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1062B1 - 돔 스위치 - Google Patents

돔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1062B1
KR101631062B1 KR1020140085179A KR20140085179A KR101631062B1 KR 101631062 B1 KR101631062 B1 KR 101631062B1 KR 1020140085179 A KR1020140085179 A KR 1020140085179A KR 20140085179 A KR20140085179 A KR 20140085179A KR 101631062 B1 KR101631062 B1 KR 101631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input
pcb
contact
connecting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5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5973A (ko
Inventor
박용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켐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켐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켐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140085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1062B1/ko
Publication of KR20160005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5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1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1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0Bases; Stationary contacts mounted thereon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작동하는 버튼과 상기 버튼에 의해 구동되어 스위치 접점을 통한 입력신호를 구현하는 작동 자와 상기 작동 자와 상기 버튼을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된 탄성 자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단순한 구조가 적용됨으로써, 경제적인 이익을 도모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 의해 가압 되는 버튼 부와, 상기 버튼 부의 이동에 따라 PCB(2)의 접점(3)과 접촉되어 신호를 발생하도록 된 작동 부와, 상기 작동 부를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된 탄성 부를 가지는 돔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PCB(2)의 접점(3)이 구비된 면에 배치되는 링(Ring) 형상의 몸체(4)의 중앙에 배치되며 압력이 인가되면 가압 되는 방향으로 운동하여 상기 버튼 부를 구성하도록 된 입력 돌 부(7)와;상기 몸체(4)의 내주 면과 상기 입력 돌 부(7)를 연결하되 탄성력을 가지는 패턴(8) 부가 구비되어 탄성력을 가지어 상기 탄성 부를 구성하는 연결 밴드(9)와; 상기 연결 밴드(9)에 구비되며 상기 입력 돌 부(7)가 이동할 때, 상기 PCB(2)의 접점과 접촉하여 신호를 발생하도록 된 가동 돌기(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4)와 상기 입력 돌 부(7)와 상기 연결 밴드(9)와 상기 가동 돌기(10)는, 일체로 사출 성형 되는 돔 스위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돔 스위치{A DOM SWITCH}
본 발명은, 휴대폰, 리모콘 등과 같은 각종 통신기기 또는 각종 전자기기의 입력수단으로 사용되는 돔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작동하는 버튼과 상기 버튼에 의해 구동되어 스위치 접점을 통한 입력신호를 구현하는 작동 자와 상기 작동 자와 상기 버튼을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된 탄성 자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단순한 구조가 적용됨으로써, 경제적인 이익을 도모할 수 있도록 된 돔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전자장치들은 점점 더 소형화되어 가고, 다양한 기능이 복합적으로 수행되도록 발전 되어 왔다.
이에 따라, 기존의 전자 장치에서는 활성화된 프로그램들의 제어를 위해 다양한 형태의 입력 수단이 사용되고 있으며, 통상적인 입력 수단으로 마우스, 터치 패드, 클릭 버튼 및 클릭 패드 등을 사용하였다.
상기에서, 상기 마우스나 터치 패드의 경우 그 크기가 크기 때문에 소형화된 전자 장치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최근에는, 다수의 클릭 버튼을 두고 각 클릭 버튼을 누를 때마다 해당 동작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램화하여 활성화된 프로그램을 제어하였다.
그러나 이는 프로그램의 제어를 위해 필요한 입력 신호가 많아질수록 클릭 버튼의 개수가 증가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에서 프로그램의 제어를 위해 4개의 입력 신호가 필요한 경우 4개의 클릭 버튼을 구비하고, 7개의 입력 신호가 필요한 경우 7개의 클릭 버튼을 구비해야만 한다.
이에 따라, 클릭 버튼의 개수가 증가하는 경우 제작 단가가 비싸지는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휴대폰 또는 리모콘 등과 같은 각종 전자기기에 입력 키로서 다수의 접점을 가지어 다양한 입력신호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주로 돔 스위치를 사용하고 있다.
