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7951B1 -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7951B1
KR101627951B1 KR1020147019124A KR20147019124A KR101627951B1 KR 101627951 B1 KR101627951 B1 KR 101627951B1 KR 1020147019124 A KR1020147019124 A KR 1020147019124A KR 20147019124 A KR20147019124 A KR 20147019124A KR 101627951 B1 KR101627951 B1 KR 101627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put
icon
objects
copied
ic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9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8114A (ko
Inventor
김재운
김동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40138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8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7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7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4Interprogram communication
    • G06F9/543User-generated data transfer, e.g. clipboards, dynamic data exchange [DDE], object linking and embedding [OLE]

Abstract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는 복수의 오브젝트를 복사 및 저장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 각각을 나타내는 복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제1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의 아이콘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선택하는 제2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선택된 아이콘이 식별되도록 표시하며, 입력창에 상기 선택된 아이콘을 입력하는 제3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오브젝트를 상기 입력창에 붙여넣기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TERMINAL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오브젝트를 카피 앤 페이스트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신문 기사나 잡지의 재생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처럼, 단말기가 멀티미디어 기기의 형태로 구현됨에 따라 사용자는 신문 기사나 잡지 등과 같은 텍스트 매체에서 텍스트의 일부를 선택한 후 선택한 텍스트를 카피한 후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붙여 넣고자 하는 필요를 갖는다.
종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을 가진 단말기는 터치 입력을 통한 오브젝트 선택, 카피 앤 페이스트 기능을 제공한다. 예컨대, 터치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된 텍스트가 롱터치되거나, 롱터치된 단어의 시작 위치 및 끝 위치에 디스플레이된 화살표가 터치 앤 드래그되면, 터치된 위치의 텍스트가 선택된다. 이어서, 선택된 텍스트가 카피된 후, 디스플레이된 입력 창이 롱터치되면, 카피된 텍스트가 입력 창에 붙여넣기 된다.
그러나, 텍스트 선택 및 카피가 복수 회 수행된 후 사용자가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된 입력 창을 롱터치하면, 단말기는 가장 최근에 선택 및 카피된 텍스트 만을 붙여넣기할 수 있으므로, 카피 앤 페이스트할 수 있는 대상이 제한되어, 불편을 야기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카피된 복수의 오브젝트 중 하나를 선택하여 페이스트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는 복수의 오브젝트를 복사 및 저장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 각각을 나타내는 복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제1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의 아이콘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선택하는 제2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선택된 아이콘이 식별되도록 표시하며, 입력창에 상기 선택된 아이콘을 입력하는 제3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오브젝트를 상기 입력창에 붙여넣기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 방법은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 각각을 나타내는 복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복수의 오브젝트를 복사 및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제1 사용자 입력에 따라, 바 형태의 뷰어 영역 내에 상기 복수의 아이콘을 줄지어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선택하는 제2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선택된 아이콘이 식별되도록 표시하는 단계 및 입력창에 상기 선택된 아이콘을 입력하는 제3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오브젝트를 상기 입력창에 붙여넣기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오브젝트를 카피하여 저장해 두었다가 사용자가 원하는 오브젝트를 선택하여 페이스트할 수 있도록, 복수의 카피된 오브젝트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플 모드 디스플레이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멀티플 모드 디스플레이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멀티플 모드 디스플레이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멀티플 모드 디스플레이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멀티플 모드 디스플레이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플 모드 진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플 모드 진입 명령을 보여준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멀티플 모드 진입 명령을 보여준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플 모드 진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플 모드 진출 명령을 보여준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멀티플 모드 진출 명령을 보여준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플 모드 디스플레이 변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플 모드 디스플레이 변경 명령을 보여준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플 모드의 복사된 오브젝트 미리 보기 실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플 모드의 복사된 오브젝트 미리 보기 실행 명령 및 미리 보기 화면을 보여준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플 모드의 미리 보기 화면 변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플 모드의 미리 보기 화면 변경 명령을 보여준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플 모드의 미리 보기 애플리케이션 변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플 모드의 미리 보기 애플리케이션 변경 명령을 보여준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플 모드의 미리 보기 화면 편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플 모드의 편집을 위한 미리 보기 화면을 보여준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사된 오브젝트의 원본 위치로 이동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본 위치 이동 명령을 보여준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플 모드를 이용한 복사된 오브젝트 페이스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플 모드를 이용한 복사된 오브젝트 페이스트 명령을 보여준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플 모드를 이용한 복수의 오브젝트 카피 앤 페이스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플 모드에서 복수의 오브젝트를 복사 및 저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플 모드에서 복수의 오브젝트를 삭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멀티플 모드에서 복수의 오브젝트를 삭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다음은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100)의 방위, 이동 단말기(100)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100)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141)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141)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 스크린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 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 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다음은 도 2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플 모드 실행 시 이동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구성요소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플 모드 디스플레이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멀티플 모드 디스플레이 구성요소는 뷰어 영역(10) 및 아이콘(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멀티플 모드는 순차적으로 카피 및 저장된 복수의 오브젝트가 동시에 제공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오브젝트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과 같은 텍스트(text), 이미지(image)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뷰어 영역(10)은 복수의 카피 및 저장된 오브젝트와 관련된 정보가 표시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뷰어 영역(10)의 모양은 직선 또는 곡선의 바(bar) 모양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뷰어 영역(10)은 디스플레이부(151)의 일부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모서리에 대각선 방향으로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아이콘(3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콘(31,33,35)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아이콘 각각은 복수의 카피 및 저장된 오브젝트 각각을 의미할 수 있다. 아이콘(30)의 모양은 해당 오브젝트가 카피된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모양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아이콘(31)은 SMS(Short Message Service) 애플리케이션에서 복사된 오브젝트를 나타낼 수 있고, 제2 아이콘(33)은 인터넷 익스플로러(Internet Explorer) 애플리케이션에서 복사된 오브젝트를 나타낼 수 있으며, 제3 아이콘(35)은 메모장 애플리케이션에서 복사된 오브젝트를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오브젝트를 각각 카피하여 저장해 두었다가, 사용자가 원하는 오브젝트를 선택하여 페이스트할 수 있도록, 복수의 카피된 오브젝트가 포함된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멀티플 모드 디스플레이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멀티플 모드 디스플레이 구성요소는 오브젝트 번호(50)를 더 포함한다.
