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7081B1 -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 Google Patents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7081B1
KR101627081B1 KR1020167001180A KR20167001180A KR101627081B1 KR 101627081 B1 KR101627081 B1 KR 101627081B1 KR 1020167001180 A KR1020167001180 A KR 1020167001180A KR 20167001180 A KR20167001180 A KR 20167001180A KR 101627081 B1 KR101627081 B1 KR 101627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device data
change information
total amount
proces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1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1237A (ko
Inventor
다카시 요시카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11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1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7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7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10Plc systems
    • G05B2219/14Plc safety
    • G05B2219/14008Pc monitors pl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rogrammable Controllers (AREA)

Abstract

PLC가, 1회의 폴링 시간 내에 피제어기기의 디바이스 데이터를 3회 이상에 걸쳐서 수집할 때, 전회 취득한 디바이스 데이터와 이번 취득한 디바이스 데이터를 비교하여, 다른 경우에는 변화한 디바이스 데이터를 변화 데이터로서 기억하고, 각 폴링에 대해서 변화 데이터를 PC에 송신할 때, 변화 데이터와 수집한 디바이스 데이터를 비교하여, 변화 데이터의 합계량이, 수집한 디바이스 데이터의 합계량 이상인 경우에는, 변화 데이터로부터 수집한 디바이스 데이터를 복원하고, 복원된 디바이스 데이터를 PC에 송신하며, 변화 데이터의 합계량이, 수집한 디바이스 데이터의 합계량보다도 적은 경우에는, 변화 데이터를 PC에 송신한다.

Description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본 발명은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의 내부에서 유지되는 디바이스 데이터를 표시장치에 송신하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공장 등에서 사용되는 피(被)제어기기(산업용 기계 등)를 제어하는 PLC(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는, 피제어기기에 관한 각 디바이스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격납하는 디바이스 메모리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PLC(시퀀서)는 유저가 작성하는 프로그램인 시퀀스 프로그램에 따라서, 각 디바이스 데이터를 리드/라이트함으로써, 피제어기기를 제어한다. 이 PLC를 이용한 시스템에 있어서, 각 디바이스 데이터의 값을 PC(퍼스널 컴퓨터)측에 송신하여, 각 디바이스의 변화나 상태를 PC 등의 표시장치에서 표시시키는 기술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종래, PLC를 이용한 상기 시스템에서는, PC로부터 PLC에 대해서 디바이스 데이터의 송신 요구가 있었을 경우에,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PLC가 취득한 각 디바이스 데이터를 모두 PC에 송신하고 있었다. 이 경우, PC측으로부터 송신이 요구되는 디바이스 데이터의 양이 증가하면 PLC로부터 PC에 송신하는 데이터량이 증가한다. 이 때문에, 디바이스 데이터의 통신 처리에 부하가 걸려, PC에 송신되는 디바이스 데이터가 소실되는 경우나, PLC가 제어하는 타기능의 처리에 영향을 주는 경우가 있었다.
이러한 시스템에 있어서는, 송신하는 디바이스 데이터의 값 중에는, 전회(前回) 송신한 디바이스 데이터의 값으로부터 변화해 있지 않은 디바이스 데이터도 존재한다. 값의 변화가 없는 디바이스 데이터의 송신은, 데이터의 상태를 표시하는 시스템에 있어서는 쓸데없고, 통신 부하의 증가 원인이 된다. 이 때문에, 통신 부하의 경감을 도모하기 위해서, 전회 송신한 디바이스 데이터의 값과 이번 송신하는 디바이스 데이터의 값을 비교하여, 값이 변화한 디바이스 데이터만을 송신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2, 3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2003-280732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개평 6-95718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개 2000-165965호 공보