즉, 기판과 실리콘 수지 사이 공간에 돔 스위치를 배치시켜 돔 스위치를 누름으로 인해 입력 신호를 생성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돔 스위치는, 일반적으로, 고정접점과 스위치 접점이 구비된 인쇄회로기판의 상부 면에 하단부가 고정접점에 항상 접촉되고 융기된 상단부가 스위치 접점 상부에 위치되는 도전성의 탄성 메탈 돔이 설치되며, 상기 탄성 메탈 돔의 외부 둘레에 커버 필름이 설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에 따라, 상기 외부에서 탄성 메탈 돔의 볼록한 상단부를 가압하면 상단부가 오목하게 탄성 변형되면서 스위치 접점에 온(ON) 상태가 되고, 작용력을 제거하면 탄성 메탈 돔의 상단부가 다시 볼록하게 원상 복귀되어 오프(OFF) 상태가 되는 작동원리에 따라, 스위칭하게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돔 스위치들 중 하나로,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945439호(명칭: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장치)가 있으며, 상기 돔 스위치는,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이동하는 작동 부재와, 상기 작동 부재에 결합 되어 상기 작동 부재에 복원력을 인가하는 매개 부재와, 상기 작동 부재와 상기 매개 부재의 결합 영역 내에 마련된 클릭 감 유지 부 및 상기 작동 부재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 신호와 클릭 신호를 생성하는 감지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사용자가 상기 작동 부재를 가압하면, 상기 감지 수단(센서 부)를 구동하여 입력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매개 부재를 통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돔 스위치들은, 각각의 구성품 즉, 버튼, 작동 자 및 탄성 자가 각각 구비되어 조립되어 이루어지기 때문에, 생산성이 떨어져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가압하여 작동하는 버튼과 상기 버튼에 의해 구동되어 스위치 접점을 통한 입력신호를 구현하는 작동 자와 상기 작동 자와 상기 버튼을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된 탄성 자가 일체로 사출 형성되도록 하여, 생산공정을 단순화 및 대량 생산에 유리하도록 함으로써, 경제적인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된 돔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돔 스위치는, 사용자에 의해 가압 되는 버튼 부와, 상기 버튼 부의 이동에 따라 PCB의 접점과 접촉되어 신호를 발생하도록 된 작동 부와, 상기 작동 부를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된 탄성 부를 가지는 돔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PCB의 접점이 구비된 면에 배치되는 링(Ring) 형상의 몸체의 중앙에 배치되며 압력이 인가되면 가압 되는 방향으로 운동하여 상기 버튼 부를 구성하도록 된 입력 돌 부와; 상기 몸체의 내주 면과 상기 입력 돌 부를 연결하되 탄성력을 가지는 패턴 부가 구비되어 탄성력을 가지어 상기 탄성 부를 구성하는 연결 밴드와; 상기 연결 밴드에 구비되며 상기 입력 돌 부가 이동할 때, 상기 PCB의 접점과 접촉하여 신호를 발생하도록 된 가동 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와 상기 입력 돌 부와 상기 연결 밴드와 상기 가동 돌기는 일체로 사출 성형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버튼 부재의 운동 측 방향에 위치된 상기 PCB 기판에는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하도록 된 접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연결 밴드는, 상기 버튼 부재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복수 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연결 밴드는, 상기 버튼 부재와 상기 몸체의 사이에 4개 1조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돔 스위치는, 상기 버튼 부와, 상기 작동 부 및 상기 탄성 부 및 PCB 기판에 고정되는 고정 부(몸체)가 일체로 사출 성형 되어 이루어지기 때문에 생산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어 이를 기반으로 대량 생산이 가능함에 따라, 경제적인 이익을 도모할 수 있으며, 다 접점을 간편하게 구성할 수 있는 설계상의 이점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돔 스위치를 보인 개략 분리 사시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돔 스위치의 결합 상태를 보인 결합 사시 예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돔 스위치를 보인 평면 예시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돔 스위치의 주 요부를 보인 사시 예시도.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돔 스위치의 구조를 보인 개략 단면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돔 스위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돔 스위치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돔 스위치(1)는, 사용자에 의해 가압 되는 버튼 부와, 상기 버튼 부의 이동에 따라 그 하부에 위치된 PCB(2)의 표면에 형성된 접점(3)과 접촉되어 신호를 발생하도록 된 작동 부와, 상기 작동 부를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된 탄성 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사용자가 상기 버튼 부를 가압하면, 상기 버튼 부가 상기 PCB(2)측 방향으로 운동을 하고, 이에 상기 작동 부가 상기 탄성 부의 탄성력을 극복함과 아울러 상기 PCB(2)에 구비된 접점(3)과 접촉하여 입력신호를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돔 스위치(1)는, 상기 PCB(2)의 접점(3)이 구비된 면과 대면하도록 결합 고정되는 링(Ring) 형상의 몸체(4)를 가진다.
