크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의 무게가 무거울수록 소정 거리(d)는 짧게 결정될 수 있고, 케이스의 크기가 클수록 소정 거리(d)는 짧게 결정될 수 있다.
이처럼 힌지축(22)이 하부 케이스(12a), 상부 케이스(12b)와 분리되어 소정 거리(d)를 두고 힌지 구조체(20) 상에 설치됨으로써, 양 케이스가 서로 접합될 때 내용물이나 소스가 구이판(11a, 11b) 밖으로 밀려나오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힌지축이 양 케이스에 바로 설치되어 있는 경우보다 소정 거리(d)를 확보함으로써, 양 케이스의 개폐를 위한 회전 반경이 넓어질 수 있고 많은 양의 내용물이나 소스를 개재하였더라도 사용자는 내용물이나 소스의 유출에 대한 부담없이 양 케이스를 서로 접합시킬 수 있다.
또한, 양 케이스가 서로 접합될 때 조리 대상물 전체가 균등하게 압착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고, 내용물이나 소스가 힌지축(22)에 묻거나 인입될 가능성도 낮아지게 된다.
나아가 하부 지지대(21a)와 상부 지지대(21b) 중 적어도 하나는 하부 케이스(12a)와 상부 케이스(12b)가 개방 상태 혹은 접합 상태에 있는 조리용 기구(10)를 지지한다.
조리용 기구(10)가 개방 상태 혹은 접합 상태인 경우 하부 지지대(21a)는 하부 케이스(12a)의 외부면에 형성된 돌출부(114, 도 2 참조)와 함께 조리용 기구(10)를 지지할 수 있다.
조리용 기구(10)가 접합 상태이면서 지면에 세워진 스탠드 상태인 경우 하부 지지대(21a)와 상부 지지대(21b)는 조리용 기구(10)를 동시에 지지할 수 있고, 사용자는 도 2와 같이 세워서 조리용 기구(10)를 보관할 수 있다. 이때, 전원코드(16)는 하부 지지대(21a)와 상부 지지대(21b)에 감겨질 수 있다.
한편, 하부 손잡이(13a)는 하부 케이스(12a)의 타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부 손잡이(13b)는 상부 케이스(12b)의 타측에 일체로 형성된다. 하부 손잡이(13a)와 상부 손잡이(13b)은 양 케이스가 서로 접합될 때 서로 맞닿아 하나의 손잡이로써 작동할 수 있다.
하부 손잡이(13a)의 상부면에는 걸림턱(131a)이 형성되며, 상부 손잡이(13b)의 상부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걸림고리(131b)가 형성된다.
걸림고리(131b)는 조리용 기구(10)가 접합 상태인 경우 아래 방향으로 선회함에 따라 걸림턱(131a)에 결속되고, 조리용 기구(10)가 개방되지 않도록 작용할 수 있다.
걸림턱(131a)과 걸림고리(131b)은 도 1에 도시된 것으로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다른 공지된 결속수단으로 변형 가능하다.
전선용 구멍(14a, 14b)은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하부 케이스(12a)와 상부 케이스(12b)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전선용 구멍(14a, 14b)에 전선이 삽입될 수 있으며, 해당 전선은 하부 케이스(12a)와 상부 케이스(12b) 내에 배치된 각 전기 히터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전원코드용 구멍(15)은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전선용 구멍(14b)과 나란히 상부 케이스(12b)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전원코드용 구멍(15)에 전원코드(16)가 삽입될 수 있으며, 해당 전원코드(16)는 구이판(11a, 11b)을 가열하기 위하여 전기 히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하부 케이스(12a)의 외부면에는 두(two) 개의 표시등(115, 116)이 형성되고, 하나는 전원 on/off를 알리는 표시등(115)으로 사용되고, 다른 하나는 조리에 적합한 온도로 가열되었는지 여부를 알리는 표시등(116)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전원 on/off는 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된 버튼(미도시)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조리용 기구(10)를 위한 힌지 구조체(20)의 세부 구조를 좀더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 기구가 개방 상태인 경우와 접합 상태인 경우, 힌지 구조체의 측면을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힌지 구조체(20)는 하부 케이스(12a)의 일측에 고정 결합하는 하부 지지대(21a), 및 상부 케이스(12b)의 일측에 고정 결합하는 상부 지지대(21b)를 포함한다.