상기 제1~ 제3 종래 기술에서는, 통신 부하의 경감을 도모하기 위해서, 전회 송신한 디바이스 데이터의 값과 이번 송신하는 디바이스 데이터의 값의 사이에서 변화한 디바이스 데이터만을 송신하고 있다. 그렇지만, 상기 제1~ 제3 종래 기술에서는, 2개의 디바이스 데이터(1회의 변화)에 대해서 밖에 변화를 고려하고 있지 않고, 3개 이상의 디바이스 데이터(2회 이상의 변화)를 동시에 다루는 것에 관해서는 고려되어 있지 않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폴링(polling) 시간 내에 3회 이상에 걸쳐서 수집한 디바이스 데이터의 송신 요구가 있었을 경우도, 효율 좋게 데이터 송신을 행할 수 있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는, 피제어기기의 상태에 따른 디바이스 데이터를 상기 피제어기기로부터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 처리부와, 상기 디바이스 데이터 중 변화한 디바이스 데이터에 관한 변화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피제어기기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장치로부터 폴링 방식으로 상기 디바이스 데이터의 송신 요구를 받으면, 상기 변화 정보 또는 상기 수집된 디바이스 데이터를 상기 표시장치에 송신하는 통신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수집 처리부는, 1회의 폴링 시간 내에 상기 디바이스 데이터를 3회 이상에 걸쳐서 수집함과 아울러, 각 수집 시에, 전회 취득한 디바이스 데이터와 이번 취득한 디바이스 데이터를 비교하여, 다른 경우에는 상기 변화 정보를 생성해서 상기 기억부에 기억시키고, 각 폴링에 대해서 상기 변화 정보 또는 상기 수집된 디바이스 데이터를 상기 표시장치에 송신할 때, 상기 변화 정보의 합계량과 상기 수집한 디바이스 데이터의 합계량을 비교하여, 상기 변화 정보의 합계량이, 상기 수집한 디바이스 데이터의 합계량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변화 정보로부터 상기 수집한 디바이스 데이터를 복원하고, 상기 통신 처리부는, 상기 변화 정보의 합계량이, 상기 수집한 디바이스 데이터의 합계량 이상인 경우에는, 복원된 디바이스 데이터를 상기 표시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변화 정보의 합계량이, 상기 수집한 디바이스 데이터의 합계량보다도 적은 경우에는, 상기 기억부 내의 상기 변화 정보를 상기 표시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폴링 시간 내에 3회 이상에 걸쳐서 수집한 디바이스 데이터의 송신 요구가 있었을 경우에도, 효율 좋게 데이터 송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고 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PLC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 형태에 따른 PLC의 동작 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에 따른 PLC의 동작 절차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4는 디바이스 데이터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취득한 데이터와 기억해 두는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 의해 이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PLC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어 시스템(100)은 PLC(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10)와, PC(퍼스널 컴퓨터)(20)와, 피제어기기(40)를 가지고 있다. PLC(10)는 PC(20) 등의 데이터 표시를 행할 수 있는 장치(표시장치)에 통신 케이블(30)을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또한, PLC(10)가 접속되는 장치는 PC(20)로 한정하지 않고, 다른 장치여도 된다.
또, PLC(10)는 산업용 기계 등의 피제어기기(40)에, 통신 케이블(31)을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PLC(10)는 피제어기기(40)를 제어함과 아울러, 피제어기기(40)의 동작(상태)에 따라 변화하는 피제어기기(40)에 관한 데이터(이하 디바이스 데이터라고 함)를 유지하는 장치이다. PLC(10)는 PC(2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디바이스 데이터를 PC(20)에 송신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1대 구성의 장치인 PLC(10)가, 피제어기기(40)의 제어와, 복수의 디바이스 데이터의 처리와, PC(20)로의 디바이스 데이터의 송신을 실행한다. 디바이스는 PLC(10)의 래더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알파벳 표기의 요소를 가리키고 있다.
PC(20)는 디바이스 데이터의 변화나 상태를 표시함으로써, 피제어기기(40)의 상태 등을 표시한다. PC(20)는 PLC(10)에 데이터 취득 요구를 송신함으로써, PLC(10)로부터 디바이스 데이터를 취득한다.
PLC(10)는 폴링 시간 간격 내에서 복수의 디바이스 데이터를 복수 회에 걸쳐서 취득하여, 축적해 둔다. 본 실시 형태의 PLC(10)는 1번의 폴링 시간 내에 3회 이상에 걸쳐서 취득한 디바이스 데이터의 송신 요구가 PC(20)로부터 있었을 경우에도, 디바이스 데이터마다 디바이스 데이터의 값을 비교하여, 각 디바이스 데이터에서 값이 변화한 것만을 PC(20)에 송신한다. 환언하면, 본 실시 형태의 PLC(10)는, 1번의 폴링 시간 내에 복수 회에 걸쳐 디바이스 데이터가 변화했을 경우에도, 디바이스 데이터마다 디바이스 데이터의 값을 비교하여, 각 디바이스 데이터에서 값이 변화한 것(변화 데이터)만을 PC(20)에 송신한다.