오브젝트 번호(50)는 아이콘(30) 인접 영역(adjoining areas)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오브젝트 번호(51)는 제1 아이콘(31)의 가장자리 우측 하단에 붙어있도록 표시될 수 있다. 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오브젝트 번호(50)는 아이콘(30)과 겹쳐지도록 표시될 수도 있다. 이때, 오브젝트 번호(50)의 일부 또는 전부가 아이콘(30)과 겹쳐지도록 표시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브젝트 번호(50)는 미리 정해진 형태의 도형 안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오브젝트 번호(51), 제2 오브젝트 번호(53) 및 제3 오브젝트 번호(55)는 각각 사각형 내부에 표시될 수 있다. 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오브젝트 번호(51), 제2 오브젝트 번호(53) 및 제3 오브젝트 번호(55) 각각은 각기 다른 형태의 도형 안에 표시될 수도 있다. 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오브젝트 번호(51), 제2 오브젝트 번호(53) 및 제3 오브젝트 번호(55)는 각각 숫자만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오브젝트 번호(50)는 오브젝트와 관련된 정보의 일종으로, 전체 오브젝트 중에서 해당 오브젝트가 카피 및 저장된 순서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를 들면, 가장 낮은 수의 오브젝트 번호(50)는 가장 최근에 카피 및 저장된 오브젝트를 의미할 수도 있다. 도 3에서, 제3 오브젝트 번호(55)는 제3 아이콘(35)이 나타내는 오브젝트가 가장 최근에 카피된 오브젝트임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1 오브젝트 번호(51)는 제1 아이콘(31)이 나타내는 오브젝트가 가장 최근을 기준으로 세 번째로 카피되었음을 의미할 수 있고, 제2 오브젝트 번호(53)는 제2 아이콘(53)이 나타내는 오브젝트가 제1 아이콘(31)이 나타내는 오브젝트보다 먼저 카피되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를 들면, 가장 낮은 수의 오브젝트 번호(50)는 가장 먼저 카피 및 저장된 오브젝트를 의미할 수도 있다. 도 3에서, 제3 오브젝트 번호(55)는 제3 아이콘(35)이 나타내는 오브젝트가 가장 먼저 카피된 오브젝트임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1 오브젝트 번호(51)는 제1 아이콘(31)이 나타내는 오브젝트가 세 번째로 카피되었음을 의미할 수 있고, 제2 오브젝트 번호(53)는 제2 아이콘(53)이 나타내는 오브젝트가 제1 아이콘(31)이 나타내는 오브젝트 다음으로 카피되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오브젝트 번호(50)는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카피된 오브젝트 중에서 해당 오브젝트가 카피 및 저장된 순서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오브젝트 번호(55)는 메모장 애플리케이션에서 카피된 오브젝트 중에서 가장 최근에 카피 및 저장된 오브젝트를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제3 오브젝트 번호(55)는 메모장 애플리케이션에서 카피된 오브젝트 중에서 가장 먼저 카피 및 저장된 오브젝트를 의미할 수도 있다.
뷰어 영역(10)에 표시되는 복수의 아이콘(31,33,35) 각각은 오브젝트 번호(50)가 가리키는 순서에 따라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멀티플 모드 디스플레이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뷰어 영역(10)은 활성화된 아이콘(31,33,35)이 포함된 활성화 영역 및 비활성화된 아이콘(37,39)이 포함된 비활성화 영역을 포함한다. 뷰어 영역(10)의 활성화 영역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으며, 비활성화 영역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활성화 영역 또는 비활성화 영역에 포함되는 아이콘의 개수는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변경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현재 생성된 복수의 아이콘 중에서 일부는 활성화 영역에 포함되고, 나머지 일부는 비활성화 영역에 포함될 수 있다. 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활성화 영역은 현재 생성된 아이콘 전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아이콘이 포함되는 영역은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비활성화 영역에 포함된 비활성화된 아이콘(37,39)이,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활성화 영역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도 있다. 아이콘이 포함되는 영역의 변경은, 이하에서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멀티플 모드 디스플레이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오브젝트가 복사된 일시에 관한 정보(70)가 아이콘(30) 내부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아이콘(31) 내부 영역에는, 제1 아이콘(31)이 나타내는 오브젝트가 복사 및 저장된 일시인 9월 25일 11시 10분을 나타내는 정보(71)가 표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아이콘(33) 내부 영역에는 제2 아이콘(33)이 나타내는 오브젝트가 복사 및 저장된 일시인 9월 25일 11시 5분을 나타내는 정보(73)가 표시될 수 있고, 제3 아이콘(35) 내부 영역에는 제3 아이콘(35)이 나타내는 오브젝트가 복사 및 저장된 일시인 9월 24일 3시 15분을 나타내는 정보(75)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오브젝트가 복사된 일시에 관한 정보(70)는 오브젝트가 복사된 시간 및 날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오브젝트가 복사된 날짜는 일, 월 및 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오브젝트가 복사된 일시에 관한 정보(70)는 아이콘(30) 인접 영역에 표시될 수도 있다.
이때, 뷰어 영역(10)에 표시되는 복수의 아이콘(31,33,35) 각각은 오브젝트가 복사 및 저장된 일시 순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멀티플 모드 디스플레이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오브젝트의 컨텐츠(contents of an object,90)가 아이콘(30) 내부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오브젝트의 컨텐츠(90) 일부가 표시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제1 아이콘(31) 내부 영역에는, 제1 아이콘(31)이 나타내는 오브젝트의 첫 단어인 "도레미파"가 표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아이콘(33) 내부 영역에는, 제2 아이콘(33)이 나타내는 오브젝트의 첫 단어인 "1234567"이 표시될 수 있고, 제3 아이콘(35) 내부 영역에는, 제3 아이콘(35)이 나타내는 오브젝트의 첫 단어인 "가나다라"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오브젝트가 이미지인 경우, 이미지 일부가 표시될 수도 있고, 이미지가 저장된 위치의 URL 전부 또는 일부가 표시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오브젝트의 컨텐츠(90)는 아이콘(30) 인접 영역에 표시될 수도 있다.
다음은 도 7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플 모드 진입 방법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플 모드 진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부(130)가 수신한 멀티플 모드 진입을 위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S101), 멀티플 모드에 진입한다(S103). 다음은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플 모드 진입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플 모드 진입 명령을 보여준다.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멀티플 모드 진입 명령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멀티플 모드 진입 명령이 감지되는 터치 스크린의 가장자리 영역은 터치 스크린의 가장자리로부터 터치 스크린의 중앙을 향하여 미리 정해진 면적에 해당하는 만큼의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면적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멀티플 모드 진입 명령이 감지되는 터치 스크린의 가장자리 영역은 미리 정해진 위치의 가장자리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미리 정해진 위치의 가장자리 영역은 터치 스크린의 가장자리 영역 중 일부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8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의 우측 하단 가장자리 영역에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에 한하여, 멀티플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미리 정해진 위치의 가장자리 영역은 터치 스크린의 가장자리 영역 전체를 의미할 수 있다.