상부 지지대(21b)는 힌지축(22)을 매개로 하부 지지대(21a)와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부 케이스(12b)는 상부 지지대(21b)가 힌지축(22)을 중심으로 하부 지지대(21a)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선회함에 따라 하부 케이스(12a)와 개폐 작동한다.
여기서, 힌지축(22)은 하부 지지대(21a)와 하부 케이스(12a) 간의 고정 결합부위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소정 거리(d)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하부 지지대(21a)와 상부 지지대(21b)를 연결시킨다.
구체적으로 하부 지지대(21a)는 하부 케이스(12a)의 일측에 고정 결합하는 일단부(211a)와, 상부 지지대(21b)와 힌지축(22)에 의해 연결되는 중단부(212a)와, 힌지축(22)에 의한 연결부위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타단부(213a)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우측에 도시된 것처럼 조리용 기구(10)가 접합 상태인 경우, 상부 지지대(21b)는 상부 케이스(12b)의 일측에 고정 결합하는 일단부(211b)와, 하부 지지대(21a)와 힌지축(22)에 의해 연결되는 중단부(212b)와, 힌지축(22)에 의한 연결부위로부터 하부 지지대(21a)의 타단부(213a)의 연장 방향과 반대로 연장되는 타단부(213a)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조리용 기구(10)가 접합 상태이면서 하부 케이스(12a)와 상부 케이스(12b)가 지면에 대해 수직인 상태인 경우, 하부 지지대(21a)의 타단부(213a)와 상부 지지대(21b)의 타단부(213b)는 조리용 기구(10)를 동시에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도 3의 우측에 도시된 것처럼, 하부 지지대(21a)의 타단부(213a)의 팁과 상부 지지대(21b)의 타단부(213b)의 팁 간 길이(f)는 하부 지지대(21a)의 일단부(211a)의 하부면과 상부 지지대(21b)의 일단부(211b)의 상부면 간 길이(e)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 및 형상은 도 2처럼 조리용 기구(10)를 세워서 보관할 때, 전원코드(16)가 양 지지대의 타단부(213a, 213b)와 양 케이스(12a, 12b) 사이에서 감겨질 수 있도록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더불어 하부 지지대(21a)의 중단부(212a)는 힌지축(22)에 의한 연결부위에서 하부 지지대(21a)의 타단부(213a)를 향하여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경사면(214a)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경사면(214a)은 도 3의 좌측에 도시된 것처럼 조리용 기구(10)가 개방 상태인 경우 상부 지지대(21b)의 일부분 또는 경사면(214b)과 맞닿아 상부 지지대(21b)의 최대 선회 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최대 선회 각도는 95도 내지 100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95도보다 작은 경우 개방 상태에 있는 조리용 기구(10)의 상부 케이스(12b) 및 상부 지지대(21b)가 아래 방향으로 회동하여 안전 사고가 발생할 수 있고, 100도보다 큰 경우 상부 케이스(12b) 및 상부 지지대(21b)의 자체 무게로 인해 조리용 기구(10)가 후방으로 넘어질 가능성이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힌지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조리용 기구를 사용하여 사용자는 다양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고, 개방 상태에서 접합 상태로 만드는 과정에서 내용물이 밀려나오거나 소스가 흘러나오는 문제점이 최소화될 수 있다.
예시적인 조리방식을 설명하면, 사용자는 개방 상태에서 계란, 아채 등을 우선적으로 조리한다. 이후 사용자는 조리된 내용물의 일면에 식빵을 덮고, 조리용 기구를 접합 상태로 만든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접합 상태에 있는 조리용 기구를 180도 뒤집는다. 계속해서 사용자는 조리용 기구를 개방 상태로 만들고, 조리된 내용물의 타면에 식빵을 덮는다.