PLC(10)는 연산 처리부(14)와, 내부 디바이스(디바이스 메모리)(15)와, 데이터 수집 처리부(16)와, 통신 처리부(17)를 구비하고 있다. 연산 처리부(14)는 유저로부터의 조작(지시)에 따라 다양한 판단 처리를 행한다. 내부 디바이스(15)는 연산 처리부(14)의 연산 처리에서 이용되는 기억장치(기억부)이다. 또, 내부 디바이스(15)로는 피제어기기(40)로부터 취득된 디바이스 데이터가 격납된다. 내부 디바이스(15)는 데이터를 격납하는 용량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부 디바이스(15)에 격납되는 데이터를 디바이스 데이터라고 부른다.
데이터 수집 처리부(16)는 소정의 간격(스캔 타임마다 등)으로 피제어기기(40)로부터 디바이스 데이터를 수집하여, 내부 디바이스(15)에 디바이스 데이터의 값을 저장한다. 본 실시 형태의 데이터 수집 처리부(16)는, 디바이스 데이터를 취득했을 경우에, 전회 취득한 디바이스 데이터와 이번 취득한 디바이스 데이터를 비교하여, 디바이스 데이터가 변화해 있는 경우만, 변화한 디바이스 데이터를 내부 디바이스(15)에 저장한다.
또, 데이터 수집 처리부(16)는 취득한 모든 디바이스 데이터의 합계량과, 변화한 디바이스 데이터의 합계량을 비교하여, 합계량이 작은 쪽의 데이터를 PC(20)로의 송신 대상으로 설정한다.
통신 처리부(17)는 PC(20)와의 사이에서 다양한 데이터의 송수신 등을 행한다. 통신 처리부(17)는 PC(20)로부터 디바이스 데이터의 송신 요구를 수신하고, PC(20)에 디바이스 데이터를 송신한다.
또한, 도 1에서는 PLC(10)에 접속되는 피제어기기(40)가 1개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PLC(10)에 대해서 복수의 피제어기기(40)를 접속해 두어도 된다. 이 경우, PLC(10)는 복수의 피제어기기(40)로부터 디바이스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한 디바이스 데이터를 PC(20)에 송신한다. 이 경우, PLC(10)는 피제어기기(40)마다, 피제어기기(40)에 대응하는 내부 디바이스(15)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각 내부 디바이스(15)는, 각각 피제어기기(40)의 디바이스 데이터를 격납하는 용량을 가지고 있다. PLC(10)는 취득한 디바이스 데이터를, 대응하는 내부 디바이스(15)에 격납한다.
다음으로, PLC(10)의 동작 절차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실시 형태에 따른 PLC의 동작 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에 따른 PLC의 동작 절차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2 및 도 3에서는, PC(20)가 디바이스 데이터(모바일 데이터(mobile data))의 모니터를 행할 때의, PLC(10) 및 PC(20)의 동작 절차를 나타내고 있다.
PLC(10)는 피제어기기(40)를 제어할 때, 피제어기기(40)로부터 디바이스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다(스텝 S1). 구체적으로는, 데이터 수집 처리부(16)가 피제어기기(40)로부터 디바이스 데이터를 수집하여, 내부 디바이스(15)에 격납해 둔다.
데이터 수집 처리부(16)에서는, 피제어기기(40)로부터 디바이스 데이터 Z1~Z4를 1스캔마다(1스캔에 1회) 취득하고 있다. 그 때문에, 데이터 수집 처리부(16)는 PC(20)에 의한 1회의 폴링 시간 내에 3회 이상에 걸쳐서 디바이스 데이터를 차례로 취득한다.
구체적으로는, 데이터 수집 처리부(16)는 1회째의 스캔시(타이밍 t1)에 디바이스 데이터 Z1을 취득하고, 2번째의 스캔시(타이밍 t2)에 디바이스 데이터 Z2를 취득한다. 추가로, 데이터 수집 처리부(16)는 3번째의 스캔시(타이밍 t3)에 디바이스 데이터 Z3을 취득하고, 4번째의 스캔시(타이밍 t4)에 디바이스 데이터 Z4를 취득한다. 데이터 수집 처리부(16)는 취득한 디바이스 데이터 Z1~Z4를 내부 디바이스(15)에 저장한다.
이와 같이, 데이터 수집 처리부(16)는 피제어기기(40)로부터 스캔마다 디바이스 데이터 Z1~Z4를 취득하고 있다. 복수 회(여기에서는 4회)에 걸쳐서 디바이스 데이터 Z1~Zn(n은 2이상의 자연수)을 취득할 때, 1회째의 스캔시에 취득된 데이터가 이번 취득된 디바이스 데이터라고 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다음의 스캔시에 취득된 데이터는, 이 회에 있어서의 이번 취득된 디바이스 데이터가 되고, 1개 전의 스캔으로 취득된 데이터는, 전회 취득된 디바이스 데이터가 된다. 이와 같이, 전회 취득된 스캔 데이터는, 이번 취득된 스캔 데이터의 직전에 취득된 스캔 데이터이다.