상기에서, 상기 PCB(2)에는 상기 몸체(4)의 저 면에 구비된 고정 돌기(5)가 삽입되어 걸림 고정되는 고정공(6)이 구비되어, 상기 PCB(2)에 상기 몸체(4)가 분리 결합 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 의한 돔 스위치(1)는, 상기 몸체(4)의 중앙에 배치되며 압력이 인가되면 가압 되는 방향으로 운동하여 상기 버튼 부를 구성하도록 된 입력 돌 부(7)를 가진다.
즉, 상기 몸체(4)의 중앙에서 상기 입력 돌 부(7)가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직선 운동을 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입력 돌 부(7)는 상기 PCB(2) 측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예에 의한 돔 스위치(1)는, 상기 몸체(4)의 내주 면과 상기 입력 돌 부(7)를 연결하되 탄성력을 가지는 패턴(8) 부가 구비되어 탄성력을 가지어 상기 탄성 부를 구성하는 연결 밴드(9)를 더 가진다.
즉, 상기 연결 밴드(9)의 탄성에 의해 상기 몸체(4)의 내부에서 상기 입력 돌 부(7)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함과 아울러, 직선 왕복운동에 대한 복귀운동을 구현하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 의한 돔 스위치(1)는, 상기 연결 밴드(9)에 구비되며 상기 입력 돌 부(7)가 이동할 때, 상기 PCB(2)의 접점과 접촉하여 신호를 발생하도록 된 가동 돌기(10)를 가진다.
즉, 상기 입력 돌 부(7)가 이동될 때, 상기 연결 밴드(9)의 일 부분이 동일한 운동방향으로 이동 운동하게 되며, 상기 연결 밴드(9)에서 이동되는 위치에 상기 가동 돌기(10)가 배치되어, 상기 가동 돌기(10)가 상기 연결 밴드(9)의 이동에 따라 상기 PCB(2) 측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PCB(2)의 접점(3)과 접촉하여 입력신호를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입력 돌 부(7)가 사용자에 의해 가압 되면, 상기 가동 돌기(10)가 상기 PCB(2)의 접점(3)과 접촉되어 입력신호가 발생 되어 원활한 스위칭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실시 예에 의한 돔 스위치(1)에서, 상기 몸체(4)와 상기 입력 돌 부(7)와 상기 연결 밴드(9)와 상기 가동 돌기(10)는 일체로 사출 성형 된다.
즉, 스위칭 동작이 이루어지는 전체 구성들이 하나의 단일 체로 이루어져, 생산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어 이를 기반으로 대량 생산이 가능함에 따라, 경제적인 이익을 도모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실시 예에 의한 돔 스위치(1)에서, 상기 입력 돌 부(7)의 운동 측 방향에 위치된 상기 PCB(2)에는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하도록 된 접점(3)이 구비된다.
즉, 상기 연결 밴드(9)에 구비된 가동 돌기(10)에 의해 구동되는 접점(3) 이외에, 상기 입력 돌 부(7)에 의해 구동되는 접점(3)을 별도로 구성할 수 있어, 단일 구조로 복수의 접점 스위칭을 구현할 수 있어, 스위칭에 대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에서, 상기 입력 돌 부(7)의 저 면에는, 상기 PCB(2)의 접점(3)을 구동하는 가동 돌기(1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상기 입력 돌 부(7)의 저 면을 통해 접점(4)과 접속하는 형태보다, 더 안정적인 접속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돔 스위치(1)에서, 상기 연결 밴드(9)는, 상기 입력 돌 부(7)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복수 개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연결 밴드(9)는, 상기 입력 돌 부(7)와 상기 몸체(4)의 사이에 4개 1조로 구비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입력 돌 부(7)의 직선 운동에 의한 1 접점의 스위칭 동작과, 상기 입력 돌 부(7)의 4방향으로 편향된 직선운동을 통한 4 접점의 스위칭 동작을 구현할 수 있어, 다 접점을 간편하게 구성할 수 있는 설계상의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돔 스위치(1)에서는, 중앙에 상기 입력 돌 부(7)를 수용 고정하는 수용 공(11)을 가지며, 표면에 스위칭 입력신호에 대한 식별부호가 표현된 커버(12)가 구비된다.
