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6021B1 - 패널이송장치 - Google Patents

패널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6021B1
KR101626021B1 KR1020150115188A KR20150115188A KR101626021B1 KR 101626021 B1 KR101626021 B1 KR 101626021B1 KR 1020150115188 A KR1020150115188 A KR 1020150115188A KR 20150115188 A KR20150115188 A KR 20150115188A KR 101626021 B1 KR101626021 B1 KR 101626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anel
frame
loading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5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환
Original Assignee
김재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환 filed Critical 김재환
Priority to KR1020150115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60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6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6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 B65G47/248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by turning over or inverting th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패널이송장치는 프레임부, 적재부, 회전가이드유닛 및 연장가이드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부는 서로 높이가 다른 제1 및 제2 수직 프레임들, 및 상기 제1 및 제2 수직 프레임들 사이에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경사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적재부는 상기 제2 수직 프레임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경사프레임으로부터 이송된 패널을 적재한다. 상기 회전가이드유닛은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적재부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경사프레임을 통해 이송된 패널을 회전시켜 상기 적재부로 이송되도록 가이드한다. 상기 연장가이드유닛은 상기 회전가이드유닛에 의해 이송된 패널들을 지지하며, 상기 적재부의 적재 상태에 따라 상기 패널들을 상기 적재부로 전달한다.

Description

패널이송장치{PANEL FEEDING APPARATUS}
본 발명은 패널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알루미늄 패널, 건축용 패널, 디스플레이 패널, 반도체 공정용 웨이퍼 등 다양한 종류의 플레이트 형상의 패널을 이송시키기 위한 패널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알루미늄 패널이나 건축용 패널, 나아가 반도체 공정용 웨이퍼나 디스플레이 패널 등 다양한 종류의 플레이트(plate) 형상의 패널을 이송시키기 위한 패널이송장치에 대하여는 다수의 개발이 진행되어 왔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5-0087663호에서는 복수의 패널을 수용할 수 있는 패널카세트를 포함하는 패널이송장치에 관한 기술을 개시하여 복수의 패널들을 적층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0-0086634호에서는 시공현장에서 사용되는 판넬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아래층에 위치한 판넬을 상층으로 용이하게 이송시킬 수 있는 판넬 이송장치에 관한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나아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3-0056624호에서는 복수의 패널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이송시킬 수 있는 캐터필러 트랙 링크를 갖는 패널이송장치에 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패널 이송장치들이 이송대상이 되는 패널의 종류나 형상 등을 고려하여 설계되고 있으며, 산업현장에서도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범용적으로 다양한 패널의 이송에 사용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특히, 패널이송장치에서 패널 이송을 위해 다수의 구동부가 복잡하게 구동되어야 하므로, 설계 및 제작의 어려움과 고비용은 물론 자동 이송을 구현하는 것이 제한적인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대적으로 단순한 구동 메커니즘을 포함하여 패널 이송에 있어서 자동화 및 이송 속도의 향상이 가능한 패널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이송장치는 프레임부, 적재부, 회전가이드유닛 및 연장가이드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부는 서로 높이가 다른 제1 및 제2 수직 프레임들, 및 상기 제1 및 제2 수직 프레임들 사이에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경사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적재부는 상기 제2 수직 프레임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경사프레임으로부터 이송된 패널을 적재한다. 상기 회전가이드유닛은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적재부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경사프레임을 통해 이송된 패널을 회전시켜 상기 적재부로 이송되도록 가이드한다. 