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7496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7496B1
KR101627496B1 KR1020140066703A KR20140066703A KR101627496B1 KR 101627496 B1 KR101627496 B1 KR 101627496B1 KR 1020140066703 A KR1020140066703 A KR 1020140066703A KR 20140066703 A KR20140066703 A KR 20140066703A KR 101627496 B1 KR101627496 B1 KR 101627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actuator
mounting surface
base member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6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9918A (ko
Inventor
히로유키 요코오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09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9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7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7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8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Abstract

커넥터는, 단부를 구비하는 시트 모양 또는 판자 모양의 대상물과 접속 가능하다. 커넥터는, 베이스 부재와, 콘택트와, 액추에이터를 구비하고 있다. 콘택트는 베이스 부재에 지지되어 있다. 액추에이터는, 개폐 가능하도록 베이스 부재에 지지되어 있다. 액추에이터는, 접점보호위치와, 개방위치와, 지지위치를 선택적으로 취할 수 있는 것이다. 대상물이 탑재면상에 탑재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액추에이터를 접점보호위치까지 닫으면, 상하방향에 있어서 보호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탑재면보다 하측에 위치함과 아울러 전후방향에 있어서 커넥터를 전방에서 본 경우에 보호부가 접점부를 볼 수 없도록 숨긴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FPC(Flexible Printed Circuit)나 FFC(Flexible Flat Cable)와 같은 판자 모양(板狀) 또는 시트 모양(sheet狀)의 대상물과 접속하는 커넥터(connector)에 관한 것이다.
이런 타입의 커넥터는, 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4-193045호 공보(특허문헌1)에 개시되어 있다. 당해 공보의 내용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일부로 한다.
특허문헌1의 커넥터는, 도1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절연 하우징(絶緣 housing)과, 복수의 콘택트(contact)와, 액추에이터(actuator)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콘택트는 절연 하우징에 지지되어 있다. 액추에이터는, 개방상태(도19(A))와 폐쇄상태(도19(B))를 선택적으로 취할 수 있도록 절연 하우징에 지지되어 있다. FPC의 단부(端部)를 커넥터에 삽입한 상태에서 액추에이터를 전방(前方)으로 쓰러뜨려서 닫으면, FPC의 단부가 콘택트의 접점부에 눌려진다.
특허문헌1의 커넥터에서는, 콘택트의 접점부에 먼지가 부착되어버리는 문제가 발생하기 쉬웠다.
특허문헌1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4-193045호 공보
그래서 본 발명은, FPC 등의 대상물과 접속하는 커넥터로서 우수한 방진구조(防塵構造)를 구비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특허문헌1의 커넥터에서는, FPC를 커넥터에 삽입하지 않고 있는 경우에 도19(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를 폐쇄상태로 했다고 하더라도, 커넥터의 전단에 개구(開口)가 존재하는 것을 발견했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이러한 개구를 최대한 작게 하여 방진효과를 높이는 것이 유효하다는 생각에 이르렀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이하에서 열거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은, 단부를 구비하는 시트 모양 또는 판자 모양의 대상물과 접속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한다. 상기 커넥터는, 베이스 부재와, 콘택트와, 액추에이터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에는, 탑재면과,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용홈은, 상하방향에 있어서 상기 탑재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오목하고 또한 상기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상기 콘택트는 상기 베이스 부재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콘택트는, 하부와 접점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수용홈은 상기 하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고 있다. 상기 하부에는 상기 접점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개폐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부재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가압부와 보호부를 구비하고 또한 접점보호위치와, 개방위치와, 상기 개방위치 및 상기 접점보호위치 사이에 위치하는 지지위치를 선택적으로 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개방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보호부는 상기 상하방향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탑재면상에 상기 대상물의 상기 단부를 탑재 가능하다.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지지위치 또는 상기 접점보호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보호부는 상기 전후방향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대상물의 상기 단부가 상기 탑재면상에 탑재된 상태에서 상기 액추에이터를 상기 지지위치까지 닫으면, 상기 가압부가 상기 대상물의 상기 단부를 상기 탑재면에 가압함과 아울러 상기 콘택트의 상기 접점부가 상기 대상물의 상기 단부에 접촉한다. 상기 대상물이 상기 탑재면상에 탑재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액추에이터를 상기 접점보호위치까지 닫으면, 상기 상하방향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탑재면보다 하측에 위치함과 아울러 상기 전후방향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를 전방에서 본 경우에 상기 보호부가 상기 접점부를 볼 수 없도록 숨긴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의 커넥터는, FPC 등의 대상물이 탑재면상에 탑재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액추에이터를 접점보호위치까지 닫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액추에이터를 접점보호위치까지 닫으면 보호부가 탑재면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측에 위치하여, 커넥터를 전방에서 본 경우에 보호부가 접점부를 숨겨서 보이지 않게 된다. 그 결과, FPC 등의 대상물이 탑재면상에 탑재되어 있지 않은 경우이더라도 접점보호위치에 있는 액추에이터는, 커넥터의 외부로부터 먼지가 들어와 접점부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하기에 있어서 최선의 실시형태에 대한 설명을 검토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이 정확하게 이해되고 또 그 구성에 대하여 더 완전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를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이다. 액추에이터는 개방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도2는, 도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이다. 액추에이터는 쓰러뜨려져 있지만 접점보호위치에는 이르지 않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콘택트가 생략되어 있다.
