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4917B1 - 퀘스트제공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퀘스트제공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4917B1
KR101624917B1 KR1020140003555A KR20140003555A KR101624917B1 KR 101624917 B1 KR101624917 B1 KR 101624917B1 KR 1020140003555 A KR1020140003555 A KR 1020140003555A KR 20140003555 A KR20140003555 A KR 20140003555A KR 101624917 B1 KR101624917 B1 KR 101624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est
user
user terminal
invitation message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3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3958A (ko
Inventor
허민
권승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메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메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메프
Priority to KR1020140003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4917B1/ko
Publication of KR20150083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3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4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4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4Referral reward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퀘스트제공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사용자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퀘스트상품페이지를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퀘스트제공서버에 의하여 수행되고, 각각의 퀘스트상품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퀘스트를 포함하는 퀘스트리스트를 제1사용자의 제1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퀘스트리스트에 포함된 퀘스트 중, 상기 제1사용자단말로부터 선택된 퀘스트에 대응되는 퀘스트상품페이지를 상기 제1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1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제1사용자의 친구목록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제2사용자에게로의 초대메시지 전송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1사용자단말로부터 선택된 각각의 제2사용자에 대응하는 제2사용자단말로 초대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초대메시지를 전송받은 제2사용자단말 중 미리 설정된 목표 개수 이상의 제2사용자단말이 상기 초대메시지에 응답하면, 상기 제1사용자에게 미리 설정된 진행자 퀘스트포인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퀘스트를 요청하는 사용자단말에 퀘스트를 제공하여 퀘스트를 수행하면 퀘스트를 완료한 사용자단말에 대하여 퀘스트포인트를 적립할 수 있다.

Description

퀘스트제공방법 및 시스템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QUEST}
본 발명은 퀘스트제공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퀘스트를 성공하면 포인트를 제공하는 퀘스트제공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퀘스트는 퀘스트게임에서 퀘스트게임 참여자가 퀘스트서버로부터 수신받은 임무를 말한다. 그리고 임무를 완료한 퀘스트게임 참여자는 퀘스트에 대한 보상을 받을 수 있다.
선행기술문헌 출원번호 제10-2005-0026970호는 리워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리워드제공방법은 사이트에 방문하여 광고 시청 임무를 완료하는 사용자에 한하여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문헌에 기재된 광고방법은 광고 시청 임무를 완료한 사용자에게만 리워드가 제공되지만 다른 사용자와의 광고에 대한 전파력이 없어 다수 사용자들이 광고를 시청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퀘스트를 요청한 사용자에게 퀘스트를 제공하는 퀘스트제공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퀘스트를 완료한 사용자에게 포인트를 제공하는 퀘스트제공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퀘스트를 초대받은 사용자에게도 포인트를 제공하는 퀘스트제공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사용자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퀘스트상품페이지를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퀘스트제공서버에 의하여 수행되고, 각각의 퀘스트상품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퀘스트를 포함하는 퀘스트리스트를 제1사용자의 제1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퀘스트리스트에 포함된 퀘스트 중, 상기 제1사용자단말로부터 선택된 퀘스트에 대응되는 퀘스트상품페이지를 상기 제1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1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제1사용자의 친구목록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제2사용자에게로의 초대메시지 전송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1사용자단말로부터 선택된 각각의 제2사용자에 대응하는 제2사용자단말로 초대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초대메시지를 전송받은 제2사용자단말 중 미리 설정된 목표 개수 이상의 제2사용자단말이 상기 초대메시지에 응답하면, 상기 제1사용자에게 미리 설정된 진행자 퀘스트포인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사용자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퀘스트상품페이지를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퀘스트제공시스템에 있어서, 각각의 퀘스트상품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퀘스트를 포함하는 퀘스트리스트를 제1사용자의 제1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리스트제공부와; 상기 퀘스트리스트에 포함된 퀘스트 중, 상기 제1사용자단말로부터 선택된 퀘스트에 대응되는 퀘스트상품페이지를 상기 제1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퀘스트제공부와; 상기 제1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제1사용자의 