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8175B1 - 건설기계 트랙링크용 보론 합금강의 열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건설기계 트랙링크용 보론 합금강의 열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8175B1
KR101628175B1 KR1020140143038A KR20140143038A KR101628175B1 KR 101628175 B1 KR101628175 B1 KR 101628175B1 KR 1020140143038 A KR1020140143038 A KR 1020140143038A KR 20140143038 A KR20140143038 A KR 20140143038A KR 101628175 B1 KR101628175 B1 KR 101628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ron
seconds
heat treatment
steel
quen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3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7104A (ko
Inventor
양성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타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타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타즈
Priority to KR1020140143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8175B1/ko
Publication of KR20160047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71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8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8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bor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 Heat Treatment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삭기 등의 건설기계 구성부품으로서의 트랙링크에 관한 것으로, 열처리 조건을 적절하게 제어하여 보론강의 입내 및 입계에서 석출되는 보론의 분포도 개선을 유도함으로써 우수한 기계적 성질을 지닌 트랙링크가 얻어지도록 한 보론 합금강의 열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열처리 방법은, 중량%로, C 0.35, Si 0.26, Mn 1.3, P 0.013, S 0.004, Cu 0.1, Ni 0.06, Cr 0.2, Mo 0.02, Al 0.027, V 0.006, Ti 0.031, Nb 0.002, B 21ppm 및 잔여철로 이루어진 소재강을 1230℃로 가열하여 열간단조하는 단계, 공기 중에 60초 ∼ 100초간 공냉하는 단계, 물 또는 기름 중에 소입하는 단계, 440℃에서 80분간 템퍼링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건설기계 트랙링크용 보론 합금강의 열처리 방법{HEAT TREATMENT PROCESS OF BORON ALLOY STEEL FOR TRACK LINK OF CONSTRUCTION VEHICLES}
본 발명은 굴삭기 등의 건설기계 구성부품으로서의 트랙링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열처리 조건을 적절하게 제어하여 보론강의 입내 및 입계에서 석출되는 보론의 분포도 개선을 유도함으로써 우수한 기계적 성질을 지닌 트랙링크가 얻어지도록 한 보론 합금강의 열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굴삭기 등의 건설 중장비에서 지면과 직접 접촉하여 장비 본체를 이동시키는 트랙링크(track link)는 높은 내마모성과 고인성의 기계적 특성이 우선적으로 요구된다. 상기의 기계적 특성을 나타내도록 하기 위하여 고가의 합금원소가 첨가되어 경화능의 증대가 이루어지도록 한 합금강이 트랙링크용 소재로 사용되어 오고 있다.
기존의 트랙링크용 합금강으로는 합금원소로서 니켈(Ni), 크롬(Cr) 및 몰리브덴(Mo)이 첨가된 합금강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그런데, 최근 니켈, 크롬을 비롯한 몰리브덴 등의 합금원소 가격이 급등하여 이들 합금원소가 첨가된 합금강으로 이루어진 트랙링크 제조비용이 상승함에 따라 이들 합금원소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합금원소의 개발에 관련업계의 관심과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상기 고가의 합금원소를 대체할 수 있는 합금원소의 하나로 보론이 알려져 있다. 보론은 상기 고가의 합금원소들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저가이면서, 미량의 첨가만으로도 강재의 소입성을 현저하게 증가시킬 뿐 아니라 결정립계 강화작용을 일으켜 경화능 향상에 크게 기여하는 측면이 있다.
보론의 경화능 향상 효과는, 강의 오스테나이트 처리 후 냉각단계에서 오스테나이트 결정립계에 편석된 보론이 입계의 계면에너지를 낮춰서 입계에서의 초석페라이트 핵생성을 억제함과 아울러 보론화합물이 오스테나이트 결정립계에 매우 미세하게 석출되어 계면에너지를 낮춤으로써 초석페라이트 핵생성을 억제함에 기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보론은 상기와 같은 특성으로 인해서 다른 고가의 합금원소 첨가량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강재 내에서의 활동성이 매우 높아서 제어가 매우 힘들고 그에 따라 과도한 경화능의 편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와 같은 경화능의 편차로 인해서 낮은 경화능을 나타내는 강재 내의 영역에서는 열처리 후에도 트랙링크 제품에서 요구되는 수준의 경도와 미세조직 등이 요구되는 물성치에 미치지 못하게 되어 제품 결함의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고, 소재 롯트 (lot)별 경화능의 편차가 심해서 안정된 제품의 제조가 불가능하다.