멀티플 모드 진입 명령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은 터치 앤 드래그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플 모드 진입 명령에 포함되는 터치 입력은, 터치 스크린의 가장자리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멀티플 모드 진입 명령에 포함되는 드래그 입력은, 터치 스크린의 가장자리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이 유지된 상태로 터치 스크린의 중앙을 향하여 이동하는 드래그 입력을 의미할 수 있다.
멀티플 모드 진입 명령을 감지한 제어부(180)는 멀티플 모드에 진입하여, 멀티플 모드의 디스플레이 구성요소를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멀티플 모드의 디스플레이 구성요소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플 모드의 디스플레이 구성요소를 터치 앤 드래그가 완료되는 위치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멀티플 모드의 디스플레이 구성요소는 터치 스크린의 모서리에 대각선 방향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때, 멀티플 모드의 디스플레이 구성요소는 멀티플 모드 진입 명령에 해당하는 터치 앤 드래그가 진행됨에 따라, 터치 스크린의 모서리로부터 점차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즉, 멀티플 모드의 디스플레이 구성요소는 터치 앤 드래그가 진행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크게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멀티플 모드의 디스플레이 구성요소는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는 터치 스크린 위치에 따라, 표시되는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멀티플 모드 진입 명령을 보여준다.
도 9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멀티플 모드 진입 명령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위치와 상이한 위치에, 멀티플 모드의 디스플레이 구성요소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의 우측 가장자리 영역에서 터치 앤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면, 멀티플 모드에 진입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플 모드의 디스플레이 구성요소를 터치 스크린의 우측 하단 모서리에 대각선 방향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멀티플 모드 진입 명령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터치 스크린의 우측 가장자리 영역은 미리 정해진 위치의 가장자리 영역일 수 있고, 멀티플 모드의 디스플레이 구성요소가 출력되는 위치는 고정된 위치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은 도 10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플 모드 진출 방법을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플 모드 진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부(130)가 수신한 멀티플 모드 진출을 위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S301), 멀티플 모드로부터 진출한다(S303). 다음은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플 모드 진출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플 모드 진출 명령을 보여준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멀티플 모드 진출 명령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멀티플 모드 진출 명령이 감지되는 터치 스크린의 가장자리 영역은 터치 스크린의 가장자리로부터 터치 스크린의 중앙을 향하여 미리 정해진 면적에 해당하는 만큼의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멀티플 모드 진출 명령이 감지되는 터치 스크린의 가장자리 영역은 멀티플 모드 진입 명령이 감지되는 터치 스크린의 가장자리 영역과 동일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멀티플 모드 진출 명령이 감지되는 터치 스크린의 가장자리 영역은 미리 정해진 위치의 가장자리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미리 정해진 위치의 가장자리 영역은 터치 스크린의 가장자리 영역 중 일부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8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플 모드의 디스플레이 구성요소가 출력된 위치와 동일한 위치인, 터치 스크린의 우측 하단 가장자리 영역에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에 한하여, 멀티플 모드로부터 진출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미리 정해진 위치의 가장자리 영역은 터치 스크린의 가장자리 영역 전체를 의미할 수 있다.
멀티플 모드 진출 명령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은 터치 앤 드래그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플 모드 진출 명령에 포함되는 터치 입력은, 터치 스크린의 가장자리 영역 또는 멀티플 모드의 디스플레이 구성요소에 대한 터치 입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멀티플 모드 진출 명령에 포함되는 드래그 입력은, 터치 스크린의 가장자리 영역 또는 멀티플 모드의 디스플레이 구성요소에 대한 터치 입력이 유지된 상태로 터치 스크린의 가장자리를 향하여 이동하는 드래그 입력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멀티플 모드 진출 명령에 해당하는 터치 앤 드래그 방향은 멀티플 모드 진입 명령에 해당하는 터치 앤 드래그 방향의 반대 방향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멀티플 모드 진출 명령을 감지한 제어부(180)는 멀티플 모드로부터 진출하여, 멀티플 모드의 디스플레이 구성요소 출력을 중단한다. 이때, 멀티플 모드의 디스플레이 구성요소는 멀티플 모드 진출 명령에 해당하는 터치 앤 드래그가 진행됨에 따라, 터치 스크린의 모서리로부터 점차적으로 사라질 수 있다. 즉, 멀티플 모드의 디스플레이 구성요소는 터치 앤 드래그가 진행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작게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멀티플 모드의 디스플레이 구성요소는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는 터치 스크린 위치에 따라, 표시되는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멀티플 모드 진출 명령에 해당하는 터치 앤 드래그가 종료되면, 터치 스크린에는 더 이상 멀티플 모드의 디스플레이 구성요소가 표시되지 않는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멀티플 모드 진출 명령을 보여준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멀티플 모드의 디스플레이 구성요소가 출력된 위치와 상이한 위치에서도, 멀티플 모드 진출 명령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멀티플 모드의 디스플레이 구성요소가 표시된 터치 스크린의 우측 가장자리 영역에서 터치 앤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면, 멀티플 모드로부터 진출하여 멀티플 모드의 디스플레이 구성요소 표시를 중단할 수 있다.
이때, 멀티플 모드 진출 명령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터치 스크린의 우측 가장자리 영역은 미리 정해진 위치의 가장자리 영역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은 도 13 및 도 1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플 모드 디스플레이 변경 방법을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플 모드 디스플레이 변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부(130)가 수신한 디스플레이 변경을 위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S501), 멀티플 모드 디스플레이를 변경한다(S503). 멀티플 모드 디스플레이 변경은 앞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아이콘이 포함되는 영역의 변경을 의미할 수 있다. 다음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플 모드 디스플레이 변경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플 모드 디스플레이 변경 명령을 보여준다.