상기 연장가이드유닛은 상기 회전가이드유닛에 의해 이송된 패널들을 지지하며, 상기 적재부의 적재 상태에 따라 상기 패널들을 상기 적재부로 전달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제1 수직 프레임의 일 끝단과 상기 경사프레임의 사이에 패널이 적재되는 상측 적재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상측 적재함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상측 개폐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측 개폐유닛은, 상기 경사 프레임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측 적재함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상측 개폐 가이드, 및 상기 상측 개폐 가이드를 구동시키는 제1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가이드유닛은, 상기 경사프레임을 통해 이송된 패널을 고정한 상태에서 회전시켜 상기 적재부로 이송시키는 회전가이드, 및 상기 회전가이드를 구동시키는 제2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가이드는 상기 패널이 사이로 인입되어 고정되는 집게부를 포함하고, 상기 집게부는 상기 경사프레임의 연장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경사프레임을 통해 이송된 패널을 고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재부는, 상기 패널이 적재되는 적재 플레이트, 상기 적재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개구부를 형성하며, 상기 적재 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한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고정하며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상하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장가이드유닛은, 상기 적재부의 상부에서 상기 회전가이드유닛에 의해 이송된 패널을 지지하는 연장가이드, 및 상기 연장가이드를 구동시키는 제3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 구동부에 의해 상기 연장가이드가 상기 프레임부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연장가이드에 의해 지지된 패널이 상기 적재 플레이트로 이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개구부로 인입되어 상기 적재 플레이트를 고정하는 분리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분리유닛은 상기 적재 플레이트 상에 상기 패널이 적재되는 경우 상기 개구부로 인입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적재 플레이트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상측으로부터 경사프레임을 통해 하측으로 이송되는 패널을 회전가이드유닛을 통해 상대적으로 단순한 구동메커니즘을 통해 적재부로 적재할 수 있으므로, 패널을 자동으로 이송시키며 동시에 이송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측 적재함 및 상측 개폐유닛을 포함하여, 필요한 경우 패널을 상측 적재함으로 적재가 가능하고, 이 경우 상측 적재함의 개폐가 단순한 구동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회전가이드유닛은 상기 경사프레임을 통해 이송된 패널을 방향을 바꾸어 적재함 측으로 이송시키는 것은 물론, 적재함의 적재 플레이트 상에 이송방향으로 연속해서 패널을 위치시킬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도 이송되므로 상기 적재 플레이트 상에 패널을 보다 균일하게 적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회전가이드유닛은 집게부를 포함하여 상기 적재부를 상기 프레임부로부터 상기 적재부로 이송시키는 경우 상기 패널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재부로 패널을 적재하기 전에 상기 연장가이드유닛에 패널이 적재되며, 특히 상기 연장가이드유닛에는 패널이 하나의 층으로 적재되므로, 상기 적재부로 패널이 직접 적재되는 경우에 패널이 불균일하게 적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패널이 상기 적재부에 다층으로 적재가 완료된 경우, 상기 적재부의 적재 플레이트는 분리유닛에 의해 지지 플레이트와 분리되므로, 상기 적재 플레이트 상에 적재된 패널만 별도의 위치로 용이하게 이송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패널이송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패널이송장치의 일 측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12는 도 1의 패널이송장치를 통한 패널이송방법을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패널이송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패널이송장치의 일 측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패널이송장치(1)는 플레이트(plate) 형상의 패널들(10)을 연속적으로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패널(10)은 알루미늄 패널, 건축용 패널, 디스플레이 패널, 반도체 공정용 웨이퍼 등 다양한 종류일 수 있다. 나아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것 외에, 다양한 형상을 갖는 패널을 이송시킬 수도 있다.
특히, 상기 패널이송장치(1)를 통해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인 제1 위치로부터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인 제2 위치로 패널이 이송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와 달리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즉 낮은 위치에서 높은 위치로 패널이 이송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패널이송장치(1)의 구성은 자명한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패널이송장치(1)는 프레임부(100), 적재부(200), 상측개폐유닛(300), 회전가이드유닛(400), 연장가이드유닛(500) 및 분리유닛(600)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부(100)는 베이스 프레임(110), 제1 수직프레임(120), 제2 수직프레임(130), 경사 프레임(140), 수평 프레임(150), 상측 적재함(160) 및 보조 프레임(170)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은 제1 방향(X)으로 연장되어 바닥면에 접촉하며 위치하여 상기 프레임부(100) 및 상기 패널이송장치(1)의 전체적인 저면을 형성한다.