친구목록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제2사용자에게로의 초대메시지 전송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1사용자단말로부터 선택된 각각의 제2사용자에 대응하는 제2사용자단말로 초대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전송부; 그리고 상기 초대메시지를 전송받은 제2사용자단말 중 미리 설정된 목표 개수 이상의 제2사용자단말이 상기 초대메시지에 응답하면, 상기 제1사용자에게 미리 설정된 진행자 퀘스트포인트를 제공하는 포인트제공부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퀘스트를 요청한 사용자에게 퀘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퀘스트를 완료한 사용자에게 포인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퀘스트를 초대받은 사용자에게 포인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퀘스트제공방법 및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퀘스트제공방법 및 시스템에서 퀘스트제공서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퀘스트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 내지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퀘스트제공방법을 제공받은 사용자단말의 화면 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퀘스트제공방법 및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퀘스트제공시스템(10)은 네트워크(N)를 통해 연결되는 복수의 사용자단말(100) 및 퀘스트제공서버(200)와 서드파티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N)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개인 근거리 무선통신(Personal Area Network; P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Mobile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단말(100)은 네트워크(N)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 및 서버와 연결 가능한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 텔레비전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스마트폰(Smart Phone), 모바일 WiMAX(Mobile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은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인터넷 TV(Internet Television), 지상파 TV, 케이블 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단말(100)은 퀘스트에 참여하기 위하여 후술할 퀘스트제공서버(200)에 퀘스트 제공을 요청한다. 그리고 사용자단말(100)은 후술할 퀘스트제공서버(200)가 제공하는 퀘스트제공서비스를 통해 퀘스트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단말(100)에는 퀘스트제공서버(200) 및 서드파티서버(300)와 네트워크(N)를 통해 데이터를 교환하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설치되고 이를 통해 퀘스트제공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는 사용자단말(100)에 설치된 웹브라우저를 통해 퀘스트제공서버(200) 또는 서드파티서버(300)가 제공하는 웹페이지를 제공받음으로써 상술한 퀘스트제공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퀘스트제공서버(200)는 네트워크(N)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 및 서버와 연결 가능한 서버 또는 서버군이 될 수 있으며,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퀘스트제공서버(200)는 사용자단말(100) 및 서드파티서버(3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퀘스트에 대한 사용자단말(100)의 퀘스트 수행결과를 수집하는 정보처리장치 또는 이들의 집합이다.
또한 퀘스트제공서버(200)는 네트워크(N)를 통해 사용자단말(100)로 퀘스트제공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퀘스트제공서비스는, 온라인을 통한 판매 대상 상품 또는 광고 대상 상품에 연관되는 퀘스트 수행을 사용자에게 제안하고, 사용자가 퀘스트를 수행하여 미리 설정된 퀘스트완성조건을 만족시킨 경우 퀘스트를 수행한 사용자에게 미리 정해진 리워드를 제공하는 온라인 서비스를 의미한다.
한편 서드파티서버(300)는 네트워크(N)를 통해 원격지의 단말이나 다른 서버와 통신하는 컴퓨터로서, 사용자단말(100)로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되, 퀘스트제공서버(200)와는 그 운영주체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서드파티서버(300)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일 수 있는데, 서드파티서버(300)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는 예를 들어, ‘페이스북’ 또는 ‘카카오톡’ 같은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여기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각각의 사용자에 대하여 친구 관계를 형성하는 다른 사용자들의 목록을 관리하고, 이에 기초하여 특정 사용자가 등록하거나 또는 특정 사용자에 대하여 등록된 게시물을 해당 특정 사용자와 친구 관계를 형성하는 다른 사용자들에게도 배포되도록 하는 서비스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술한 서드파티서버(300)는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퀘스트제공서버(200)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직접 제공하는 경우, 서드파티서버(300)가 따로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퀘스트제공서버(2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퀘스트제공서버(200)는 리스트제공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리스트제공부(210)는 각각의 퀘스트상품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퀘스트를 포함하는 퀘스트리스트를 제1사용자의 제1사용자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퀘스트에 대해서, 퀘스트의 진행이 시작되는 시점으로부터 종료되는 시점까지의 시간 정보인 퀘스트시간정보, 퀘스트로 초대할 목표 친구 수인 목표 개수 정보를 포함하는 퀘스트성공조건정보, 그리고 퀘스트 완성 시에 퀘스트를 진행한 사용자에게 적립될 진행자 퀘스트포인트정보와 퀘스트에 참여한 사용자에게 적립될 참여자 퀘스트포인트정보를 포함가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진행자’는 퀘스트정보가 설정된 각각의 퀘스트를 포함하는 퀘스트리스트에서 특정 퀘스트를 선택하고, 그에 대한 후술할 퀘스트상품페이지를 생성하여 퀘스트를 수행하는 사용자를 의미한다. 또한 여기서 ‘참여자’는 진행자로부터 특정 퀘스트에 초대된 다른 사용자를 의미한다. 이때 참여자는 진행자의 친구 목록에 포함된 사용자 중 일부가 될 수 있다.