예를 들면, m(m은 1~n 중 어느 자연수)회째의 스캔시에 디바이스 데이터 Zm이 취득되고, (m+1)회째의 스캔시에 디바이스 데이터 Z(m+1)이 취득된 것으로 한다. 이 경우, m회째의 스캔시에서는, 디바이스 데이터 Zm이 이번 취득된 디바이스 데이터이다. 그리고 (m+1)회째의 스캔시에는, 디바이스 데이터 Zm이 전회 취득된 디바이스 데이터이고, 디바이스 데이터 Z(m+1)이 이번 취득된 디바이스 데이터이다. 예를 들면, 3스캔째이면, 2스캔째에서 취득된 데이터가, 전회 취득된 디바이스 데이터가 되고, 3스캔째에서 취득된 데이터가, 이번 취득된 디바이스 데이터가 된다.
데이터 수집 처리부(16)는 디바이스 데이터 Z1~Z4를 저장할 때, 전회 취득한 디바이스 데이터와 이번 취득한 디바이스 데이터를 비교하여, 디바이스 데이터가 변화해 있는 경우만, 변화한 디바이스 데이터를 내부 디바이스(15)에 저장한다.
예를 들면, 데이터 수집 처리부(16)는 디바이스 데이터 Z1과 디바이스 데이터 Z2를 비교하여, 양자가 다른 값이면, 새로운 쪽의 디바이스 데이터인 디바이스 데이터 Z2를 내부 디바이스(15)에 저장한다. 또, 데이터 수집 처리부(16)는 양자가 같은 값인 경우에는, 새로운 쪽의 디바이스 데이터 Z2를 삭제하고, 내부 디바이스(15)에는 오래된 쪽의 디바이스 데이터 Z1을 저장한 채로 해 둔다. 또, 데이터 수집 처리부(16)는 변화한 디바이스 데이터에 대해, 취득원의 디바이스(피제어기기(40))를 식별 가능한 디바이스 정보와 변화한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이밍 데이터를 부가한다. 이하에서는, 변화한 디바이스 데이터에 대해, 디바이스 정보 및 타이밍 데이터가 부가된 것을, 변화 데이터라고 한다.
이 후, PC(20)는, PLC(10)로부터 디바이스 데이터를 취득한다. 이때, PC(20)와 PLC(10)는, 폴링 방식으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폴링 방식이란, PC(20)가 PLC(10)에 대해서,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데이터의 송신 요구를 행하고, 그 요구에 대해서 PLC(10)가 PC(20)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식이다. 구체적으로는, 폴링이 개시되면(스텝 S2), PC(20)가 PLC(10)에 디바이스 데이터의 송신 요구 X1을 보낸다(스텝 S3). 이것에 의해, PLC(10)가 디바이스 데이터의 송신 요구 X1을 수신한다(스텝 S4). 그리고 PLC(10)는 송신 요구 X1에 대응하는 응답 데이터 Y1을 PC(20)에 보낸다. 여기서의 응답 데이터 Y1이, 피제어기기(40)로부터 취득한 디바이스 데이터이다.
변화 데이터는 디바이스 정보 및 타이밍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변화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전(全)디바이스 데이터 Z1~Z4의 합계량보다도 커지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취득한 디바이스 데이터가 전회 취득한 디바이스 데이터보다도 변화하는 비율이 많은 경우에는, 변화 데이터가, 전디바이스 데이터보다도 데이터량이 커지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데이터 수집 처리부(16)는, PC(20)에 디바이스 데이터를 송신하기 전에, 디바이스 데이터 Z1~Z4의 전(全)데이터량과, 변화 데이터의 데이터량(합계량)을 비교한다(스텝 S5). 이때, 데이터 수집 처리부(16)는 폴링 시간 T와 스캔 타임 시간에 기초하여, 디바이스 데이터가 취득되는 횟수(여기에서는 4회)를 산출한다. 그리고 데이터 수집 처리부(16)는, 산출한 횟수에 기초하여, 전데이터량을 산출한다. 이 산출된 횟수는 몇회 분의 데이터량을 합계하면 좋은지를 파악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디바이스 데이터가 취득되는 횟수를 알 수 있으면, 전데이터량은, 1개의 디바이스 데이터 용량의 적산(積算)(용량×횟수)으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수집 처리부(16)는 산출한 횟수를 이용하여 전데이터량을 산출한다. 데이터 수집 처리부(16)는 변화 데이터의 합계량과, 디바이스 데이터 Z1~Z4의 전데이터량 중, 데이터량이 적은 쪽의 데이터를 선택한다.