최근, 자동차 엔진용 볼트나 자동차 기어용 소재로 사용되는 보론 합금강이 알려져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26247호에는 열간단조에 이어 870℃ 부근에서 한 시간가량 유지한 후 소입처리를 하고, 440℃ 부근에서 90분가량 유지한 후 공냉하여 자동차 엔진용 볼트 소재를 얻는 열처리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등록특허 제10-0957319호에는 10∼30ppm의 보론이 함유된 합금강의 단조 성형 단계에 이어서 970℃에서 60분간 노말라이징과 후속되는 침탄열처리를 행하여 기어용 보론강을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두 특허를 비롯한 기존의 보론 합금강 열처리 방법들은 구상화 열처리의 생략 및 냉간성형성의 증대에 주안점을 두고 생산공정의 단순화와 에너지 절감의 효과를 도모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보론 합금강의 열처리에 있어서는, 열처리 온도 및 유지시간에 따른 보론강의 입내 및 입계에서 석출되는 보론의 분포도에 따라 강재의 기계적 특성이 지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바, 상기 기존의 두 특허에서는 열처리 조건에 따른 보론의 분포도에 대한 자세한 분석 및 그에 따른 기계적 특성의 상관관계에 대한 결과치가 드러나 있지 않다.
한편, 자동차용 기어나 볼트와는 다른 차원의 기계적 특성으로서의 고인성과 고강도 등이 요구되는 건설기계 트랙링크용 소재로서 보론 합금강에 대한 연구나 개발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1.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26247호 2. 등록특허 제10-0957319호
본 발명은 기존의 트랙링크용 강재에 함유된 고가의 합금원소 니켈, 크롬 및 몰리브덴의 첨가량을 줄인 가운데 트랙링크 제품에서 요구되는 품질특성이 만족되도록 한 보론 합금강의 열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트랙링크 제품에서 요구되는 품질특성인 강도 및 인성 등을 직접적으로 좌우하게 되는 보론 석출물의 입계 및 입내 분포도가 최적화되도록 한 열처리 조건으로 이루어진 보론 합금강의 열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소재강을 1230℃로 가열하여 열간단조하는 단계, 공기중에 60초 ∼ 100초간 공냉하는 단계, 물 또는 기름 중에 소입(quenching)하는 단계, 440℃에서 80분간 템퍼링(tempering)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건설기계 트랙링크용 합금강의 열처리방법에 의해서 달성된다.
이때, 상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소재강의 화학조성은 중량%(wt%)로, C 0.35, Si 0.26, Mn 1.3, P 0.013, S 0.004, Cu 0.1, Ni 0.06, Cr 0.2, Mo 0.02, Al 0.027, V 0.006, Ti 0.031, Nb 0.002, B 21ppm 및 잔여철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조성의 소재강은 탄소함량이 0.35wt%의 아공석강(hypo-eutectoid steel)으로서 고온 열처리 후 서냉시 초석페라이트(pro-eutectoid ferrite)와 펄라이트(ferrite+cementite)가 공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소재강은 중탄소강(C 0.35wt%)으로서 이에 첨가된 고가의 합금원소 Ni, Cr, Mo가 각각 0.06wt%, 0.2wt% 및 0.02wt% 첨가된 조성인바, 기존의 Ni-Cr-Mo 합금강에서의 이들 합금원소들 함유량에 비해서 상당히 낮은 함량을 유지함에도 불구하고, 미량(21ppm) 첨가된 보론(B)이 열처리 과정에서 고른 분포도로 입내 및 입계에 석출되도록 함으로써 얻어지는 경화능 향상효과를 통해서 기존의 Ni-Cr-Mo 합금강과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물성치와 기계적 특성을 나타내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열처리 공정에서 제1 공정으로서 1230℃로 가열하여 열간단조를 하게 되는데, 이때 가열방식은 인덕션 히터를 이용한 유도가열이 바람직하며 상기 온도에 도달하기까지의 시간은 약 60초이다. 상기 온도로 가열이 이루어지면 소재강을 포징프레스로 이송하여 약 10초간에 걸쳐 소정의 형상으로 단조작업을 행하게 된다.