도3은, 도1의 커넥터의 일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4는, 도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다른 정면 사시도이다. 액추에이터는 접점보호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도5는, 도4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6은, 도5의 커넥터의 일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7은, 도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난 커넥터에는 FPC가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있으며, 액추에이터는 지지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도8은, 도1의 커넥터에 포함되는 베이스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9는, 도8의 베이스 부재의 일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10은, 도1의 커넥터에 포함되는 액추에이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1은, 도10의 액추에이터의 일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12는, 도1의 커넥터에 포함되는 콘택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3은, 도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액추에이터는 개방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도14는, 도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다른 단면도이다. 액추에이터는 지지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도15는, 도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또 다른 단면도이다. 액추에이터는 접점보호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도16은, 도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또 다른 단면도이다. 후술하는 검사용 FPC가 삽입되어 있으며, 액추에이터가 지지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도17은, 도1의 커넥터와 접속 가능한 FPC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8은, 접점부의 이동량 검사용 FPC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9는, 특허문헌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9(A)에 있어서 액추에이터는 개방상태에 있으며, 도19(B)에 있어서 액추에이터는 폐쇄상태에 있다.
본 발명에 대해서는 다양한 변형이나 여러 가지 형태로 실현할 수 있지만, 그 일례로서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특정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및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여기에서 개시한 특정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되어 있는 범위내에 있어서 이루어지는 모든 변형예(變形例), 균등물(均等物), 대체예(代替例)를 그 대상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도1 내지 도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커넥터(connector)(100)는, 회로기판(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에 탑재됨과 아울러 접속 대상물로서의 FPC(200)에 접속되는 것이다. 또한 커넥터(100)는, 베이스 부재(base 部材)(110)와, 복수의 콘택트(contact)(130)와, 액추에이터(actuator)(150)와, 홀드다운(hold down)(170)을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 부재(110)는 절연체(絶緣體)로 되어 있다. 복수의 콘택트(130)는 각각 도전체(導電體)로 되어 있다. 액추에이터(150)는 절연체로 되어 있다. 홀드다운(170)은 각각 금속(金屬)으로 되어 있다. 도1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FPC(200)는, 단자(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가 형성되는 단부(端部)(202)와, 탭(tab)(204)을 구비하고 있다. 이 탭(204)은, 단부(202)의 Y방향(피치방향(pitch方向):가로방향)의 양단(兩端)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의 커넥터(100)와 접속 가능한 대상물은 FPC(200)에 한정되지 않고, FFC나 다른 시트 모양(sheet狀) 또는 판자 모양(板狀)의 것이어도 좋다.
도8 및 도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110)는, 지지부(支持部)(114)와, 판자 모양부(板狀部)(115)와, 측벽부(側壁部)(116)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부(114)는, Y방향으로 긴 변을 구비하는 가늘고 긴 블록 모양의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판자 모양부(115)는, 지지부(114)로부터 X방향(전후방향)에 있어서 -X측(전방(前方))으로 연장되어 있다. 측벽부(116)는, Y방향에 있어서 판자 모양부(115)의 양단에 위치하고 있다.
도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지지부(114)는 베이스 부재(110)의 후단(後端)(112)을 구성하고 있다. 도13 내지 도1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지지부(114)는 콘택트(130)를 지지하고 있다.