구체적으로는, 전데이터량이, 변화 데이터의 데이터량보다도 큰 경우에는(스텝 S5, Yes), 데이터 수집 처리부(16)는 변화 데이터를 PC(20)로의 송신 대상으로 설정한다(스텝 S6).
한편, 전데이터량이 변화 데이터의 데이터량 이하인 경우에는(스텝 S5, No), 데이터 수집 처리부(16)는 전디바이스 데이터 Z1~Z4를 PC(20)로의 송신 대상으로 설정한다(스텝 S7). 이 경우, 데이터 수집 처리부(16)는 타이밍 데이터에 기초하여, 변화가 없었던 디바이스 데이터의 값과 그 스캔 타이밍을 도출한다.
이때, 데이터 수집 처리부(16)는 저장되지 않았던 디바이스 데이터의 1개 전의 디바이스 데이터에 기초하여, 저장되지 않았던 디바이스 데이터를 복원한다. 구체적으로는, 2번째에 취득된 디바이스 데이터는, 2번째에 취득된 디바이스 데이터에 대응하는 변화 데이터 및 1번째에 취득된 디바이스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원된다. 그 후, 3번째에 취득된 디바이스 데이터가, 3번째에 취득된 디바이스 데이터에 대응하는 변화 데이터 및 2번째에 취득된 디바이스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원된다. 이와 같이, (L)번째(L은 자연수)의 디바이스 데이터에 기초하여, (L+1)번째의 디바이스 데이터가 복원된다. 그리고 데이터 수집 처리부(16)는 도출 결과에 기초하여, 저장되지 않았던 디바이스 데이터를 복원한다. 이것에 의해, 데이터 수집 처리부(16)는 PC(20)로의 송신 데이터인 전디바이스 데이터 Z1~Z4를 작성한다.
데이터 수집 처리부(16)에 의해서 설정된 송신 대상(디바이스 데이터)은, PLC(10)의 통신 처리부(17)가, 응답 데이터 Y1로서 PC(20)에 송신한다(스텝 S8). 그리고 PLC(10)와 PC(20) 사이의 폴링이 종료된다(스텝 S9).
PC(20)는 PLC(10)로부터 디바이스 데이터(변화 데이터 또는 전디바이스 데이터)를 취득함으로써, PLC(10)의 내부 디바이스(15)의 모니터를 행함과 아울러, 디바이스 데이터의 표시를 행한다.
또한, 디바이스 데이터 Z1~Z4는 각각 복수 종류의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데이터 수집 처리부(16)는 데이터의 종류마다, 변화 데이터와 전디바이스 데이터 중 어느 것을 응답 데이터 Y1로서 PC(20)에 송신한다.
도 4는 디바이스 데이터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서는, 디바이스 데이터 Z1~Z4가, 각각 데이터 A~C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디바이스 데이터 Z1은 데이터 1A, 1B, 1C이고, 디바이스 데이터 Z2는, 데이터 2A, 2B, 2C이다. 또, 디바이스 데이터 Z3은 데이터 3A, 3B, 3C이고, 디바이스 데이터 Z4는 데이터 4A, 4B, 4C이다. 예를 들면, 디바이스 데이터가 디바이스 데이터 Z1~Z4로 변화함으로써, 데이터 A는 데이터 1A~4A까지 변화한다. 마찬가지로, 데이터 B는 데이터 1B~4B까지 변화하고, 데이터 C는 데이터 1C~4C까지 변화한다.
예를 들면, 데이터 1A, 2A, 3A의 각 값은, 각각 100이고, 데이터 4A의 값은 120이다. 환언하면, 데이터 A는 디바이스 데이터 Z1~Z3까지의 동안은 변화하지 않고, 디바이스 데이터 Z4에서 변화하고 있다.