다음, 단조 공정의 완료 후에는 공기 중에 60초 ∼ 100초간 공냉시키게 되는데, 이와 같은 공냉을 통해서 강소재의 온도는 1000℃ ∼900℃ 범위로 떨어진다. 공냉 시간이 60초 미만으로 되면 보론의 확산시간이 짧아서 이후의 소입처리 단계를 거쳐 생성된 마르텐사이트 조직의 입내 및 입계에서 보론의 석출이 일어나지 않게 되고, 반대로 공냉 시간이 100초를 초과하게 되면 소입처리 후의 조직 내의 결정립계에 보론이 분포하기는 하나 결정립 크기가 상대적으로 커짐으로써 분포된 보론의 양이 적게되어 경화능 향상효과가 줄어들게 된다.
이에, 공냉 시간이 60초 ∼ 100초 범위 이내일 때 소입처리 후 마르텐사이트 조직의 입내 및 입계에 보론이 고르게 분포하게 되고 마르텐사이트의 분율이 높아져서 소정의 경화능 향상 및 기계적 특성의 향상 효과가 얻어지게 된다.
상기의 공냉 단계에 이어서 소입처리와 템퍼링 공정이 순차적으로 수행되는바, 소입은 수냉(UCON-E 15∼25%)이나 유냉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템퍼링은 약 440℃에서 80분간 유지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소재강에 포함된 보론은 경화능을 향상시키는 원소로서 열단단조 후의 소입처리시 페라이트 변태를 지연시켜 소입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오스테나이트에서 보론의 고용한도는 912℃에서 약 0.001%로 매우 낮고, a-Fe에서 거의 "O" 수준이기 때문에 오스테나이트 입계에 보론의 편석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러한 편석으로 인해서 오스테나이트 입계의 자유에너지가 줄어서 페라이트 핵생성이 지연되게 된다.
본 발명은 미량의 보론 첨가만으로 기존의 고가의 합금원소인 Ni, Cr 및 Mo의 함유량을 낮춘 가운데 건설기계 트랙링크용 소재에서 요구되는 기계적, 물리적 특성에 부합하는 보론 합금강을 제공함으로써 트랙링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보론 소재강의 열간단조, 소입 및 소려로 이어지는 제조공정 중에서 열간단조 후 소재강의 공냉을 통해서 소재강의 온도는 900 ∼1000℃ 범위로 떨어뜨린 상태에서 소입처리를 행함으로써 마르텐사이트 입내 및 입계에 보론의 고른 분포를 유도하여 강도 및 인성 등이 우수한 트랙링크용 보론 합금강을 얻을 수 있다.
도1은 열처리 공정도이다.
도2(A)-(B)는 보론강의 미세조직 확대사진으로서, 도2(A)는 가열 전 보론강이고, 도2B는 1230℃로 가열후 서냉된 보론강이다.
도3(a) 내지 (d)는 단조 후 각각 20초, 50초, 80초 및 110초 동안 공냉한 후 소입한 시편들의 미세조직 확대사진이다.
도4(a) 내지 (d)는 도3의 소입처리를 거친 4가지 시편들을 440℃에서 80분간 템퍼링한 후의 미세조직 확대사진이다.
도5의(a) 내지 (d)는 열간단조 후 각각 20초, 50초, 80초 및 110초 공냉 후 소입처리를 마친 시편들의 보론 분포 분석결과 사진이다.