이처럼 조리용 기구가 접합 상태인 경우뿐만 아니라 개방 상태에서도 구이판을 이용하여 조리가 가능하므로, 별도의 후라이팬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전술한 본 고안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조리용 기구 11a: 제1 구이판
11b: 제2 구이판 12a: 하부 케이스
12b: 상부 케이스 20: 힌지 구조체
21a: 하부 지지대 21b: 상부 지지대
22: 힌지축
11b: 제2 구이판 12a: 하부 케이스
12b: 상부 케이스 20: 힌지 구조체
21a: 하부 지지대 21b: 상부 지지대
22: 힌지축
Claims (10)
- 전원을 공급받아 가열되는 한 쌍의 구이판(11a, 11b)이 내부에 각각 결합된 하부 케이스(12a)와 상부 케이스(12b)를 포함하는 조리용 기구(10)를 위한 힌지 구조체(20)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12a)의 일측에 고정 결합하는 하부 지지대(21a); 및
상기 상부 케이스(12b)의 일측에 고정 결합하며, 힌지축(22)을 매개로 상기 하부 지지대(21a)와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결합하는 상부 지지대(21b)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케이스(12b)는 상기 상부 지지대(21b)가 상기 힌지축(22)을 중심으로 상기 하부 지지대(21a)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선회함에 따라 상기 하부 케이스(12a)와 개폐 작동하고,
상기 조리용 기구(10)가 접합 상태에서 지면과 맞닿게 배치된 경우, 상기 하부 지지대(21a)와 상부 지지대(21b)는 상기 힌지축(22)에 의해 연결되는 연결부위로부터 하측 방향과 상측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기울어져 연장된 경사면(214a, 214b)과, 상기 경사면(214a, 214b)의 끝단으로부터 형성된 타단부(213a, 213b)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하부 지지대(21a)와 상부 지지대(21b)는 상기 조리용 기구(10)가 개방 상태에서 상기 경사면(214a, 214b)에 의해 서로 맞닿게 되어 상기 상부 케이스(12b)의 최대 선회 각도를 제한하는 한편, 상기 조리용 기구(10)가 접합 상태에서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된 경우 상기 타단부(213a, 213b)에 의해 지면과 맞닿게 되어 상기 조리용 기구(10)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구조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22)은 상기 하부 지지대(21a)와 상기 하부 케이스(12a) 간의 고정 결합부위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소정 거리(d)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하부 지지대(21a)와 상부 지지대(21b)를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구조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단부(213a, 213b)는 각각 상기 경사면(214a, 214b)의 끝단으로부터 하측 방향과 상측 방향으로 구부러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구조체.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지대(21a)와 상부 지지대(21b)는 상기 하부 케이스(12a)와 하부 케이스(12b)의 일측과 상기 연결부위를 연결시키는 일단부(211a, 211b)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하부 지지대(21a)의 타단부(213a)의 팁과 상기 상부 지지대(21b)의 타단부(213b)의 팁 간 길이(f)는 상기 하부 지지대(21a)의 일단부(211a)의 하부면과 상기 상부 지지대(21b)의 일단부(211b)의 상부면 간 길이(e)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구조체.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거리(d)는 상기 하부 케이스(12a)의 무게와 크기, 상기 상부 케이스(12b)의 무게와 크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초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구조체. - 조리용 기구(10)에 있어서,
전원을 공급받아 가열되는 한 쌍의 구이판(11a, 11b)이 내부에 각각 결합된 하부 케이스(12a)와 상부 케이스(12b); 및
상기 하부 케이스(12a)의 일측에 고정 결합하는 하부 지지대(21a), 및 상기 상부 케이스(12b)의 일측에 고정 결합하며, 힌지축(22)을 매개로 상기 하부 지지대(21a)와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결합하는 상부 지지대(21b)를 포함하는 힌지 구조체(20)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케이스(12b)는 상기 상부 지지대(21b)가 상기 힌지축(22)을 중심으로 상기 하부 지지대(21a)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선회함에 따라 상기 하부 케이스(12a)와 개폐 작동하고,