이하에서 언급하는 제1사용자는 사용자단말(100)을 이용하여 상술한 진행자의 역할을 하는 사용자를, 제2사용자는 제1사용자로부터 초대된 다른 사용자를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리스트제공부(210)는 복수의 퀘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퀘스트가 제1사용자의 제1사용자단말(100)에 의해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후술할 퀘스트제공부(220)는 선택된 퀘스트에 대응하는 퀘스트상품페이지를 제1사용자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퀘스트제공서버(200)는 퀘스트제공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퀘스트제공부(220)는 퀘스트리스트에 포함된 퀘스트 중, 제1사용자단말(100)로부터 선택된 퀘스트에 대응되는 퀘스트상품페이지를 생성하고 이를 제1사용자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사용자가 퀘스트상품페이지를 통해 친구 목록에 포함된 다른 사용자에게 초대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퀘스트상품페이지에는 퀘스트상품에 대한 상세정보, 예를 들어 퀘스트상품의 이미지, 퀘스트상품에 대한 설명이 포함될 수 있으며, 또한 퀘스트에 대한 ‘퀘스트시간정보’, ‘퀘스트성공조건정보’, ‘진행자 퀘스트포인트’ 및 ‘참여자 퀘스트포인트’가 포함된 퀘스트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퀘스트상품페이지에는 퀘스트의 진행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퀘스트인터페이스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퀘스트인터페이스는 제1사용자가 친구 목록에 포함된 다른 사용자를 선택하여 초대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도록 하여, 초대된 제2사용자의 수를 가시적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나아가 초대된 제2사용자 중에서 초대에 응답한 사용자의 수를 가시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퀘스트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상술한 퀘스트성공조건정보에 포함된 목표 개수 이상의 수의 퀘스트슬롯을 갖고, 퀘스트에 초대된 제2사용자가 없을 때는 모든 퀘스트슬롯을 빈칸으로 표시하다가 하나의 제2사용자가 새로 초대될 때마다 하나의 퀘스트슬롯에 하나씩 참여자 정보를 채워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참여자 정보는 예를 들어 참여자의 사진 또는 프로필, 성명이나 그 외 식별정보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퀘스트슬롯에 참여자 정보가 표시된 제2사용자가 초대에 응답한 경우 퀘스트슬롯은 다시 제2사용자가 초대된 후 응답하기 전까지와는 다른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퀘스트슬롯에 채워진 참여자 이미지의 투명도가 증가하도록 하는 등 다른 퀘스트슬롯과 구분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퀘스트상품페이지는 퀘스트상품의 판매페이지로의 하이퍼링크 개체가 포함되거나, 해당 퀘스트 또는 해당 퀘스트상품에 대한 사용자들의 평가나 그 외 의사를 입력받을 수 있는 입력수단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퀘스트제공서버(200)는 친구목록관리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친구목록관리부(230)는 제1사용자의 친구목록을 관리할 수 있다. 이때 친구목록은 제1사용자의 제1사용자단말(100)에 저장된 전화번호부로부터 독출되어 상기 퀘스트제공서버(200)에 저장된 제1사용자의 친구 목록 또는 제1사용자의 서드파티 서비스 계정정보와 연관된 친구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친구목록관리부(230)는 ‘페이스북’과의 연동을 수락한 제1사용자에 대응하는 제1사용자단말(100)로부터 친구목록 요청을 수신하면, ‘페이스북’ 서버, 즉 서드파티서버(300)로부터 제1사용자의 페이스북 아이디에 대응하여 저장된 친구 목록을 제공받아 제1사용자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친구목록관리부(230)는 제1사용자의 친구목록에서, 적어도 일정시간 내에, 제1사용자가 생성한 퀘스트상품페이지에 대응하는 퀘스트와 동일한 퀘스트에 대한 다른 사용자의 퀘스트상품페이지로의 초대메시지를 전송받은 사용자들을 제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친구목록관리부(230)는 퀘스트상품페이지에서 제1사용자가 초대메시지를 발송하기 위하여 제1사용자의 친구목록을 요청하면, 동일한 퀘스트에 대응하는 초대메시지를 전송받은 제2사용자를 제외한 친구목록을 제1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친구 목록은 예를 들어, 상술한 퀘스트슬롯 중 빈칸으로 표시된 퀘스트슬롯을 제1사용자가 선택하는 경우에 제공되고, 제1사용자가 친구 목록에서 하나의 제2사용자를 선택하면 해당 퀘스트슬롯에는 제2사용자의 이미지가 채워질 수 있다.