도6의(a) 내지 (d)는 도5의(a) 내지 (d)의 시편들에 대해 템퍼링 처리를 행한 후의 보론 분포 분석결과 사진이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목적과 특징적인 열처리 공정은 아래의 실시예를 통해서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이에 의해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소재강으로서, 탄소 함량으로 볼 때 아공석강에 속하는 중량%로, C 0.35, Si 0.26, Mn 1.3, P 0.013, S 0.004, Cu 0.1, Ni 0.06, Cr 0.2, Mo 0.02, Al 0.027, V 0.006, Ti 0.031, Nb 0.002, B 21ppm 및 잔여철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소재강을 도1의 열처리 공정도에서와 같이, 열처리로에서 가열한 후에 이를 고온단조하고, 이어서 소정시간 동안 공냉한 후에 소입과 템퍼링 처리를 순차적으로 행하였다.
상기 열처리로를 빠져나온 소재강에 대하여 열간단조를 약 10초 동안 수행하였으며, 단조공정이 완료된 소재강의 온도는 1230℃였다. 열간단조를 마친 소재강의 잔열을 이용하여 소입처리를 행함에 있어서 보론의 분포도와 공냉 시간의 상관관계 내지는 최적의 보론 분포도를 얻기 위한 공냉 시간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동일한 열간단조 공정을 거친 소재강 시편에 대해 20초, 50초, 80초 및 110초로 공냉 시간을 변화시킨 가운데 후속공정으로서의 소입처리를 행하였다.
도1에서와 같이, 공냉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소입개시 시의 소재강 시편의 온도는 낮아지는바, 공냉 시간이 20초일 때는 1030℃, 50초일 때는 970℃, 80초일 때는 920 ℃, 110초일 때는 850℃였으며, 냉각속도는 공냉 시간 순으로 각각 10℃/sec, 5.2℃/sec, 3.9℃/sec 및 3.5℃/sec였다.
상기 소입처리가 완료된 4가지 시편에 대하여 공통적으로 시편의 심부까지 440℃에 도달한 시점부터 80분간 유지시키는 템퍼링을 수행하였다.
열처리가 완료된 시편들에 대하여 광학현미경으로 미세조직을 관찰하였다.
도2(A)는 가열 전 보론강이고, 도2(B)는 1230℃로 가열후 서냉된 보론강의 미세조직 확대사진이다. 도2(A)에서 밝은색 부분은 초석페라이트이고, 어두운 부분은 페라이트와 세멘타이트가 교대로 있는 펄라이트 조직으로서, 초석페라이트와 펄라이트가 공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도2(B)에서와 같이 도2(A)의 보론강을 1230℃로 가열한 후에 서냉하게 되면, 펄라이트의 크기가 더 크게 됨을 알 수 있는바, 이는 서냉 과정에서 우선적으로 생성되는 초석페라이트가 초기에 존재했던 오스테나이트 결정립계를 따라 생성되어 성장하는 한편으로 잔류 오스테나이트가 펄라이트로 변태 되는 데에 기인한 다.
도3(a) 내지 (d)는 단조 후 각각 20초, 50초, 80초 및 110초 동안 공냉한 후 소입한 시편들의 미세조직 확대사진으로서, 모든 시편에서 마르텐사이트 조직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이는 도1의 본 발명의 열처리 공정도에서와 같이, 단조 후 상기 시간 동안 공냉한 4가지 시편의 온도가 각기 1030℃, 970℃, 920℃ 및 850℃로서 모두 오스테나이트 영역 내에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며, 급냉할 경우 모든 시편에서 초석페라이트나 펄라이트가 생성될 충분한 시간적 여유가 없어서 FCC 결정구조를 갖는 오스테나이트가 BCC 결정구조로 변태되지 못하고 BCT 결정구조의 마르텐사이트 조직으로 변했기 때문이다.
도4(a) 내지 (d)는 도3의 소입처리를 거친 4가지 시편들을 440℃에서 80분간 템퍼링한 후의 미세조직 확대사진이다. 도4의 (a) 내지 (d)는 각각 20초, 50초, 80초 및 110초 공냉 후 소입과 템퍼링 처리를 마친 시편들에 대한 미세조직 사진으로서, 네 가지 모두 마르텐사이트가 템퍼드마르텐사이트로 변태되었음을 알 수 있다.