상기 제1 수직프레임(120)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일 끝단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에 수직인 제3 방향(Z)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수직프레임(130)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다른 끝단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에 수직인 제3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수직프레임(120)의 높이가 상기 제2 수직프레임(130)의 높이보다 높게 연장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수직프레임들(120, 130)의 상측 끝단을 연결하는 상기 경사 프레임(140)이 바닥면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수평 프레임(150)은 상기 제2 수직프레임(130)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보조 프레임(170)의 끝단에서, 상기 제1 및 제3 방향들(X, Z)에 동시에 수직인 제2 방향(Y)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상측 적재함(160)은 상기 제1 수직 프레임(120)과 상기 경사프레임(140)의 사이에 소정의 이격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패널들(10)을 적재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후술하겠으나, 상기 상측개폐유닛(300)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되어, 선택에 따라 상기 패널들(10)이 적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측 적재함(160)은 상기 패널들(10)이 중첩되어 적층될 수 있도록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며, 상기 패널(10)의 너비를 고려하여 필요한 너비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조프레임(170) 및 상기 수평프레임(170)을 제외하고는, 상기 프레임부(100)는 상기 제2 방향(Y)으로 복수개가 소정거리 이격되며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긴 길이의 패널(10)에 대하여도 이송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프레임부(100)들의 개수는 상기 패널(10)의 길이를 고려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보조프레임(170)은 상기 복수의 프레임부들(100) 중 양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프레임부에만 형성되며, 상기 수평프레임(170)은 상기 한 쌍의 보조프레임(170)을 서로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적재부(200)는 상기 양 측에 형성된 보조프레임들(170) 및 상기 수평프레임(170), 그리고 복수의 제2 수직프레임들(13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형성되며, 상기 경사프레임(140)을 통해 이송된 패널들(10)을 적재한다.
상기 적재부(200)는 지지프레임(210), 지지플레이트(220) 및 적재플레이트(230)를 포함한다.
상기 적재플레이트(230)는 상기 경사프레임(140)을 통해 이송된 패널들(10)이 직접 적재되는 곳으로, 소정의 너비를 가지며 상기 제2 방향(Y)으로 연장된다. 이 경우, 상기 적재플레이트(230)의 너비는 상기 패널들(10) 각각의 너비 및 상기 패널들(10)이 하나의 층으로 적재되는 개수를 고려하여 설계되며, 상기 적재플레이트(230)의 길이는 상기 패널(10)의 길이를 고려하여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플레이트(220)는 상기 적재플레이트(23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적재플레이트(230)를 지지하며, 상기 지지프레임(210)으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상기 적재플레이트(23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경우, 상기 지지플레이트(220)와 상기 적재플레이트(230)의 사이에는 복수의 개구부들(221)이 형성되며, 후술되겠으나 상기 개구부들(221)에는 분리유닛(600)이 삽입되어, 필요에 따라 상기 적재플레이트(230)와 상기 지지플레이트(220)를 분리시킨다.
이 경우, 상기 개구부들(221)의 개수는 상기 프레임부들(100)의 개수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210)은 상기 지지플레이트(220)의 하부에서 상기 지지플레이트(220)를 고정하며 바닥면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210)은, 예를 들어 실린더 구동 등을 통해 상기 지지플레이트(220)를 상하방향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상측개폐유닛(300)은 제1 구동부(310) 및 상측개폐가이드(320)를 포함한다.
상기 상측개폐유닛(300)은 상기 경사프레임(140)과 평행하게 연장되며, 상기 경사프레임(140)의 일 측에 부착된다.
상기 상측개폐가이드(320)도 상기 경사프레임(140)과 평행하게 연장되며, 상기 제1 구동부(310)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상기 경사프레임(140)과 평행한 방향으로 왕복이동된다.
이 경우, 상기 상측개폐가이드(320)는 상기 제1 수직프레임(120)과 상기 경사프레임(140)의 이격 공간을 밀폐 또는 개방하게 되며, 상기 상측개폐가이드(320)가 상기 이격 공간을 밀폐하는 경우 상기 패널(10)은 상기 상측개폐가이드(320)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경사프레임(140)으로 이송되고, 상기 상측개폐가이드(320)가 상기 이격 공간을 개방하는 경우 상기 패널(10)은 상기 상측 적재함(160)으로 이동되어 상기 상측 적재함(160)에 적재된다.
이러한, 상기 상측개폐가이드(320)를 통한 상기 이격 공간의 밀폐 또는 개방은 상기 제1 구동부(310)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제1 구동부(310)는 예를 들어, 실린더 구동일 수 있다.
상기 회전가이드유닛(400)은 제2 구동부(410) 및 회전가이드(420)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가이드유닛(400)은 상기 경사프레임(140)을 따라 가이드되어 이송된 패널(10)을 상기 적재부(200) 측으로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가이드(420)의 끝단에는 집게부(421)가 형성되며, 상기 집게부(421)는 패널의 일 측을 고정할 수 있는 집게 형상을 가진다.