도 5는 취득한 데이터와 기억해 두는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서는, 데이터 수집 처리부(16)가 피제어기기(40)로부터 취득하는 취득 데이터(101)와, 데이터 수집 처리부(16)가 내부 디바이스(15)에 기억시키는 기억 데이터(102)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PLC(10)가, 도 4에 도시한 것 같이 데이터 A를 취득했을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 PLC(10)의 데이터 수집 처리부(16)는 피제어기기(40)로부터 취득 데이터(101)로서, 데이터 A의 값을 수신한다. 데이터 수집 처리부(16)는, 디바이스 데이터 Z1~Z4의 4개의 디바이스 데이터를 취득하므로, 데이터 A의 값으로서도 4개의 값을 취득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데이터 A1과 데이터 A2가 같은 값이면, 데이터 수집 처리부(16)는 데이터 A1의 값 (100)만을 기억시키고, 데이터 A2의 값을 삭제한다. 데이터 A1의 값을 기억시킬 때에는, 데이터 수집 처리부(16)는 데이터 A1의 값에 디바이스 정보와 타이밍 데이터를 부가한다. 데이터 수집 처리부(16)는 예를 들면, 데이터 A1의 값에 대해, 디바이스 정보로서 「데이터 A」의 정보를 부가하고, 타이밍 데이터로서, 타이밍 t1을 나타내는 「t1」의 정보를 부가한다.
또, 데이터 A1과 데이터 A3이 같은 값이면, 데이터 수집 처리부(16)는 데이터 A3의 값을 삭제한다. 그리고 데이터 A1과 데이터 A4가 다른 값이면, 데이터 수집 처리부(16)는 데이터 A4의 값 (120)을 기억시킨다. 데이터 A4의 값을 기억시킬 때에는, 데이터 수집 처리부(16)는, 데이터 A4의 값에 디바이스 정보와 타이밍 데이터를 부가한다. 데이터 수집 처리부(16)는 예를 들면, 데이터 A4의 값에 대해, 디바이스 정보로서 「데이터 A」의 정보를 부가하고, 타이밍 데이터로서, 타이밍 t4를 나타내는 「t4」의 정보를 부가한다. 데이터 수집 처리부(16)는 디바이스 정보 및 타이밍 데이터를 부가한 기억 데이터(변화 정보)(102)를 내부 디바이스(15)에 기억시킨다.
데이터 A로서 취득한 디바이스 데이터의 합계량은, 취득 데이터(101)의 합계 데이터량이다. 또, 변화한 디바이스 데이터의 합계량은, 기억 데이터(102)의 합계 데이터량이다. 데이터 수집 처리부(16)는 취득 데이터(101)와 기억 데이터(102) 중 데이터량이 작은 쪽의 데이터를 PC(20)로의 송신 대상으로 설정한다.
또, 데이터 수집 처리부(16)는 데이터 B의 취득 데이터와 기억 데이터 중 데이터량이 작은 쪽의 데이터를 PC(20)로의 송신 대상으로 설정한다. 또, 데이터 수집 처리부(16)는 데이터 C의 취득 데이터와 기억 데이터 중 데이터량이 작은 쪽의 데이터를 PC(20)로의 송신 대상으로 설정한다.
이와 같이, 제어 시스템(100)에서는, PC(20)로부터 PLC(10)에 대해서 디바이스 데이터의 송신 요구가 있었을 경우에, 값이 변화한 디바이스 데이터만을 PLC(10)가 PC(20)에 송신하고 있다. 또, PLC(10)는 변화 데이터의 데이터량과 전디바이스 데이터의 데이터량을 비교하여, 데이터량의 크기에 기초하여, 송신하는 데이터를 전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PLC(10)에 의한 디바이스 데이터의 통신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송신하는 디바이스 데이터의 소실을 방지함과 아울러, PLC(10)가 제어하는 타기능으로의 영향을 막는 것이 가능해진다.
1번에 3개 이상의 디바이스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는, 1개의 디바이스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통신 처리에 부하가 걸린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PLC(10)로부터 PC(20)에 대해서 동시에 3개 이상의 디바이스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값이 변화한 디바이스 데이터만을 PLC(10)가 PC(20)에 송신하므로, 데이터 송신의 효율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송신하는 데이터를 변화 데이터 또는 전디바이스 데이터 중 어느 것으로 전환하는 처리를 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데이터 수집 처리부(16)는 디바이스 정보나 타이밍 데이터의 변화한 디바이스 데이터로의 부가를 생략해도 된다.
이와 같이 실시 형태에 의하면, PLC(10)가 디바이스 데이터 중 변화 데이터를 PC(20)에 송신하므로, 폴링 시간 내에 3회 이상에 걸쳐서 디바이스 데이터를 수집했을 경우도, 효율 좋게 데이터 송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데이터량의 크기에 기초하여, 송신하는 데이터를, 변화 데이터 또는 전디바이스 데이터 중 어느 것으로 전환하고 있으므로, 디바이스 데이터의 통신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 디바이스 데이터가, 총괄적으로(collectively) PC(20)에 송신되므로, 디바이스 데이터의 요구(수신)와 응답(송신)이 반복되는 경우보다도, 효율 좋게 데이터 송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는, 디바이스 데이터의 송신에 적합하다.