템퍼드마르텐사이트는 미세한 펄라이트와 같은 조직으로서, 마르텐사이트와는 달리 취성을 나타내지 않으면서 어느 정도 강도가 유지되고 연성과 인성이 증가하게 된다.
그런데, 도4(a) 내지 (d)에서와 같이 열간단조 후 공냉시간의 변화에 따라 보론이 석출되는 경향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도4(a)에서와 같이 열간단조 후 20초간의 공냉을 거쳐 소입 및 템퍼링 처리를 한 시편의 경우에는 결정립 내 혹은 결정립계에서 석출되는 보론이나 보론 석출물은 관찰되지 않는다. 이러한 결과는, 1230℃에서 1030℃까지 공냉하는 20초의 시간은 마르텐사이트에서 보론이 석출되는데 충분치 않은 시간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보론의 확산시간이 짧음을 의미한다.
한편, 1230℃에서 열처리 후 공기 중에서의 노출시간은 50초, 80초, 110로 증가시킴에 따라 까만 점으로 보이는 새로운 상이 발견되며, 그 개수도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850℃ 이상의 온도로 유지되는 시간이 길수록 보론의 확산이 용이하게 되어 보론의 편석이나 보론 석출물의 생성이 활성화됨을 알 수 있다.
다음, 보론강 내에 미량으로 존재하는 보론의 존재와 그 분포를 알아보기 위해 중성자 자기방사법(Neutron Autoradiography)를 이용하였다. 도5의(a) 내지 (d)는 열간단조 후 각각 20초, 50초, 80초 및 110초 공냉 후 소입처리를 마친 시편들의 보론 분포 분석결과 사진이다.
20초 동안 공냉 후 급냉한 시편{도5(a)}과 50초 동안 공냉 후 급냉한 시편{도5(b)}에서는 뚜렷한 보론의 분포가 관찰되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는 반면에, 80초 동안 공냉한 후 급냉한 시편{도5(c)}에서는 결정립계에 보론이 존재하고 있음이 뚜렷하게 관찰되고 있다. 한편, 110초 동안 공냉 후 급냉한 시편{도5(d)}에서는 결정립계에 보론이 존재하고 있긴 하나 결정립 크기가 상대적으로 커짐으로써 분포된 보론의 양이 적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경향은 후속되는 템퍼링 처리 후의 시편에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난다.
도6의(a) 내지 (d)는 도5의(a) 내지 (d)의 시편들에 대해 템퍼링 처리를 행한 후의 보론 분포 분석결과 사진이다. 도6의 (a) 내지 (d) 사진의 비교를 통해서, 열간단조 후 80초 동안 공냉하고 급냉한 시편을 다시 440℃에서 템퍼링한 시편{도6(c)}의 경우가 결정립 크기도 가장 미세하고 그 결정립계를 따라 분포하고 있는 보론의 양도 가장 많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80초 동안 공냉 후 급냉한 시편을 다시 440℃에서 템퍼링한 시편의 경우가 1230℃에서 열처리시 오스테나이트의 결정립계에 보론의 석출의 많아져서 오스테나이트의 결정립 에너지를 낮춤으로써 결정립에서 초석페라이트의 석출을 억제함에 따른 마르텐사이트 생성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냉각능의 향상에 기인하여 마르텐사이트의 분율이 높아짐에 따라 템퍼링 후의 소재강에 대한 기계적 특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다음, 1230℃에서 열간단조 후 공냉 시간을 달리해서 소입 및 템퍼링 처리해서 얻어진 최종 시편 4가지에 대한 기계적 특성으로서의 인장강도와 충격치 및 피로 특성을 측정하였던 바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표 1]은 열처리 공정을 거친 보론강 시편의 인장특성과 충격특성의 측정결과이다.