또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퀘스트제공서버(200)는 메시지전송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메시지전송부(240)는 제1사용자단말(100)로부터 제1사용자의 친구목록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제2사용자에게로의 초대메시지 전송 요청이 수신되면, 제1사용자단말(100)로부터 선택된 각각의 제2사용자에 대응하는 제2사용자단말(100)로 초대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초대메시지는, 예를 들어 퀘스트제공서버(200)가 제공하는 퀘스트상품페이지의 URL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퀘스트상품의 이미지 URL, 퀘스트상품 설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초대메시지는 단순히 제2사용자에게만 전달되는 것은 아니고,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배포될 수 있다. 즉, 제2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계정정보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온라인 게시영역에 초대메시지가 표시됨으로써, 제2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온라인 게시영역을 방문하는 다른 사용자들에 의해서도 초대메시지에 포함된 내용이 열람될 수 있다. 또한 이로써 제2사용자와 친구 관계에 있는 다른 사용자들에게도 초대메시지가 배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사용자의 페이스북 계정을 이용하여, 제2사용자의 페이스북 ‘타임라인’에 초대메시지가 작성되도록 함으로써, 제2사용자의 타임라인과, 제2사용자의 친구 사용자들의 ‘뉴스피드’에 동일한 초대메시지가 게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초대메시지가 제1사용자의 트위터 계정을 이용하여 제2사용자에게로 ‘트윗’되도록 하여, 제2사용자들의 팔로워들에게 초대메시지가 모두 배포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초대메시지는 초대받은 자들에게만 전달되는 1:1 메시지가 아니고, 초대받은 사용자와 이들의 친구, 나아가 초대받은 사용자의 온라인 게시영역을 방문한 다른 제3의 사용자들에게도 함께 전달되는 1:n의 메시지이다.
즉, 메시지전송부(240)는 퀘스트제공서버(200)가 직접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함께 제공하지 않는 경우, 제2사용자의 서드파티 서비스의 계정정보에 대응하는 서드파티 서비스의 온라인 게시영역에 초대메시지가 게시되도록, 제1사용자의 서드파티 서비스의 계정정보를 이용하여, 제2사용자의 서드파티 서비스의 계정정보에 대응하는 초대메시지의 게시요청을 서드파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드파티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또한 메시지전송부(240)는 초대메시지가 전달된 제2사용자단말(100)로부터 일정 시간동안 초대메시지에 대한 응답이 없으면, 제1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참여자가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퀘스트슬롯을 통해 초대된 제2사용자를 또 다른 제2사용자로 교체할 수 있다.
이때 메시지전송부(240)는 각각의 초대된 제2사용자들을 제1사용자의 퀘스트상품페이지와 연관하여 참여자로 등록할 수 있고, 참여자 변경 요청에 따라 등록된 참여자를 다른 제2사용자로 대체 등록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추후 참여자에 해당하는 제2사용자가 퀘스트상품페이지에 접근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퀘스트제공서버(200)는 서드파티연동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서드파티연동부(250)는 제1사용자단말(100)로 서드파티서버(300)가 제공하는 서드파티 서비스의 계정정보에 대한 사용동의를 요청하여, 제1사용자의 서드파티 서비스의 계정정보 및 그에 대한 사용동의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사용자에게 페이스북 계정정보의 입력을 요청하여 계정정보를 획득하면서, 이에 대한 사용 동의를 획득함으로써 상술한 초대메시지가 서드파티 서비스에서 제1사용자의 계정을 통해 등록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서드파티연동부(250)는 제2사용자단말(100) 또는 그 외 퀘스트상품페이지에 접근하는 사용자단말(100)들로부터 퀘스트상품페이지 열람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단말(100)로 서드파티 서비스의 계정정보 사용동의를 요청하여, 제2사용자와 그 외 다른 사용자들의 서드파티 서비스의 계정정보 및 사용동의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퀘스트제공서버(200)는 포인트제공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포인트제공부(260)는 초대메시지를 전송받은 제2사용자단말(100) 중 미리 설정된 목표 개수 이상의 제2사용자단말(100)이 초대메시지에 응답하면, 제1사용자에게 미리 설정된 진행자 퀘스트포인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퀘스트포인트는 예를 들어, 퀘스트상품의 가격마다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제1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진행자 퀘스트포인트와 제2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참여자 퀘스트포인트로 구분할 수 있다.
즉, 포인트제공부(260)는 퀘스트시간정보를 통해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초대메시지를 전송받은 제2사용자단말(100) 중 미리 설정된 목표 개수 이상의 제2사용자단말(100)이 초대메시지에 응답한 경우 퀘스트성공조건이 완성된 것으로 판단하고, 퀘스트성공조건이 완성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1사용자에게 미리 설정된 진행자 퀘스트포인트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포인트제공부(260)는 제2사용자단말(100) 중 초대메시지에 응답한 제2사용자단말(100)에 대응하는 제2사용자에게 미리 설정된 참여자 퀘스트포인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초대메시지에 대한 응답은, 제2사용자가 단순히 퀘스트상품페이지를 방문하거나, 또는 제2사용자가 초대메시지를 통해 퀘스트상품페이지에 방문하거나, 또는 제2사용자가 퀘스트상품페이지를 열람하고, 퀘스트상품페이지를 통해 특정 액션(예를 들어, 퀘스트상품페이지의 ‘퀘스트상품’에 대해 ‘좋아요’ 를 누르거나 또는 ‘댓글’을 등록하는 액션)을 수행하는 것 중 하나일 수 있다.