상기 회전가이드(420)는 상기 집게부(421)의 개방된 부분이 상기 제1 수직 프레임(120)을 향하도록 상기 경사프레임(140)과 평행하게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경사프레임(140)을 통해 가이드되어 하강된 패널(10)이 상기 집게부(421)에 의해 고정되면, 상기 제2 방향(Y)을 회전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패널(10)을 회전시켜 상기 적재부(200) 측으로 위치시킨다. 이 후, 상기 회전가이드(420)는 소정 거리만큼 상기 제1 방향(X)으로 이동하여 상기 패널(10)을 상기 적재부(200) 측으로 이동시킨다.
이 경우, 상기 회전가이드(420)의 회전 및 제1 방향으로의 이송은 상기 제2 구동부(410)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제2 구동부(410)도 실린더 구동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가이드(420)와 상기 제2 구동부(410)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별도의 링크구조를 통해 상기 회전가이드(420)의 회전 및 제1 방향으로의 이송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연장가이드유닛(500)은 상기 제1 방향(X)과 평행하게 연장되며, 제3 구동부(510) 및 연장가이드(520)를 포함한다.
상기 제3 구동부(510)는 상기 연장가이드(520)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며, 상기 연장가이드(520)는 상기 경사프레임(140)과 상기 제2 수직프레임(130)이 연결되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X)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그리하여, 상기 연장가이드(520)의 끝단은 상기 수평프레임(150)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연장가이드(520)는 상기 수평프레임(150)과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가이드(420)를 통해 가이드되어 이송된 패널(10)을 임시로 적재한다. 그리하여, 상기 연장가이드(520)에 의해 상기 패널(10)의 임시 적재가 종료되면, 상기 연장가이드(520)가 상기 제3 구동부(510)에 의해 상기 경사프레임(140)의 하측으로, 즉 음의 제1 방향(-X)으로 이동하여 상기 연장가이드(520)에 의해 적재되었던 패널(10)이 상기 적재플레이트(230) 상으로 적재된다.
상기 분리유닛(6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적재부(200)의 개구부(221)에 삽입되어 필요한 경우, 상기 적재플레이트(230)와 상기 지지플레이트(220)를 서로 분리한다.
도 3 내지 도 12는 도 1의 패널이송장치를 통한 패널이송방법을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1 구동부(310)에 의해 상기 상측개폐가이드(320)가 상기 경사프레임(140)을 따라 하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상측적재함(160)이 개방되며, 이에 따라 제1 패널(11)은 상기 상측적재함(160)으로 적재된다.
이 경우, 상기 상측적재함(160)에 적재되는 패널의 개수는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상측개폐가이드(320)가 상기 경사프레임(140)을 따라 상부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상측적재함(160)을 폐쇄하면, 제3 패널(13)은 상기 상측개폐가이드(320) 및 상기 경사프레임(140)에 의해 가이드되며 하부방향으로 이송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경사프레임(140)을 따라 가이드된 상기 제3 패널(13)은 상기 집게부(421)로 인입되어, 상기 집게부(421)에 의해 고정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2 구동부(410)의 구동에 의해 상기 회전가이드(420)는 상기 제2 방향을 회전축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3 패널(13)도 회전하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집게부(421)는 상기 제1 방향(X)에 평행한 상태로 위치하게 되며, 상기 제3 패널(13)은 상기 연장가이드(520) 상으로 위치하게 된다.
이 후,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회전가이드(420)는 상기 제2 구동부(410)의 추가적인 구동에 의해 상기 제1 방향(X)으로 따라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3 패널(13)은 상기 연장가이드(520) 상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추가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연장가이드(520) 상에 이미 패널이 위치한 경우라면, 상기 회전가이드(420)는 상기 패널에 중첩되지 않는 위치까지만 상기 패널을 상기 연장가이드(520) 상에서 이동시키며, 이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가이드(520) 상에는, 예를 들어, 3개의 제3 내지 제5 패널들(13, 14, 15)이 차례로 위치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3 패널(13)의 이송이 상기 제4 및 제 5 패널들(14, 15)에 대하여도 동일하게 반복되어, 상기 연장가이드(520) 상에 3개의 패널들이 차례로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장가이드(520)의 길이 등을 설계하여, 상기 연장가이드(520) 상에 위치하는 패널들의 개수를 변경시킬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3 구동부(51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연장가이드(520)가 상기 경사프레임(140)의 하측, 즉 상기 음의 제1 방향(-X)으로 이동하면, 상기 연장가이드(520) 상에 위치하던 패널들은 상기 적재 플레이트(230)의 상면으로 이동하여 적재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이후, 상기 연장가이드(520)가 다시 상기 수평 프레임(150)에 접촉하도록 양의 제1 방향(X)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복수의 패널들이 다시 이송되면, 상기 연장가이드(520) 상에는 복수의 패널들이 차례로 적재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연장가이드(520)가 다시 음의 제1 방향(-X)으로 이동하면, 상기 연장가이드(520) 상에 위치하던 패널들은 상기 적재 플레이트(230)의 상면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적재 플레이트(230) 상에는 복수의 층으로 패널들이 적재된다.