구분
열간단조 후 소입개시 전까지의 공냉시간
20초 50초 80초 110초
인장강도(kgf/㎟) 115.52 114.64 113.98 112.34
항복점(kgf/㎟) 102.60 100.51 100.58 97.42
연신율(%) 13.85 14.62 14.87 17.18
충격치(kgmf/㎠) 6.99 6.72 7.13 9.60
열처리된 보론강의 인장 및 충격특성 측정결과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급냉(소입) 전 공기중에서의 유지시간이 길수록 인장강도와 항복강도는 감소하고 있으며, 연신율과 충격강도는 증가함을 알 수 있다. 그런데 급냉 전 공기중에서 유지시간이 길수록 인장강도와 항복강도의 감소는 적은 반면에 충격강도의 향상은 크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기계적 특성의 공냉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거동과 트랭링크용 보론강에서 요구되는 품질특성을 감안한 공냉 유지시간의 범위는 60초 내지 100초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다음, 상기 열처리 과정을 마친 네 개의 시편에 대한 피로특성에 대해서 시험하였다. 피로특성에 대한 시험은 로타리 밴딩시험기를 이용하여 행해졌는바, 이때 가해진 하중은 13kg에서 20kg이었으며, 각 조건에서 100만회까지 실시하였다. 그 시험결과는 아래의 [표 2]와 같다.

하중(kg)
20 19 18 17 16 15 14 13
굽힘모멘트(kgf*m) 5.00 4.75 4.50 4.25 4.00 3.75 3.50 3.25
굽힘응력(kgf/㎟) 99.47 94.50 89.52 84.55 79.58 74.60 69.63 64.66
공냉 20초
회전수

78,000 97,400 160,200 184,900 194,500 571,800 732,700 1,000,000
공냉 50초 62,400 83,200 190,000 394,000 453,400 471,300 1,000,000 1,000,000
공냉 80초 98,000 136,900 176,900 450,600 1,000,000 1,000,000 - -
공냉 110초 94,400 157,100 168,500 306,400 570,200 610,700 1,000,000 -
열처리된 보론강의 피로시험 결과
위의 [표 2]에서와 같이, 급냉 전 20초가 공냉된 시편의 경우에는 13kg의 피로하중에서는 100만회 동안 파괴되지 않았으며, 20kg의 피로하중에서는 78,000회에서 피로파괴가 일어났다. 한편, 50초 공냉된 시편은 14kg의 피로하중에서는 100만회 동안 파괴되지 않았으며 15kg의 피로하중에서는 47만회에서 파괴가 일어났다. 그리고 80초 공냉된 시편의 경우에는 16kg의 피로하중에서도 피로파괴가 일어나지 않았으며 17kg의 하중에서 파괴가 일어났다. 마지막으로 110초 공냉된 시편은 15kg의 하중에서도 파괴가 일어났으며, 14kg의 하중에서는 파괴가 일어나지 았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80초 동안 공냉된 시편이 가장 바람직한 피로시험 결과치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4)

  1. 중량%로, C 0.35, Si 0.26, Mn 1.3, P 0.013, S 0.004, Cu 0.1, Ni 0.06, Cr 0.2, Mo 0.02, Al 0.027, V 0.006, Ti 0.031, Nb 0.002, B 21ppm 및 잔여철로 이루어진 소재강을 가열하여 1230℃에서 열간단조하는 단계, 공기 중에 80초간 공냉하는 단계, 물 또는 기름 중에 소입(quenching)하는 단계, 440℃에서 80분간 템퍼링(tempering)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 트랙링용 합금강의 열처리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입 단계의 냉각속도는 5.0℃/sec 내지 3.6℃/sec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 트랙링크용 합금강의 열처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입 단계의 냉각속도는 3.9℃/se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 트랙링크용 합금강의 열처리 방법.