상기 조리용 기구(10)가 접합 상태에서 지면과 맞닿게 배치된 경우, 상기 하부 지지대(21a)와 상부 지지대(21b)는 상기 힌지축(22)에 의해 연결되는 연결부위로부터 하측 방향과 상측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기울어져 연장된 경사면(214a, 214b)과, 상기 경사면(214a, 214b)의 끝단으로부터 형성된 타단부(213a, 213b)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하부 지지대(21a)와 상부 지지대(21b)는 상기 조리용 기구(10)가 개방 상태에서 상기 경사면(214a, 214b)에 의해 서로 맞닿게 되어 상기 상부 케이스(12b)의 최대 선회 각도를 제한하는 한편, 상기 조리용 기구(10)가 접합 상태에서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된 경우 상기 타단부(213a, 213b)에 의해 지면과 맞닿게 되어 상기 조리용 기구(10)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기구.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판(11a, 11b)의 내주연(111a, 111b)은 곡면으로 형성되어 외곽 테두리(112a, 112b)에서 바닥면(113a, 113b)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기구.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판(11a, 11b)은 불소수지로 코팅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기구.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80003093U KR200488146Y1 (ko) | 2018-07-05 | 2018-07-05 | 조리용 기구를 위한 힌지 구조체 및 조리용 기구 |
PCT/KR2018/015459 WO2020009291A1 (ko) | 2018-07-05 | 2018-12-07 | 조리용 기구를 위한 힌지 구조체 및 조리용 기구 |
CN201880093915.8A CN112165888B (zh) | 2018-07-05 | 2018-12-07 | 用于烹饪用具的铰链结构及烹饪用具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80003093U KR200488146Y1 (ko) | 2018-07-05 | 2018-07-05 | 조리용 기구를 위한 힌지 구조체 및 조리용 기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88146Y1 true KR200488146Y1 (ko) | 2018-12-19 |
Family
ID=64954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80003093U KR200488146Y1 (ko) | 2018-07-05 | 2018-07-05 | 조리용 기구를 위한 힌지 구조체 및 조리용 기구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8146Y1 (ko) |
CN (1) | CN112165888B (ko) |
WO (1) | WO2020009291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02411B1 (ko) * | 2024-01-11 | 2024-09-04 | 주식회사 굴림푸드에프앤씨 | 아이스크림이 내부에 포함된 도넛 테두리 접합장치 |
Citation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59618U (ja) * | 1998-12-04 | 1999-07-13 | 株式会社三栄コーポレーション | 餅焼き器 |
US6608292B1 (en) * | 2002-07-26 | 2003-08-19 | Neal Patrick Barnes | Microwave grilling appliance |
KR200327542Y1 (ko) * | 2003-06-24 | 2003-09-19 | 주식회사 은성산업 | 양면 프라이팬 |
KR200410948Y1 (ko) * | 2005-12-19 | 2006-03-10 | 김세철 | 양면 프라이팬 |
KR200410949Y1 (ko) * | 2005-12-19 | 2006-03-10 | 김세철 | 양면 프라이팬 |
US20070186785A1 (en) * | 2006-02-14 | 2007-08-16 | Eli Cohen | Cooking appliance |
KR20130107718A (ko) * | 2012-03-23 | 2013-10-02 | 주식회사 해피콜 | 조리용기 |
KR101465551B1 (ko) * | 2013-09-04 | 2014-11-26 | 한아툴스 (주) | 양면 프라이팬 |
KR101634059B1 (ko) * | 2016-01-18 | 2016-06-27 | 배상은 | 양면 조리팬 |
KR200482291Y1 (ko) * | 2016-06-15 | 2017-01-06 | 주식회사 이푸른인터내셔널 | 샌드위치 메이커 |
US20170181575A1 (en) * | 2015-12-29 | 2017-06-29 | Yilma Asfaw | Appliance for baking bread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A2051990C (en) * | 1990-09-24 | 1995-06-13 | John William Mcclean | Cooking apparatus |
CA2073930C (en) * | 1992-07-15 | 1995-08-01 | Gordon Roland Barker | Heat radiating element and drippings shield for gas-fired barbecues |
US6194017B1 (en) * | 1996-01-16 | 2001-02-27 | Pizza Hut, Inc. | Dough punch and method of use |
US6016741A (en) * | 1998-09-18 | 2000-01-25 | Tsann Kuen Usa, Inc. | Electric countertop grill |
US6550374B1 (en) * | 2002-04-17 | 2003-04-22 | Worldwide Inventions, Inc. | Pancake cooking pan with flat cooking surface |
US20040216730A1 (en) * | 2003-04-10 | 2004-11-04 | Sawhney Ravi K. | Portable cooking appliance |
FR2855034B1 (fr) * | 2003-05-20 | 2006-03-31 | Seb Sa | Appareil electromenager comprenant deux plaques de cuisson a articulation decalee |
US20080115676A1 (en) * | 2006-11-21 | 2008-05-22 | Samson Tsen | Retractable structure of a grill |