멀티플 모드 디스플레이 변경 명령은, 뷰어 영역(10)의 비활성화 영역에 포함된 비활성화된 아이콘(37,39)의 위치를 활성화 영역으로 변경하는 명령 또는 활성화 영역에 포함된 활성화된 아이콘(31,33,35)의 위치를 비활성화 영역으로 변경하는 명령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멀티플 모드 디스플레이 변경 명령은 뷰어 영역(10)의 모양에 따른 플리킹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곡선의 바 모양인 뷰어 영역(10) 상에서, 뷰어 영역(10)의 곡선을 따라 회전하는 플리킹을 감지하여, 멀티플 모드 디스플레이를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80)는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향하는 회전 플리킹을 감지하면, 비활성화 영역에 포함되어 있던 제5 아이콘(39)을 활성화 영역 중에서 제3 아이콘(35)이 위치하던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5 아이콘(39)이 제3 아이콘(35)의 위치에 표시되면서, 제3 아이콘(35) 및 제2 아이콘(33)이 각각 제2 아이콘(33) 및 제1 아이콘(31)이 위치하던 영역에 표시될 수 있고, 제1 아이콘(31)은 비활성화 영역으로 이동되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향하는 회전 플리킹을 감지하면, 비활성화 영역에 포함되어 있던 제4 아이콘(37)을 활성화 영역 중에서 제1 아이콘(31)이 위치하던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4 아이콘(37)이 제1 아이콘(31)의 위치에 표시되면서, 제1 아이콘(31) 및 제2 아이콘(33)이 각각 제2 아이콘(33) 및 제3 아이콘(35)이 위치하던 영역에 표시될 수 있고, 제3 아이콘(35)은 비활성화 영역으로 이동되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향하는 회전 플리킹이 감지됨에 따라, 제어부(180)는 뷰어 영역(10)에 포함되어 있던 복수의 아이콘 각각의 위치를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는,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향하는 회전 플리킹이 감지됨에 따라, 제어부(180)는 뷰어 영역(10)에 포함되어 있던 복수의 아이콘 각각의 위치를 시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이때, 활성화 영역에 포함될 수 있는 아이콘의 개수가 미리 정해진 경우에는, 뷰어 영역(10)의 활성화 영역 및 비활성화 영역에 포함되는 아이콘이 각각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어부(180)는 직선의 바 모양인 뷰어 영역(10) 상에서, 뷰어 영역(10)의 직선을 따라 진행되는 플리킹을 감지하여, 멀티플 모드 디스플레이를 변경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변경 가능한 멀티플 모드는, 보다 심플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은 도 15 및 도 1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플 모드의 미리 보기를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플 모드의 복사된 오브젝트 미리 보기 실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멀티플 모드가 실행된 상태에서,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부(130)가 수신한 미리 보기 실행을 위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S701), 미리 보기를 실행한다(S703). 멀티플 모드의 미리 보기는, 복사 및 저장된 오브젝트를 붙여넣기 하기 전에, 오브젝트의 컨텐츠를 미리 보는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다음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사된 오브젝트 미리 보기를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플 모드의 복사된 오브젝트 미리 보기 실행 명령 및 미리 보기 화면을 보여준다.
도 16의 (a)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멀티플 모드 디스플레이 구성요소 중 하나의 아이콘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미리 보기 실행 명령을 감지할 수 있다. 아이콘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은 아이콘에 대한 터치 또는 롱터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의 아이콘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은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에 대한 미리 보기 실행 명령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6의 (a)와 같이, 제3 아이콘(35)에 대한 터치 입력은 제3 아이콘(35)이 나타내는 메모장 애플리케이션에서 복사된 오브젝트에 대한 미리 보기 실행 명령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6의 (b)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미리 보기 실행 명령에 따른 미리 보기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제3 아이콘(35)에 대한 터치 입력에 따라, 제3 아이콘(35)이 나타내는 오브젝트와 관련된 정보를 미리 보기 화면(45)에 출력할 수 있다.
미리 보기 화면(45)은 도 16의 (a)에 도시된 멀티플 모드가 실행된 화면의 상부에 중첩되어 표시될 수도 있고, 멀티플 모드가 실행된 화면을 대체하여 표시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미리 보기 화면(45)의 모양은 도 1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미리 보기 화면(45)에 표시되는 오브젝트와 관련된 정보는 예컨대, 오브젝트가 복사된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25), 오브젝트가 복사된 일시에 관한 정보(75), 오브젝트의 컨텐츠(95), 오브젝트 번호(55)를 포함할 수 있다.
오브젝트가 복사된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25)는, 제3 아이콘(35)이 나타내는 오브젝트가 복사된 메모장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를 의미하고, 텍스트 정보 또는 이미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장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할 수 있는 텍스트 정보는 메모장 애플리케이션의 명칭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장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할 수 있는 이미지 정보는 메모장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오브젝트가 복사된 일시에 관한 정보(75)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3 아이콘(35)이 나타내는 오브젝트가 메모장 애플리케이션에서 복사된 시점에 관한 정보를 의미하고, 텍스트 정보 또는 이미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아이콘(35)이 나타내는 오브젝트가 메모장 애플리케이션에서 복사된 시점에 관한 텍스트 정보는 도 1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숫자 및 글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아이콘(35)이 나타내는 오브젝트가 메모장 애플리케이션에서 복사된 시점에 관한 이미지 정보는 달력 이미지 및 시계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오브젝트의 컨텐츠(95)는 다른 오브젝트와 관련된 정보보다 큰 폰트 또는 굵은 폰트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오브젝트의 컨텐츠(95)는 미리 보기 화면(45) 상에 전부 또는 일부가 표시될 수 있다.
오브젝트 번호(55)는 미리 보기 화면(45)의 내부 영역 또는 가장자리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사된 오브젝트에 대한 미리 보기가 가능한 멀티플 모드는, 사용자가 의도하는 오브젝트를 정확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은 도 17 및 도 1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플 모드의 미리 보기 화면 변경 방법을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플 모드의 미리 보기 화면 변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부(130)가 수신한 화면 변경을 위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S901), 미리 보기 화면을 변경한다(S903).
하나의 미리 보기 화면은 하나의 아이콘에 대응한다. 따라서, 복수의 오브젝트가 복사 및 저장되어 복수의 아이콘이 생성되면, 복수의 아이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미리 보기 화면이 생성될 수 있다. 다만, 미리 보기 실행 시, 디스플레이부(151)에 하나의 미리 보기 화면이 표시되는 경우, 다른 미리 보기 화면을 표시하기 위하여 미리 보기 화면 변경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미리 보기 화면 변경은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생성된 미리 보기 화면간 변경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은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플 모드의 미리 보기 화면 변경 명령을 설명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플 모드의 미리 보기 화면 변경 명령을 보여준다.