KR1020140143038A 2014-10-22 2014-10-22 건설기계 트랙링크용 보론 합금강의 열처리 방법 KR101628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3038A KR101628175B1 (ko) 2014-10-22 2014-10-22 건설기계 트랙링크용 보론 합금강의 열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3038A KR101628175B1 (ko) 2014-10-22 2014-10-22 건설기계 트랙링크용 보론 합금강의 열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104A KR20160047104A (ko) 2016-05-02
KR101628175B1 true KR101628175B1 (ko) 2016-06-08

Family

ID=56021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3038A KR101628175B1 (ko) 2014-10-22 2014-10-22 건설기계 트랙링크용 보론 합금강의 열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81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6160B1 (ko) * 2018-02-23 2018-06-08 백태식 저합금강 열처리방법
KR101866161B1 (ko) * 2018-02-23 2018-06-08 백태식 저합금강 열처리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23423A (zh) * 2017-11-28 2018-02-23 湖北工程职业学院 一种耐酸不锈钢精密零件的热处理淬火工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39732A (ja) * 2005-08-02 2007-02-15 Kobe Steel Ltd 疲労特性に優れた高強度機械構造用鋼部品およびその製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8134B1 (ko) * 1990-12-31 1992-09-22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인성이 우수한 열처리 생략형 열간단조용강
KR20080026247A (ko) 2006-09-20 2008-03-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10t급 볼트 제조용 보론강
KR100957319B1 (ko) 2007-12-11 2010-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어용 보론강 및 이를 이용한 기어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39732A (ja) * 2005-08-02 2007-02-15 Kobe Steel Ltd 疲労特性に優れた高強度機械構造用鋼部品およびその製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6160B1 (ko) * 2018-02-23 2018-06-08 백태식 저합금강 열처리방법
KR101866161B1 (ko) * 2018-02-23 2018-06-08 백태식 저합금강 열처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104A (ko) 2016-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19892B2 (ja) 高温用表面浸炭ステンレス鋼合金及びそれから作られる製品及びその製造方法
CN108431279A (zh) 具有高强度和优异的耐久性的汽车用部件及其制造方法
KR101474627B1 (ko) 고주파 켄칭용 강, 고주파 켄칭용 조형재, 그 제조 방법 및 고주파 켄칭 강 부품
US20130037182A1 (en) Mechanical part made of steel having high properties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same
JP2001240941A (ja) 冷間鍛造用棒線材とその製造方法
JPWO2017115842A1 (ja) 肌焼鋼、浸炭部品および肌焼鋼の製造方法
KR100985357B1 (ko) 피로수명이 우수한 고강도, 고인성 스프링, 상기 스프링용강선재와 강선 및 상기 강선과 스프링의 제조방법
KR101628175B1 (ko) 건설기계 트랙링크용 보론 합금강의 열처리 방법
KR20180074008A (ko) 수소취성 저항성이 우수한 고강도 스프링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120699B1 (ko) 인성 및 부식피로특성이 향상된 스프링용 선재, 강선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1789944B1 (ko) 코일 스프링 및 그 제조 방법
JP5292896B2 (ja) 転動疲労特性に優れた機械構造用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889172B1 (ko) 응력부식 저항성이 우수한 고강도 스프링용 강선 및 그 제조방법
KR101819383B1 (ko) 열처리 경화형 고탄소 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5679440B2 (ja) 冷間鍛造性に優れ、高周波焼入れ後におけるねじり強度に優れた高周波焼入れ用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390685B2 (ja) 非調質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601861B2 (ja) ボロン鋼圧延焼鈍鋼板の製造法
KR102314433B1 (ko) 우수한 수소취성 저항성을 가지는 고강도 냉간압조용 선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957306B1 (ko) 냉간 단조강 및 그 제조 방법
US9738945B2 (en) Process for producing forged product
KR101639897B1 (ko) 피로특성이 우수한 스프링강 및 그 제조 방법
CN111479938B (zh) 热处理固化型高碳钢板及其制造方法
KR101444750B1 (ko) 템퍼취화 저항성이 향상된 니켈-크롬-몰리브덴계 저합금강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48754B1 (ko) 열처리 특성 및 수소지연파괴 특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간압조용 선재, 열처리부품 및 이들의 제조방법
JP2018178228A (ja) 高周波焼入れ部品用素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