10: PLC, 14: 연산 처리부,
15: 내부 디바이스, 16: 데이터 수집 처리부,
17: 통신 처리부, 20: PC,
40: 피제어기기, 100: 제어 시스템,
101: 취득 데이터, 102: 기억 데이터,
Z1~Z4: 디바이스 데이터.

Claims (6)

  1. 피제어기기의 상태에 따른 디바이스 데이터를 상기 피제어기기로부터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 처리부와,
    상기 디바이스 데이터 중 변화한 디바이스 데이터에 관한 변화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피제어기기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장치로부터 폴링(polling) 방식으로 상기 디바이스 데이터의 송신 요구를 받으면, 상기 변화 정보 또는 상기 수집된 디바이스 데이터를 상기 표시장치에 송신하는 통신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수집 처리부는,
    1회의 폴링 시간 내에 상기 디바이스 데이터를 3회 이상에 걸쳐서 수집함과 아울러, 각 수집 시에, 전회(前回) 취득한 디바이스 데이터와 이번 취득한 디바이스 데이터를 비교하여, 다른 경우에는 상기 변화 정보를 생성해서 상기 기억부에 기억시키고, 각 폴링에 대해서 상기 변화 정보 또는 상기 수집된 디바이스 데이터를 상기 표시장치에 송신할 때, 상기 변화 정보의 합계량과 상기 수집한 디바이스 데이터의 합계량을 비교하여, 상기 변화 정보의 합계량이, 상기 수집한 디바이스 데이터의 합계량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변화 정보로부터 상기 수집한 디바이스 데이터를 복원하고,
    상기 통신 처리부는,
    상기 변화 정보의 합계량이, 상기 수집한 디바이스 데이터의 합계량 이상인 경우에는, 복원된 디바이스 데이터를 상기 표시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변화 정보의 합계량이, 상기 수집한 디바이스 데이터의 합계량보다도 적은 경우에는, 상기 기억부 내의 상기 변화 정보를 상기 표시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 처리부는,
    상기 변화 정보가 변화한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이밍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변화 정보로부터 상기 수집한 디바이스 데이터를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피제어기기의 제어와, 상기 디바이스 데이터 또는 상기 변화 정보의 상기 표시장치로의 송신을, 1대 구성의 장치에 의해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 처리부는, 상기 표시장치로부터 상기 디바이스 데이터의 송신 요구가 있으면, 상기 비교의 처리를 실행함과 아울러, 상기 변화 정보의 합계량이, 상기 수집한 디바이스 데이터의 합계량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변화 정보로부터 상기 수집한 디바이스 데이터를 복원하고,
    상기 통신 처리부는, 상기 표시장치로부터 상기 디바이스 데이터의 송신 요구가 있었을 경우에, 상기 변화 정보의 합계량이, 상기 수집한 디바이스 데이터의 합계량 이상인 경우에는, 복원된 디바이스 데이터를 상기 표시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변화 정보의 합계량이, 상기 수집한 디바이스 데이터의 합계량보다도 적은 경우에는, 상기 기억부 내의 상기 변화 정보를 상기 표시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 처리부는,
    상기 각 수집 시에, 전회 취득한 디바이스 데이터와 이번 취득한 디바이스 데이터를 비교하여, 같은 경우에는 상기 이번 취득한 디바이스 데이터를 기억시키지 않고, 다른 경우에는 상기 변화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기억부에 기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 처리부는,
    상기 각 수집 시에, 상기 각 폴링에 대해서 스캔 타임마다 상기 디바이스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변화 정보가 변화한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이밍 데이터를 상기 변화 정보에 포함하여 상기 기억부에 기억시키고,
    상기 수집한 디바이스 데이터 중 제1 디바이스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제1 디바이스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1 타이밍 데이터의 1개 전의 스캔 타이밍인 제2 타이밍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2 디바이스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 데이터를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KR1020167001180A 2014-03-17 2014-03-17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KR1016270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4/057181 WO2015140910A1 (ja) 2014-03-17 2014-03-17 プログラマブルロジックコントロー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1237A KR20160011237A (ko) 2016-01-29
KR101627081B1 true KR101627081B1 (ko) 2016-06-03

Family

ID=54143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1180A KR101627081B1 (ko) 2014-03-17 2014-03-17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921564B2 (ko)
JP (1) JP5864032B1 (ko)
KR (1) KR101627081B1 (ko)
CN (1) CN105408824B (ko)
DE (1) DE112014003067T5 (ko)
TW (1) TWI525408B (ko)
WO (1) WO20151409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834B1 (ko) * 2014-10-30 2016-02-1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lc 시스템
CN107820277B (zh) * 2017-10-27 2021-09-21 三星(中国)半导体有限公司 用于无线网络的父节点装置、终端装置及其数据传输方法