도 18을 참조하면, 멀티플 모드의 미리 보기 화면 변경 명령은 미리 보기 화면 상에서 좌향 플리킹 또는 우향 플리킹을 포함할 수 있다. 미리 보기 화면은 해당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번호뿐만 아니라, 해당 오브젝트의 전후로 생성된 오브젝트 각각의 오브젝트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8에서, 제3 미리 보기 화면(45)은 제3 오브젝트 번호(55) 뿐만 아니라, 제2 오브젝트 번호(57) 및 제4 오브젝트 번호(59)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어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어부(180)는 예컨대, 좌향 플리킹에 따라 제2 오브젝트 번호(57)에 해당하는 미리 보기 화면 또는 제4 오브젝트 번호(59)에 해당하는 미리 보기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우향 플리킹에 따라 제2 오브젝트 번호(57)에 해당하는 미리 보기 화면 또는 제4 오브젝트 번호(59)에 해당하는 미리 보기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도 있다.
다음은 도 19 및 도 2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플 모드의 미리 보기 애플리케이션 변경 방법을 설명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플 모드의 미리 보기 애플리케이션 변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부(130)가 수신한 애플리케이션 변경을 위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S1101), 미리 보기 애플리케이션을 변경한다(S1103).
미리 보기 애플리케이션은 미리 보기 화면에 해당하는 오브젝트가 복사된 애플리케이션을 의미할 수 있다. 앞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 설명한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생성된 미리 보기 화면간 변경에 대응하여, 미리 보기 화면이 생성된 애플리케이션 자체를 변경하고자 하는 필요를 갖는다. 다음은 도 2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플 모드의 미리 보기 애플리케이션 변경 명령을 설명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플 모드의 미리 보기 애플리케이션 변경 명령을 보여준다.
도 20을 참고하면, 멀티플 모드의 미리 보기 애플리케이션 변경 명령은 미리 보기 화면 상에서 상향 플리킹 또는 하향 플리킹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예컨대, 상향 플리킹에 따라 제5 아이콘(39)에 해당하는 제5 미리 보기 화면(49)을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예컨대, 하향 플리킹에 따라 제2 아이콘(33)에 해당하는 제2 미리 보기 화면(43)을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
제2 미리 보기 화면(43)은 제2 오브젝트와 관련된 정보 예컨대, 제2 오브젝트가 복사된 인터넷 익스플로러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23), 제2 오브젝트가 복사된 일시에 관한 정보(73), 제2 오브젝트의 컨텐츠(9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5 미리 보기 화면(49)은 제5 오브젝트와 관련된 정보 예컨대, 제5 오브젝트가 복사된 인터넷 익스플로러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29), 제5 오브젝트가 복사된 일시에 관한 정보(79), 제5 오브젝트의 컨텐츠(9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은 도 21 및 도 2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플 모드의 미리 보기 화면 편집 방법을 설명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플 모드의 미리 보기 화면 편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부(130)가 수신한 미리 보기 편집을 위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S1301), 미리 보기 편집 기능을 활성화한다(S1303).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미리 보기 편집을 위한 사용자 입력은 미리 보기 화면(45) 상에서 터치 또는 롱터치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미리 보기 편집을 위한 사용자 입력은, 붙여넣기 실행을 위한 사용자 입력과 구분되면 족하다. 다음은 도 2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플 모드의 미리 보기 편집 기능을 설명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플 모드의 편집을 위한 미리 보기 화면을 보여준다.
도 22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미리 보기 편집 기능이 활성화되면, 미리 보기 화면(45)의 인접 영역에 붙여넣기 아이콘(410), 수정 아이콘(430), 미리 보기 화면 추가 아이콘(450) 및 미리 보기 화면 삭제 아이콘(470) 각각을 표시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붙여넣기 아이콘(410)은 제3 미리 보기 화면(45)에 표시된 제3 오브젝트의 컨텐츠(95)를 붙여넣기 위하여 선택될 수 있다.
수정 아이콘(430)은 제3 미리 보기 화면(45)에 표시된 제3 오브젝트의 컨텐츠(95)를 변경하기 위하여 선택될 수 있다. 수정 아이콘(430)이 선택되는 경우, 제3 미리 보기 화면(45)에는 제3 오브젝트의 컨텐츠(95)를 가리키는 커서 등의 인디케이터가 표시될 수 있고, 자판 등의 편집 툴이 활성화될 수 있다.
미리 보기 화면 추가 아이콘(450)은 제3 미리 보기 화면(45)에 새로운 페이지를 추가하여 새로운 오브젝트를 삽입하기 위하여 선택될 수 있다.
미리 보기 화면 삭제 아이콘(470)은 제3 미리 보기 화면(45)을 삭제하기 위하여 선택될 수 있다.
다음은 도 23 및 도 2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플 모드의 미리 보기 화면에서 복사된 오브젝트의 원본 위치로 이동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사된 오브젝트의 원본 위치로 이동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3을 참고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부(130)가 수신한 원본 위치로의 이동을 위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S1501), 해당 오브젝트의 원본 위치로 이동한다(S1303).
해당 오브젝트의 원본 위치는 해당 오브젝트가 복사된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원본이 저장된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해당 오브젝트의 원본 위치의 URL을 이용하여 해당 오브젝트의 원본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해당 오브젝트의 원본 위치로 이동되면, 제어부(180)는 해당 오브젝트의 원본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다음은 도 2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본 위치 이동 명령을 설명한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본 위치 이동 명령을 보여준다.
도 24를 참고하면,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제3 미리 보기 화면(45) 내부에 포함된 원본 위치 인디케이터(65)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원본 위치 이동 명령을 감지할 수 있다.
원본 위치 인디케이터(65)는 원본 위치 URL 링크 기능을 실행할 수 있으며, 별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표시될 수 있다. 또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본 위치 인디케이터(65)는, 기존에 제3 미리 보기 화면(45) 내부에 표시된 제3 오브젝트가 복사된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및 제3 오브젝트가 복사된 일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표시될 수도 있다.
원본 위치로의 이동을 위한 사용자 입력은 원본 위치 인디케이터(65)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원본 위치로의 이동을 위한 사용자 입력은 원본 위치 인디케이터(65)에 대한 터치 입력 또는 롱터치 입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은 도 25 및 도 2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플 모드를 이용한 복사된 오브젝트 페이스트 방법를 설명한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플 모드를 이용한 복사된 오브젝트 페이스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멀티플 모드 상에서 아이콘 선택을 위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S1701), 선택된 아이콘의 식별 표시를 수행한다(S1703).