즉, 상기 커버(12)의 편향된 위치의 표면을 가압하여 상기 입력 돌 부(7)의 편향된 방향으로의 가압 운동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정확한 스위칭이 이루어진다.
이는, 상기 커버(12)의 편향된 위치를 가압하면, 상기 입력 돌 부(7)가 가압 되는 측 방향으로 편향되어 동작운동을 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입력 돌 부(7)의 편향된 진행방향에 배치된 상기 연결 밴드(9)의 가동 돌기(10)만 상기 PCB(2)의 접점(3)과 접촉하여 스위칭하게 되어, 사용자가 선택한 신호만 스위칭하게 된다.
상기에서, 상기 커버(12)에는 상기 몸체(4)의 내주 면에 형성된 안내 홈(13)에 끼움 되어 안내되는 안내 편(14)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상기 커버가 정 위치에서 동작하게 되어 더욱 안정적인 스위칭을 구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연결 밴드(9)에서 상기 가동 돌기(10)가 위치된 부위의 상 면에는 상기 커버(12)의 저 면에 끼움 되는 가압 돌기(15)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상기 커버(12)의 편향된 위치를 누를 때, 상기 누름 위치에 배치된 상기 가압 돌기(15)가 하방으로 가압 되어 그 하방이 위치된 상기 가동 돌기(10)가 안정적으로 접점(3)과 접속하여 스위칭하게 된다.
따라서, 더욱 정확한 스위칭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실시 예에 의한 돔 스위치(1)는, PCB(2)와 일체로 조립되어 원하는 장치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입력 돌 부(7)를 수직 상으로 가압할 경우에는, 상기 입력 돌 부(7)의 하측에 위치된 PCB(2)의 접점(3)들 중 중앙에 위치된 접점(3)을 스위칭하게 되고, 상기 커버(12)를 통해 편향된 위치를 가압할 경우에는, 상기 PCB(2)의 접점(3)들 중, 가압 되는 부위에 대한 위치에 배치된 접점(3)이 스위칭 된다.
따라서, 다양한 접점들에 대한 선택적인 스위칭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돔 스위치는, 사용자가 가압하여 작동하는 버튼과 상기 버튼에 의해 구동되어 스위칭 접점을 통한 입력신호를 구현하는 작동 자와 상기 작동 자와 상기 버튼을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된 탄성 자가 일체로 사출 형성되도록 되는 것을 기술적 구성의 특징으로 항, 생산공정을 단순화를 통한, 대량 생산을 기반으로 경제적인 이익을 도모할 수 있고, 아울러, 간편하게 다 접점을 안정되게 스위칭할 수 있는 구성을 설계상의 이점을 통해 구현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돔 스위치 2 : PCB
3 : 접점 4 : 몸체
5 : 고정 돌기 6 : 고정 공
7 : 입력 돌 부 8 : 패턴
9 : 연결 밴드 10 : 가동 돌기
11 : 수용 공 12 : 커버
13 : 안내 홈 14 : 안내 편
15 : 가압 돌기

Claims (9)

  1. 사용자에 의해 가압 되는 버튼 부와, 상기 버튼 부의 이동에 따라 PCB의 접점과 접촉되어 신호를 발생하도록 된 작동 부와, 상기 작동 부를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된 탄성 부를 가지는 돔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PCB의 접점이 구비된 면에 배치되는 링(Ring) 형상의 몸체의 중앙에 배치되며 압력이 인가되면 가압 되는 방향으로 운동하여 상기 버튼 부를 구성하도록 된 입력 돌 부와;
    상기 몸체의 내주 면과 상기 입력 돌 부를 연결하되 탄성력을 가지는 패턴 부가 구비되어 탄성력을 가지어 상기 탄성 부를 구성하는 연결 밴드와;
    상기 연결 밴드에 구비되며 상기 입력 돌 부가 이동할 때, 상기 PCB의 접점과 접촉하여 신호를 발생하도록 된 가동 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와 상기 입력 돌 부와 상기 연결 밴드와 상기 가동 돌기는,
    일체로 사출 성형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스위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입력 돌 부의 운동 측 방향에 위치된 상기 PCB 기판에는,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하도록 된 접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스위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연결 밴드는,
    상기 입력 돌 부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복수 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스위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한 연결 밴드는,
    상기 입력 돌 부와 상기 몸체의 사이에 4개 1조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스위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CB에는,
    상기 몸체의 저 면에 구비된 고정 돌기가 삽입되어 걸림 고정되는 고정공이 구비되어, 상기 PCB에 상기 몸체가 분리 결합 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스위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돌 부의 저 면에는,
    상기 PCB의 접점을 접촉하여 스위칭하는 가동 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스위치.