JP6563155B1 (ja) * 2018-10-15 2019-08-21 三菱電機株式会社 プログラマブルロジックコントローラ、外部機器、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3301182B (zh) * 2021-05-26 2022-06-17 绵阳市维博电子有限责任公司 一种基于plc总线的组网通信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5965A (ja) 1998-11-25 2000-06-16 Kubota Corp 作業車用の制御装置
JP2003280732A (ja) 2002-03-20 2003-10-02 Digital Electronics Corp データ伝送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制御システム
JP2007249759A (ja) 2006-03-17 2007-09-27 Toshiba Corp 監視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88246B2 (ja) * 1992-09-11 2003-03-17 オムロン株式会社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のリモートi/oシステム
JPH06149320A (ja) 1992-11-04 1994-05-27 Omron Corp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のリモートi/oシステム
US6411987B1 (en) 1998-08-21 2002-06-25 National Instruments Corporation Industrial automation system and method having efficient network communication
JP2007080286A (ja) * 2006-11-13 2007-03-29 Omron Corp データ収集装置
US20080240105A1 (en) * 2007-03-28 2008-10-02 Vmonitor, Inc. System and method for extending a serial protocol to create a network in a well monitoring environment
CN102540953A (zh) * 2010-12-24 2012-07-04 深圳市合信自动化技术有限公司 可编程逻辑控制器的数据处理方法及可编程逻辑控制器
JP2012175376A (ja) 2011-02-21 2012-09-10 Mitsubishi Electric Corp 管理装置及びデータ収集装置
KR20120129745A (ko) * 2011-05-18 2012-11-28 (주)엠코피아 데이터 추상화를 이용하여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장치 및 비연동 장치를 원격에서 복합 제어하는 에이에스피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5965A (ja) 1998-11-25 2000-06-16 Kubota Corp 作業車用の制御装置
JP2003280732A (ja) 2002-03-20 2003-10-02 Digital Electronics Corp データ伝送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制御システム
JP2007249759A (ja) 2006-03-17 2007-09-27 Toshiba Corp 監視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40910A1 (ja) 2015-09-24
KR20160011237A (ko) 2016-01-29
TWI525408B (zh) 2016-03-11
JP5864032B1 (ja) 2016-02-17
JPWO2015140910A1 (ja) 2017-04-06
CN105408824B (zh) 2017-07-04
US9921564B2 (en) 2018-03-20
US20160170398A1 (en) 2016-06-16
TW201537313A (zh) 2015-10-01
DE112014003067T5 (de) 2016-03-17
CN105408824A (zh) 2016-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7081B1 (ko)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CN106790378A (zh) 设备间的数据全同步方法、装置及系统
JP2015204584A (ja) 分散型制御装置
CN110114732A (zh) 可编程控制器、管理装置和控制系统
JP6820134B2 (ja) 更新管理装置、更新管理システム及び更新管理方法
CN111065979A (zh) 成套设备监视装置以及分散控制系统
JPWO2020136787A1 (ja)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システム、データ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593835B1 (ko) Plc 시스템
JP6196505B2 (ja) クラウド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の実行方法
JP6243259B2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のシーケンスプログラム置き換え方法
CN107026888B (zh) 大容量数据传送装置及方法
JP6683071B2 (ja) 2重リングネットワーク制御装置
CN111580472B (zh) 控制装置、存储介质以及无线通信设备
JP6433623B2 (ja)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方法及び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
WO2015145689A1 (ja) Plcモニタシステム
KR101521026B1 (ko) 태스크 분배 시스템 및 방법
JP5486550B2 (ja) 輻輳制御装置、輻輳制御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6373236B2 (ja) 計算機
JP6620433B2 (ja) 制御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KR102279025B1 (ko) 연산 프로세서 및 연산 프로세서의 동작 방법
KR20060080666A (ko) 다중 프로세서 시스템에서 부하를 분배하기 위한 장치 및방법
JP6378218B2 (ja) 通信制御装置、通信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623130B1 (ko) 조선해양 형상 모델 가시화를 위한 병렬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35530B1 (ko) 일정 수 이상의 파일 조각으로 원본 파일을 복원하는 파일 관리 장치 및 그것의 파일 관리 방법
JP2010109832A (ja) ログ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