KR101174766B1 (ko) * | 2012-04-12 | 2012-08-17 | (주)정진누리마루 | 전자렌지용 조리용기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조리용기 |
CN203016672U (zh) * | 2012-11-09 | 2013-06-26 | 全明星市场集团有限公司 | 烹饪设备 |
US9895021B2 (en) * | 2014-11-19 | 2018-02-20 | A. J. Antunes & Co. | Cooking assembly comprising a flexible ring conformable to predeterminedly shaped templates of a cooking station for providing cooked foods with predeterminedly different shapes, and the cooking station employing the cooking assembly |
ITMO20150004U1 (it) * | 2015-03-03 | 2016-09-03 | Zingaro Matteo | Sistema di cottura |
-
2018
- 2018-07-05 KR KR2020180003093U patent/KR200488146Y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12-07 CN CN201880093915.8A patent/CN112165888B/zh active Active
- 2018-12-07 WO PCT/KR2018/015459 patent/WO2020009291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59618U (ja) * | 1998-12-04 | 1999-07-13 | 株式会社三栄コーポレーション | 餅焼き器 |
US6608292B1 (en) * | 2002-07-26 | 2003-08-19 | Neal Patrick Barnes | Microwave grilling appliance |
KR200327542Y1 (ko) * | 2003-06-24 | 2003-09-19 | 주식회사 은성산업 | 양면 프라이팬 |
KR200410948Y1 (ko) * | 2005-12-19 | 2006-03-10 | 김세철 | 양면 프라이팬 |
KR200410949Y1 (ko) * | 2005-12-19 | 2006-03-10 | 김세철 | 양면 프라이팬 |
US20070186785A1 (en) * | 2006-02-14 | 2007-08-16 | Eli Cohen | Cooking appliance |
JP2008093410A (ja) * | 2006-10-13 | 2008-04-24 | Aac Trade Ltd | 調理器具 |
KR20130107718A (ko) * | 2012-03-23 | 2013-10-02 | 주식회사 해피콜 | 조리용기 |
KR101465551B1 (ko) * | 2013-09-04 | 2014-11-26 | 한아툴스 (주) | 양면 프라이팬 |
US20170181575A1 (en) * | 2015-12-29 | 2017-06-29 | Yilma Asfaw | Appliance for baking bread |
KR101634059B1 (ko) * | 2016-01-18 | 2016-06-27 | 배상은 | 양면 조리팬 |
KR200482291Y1 (ko) * | 2016-06-15 | 2017-01-06 | 주식회사 이푸른인터내셔널 | 샌드위치 메이커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02411B1 (ko) * | 2024-01-11 | 2024-09-04 | 주식회사 굴림푸드에프앤씨 | 아이스크림이 내부에 포함된 도넛 테두리 접합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0009291A1 (ko) | 2020-01-09 |
CN112165888A (zh) | 2021-01-01 |
CN112165888B (zh) | 2023-04-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661952B2 (en) | Sandwich making appliance and method of making a sandwich with the same | |
JP6638136B2 (ja) | 折り畳み可能な発熱器と焼き板が備えられる焼き装置 | |
US6429409B1 (en) | Table top cooking appliance | |
US4987827A (en) | Cooking apparatus | |
US5380986A (en) | Multi-purpose electric fast cooking apparatus | |
JPS5857177B2 (ja) | 食品支持ライナ−及び食品調理方法 | |
JPS6364972B2 (ko) | ||
US10010216B2 (en) | Sandwich making appliance and method of making a sandwich with the same | |
CN106466131B (zh) | 食物煎烤器 | |
US20120031918A1 (en) | Interchangeable pan | |
US7934755B2 (en) | Omelet spatula and cooking method | |
KR200488146Y1 (ko) | 조리용 기구를 위한 힌지 구조체 및 조리용 기구 | |
US10687665B1 (en) | Stuffed waffle maker | |
KR200477319Y1 (ko) | 상부 가열식 조리 장치 | |
CN201519045U (zh) | 多功能蒸屉 | |
KR20080102491A (ko) | 가마솥 토스트기 | |
US20010025843A1 (en) | Cooking appliances | |
KR101497599B1 (ko) | 햄버거 또는 샌드위치 제조장치 | |
JP2003210332A (ja) | 加熱料理用装置 | |
KR200472338Y1 (ko) | 미니 구이판 | |
CN107041676A (zh) | 加热皿及烹饪器具 | |
CA3091425C (en) | A multi-purpose cooking set | |
GB2343106A (en) | Sandwich toaster | |
KR200252788Y1 (ko) | 만능구이기 | |
KR200369957Y1 (ko) | 구이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