도8 및 도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판자 모양부(115)의 Z방향(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사이즈(두께)는 지지부(114)나 측벽부(116)보다 작다. 즉 판자 모양부(115)는 지지부(114)나 측벽부(116)보다 얇다.
도1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판자 모양부(115)의 +Z측의 면(상면(上面))은, FPC(200)를 탑재하기 위한 탑재면(搭載面)(122)으로서 기능한다. 도8 및 도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판자 모양부(115)에는, 복수의 수용홈(收容ditch)(124)이 형성되어 있다. 각 수용홈(124)은, 탑재면(122)으로부터 -Z측(하방(下方))으로 오목하고 또한 X방향(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다만 예를 들면 도13 내지 도1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 수용홈(124)은, 베이스 부재(110)의 전단(前端)(111)까지는 도달하지 않고 있다. 또한 각 수용홈(124)은 지지부(114)까지 통하고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수용홈(124)은 콘택트(130)의 일부를 각각 수용한다.
도8 및 도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판자 모양부(115)에는 경사면(傾斜面)(126)과 블록 모양의 빠짐방지부(128)가 더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126)은 탑재면(122)의 -X측(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이 경사면(126)은 X방향 및 Z방향과 비스듬히 교차하고 있음과 아울러 베이스 부재(110)의 전단(111)까지 연장되어 있다. 빠짐방지부(128)는, 탑재면(122)의 -X측(전방)이며 경사면(126)의 Y방향의 양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이들 빠짐방지부(128)는 +Z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이들 빠짐방지부(128)는, FPC(200)가 탑재면(122)에 탑재되었을 경우에, FPC(200)의 탭(204)(도17 참조)의 -X측(전방)에 각각 위치함으로써 FPC(200)가 커넥터(100)로부터 빠져버리는 것을 방지한다.
도8 및 도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측벽부(116)는, 지지부(114)의 Y방향의 양단으로부터 -X측(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도1 내지 도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측벽부(116)는 홀드다운(170)을 각각 지지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홀드다운(170)은 베이스 부재(110)의 Y방향의 양단에 지지되어 있다. 이들 홀드다운(170)은, 커넥터(100)를 회로기판(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에 탑재하였을 경우에 회로기판(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에 솔더링(soldering) 등에 의하여 고정된다.
도8 및 도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 측벽부(116)에는, 축받이 홈부(軸受 groove部)(118) 및 피록부(被lock部)(120)가 형성되어 있다. 축받이 홈부(118)는, 측벽부(116)에 있어서 Y방향의 내측의 면으로부터 Y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오목함과 아울러 Z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피록부(120)는, X방향에 있어서 측벽부(116)의 -X측단부(전단(111)) 근방에 위치하고 또한 Z방향에 있어서 측벽부(116)의 +Z측단부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피록부(120)는, 측벽부(116)에 있어서 Y방향의 내측의 면으로부터 Y방향의 내측으로 더 돌출하고 있다.
도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콘택트(130)는, 상부(上部)(132)와, 하부(下部)(134)와, 연결부(連結部)(140)와, 피지지부(被支持部)(142)를 구비하고 있다. 하부(134)에는, FPC(200)의 단부(202)에 형성된 단자(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와 접속되는 접점부(接點部)(136)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140)는 상부(132)와 하부(134)를 서로 연결한다. 상부(132)는, 하부(134)와 Z방향에 있어서 떨어져서 위치하고 있다. 피지지부(142)는 연결부(14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상부(132)를 +Z측(상방(上方))으로 끌어올리면, 하부(134)도 +Z측(상방)으로 끌어올려 진다.
도1 및 도8에서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110)에 지지된 콘택트(130)는 Y방향으로 나열되어 있다. 도13 내지 도1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피지지부(142)는 지지부(114)에 지지되어 있다. 하부(134)는 각각 수용홈(124)에 수용되어 있다. 도12 내지 도15에서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접점부(136)는, 하부(134)의 부위(部位)(138)에 각각 포함되어 있으며, 이 부위(138)의 Z방향에 있어서의 사이즈(size)는 각각 하부(134)중에서 최대이다. 이하, 이 부위(138)를 「최대부위」라고 하며, 이 부위(138)의 Z방향에 있어서의 사이즈를 H M 이라고 한다. 이 부위(138)의 Z방향에 있어서의 사이즈(H M )는, 각각 수용홈(124)의 Z방향에 있어서의 사이즈(즉 수용홈(124)의 깊이) 이하이다. 바꾸어 말하면 Z방향에 있어서 수용홈(124)은, 각각 하부(134)의 최대부위(138)보다 크다. 그 때문에 하부(134) 전체를 각각 수용홈(124)내에 수용할 수 있다.