이상과 같은 구동을 통해, 상기 적재 플레이트(230) 상에는 복수의 패널들이 차례로 적재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패널의 적재 개수 등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필요한 개수의 패널들이 상기 적재 플레이트(230) 상에 적재되면, 상기 지지프레임(21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지지플레이트(220) 및 상기 적재 플레이트(230)는 상부방향, 즉 제3 방향(Z)으로 상승된다.
또한, 상기 분리유닛(600)이 상기 제3 방향(Z)을 회전축으로 회전하며 상기 개구부(221)로 인입되면, 상기 분리유닛(600)은 상기 적재 플레이트(230)를 지지 및 고정하게 되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21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지지플레이트(220)가 하부방향으로 하강되면, 상기 적재 플레이트(230)와 상기 지지플레이트(220)는 서로 분리된다.
이와 같이, 상기 분리유닛(600)에 의해 분리된 상기 적재 플레이트(230) 및 상기 적재된 패널들은,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별도의 이송유닛들을 통해 상기 패널이송장치(1)로부터 외부로 이송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패널이송장치(1)를 통해서, 하나씩 제조되어 이송되는 패널을 하측으로 이송시켜 복수의 층으로 적재할 수 있으며, 이렇게 적재된 패널들은 별도의 이송유닛을 통해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외부로 이송될 수 있는 위치로 위치시킬 수 있어, 패널 이송의 신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상측으로부터 경사프레임을 통해 하측으로 이송되는 패널을 회전가이드유닛을 통해 상대적으로 단순한 구동메커니즘을 통해 적재부로 적재할 수 있으므로, 패널을 자동으로 이송시키며 동시에 이송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측 적재함 및 상측 개폐유닛을 포함하여, 필요한 경우 패널을 상측 적재함으로 적재가 가능하고, 이 경우 상측 적재함의 개폐가 단순한 구동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회전가이드유닛은 상기 경사프레임을 통해 이송된 패널을 방향을 바꾸어 적재함 측으로 이송시키는 것은 물론, 적재함의 적재 플레이트 상에 이송방향으로 연속해서 패널을 위치시킬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도 이송되므로 상기 적재 플레이트 상에 패널을 보다 균일하게 적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회전가이드유닛은 집게부를 포함하여 상기 적재부를 상기 프레임부로부터 상기 적재부로 이송시키는 경우 상기 패널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재부로 패널을 적재하기 전에 상기 연장가이드유닛에 패널이 적재되며, 특히 상기 연장가이드유닛에는 패널이 하나의 층으로 적재되므로, 상기 적재부로 패널이 직접 적재되는 경우에 패널이 불균일하게 적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패널이 상기 적재부에 다층으로 적재가 완료된 경우, 상기 적재부의 적재 플레이트는 분리유닛에 의해 지지 플레이트와 분리되므로, 상기 적재 플레이트 상에 적재된 패널만 별도의 위치로 용이하게 이송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패널이송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패널의 이송에 사용될 수 있는 산업상 이용 가능성을 갖는다.