즉, 이와 같이 참여자는 퀘스트에 대한 초대에 응답하는 것만으로 참여자 퀘스트포인트를 적립받을 수 있고, 진행자는 일정 시간 내에 미리 정해진 목표 개수 이상의 초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 경우 미리 설정된 진행자 퀘스트포인트를 적립받을 수 있다.
이때 포인트제공부(260)는 제1사용자와 제2사용자에 대하여 각각에 대해 획득된 서드파티 서비스 계정정보에 대응하여 퀘스트포인트를 적립할 수 있다.
또한 포인트제공부(260)는 제3사용자의 제3사용자단말(100)로부터 적립된 퀘스트포인트에 대한 퀘스트쿠폰으로의 변경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제3사용자단말(100)에 대응하는 제3사용자의 서드파티 서비스의 계정정보에 대응하여 적립된 퀘스트포인트를 이용하여, 고유식별자를 갖는 퀘스트쿠폰으로 변환하고, 퀘스트쿠폰의 고유식별자를 제3사용자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인트제공부(260)는 제3사용자에 대응하는 ‘페이스북’ 아이디에 적립된 퀘스트포인트를 ‘12345’의 쿠폰번호로 변환하고, 제3사용자는 퀘스트쿠폰 사용이 가능한 퀘스트제공서버(200) 또는 제3의 서버에 퀘스트제공서버(200) 또는 제3의 서버에 의해 직접 관리되는 제3사용자의 계정정보로 접근한 후, 쿠폰번호 ‘12345’를 입력하여 퀘스트쿠폰에 대응하는 가상화폐를 지급받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포인트제공부(260)는 퀘스트시간정보를 통해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초대메시지를 전송받은 제2사용자단말(100) 중 미리 설정된 목표 개수 이상의 제2사용자가 초대메시지에 응답하는 경우에 한하여, 제1사용자단말(100)에 퀘스트포인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인트제공부(260)는 ‘퀘스트시간’ 이내에 ‘퀘스트성공조건’ 이상의 제2사용자가 초대메시지에 응답하지 못한 경우, 제1사용자단말(100)에 퀘스트포인트를 제공하지 않고 ‘퀘스트실패’라는 문구를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퀘스트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4 내지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퀘스트제공방법을 제공받은 사용자단말의 화면 예시도이다.
여기서 퀘스트제공서버(200)는 퀘스트리스트에 포함된 퀘스트 중, 제1사용자단말(100)로부터 선택된 퀘스트에 대응되는 퀘스트상품페이지를 제1사용자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S310).
이때 퀘스트리스트는 각각의 퀘스트상품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퀘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퀘스트제공서버(200)는 제1사용자의 제1사용자단말(100)에 의해 선택된 각각의 제2사용자에게로 초대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320).
S320단계에서 퀘스트제공서버(200)는 제1사용자단말(100)로부터 제1사용자의 친구목록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제2사용자에게로의 초대메시지 전송 요청이 수신되면, 제1사용자단말(100)로부터 선택된 각각의 제2사용자에 대응하는 제2사용자단말(100)로 초대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퀘스트제공서버(200)는 S320단계에서 초대메시지가 전송된 제2사용자단말(100)로부터 초대메시지에 응답이 발생하면(S330), 퀘스트상품페이지에 제2사용자단말(100)의 초대메시지 응답을 저장할 수 있다(S340).
위에서 설명한 퀘스트제공방법을 제공받은 사용자단말의 화면 예시도를 참조하면, 우선 도4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퀘스트제공서버(200)는 퀘스트정보와 진행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퀘스트를 진행하는 동안에는 사용자단말(100)에 ‘QUEST 진행중 입니다’라는 안내문(41)이 표시될 수 있고, 안내문(41) 밑으로는 퀘스트시간(42), 제2사용자로의 초대메시지 전송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퀘스트성공조건정보에 포함된 목표 개수 이상의 퀘스트슬롯(43) 및 퀘스트상품정보(44, 45)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퀘스트상품페이지에 초대메시지에 대한 응답이 발생하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퀘스트를 진행하면서 사용자단말(100)에는 ‘지금까지 총1명의 친구가 방문하였습니다’라는 안내문(51)이 표시될 수 있고, 퀘스트제공서버(2000)는 퀘스트상품페이지에 제2사용자단말(100)의 초대메시지에 대한 응답이 발생하면 퀘스트슬롯(53)에 초대에 응답한 제2사용자의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퀘스트 성공시 사용자단말(100)에는 ‘3명의 친구가 모두 방문하였습니다’라는 안내문(61)이 표시될 수 있고, ‘성공! 6,000원의 포인트가 제공되었습니다’라는 메시지(64)가 표시될 수 있다.
이어서 퀘스트제공서버(200)는 S330단계에서 응답이 발생된 제2사용자단말(100)에 퀘스트포인트를 적립할 수 있다(S350).