도10 및 도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150)는, 가압부(加壓部)(152)와, 보호부(保護部)(160)와, 조작부(操作部)(164)를 구비하고 있다.
도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축부(軸部)(158)가 가압부(152)의 Y방향의 양단에 형성되어 있다. 이 축부(158)는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고 있다. 이 축부(158)는, 베이스 부재(110)의 축받이 홈부(118)에 수용되어 있으며, 이 축받이 홈부(118)(도8 및 도9 참조)의 내부에 있어서 회전 가능하고 또한 Z방향으로 이동 가능(상하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액추에이터(150)는, 베이스 부재(110)에 지지되어 있으며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액추에이터(150)는, 개방위치(開放位置)(도13 참조)와, 지지위치(支持位置)(도14 참조)와, 접점보호위치(接點保護位置)(도15 참조)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에서 지지위치는, 개방위치와 접점보호위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도10 및 도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가압부(152)에는, 수용부(受容部)(154)가 복수로 형성되어 있다. 이 수용부(154)는, 홈모양으로서 Y방향과 교차하고 있다. 수용부(154)는 각각의 콘택트(130)에 대응하고 있다. 도13 내지 도1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 수용부(154)는, 대응하는 콘택트(130)의 상부(132)를 각각 수용한다. 각 수용부(154)내에는 D자 형상의 단면(斷面)을 구비하는 리프트 상승부(lift 上昇部)(156)가 형성되어 있다. 콘택트(130)의 상부(132)는, 각각 수용부(154)내에 있어서 리프트 상승부(156)의 +Z측(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리프트 상승부(156)는, 액추에이터(150)가 개방위치(도13 참조)나 접점보호위치(도15 참조)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에는 콘택트(130)의 상부(132)에 거의 힘을 가하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리프트 상승부(156)는, FPC(200)를 탑재면(122)상에 탑재하고 또한 액추에이터(150)가 지지위치(도14 참조)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에는 콘택트(130)의 상부(132)를 각각 상승시키도록(즉 +Z방향(상방)으로 이동시키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 이후에 상승되었을 경우의 상부(132)의 위치를 「소정위치(所定位置)」라고 부른다.
도1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보호부(160)는, 액추에이터(150)가 개방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에 가압부(152)보다 +Z측 또는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도14 및 도1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보호부(160)는, 액추에이터(150)가 지지위치나 접점보호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에 가압부(152)보다 -X측 또는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도1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보호부(160)는, 액추에이터(150)가 지지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에 -Z측 또는 하방을 향하고 있는 평면(平面)(162)을 구비하고 있다. 액추에이터(150)가 지지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에 평면(162)은 가압부(152)의 하면보다 +Z측 또는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즉 가압부(152)와 보호부(160) 사이에는 단차(段差)가 있다. 다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단차는 약간 있고 또한 완만하다.