아이콘 선택을 위한 사용자 입력은, 멀티플 모드가 수행되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복수의 아이콘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의미할 수 있다.
선택된 아이콘의 식별 표시는, 선택된 아이콘이 선택되지 않은 아이콘과 구별되도록 표시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선택되지 않은 아이콘은 뷰어 영역(10) 내의 고정된 위치에만 표시되는 반면, 선택된 아이콘은 뷰어 영역(10)을 포함한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위치에서도 표시될 수 있다. 다음은 도 26을 참고하여 아이콘 선택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설명한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플 모드를 이용한 복사된 오브젝트 페이스트 명령을 보여준다.
도 26을 참조하면, 아이콘 선택을 위한 사용자 입력(310)은 하나의 아이콘에 대한 터치 입력 또는 롱터치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아이콘 선택을 위한 사용자 입력(310)은 제3 아이콘(35)에 대한 터치 입력 또는 롱터치 입력일 수 있다.
다시 도 25를 설명한다.
이어서, 제어부(180)는 아이콘 이동을 위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S1705), 선택된 아이콘의 이동 경로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S1707).
아이콘 이동을 위한 사용자 입력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사용자 입력창에, 선택된 아이콘이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붙여넣기 위하여, 멀티플 모드 상에서 선택된 아이콘을 뷰어 영역(10)으로부터 사용자 입력창까지 가져가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의미할 수 있다.
선택된 아이콘의 이동 경로는 선택된 아이콘이 사용자 입력에 따라 이동되는 현재 경로를 의미할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아이콘 이동을 위한 사용자 입력(330)은, 제3 아이콘(35)에 대한 터치 입력 또는 롱터치 입력이, 뷰어 영역(10)으로부터 사용자 입력창(153)까지 유지되는 드래그 입력일 수 있다.
또한, 이동 경로 상에 있는 선택된 제3 아이콘(65)은 흐리게 표시될 수 있다.
다시 도 25를 설명한다.
이어서, 제어부(180)는 아이콘 분리를 위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S1709), 선택된 아이콘에 해당하는 오브젝트를 사용자 입력창에 붙여넣기한다(S1711).
아이콘 분리를 위한 사용자 입력은 도면 부호 S1705 단계에서 설명한 아이콘 이동을 위한 사용자 입력이 중단된 사용자 입력을 의미할 수 있다.
아이콘 분리를 위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아이콘 분리를 위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위치에, 분리된 아이콘에 해당하는 오브젝트의 컨텐츠를 붙여넣기할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아이콘 분리를 위한 사용자 입력(350)은, 제3 아이콘(35)에 대한 드래그 입력을 중단한 사용자 입력일 수 있다. 사용자 입력창(153) 상에서 제3 아이콘(35) 분리를 위한 사용자 입력(350)이 감지되면, 사용자 입력창(153) 내에 제3 아이콘(35)에 해당하는 오브젝트 컨텐츠인 "가나다라마바사"가 입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붙여넣기가 완료된 오브젝트에 해당하는 아이콘은 멀티플 모드 디스플레이 구성요소에서 삭제될 수도 있고, 별도의 삭제 명령이 감지되기 전까지 붙여넣기 실행 유무와 무관하게 유지될 수도 있다.
다음은 도 27 및 도 2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플 모드에서의 복사 이벤트 처리 과정을 설명한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플 모드를 이용한 복수의 오브젝트 카피 앤 페이스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중 오브젝트 복사를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S1901), 복사 이벤트 발생을 감지한다(S1903).
이어서, 제어부(180)는 동일 애플리케이션에서 복사된 오브젝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905). 제어부(180)는 동일 애플리케이션에서 복사 이벤트 발생이 감지되었는지 여부 등을 통하여 도면 부호 S1905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동일 애플리케이션에서 복사된 오브젝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면 부호 S1901 단계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 테이블을 새로이 생성한다(S1907).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 테이블은, 복사된 오브젝트 하나가 하나의 페이지에 복사된다고 가정할 때, 동일 애플리케이션에서 생성된 복수의 페이지를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반면에, 동일 애플리케이션에서 복사된 오브젝트가 존재하는 경우에, 제어부(180)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 테이블에 새로이 생성된 페이지를 추가한다(S1909). 동일 애플리케이션에서 복사된 오브젝트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다시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 테이블을 생성할 필요 없이, 이미 생성되어 있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 테이블에 새로이 생성된 페이지를 추가하는 것으로 족하다.
이어서, 제어부(180)는 도면 부호 S1909 단계에서 추가된 페이지에, 도면 부호 S1901 단계에서 사용자 입력이 가리키는 오브젝트를 복사한다(S1911). 이때, 제어부(180)는 해당 페이지에 해당 오브젝트의 컨텐츠를 복사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도면 부호 S1903에서 발생된 복사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S1913). 복사 이벤트에 대한 정보는 복사 이벤트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와 관련된 정보, 예컨대, 오브젝트가 복사된 일시에 대한 정보 또는 오브젝트가 복사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오브젝트 컨텐츠를 포함한 오브젝트 관련 정보를 획득하면, 전체 아이콘 테이블을 정렬할 수 있다(S1915). 제어부(180)는 애플리케이션 별로 아이콘 테이블을 정렬할 수 있고, 해당 애플리케이션에서 복사 및 저장된 순서에 따라 해당 아이콘 테이블을 정렬할 수도 있으며, 도면 부호 S1915 단계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이어서, 멀티플 모드 진입을 위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S1917), 제어부(180)는 앞서 설명한 멀티플 모드에 진입한다(S1919).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오브젝트를 각각 복사 및 저장한 후 정렬하여 멀티플 모드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플 모드에서 복수의 오브젝트를 복사 및 저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애플리케이션 브라우저(210)는 해당 애플리케이션 실행 중 오브젝트 복사를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복사 이벤트 A를 생성하여 단말기(100), 시스템 저장소(230) 및 시간 관리자(250)에 전송한다(S2101,S2103,S2102). 애플리케이션 브라우저(210), 시스템 저장소(230), 시간 관리자(250) 및 단말기(1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플 모드 실행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브라우저(210)로부터 전송된 복사 이벤트 A를 수신한 단말기(100)는 복사 이벤트 A를 감지한다(S2105).
애플리케이션 브라우저(210)로부터 전송된 복사 이벤트 A를 수신한 시간 관리자(250)는 복사 이벤트 A가 발생한 시각을 저장한다(S2106).
또한, 애플리케이션 브라우저(210)로부터 전송된 복사 이벤트 A를 수신한 시스템 저장소(230)는 복사 이벤트 A에 해당하는 오브젝트를 저장한다(S2107).