이때 적립되는 퀘스트포인트는 미리 설정된 참여자 퀘스트포인트에 대응할 수 있다.
S350단계에서 퀘스트제공서버(200)는 제2사용자단말(100) 중 초대메시지에 응답한 제2사용자단말(100)에 대응하는 제2사용자에게 미리 설정된 참여자 퀘스트포인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퀘스트제공서버(200)는 제3사용자의 제3사용자단말(100)로부터 적립된 퀘스트포인트에 대한 퀘스트쿠폰으로의 변경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제3사용자단말(100)에 대응하는 제3사용자의 서드파티 서비스의 계정정보에 대응하여 적립된 퀘스트포인트를 이용하여 고유식별자를 갖는 퀘스트쿠폰으로 변환하고, 퀘스트쿠폰의 고유식별자를 제3사용자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퀘스트제공서버(200)는 제3사용자에 대응하는 ‘페이스북’ 아이디에 적립된 퀘스트포인트를 ‘12345’의 쿠폰번호로 변환하고, 제3사용자는 퀘스트제공서버(200)가 제공하는 웹페이지의 쿠폰번호 입력란에 ‘12345’를 입력하여 퀘스트제공서버(200)로부터 퀘스트쿠폰에 대응하는 가상화폐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퀘스트제공서버(200)는 미리 설정된 시간이 도래하면(S360), 현재까지 초대에 응답한 제2사용자단말(100)의 수가 미리 설정한 퀘스트성공조건에 도달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다(S370).
또한 퀘스트제공서버(200)는 S370단계에서 현재까지 초대메시지에 응답한 제2사용자단말(100)의 수가 미리 설정한 퀘스트성공조건 이상이면, 제1사용자단말(100)에 진행자 퀘스트포인트를 제공할 수 있다(S380).
또한 S380단계에서 퀘스트제공서버(200)는 초대메시지를 전송받은 제2사용자단말(100) 중 미리 설정된 목표 개수 이상의 제2사용자단말(100)이 초대메시지에 응답하면, 제1사용자에게 미리 설정된 진행자 퀘스트포인트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퀘스트제공서버(200)는 S370단계에서 현재까지 초대메시지에 응답한 제2사용자단말(100)의 수가 미리 설정한 쿼스트성공조건 이하면, 퀘스트 실패로서 퀘스트를 종료할 수 있다(S390).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퀘스트제공시스템 100 : 사용자단말
200 : 퀘스트제공서버 210 : 리스트제공부
220 : 퀘스트제공부 230 : 친구목록관리부
240 : 메시지전송부 250 : 서드파티연동부
260 : 서비스제공부

Claims (24)

  1. 복수의 사용자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퀘스트상품페이지를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퀘스트제공서버에 의하여 수행되고,
    각각의 퀘스트상품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퀘스트를 포함하는 퀘스트리스트를 제1사용자의 제1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퀘스트리스트에 포함된 퀘스트 중, 상기 제1사용자단말로부터 선택된 퀘스트에 대응되는 퀘스트상품페이지를 상기 제1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제1사용자의 친구목록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제2사용자에게로의 초대메시지 전송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1사용자단말로부터 선택된 각각의 제2사용자에 대응하는 제2사용자단말로 초대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사용자단말 중 상기 초대메시지에 응답한 제2사용자단말에 대응하는 제2사용자에게 미리 설정된 참여자 퀘스트포인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초대메시지를 전송받은 제2사용자단말 중 미리 설정된 목표 개수 이상의 제2사용자단말이 상기 초대메시지에 응답하면, 상기 제1사용자에게 미리 설정된 진행자 퀘스트포인트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퀘스트상품페이지 열람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2사용자단말로 상기 서드파티 서비스의 계정정보 사용동의를 요청하여, 상기 제2사용자의 상기 서드파티 서비스의 계정정보 및 사용동의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참여자 퀘스트포인트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2사용자의 서드파티 서비스 계정정보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상기 참여자 퀘스트포인트를 적립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초대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사용자단말로, 상기 제1사용자의 서드파티 서비스의 계정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제1사용자의 친구목록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사용자의 친구목록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제2사용자 중, 상기 제1사용자로부터 선택된 각각의 제2사용자에게 초대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선택된 각각의 제2사용자의 상기 서드파티 서비스의 온라인 게시영역에 상기 초대메시지가 게시되도록, 선택된 각각의 제2사용자에 대한 초대메시지의 게시요청을 상기 서드파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드파티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퀘스트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각각의 퀘스트에 대하여,
    퀘스트의 진행이 시작되는 시점으로부터 종료되는 시점까지의 시간 정보인 퀘스트시간정보, 상기 목표 개수를 포함하는 퀘스트성공조건정보, 그리고 퀘스트 완성 시에 퀘스트를 진행한 사용자에게 적립될 진행자 퀘스트포인트정보와 퀘스트에 참여한 사용자에게 적립될 참여자 퀘스트포인트정보를 포함하는 퀘스트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퀘스트제공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진행자 퀘스트포인트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퀘스트시간정보를 통해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초대메시지를 전송받은 제2사용자단말 중 미리 설정된 목표 개수 이상의 제2사용자단말이 상기 초대메시지에 응답한 경우 퀘스트성공조건이 완성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퀘스트성공조건이 완성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사용자에게 미리 설정된 진행자 퀘스트포인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퀘스트제공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퀘스트상품페이지는,