도10 및 도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조작부(164)는, 보호부(160)보다 얇고 평면(162)으로부터 떨어져서 위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조작부(164)와 보호부(160) 사이에는, 비교적 큰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커넥터(100)를 조작하는 작업자는, 조작부(164)에 손가락이 걸리기 쉽다. 도13 내지 도15에서 분명하게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보호부(160)는 조작부(164)와 가압부(152)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도10 및 도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150)에는, 록부(lock部)(166)가 더 형성되어 있다. 록부(166)는, 액추에이터(150)의 Y방향의 양단에 위치하고 있으며, Y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록부(166)는, 액추에이터(150)가 지지위치(도14 참조)나 접점보호위치(도15 참조)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에 액추에이터(150)의 +Z측면 또는 상면이 되는 면(평면(162)의 뒷면)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도1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150)가 개방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에 탑재면(122)은 +Z측 또는 상방에서 볼 수 있으며, 탑재면(122)상에는 FPC(200)의 단부(202)를 탑재할 수 있다. 접점부(136)의 방진(防塵)의 관점에서, 액추에이터(150)가 개방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 각 콘택트(130)의 접점부(136)에 있어서 탑재면(122)으로부터 Z방향에 있어서의 돌출량은, 하부(134)의 최대부위(138)의 Z방향에 있어서의 사이즈(H M )(도12 참조)의 1/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각 접점부(136)가 탑재면(122) 이하에 위치하고 있는(즉 하부(134) 전체가 수용홈(124)내에 수용되어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도13에서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액추에이터(150)가 개방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에 접점부(136)는 탑재면(122)과 거의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도1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탑재면(122)에 FPC(200)의 단부(202)를 탑재하고 액추에이터(150)를 지지위치까지 닫으면, 리프트 상승부(156)에 의하여 콘택트(130)의 상부(132)가 각각 도면에 나타난 소정위치까지 상승된다. 즉 리프트 상승부(156)에 의하여 상부(132)가 +Z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하부(134)의 접점부(136)도 +Z측을 향하는 힘을 받는다. 그 때문에 액추에이터(150)가 개방위치에 있을 경우에, 만약 하부(134) 전체가 수용홈(124)내에 수용되어 접점부(136)가 탑재면(122)보다 -Z측 또는 하측에 위치하고 있었다고 하더라도, 액추에이터(150)를 지지위치까지 닫는 경우에는 접점부(136)는 FPC(200)의 단부(202)에 접촉할 수 있다. 또한 탑재면(122)에 FPC(200)의 단부(202)를 탑재한 상태에서 액추에이터(150)를 지지위치까지 닫으면, 리프트 상승부(156)가 상승된 상부(132)로부터의 반력으로서 가압부(152)는 상부(132)로부터 -Z측을 향하는 또는 하방으로 향하는 힘을 받아, 가압부(152)는 FPC(200)의 단부(202)를 탑재면(122)을 향하여 가압한다. 이에 따라 접점부(136)는 단부(202)의 단자(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와 확실하게 접촉할 수 있다. 이때에 상기한 바와 같이 보호부(160)와 가압부(152) 사이에는 약간의 단차가 있기 때문에, 보호부(160)는 FPC(200)로부터 떨어져서 위치하고 있으며 접촉하지 않고 있다. 그 때문에 FPC(200)의 단부(202)의 단자(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와 접점부(136)와의 접촉 신뢰성에 있어서의 불균일성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콘택트(130)의 형상을 조정함으로써 상부(132)가 하부(134)보다 강한 스프링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각각 설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FPC(200)의 단부(202)가 탑재면(122)상에 탑재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부(132)를 소정위치까지 각각 이동시켰을 경우에, 하부(134)가 부분적으로 탑재면(122)으로부터 +Z측으로 각각 돌출된다. 또한 이때의 하부(134)의 Z방향에 있어서의 돌출량은, 각각 최대부위(138)의 Z방향에 있어서의 사이즈(H M )(도12 참조)의 1/2 이상이다.
이 돌출량은, 예를 들면 도1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검사용 FPC(210)를 사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검사용 FPC(210)는 단부(212)와 탭(214)을 구비하고 있다. 이 탭(214)은 단부(212)의 양단에 형성되어 있다. 이 탭(214)은, 통상의 FPC(200)(도17 참조)와 마찬가지로 FPC(210)가 커넥터(100)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부가하여 단부(212)에는, 일부를 절단하여 얻을 수 있는 형상을 구비하는 오목부(216)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검사용 FPC(210)를 탑재면(122)상에 탑재한 상태에서 액추에이터(150)를 지지위치까지 닫으면, 오목부(216)에 대응하는 콘택트(130) 이외의 콘택트(130)는, 도1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변형되고, 그에 따라 리프트 상승부(156)는 상부(132)를 소정위치까지 각각 이동시킨다. 이때에 도1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오목부(216)에 대응하는 콘택트(130)의 상부(132)도 소정위치까지 이동하게 되지만, 대응하는 접점부(136)는 오목부(216)내로 돌출하게 된다. 이때에 대응하는 접점부(136)의 돌출량이 최대부위(138)의 Z방향에 있어서의 사이즈(H M )의 1/2 이상이면, 상부(132)는 하부(134)보다 충분히 강한 스프링력을 발휘하는 것이 확인된다. 상부(132)와 하부(134)의 스프링력을 상기한 바와 같이 설정하는 경우에 있어서, 도1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탑재면(122)상에 통상의 FPC(200)의 단부(202)를 탑재한 상태에서 액추에이터(150)를 지지위치까지 닫은 경우에, 가압부(152)가 FPC(200)의 단부(202)를 탑재면(122)에 비교적 강한 힘으로 가압하는 한편, 상승된 접점부(136)와 가압부(152)에 의하여 FPC(200)의 단부(202)를 협지하게 된다. 이때에 접점부(136)와 FPC(200)의 단부(202)와의 접촉위치는, Z방향에 있어서 탑재면(122)의 위치와 동일하다.