1 : 패널이송장치 10 : 패널
100 : 프레임부 200 : 적재부
300 : 상측개폐유닛 310 : 제1 구동부
320 : 상측개폐가이드 400 : 회전가이드유닛
410 : 제2 구동부 420 : 회전가이드
500 : 연장가이드유닛 510 : 제3 구동부
520 : 연장가이드 600 : 분리유닛

Claims (9)

  1. 서로 높이가 다른 제1 및 제2 수직 프레임들, 및 상기 제1 및 제2 수직 프레임들 사이에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경사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부;
    상기 제2 수직 프레임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경사프레임으로부터 이송된 패널을 적재하는 적재부;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적재부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경사프레임을 통해 이송된 패널을 회전시켜 상기 적재부로 이송되도록 가이드하는 회전가이드유닛; 및
    상기 회전가이드유닛에 의해 이송된 패널들을 지지하며, 상기 적재부의 적재 상태에 따라 상기 패널들을 상기 적재부로 전달하는 연장가이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제1 수직 프레임의 일 끝단과 상기 경사프레임의 사이에 패널이 적재되는 상측 적재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상측 적재함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상측 개폐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이송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개폐유닛은,
    상기 경사 프레임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측 적재함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상측 개폐 가이드; 및
    상기 상측 개폐 가이드를 구동시키는 제1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이송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가이드유닛은,
    상기 경사프레임을 통해 이송된 패널을 고정한 상태에서 회전시켜 상기 적재부로 이송시키는 회전가이드; 및
    상기 회전가이드를 구동시키는 제2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이송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가이드는 상기 패널이 사이로 인입되어 고정되는 집게부를 포함하고,
    상기 집게부는 상기 경사프레임의 연장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경사프레임을 통해 이송된 패널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이송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는,
    상기 패널이 적재되는 적재 플레이트;
    상기 적재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개구부를 형성하며, 상기 적재 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한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고정하며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상하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이송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가이드유닛은,
    상기 적재부의 상부에서 상기 회전가이드유닛에 의해 이송된 패널을 지지하는 연장가이드; 및
    상기 연장가이드를 구동시키는 제3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이송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가이드에 의해 상기 패널의 임시 적재가 종료되면, 상기 연장가이드가 상기 제3 구동부에 의해 상기 경사프레임의 하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연장가이드에 의해 적재되었던 패널이 상기 적재플레이트 상으로 적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이송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로 인입되어 상기 적재 플레이트를 고정하는 분리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분리유닛은 상기 적재 플레이트 상에 상기 패널이 적재되는 경우 상기 개구부로 인입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적재 플레이트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이송장치.
KR1020150115188A 2015-08-17 2015-08-17 패널이송장치 KR101626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5188A KR101626021B1 (ko) 2015-08-17 2015-08-17 패널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5188A KR101626021B1 (ko) 2015-08-17 2015-08-17 패널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6021B1 true KR101626021B1 (ko) 2016-05-31

Family

ID=56099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5188A KR101626021B1 (ko) 2015-08-17 2015-08-17 패널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60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2762B1 (ko) * 2018-09-06 2019-03-27 문형균 자재 이송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0178B2 (ja) 1990-01-16 2000-12-25 日成ビルド工業株式会社 パネル材の反転移載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0178B2 (ja) 1990-01-16 2000-12-25 日成ビルド工業株式会社 パネル材の反転移載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2762B1 (ko) * 2018-09-06 2019-03-27 문형균 자재 이송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3522B1 (ko) 기판 수납 트레이 팰릿 및 기판이송시스템
US20200165082A1 (en) Transport Vehicle and Transport Facility
JP4690414B2 (ja) ワーク搬入出システム及び搬送装置
JP4727500B2 (ja) 基板搬送装置、基板処理システムおよび基板搬送方法
US20160329228A1 (en) Cassette positioning device and semiconductor processing apparatus
JP2009049232A (ja) 基板処理装置
JP2002255338A (ja) 板状体搬送装置
JP4950297B2 (ja) 基板搬送システム
CN102376609A (zh) 装载口
TWI403450B (zh) Substrate handling system
KR101626021B1 (ko) 패널이송장치
CN101373723A (zh) 用于键合装置的电子器件处理器
TWI753999B (zh) 搬運系統
KR101663119B1 (ko) 회전가이드유닛을 포함하는 패널이송장치
JP2006347752A (ja) 搬送システム
CN107098135B (zh) 手机彩盒上料机构
CN105599951B (zh) 自动化包装设备
KR102141200B1 (ko) 이송 로봇 및 이를 포함하는 이송 장치
CN111940446B (zh) 自动上料组件与清洗机
KR100606567B1 (ko)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
TWI740301B (zh) 負載鎖定室
JP6288712B2 (ja) 段積装置および段積方法
KR101285077B1 (ko) 밀폐형 카세트 적재장치
KR101394482B1 (ko) 기판 처리장치
KR200469263Y1 (ko) 유리 기판 운송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