  7. 제 1항에 있어서;
    중앙에 상기 입력 돌 부를 수용 고정하는 수용 공을 가지며, 표면에 스위칭 입력신호에 대한 식별부호가 표현된 커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스위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는,
    상기 몸체의 내주 면에 형성된 안내 홈에 끼움 되어 안내되는 안내 편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스위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한 연결 밴드에서 상기 가동 돌기가 위치된 부위의 상 면에는,
    상기 커버의 저 면에 끼움 되는 가압 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스위치.
KR1020140085179A 2014-07-08 2014-07-08 돔 스위치 KR101631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5179A KR101631062B1 (ko) 2014-07-08 2014-07-08 돔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5179A KR101631062B1 (ko) 2014-07-08 2014-07-08 돔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5973A KR20160005973A (ko) 2016-01-18
KR101631062B1 true KR101631062B1 (ko) 2016-06-16

Family

ID=55305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5179A KR101631062B1 (ko) 2014-07-08 2014-07-08 돔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106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27808A (ja) * 2003-01-20 2004-08-12 Kyocera Corp 操作ボタン装置
JP2013131349A (ja) * 2011-12-21 2013-07-04 Smk Corp ダイヤル式スイッ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27808A (ja) * 2003-01-20 2004-08-12 Kyocera Corp 操作ボタン装置
JP2013131349A (ja) * 2011-12-21 2013-07-04 Smk Corp ダイヤル式スイ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5973A (ko) 2016-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0565B2 (en) Slide switch
US7294795B1 (en) Slide switch
EP2015328B1 (en) Push-button switch
KR19980018949A (ko) 푸쉬 스위치를 지닌 회전조작형 전자(電子)부품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rotatively-operated electronic component with push switch and method of manufactur the same)
US10290442B2 (en) Push switch
TWI616916B (zh) 按鈕開關以及可動接點構件
CN109155218B (zh) 静电式开关
JP4730171B2 (ja) プッシュ・スライドスイッチ
KR101631062B1 (ko) 돔 스위치
KR102380716B1 (ko) 키보드 스위치
CN101923977B (zh) 按钮开关
US6329622B1 (en) Oscillating-operation type switch apparatus
JP7432825B2 (ja) 可動部材、及び入力装置
KR101659776B1 (ko) 돔 스위치
US9715976B2 (en) Keyboard device
US20120160652A1 (en) Keyboard with plate-type keycap assembly
EP3747037B1 (en) Key switch mechanisms, user input devices and methods of fabricating a key switch mechanism
JP4100897B2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およびその製造方法
RU2635872C2 (ru) Корпус, образованный путем двухкомпонентного литья под давлением, с местами для клавишных колпачков в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ом интерфейсе
US4004121A (en) Electrical switch with wire beam spring contact closer
JP2022030891A (ja) スイッチ
KR100708894B1 (ko) 택트 스위치
JP2007200738A (ja) 押釦スイッチ
JP2008181897A (ja) 押釦スイッチ
JP6479599B2 (ja) 操作パネ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