도1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탑재면(122)에 FPC(200)를 탑재하지 않은 상태에서 액추에이터(150)를 접점보호위치까지 닫으면, 보호부(160)가 접점부(136)를 숨겨서 먼지 등으로부터 보호한다. 상세하게는 도1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150)가 접점보호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 Z방향에 있어서 보호부(160)의 일부가 탑재면(122)보다 -Z측 또는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도5 및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150)가 접점보호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 X방향에 있어서 커넥터(100)를 -X측 또는 전방에서 본 경우에 보호부(160)가 접점부(136)를 보이지 않도록 숨기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100)는, 먼지가 접점부(136)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진구조(防塵構造)를 구비하고 있다. 특히 도1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100)에서는, 액추에이터(150)가 접점보호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 보호부(160)의 평면(162)은 베이스 부재(110)의 경사면(126)과 대향(對向)하고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는 서로 면접촉(面接觸)하고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0)에 의하면 높은 방진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150)가 접점보호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 액추에이터(150)의 록부(166)는 베이스 부재(110)의 피록부(120)의 -Z측 또는 하측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록부(166)가 피록부(120)에 록 됨으로써 액추에이터(150)가 지지위치로 움직이는 것이 방지된다. 즉 커넥터(100)에 아무것도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록부(166)가 피록부(120)에 록 됨으로써 액추에이터(150)가 자유롭게 열리는 것이 방지되고 또한 접점부(136)에 먼지 등이 부착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1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변형·응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액추에이터(150)가 접점보호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에 보호부(160)는 하측을 향하는 평면(162)을 구비하고 있다고 했지만, 평면(162) 대신에 곡면(曲面)이더라도 좋고, 단차를 구비하는 면으로 하더라도 좋다. 다만 액추에이터(150)의 가동범위를 극소화하면서 방진효과를 최대화하는 경우에, 보호부(160)의 하면은 평면(162)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베이스 부재(110)는 평면(162)과 대향하는 경사면(126)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2013년 7월 17일에 일본국 특허청에 제출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13-148873호에 의거하고 있으며, 그 내용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일부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최선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에게는 분명하게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신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형태를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러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커넥터
110 ; 베이스 부재
111 ; 전단
112 ; 후단
114 ; 지지부
115 ; 판자 모양부
116 ; 측벽부
118 ; 축받이 홈부
120 ; 피록부
122 ; 탑재면
124 ; 수용홈
126 ; 경사면
128 ; 빠짐방지부
130 ; 콘택트
136 ; 접점부
138 ; 부위(최대부위)
140 ; 연결부
142 ; 피지지부
150 ; 액추에이터
152 ; 가압부
154 ; 수용부
156 ; 상승부
158 ; 축부
160 ; 보호부
166 ; 록부
170 ; 홀드다운
200 ; FPC
202 ; 단부

Claims (13)

  1. 단부(端部)를 구비하는 시트 모양(sheet狀) 또는 판자 모양(板狀)의 대상물과 접속 가능한 커넥터(connector)로서,
    상기 커넥터는, 베이스 부재(base 部材)와, 콘택트(contact)와, 액추에이터(actuator)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베이스 부재에는, 탑재면(搭載面)과, 수용홈(收容ditch)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홈은, 상하방향에 있어서 상기 탑재면으로부터 하방(下方)으로 오목하고 또한 상기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상기 콘택트는 상기 베이스 부재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콘택트는, 하부(下部)와, 접점부(接點部)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수용홈은 상기 하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고 있고,
    상기 하부에는 상기 접점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개폐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부재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가압부(加壓部)와 보호부(保護部)를 구비하고 또한 접점보호위치(接點保護位置)와, 개방위치(開放位置)와, 상기 개방위치 및 상기 접점보호위치 사이에 위치하는 지지위치(支持位置)를 선택적으로 취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개방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보호부는 상기 상하방향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보다 상방(上方)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탑재면상에 상기 대상물의 상기 단부를 탑재 가능하고,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지지위치 또는 상기 접점보호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보호부는 상기 전후방향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보다 전방(前方)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대상물의 상기 단부가 상기 탑재면상에 탑재된 상태에서 상기 액추에이터를 상기 지지위치까지 닫으면, 상기 가압부가 상기 대상물의 상기 단부를 상기 탑재면에 가압함과 아울러 상기 콘택트의 상기 접점부가 상기 대상물의 상기 단부에 접촉하고,