이어서,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복사 이벤트 A의 감지에 대응하여, 시스템 저장소(230)에 저장된, 복사 이벤트 A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요청한다(S2109). 도면 부호 S2109 단계의 요청을 받은 시스템 저장소(230)는 도면 부호 S2107 단계에서 저장했던, 복사 이벤트 A에 해당하는 오브젝트를, 단말기(100)에 복사한다(S2111).
또한,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복사 이벤트 A의 감지에 대응하여, 시간 관리자(250)에 복사 이벤트 A의 발생 시각 정보를 요청한다(S2113). 도면 부호 S2113 단계의 요청을 받은 시간 관리자(250)는 도면 부호 S2106 단계에서 저장했던, 복사 이벤트 A가 발생한 시각 정보를, 단말기(100)에 전송한다(S2115).
또한,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복사 이벤트 A의 감지에 대응하여, 애플리케이션 브라우저(210)에 복사 이벤트 A가 발생한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요청한다(S2117). 도면 부호 S2117 단계의 요청을 받은 애플리케이션 브라우저(210)는 복사 이벤트 A가 발생한 애플리케이션 정보 예컨대, 애플리케이션 브라우저(210)의 식별 정보를, 단말기(100)에 전송한다(S2119).
다음은 도 29 및 도 3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플 모드에서의 복사 오브젝트 삭제 방법을 설명한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플 모드에서 복수의 오브젝트를 삭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9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복사된 오브젝트 저장 시간을 기준 시간과 비교한다(S2301).
복사된 오브젝트 저장 시간은, 복수의 오브젝트가 각각 복사 및 저장된 후 경과된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앞서 도 27을 참조하여 설명한 아이콘 테이블에 추가된 페이지에, 해당 오브젝트가 복사된 후 경과한 시간이, 복사된 오브젝트 저장 시간에 포함될 수 있다.
기준 시간은 미리 정해지거나, 사용자 입력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180)는 복사된 오브젝트 저장 시간이 기준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복사된 오브젝트를 삭제한다(S2303). 복수의 오브젝트가 복사 및 저장된 경우, 제어부(180)는 복수의 오브젝트 각각의 복사 및 저장 시간을 기준 시간과 비교한 후, 저장 시간이 기준 시간을 초과한 오브젝트만을 삭제할 수 있다.
도 3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멀티플 모드에서 복수의 오브젝트를 삭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0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복사 및 저장된 오브젝트 전체 개수를 계산한 후(S2501), 복사 및 저장된 오브젝트 전체 개수를 저장 가능한 오브젝트 개수와 비교한다(S2503).
복사 및 저장된 오브젝트 전체 개수는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서 복사 및 저장된 오브젝트 전체 개수를 의미할 수도 있고, 전체 애플리케이션에서 복사 및 저장된 오브젝트 전체 개수를 의미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앞서 도 27을 참조하여 설명한 전체 아이콘 테이블에 추가된 페이지 개수 또는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 테이블에 추가된 페이지 개수가 복사 및 저장된 오브젝트 전체 개수에 포함될 수 있다.
저장 가능한 오브젝트 개수는 예컨대, 앞서 도 27을 참조하여 설명한 전체 아이콘 테이블에 추가 가능한 페이지 개수 또는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 테이블에 추가 가능한 페이지 개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저장 가능한 오브젝트 개수는 미리 정해지거나, 사용자 입력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복사 및 저장된 오브젝트 전체 개수를 계산하여 저장 가능한 오브젝트 개수와 비교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복사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복사 및 저장된 오브젝트 전체 개수를 계산하여 저장 가능한 오브젝트 개수와 비교할 수도 있다.
이어서, 제어부(180)는 복사 및 저장된 오브젝트 전체 개수가 저장 가능한 오브젝트 개수를 초과하는 경우, 복사 및 저장된 오브젝트를 삭제한다(S2505).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복수의 복사 및 저장된 오브젝트 중에서 가장 먼저 복사 및 저장된 오브젝트를 삭제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복사 이벤트가 발생하면, 복사 및 저장된 오브젝트 전체 개수가 저장 가능한 오브젝트 개수를 초과하는 경우, 발생된 복사 이벤트에 해당하는 오브젝트를 저장하지 않을 수도 있고, 복사 이벤트가 발생하기 바로 이전에 복사 및 저장된 오브젝트를 삭제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복사 및 저장된 오브젝트를 삭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20)

  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오브젝트를 복사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오브젝트를 복사하여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복수 회 수신됨에 따라 복수의 오브젝트가 저장되면 제1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아이콘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선택하는 제2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선택된 아이콘이 식별되도록 표시하며, 입력창에 상기 선택된 아이콘을 입력하는 제3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오브젝트를 상기 입력창에 붙여넣기 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사된 오브젝트의 전체 개수가 복사 가능한 오브젝트의 개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 중 일부를 삭제하는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감지되는 사용자 입력인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가장자리 영역으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중앙 방향으로 감지되는 터치 앤 드래그를 포함하는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아이콘 각각의 모양을,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 각각이 복사된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모양으로 표시하는 단말기.
  5.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오브젝트를 복사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오브젝트를 복사하여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복수 회 수신됨에 따라 복수의 오브젝트가 저장되면 제1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아이콘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선택하는 제2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선택된 아이콘이 식별되도록 표시하며, 입력창에 상기 선택된 아이콘을 입력하는 제3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오브젝트를 상기 입력창에 붙여넣기 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아이콘 각각을,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 각각이 복사된 순서를 나타내는 오브젝트 번호와 함께 표시하는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아이콘 각각을 상기 오브젝트 번호에 따라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아이콘을 바 형태의 뷰어 영역 내에 줄지어 표시하는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뷰어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활성화 영역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표시되지 않는 비활성화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제4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활성화 영역에 위치한 제1 아이콘을 상기 비활성화 영역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비활성화 영역에 위치한 제2 아이콘을 상기 활성화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아이콘 각각의 아이콘 영역 내부에,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 각각이 복사된 일시를 표시하는 단말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아이콘 각각의 아이콘 영역 내부에,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 각각의 컨텐츠의 전부 또는 일부를 표시하는 단말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가장자리 영역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감지되는 제5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제5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의 아이콘의 디스플레이를 중단하며,
    상기 제5 사용자 입력은 터치 앤 드래그를 포함하는 단말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선택하는 제6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6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제6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제2 사용자 입력과 구별되는 사용자 입력에 해당하는 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6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6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의 컨텐츠, 상기 제6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오브젝트가 복사된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상기 제6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오브젝트가 복사된 일시, 상기 제6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오브젝트가 복사된 순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7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제6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선택된 아이콘 이외의, 선택되지 않은 아이콘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단말기.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6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와 관련된 정보 및 상기 제6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와 관련된 정보를 수정하거나 삭제하기 위한 편집 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편집 툴을 선택하는 제8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제6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와 관련된 정보를 수정 또는 삭제하는 단말기.