    상기 초대메시지를 수신받은 제2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퀘스트상품페이지의 퀘스트상품에 대한 사용자의 의사를 선택받기 위한 입력수단을 포함하는, 퀘스트제공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초대메시지는,
    상기 퀘스트상품페이지의 URL을 포함하는, 퀘스트제공방법.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퀘스트상품페이지를 상기 제1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사용자를 상기 퀘스트상품페이지에 대한 퀘스트 진행자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사용자단말로 초대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2사용자를 상기 퀘스트상품페이지에 대한 퀘스트 참여자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퀘스트제공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사용자단말로 상기 서드파티 서비스의 계정정보 사용동의를 요청하여, 상기 제1사용자의 상기 서드파티 서비스의 계정정보 및 사용동의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퀘스트 제공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제3사용자단말로부터 적립된 퀘스트포인트에 대한 퀘스트쿠폰으로의 변경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3사용자단말에 대응하는 제3사용자의 서드파티 서비스의 계정정보에 대응하여 적립된 퀘스트포인트를 이용하여 고유식별자를 갖는 퀘스트쿠폰으로 변환하고, 상기 퀘스트쿠폰의 고유식별자를 상기 제3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퀘스트제공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대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사용자의 친구목록에서, 상기 퀘스트상품페이지에 대응하는 퀘스트와 동일한 퀘스트에 대한 다른 퀘스트상품페이지로의 초대메시지를 전송받은 사용자를 제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퀘스트제공방법.
  13. 복수의 사용자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퀘스트상품페이지를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퀘스트제공시스템에 있어서,
    각각의 퀘스트상품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퀘스트를 포함하는 퀘스트리스트를 제1사용자의 제1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리스트제공부;
    상기 퀘스트리스트에 포함된 퀘스트 중, 상기 제1사용자단말로부터 선택된 퀘스트에 대응되는 퀘스트상품페이지를 상기 제1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퀘스트제공부;
    상기 제1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제1사용자의 친구목록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제2사용자에게로의 초대메시지 전송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1사용자단말로부터 선택된 각각의 제2사용자에 대응하는 제2사용자단말로 초대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전송부;
    상기 초대메시지를 전송받은 제2사용자단말 중 미리 설정된 목표 개수 이상의 제2사용자단말이 상기 초대메시지에 응답하면, 상기 제1사용자에게 미리 설정된 진행자 퀘스트포인트를 제공하는 포인트제공부;
    상기 제1사용자단말로, 상기 제1사용자의 서드파티 서비스의 계정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제1사용자의 친구목록을 제공하는 친구목록관리부; 및
    상기 제2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퀘스트상품페이지 열람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2사용자단말로 상기 서드파티 서비스의 계정정보 사용동의를 요청하여, 상기 제2사용자의 상기 서드파티 서비스의 계정정보 및 사용동의를 획득하는 서드파티연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전송부는,
    상기 제1사용자의 친구목록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제2사용자 중, 상기 제1사용자로부터 선택된 각각의 제2사용자에게 초대메시지를 전송하고, 선택된 각각의 제2사용자의 상기 서드파티 서비스의 온라인 게시영역에 상기 초대메시지가 게시되도록, 선택된 각각의 제2사용자에 대한 상기 초대메시지의 게시요청을 상기 서드파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드파티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포인트제공부는,
    상기 제2사용자단말 중 상기 초대메시지에 응답한 제2사용자단말에 대응하는 제2사용자에게 미리 설정된 참여자 퀘스트포인트를 제공하고, 상기 제2사용자의 서드파티 서비스 계정정보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상기 참여자 퀘스트포인트를 적립하는,
    퀘스트제공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각각의 퀘스트에 대하여,
    퀘스트의 진행이 시작되는 시점으로부터 종료되는 시점까지의 시간 정보인 퀘스트시간정보, 상기 목표 개수를 포함하는 퀘스트성공조건정보, 그리고 퀘스트 완성 시에 퀘스트를 진행한 사용자에게 적립될 진행자 퀘스트포인트정보와 퀘스트에 참여한 사용자에게 적립될 참여자 퀘스트포인트정보를 포함하는 퀘스트정보를 설정하는, 퀘스트제공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트제공부는,
    상기 퀘스트시간정보를 통해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초대메시지를 전송받은 제2사용자단말 중 미리 설정된 목표 개수 이상의 제2사용자단말이 상기 초대메시지에 응답한 경우 퀘스트성공조건이 완성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퀘스트성공조건이 완성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사용자에게 미리 설정된 진행자 퀘스트포인트를 제공하는, 퀘스트제공시스템.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퀘스트상품페이지는,
    상기 초대메시지를 수신받은 제2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퀘스트상품페이지의 퀘스트상품에 대한 사용자의 의사를 선택받기 위한 입력수단을 포함하는, 퀘스트제공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초대메시지는,
    상기 퀘스트상품페이지의 URL을 포함하는, 퀘스트제공시스템.