    상기 대상물이 상기 탑재면상에 탑재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액추에이터를 상기 접점보호위치까지 닫으면, 상기 상하방향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탑재면보다 하측(下側)에 위치함과 아울러 상기 전후방향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를 전방에서 본 경우에 상기 보호부가 상기 접점부를 볼 수 없도록 숨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가 상기 대상물의 상기 단부를 상기 탑재면에 가압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보호부는 상기 대상물로부터 떨어져서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지지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상하방향에 있어서 하측을 향하고 있는 평면(平面)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전후방향에 있어서 상기 탑재면의 전방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상하방향 및 상기 전후방향의 쌍방과 비스듬히 교차하는 경사면(傾斜面)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접점보호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보호부의 상기 평면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경사면과 대향(對向)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는, 상부(上部)와, 연결부(連結部)와, 피지지부(被支持部)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하부와 상기 상부를 연결하고,
    상기 피지지부는 상기 연결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베이스 부재에 지지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수용부(受容部)와, 리프트 상승부(lift 上昇部)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상부를 부분적으로 받아들이고,
    상기 리프트 상승부는 상기 수용부내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는, 상기 상하방향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상승부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대상물의 상기 단부가 상기 탑재면상에 탑재된 상태에서 상기 액추에이터를 상기 개방위치로부터 상기 보호위치까지 쓰러뜨리면, 상기 리프트 상승부가 상기 상부를 소정위치(所定位置)까지 상승시키고, 그에 따라 상기 하부의 상기 접점부가 상기 상하방향에 있어서 상방을 향하는 힘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의 상기 단부가 상기 탑재면상에 탑재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상부를 상기 소정위치까지 이동시킨 경우에, 상기 하부는 부분적으로 상기 탑재면으로부터 돌출하고 또한 상기 하부의 상기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돌출량은 상기 하부의 상기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최대부위의 사이즈의 1/2 이상이고,
    상기 최대부위는 상기 접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전단(前端)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홈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전단에는 도달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방향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은 상기 하부의 상기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최대부위보다 크고,
    상기 최대부위는 상기 접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개방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접점부의 상기 탑재면으로부터의 상기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돌출량은, 상기 하부의 상기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최대부위의 사이즈의 1/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개방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접점부는 상기 상하방향에 있어서 상기 탑재면 이하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의 상기 단부가 상기 탑재면상에 탑재되어 있고 또한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지지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콘택트의 상기 접점부와 상기 대상물의 상기 단부와의 접촉위치는, 상기 상하방향에 있어서 상기 탑재면의 위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에 피록부(被lock部)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액추에이터에는 록부(lock部)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록부는, 상기 대상물이 상기 탑재면상에 탑재되고 있지 않고 또한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접점보호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피록부에 록 되어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지지위치를 향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는 복수이며,
    상기 수용홈은 복수이며,
    상기 수용홈의 각각은 상기 콘택트의 각각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140066703A 2013-07-17 2014-06-02 커넥터 KR1016274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48873A JP6039511B2 (ja) 2013-07-17 2013-07-17 コネクタ
JPJP-P-2013-148873 2013-07-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9918A KR20150009918A (ko) 2015-01-27
KR101627496B1 true KR101627496B1 (ko) 2016-06-07

Family

ID=52319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6703A KR101627496B1 (ko) 2013-07-17 2014-06-02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225097B2 (ko)
JP (1) JP6039511B2 (ko)
KR (1) KR101627496B1 (ko)