  16.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오브젝트를 복사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오브젝트를 복사하여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복수 회 수신됨에 따라 복수의 오브젝트가 저장되면 제1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아이콘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선택하는 제2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선택된 아이콘이 식별되도록 표시하며, 입력창에 상기 선택된 아이콘을 입력하는 제3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오브젝트를 상기 입력창에 붙여넣기 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에서 특정 아이콘을 선택하는 제6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특정 아이콘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와 관련된 정보 및 상기 특정 아이콘에 대응되는 오브젝트가 복사된 원본 위치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인디케이터를 선택하는 제9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특정 아이콘에 대응되는 오브젝트가 복사된 원본이 포함된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제6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제2 사용자 입력과 구별되는 사용자 입력에 해당하는
    단말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사된 오브젝트의 저장 시간이 기준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 중 일부를 삭제하는 단말기.
  18.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오브젝트를 복사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오브젝트를 복사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이 복수 회 수신됨에 따라 복수의 오브젝트가 저장되면, 제1 사용자 입력에 따라 바 형태의 뷰어 영역 내에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아이콘을 줄지어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선택하는 제2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선택된 아이콘이 식별되도록 표시하는 단계; 및
    입력창에 상기 선택된 아이콘을 입력하는 제3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오브젝트를 상기 입력창에 붙여넣기 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오브젝트를 복사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복사된 오브젝트의 전체 개수가 복사 가능한 오브젝트의 개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 중 일부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 동작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뷰어 영역은 상기 복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활성화 영역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표시되지 않는 비활성화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제4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활성화 영역에 위치한 제1 아이콘을 상기 비활성화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4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비활성화 영역에 위치한 제2 아이콘을 상기 활성화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 동작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제5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의 아이콘의 디스플레이를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5 사용자 입력은, 상기 단말기의 가장자리 영역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감지되는 터치 앤 드래그를 포함하는 단말기 동작 방법.
KR1020147019124A 2013-03-12 2013-03-12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6279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IB2013/000905 WO2014140666A1 (en) 2013-03-12 2013-03-12 Terminal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8114A KR20140138114A (ko) 2014-12-03
KR101627951B1 true KR101627951B1 (ko) 2016-06-07

Family

ID=51535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9124A KR101627951B1 (ko) 2013-03-12 2013-03-12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946451B2 (ko)
KR (1) KR101627951B1 (ko)
WO (1) WO20141406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64697A (ja) * 2013-09-24 2015-04-09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160004590A (ko) * 2014-07-03 2016-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전자 장치
WO2016200670A1 (en) * 2015-06-07 2016-12-15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application windows
CN108021298B (zh) * 2016-10-28 2020-04-24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利用剪切板粘贴信息的方法及装置
CN110225180B (zh) * 2019-04-23 2021-01-08 维沃软件技术有限公司 一种内容输入方法及终端设备
CN110221741B (zh) * 2019-05-31 2021-01-0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图标管理方法及终端设备
US11879231B2 (en) 2021-04-19 2024-01-23 Deere & Company System and method of selective automation of loading operation stages for self-propelled work vehicles
US11953337B2 (en) 2021-05-12 2024-04-09 Deere &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assisted positioning of transport vehicles for material discharge in a worksit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56896A1 (en) 2002-09-25 2004-03-25 Stefan Doblmayr Customizable drag and drop for industrial software appli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30865A (en) * 1993-03-03 1996-06-25 Apple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application program switching on a computer-controlled display system
JP3690720B2 (ja) * 1999-09-14 2005-08-31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クライアントサーバーシステム、オブジェクトのプール方法および記憶媒体
JP3632523B2 (ja) * 1999-09-24 2005-03-23 ヤマハ株式会社 演奏データ編集装置、方法及び記録媒体
US6874130B1 (en) * 2000-02-17 2005-03-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py/move graphical user interface apparatus and method
US8281241B2 (en) * 2004-06-28 2012-10-02 Nokia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extended user interface
US7665028B2 (en) 2005-07-13 2010-02-16 Microsoft Corporation Rich drag drop user interface
US8042065B2 (en) 2005-11-17 2011-10-18 Microsoft Corporation Smart copy/paste of graphical nodes
US20080307324A1 (en) * 2007-06-08 2008-12-11 Apple Inc. Sharing content in a videoconference session
KR101526575B1 (ko) 2008-11-17 2015-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입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8819570B2 (en) * 2009-03-27 2014-08-26 Zumobi, Inc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displaying interactive elements on a canvas
KR101608532B1 (ko) * 2009-08-11 2016-04-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표시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US8677083B1 (en) * 2010-09-21 2014-03-18 Amazon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toggling a storage system versioning feature
WO2012044713A1 (en) 2010-10-01 2012-04-05 Imerj LLC Drag/flick gestures in user interface
KR20120062297A (ko) 2010-12-06 2012-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ui 제공 방법
KR101889838B1 (ko) * 2011-02-10 2018-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20107356A (ko) * 2011-03-21 2012-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에서 클립보드 기능 제공 방법 및 장치
US9465507B2 (en) * 2011-10-19 2016-10-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echniques to facilitate asynchronous communication
US20140157169A1 (en) * 2012-12-05 2014-06-05 Microsoft Corporation Clip board system with visual affordan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56896A1 (en) 2002-09-25 2004-03-25 Stefan Doblmayr Customizable drag and drop for industrial software applic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40666A1 (en) 2014-09-18
US9946451B2 (en) 2018-04-17
US20160048284A1 (en) 2016-02-18
KR20140138114A (ko) 2014-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7951B1 (ko)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859100B1 (ko) 휴대 전자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873734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2012002858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2010569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4530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2000667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906415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18756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294306B1 (ko) 휴대 전자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5002814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62252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
KR20130000280A (ko) 휴대 전자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61598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77636B1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텍스트 편집 방법
KR20140025048A (ko)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718013B1 (ko)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12000667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813034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20150064523A (ko)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059007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59789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방법
KR20150049117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40147509A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097079B1 (ko)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