  18. 삭제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퀘스트제공부는,
    상기 제1사용자를 상기 퀘스트상품페이지에 대한 퀘스트 진행자로 설정하고, 상기 제2사용자를 상기 퀘스트상품페이지에 대한 퀘스트 참여자로 설정하는, 퀘스트제공시스템.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서드파티연동부는,
    상기 제1사용자단말로 서드파티 서비스의 계정정보 사용동의를 요청하여, 상기 제1사용자의 상기 서드파티 서비스의 계정정보 및 사용동의를 획득하는, 퀘스트제공시스템.
  21. 삭제
  22. 삭제
  23.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트제공부는,
    제3사용자단말로부터 적립된 퀘스트포인트에 대한 퀘스트쿠폰으로의 변경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3사용자단말에 대응하는 제3사용자의 서드파티 서비스의 계정정보에 대응하여 적립된 퀘스트포인트를 이용하여 고유식별자를 갖는 퀘스트쿠폰으로 변환하고, 상기 퀘스트쿠폰의 고유식별자를 상기 제3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퀘스트제공시스템.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친구목록관리부는,
    상기 제1사용자의 친구목록에서, 상기 퀘스트상품페이지에 대응하는 퀘스트와 동일한 퀘스트에 대한 다른 퀘스트상품페이지로의 초대메시지를 전송받은 사용자를 제외하는, 퀘스트제공시스템.
KR1020140003555A 2014-01-10 2014-01-10 퀘스트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1624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555A KR101624917B1 (ko) 2014-01-10 2014-01-10 퀘스트제공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555A KR101624917B1 (ko) 2014-01-10 2014-01-10 퀘스트제공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3958A KR20150083958A (ko) 2015-07-21
KR101624917B1 true KR101624917B1 (ko) 2016-05-30

Family

ID=53873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3555A KR101624917B1 (ko) 2014-01-10 2014-01-10 퀘스트제공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49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5204A (ko) 2018-11-12 2020-05-21 주식회사 위메프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187B1 (ko) * 2015-08-27 2016-10-05 유호영 퀘스트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퀘스트 수행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612222B1 (ko) * 2023-01-10 2023-12-11 주식회사 메타버즈 가상공간 환경 내 퀘스트 수행 여부에 따른 보상 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5204A (ko) 2018-11-12 2020-05-21 주식회사 위메프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3958A (ko) 2015-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74109B2 (en) Propagating promotional information on a social network
US20230122693A1 (en) Reward System For Micro Influencers In A Social Media Marketing Campaign
KR101724524B1 (ko) 소셜 네트워킹 시스템 내 객체의 영향력을 결정하는 방법
US11087378B2 (en) Online product reservation system
US20210110437A1 (en) Advertisement providing system and advertisement providing method
US1123249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operative shopping service in association with chat application
US20160350780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ferring products through social networks and earning rewards
EP2777003A1 (en) Advertising offers using social networks
US20150302444A1 (en) Social acquisition
US20150182861A1 (en) Method for video-based social media networking
US20160381158A1 (en) Automatic Invitation Delivery System
KR20140115269A (ko) 쿠폰제공방법 및 쿠폰제공시스템
KR101624917B1 (ko) 퀘스트제공방법 및 시스템
US201602675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sponsorship management
US20120123899A1 (en) Social network shopping system and method
KR101543427B1 (ko) 채팅방을 이용한 광고방법 및 시스템
KR20140042660A (ko) 채팅방을 이용한 이벤트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50109549A (ko) 애플리케이션의 초대자에게 보상을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KR101356703B1 (ko) 응원 게시물을 이용한 광고 시스템
KR101542184B1 (ko) 온라인 결제 방법, 서버 및 디바이스
US11082390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facilitating and monetizing merges of targets with stalkers
KR20140120214A (ko)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30761A (ko) 릴레이 기반 프로모션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17871A (ko) 광고 전달 시스템 및 방법
JP2014085881A (ja) 広告配信装置及び広告配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4