CN (1) CN104300250B (ko)
TW (1) TWI54814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36941B2 (ja) * 2015-04-01 2018-06-06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6437382B2 (ja) * 2015-05-14 2018-12-1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7152335A (ja) * 2016-02-26 2017-08-31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WO2018086228A1 (zh) * 2016-11-10 2018-05-17 青岛光电医疗科技有限公司 柔性线路半自动连接器
KR102035276B1 (ko) * 2017-02-14 2019-10-22 주식회사 트래닛 가요성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CN107565273B (zh) * 2017-07-18 2019-09-06 泰州镭昇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卡锁式电连接器
JP6976230B2 (ja) * 2018-07-27 2021-12-08 京セラ株式会社 ケーブル用コネクタ
WO2024090795A1 (ko) * 2022-10-26 2024-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넥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0409A (ja) 2000-01-28 2001-08-03 Yazaki Corp フラット回路体用のコネクタ及びフラット回路体のコネクタへの接続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0145B2 (ja) 1996-12-27 2000-02-14 大宏電機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電気コネクタ
DE10014130A1 (de) * 2000-03-22 2001-10-11 Lumberg Karl Gmbh & Co Elektrischer Verbinder für eine flexible Leiterbahn
JP3632106B2 (ja) 2002-12-13 2005-03-23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Fpc用コネクタ
JP4028497B2 (ja) 2004-02-26 2007-12-2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568561B2 (ja) 2004-09-01 2010-10-27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TWI251959B (en) * 2005-02-23 2006-03-21 Advanced Connection Tech Inc Kit comprising an electric connector and a flexible flat cable (FFC)
JP4726002B2 (ja) 2005-08-31 2011-07-20 株式会社アイペックス コネクタ装置
JP4279823B2 (ja) * 2005-10-26 2009-06-1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0020928A (ja) * 2008-07-08 2010-01-28 Smk Corp Fpcコネクタ
JP2010272226A (ja) * 2009-05-19 2010-12-02 Molex Inc コネクタ
JP4704505B1 (ja) * 2010-03-30 2011-06-1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基板用コネクタ
JP5090506B2 (ja) * 2010-08-18 2012-12-0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2221752A (ja) * 2011-04-08 2012-11-12 Hosiden Corp コネクタ
CN102761028A (zh) * 2011-04-28 2012-10-3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板卡固定装置
US8672698B2 (en) * 2011-07-22 2014-03-18 Hosiden Corporation Card connector
JP5764426B2 (ja) 2011-08-10 2015-08-1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基板用コネクタ
JP5813411B2 (ja) 2011-08-10 2015-11-1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基板用コネクタ
KR101221506B1 (ko) 2012-02-27 2013-01-15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가요성 회로케이블용 커넥터
JP5645312B2 (ja) * 2012-03-01 2014-12-2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TWM439282U (en) * 2012-03-13 2012-10-1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5549821B2 (ja) * 2012-04-17 2014-07-16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905776B2 (ja) * 2012-05-18 2016-04-2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8851918B2 (en) * 2012-08-27 2014-10-07 Dai-Ichi Seiko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automatic lock memb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0409A (ja) 2000-01-28 2001-08-03 Yazaki Corp フラット回路体用のコネクタ及びフラット回路体のコネクタへの接続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300250A (zh) 2015-01-21
JP6039511B2 (ja) 2016-12-07
KR20150009918A (ko) 2015-01-27
US20150024617A1 (en) 2015-01-22
JP2015022851A (ja) 2015-02-02
CN104300250B (zh) 2016-06-22
TWI548148B (zh) 2016-09-01
TW201513478A (zh) 2015-04-01
US9225097B2 (en) 2015-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7496B1 (ko) 커넥터
KR101290130B1 (ko) 커넥터 및 접속 대상물
KR101677804B1 (ko) 커넥터
US8337226B2 (en) Connector
KR101553465B1 (ko) 전기 커넥터
KR101478042B1 (ko) 커넥터
CN108023206B (zh) 电子装置和连接器
KR101531609B1 (ko) 커넥터
KR101451532B1 (ko) 전기 커넥터
JP5779524B2 (ja) コネクタ
TWI515976B (zh) 連接器
KR101219621B1 (ko) 커넥터
JP5482388B2 (ja) 電気コネクタ
US7390213B2 (en) Connector with improved electrical contacts
JP6342342B2 (ja) コネクタ
KR101821900B1 (ko) 전기 커넥터
JP2010244809A (ja) 電気コネクタ
JP5039161B2 (ja) コネクタ
US8467173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mponent
KR20120123358A (ko) 연성 인쇄 회로 커넥터
JP2012014880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